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366B1 - 포장지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장지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66B1
KR102518366B1 KR1020200146079A KR20200146079A KR102518366B1 KR 102518366 B1 KR102518366 B1 KR 102518366B1 KR 1020200146079 A KR1020200146079 A KR 1020200146079A KR 20200146079 A KR20200146079 A KR 20200146079A KR 102518366 B1 KR102518366 B1 KR 10251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abric
unit
spray roll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599A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주)엠큐패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큐패키지 filed Critical (주)엠큐패키지
Priority to KR102020014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1Printing;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3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4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지 제조과정에서 원단의 두께 편차를 보정하여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포장지의 원단(제1급지)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원단의 일면에 기 설정된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프린팅부; 프린팅된 상기 원단의 일면을 코팅하는 코팅부; 코팅된 상기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부; 건조된 상기 원단과 합지되는 제2급지를 공급하는 제2급지공급부; 상기 원단과 상기 제2급지 사이에 도포되는 접합부재를 공급하는 접합부재공급부; 상기 원단과 상기 제2급지를 합지하여 포장지를 생성하는 합지부; 상기 포장지를 권취하는 포장지권취부; 및 건조된 상기 원단의 타면에 분체를 도포하여 상기 원단의 두께 편차를 보정하는 두께보정부를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지 제조 시스템{Packing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포장지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지 제조과정에서 원단의 두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등을 유통함에 있어서는 일정한 양으로 계량하고 이렇게 일정량으로 계량된 식품을 각각 포장한 후 유통시키게 되는데, 식품의 포장을 위해서는 포장지가 사용된다.
이러한 식품에 사용되는 포장지는 포장하는 식품의 특성에 따라 밀봉성과 방수성, 투기성, 항균성 등을 고려하여 만들어지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특히, 식품용 포장지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삼면 포장지, 지퍼가 있어 남은 내용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는 지퍼 포장지, 내용물을 넣은 후 세울 수 있는 스탠드 포장지, 내용물을 충진하고 밀봉하여 가압가열살균 또는 멸균 처리할 수 있는 레토르트 포장지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에, 식품용 포장지는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종이나 필름이 사용되고 있으며, 때로는 합지하여 제조한다.
통상적으로 식품용 등 포장지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앞면과 뒷면의 인쇄층이 한 쌍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된 포장원단을 이송하다가 앞면의 인쇄층과 뒷면의 인쇄층의 사이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된 상태에서 자세 전환을 이루게 하여 각각의 안쪽면이 서로 마주하게 하고, 서로 합지한 상태에서 외측 둘레를 실링함에 의해 완성된다. 이후, 후가공을 통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포장지를 제조할 수 있다.
종래의 포장지 제조과정에서는 포장지 원단의 프린팅이나 코팅 두께가 달라지면 롤투롤 방식으로 당겨지는 원단이 부분적으로 수축되어 열주름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포장지는 열주름에 의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1037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장지 제조과정에서 원단의 두께 편차를 보정하여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롤투롤 형태로 포장지를 제조하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의 원단(제1급지)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원단의 일면에 기 설정된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프린팅부; 프린팅된 상기 원단의 일면을 코팅하는 코팅부; 코팅된 상기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부; 건조된 상기 원단과 합지되는 제2급지를 공급하는 제2급지공급부; 상기 원단과 상기 제2급지 사이에 도포되는 접합부재를 공급하는 접합부재공급부; 상기 원단과 상기 제2급지를 합지하여 포장지를 생성하는 합지부; 상기 포장지를 권취하는 포장지권취부; 및 건조된 상기 원단의 타면에 분체를 도포하여 상기 원단의 두께 편차를 보정하는 두께보정부를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께보정부는, 분체를 저장하고, 상기 분체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를 구비하는 분체 저류조; 상기 배출구에 일부 노출되도록 상기 분체 저류조에 구비되고, 상기 분체 저류조의 분체를 표면에 묻힌 채 회전되며 상기 배출구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스프레이롤러; 상기 배출구에 일부 노출되며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와 중심축이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체 저류조의 분체를 상기 배출구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스프레이롤러; 상기 배출구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분체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안내하는 제1 외부독터블레이드; 상기 배출구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스프레이롤러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분체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안내하는 제2 외부독터블레이드; 고전압 방전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의 표면에 묻은 분체를 원단 측으로 낙하 유도하는 고압 방전선; 및 상기 분체 저류조에 저장된 분체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 측으로 양분되어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내부독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독터유닛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 사이의 구획선에서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체를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의 상부 둘레면으로 이송 안내하는 제1경사면; 상기 제 1경사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 1경사면에 대칭된 채,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 2경사면; 상기 제 1경사면의 하측에서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의 접선 방향에 나란하도록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체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 1탄성블레이드; 및 상기 제 2경사면의 하측에서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의 접선 방향에 나란하도록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체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 2탄성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 및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원단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 및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의 하측에 근접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 및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와, 상기 원단에 의해, 설정된 분체배출공간에 상기 고압 방전선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께보정부는, 상기 분체의 입도를 측정하는 입도측정부; 및 상기 입도측정부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분체를 분쇄하는 분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께보정부는, 상기 분체배출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으로 배출되는 상기 분체의 배출량 및/또는 배출형태를 감지하고, 상기 분체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분체의 배출량 및/또는 배출형태를 제어하는 분체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께보정부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의 투입방향과 상기 합지부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의 투입방향을 전환시키는 복수의 방향전환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방향전환롤러는, 상기 건조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두께보정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3 및 제4 방향전환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지 제조과정에서 원단의 두께 편차를 보정하여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보정부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보정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보정부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보정부의 단면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 제조 시스템은 롤투롤 방식으로 포장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지의 원단(제1급지)(10)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25), 상기 원단(10)의 일면에 기 설정된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프린팅부(30), 프린팅된 상기 원단(10)의 일면을 코팅하는 코팅부(40), 코팅된 상기 원단(10)을 건조하는 건조부(50), 건조된 상기 원단(10)과 합지되는 제2급지(72)를 공급하는 제2급지공급부(70), 상기 원단(10)과 상기 제2급지(72) 사이에 도포되는 접합부재(82)를 공급하는 접합부재공급부(80), 상기 원단(10)과 상기 제2급지(72)를 합지하여 포장지를 생성하는 합지부(85), 상기 포장지를 권취하는 포장지권취부(90), 및 건조된 상기 원단(10)의 타면에 분체(파우더)를 도포하여 상기 원단(10)의 두께 편차를 보정하는 두께보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지 제조 시스템은 상기 원단공급부(25) 및 상기 포장지권취부(90)를 이용하여 롤투롤 방식으로 제조시간 단축과 작업효율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연속 공정을 수행하며, 프린팅, 코팅, 건조, 두께 편차 보정, 합지 등의 각각의 공정은 개별 공정으로 실시할 수도 있음은 당해분야에서 자명하다.
상기 원단공급부(25)는 상기 포장지 원단을 제공하기 위해 롤러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단공급부(25)는 상기 포장지 원단을 지지하며 롤링하기 위한 고정축 및/또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팅부(30)는 상기 포장지 원단의 일면에 열 전사 방식으로 기 설정된 이미지를 프린팅할 수 있다.
상기 코팅부(40)는 프린팅된 상기 포장지 원단의 일면을 코팅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50)는 코팅된 상기 원단을 설정된 횟수에 따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급지공급부(70)는 건조된 상기 원단과 합지되는 제2급지(72)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급지(72)는 LLDPE필름, 알루니늄필름, CPR필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공급부(80)는 상기 원단과 상기 제2급지(72) 사이에 도포되는 접합부재(82)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접합부재(82)는 P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합부재공급부(80)는 약 350도의 온도로 가열된 PE를 상기 원단의 일면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85)는 상기 원단과 상기 제2급지(72)를 합지하여 포장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합지부(85)는 복수의 급지가 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합지부(85)는 제1급지(원단)와 제2급지(72) 또는 제3급지를 합지하여 2겹의 합지필름으로 합지할 수 있고, 제1급지(원단)와 제2급지(72) 및 제2급지(72)를 합지하여 3겹의 합지필름으로 합지할 수 있는 등 포장하는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합지할 수 있다.
상기 포장지권취부(90)는 합지된 상기 포장지를 권취하기 위해 롤러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장지권취부(90)는 상기 포장지를 지지하며 롤링하기 위한 고정축 및/또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께보정부(100)는 건조된 상기 원단의 타면에 공업용 전분가루를 포함하는 분체(파우더)를 도포하여 상기 원단의 두께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향전환롤러(62,64,66,68)는 상기 두께보정부(100)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의 투입방향과 상기 합지부(85)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의 투입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방향전환롤러(62,64,66,68)는 상기 건조부(50)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방향전환롤러(62,64)와, 상기 두께보정부(100)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3 및 제4 방향전환롤러(66,6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보정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보정부(100)는 분체(20)를 저장하고, 상기 분체(20)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114)를 구비하는 분체 저류조(110), 상기 배출구(114)에 일부 노출되도록 상기 분체 저류조(110)에 구비되고, 상기 분체 저류조(110)의 분체(20)를 표면에 묻힌 채 회전되며 상기 배출구(114)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스프레이롤러(122), 상기 배출구(114)에 일부 노출되며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중심축이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체 저류조(110)의 분체(20)를 상기 배출구(114)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스프레이롤러(124), 상기 배출구(114)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분체(20)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안내하는 제1 외부독터블레이드(142), 상기 배출구(114)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스프레이롤러(124)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분체(20)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안내하는 제2 외부독터블레이드(144), 고전압 방전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표면에 묻은 분체(20)를 원단(10) 측으로 낙하 유도하는 고압 방전선(150) 및 상기 분체 저류조(110)에 저장된 분체(20)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124) 측으로 양분되어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내부독터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체 저류조(110)는 원단(10)에 도포되는 분체(20)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분체(20)의 공급을 위해 공급개방부(112)를 상부에 형성하고, 분체(20)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114)를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분체 저류조(110)는 공급개방부(112)를 개폐하는 덮개(116)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분체 저류조(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원단(10)은 고정블록(111)을 관통되어 이송되며 배출구(114)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스프레이롤러(122)는 배출구(114)를 통해 분체 저류조(110)의 하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분체 저류조(110) 또는 고정블록(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스프레이롤러(122)는 분체 저류조(110)에 저장된 분체(20)를 표면에 묻힌 채 회전되며 배출구(114)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1 스프레이롤러(122)는 분체 저류조(110)에 저장된 분체(20)를 안정적으로 배출 안내하기 위해 표면에 제1 함몰홈(123)을 복수개 형성한다. 분체(20)는 제1 함몰홈(123) 각각에 수용된 채 배출구(114)를 통해 낙하 유도된다. 물론, 제1 함몰홈(123)의 크기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축 방향의 중심축이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마찬가지로, 배출구(114)를 통해 분체 저류조(110)의 하측으로 일부 노출되게 구비된다. 그래서,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분체 저류조(110)에 저장된 분체(20)를 배출구(114)의 하측으로 배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분체 저류조(110)에 저장된 분체(20)를 안정적으로 배출 안내하기 위해 표면에 제2 함몰홈(125)을 복수 개 형성한다. 분체(20)는 제2 함몰홈(125) 각각에 수용된 채 배출구(114)를 통해 낙하 유도된다. 물론, 제2 함몰홈(125)의 크기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동일 회전 속도로 회전되도록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이는,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가 동일한 양의 분체(20)를 원단(10)으로 배출 안내함에 따라 분체(20)가 원단(10) 전체에 걸쳐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구동부(126)에 의해 서로 구속되어 상이한 방향 및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여기서, 구동부(126)는 하나의 구동모터(127), 및 구동모터(127)를 통해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유닛(128)을 포함한다. 이때, 회전력전달유닛(128)은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 각각에 구비된 기어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분체 저류조(110) 또는 고정블록(111)은 지지외접롤러(121)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지지외접롤러(121)는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 각각에 외접된 채 회전됨으로써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회전시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외부독터블레이드(142)는 제1 스프레이롤러(122)에 인접한 배출구(114)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둘레면에 접하거나 근접 배치된다. 그래서, 제1 외부독터블레이드(142)는 분체(20)가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제1 스프레이롤러(122)는 분체(20)를 균일하게 배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1 외부독터블레이드(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외부독터블레이드(144)는 제2 스프레이롤러(124)에 인접한 배출구(114)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둘레면에 접하거나 근접 배치된다. 그래서, 제2 외부독터블레이드(144)는 분체(20)가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분체(20)를 균일하게 배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2 외부독터블레이드(1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고압 방전선(150)은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 각각의 하측에 배치되고, 분체 저류조(110) 또는 고정블록(111)에 지지된다. 그리고, 고압 방전선(150)은 고전압 전원에 연결되어 대응되는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표면으로부터 방전에 의해 분체(20)를 이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표면으로부터 이간된 분체(20)는 원단(10)에 산포된다.
특히, 원단(10)은 도포를 위해 낙하되는 분체(20)의 이동 거리를 줄여 비산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하측에 근접된 채 이동된다. 상세히,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하측 접선과 원단(10)의 거리는 약 2 ~ 3mm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0.05 ~ 1mm로 근접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 사이에는 협소한 이동통로(129)를 형성하고, 분체 저류조(110)의 분체(20)는 이동통로(129)를 통해 배출 안내된다.
이로써,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와 원단(10)에 의해, 대략 삼각 궤적 형상의 분채배출공간(130)이 형성된다. 이때, 원단(10)이 분체 저류조(110)의 배출구(114) 내측에 구비된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에 근접된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분채배출공간(130)이 좁기 때문에, 이동통로(129)를 통해 배출된 분체(20)는 비산되지 않고 바로 원단(10)에 산포된다.
아울러, 고압 방전선(150)은 분채배출공간(130)의 내측에 배치된 채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된다.
또한,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분체(20)를 이동통로(129)와 분채배출공간(130)을 통해 집중 배출 안내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도면에서 봤을 때, 제1 스프레이롤러(12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스프레이롤러(12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내부독터유닛(160)은 분체 저류조(110)에 저장된 분체(20)가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 측으로 양분되어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내부독터유닛(160)은 제1 경사면(162), 제2 경사면(164), 제1 탄성블레이드(166) 및 제2 탄성블레이드(168)를 포함한다. 이때, 내부독터유닛(160)은 본체(161)에 의해 외형을 형성한다. 물론, 본체(161)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체(161)는 양측이 분체 저류조(110)에 결속된다. 아울러, 본체(161)가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에 대해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즉, 분체 저류조(110)는 슬롯홀(165)을 하나 이상 통공한다. 그리고, 죄임볼트(163)가 슬롯홀(165)을 통해 본체(161)의 위치를 설정 후 본체(161)를 분체 저류조(110)에 결속한다. 이때, 본체(161)는 일부가 분체 저류조(110) 내측에 위치하고, 나머지가 분체 저류조(11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경사면(162)은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 사이의 구획선(126)에서 제1 스프레이롤러(12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제1 경사면(162)은 분체 저류조(110)에 저장된 분체(20)를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상부 둘레면 방향으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획선(126)은 이동통로(129)의 중심선을 의미한다.
제2 경사면(164)은 구획선(126) 상에 위치한 제1 경사면(162)의 상부에서, 제1 경사면(162)에 대칭되도록 제2 스프레이롤러(12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제2 경사면(164)은 분체 저류조(110)에 저장된 분체(20)를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상부 둘레면 방향으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탄성블레이드(166)는 제1 경사면(162)의 하측에서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접선 방향에 나란하도록 탄성적으로 연장된다. 즉, 제1 탄성블레이드(166)는 제1 경사면(162)의 하측에서 구획선(126)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자유단을 형성하여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회전시 진동이 미세하게 발생되며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표면에 묻은 분체(20)를 일부 털어낼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탄성블레이드(166)가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표면에 근접되게 배치됨으로써 제1 스프레이롤러(122)의 표면에 묻은 분체(20)의 이송량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2 탄성블레이드(168)는 제2 경사면(164)의 하측에서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접선 방향에 나란하도록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분체(20)의 이송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분체 저류조(110) 내의 분체(20)는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의 표면에 일정량 묻은 상태로 분채배출공간(130)에 배치된 고압 방전선(150)에 의해 원단(10)에 산포된다. 아울러, 제1 스프레이롤러(122)와 제2 스프레이롤러(124)가 동시에 분체(20)를 묻힌 상태로 배출구(114) 하측의 원단(10)으로 공급, 산포시킴으로써, 원단(10)의 분체(20) 산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한편, 상기 두께보정부(100)는 상기 분체(20)의 입도를 측정하는 입도측정부(170) 및 상기 입도측정부(17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분체(20)를 분쇄하는 분쇄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도측정부(170)는 비전센서,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분체(20)의 입도를 샘플링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도측정부(170)는 입도 측정결과를 기 설정된 입도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값만큼 상기 분체(20)를 분쇄하도록 상기 분쇄부(17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분쇄부(175)는 상기 입도측정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체(20)를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175)는 상기 분체 저류조(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체(20)를 수용하며, 상기 분체(20)에 에어를 분사하여 내부에서 상기 분체(20)를 순환시키고 입도별로 침전 또는 낙하되는 상기 분체(20)를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보정부(100)는 상기 분체배출공간(130)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10)을 향해 배출되는 상기 분체(20)의 배출량 및/또는 배출형태를 감지하고, 상기 분체(20)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분체(20)의 배출량 및/또는 배출형태를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분체배출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체배출제어부(180)는 상기 분체(20)의 배출량 및/또는 배출형태를 부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의 분사방향 및/또는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지 제조과정에서 원단의 두께 편차를 보정하여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원단
20: 분체
25: 원단공급부
30: 프린팅부
40: 코팅부
50: 건조부
62,64,66,68: 방향전환롤러
70: 제2급지공급부
72: 제2급지
80: 접합부재공급부
82: 접합부재
85: 합지부
90: 포장지권취부
100: 두께보정부
110: 분체 저류조
114: 배출구
122: 제1 스프레이롤러
124: 제2 스프레이롤러
126: 구동부
130: 분사 폐쇄공간
142: 제1 외부독터블레이드
144: 제2 외부독터블레이드
150: 고압 방전선
160: 내부독터유닛
161: 본체
162: 제1 경사면
164: 제2 경사면
166: 제1 탄성블레이드
168: 제2 탄성블레이드

Claims (7)

  1. 롤투롤 형태로 포장지를 제조하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의 원단(제1급지)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원단의 일면에 기 설정된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프린팅부;
    프린팅된 상기 원단의 일면을 코팅하는 코팅부;
    코팅된 상기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부;
    건조된 상기 원단과 합지되는 제2급지를 공급하는 제2급지공급부;
    상기 원단과 상기 제2급지 사이에 도포되는 접합부재를 공급하는 접합부재공급부;
    상기 원단과 상기 제2급지를 합지하여 포장지를 생성하는 합지부;
    상기 포장지를 권취하는 포장지권취부; 및
    건조된 상기 원단의 타면에 분체를 도포하여 상기 원단의 두께 편차를 보정하는 두께보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두께보정부는,
    분체를 저장하고, 상기 분체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를 구비하는 분체 저류조;
    상기 배출구에 일부 노출되도록 상기 분체 저류조에 구비되고, 상기 분체 저류조의 분체를 표면에 묻힌 채 회전되며 상기 배출구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스프레이롤러;
    상기 배출구에 일부 노출되며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와 중심축이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체 저류조의 분체를 상기 배출구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스프레이롤러;
    상기 배출구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분체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안내하는 제1 외부독터블레이드;
    상기 배출구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의 둘레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분체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안내하는 제2 외부독터블레이드;
    고전압 방전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의 표면에 묻은 분체를 원단 측으로 낙하 유도하는 고압 방전선; 및
    상기 분체 저류조에 저장된 분체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 측으로 양분되어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내부독터유닛;
    비전센서,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분체의 입도를 센싱하여 측정하고, 입도 측정결과를 기 설정된 입도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값만큼 상기 분체를 분쇄하도록 하기 분쇄부를 작동시키는 입도측정부;
    상기 입도측정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체를 분쇄하되, 상기 분체 저류조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체를 수용하며, 상기 분체에 에어를 분사하여 내부에서 상기 분체를 순환시키고 입도별로 침전 또는 낙하되는 상기 분체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분체배출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으로 배출되는 상기 분체의 배출량 및 배출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상기 분체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분체의 배출량 및 배출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분체배출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독터유닛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와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 사이의 구획선에서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체를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의 상부 둘레면으로 이송 안내하는 제1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칭된 채,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의 하측에서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의 접선 방향에 나란하도록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체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1 탄성블레이드;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하측에서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의 접선 방향에 나란하도록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체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2 탄성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 및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원단은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 및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의 하측에 근접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1 스프레이롤러 및 상기 제2 스프레이롤러와, 상기 원단에 의해, 설정된 분체배출공간에 상기 고압 방전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보정부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의 투입방향과 상기 합지부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의 투입방향을 전환시키는 복수의 방향전환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방향전환롤러는,
    상기 건조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두께보정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3 및 제4 방향전환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제조 시스템.
KR1020200146079A 2020-11-04 2020-11-04 포장지 제조 시스템 KR10251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79A KR102518366B1 (ko) 2020-11-04 2020-11-04 포장지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79A KR102518366B1 (ko) 2020-11-04 2020-11-04 포장지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599A KR20220060599A (ko) 2022-05-12
KR102518366B1 true KR102518366B1 (ko) 2023-04-06

Family

ID=8159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79A KR102518366B1 (ko) 2020-11-04 2020-11-04 포장지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3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06B1 (ko) * 2010-06-07 2011-02-10 (주)씨엘팜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36172B1 (ko) * 2018-10-23 2019-01-08 보라전기공업 주식회사 분체의 스프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509B1 (ko) * 2005-03-11 2006-08-03 김태자 화학물질 탱크용 강판의 고분자수지 코팅방법
KR20100013907A (ko) * 2008-08-01 2010-02-10 유화산업주식회사 포장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10373B1 (ko) 2019-03-22 2020-05-14 노윤호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06B1 (ko) * 2010-06-07 2011-02-10 (주)씨엘팜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36172B1 (ko) * 2018-10-23 2019-01-08 보라전기공업 주식회사 분체의 스프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599A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4863C (en) Device for forming sleeve-like foil envelopes from a continuous flat strip of foil material
CN104520200A (zh) 用于阀的闸板和用于控制空气流的相应的阀及其相关的阀
CN103803174A (zh) 收缩包装以及用于制造收缩包装的设备和方法
JPH09104411A (ja) 材料ウェブ巻体を包装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518366B1 (ko) 포장지 제조 시스템
KR20010110760A (ko) 웨브재의 롤을 접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22524854A (ja) シガレット産業の製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および、このパッケージの製造のための方法
WO20182368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WATER SOLUBLE SACHETS
JP2008050041A (ja) 熱収縮性フィルムによる熱収縮包装方法及び熱収縮性フィルムの加熱装置、並びに熱収縮包装装置
US20230115847A1 (en) Method for packaging products and packaging installation
KR101867782B1 (ko) 종이 코팅 장치
KR102076142B1 (ko) 물티슈 제조시스템
US99881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package for a group of smokable articles
CN107856969B (zh) 用于制造袋包装的装置和方法
FI105330B (fi) Laitteisto kappaleen käärinnän yhteydessä
JPH05262320A (ja) 編集グラフィック製品の包装機械において包装紙等を接着剤でシールする装置
JP6539137B2 (ja) 包装体と包装方法および包装装置
US5858167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tear-open strip with a film web
JP7380173B2 (ja) 印刷装置
JP2019536706A (ja) 片側が開口している包装体に長形ノズルスロットを介して充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充填機
KR20230075092A (ko)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JP2022550368A (ja) ピロー包装機における3重センターシーリング装置
US3605573A (en) Tub mandrel
JP6315459B2 (ja) 食材処理装置および食材包装装置
KR200458629Y1 (ko)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