KR101436204B1 - 의류 커버 - Google Patents

의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204B1
KR101436204B1 KR1020120060351A KR20120060351A KR101436204B1 KR 101436204 B1 KR101436204 B1 KR 101436204B1 KR 1020120060351 A KR1020120060351 A KR 1020120060351A KR 20120060351 A KR20120060351 A KR 20120060351A KR 101436204 B1 KR101436204 B1 KR 101436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sheet
engaging
longitudinal direction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723A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김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철 filed Critical 김명철
Priority to KR1020120060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20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54Dust- or moth-proof garment bags, e.g. with suit 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커버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로 제조된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로 구성되어 내부에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며,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하나의 단만 개방되도록 나머지 세 단은 부착되는 커버 부재와,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커버 부재의 내외부를 밀폐시키는 밀폐 부재와, 커버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걸이 부재를 포함하며, 커버 부재는, 밀폐 부재는,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 1 멈춤구와,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 2 멈춤구와,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제 1 커버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 돌기 부재와, 결합 돌기 부재에 대응하여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제 2 커버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 요홈 부재과, 선택된 한단의 가장자리에서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와 결합되어 제 1 멈춤구 및 제 2 멈춤구의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 돌기 부재 및 결합 요홈 부재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파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커버{CLOTHING COVER}
본 발명은 내외부를 밀폐시켜 계절에 관계없이 의류를 쉽게 수납할 수 있고, 의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계절에 맞지 않거나 오랫동안 입지 않는 의류는 옷장 안에 보관할 수 있는데, 장기간 보관할 경우 옷장 안에 보관된 의류에는 먼지가 쌓이거나 때가 끼는 등 의류가 더러워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세탁소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얇은 비닐 커버 또는 의류 구입 시 제공되는 별도의 의류 커버를 사용하여 의류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비닐 커버, 별도의 의류 커버 등은 밀폐된 상태가 아닌 어느 정도 개방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쉽고,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발생 등으로 의류가 손상되거나 불쾌한 냄새가 베어 착용 시 불쾌감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비가 자주 오는 장마철의 경우 실내에 습도가 높아져 옷장 등에 습기 제거제를 구비하여도 습기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의류의 훼손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피혁 제품 의류의 경우 습기 등으로 인해 쉽게 곰팡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의류 커버가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된 커버 부재와 커버 부재의 측단 또는 하단에 밀폐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의류를 먼지로부터 보호하고, 습기, 공기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외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의류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 부재의 상단에 걸이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의류가 수납된 의류 커버를 이용하여 쉽게 운송 및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합성수지로 제조된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로 구성되어 내부에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며,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하나의 단만 개방되도록 나머지 세 단은 부착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 부재의 내외부를 밀폐시키는 밀폐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걸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 1 멈춤구와,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 2 멈춤구와,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커버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 돌기 부재와, 상기 결합 돌기 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2 커버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 요홈 부재과,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멈춤구 및 제 2 멈춤구의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 돌기 부재 및 결합 요홈 부재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파스너를 포함하는 의류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트 부재, 밀폐 부재 및 걸이 부재를 포함하며, 시트 부재의 한단에서 그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결합 돌기 부재, 결합 요홈 부재 및 파스너를 통해 내외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의류를 먼지로부터 보호하고, 습기, 공기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외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개방되는 가장자리의 반대측인 내측 방향의 돌출된 영역을 열압착 등의 방으로 부착시킴으로써, 파스너의 가장자리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내외부의 밀폐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버 부재의 상단에 걸이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의류가 수납된 의류 커버를 이용하여 쉽게 운송 및 보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커버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부재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면을 예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를 예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돌기 부재, 결합 요홈 부재 및 파스너의 결합 형태들을 예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이 부재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커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돌기 부재, 결합 요홈 부재 및 파스너의 결합 형태들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이 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커버는 커버 부재(100), 밀폐 부재(200), 걸이 부재(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합성수지(예를 들면, PVC, PE 등)로 제조된 제 1 커버 시트(110, 전면에 위치함, 실선 표시) 및 제 2 커버 시트(120, 후면에 위치함, 점선 표시)로 구성되어 내부에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며,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하나의 단만 개방되도록 나머지 세 단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측단만 개방되는 것으로 하여 도시된 도면들을 통해 이하에서는 설명한다. 아울러, 제 1 커버 시트(110)와 제 2 커버 시트(120)와 같이 별도의 시트로 하여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지만, 타측단이 연결된 하나의 시트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커버 부재(100)에는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후술하는 밀폐 부재(200)의 내측면이 열압착 방식으로 부착 밀봉되는 밀봉면(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면(130)은 후술하는 파스너(250)가 제 2 멈춤구(220)에 접근하여 위치한 상태(즉, 밀폐된 상태)에서 파스너(250)의 상부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밀봉면(130)은 후술하는 파스너(250)가 제 2 멈춤구(22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 공간에 따라 내측면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수용부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커버 부재(100)의 상단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걸이 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그 하부에 옷걸이, 바지걸이 등을 걸 수 있는 걸림 고리(140)가 구비됨으로써,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걸이, 바지 걸이 등이 이러한 걸림 고리(140)를 통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밀폐 부재(200)는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커버 부재(100)의 내외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제 1 멈춤구(210), 제 2 멈춤구(220), 결합 돌기 부재(230), 결합 요홈 부재(240), 파스너(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시된 도면들에서 밀폐 부재의 도면 부호인 200은 생략하였으며, 상기한 구성 요소들을 모두 포함한 구성요소를 의미함은 물론이다.
제 1 멈춤구(210)는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의 길이방향 상부측에 열압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후술하는 파스너(250)가 상부측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멈춤구(220)는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의 길이방향 하부측에 열압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후술하는 파스너(250)가 하부측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멈춤구(220)는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일측단에서 상부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커버 시트(110) 및 제 2 커버 시트(120)는 기 설정된 간격에서 부착 밀폐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커버 시트(110) 및 제 2 커버 시트(120)는 제 2 멈춤구(220)의 하부 형태가 직선 형태(도 1a), 곡선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도 1b) 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곡선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를 가질 경우 제 1 커버 시트(110) 및 제 2 커버 시트(120)는 대응되는 반대측 하부 형태도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합 돌기 부재(230)는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제 1 커버 시트(11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긴 제 1 플레이트(231)와, 제 1 플레이트(231)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기(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돌기 부재(230)는 제 1 플레이트(231)의 외측면이 열융착 방식, 고주파 벤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제 1 커버 시트(110)의 일측단 가장자리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결합 요홈 부재(240)는 결합 돌기 부재에 대응하여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제 2 커버 시트(12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긴 제 2 플레이트(241)와, 제 2 플레이트(241)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2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요홈 부재(240)는 제 2 플레이트(241)의 외측면이 열융착 방식, 고주파 벤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제 2 커버 시트(120)의 일측단 가장자리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는 도 5c 및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이 구비될 수 있고, 도 5e 및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쌍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는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돌기 부재(230)는 원형 형태의 돌기(232)를 구비할 수 있고, 결합 요홈 부재(240)는 원형 형태의 돌기(232)에 대응하는 원형 형태의 요홈(24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는 도 5c 및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의 가장자리에서 끝단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도 5d 및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250)는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제 1 커버 시트(110) 및 제 2 커버 시트(120)와 결합되어 제 1 멈춤구(210) 및 제 2 멈춤구(220)의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두 개의 가지 끝단이 내측으로 꺽인 파스너 블록(251)과, 파스너 블록(251)의 내측 중앙부에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를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돌기(2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 블록(251)은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를 결합시키기 위한 일단의 단면 크기가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를 분리시키기 위한 타단의 단면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형태(즉, 사다리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돌기(252)는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를 분리시키기 위한 타단의 내측 중앙부에 기 설정된 길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분리 돌기(252)의 끝단은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250)의 이동에 따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가 결합된 형태로 전환될 수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된 형태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파스너(250)는 각각의 변 및 모서리를 곡선 형태로 라운드화하여 동작 시 다른 구성 부재의 간섭으로 인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걸이 부재(300)는 커버 부재(100)의 상단 중앙부에 구비되며,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100)의 상단 중앙부에 결합되는 결합구(310)와, 결합구(3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옷걸이봉 등과 같은 지지대에 걸 수 있는 걸이고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310) 및 걸이고리(320)는 합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구(310)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거나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직선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그 결합구(310)는 커버 부재(100)의 상단 중앙부에서 제 1 커버 시트(110) 및 제 2 커버 시트(120)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거나 혹은 그 사이에 결합된 후 열압착 등의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 부재(300)는 결합구(310)와 같은 형태의 구조물을 커버 부재(100)의 상단 중앙부에 삽입한 후 열융착, 고주파 벤딩 등의 방식으로 커버 부재(100)의 상단 중앙부에 일체로 부착시키고, 그 결합구(310)를 커버 부재(100)와 함께 천공하여 고리홀을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고리를 끼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시트 부재, 밀폐 부재 및 걸이 부재를 포함하며, 시트 부재의 한단에서 그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결합 돌기 부재, 결합 요홈 부재 및 파스너를 통해 내외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의류를 먼지로부터 보호하고, 습기, 공기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외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개방되는 가장자리의 반대측인 내측 방향의 돌출된 영역을 열압착 등의 방식으로 부착시킴으로써, 파스너의 가장자리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내외부의 밀폐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버 부재의 상단에 걸이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의류가 수납된 의류 커버를 이용하여 쉽게 운송 및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 커버는 티셔츠, 바지, 코트 등과 같은 의류에 대응하여 필요에 따라 그 길이 및 두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외부면에는 "XXX 세탁소", "YYY 의류 매장" 등의 광고 문구를 인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각 모서리, 각단 가장자리 등을 필요에 따라 곡선 형태로 라운드화하여 형성시킬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 커버에서는 파스너(250)의 이동을 멈추기 위한 제 1 멈춤구(210) 및 제 2 멈춤구(22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제 1 멈춤구(210) 및 제 2 멈춤구(220) 대신에 열압착 등의 방식으로 부착됨으로서, 제 1 멈춤구(210) 및 제 2 멈춤구(2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커버 부재(100)를 P.E로 제작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밀폐 부재(200)를 구성하는 결합 돌기 부재(230) 및 결합 요홈 부재(240)를 동시에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커버 부재 110 : 제 1 커버 시트
120 : 제 2 커버 시트 130 : 밀봉면
140 : 걸림 고리 200 : 밀폐 부재
210 : 제 1 멈춤구 220 : 제 2 멈춤구
230 : 결합 돌기 부재 240 : 결합 요홈 부재
250 : 파스너 300 : 걸이 부재
310 : 결합구 320 : 걸이고리

Claims (6)

  1. 합성수지로 제조된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로 구성되어 내부에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며, 하단, 양측단 중 선택된 한 단만 개방되도록 나머지 세 단은 부착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버 부재의 내외부를 밀폐시키는 밀폐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걸이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파스너가 상기 제 2 멈춤구에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파스너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내측면이 부착 밀봉되고,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 1 멈춤구와,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 2 멈춤구와,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커버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원형 형태의 결합 돌기 부재와, 상기 원형 형태의 결합 돌기 부재에 대응하여 홈을 갖고,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2 커버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 요홈 부재과, 상기 결합 돌기 부재 및 결합 요홈 부재는, 적어도 한쌍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멈춤구 및 제 2 멈춤구의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 돌기 부재 및 결합 요홈 부재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단 중앙부에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대에 걸 수 있는 걸이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 부재 및 결합 요홈 부재는,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끝단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거나 상기 선택된 한 단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커버.
  6. 삭제
KR1020120060351A 2012-06-05 2012-06-05 의류 커버 KR10143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51A KR101436204B1 (ko) 2012-06-05 2012-06-05 의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51A KR101436204B1 (ko) 2012-06-05 2012-06-05 의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723A KR20130136723A (ko) 2013-12-13
KR101436204B1 true KR101436204B1 (ko) 2014-09-01

Family

ID=4998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351A KR101436204B1 (ko) 2012-06-05 2012-06-05 의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612A (ko) 2021-08-17 2023-02-27 에이드온벤처스(주)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511U (ko) * 1996-07-15 1998-04-30 변홍섭 옷 보관용 커버
JP3070322U (ja) * 2000-01-17 2000-07-28 トレンドマスターズ株式会社 衣装カバ―
KR20110009774U (ko) * 2010-04-08 2011-10-14 주식회사 제이디에프유통 가정용 의류 보관 팩
KR20120007689A (ko) * 2010-07-15 2012-01-25 엄홍섭 의류보관 비닐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511U (ko) * 1996-07-15 1998-04-30 변홍섭 옷 보관용 커버
JP3070322U (ja) * 2000-01-17 2000-07-28 トレンドマスターズ株式会社 衣装カバ―
KR20110009774U (ko) * 2010-04-08 2011-10-14 주식회사 제이디에프유통 가정용 의류 보관 팩
KR20120007689A (ko) * 2010-07-15 2012-01-25 엄홍섭 의류보관 비닐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612A (ko) 2021-08-17 2023-02-27 에이드온벤처스(주)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의류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723A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0417S1 (en) Vacuum cleaner
JP5959727B2 (ja) 冷却機器
USD782298S1 (en) Packaging for perfume bottle
USD644722S1 (en) Flange joint sealing gasket with a handle
CA2755105C (en) Vacuum compression storage bags
USD813055S1 (en) Zip seal trash bag
USD784159S1 (en) Multi-compartment resealable storage bag
KR20110050564A (ko) 착탈방식의 밀봉형 용기
US5606828A (en) Magnetic door gasket
USD872700S1 (en) Frame for sealing cables
ITPD20110160A1 (it) Bottone a pressione, o a scatto, particolarmente per capi di abbigliamento e simiili
CN105129190A (zh) 折叠一体式服装箱
KR101436204B1 (ko) 의류 커버
JP6450410B2 (ja) コンシールタイプ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10696462B2 (en) Closure assembly for a bag and a method of closing the bag
KR101370873B1 (ko) 원터치방식 밀폐용기
JP2014122116A (ja) ゴミ容器の蓋及びゴミ容器
JP7115936B2 (ja) 食器洗浄機
CN205060244U (zh) 折叠一体式服装箱
USD843599S1 (en) Refrigerator gasket with magnetic sealing element
CN205240340U (zh) 一种立式保温包
KR101522109B1 (ko) 스크린루바용 마감재
KR200198521Y1 (ko) 변압기 단자함
JP6638972B2 (ja) インナーカバー
USD894788S1 (en) Chain zipper 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