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142B1 - 물티슈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물티슈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142B1
KR102076142B1 KR1020190093534A KR20190093534A KR102076142B1 KR 102076142 B1 KR102076142 B1 KR 102076142B1 KR 1020190093534 A KR1020190093534 A KR 1020190093534A KR 20190093534 A KR20190093534 A KR 20190093534A KR 102076142 B1 KR102076142 B1 KR 10207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t tissue
water
wid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김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진 filed Critical 김병진
Priority to KR102019009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티슈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권취된 물티슈 원단을 롤링하면서 풀어지는 연장된 물티슈 원단을 일측방향으로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 권취된 포장지 필름을 롤링하면서 풀어지는 연장된 포장지 필름을 일측방향으로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 상기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티슈 원단을 폭방향으로 절첩시키면서,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을 조절하는 원단 폭 조절부; 상기 원단 폭 조절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폭이 조절된 상기 물티슈 원단에 물을 공급하되, 상기 물의 분사범위를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범위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물이 함유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절단하는 원단 절단부; 상기 원단 절단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절단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절첩시키면서, 상기 물티슈 원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원단 길이 조절부; 및 상기 원단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필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지 필름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공급되는 길이가 조절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원단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티슈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 공급부를 통해 물티슈 원단에 공급되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필름 공급부를 통해 포장지 필름에 인쇄된 인쇄물의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티슈 제조시스템{WET TISSUE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물티슈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회용 물티슈를 낱개로 포장할 수 있는 물티슈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티슈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분 또는 유분이 함유된 티슈로서,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포장지에 포장된다. 이때, 물티슈는 각각 하나의 단위로 포장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밀봉 제작되거나, 일부가 개방되도록 제조된 포장지에 삽입 후 밀봉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물티슈는 포장지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포장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기 전 까지 수분 또는 유분이 지속적으로 함유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포장용지를 이용해 물티슈 포장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포장 시스템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포장지 원단을 롤 이동시키고, 롤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각 공정을 지나 포장지로 제조된다. 이러한, 물티슈 제조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300834호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물티슈 제조장치는 롤상태로 권취된 롤원단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물티슈 원단에 물을 분사하고, 물이 적셔진 물티슈 원단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원기둥 형상의 롤타입으로 둥글게 감아 굴려 롤타입 물티슈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티슈 제조장치는 물분사부를 통해 물티슈 원단에 물을 공급하는데, 이때 공급되는 물의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물티슈 원단의 폭에 따라 적셔지는 물의 분포범위가 상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물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분사범위가 물티슈 원단의 폭보다 넓을 경우, 물티슈 원단 전체에 물이 분포하나 물티슈 원단으로부터 벗어나는 물의 일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물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분사범위가 물티슈 원단의 폭보다 좁을 경우, 물티슈 원단 일부에만 물이 분포하기 때문에 물티슈로써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물티슈 제조장치는 물티슈 원단에 존재하는 물의 함유량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물이 함유된 물티슈 원단의 이동과정 중, 과잉 함유된 물이 물티슈 원단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떨어져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때 떨어진 물에 의한 주변의 오염(녹이나 물때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물이 함유된 물티슈 원단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필름 겉면에 잉크를 분사하여 물티슈의 유통기한이나 제조날짜 등(이하, '인쇄물' 이라 함)을 인쇄한다. 이러한, 포장필름은 롤러에 의해 이송되면서 물티슈를 감싸는 형태로 포장하게 되는데, 포장필름의 겉면에 인쇄된 인쇄물이 롤러와 맞닿으면서 번짐에 따라 이의 식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0834호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의 분사범위를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조절하여, 물티슈 원단 전체에 물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물티슈 원단으로부터 벗어나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티슈 포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물이 함유된 물티슈 원단을 압착하거나, 이에 진동 가하여 물티슈 원단에 함유된 물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물티슈 포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물티슈 원단의 포장을 위한 포장필름에 인쇄되는 인쇄물이 롤러의 외주면에 맞닿지 않도록, 포장필름을 이송하는 롤러의 일부분 즉, 인쇄물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여, 인쇄물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는 물티슈 포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제조시스템은 권취된 물티슈 원단을 롤링하면서 풀어지는 연장된 물티슈 원단을 일측방향으로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 권취된 포장지 필름을 롤링하면서 풀어지는 연장된 포장지 필름을 일측방향으로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 상기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티슈 원단을 폭방향으로 절첩시키면서,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을 조절하는 원단 폭 조절부; 상기 원단 폭 조절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폭이 조절된 상기 물티슈 원단에 물을 공급하되, 상기 물의 분사범위를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범위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물이 함유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절단하는 원단 절단부; 상기 원단 절단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절단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절첩시키면서, 상기 물티슈 원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원단 길이 조절부; 및 상기 원단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필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지 필름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공급되는 길이가 조절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원단 포장부;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물 공급부는 함체 형태를 이루되, 하부에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일정간격만큼 개방된 배출구를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물공급노즐이 마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출구가 갖는 간격을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조절가능한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배출구의 간격이 이루는 양측으로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 양측면으로부터 하부면에 이르기까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수용홈;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을 이루는 내부 양측면에 제각기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홈 형태의 가이드레일; 및 플랙시블한 재질로 바 형상을 이루고, 폭방향 양측 테두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제각기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물공급로가 이루는 간격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제각기 이동시키면서 상기 배출구의 개방된 일부분을 점차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좁혀지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측부로 제각기 이동시키면서 상기 배출구의 차단된 일부분을 점차적으로 개방함에 따라 넓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평평한 바 형상을 이루고,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제각기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인접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할 수 있다.
전술한,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조절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의 분사범위를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게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제조시스템은 상기 물 공급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물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물을 함유하는 상기 물티슈 원단의 물 함유량을 조절하는 원단 탈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원단 탈수부는 물이 함유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압착하는 탈수롤러; 및 상기 탈수롤러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물티슈 원단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물티슈 원단에 맺힌 물방울을 상기 물티슈 원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진동발생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필름 공급부는 연장되는 상기 포장지 필름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각기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필름 가이드롤러; 및 상기 필름 가이드롤러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필름 가이드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포장지 필름의 일측면에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물을 인쇄하는 잉크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필름 가이드롤러는 외주연 일부분에 상기 포장지 필름에 인쇄된 상기 인쇄물이 접촉되면서 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쇄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주연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접촉방지홈;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필름 가이드롤러는 다각형의 막대 형상을 이루고, 일단이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판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의 중공을 갖는 링 형상을 이루고, 상기 샤프트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롤러부재;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에 구비된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판; 및 상기 롤러부재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제각기 내재되고, 다수의 상기 롤러부재 중 일부가 상기 샤프트의 걸림판이나 상기 마감판의 일측면에 부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롤러부재와 다른 상기 롤러부재가 서로 부착되도록 자력을 갖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연속되는 상기 롤러부재들이 이루는 전체 길이는 상기 샤프트의 걸림판으로부터 상기 마감판까지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기 접촉방지홈은 상기 롤러부재가 배치된 상태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걸림판과 상기 마감판 사이에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제조시스템은 간격조절수단을 통해 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의 간격을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조절하여 물티슈 원단 전체에 물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이드부재를 통해 물의 분사범위를 제한함에 따라 물티슈 원단의 폭방향 양측으로 물이 벗어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원단 탈수부를 통해 물티슈 원단을 탈수하여 이의 물티슈 원단에 과잉 함유된 물을 물티슈 원단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물티슈 원단에 맺힌 물방울을 제거하여 낙하되는 물방울에 의한 주변의 오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필름 가이드롤러에 접촉방지홈을 마련하여 포장지 필름에 인쇄된 인쇄물과 필름 가이드롤러와의 접촉을 방지함에 따라 필름 가이드롤러와의 접촉에 따른 인쇄물의 번짐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포장지 필름에 인쇄물을 온전히 인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제조시스템의 전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물 공급부와 원단 탈수부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물 공급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 상태로, 간격조절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물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 상태로, 간격조절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원단 길이 조절부 및 필름 공급부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필름 가이드롤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필름 가이드롤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제조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 공급부(110), 필름 공급부(120), 원단 폭 조절부(140), 물 공급부(130), 원단 절단부(150), 원단 길이 조절부(160) 및 원단 포장부(170)를 포함한다.
원단 공급부(110)는 물티슈 원단(F)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다수개의 원단 가이드롤러(1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단 가이드롤러(111)는 작업대(T)의 설정된 위치에 제각기 설치되되, 별도로 마련되는 회전모터(미도시)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 그대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개의 원단 가이드롤러(111)가 설치되는 위치는 물티슈 원단(F)을 후술할 원단 포장부(170)에 이르기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원단 공급부(110)는 권취된 물티슈 원단(F)을 롤링하면서 풀어지는 연장된 물티슈 원단(F)은 물론, 후술할 원단 절단부(150)를 통해 절단된 물티슈 원단(F)이나 후술할 원단 길이 조절부(160)를 통해 길이가 조절된 물티슈 원단(F)이 일측방향 즉, 원단 포장부(170)가 마련된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원단 공급부(110)는 벨트(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113)는 물티슈 원단(F)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한 원단 공급부(110)를 이루는 다수개의 롤러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롤러들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113)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113)는 후술할 원단 절단부(150)에 의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각각의 물티슈 원단(F)이나, 후술할 원단 길이 조절부(160)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첩된 각각의 물티슈 원단(F)을 지지하는 상태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원단 폭 조절부(140)는 물티슈 원단(F)의 폭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평평한 판재 형태를 이루되,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원단 폭 조절부(140)는 전술한 작업대(T)의 일측에 설치되되, 권취된 물티슈 원단(F)과 후술할 물 공급부(13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원단 폭 조절부(140)는 원단 공급부(110)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지 원단의 일부분을 안내하여, 안내된 일부분을 기준으로 소정의 폭으로 절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원단 폭 조절부(140)는 포장지 원단의 폭 조절을 위하여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권취된 물티슈 원단(F)으로부터 풀려지는 물티슈 원단(F)의 폭방향 양측 일부분을 안내하여 폭방향으로 절첩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절첩된 물티슈 원단(F)의 중앙 일부분을 안내하여 다시 폭방향으로 절첩시킬 수도 있다.
물 공급부(130)는 폭이 조절된 물티슈 원단(F)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1) 및 간격조절수단(133)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 공급부(130)는 작업대(T)의 일측에 설치되되, 전술한 원단 폭 조절부(140)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물 공급부(130)는 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정화된 물이 수용된 별도의 물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정화된 물을 배출하면서 물티슈 원단(F)에 공급할 수 있다.
하우징(131)은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함체 형태를 이루되, 하부에 내측으로 함몰형성되고, 일정간격만큼 개방된 배출구(131c)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우징(131)은 내측 상부에 후술할 물공급노즐(13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31a)이 형성될 수 있고, 이의 하부에 수용공간(131a)과 연통되는 전술한 배출구(13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31a)과 배출구(131c) 사이에 배출구(131c)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의 관통홀(131d)이 형성된 격벽(131b)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1)은 물공급노즐(132)이 마련될 수 있다.
물공급노즐(132)은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하우징(131)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일단이 전술한 물탱크나 펌프 등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131)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관통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31)의 수용공간(131a)으로부터 배출구(131c)에 이르기까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물공급노즐(132)을 통해 하우징(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격벽(131b)에 의해 하우징(131)의 수용공간(131a) 내에 가득찬 상태로 수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 그대로 격벽(131b)의 관통홀(131d)을 지나 배출구(131c)를 통해 하우징(13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하우징(131)은 배출구(131c)가 이루는 간격 이상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간격조절수단(133)은 전술한 하우징(13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분사범위를 제한하는 구성으로, 수용홈(133a), 가이드레일(133b) 및 슬라이딩부재(133c)를 포함한다.
수용홈(133a)은 후술할 슬라이딩부재(133c)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배출구(131c)의 간격이 이루는 양측으로 인접하는 하우징(131)의 양측면으로부터 하부면에 이르가까지 내측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33b)은 후술할 슬라이딩부재(133c)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수용홈(133a)을 이루는 내부 양측면에 제각기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33b)은 하우징(131)의 측면으로부터 하부면에 이르기까지 수용홈(133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33c)는 전술한 하우징(131)의 배출구(131c)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고무 등의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가변가능한 형태의 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33c)는 길이방향 양측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133c)는 한 쌍을 이루어 폭방향 양측 테두리가 전술한 가이드레일(133b)에 제각기 끼워져 수용홈(133a) 내에 구비된 상태로, 가이드레일(13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을 이루는 슬라이딩부재(133c)는 가이드레일(13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각기 이동되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31c)를 개방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31c)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31)의 배출구(131c)가 이루는 간격은 슬라이딩부재(133c)를 하우징(131)의 하부로 제각기 이동시키면서 배출구(131c)의 개방된 일부분을 점차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좁혀질 수 있고, 슬라이딩부재(133c)를 하우징(131)의 측부로 제각기 이동시키면서 배출구(131c)의 차단된 일부분을 점차적으로 개방함에 따라 넓혀질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재(133c)를 통해 하우징(131)의 배출구(131c)가 이루는 간격(D)을 포장지 원단이 이루는 폭에 대응하는 간격(D)으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추후 배출구(131c)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분사범위가 포장지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분사범위를 갖도록 함에 따라 포장지 원단 전체에 고르게 물이 분포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사되는 물의 일부가 포장지 원단의 폭방향 외측으로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간격조절수단(1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3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3d)는 전술한 하우징(131)의 배출구(131c)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분사범위를 제한하는 구성으로,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평평한 판재 형태의 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33d)는 한 쌍을 이루어 전술한 슬라이딩부재(133c)에 제각기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부재(133d)는 일단이 하우징(131)의 하부면에 인접하는 슬라이딩부재(133c)의 일단에 고정되고, 슬라이딩부재(133c)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우징(13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재(133d)는 일단에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전술한 슬라이딩부재(133c)의 손잡이가 끼워진 상태에서 접착체를 이용한 접합을 통해 슬라이딩부재(133c)와 일체를 이루거나 볼팅이나 다른 결합방법을 통해 슬라이딩부재(133c)와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여기서, 한 쌍을 이루는 가이드부재(133d)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슬라이딩부재(133c)에 의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고, 슬라이딩부재(133c)와 함께 이동되면서 도 6의 (a)에서 (b)에 이르기까지의 간격(D)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을 이루는 가이드부재(133d) 사이의 간격을 포장지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D)으로 조절하여, 추후 배출구(131c)를 통해 분사된 물의 분사범위가 포장지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분사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33d)는 내측면이 포장지 원단의 외측면에 맞닿게 접촉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배출구(131c)를 통해 배출된 물이 포장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여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이탈되는 물을 포장지 원단의 내측으로 안내함에 따라 물의 낭비를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원단 절단부(150)는 전술한 물 공급부(130)를 통해 물이 함유된 원단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구성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원단 절단롤러(151)로 이루질 수 있고, 이의 원단 절단롤러(151)들 외측에 길이방향 즉,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절단날이 제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원단 절단롤러(151)는 작업대(T)의 일측에 설치되되, 물 공급부(130)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되는 회전모터(미도시)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배치된 상태 그대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원단 절단부(150)는 한 쌍의 원단 절단롤러(151)가 서로 동일한 방향이나 제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 쌍의 원단 절단롤러(151)에 형성된 절단날들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면서, 이들 사이를 지나는 물이 함유된 물티슈 원단(F)을 일정길이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후, 절단된 물티슈 원단(F)은 낙하되어 하부에 마련된 전술한 원단 공급부(110)의 일부 구성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113)에 의해 후술할 원단 길이 조절부(160)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원단 길이 조절부(160)는 전술한 원단 절단부(150)를 통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물티슈 원단(F)을 소정의 길이로 절첩시키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물티슈 원단(F)의 길이방향 일부분을 가압하는 곡선진 판재 형태의 가압부재(161), 가압부재(161)를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시키는 회전모터(미도시) 및 가압부재(161)를 회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하는 연결축(16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단 길이 조절부(160)는 작업대(T)의 일측에 설치되되, 원단 절단부(15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원단 길이 조절부(160)는 회전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가압부재(161)의 일측 단부가 절단된 상태로 공급되는 물티슈 원단(F)의 길이방향 일부분을 가압하여 절첩시킬 수 있다. 즉, 원단 길이 조절부(160)는 절단된 물티슈 원단(F)을 길이방향으로 절첩시켜 물티슈 원단(F)이 이루는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후, 길이가 조절된 물티슈 원단(F)은 가압부재(16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의 전방에 마련된 전술한 원단 공급부(110)의 일부 구성 예컨대, 다른 컨베이어 벨트(113)에 의해 후술할 원단 포장부(170)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필름 공급부(120)는 포장지 원단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필름 가이드롤러(12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 공급부(120)를 이루는 다수개의 롤러는 작업대(T)의 설정된 위치에 제각기 설치되되, 별도로 마련되는 회전모터(미도시)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 그대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개의 롤러가 설치되는 위치는 포장지 필름(P)을 후술할 원단 포장부(170)에 이르기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 공급부(120)는 권취된 포장지 원단을 롤링하면서 풀어지는 연장된 포장지 필름(P)이 일측방향 즉, 원단 포장부(170)가 마련된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필름 공급부(120)는 전술한 필름 가이드롤러(121) 및 잉크분사노즐(123)을 포함한다.
필름 가이드롤러(121)는 접촉방지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접촉방지홈(122)은 후술할 잉크분사노즐(123)을 통해 포장지 필름(P)의 일측면에 인쇄되는 인쇄물이 필름 가이드롤러(121)의 외주연 일부분에 접촉되면서 번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필름 가이드롤러(121)의 외주연 일부분 즉, 포장지 필름(P)에 인쇄된 인쇄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주연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필름 가이드롤러(121)는 전술한 접촉방지홈(122)의 위치를 포장지 필름(P)에 인쇄되는 인쇄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변시키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21a), 롤러부재(121b), 마감판(121c) 및 고정수단(121d)을 포함한다.
샤프트(121a)는 외측으로 구비되는 롤러부재(121b)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다각형의 막대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일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판(121e)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판(121e)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할 고정수단(121d)을 이루는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샤프트(121a)는 걸림판(121e)에 인접하는 일단이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롤러부재(121b)는 전술한 샤프트(121a)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이에 지지되는 포장지 필름(P)을 후술할 원단 포장부(170)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전술한 샤프트(121a)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의 중공을 갖는 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롤러부재(121b)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샤프트(121a)가 내삽되도록 끼워진 상태로, 제각기 샤프트(1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부재(121b)는 다수개의 연속되는 전체 길이가 샤프트(121a)의 걸림판(121e)으로부터 타단에 이르기까지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이루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필름 가이드롤러(121)의 일측에 전술한 접촉방지홈(122)을 마련하기 위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마감판(121c)은 전술한 샤프트(121a)에 구비된 롤러부재(121b)들이 샤프트(12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샤프트(121a)가 이루는 넓이보다 큰 원형이나 다각형의 판재 형상을 이루고, 이의 일측면에 샤프트(121a)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마감판(121c)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할 고정수단(121d)을 이루는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마감판(121c)은 샤프트(121a)의 타단에 장착된 상태로, 샤프트(121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구비된 롤러부재(121b)가 샤프트(121a)로부터 이탈되는 이동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고정수단(121d)은 전술한 롤러부재(121b)를 샤프트(121a)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력을 갖는 자성체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고정수단(121d)은 끼움구조(미도시)나 걸림구조(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121d)을 이루는 자성체는 롤러부재(121b)의 양측면 내측에 끼움방식이나 접합방식 등을 통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 가이드롤러(121)는 다수개의 롤러부재(121b)가 샤프트(121a)에 구비되고, 샤프트(121a)에 마감판(121c)이 장착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접촉방지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연속되는 롤러부재(121b)들이 갖는 전체길이가 샤프트(121a)의 걸림판(121e)으로부터 마감판(121c)까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의 길이차이로 인한 나머지 공간만큼의 폭으로 필름 가이드롤러(121)의 일측에 전술한 접촉방지홈(122)이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필름 가이드롤러(121)에 마련되는 접촉방지홈(122)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데, 이의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일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롤러부재(121b)들 중, 하나의 롤러부재(121b)를 걸림판(121e)에 접촉시켜 고정하고, 나머지 다른 롤러부재(121b)들을 마감판(121c)에 연속되게 고정함에 따라 롤러부재(121b)와 다른 연속되는 롤러부재(121b)들 사이에 접촉방지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접촉방지홈(122)은 걸림판(121e)과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롤러부재(121b)들 중, 일부 롤러부재(121b)들을 걸림판(121e)에 연속되게 접촉시켜 고정하고, 나머지 다른 롤러부재(121b)들을 마감판(121c)에 연속되게 고정함에 따라 연속되는 롤러부재(121b)들과 다른 연속되는 롤러부재(121b)들 사이에 접촉방지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접촉방지홈(122)은 걸림판(121e)과 마감판(121c) 사이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롤러부재(121b)들 중, 하나의 롤러부재(121b)를 마감판(121c)에 접촉시켜 고정하고, 나머지 다른 롤러부재(121b)들을 걸림판(121e)에 연속되게 고정함에 따라 롤러부재(121b)와 다른 연속되는 롤러부재(121b)들 사이에 접촉방지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접촉방지홈(122)은 마감판(121c)과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다수개의 롤러부재(121b)들을 마감판(121c)에 연속되게 접촉시켜 고정함에 따라 연속되는 롤러부재(121b)들과 마감판(121c) 사이에 접촉방지홈(122)이 마련될 수 있고, 다수개의 롤러부재(121b)들을 걸림판(121e)에 연속되게 접촉시켜 고정함에 따라 연속되는 롤러부재(121b)들과 걸림판(121e) 사이에 접촉방지홈(122)이 마련될 수도 있다.
잉크분사노즐(123)은 포장지 필름(P)의 일측면에 인쇄물을 인쇄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잉크가 수용된 별도의 탱크(미도시)로부터 잉크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잉크를 배출하면서 포장지 필름(P)에 제조날짜나 유통기한 등의 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다.
원단 포장부(170)는 포장지 필름(P)을 이용하여 물티슈 원단(F)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구성으로, 제1 필름 접합롤러(171) 및 제2 필름 접합롤러(173)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단 포장부(170)는 작업대(T)의 일측에 설치되되, 전술한 원단 길이 조절부(160)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필름 접합롤러(171)는 전술한 구성들을 통해 길이가 조절된 포장지 원단을 포장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름 접합롤러(171)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안내부재(141)를 통해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절첩된 포장지 필름(P)의 양측이 별도의 열발생기에 의해 가열된 롤러를 통해 서로 접합되도록 열융착시키는 일반적인 구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필름 접합롤러(173)는 전술한 구성들을 통해 길이가 조절된 포장지 원단을 포장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의 롤러들 중 하나의 외측에 길이방향 즉,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절단날이 제각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름 접합롤러(173)는 절단날을 통해 전술한 제1 필름 접합롤러(171)를 거친 포장지 필름(P)을 일정간격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포장지 필름(P)의 양측이 별도의 열발생기에 의해 가열된 롤러나 절단날을 통해 제각기 접합되도록 열융착시키는 일반적인 구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원단 포장부(170)는 전술한 구성들을 통해 권취된 물티슈 원단(F)으로부터 분리되어 폭과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물이 함유된 물티슈 원단(F)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제조 시스템은 원단 탈수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단 탈수부(180)는 물티슈 원단(F)에 함유된 물의 함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롤러(181) 및 진동발생기(183)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단 탈수부(180)는 작업대(T)의 일측에 설치되되, 전술한 원단 폭 조절부(140)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전술한 원단 길이 조절부(160)의 전방에 추가적으로 배치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탈수롤러(181)는 물이 함유된 물티슈 원단(F)을 압착하는 구성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롤러는 작업대(T)의 일측에 설치되되, 전술한 물 공급부(130)와 원단 절단부(15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별도로 마련되는 회전모터(미도시)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배치된 상태 그대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탈수롤러(181)는 한 쌍의 롤러가 일방향 또는 제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들 사이를 지나는 물이 함유된 물티슈 원단(F)을 압착하여 물티슈 원단(F)에 함유된 물의 일부를 물티슈 원단(F)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진동발생기(183)는 물티슈 원단(F)에 맺힌 물방울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신축가능한 로드가 마련된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진동발생기(183)는 작업대(T)의 일측에 설치되되, 전술한 탈수롤러(181)의 전방에 배치되고, 신축되는 로드가 물티슈 원단(F)을 향해 신축가능하게 배치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발생기(183)는 신축되는 로드가 물티슈 원단(F)을 두드리면서 물티슈 원단(F)에 맺힌 물방울이 물티슈 원단(F)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물 공급부(130)가 배치되는 하부에는 하우징(131)이나, 물티슈 원단(F)으로부터 분리되는 물이 수용될 수 있는 물받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제조시스템(100)은 물티슈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 공급부(130)를 통해 물티슈 원단(F)에 공급되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필름 공급부(120)를 통해 포장지 필름(P)에 인쇄된 인쇄물의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물티슈 제조시스템 110 : 원단 공급부
120 : 필름 공급부 121 : 필름 가이드롤러
121a : 샤프트 121b : 롤러부재
121c : 마감판 121d : 고정수단
121e : 걸림판 122 : 접촉방지홈
123 : 잉크분사노즐 130 : 물 공급부
131 : 하우징 131a : 수용공간
131b : 격벽 131c : 배출구
131d : 관통홀 132 : 물공급노즐
133 : 간격조절수단 133a : 수용홈
133b : 가이드레일 133c : 슬라이딩부재
133d : 가이드부재 140 : 원단 폭 조절부
150 : 원단 절단부 160 : 원단 길이 조절부
170 : 원단 포장부 180 : 원단 탈수부

Claims (4)

  1. 권취된 물티슈 원단을 롤링하면서 풀어지는 연장된 물티슈 원단을 일측방향으로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
    권취된 포장지 필름을 롤링하면서 풀어지는 연장된 포장지 필름을 일측방향으로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
    상기 원단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티슈 원단을 폭방향으로 절첩시키면서,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을 조절하는 원단 폭 조절부;
    상기 원단 폭 조절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폭이 조절된 상기 물티슈 원단에 물을 공급하되, 상기 물의 분사범위를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범위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물이 함유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절단하는 원단 절단부;
    상기 원단 절단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절단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절첩시키면서, 상기 물티슈 원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원단 길이 조절부; 및
    상기 원단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필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지 필름을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공급되는 길이가 조절된 상기 물티슈 원단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원단 포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 공급부는,
    함체 형태를 이루되, 하부에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일정간격만큼 개방된 배출구를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물공급노즐이 마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출구가 갖는 간격을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조절가능한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배출구의 간격이 이루는 양측으로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 양측면으로부터 하부면에 이르기까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수용홈;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을 이루는 내부 양측면에 제각기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홈 형태의 가이드레일; 및
    플랙시블한 재질로 바 형상을 이루고, 폭방향 양측 테두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제각기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평평한 바 형상을 이루고,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제각기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인접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조절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의 분사범위를 상기 물티슈 원단의 폭에 대응하게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제조시스템.
KR1020190093534A 2019-07-31 2019-07-31 물티슈 제조시스템 KR10207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34A KR102076142B1 (ko) 2019-07-31 2019-07-31 물티슈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34A KR102076142B1 (ko) 2019-07-31 2019-07-31 물티슈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142B1 true KR102076142B1 (ko) 2020-02-11

Family

ID=6956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534A KR102076142B1 (ko) 2019-07-31 2019-07-31 물티슈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949B1 (ko) * 2021-02-17 2021-04-13 양칠식 물티슈 제조 장치
KR102292939B1 (ko) * 2021-03-02 2021-08-23 양칠식 물티슈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071Y1 (ko) * 2006-09-27 2006-12-07 대한민국 균일 물공급 장치
KR100797310B1 (ko) * 2006-08-10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조정용액 분사 노즐장치
KR101300834B1 (ko) 2010-09-13 2013-08-29 김형민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JP2015202396A (ja) * 2014-04-11 2015-11-16 株式会社 紅玉 ウェットティッシュ供給装置
KR101792531B1 (ko) * 2017-08-07 2017-11-02 김광호 물티슈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310B1 (ko) * 2006-08-10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조정용액 분사 노즐장치
KR200433071Y1 (ko) * 2006-09-27 2006-12-07 대한민국 균일 물공급 장치
KR101300834B1 (ko) 2010-09-13 2013-08-29 김형민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JP2015202396A (ja) * 2014-04-11 2015-11-16 株式会社 紅玉 ウェットティッシュ供給装置
KR101792531B1 (ko) * 2017-08-07 2017-11-02 김광호 물티슈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949B1 (ko) * 2021-02-17 2021-04-13 양칠식 물티슈 제조 장치
KR102292939B1 (ko) * 2021-03-02 2021-08-23 양칠식 물티슈 제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142B1 (ko) 물티슈 제조시스템
US6635111B1 (en) Contactless guide system for continuous web
AU2002212919A1 (en) Adhesive dispenser in a reel-up in a paper machine
JPS5959264A (ja) 高速走行する帯状体のための横膠付け装置
KR20010110760A (ko) 웨브재의 롤을 접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5987777A (en) Dry end
KR960043743A (ko) 종이 웨브를 감기 위한 권선 장치 및 권선 장치의 릴을 교환하기 위한 방법
DE2335179C3 (de) Einrichtung zum Tränken einer durchlaufenden Materialbahn
KR102352949B1 (ko) 적어도 2종류의 액체를 기재의 각각의 타겟 에어리어 상에 도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EP3398889B1 (en) Gluing group for a rewinding machine for applying glue to an end edge of a log, rewinding machine bearing such group and related gluing method
KR102035978B1 (ko) 합성수지 필름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방법
JP2004527674A (ja) ブレード交換装置及び方法
ES2968350T3 (es) Un aparato para fabricar rollos que incluye un dispositivo de envoltura
CA2531804A1 (en) Apparatus for feeding inner wrapper for wrapping cigarette bundles
US99881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package for a group of smokable articles
JP2010089084A (ja) 巻き取り紙上に液体物質を塗るための装置
ITBO20070525A1 (it) Metodo ed apparato per la formazione estemporanea di piccole bobine di panno preimpregnato di liquidi per la pulitura dei cilindri delle macchine da stampa.
ITBO20000035A1 (it) Unita' di gommatura .
JP2002017601A (ja) おしぼり製造装置
ITMI20010764A1 (it) Apparecchiatura per applicare colla ad un'anima da inserire in un riavvolgitore per avvolgere log
KR101790440B1 (ko) 물티슈 제조장치
CA11721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impregnated fabric wipes
EP2709474B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filter material for tobacco products
EP1886589B1 (en) A device for the treatment of filter material used in tobacco products
KR101390481B1 (ko) 포장필름용 파우더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