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29Y1 -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29Y1
KR200458629Y1 KR2020090010653U KR20090010653U KR200458629Y1 KR 200458629 Y1 KR200458629 Y1 KR 200458629Y1 KR 2020090010653 U KR2020090010653 U KR 2020090010653U KR 20090010653 U KR20090010653 U KR 20090010653U KR 200458629 Y1 KR200458629 Y1 KR 200458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wrapping paper
paper
cut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811U (ko
Inventor
송영일
Original Assignee
송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기 filed Critical 송영기
Priority to KR2020090010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2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65B61/18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by applying tear-strips or tear-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 B65B11/08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 B65B11/1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to fold the wrappers in channel form about contents and then to close the ends of the channel by folding and finally the mouth of the channel by folding or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포장대상이 적재되는 포장테이블과; 상기 포장테이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테이블로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공급부와; 상기 포장테이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테이블로 절취포장지를 공급하는 절취포장지공급부와; 상기 포장지공급부와 상기 절취포장지공급부의 공급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물품포장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대상의 포장길이에 맞게 상기 포장지와 상기 절취포장지를 함께 절취하는 포장지절취부와; 상기 포장지절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호 겹쳐진 포장지를 열에 의해 융착하여 포장지를 밀봉하는 포장지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빠른 시간에 간편하게 포장대상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포장장치, 오버랩포장기계

Description

포장장치{WRAPPING APPARATUS}
본 고안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형의 크기로 빠르고 간편하게 제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장장치는 포장지로 제품의 외면을 감싸는 장치이다. 포장을 통해 제품은 습기, 먼지, 벌레 등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장치는 대형으로 구비되어 제품의 생산단계에서 제품의 생산업체에서 제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생산단계에서 포장이 되어 있지 않은 제품들의 경우 판매자 또는 구매자들이 개별적으로 제품을 포장해야 하므로 포장에 소모되는 시간이 길고 비용소모도 컸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으로 구비되어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가 빠르고 간편하게 제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포장지와 절취포장지를 함께 포장하여 사용자가 포장지를 빠르고 깔끔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기계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포장장치는 상면에 포장대상이 적재되는 포장테이블과; 상기 포장테이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테이블로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공급부와; 상기 포장테이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테이블로 절취포장지를 공급하는 절취포장지공급부와; 상기 포장지공급부와 상기 절취포장지공급부의 공급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물품포장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대상의 포장길이에 맞게 상기 포장지와 상기 절취포장지를 함께 절취하는 포장지절취부와; 상기 포장지절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호 겹쳐진 포장지를 열에 의해 융착하여 포장지를 밀봉하는 포장지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장지절취부는, 열에 의해 상기 포장지와 상기 절취포장지를 함께 커팅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상부영역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열선의 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된 개구가 형성되어 포장을 위한 가압시 회동되며 상기 열선을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키는 열선커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장지융착부는 일정면적을 갖는 열판으로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장치는 소형의 크기로 구비되어 포장이 필요한 어떤 장 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포장지와 절취포장지를 함께 포장대상에 포장하므로 포장이 완료된 제품을 사용자가 쉽게 개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포장지와 절취포장지를 공급하는 속도를 조절할 경우 1개의 포장대상을 포장하는 시간을 줄여 많은 양을 짧은 시간에 포장할 수 있다. 특히, 열선과 포장지융착부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포장지를 절취함과 동시에 포장지를 융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장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포장장치(100)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장치(100)는 포장테이블(150)과, 포장 테이블(150)의 일측에 구비된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프레임(110)에 지지되어 포장지(A)를 포장테이블(150) 측으로 공급하는 포장지공급부(120)와, 절취포장지(B)를 포장테이블(150) 측으로 공급하는 절취포장지공급부(130)와,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함께 포장테이블(150)로 이송하는 포장지이송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포장장치(100)는 포장테이블(150)에서 포장대상(M)을 감싼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절취하는 포장지절취부(160)와, 상호 겹쳐진 채 개방된 상태로 포장대상(M)을 감싸고 있는 포장지(A)의 단부영역을 상호 융착시켜 포장지(A)를 밀봉시키는 포장지융착부(170)와, 포장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180)과 전원스위치(19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포장테이블(150)의 일측에 결합되어 포장지공급부(120)와 절취포장지공급부(130)가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포장테이블(150) 측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프레임(110)은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10)은 포장지공급부(120)와 절취포장지공급부(130)의 배치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포장지공급부(120)는 롤형태로 감겨있는 포장지(A)를 포장테이블(150) 측으로 공급한다. 포장지공급부(120)는 포장지(A)의 중심에 삽입되어 포장지(A)를 회전공급하는 포장지공급축(121)과, 포장지공급축(121)의 외측에 구비되어 포장지(A)의 외경을 지지하여 포장지(A)가 한겹씩 원활하게 포장지공급축(121)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지외경가압레버(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포장지(A) 가 직접 포장지공급축(121)에 권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포장지(A)가 권취되어 있는 포장지공급롤(미도시)이 포장지공급축(1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포장지공급축(121)은 프레임(110)에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포장지(A)의 일단부를 가압하면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며 포장지(A)를 공급한다. 포장지외경가압레버(123)는 포장지공급축(121)에 결합되어 있는 포장지(A)의 외경을 지지한다. 포장지공급축(121)에 결합되는 초기 포장지(A)는 직경이 커서 원활하게 포장지(A)가 공급되지 않는다. 포장지외경가압레버(123)는 초기 포장지(A)의 외경을 가압하여 포장지(A)가 한겹씩 공급되도록 한다.
절취포장지공급부(130)는 롤형태로 감겨있는 절취포장지(B)를 포장테이블(150) 측으로 공급한다. 절취포장지공급부(130)는 회전하며 절취포장지(B)를 공급하는 절취포장지공급축(131)과, 절취포장지공급축(131)으로부터 공급되는 절취포장지(B)를 포장테이블(150)로 안내하는 절취포장지가이드축(133)과, 폭이 좁은 절취포장지(B)의 위치를 고정하는 절취포장지위치고정클립(135)을 포함한다.
절취포장지공급축(131)은 절취포장지(B)의 중심에 결합되어 절취포장지(B)를 포장테이블(150) 측으로 공급한다. 절취포장지(B)는 좁은 폭을 가지므로 절취포장지공급축(131)에는 복수개의 열로 절취포장지(B)가 권취된다. 절취포장지공급축(131)은 프레임(110)에 아이들회전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절취포장지(B)의 일단부를 가압하면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며 절취포장지(B)를 공급한다.
절취포장지가이드축(133)은 절취포장지공급축(131)으로부터 공급되는 절취포장지(B)를 포장테이블(150) 방향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절취포장지공급축(131)의 회전방향과 포장지공급축(121)의 회전방향은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따라서, 절취포장지가이드축(133)은 절취포장지공급축(131)에 의해 공급되는 절취포장지(B)의 공급방향을 포장테이블(150) 방향으로 변경한다.
절취포장지위치고정클립(135)은 절취포장지가이드축(133) 상에 구비되어 절취포장지공급축(131)으로부터 공급되는 절취포장지(B)의 포장지(A)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한다. 절취포장지(B)는 포장지(A)에 비해 상대적인 폭이 적고, 포장대상(M)의 크기에 따라 절취포장지(B)가 배치되는 위치가 다르다. 절취포장지위치고정클립(135)은 설정된 위치에 절취포장지(B)가 배치되도록 절취포장지(B)의 공급위치를 고정한다. 절취포장지위치고정클립(135)에는 절취포장지(B)가 이송안내되는 안내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포장지이송부(140)는 포장지공급부(120)와 절취포장지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가 함께 포장테이블(150)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포장지이송부(140)는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축(141)과, 이송가이드축(141)에 의해 이송된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가압하여 서로 접촉된 상태로 포장테이블(150)로 이송되도록 하는 지지레버(143)를 포함한다.
이송가이드축(141)은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가 포장테이블(150)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구비되어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가 포장테이블(15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한다. 이송가이드축(141)은 프레임(110)에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하며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이송 가이드한다.
지지레버(143)는 이송가이드축(141)에 의해 함께 이송된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포장테이블(150) 상면으로 가압하여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한다. 포장지공급축(121)으로부터 공급된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가이드축(133)으로부터 공급된 절취포장지(B)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공급된다. 이에 서로 분리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포장대상을 포장할 경우 절취포장지(B)의 상대위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레버(143)는 절취포장지(B)를 포장지(A)의 상면으로 가압하여 절취포장지(B)가 포장지(A)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되어 포장대상에 포장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레버(143)는 프레임(110)에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포장테이블(150)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포장테이블(150)은 포장대상(M)과 포장지(A) 및 절취포장지(B)가 포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포장테이블(150) 상면의 포장대(151)에 포장대상(M)을 적재한 후 지지레버(143)를 통과한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가압하여 포장대상(M)의 외면을 감싼다. 포장테이블(150)는 사용자가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가압한 상태로 포장대상(M)의 표면에 밀착시켜 포장할 수 있도록 일정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테이블(150)는 사용가능한 포장대상(M)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포장테이블(150)의 측면에는 전원스위치(190)와, 제어패널(18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포장지절취부(160)는 포장테이블(150)에서 포장이 완료된 포장지(A)를 포장 대상(M)에 맞도록 절취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지절취부(16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절취부(160)는 열선(161)과, 열선(161)의 상부영역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열선(161)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열선커버(163)를 포함한다.
열선(161)은 200℃ 정도의 열을 발생시켜 순간적으로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함께 절취한다. 열선(1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포장지융착부(17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 때, 열선(161)의 높이는 포장테이블(150)의 높이와 거의 유사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선커버(163)는 열선(161)의 상부영역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포장대상(M)을 포장할 때는 사용자의 손이 열선(161)과 닿지 않도록 보호하고, 포장지(A)를 절취할 경우에는 열선(161)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열선커버(163)는 판면에 열선(161)의 위치에 대응하게 구비된 개구(163b)가 구비된다. 그리고, 열선커버(163)의 양측면에 구비된 회전축(163c)이 회전지지판(163a)에 체결부재(163d)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지지판(163a)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된다. 여기서, 회전축(163c)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65)가 구비되어 열선커버(163)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열선커버(163)는 사용자가 포장대상을 포장할 경우 탄성부재(165)의 탄성력에 의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161)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사용자가 포장대상을 포장한 후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절취하기 위해 열선커버(163)의 양측단을 가압하면 개구(163b)를 통해 열선(161)이 외부로 노출되어 열선(161)이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절취하도록 한다. 절취과정이 끝나고 사용자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65)는 열선커버(163)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포장지융착부(170)는 열선커버(163)의 하부영역에 구비된다. 포장지융착부(170)는 포장테이블(150)을 기준으로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가 공급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한다. 포장지융착부(170)는 열선(161)에 의해 절취되었으나 밀봉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포장지의 단부영역을 열을 가하여 상호 융착시켜 밀봉한다. 포장지융착부(170)는 열판의 형태로 구비되며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가 녹지 않도록 140℃ 정도로 유지된다. 여기서, 열선(161)의 온도와 포장지융착부(170)의 온도는 사용되는 포장지(A)의 재질에 따라 제어패널(18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패널(180)은 포장테이블(1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열선(161)과 포장지융착부(170)의 온도를 조절한다. 제어패널(180)에는 현재 열선(161)과 포장지융착부(170)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전원스위치(190)는 열선(161)과 포장지융착부(17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한다. 사용자는 포장장치(100)를 사용할 경우 전원스위치(190)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여 열선(161)과 포장지융착부(170)가 사용될 수 있는 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장치(100)가 포장대상(M)을 포장하는 과정을 도4a 내지 도4c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레버(143)를 통과한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를 가압하여 포장테이블(150) 상면으로 일정길이 인출시킨다. 포장테이블(150) 상면에 펼쳐진 포장지(A) 위에 사용자는 포장대상(M)을 올려놓고 포장지(A)로 포장대상(M)을 감싼다.
그리고, 사용자는 포장지(A)로 포장대상(M)을 감싼 상태로 포장대상(M)을 포장테이블(150) 상면으로부터 들어올려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절취부(160)로 이동시킨다. 포장지절취부(160)로 이동한 사용자는 양팔로 열선커버(163)를 아랫방향으로 가압하여 열선(161)이 개구(163b)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는 열선(161)과 접촉되며 절취된다.
사용자는 포장지(A)가 절취됨과 동시에 포장대상(M) 상면에 포장지가 상호 겹쳐있는 영역(도5에서 C영역)을 포장지융착부(170)와 접촉시켜 포장지(A)가 포장대상(M)에 밀착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대상(M)의 양측면을 접은 후 포장지융착부(170)와 접촉시키며 포장지융착부(170) 측으로 가압하여 포장대상(M)의 양측면의 포장지(A)도 밀봉되도록 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장치(100)를 사용하여 포장된 포장대상(M)의 포장 후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이 완료되면 포장지(A)와 절취포장지(B)가 함께 포장대상(M)에 밀착된 상태로 포장된다. 포장지(A)가 상호 겹쳐지는 상부영역(C)와 양측면영역(D)는 포장지융착부(170)에 의해 융착되어 밀봉상태가 유지된다.
절취포장지(B)는 재질이 포장지(A)와 상이하게 구비되므로, 포장지융착부(170)의 융착열에 의해 상호 융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절취포장지(B)의 단부영역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A)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사용자는 절취포장지(B)를 가압하면 포장지(A)를 쉽게 포장대상(M)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장치는 소형의 크기로 구비되어 포장이 필요한 어떤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포장지와 절취포장지를 함께 포장대상에 포장하므로 포장이 완료된 제품을 사용자가 쉽게 개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포장지와 절취포장지를 공급하는 속도를 조절할 경우 1개의 포장대상을 포장하는 시간을 줄여 많은 양을 짧은 시간에 포장할 수 있다. 특히, 열선과 포장지융착부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포장지를 절취함과 동시에 포장지를 융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장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포장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포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장치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포장장치의 포장지절취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4c는 본 고안의 포장장치에 의해 포장대상을 포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장치에 의해 포장이 완료된 포장대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장장치 110 : 프레임
120 : 포장지공급부 121 : 포장지공급축
123 : 포장지외경가압레버 130 : 절취포장지공급부
131 : 절취포장지공급축 133 : 절취포장지가이드축
135 : 절취포장지위치고정클립 140 : 포장지이송부
141 : 이송가이드축 143 : 지지레버
150 : 포장테이블 151 : 포장대
160 : 포장지절취부 161 : 열선
163 : 열선커버 163a : 회전지지판
163b : 개구 163c : 회전축
163d : 체결부재 165 : 탄성부재
170 : 포장지융착부 180 : 제어패널
190 : 전원스위치 A : 포장지
B : 절취포장지 M : 포장대상

Claims (3)

  1. 상면에 포장대상이 적재되는 포장테이블과;
    상기 포장테이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테이블로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공급부와;
    상기 포장테이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테이블로 절취포장지를 공급하는 절취포장지공급부와;
    상기 포장지공급부와 상기 절취포장지공급부의 공급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포장테이블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대상의 포장길이에 맞게 상기 포장지와 상기 절취포장지를 함께 절취하는 포장지절취부와;
    상기 포장지절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호 겹쳐진 포장지를 열에 의해 융착하여 포장지를 밀봉하는 포장지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절취부는,
    열에 의해 상기 포장지와 상기 절취포장지를 함께 커팅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상부영역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열선의 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된 개구가 형성되어 포장을 위한 가압시 회동되며 상기 열선을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키는 열선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융착부는 일정면적을 갖는 열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KR2020090010653U 2009-08-17 2009-08-17 포장장치 KR200458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53U KR200458629Y1 (ko) 2009-08-17 2009-08-17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53U KR200458629Y1 (ko) 2009-08-17 2009-08-17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11U KR20110001811U (ko) 2011-02-23
KR200458629Y1 true KR200458629Y1 (ko) 2012-03-07

Family

ID=4420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53U KR200458629Y1 (ko) 2009-08-17 2009-08-17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21B1 (ko) * 2019-05-31 2020-05-06 (주)무등기업평동 보호부재 컷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762B1 (ko) * 2018-12-12 2020-07-01 주식회사 서연이화 랩 커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0559A1 (en) 1996-04-08 2001-05-03 De Young Perry R. Tray sealing machine
US20010008064A1 (en) 1998-11-03 2001-07-19 Klockner Bartelt, Inc. Sealing apparatus for a packaging machine
US7124555B2 (en) 2002-11-22 2006-10-24 Minipack-Torre S.P.A. Device and process for packaging products in a stretchable plastic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0559A1 (en) 1996-04-08 2001-05-03 De Young Perry R. Tray sealing machine
US20010008064A1 (en) 1998-11-03 2001-07-19 Klockner Bartelt, Inc. Sealing apparatus for a packaging machine
US7124555B2 (en) 2002-11-22 2006-10-24 Minipack-Torre S.P.A. Device and process for packaging products in a stretchable plastic 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21B1 (ko) * 2019-05-31 2020-05-06 (주)무등기업평동 보호부재 컷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11U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2656B2 (en) Five-sided cigarette carton packaging
KR200458629Y1 (ko) 포장장치
JP2008094456A (ja) 縦シール機構
WO2014075918A3 (en) Heating station,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p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packages wrapped in a sheet of heat-shrinkable material
KR20150001265A (ko) 냉장고 열수축 필름 포장 장치
JP2008525280A (ja) 上包みを密封及び収縮させるための多段加熱プレート
KR101400727B1 (ko) 비닐포장지 제조장치
JP4684488B2 (ja) オーバーシュリンク包装方法及び包装装置
JP6649885B2 (ja) 2つ以上の容器によるグループの周囲に、一方の面に不連続なく接着剤が塗布されたテープを配置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102346597B1 (ko) 소형 김의 포장장치
JP4551382B2 (ja) 包装用具
EP1826123B1 (en) Device for longitudinally welding two overlapped edges of a film
KR100654332B1 (ko) 샌드위치 포장대의 포장장치
JP6653644B2 (ja) 包装方法
US3618289A (en) Automatic wrapping apparatus
KR200171044Y1 (ko) 롤 자동포장기의 포장지융착 권선포장장치
JP5446463B2 (ja) 包装装置
JP2011088652A (ja) ヒートシール包装装置
JP6257311B2 (ja) フィルム材供給装置、それを有する食材包装装置およびフィルム材供給方法
JPH07125765A (ja) 包装体及びその包装方法
KR102464281B1 (ko) 광고효과를 갖는 광고지가 부착된 핫팩포장장치
KR200233424Y1 (ko) 수축포장기
JP4860683B2 (ja) 包装用容器の封緘装置
KR101450154B1 (ko) 냉장고 열수축 필름 포장 장치용 필름공급기
JP2009262932A (ja) 帯シート封緘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