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487B1 - 콘크리트 트럭에 구성성분 첨가를 위한 확장 노즐과 그의 사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트럭에 구성성분 첨가를 위한 확장 노즐과 그의 사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487B1
KR102518487B1 KR1020197038219A KR20197038219A KR102518487B1 KR 102518487 B1 KR102518487 B1 KR 102518487B1 KR 1020197038219 A KR1020197038219 A KR 1020197038219A KR 20197038219 A KR20197038219 A KR 20197038219A KR 102518487 B1 KR102518487 B1 KR 10251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nozzle boot
boot
shaf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528A (ko
Inventor
앤드류 풀러
존 아호
제임스 블렉
마크 에프. 로버츠
Original Assignee
지씨피 어플라이드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씨피 어플라이드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지씨피 어플라이드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51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28C5/4203Details; Accessories
    • B28C5/4231Proportioning or supply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12Supplying or proportioning liquid ingredients
    • B28C7/126Supply means, e.g. nozzles
    • B28C7/128Nozzles; Valves; Valve-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 B05B15/52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using cleaning elements penetrating the discharge openings
    • B05B15/5223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using cleaning elements penetrating the discharge openings the cleaning element, e.g. a needle, and the discharge opening being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low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said opening
    • B05B15/522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using cleaning elements penetrating the discharge openings the cleaning element, e.g. a needle, and the discharge opening being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low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said opening the cleaning element being located upstream of the discharge opening or being actuated upstream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 B05B15/528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by resilient deformation of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81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9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with separate inlets for a particulate material and a liquid to be sprayed
    • B05B7/1495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with separate inlets for a particulate material and a liquid to be sprayed and with separate outlets for the particulate material and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04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 B08B9/0813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노즐 부트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부트는, 노즐 부트 입구와 상기 노즐 부트 입구로부터 이격된 노즐 부트 출구 및 상기 노즐 부트 입구와 상기 노즐 부트 출구 사이에 볼륨을 갖고, 상기 노즐 부트는 상기 노즐 부트 입구로부터 상기 볼륨 내로 유체가 유입될 때 팽창 가능하고, 상기 볼륨으로부터 유체가 철수될 때 접힐 수 있는 노즐에 관한 것이다. 또한, 표면을 팽창시킴으로써 표면에 부착된 콘크리트에 인장 응력을 생성함으로써 표면으로부터 원치 않는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방법 및 유체(들)를 회전 드럼에 주입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트럭에 구성 성분 첨가를 위한 확장 노즐, 그의 사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 및/또는 액체의 화학적 혼합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성분들을 예를 들어 콘크리트 믹서 드럼 내로 분배하기 위한 노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물 및 골재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화학적 혼합물로 제조된다. 이러한 화학적 혼합물은 유동학 특성(예를 들어, 슬럼프, 유동성), 세팅의 개시, 경화의 속도, 강도, 동결 및 해동에 대한 내성, 수축 및 기타 특성과 같은 콘크리트의 다양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된다.
대부분의 경우, 화학적 혼합물은 배칭(batching) 시에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첨가된다. "건식 배치(dry batch)" 공장에서, 시멘트, 물, 골재 및 화학적 혼합물은 별도의 구획(예를 들어, 용기 또는 사일로)로부터 레디-믹스 트럭의 회전 가능한 드럼 내에 첨가되고 성분들은 함께 혼합된다.
"습식 배치(wet batch)" 또는 "중앙 혼합 (central mix)" 플랜트에서, 모든 성분들은 고정 위치 믹서에서 결합되고 완전히 혼합된 다음, 트럭의 회전식 드럼 내로 덤핑된다.
"수축 혼합" 플랜트는, 성분들이 고정된 위치 믹서에서만 부분적으로 혼합된 다음, 트럭 믹서 내에서 혼합이 완료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습식 배치" 또는 "중앙 혼합" 플랜트와 유사하다.
전형적인 건식 배치 공정에서, 먼저 "헤드 워터(head water)"가 부가된 다음, 골재 및 시멘트가 부가되고, 이어서 "테일 워터(tail water)"가 부가된다. 화학적 혼합물은 통상적으로 헤드 워터 또는 테일 워터와 함께 첨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희석되고 모든 화학적 혼합물이 믹싱 드럼 내를 세척하기에 충분한 물이 존재한다. 더욱이, 골재가 드럼으로 이송될 때 골재에 화학적 혼합물이 직접 첨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모든 화학적 혼합물이 레디-믹스 트럭의 드럼 내로 도입된다.
레디-믹스 트럭의 드럼은 전형적으로 그 안에 유체 콘크리트가 수용될 수 있는 캐비티를 한정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내벽을 갖는 긴 타원 형상(oblong shape)이다. 두 개의 대향되는 단부들의 하나는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성분들의 로딩 및 언로딩을 허용하는 개방 단부이다. 이는 개방 단부가 상부에 있도록, 예를 들어 평평하거나 또는 수평 지면에 대해 5°내지 40°의 배향과 같은 각도로 장착된다.
믹싱 블레이드들 또는 핀(fin)들은 드럼 내측에 나선형 패턴으로 장착된다. 드럼이 블레이드들 또는 핀들에 대해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믹싱 블레이드들은 콘크리트를 드럼의 하단부에 밀어 넣고 혼합을 유발한다. 드럼이 블레이드들 또는 핀들에 대해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 믹싱 블레이드는 콘크리트를 개구부로 또는 그 밖으로 밀어낸다.
드럼은 유체, 플라스틱 콘크리트로 부분적으로만 채워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콘크리트가 어떤 지점을 넘어 트럭으로부터 튀어나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배칭 공정 후, 트럭은 플랜트의 적재(로딩) 영역으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건식 배치(dry batch) 또는 수축 혼합 콘크리트의 경우, 작업 현장을 떠나기 전에 콘크리트의 초기 혼합을 완료한다.
종종, 작업 현장에서의 최종 배출 시간까지를 포함하여, 콘크리트가 배칭되고 초기 혼합된 후에 첨가 유체(물 또는 화학적 혼합물)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배칭 공정 후 첨가될 때 어떤 화학적 혼합물들이 더 잘 수행되기 때문에 행해진다. 가끔, 모든 성분들의 배칭에 있어서 변동사항들(예를 들어, 배칭 공정에서 첨가된 물이 너무 적은 경우)을 보상하거나 시간 경과에 따른 콘트리트 특성의 변화(예를 들어, 유동성 및 기타 유동학적 특성들의 손실)를 보상하기 위해 부가적 유체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압을 측정하여 드럼에 인가되는 토크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믹싱 드럼을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모니터링하고 믹싱 드럼에 유체를 첨가함으로써 유동성을 조정하기 위해 센서들을 사용함으로써 레디-믹스(ready-mix) 배송 트럭에 있는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제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콘크리트 트럭에는 공통적으로 호스 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물 탱크 또는 드럼 개구내로 향하는 유사부재가 장착된다. 이 방식에서, 물은 탱크 또는 펌프에 있어서의 공기 압력하에 드럼 내로 분배될 수 있다.
화학적 혼합물 탱크를 트럭에 장착하는 경우는 그다지 일반적이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혼합물 탱크가 존재하는 경우, 탱크는 일반적으로 드럼 내부로 배수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호스 라인에 연결된다. 화학적 혼합물은 펌프로 공기 압력에 의해 또는 탱크에 의해 물 라인으로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과 혼합물 모두 내장 탱크로부터 콘크리트 믹싱 드럼에 첨가할 수 있다. 물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약 60 psi 까지의 압력으로, 물 탱크를 가압하고, 또한 물 첨가를 개시하기 위해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첨가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성분들이 콘크리트 트럭에 첨가되면, 콘크리트 물질은 물 노즐 에 달라붙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소량의 시멘트, 모래, 암석 등이 노즐에 원치 않는 부가가 행해진다.
이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전형적으로 노즐이 위치되는 불안정한 위치를 나타낸다. 콘크리트는 노즐을 지나 동일한 개구부를 통해 로딩되고 배출되며, 일반적인 적용예에 있어서, 이는 콘크리트로 충전시 물 분출을 야기하여 사용불능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노즐은 트럭이 적재될 때마다 세정해야 하는데, 이는 시간이 걸리며 현장 작업자에 의해 거의 실시되지 않는다.
콘크리트는 또한 "보다 많이 쌓이거나" 또는 물질이 딱딱한 경우 매우 높아질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가 배출될 때 그는 전체적으로 "스로트(throat)", 또는 드럼의 개구에 충전된다. 물과 혼합물 노즐 또는 노즐들은 전형적으로 이 배출 콘크리트의 방식으로 수행되며 완전히 덮일 수 있다. 또한 노즐(들)의 내부가 콘크리트로 채워질 수 있다. 이들 문제들은 물의 첨가시 물 노즐의 유효성을 상실할 수 있으며 결국 노즐로부터의 물 배출을 완전히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 작업자는 기계적으로 노즐에서 콘크리트를 제거하기 위해 망치나 다른 도구의 사용에 의존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노즐을 드릴 천공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물 노즐로부터의 분리시) 혼합 노즐들은 이들이 상당히 좁은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시멘트 페이스트는 여전히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노즐을 제한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들이 없는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노즐의 하나 이상의 표면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박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액체를 콘크리트 믹서 드럼과 같은 캐비티로 도입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물 및/또는 액체 화학적 혼합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체를 콘크리트 믹서 드럼과 같은 캐비티내로 분배하기에 적합한 노즐을 포함하고, 플랜트 시설에서의 믹서들에 유용하고 특히 콘크리트 레디-믹스 배송 트럭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는 콘크리트 믹서 드럼과 같은 캐비티에 하나 이상의 액체를 도입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실시예에서는 노즐 부트가 제공되고, 노즐 부트는 노즐 샤프트 또는 다른 지지 부재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부트는 확장 가능하고 접힐 수 있고 부트 출구를 갖는다.
어떤 실시예에서, 부트는 (예를 들어, 지지 부재에 대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을 포함하여 여러 방향으로 팽창 및 접힐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부트는 노즐 샤프트 또는 지지 부재의 일부를 둘러싸고, 회전식 콘크리트 믹서 드럼과 같은 캐비티 내로 하나 이상의 액체를 예를 들어 주입에 의해 부트 출구를 통해 도입하기에 적합하다.
어떤 실시예에서, 노즐 조립체는 독립적으로, 믹서 드럼에 하나 이상의 성분들을 도입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이러한 노즐 조립체는 노즐 부트, 노즐 샤프트, 노즐 샤프트 입구, 노즐 부트 입구, 노즐 샤프트 출구 및 노즐 부트 출구를 가지며, 상기 노즐 부트는 노즐 샤프트의 일부를 둘러싼다.
특정 실시예에서, 노즐 샤프트는 모두 노즐 부트를 지지하고 콘크리트 트럭 믹서 드럼 내로 성분을 도입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노즐 샤프트 입구는 혼합물의 소스와 같은 믹서 드럼 내로 도입될 제1 성분의 소스와 유체적으로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노즐 샤프트 출구와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 부트 입구는 물의 스스와 같은 믹서 드럼 내로 도입될 제2 성분과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노즐 부트 출구와 유체 연통된다.
상기 제2 성분이 상기 노즐 부트 입구를 통해 노즐 부트로 흐르도록 될 때, 이는 상기 노즐 부트를 확장시킨다. 그 팽창의 결과로서, 이전에 노즐 부트의 표면(예를 들면,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의 표면에 부착된 콘크리트는 부트의 확장에 텐션을 받는다.
콘크리트의 제한된 인장 강도로 인해, 콘크리트는 균열되고 노즐 부트로부터 떨어져 파괴되며 노즐의 원치않는 콘트리트를 벗겨낸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노즐에 형성된 콘크리트로 인한 우려를 제거한다.
작업자가 유체를 첨가할 때, 노즐은 콘크리트를 파괴하기 위해 횡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확장한다. 노즐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힘은 콘크리트를 파괴하는 데 필요한 팽창을 생성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화학적 혼합물 및/또는 물과 같은 유체를, 회전 가능한 콘크리트 믹서 드럼과 같은 회전 가능한 믹서 드럼 내로 주입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평지에 대해 5° 내지 40°의 배향으로 경사진 회전축에 관해 회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안에 유체 콘크리트와 같은 유체를 포함하기 위한 캐비티를 한정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내측 원주 벽을 갖는 긴 타원형 드럼 보디를 가질 수 있는 믹서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들의 하나는 상기 캐비티로부터 유체 콘크리트의 로딩 및 언로딩을 허용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화학적 혼합물과 같은 제1 성분의 소스 및/또는 물과 같은 제2 성분의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노즐은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노즐 부트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부트는, 노즐 부트 입구와 상기 노즐 부트 입구로부터 이격된 노즐 부트 출구 및 상기 노즐 부트 입구와 상기 노즐 부트 출구 사이에 볼륨을 갖고, 상기 노즐 부트 입구는 상기 제1 성분의 소스 및/또는 제2 성분의 소스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볼륨 내로 상기 제1 성분이 도입할 때 팽창 가능하고, 상기 볼륨으로부터 상기 제1 성분의 철수에 따라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믹서 드럼 내로 성분을 도입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1은 어떤 실시예에 따른 노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콘크리트 트럭 드럼에 있어서 노즐의 일반적인 위치설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노즐 조립체의 단면도로, 부트의 과도한 축 방향 수축을 방지하는 노즐 본체에 형성된 정지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콘크리트로 덮인 노즐 부트의 외부 표면을 도시하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노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부트가 수압에 의해 팽창되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노즐 조립체를 도시하는 개략도로, 부트의 외측면의 콘크리트 박리를 야기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피드(feed) 라인을 퍼지하기 위한 퍼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팽창된 상태의 노즐 부트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어떤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접힌 상태의 노즐 부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어떤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팽창된 상태의 노즐 부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어떤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팽창된 상태의 노즐 부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노즐 표면의 콘크리트 파괴를 도시한 동작 중의 노즐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성분, 프로세스 및 장치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얻을 수 있다.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는 편의성 및 편의성에 기초한 개략적인 표현이며, 따라서 장치 또는 그 성분의 상대적인 크기 및 치수를 나타내거나 및/또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범위를 정의 또는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명확성을 위해 다음의 설명에서 특정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이들 용어는 도면에서의 예시를 위해 선택된 실시예의 특정 구조만을 지칭하도록 의도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유사한 숫자 표시는 유사한 기능의 성분을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a", "an", "the")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다양한 장치 및 부품은 다른 성분를 "포함하는(comrising)"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다("comrise(s)", "include(s)"), "갖는",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함유하다", 및 이들의 변형은 오픈 엔드형(open-ended) 문구, 용어, 또는 단어들인 것으로서 이들은 첨가 성분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많은 용어는 상대적인 용어임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는 위치적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이다. 즉, 상부 요소는 하부 요소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하고, 구조의 특정 방향 또는 위치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성기 용어들 "상부" 및 "하부"는 절대 기준, 즉 지구 표면과 관련이 있다. 다시 말해, 최고 위치는 항상 지구의 표면을 향한 바닥 위치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한다.
본 출원에 사용된 용어 "콘크리트"는 시멘트 결합제(예를 들어, 플라이 애시, 과립화된 고로 슬래그, 석회석 또는 기타 포졸란 물질과 같은 보충 시멘트 물질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포틀랜드 시멘트), 물, 및 골재들(예를 들어, 모래, 쇄석 또는 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물질들을 지칭하며 이들은 경화될 때 강화된 빌딩 또는 토목 공학 구조물을 형성한다.
콘크리트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화학적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물 감소제, 중간 범위의 물 감소제, 높은 범위의 물 감소제("초가소제(superplasticizer"라고 함), 점도 조절제, 부식 억제제, 수축 감소 혼합물, 경화 촉진제, 경화 지연제, 공기 연화제, 공기 탈기제, 강도 증강제, 안료, 착색제, 소성 수축 제어 또는 구조적 강화를 위한 섬유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고려되는 예시적인 콘크리트 믹싱 드럼은, 레디-믹스 배송 트럭 또는 믹싱 플랜트에서 발견될 수 있는 고정식 믹서에서 회전을 위해 각각의 요구에 맞게 장착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믹싱 드럼은 적어도 하나의 믹싱 블레이드들이 내측 표면에 부착되어 믹싱 드럼과 함께 회전하고 혼합물 내에 함유된 골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혼합물을 혼합하는 역할을 하는 내주 벽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회전식 콘크리트 믹서 드럼은, 지면(평지)에 대해 5-40 도의 배향으로 기울어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고, 드럼으로부터 콘크리트를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제2 단부와 제1 폐쇄 단부를 연결하는 내주 벽을 갖는 긴 타원형(oblong) 드럼 본체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어떤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노즐 조립체(10)가 도시되어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즐 조립체(10)는 2개의 개별 성분들을 믹서 드럼 내로 독립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조립체(10)는 콘크리트 믹서 드럼(5) 캐비티 개구에 대해 조준 및 장착되어 노즐 조립체(10)의 노즐 개구 또는 샤프트 출구 (16)가 드럼 캐비티 내에 맞춰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성분 또는 구성 요소를 캐비티 내로 도입하도록 한다(도 2A).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즐 조립체(10)는 샤프트 입구 (12) 및 노즐 부트 입구 (14)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목적으로, 상기 입구(14)는 노즐 부트 유입구로 지칭될 것이지만, 상기 입구(14)의 실제 위치는 노즐 부트의 일부일 필요는 없고 단지 그와 유체 연통하면 된다. 즉, 입구(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부트가 부착된 몸체 부재(11)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 부트(20)는 노즐 부트 입구(14)로부터 이격된 노즐 부트 출구(18)를 갖는다. 샤프트 입구(12)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강성 또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는, 도관, 호스, 파이프 등으로 시멘트 트럭 믹서 드럼에 노즐 조립체(10)에 의해 도입될 혼합물(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콘크리트 성분 또는 첨가제와 같은 제1 성분의 공급원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노즐 조립체(10)의 노즐 개구 또는 샤프트 출구(16)는 바람직하게는 강성인 샤프트(15) 등을 통해 제1 성분의 소스와 유체 연통되고 내부 보어를 가지며 또한 노즐 조립체(10)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샤프트 출구(16)는 바람직하게는 스무드하며, HDPE, 비-스틱(non-stick) 플라스틱 또는 PTFE(TEFLON®)와 같은 코팅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 부트 입구(14)는, 예를 들어, 강성 또는 가요성으로 될 수 있는 도관, 호스, 파이프 등으로 시멘트 트럭 믹서 드럼에 도입될 노즐 조립체(10)에 의해 도입될 물(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첨가제 또는 성분들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성분 또는 성분들의 소스 또는 소스들은 노즐 조립체(10)로 유동하도록 펌프동작이나 또는 가압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노즐 부트(20)는 샤프트(15)의 일부를 둘러싸고,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 및/또는 클램프 등(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기계적으로 일단부에서 또는 일단부의 부근에서 노즐 본체 부재(11)에 결합된다.
상기 노즐 부트(20)는 노즐 본체 부재(11)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때때로 새로운 노즐 부트(20)로 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부트(20) 및 노즐 본체 부재(11)는 단일의 일체형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 부트(20)는 샤프트(15)를 둘러싸며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샤프트(15)와 동축인 워터 노즐을 형성한다. 이는 노즐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킨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 부트 (20)는 확장 가능하고 접힐 수 있다.
도 1은 가스 또는 유체, 예를 들어 물 등의 유체 또는 가스와 같은 제2 성분의 노즐 부트(20)의 내측 볼륨으로의 도입시 접힌 상태(20A) 및 팽창된 상태(20) 모두에서의 노즐 부트(20)를 도시한다.
팽창된 상태에서, 노즐 부트(20)는 도 1 및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5)에 대해 여러 방향으로 팽창하며 상기 방향들은, 예를 들어, 샤프트 출구(16)가 노즐 부트(20A)의 자유 단부를 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로부터 노즐 부트 (20)의 자유 단부가 샤프트 출구(16)를 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로의 축 방향 팽창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어떤 실시예에서, 노즐 부트 팽창 방향은 또한 샤프트(15)에 대한 반경 방향 팽창을 포함한다.
콘크리트(1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부트 (20)의 외부 표면과 같은 노즐 부트(20)에 접착된 경우. 노즐 부트(20)의 팽창은 노즐 부트(20)의 표면(내부 및/또는 외부 표면)에 코팅되거나 접착된 콘크리트(100)에 대해 인장 응력을 발생시키고, 노즐 부트(20)를 균열시키고 박리하기에 충분하며, 이는 노즐 부트 (20)의 팽창에 의해 야기된 인장 응력이 콘크리트(100)의 비교적 약한 인장 강도를 극복하기 때문이다(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
노즐 부트(20)에 적합한 구성의 물질은, 엘라스토머 물질,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비-스틱 플라스틱과 같이 노즐 부트(20)가 반복적으로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물질들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노즐 부트 (20)는, 예를 들어 압력하에서 물 또는 가스(예를 들어, 공기)의 도입에 의해 또는 압력하에서 물 또는 가스의 도입을 중단함으로써 부피(볼륨)가 변화될 수 있는 에를 들어 팽창될 수 있는 가요성 물질과 같은 벨로우즈로 될 수 있다.
벨로우즈는 콘서티나(concertina) 또는 아코디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부트(20)는 다수의 영역들 또는 섹션들(20a, 20b, 20c)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의 각각은 (접혀진 상태 및 팽창 된 상태 모두에 있어서) 해당 영역 또는 섹션의 가장 큰 외경을 갖는 각각의 중간 영역(20a', 20b', 20c')을 가지며, 양 축방향들에 있어서(즉, 노즐 부트 출구 18을 향하고 또한 멀어지는) 보다 작은 직경 및 보다 작은 직경의 영역으로 점진적으로 천이 또는 테이퍼링된다.
상기 영역들(20a', 20b' 및 20c')은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접혀진 상태 또는 확장된 상태 모두에서) 또는 서로에 대해 다른 외경들을 가질 수 있다.
노즐 부트를 팽창시키기 위해 노즐 부트(20)에 적용될 수있는 적절한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약 2psi이고, 약 60 psi로 높을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5)는 보다 작은 직경(15A)의 영역 및 보다 큰 직경(15B)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은 직경에서 큰 직경 영역으로 천이되는 영역은 쇼울더(19)를 형성한다. 노즐 부트(20)는 샤프트 주위에 구성되고 위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쇼울더(19)가 정지 부재를 제공하여, 팽창된 상태로부터 수축된 상태로 천이함에 따라 노즐 부트(20)가 축 방향으로 수축되는 정도를 최소화한다(예를 들어, 노즐 부트(20)의 지점(201)에서, 노즐 부트(20)의 축 방향 길이를 따른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정지 부재는 또한, 배출 콘크리트가 노즐로 들어가고 충전되는 것을 막는 배리어를 제공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그에 대해 발생할, 노즐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노즐 부트(20)의 내부 표면에 콘크리트가 부착되어있는 경우, 노즐 부트 (20)의 팽창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궁극적으로 부트(20) 내로의 유체(예를 들어, 공기)의 도입시와 같이 노즐 부트(20)로부터 배출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노즐 부트(20)의 출구는, 샤프트(15)상의 노즐 부트(20)에 대한 약간의 마찰 끼워 맞춤을 생성하기 위해, 샤프트 출구(16)의 일부의 외측 직경보다 약간만 더 큰 내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8)이 노즐 영역의 외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영역은 노즐 부트(20)의 내부 볼륨에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한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제2 성분(예를 들어, 물)이 압력하에서 노즐 부트(20)의 내부 볼륨에 도입되는데 일조하여, 압력이 상승하고, 노즐 부트(20)가 여러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하여, 제2 성분이 노즐 부트(20)의 노즐 출구(18)로부터 유출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샤프트(15)의 단부는 총알 또는 원뿔형이며 이는 노즐 부트 (20)가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노즐 부트 (20)가 샤프트(15) 위에서 앞뒤로 미끄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실시예에서, 제2 성분의 소스는 제1 성분을 수반하는 피드(feed)) 라인과 유체적으로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 라인(60)이 혼합물과 같은 제1 성분과 유체 연통하여 위치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65) 등은 피드 라인(60)이 물 또는 공기와 같은 제2 성분과 유체 연통하여 대신 위치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피드 라인(60)의 제2 성분의 플러싱 또는 퍼지, 및 체크 밸브(65)의 하류에 있는 것과 유체 연통하는 성분의 플러싱 또는 퍼지를 허용한다.
도 6A, 6B 및 7은 지지 부재 자체가 출구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지지 부재는 노즐 부트 (2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지만 콘크리트 믹서 드럼에 성분을 도입하는 기능은 하지 않는다(별도의 노즐이 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A 및 7에서, 노즐 부트(20)는 팽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지지 부재(115)의 근위 단부(115A)를 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6B에서, 노즐 부트(20)는 접힌 상태로 도시되며, 그에 따라 지지 부재 (115)의 근위 단부 (115A) 단부는 노즐 부트 (20)를 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15)는 샤프트(15)의 쇼울더(19)와 같은 환형 쇼울더(119)를 포함하며 노즐 부트(20)의 부가적인 축방향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도 8은 팽창된 상태의 노즐 부트(20)의 개략도이며, 화살표는 지지 부재 (115)를 중심으로 노즐 부트(20)의 내부 볼륨으로 유체가 유입될 때 팽창 방향을 도시한다.
실시예
콘크리트 펌프 트럭의 수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AC 펌프를 사용하여 실험실에서 노즐을 테스트했다.
노즐의 외부 벨로우즈는 Porsche 911 CV 조인트로 구성되었다. 내부 샤프트는 플라스틱이며 이는 상업용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테스트 목적의 모형으로서는 적합하다.
전체 조립체는 혼합 노즐로서 작용하는 지지부를 위한 내부 샤프트의 정확한 성분을 가졌다. 벨로우즈 및 정지부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었다.
첫 번째 테스트 시스템은 유압 시멘트(실제 콘크리트 생산에는 일반적이지 않음)로 덮고 하루 동안 그대로 두었다. 유압 시멘트는 매우 빠르게 경화되지만 콘크리트의 나머지 성분(예를 들어 : 모래, 돌)은 포함하지 않는다.
시멘트를 경화시킨 후, 펌프를 켜고 벨로우즈를 여러 방향으로 팽창시켜 경화된 시멘트를 산산조각내어 벨로우즈에서 떨어지도록 했다.
시멘트 재료의 야드당 517 파운드인 ¾ 인치 골재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 3500 psi 압축 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첨가 테스트를 실시했다.
콘크리트는 1일 오후에 생산되었고 노즐에 포장되었고 테스트 전에 하루 종일 앉아 있도록 했다.
이는 대부분의 사용 사례에서 하루가 끝날 때 적어도 한 번 노즐이 팽창되는 극단적인 경우이다. 통상적인 콘크리트 작업 중에 나타낸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압력을 모니터링했다. 압력은 노즐에서 8psi로 측정되었다. 벨로우즈의 팽창에 따라 콘크리트가 산산 조각 나고 벨로우즈로부터 떨어졌다.
드럼에서 나올 때 노즐에 부딪히는 콘크리트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다른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노즐을 콘크리트 통에 5회 밀어 넣고 하루 동안 그대로 두었다. 다음, 시스템과 결과는 동일했지만 물을 분사했다. 노즐의 내부 샤프트의 정지부재는 콘크리트가 벨로우즈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했으며 테스트가 완료되었을 때 콘크리트는 노즐로부터 완전히 떨어졌다.
모든 경우에 내부 샤프트와 외부 벨로우즈에 콘크리트가 쌓여 있는지 검사했다. 최소한만 남아있고, 대부분 경화된 콘크리트의 분진뿐이었다.

Claims (14)

  1. 노즐로서,
    샤프트 입구 및 상기 샤프트 입구로부터 이격된 샤프트 출구를 갖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노즐 부트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부트는, 노즐 부트 입구와 상기 노즐 부트 입구로부터 이격된 노즐 부트 출구, 및 상기 노즐 부트 입구와 상기 노즐 부트 출구 사이의 볼륨을 갖고, 상기 노즐 부트는, 상기 노즐 부트 입구와 상기 노즐 부트 출구 사이의 상기 볼륨 내로 수압이 도입될 때 상기 둘러싸는 지지부재의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 및 반경반향으로 팽창 가능한 벨로우즈를 포함하고, 상기 벨로우즈는 또한, 상기 노즐 부트 입구와 상기 노즐 부트 출구 사이의 상기 볼륨으로부터 수압이 철수될 때 상기 둘러싸는 지지부재의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 및 반경반향으로 접힐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는 콘크리트가 상기 노즐 부트 벨로우즈로 들어가고 충전되는 것을 막는 배리어를 제공하는 쇼울더 정지 부재를 갖는,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트 벨로우즈는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에 대해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 접힐 수 있는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트 벨로우즈는, 접힌 상태 또는 팽창된 상태에서 보다 작은 외측 직경의 영역들 및 보다 큰 외측 직경의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큰 외측 직경들은 서로 동일한 외측 직경을 갖고 또는 서로에 대해 상이한 외측 직경들을 갖는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샤프트는 상기 노즐 부트가 팽창 상태로부터 접혀진 상태로 천이함에 따라 상기 노즐 부트의 축 방향 이동을 최소화하는 쇼울더를 갖는 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노즐이 상기 수압의 도입으로부터 팽창하고 상기 수압의 철수로부터 접혀짐에 따라 상기 노즐 부트가 상기 축 위에서 앞뒤로 미끄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총알 또는 원뿔형인 일단을 갖는, 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화학적 혼합물의 소스와 연통되는 노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트는 노즐 부트를 팽창시키기 위해 수압의 소스와 연통되는 노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트 벨로우즈는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는 또한, 상기 노즐 부트가 팽창된 상태로부터 수축된 상태로 천이함에 따라 상기 노즐 부트가 축방향으로 수축하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지 부재를 제공하는 쇼울더를 갖는 노즐.
  9. 노즐 표면으로부터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노즐 부트 벨로우즈의 표면에 접착된 콘크리트를 갖는 제1항의 노즐을 제공하고, 노즐 부트 입구와 노즐 부트 출구 사이의 볼륨 내로 가압된 물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 상기 노즐 부트 벨로우즈를 지지 부재에 대해 축방향,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 및 반경반향으로 팽창하도록 하여 상기 표면에 접착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도록 하는 방법.
  10. 회전 가능한 믹서 드럼 내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평지에 대해 5° 내지 40°의 배향으로 경사진 회전축에 관해 회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안에 유체를 포함하기 위한 캐비티를 한정하기 위해 대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내측 원주 벽을 갖는 긴 타원형(oblong) 드럼 본체를 갖고, 상기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들의 하나는 상기 캐비티로부터 물질의 로딩 및 언로딩을 허용하도록 개구를 갖는 믹서 드럼;
    수압의 소스;
    상기 수압이 노즐 부트 입구와 노즐 부트 출구 사이의 볼륨 내로 도입될 때 상기 노즐 부트 벨로우즈가 팽창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압력이 노즐 부트 입구와 노즐 부트 출구 사이의 볼륨으로부터 철수될 때 상기 노즐 부트 벨로우즈가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수압의 소스에 연결되는 제1항의 노즐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 드럼이 콘크리트 믹서 드럼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화학적 혼합물의 소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샤프트 입구 및 샤프트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입구는 상기 화학적 혼합물의 소스와 유체 연통하는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7038219A 2017-05-25 2018-05-21 콘크리트 트럭에 구성성분 첨가를 위한 확장 노즐과 그의 사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518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10908P 2017-05-25 2017-05-25
US62/510,908 2017-05-25
PCT/US2018/033685 WO2018217641A1 (en) 2017-05-25 2018-05-21 Expanding nozzle for component additions in a concrete truck, and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528A KR20200051528A (ko) 2020-05-13
KR102518487B1 true KR102518487B1 (ko) 2023-04-05

Family

ID=6439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219A KR102518487B1 (ko) 2017-05-25 2018-05-21 콘크리트 트럭에 구성성분 첨가를 위한 확장 노즐과 그의 사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58166B2 (ko)
EP (1) EP3630364B1 (ko)
JP (1) JP7123077B2 (ko)
KR (1) KR102518487B1 (ko)
CN (1) CN110913993B (ko)
AU (1) AU2018273349B2 (ko)
CA (1) CA3064734A1 (ko)
MX (1) MX2019014073A (ko)
WO (1) WO2018217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0172A (zh) * 2019-03-02 2019-07-12 泉州市龙行贸易有限公司 一种利用膨胀去除混凝土块的建筑施工设备清理保养装置
CN111844446B (zh) * 2020-07-31 2021-11-05 陕西水利水电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喷射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207A (ja) * 2000-03-06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ズル装置とこれを用いた局部洗浄便座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8402A (en) * 1941-02-10 1945-01-30 Chain Belt Co Mechanism for introducing water into concrete mixers
US2655178A (en) * 1948-12-29 1953-10-13 Blaw Knox Co Valved water inlet nozzle for concrete mixers or the like
US2831620A (en) * 1954-07-19 1958-04-22 Theodore F Schlicksupp Self-sealing closure mechanism for liquids
US2828765A (en) * 1955-01-21 1958-04-01 Worthington Corp Liquid distribution device
JPS4941522B1 (ko) 1972-04-05 1974-11-09
JPS5112045B2 (ko) 1973-07-12 1976-04-15
JPS4941522Y1 (ko) * 1973-08-13 1974-11-14
US4144950A (en) 1975-12-22 1979-03-20 Teledyne Industries, Inc. Turbine bearing lubrication system
CH601644A5 (ko) * 1976-05-25 1978-07-14 Cerac Inst Sa
DE3310570A1 (de) 1983-03-23 1984-09-27 Hudelmaier, Ingrid, 7900 Ulm Transportbetonmischer
DE8609004U1 (de) * 1986-04-04 1986-08-21 Friedrich Wilh. Schwing Gmbh, 4690 Herne Transportbetonmischer mit einer in ihrem Inneren Förder- und Mischelemente aufweisenden, drehbar gelagerten und angetriebenen Mischtrommeln
CN1003426B (zh) * 1987-01-13 1989-03-01 上海建筑材料工业学院 建筑材料的混合喷射成型法
US4768710A (en) * 1987-03-02 1988-09-06 Henry Sperber Fibrous blown-in insulation having homogenous density
DE4224497A1 (de) * 1992-07-24 1994-01-27 Hilti Ag Mundstück für Auspressgeräte, die dem Abgeben von Zweikomponentenmassen dienen
AUPN296495A0 (en) 1995-05-15 1995-06-08 Boral Resources (Vic) Pty Limited Concrete mixing
DE19611304C2 (de) * 1996-03-22 1998-04-09 Verschleis Technik Dr Ing Hans Ringtrogmischer
US6611755B1 (en) 1999-12-19 2003-08-26 Trimble Navigation Ltd. Vehicle tracking, communication and fleet management system
US20020015354A1 (en) 2000-04-28 2002-02-07 Rmc Industri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monitoring sensor data in delivery vehicles
US6484079B2 (en) 2000-04-28 2002-11-19 Rmc Industri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monitoring sensor data in delivery vehicles
JP4703002B2 (ja) 2000-12-28 2011-06-15 ケイミュー株式会社 加水混合機
US6893150B2 (en) * 2002-10-08 2005-05-17 Leon A. Burch System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concrete from a flight in a concrete mixing drum
US7111761B2 (en) * 2003-07-03 2006-09-26 Masatoshi Masuda Fluid discharge pump and fluid container
US8118473B2 (en) 2004-02-13 2012-02-21 Verifi, LLC System for calculating and reporting slump in delivery vehicles
JP4467051B2 (ja) 2004-05-10 2010-05-26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洗浄パイプ構造
GB0424929D0 (en) * 2004-11-11 2004-12-15 Rapid Internat Ltd Concrete mixers
US7581557B2 (en) 2007-01-24 2009-09-01 Mcneilus Truck And Manufacturing, Inc. Non-metallic auxiliary tank system for a vehicle
US8020431B2 (en) 2007-06-19 2011-09-20 Verifi, LLC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and reporting slump in delivery vehicles
US8989905B2 (en) 2007-06-19 2015-03-24 Verifi Llc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and reporting slump in delivery vehicles
EP2563530B1 (en) 2009-12-23 2018-05-09 Nibiru Pty Ltd A cleaner
US9095991B2 (en) 2011-01-31 2015-08-04 Oztec Industries, Inc. Concrete vibrator head
US8911138B2 (en) * 2011-03-31 2014-12-16 Verifi Llc 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crete mixer
CN103857499B (zh) * 2011-10-24 2016-12-14 美国石膏公司 用于浆料分配的多腿排出靴
US20170217047A1 (en) 2014-07-24 2017-08-03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Self-Cleaning Concrete Mix Monitoring
US20180361135A1 (en) * 2016-02-19 2018-12-20 Warner Bruce Roberts Sterile or aseptic connection system
CN105817357A (zh) * 2016-04-25 2016-08-03 福州市尊品建设工程有限公司 混合均匀型混凝土喷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207A (ja) * 2000-03-06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ズル装置とこれを用いた局部洗浄便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13993B (zh) 2021-08-03
CN110913993A (zh) 2020-03-24
AU2018273349A1 (en) 2019-12-19
EP3630364B1 (en) 2023-04-05
US11358166B2 (en) 2022-06-14
JP2020521652A (ja) 2020-07-27
JP7123077B2 (ja) 2022-08-22
US20200101477A1 (en) 2020-04-02
WO2018217641A1 (en) 2018-11-29
KR20200051528A (ko) 2020-05-13
EP3630364A1 (en) 2020-04-08
EP3630364A4 (en) 2021-03-17
CA3064734A1 (en) 2018-11-29
MX2019014073A (es) 2020-02-13
AU2018273349B2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138B2 (en) 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crete mixer
US20170217047A1 (en) Self-Cleaning Concrete Mix Monitoring
KR102518487B1 (ko) 콘크리트 트럭에 구성성분 첨가를 위한 확장 노즐과 그의 사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U6233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integrity of coupling sections in high performance tubing and casing
US2661194A (en) Mixer for use in jetting apparatus
KR101785061B1 (ko) 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공법 및 이를 위한 그라우트 주입 장치
KR100989428B1 (ko)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공법
KR101151906B1 (ko) 초속경 특수 콘크리트 제조용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플랜트의 초속경 건식 모르타르 저장장치
KR100758131B1 (ko) 상, 하수도 노후관의 폴리우레아 라이닝 장치.
KR101580244B1 (ko) 믹싱타입 그라우팅장치의 주입관
JPS6023229B2 (ja) 吹付施工法
KR102394265B1 (ko) 분진저감 및 재배합용 건식숏크리트 믹싱호스 장치
SE514084C2 (sv) Anordning och metod för armering och tätning av bergvägg innefattande en expander för förankring
KR200404635Y1 (ko) 압축공기로 품어내는 숏크리트용 모르타르 노즐
KR19980076413A (ko) 연약지반 개량방법
KR20060008345A (ko) 압축공기로 품어내는 숏크리트용 모르타르 노즐 제작방법
JPH07180355A (ja) 水硬性流体物の圧送装置・圧送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吹付方法
KR20090019084A (ko) 다량의 단섬유가 함유된 고인성 내화보수모르타르의시공장치
JP2810605B2 (ja) 圧送コンクリートへの添加材の混合装置
KR200159251Y1 (ko) 지반개량재 주입용 로드
JP2954530B2 (ja) 配管切換装置
SU9721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готовлени и нанесени набрызгполимерной смеси
JP2022148618A (ja) 樹脂注入パイプ
JP6008364B2 (ja) 吹付けコンクリート製造吹付装置
CN117548017A (zh) 一种疏浚土气动混流固化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