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424Y1 - 수축포장기 - Google Patents

수축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424Y1
KR200233424Y1 KR2019980013250U KR19980013250U KR200233424Y1 KR 200233424 Y1 KR200233424 Y1 KR 200233424Y1 KR 2019980013250 U KR2019980013250 U KR 2019980013250U KR 19980013250 U KR19980013250 U KR 19980013250U KR 200233424 Y1 KR200233424 Y1 KR 200233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nk
heater
film
base
shrink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083U (ko
Inventor
이윤우
Original Assignee
이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우 filed Critical 이윤우
Priority to KR2019980013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2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24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축필름을 사용하여 각종 제품 특히, 반도체 패키지를 수축포장하는 수축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피포장제품이 공급되는 제품공급장치(1), 제품공급장치(1)에서 공급된 단위 피포장제품에 수축필름(F)이 씌워지고 가열가압하에서 융착 및 절단되는 실링장치(2), 수축필름(F)이 씌워진 피포장제품이 공급되어 가열 수축되는 수축장치(3) 및 포장완료된 피포장제품이 배출되는 배출장치(4)로 구성된 수축포장기에서 실링장치(2)의 히터부(21)와 베이스(23)의 구조를 개선하여 포장재인 수축필름(F)이 연기와 연소가스의 발생없이 절단 및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인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히터부(21)의 표면에 테프론 테이프(22)를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 수출필름(F)과 히터(300)가 직접 맞닿지 않고 테프론 테이프(22)에 의해 간접적인 접촉을 이루면서 수축필름(F)이 융착 및 절단되도록 한 것이며, 히터부(30)하부에 위치한 베이스(23)에도 완충용 실리콘(24)을 씌우고 그 위에 테프론 테이프(25)를 부착하여 수축필름(F)의 절단 및 융착시 연기가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축포장기
본 고안은 실링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축필름이 히터 및 베이스에 달라붙어 연기가 발생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연소가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수축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축포장기는 피포장물품을 단위별로 정렬공급하여 수축필름으로 싸여진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수축필름을 융착 및 절단시키고, 헐겁게 싸여진 피포장물품을 수축터널을 통과시키면서 일정온도로 가열시키므로써 수축필름이 팽팽하게 수축되도록하여 피포장물품을 단위포장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수축포장기의 일반적인 기술은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축포장기를 사용하여 포장작업을 할 경우 수축필름의 절단 및 융착시 연기와 연소가스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두통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수축필름의 연소가스중에는 인체호르몬이 나오는 내분비계를 어지럽히는 다이옥신과 같은 각종 환경호르몬을 포함하고 있어 작업자가 위험상 태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수축필름과 히터가 직접 접촉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가압가열하에서 수축필름의 융착시 히터에 달라붙은 수축필름이 고열에 의하여 연소되기 때문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축필름을 사용하여 물품을 포장하는 수축포장기에 있어서, 수축필름의 절단 및 융착시 연소가스 및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써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링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의 내구성과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수축필름의 견고한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위 피포장제품이 공급되는 제품공급장치, 이 제품공급장치에서 공급된 피포장제품에 수축필름이 씌워지고 가압가열하에서 융착되고 절단되는 실링장치, 수축필름이 씌워진 피포장제품이 공급되어 수축필름이 가열수축되는 수축장치 및 포장완료된 단위 피포장제품이 배출되는 배출장치로 구성된 수축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의 히터부 외측에는 테프론 테이프를 설치하여 히터와 수축필름이 직접 맞닿지 않고 간접적인 접촉에 의해 융착 및 절단되도록 하므로써 수축필름이 히터부에 눌러 붙어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히터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테프론 테이프의 국부적인 마모시 이를 전부 교체하지 않고 롤타입으로 말아 놓은 상태에서 조금씩 풀어주어 히터와의 접촉부를 약간씩 바꾸어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한 히터부와 맞닿는 하부의 베이스를 고정식 및 회전식으로 할 수 있는데, 고정식 베이스의 경우에는 상부에 일정두께와 폭을 갖는 완충용 실리콘을 부착하고 그 위에 테프론 테이프를 부착하여 이 베이스 위에도 수축필름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며, 회전식으로 할 경우에는 수축필름의 이동에 의해 베이스가 회전하면서 히터부와의 접촉부가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변경되므로써 베이스의 국부적인 피로와 마모를 경감하고 이를 장기간 교체를 하지 않고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회전식 베이스와 접촉하는 히터부 홀더의 하면에는 회전식 베이스의 직경보다 약간 큰 곡률을 갖도록 요홈을 형성하여 히터에 의하여 수축필름이 절단되고 요홈의 양측면에 의해 여기에 접촉된 수축필름이 열을 받아 넓은 폭으로 견고하게 융착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축포장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축포장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3(a)도는 제3(b)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축포장기의 실링장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제3(c)도는 제3(b)도에 도시된 실링장치의 확대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축포장기의 실링장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제4(c)도는 제4(d)도에 도시된 실링장치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품공급장치 2 : 실링장치
3 : 수축장치 4 : 배출장치
21 : 히터부 22,25 : 테프론 테이프
23 : 고정식 베이스 23' : 회전식 베이스
23a : 고정보울트 23b : 로울러
24,24' : 실리콘 26 : 에어실린더
27 : 가이드 축 28 : 실링 플레이트
28a : 요홈 29,29' : 절연재
30,30' : 히터 31 : 고정판
32 : 고정보울트 33 : 고정구
34 : 고정보울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축포장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실링장치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수축포장기는 피포장제품(도시안됨)이 공급되는 제품공급장치(1), 이 제품공급장치(1)에서 공급된 피포장 제품에 수축필름(F)이 씌워지고 열접착되어 절단되는 실링장치(2), 수축필름(F)이 씌워진 피포장제품이 이송되어 가열수축되는 수축장치(3) 및 포장완료된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장치(4)로 구성되며, 상기 실링장치(2)의 히터부(21)외측에는 테프론 테이프(22)가 설치되어 히터부(21)와 수축필름(F)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고, 상기 히터부(21)와 맞닿는 하부의 베이스(23)는 고정식으로 이루어지되, 이 베이스(23)의 상부에는 일정두께와 폭을 갖는 완충용 실리콘(24)이 부착되고, 이 실리콘(24)의 위에는 테프론 테이프(25)가 부착된 특징을 갖는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제2(a)도 및 제2(b)도는 롤상태의 수축필름이고, 제2(c)도 및 제2(d)도는 이 수축 필름이 안치되는 상,하부 안치대이며, 제3(a)도는 콘트롤 판넬이다.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는 본 실시예의 핵심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테프론 테이프(22)가 설치된 히터부(21)와 고정식 베이스(23)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에어실린더(26)에 의하여 양측 가이드 축(27) 사이에서 수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실링 플레이트(28)의 하부에 운모를 주원료로 제작된 절연재(29)가 끼워지고, 이 절연재(29)의 하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에는 판상의 히터(30)가 일정폭으로 돌출된 상태로 끼움설치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 전원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히터(30)의 하부에는 상기 실링 플레이트(28)의 일측면에 롤상태로 감겨진 테프론 테이프(22)가 인출되어 히터(30)를 덮어준 상태로 실링 플레이트(28)의 타측면에 고정판(31)으로 눌려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테프론 테이프(22)를 눌러서 고정하는 고정판(31)은 실링 플레이트(28) 의 양측에 보울트(32)등으로 고정되어 필요시 이를 느슨하게 풀어 준 상태에서 테 프론 테이프(22)를 잡아 당긴후 다시 조여주면되며, 이때 실링 플레이트(28)의 일 측면에 롤상태로 감겨져 있는 테프론 테이프(2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3)도 그 고정보울트(34)를 약간 느슨하게 풀어준 후 당기고 다시 조여주면 된다.
또, 상기 히터부(21)와 대응되는 하부의 고정식 베이스(2,3)는 수축포장기의 프레임(1')상에 고정보울트(23a)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고정식 베이스(23)의 상면에는 완충용 실리콘(24)과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테프론 테이프(25)가 차례대로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수축포장기를 사용하여 피포장제품을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피포장제품이 제품공급장치(1)쪽에서 공급되어 실링장치(2)로 진입하게 되면 실링장치(2)의 상하로 드리워진 수축필름(F)이 피포장제품의 전면 상,하면 및 후면을 둘러싸게 된다.
피포장제품에 수축필름(F)이 둘러싸여지면서 제품공급장치(1)에 의해 밀려 실링장치(2)를 통과하게 되면 피포장제품을 둘러싸고 난 후방의 수축필름(F)을 융착 절단하기 위해서 실링장치(2)가 작동을 개시하게 되는데, 먼저, 히터(30)에 전원이 인가되어 순간적으로 적정온도로 가열됨과 동시에 상부의 에어실린더(26)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실링 플레이트(28)가 하강하게 된다. 이 실링 플레이트(28)가 하강하게 되면 피포장제품을 둘러싸고 있는 상,하부에 맞닿아진 2겹의 수축필름(F) 이 실링 플레이트(28)와 고정식 베이스(23)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히터(30)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이 히터(30)의 열에 의해 가열된 실링 플레이트(28)의 하면 양단이 고정식 베이스(23)위에서 수축필름(F)을 누르면서 즉, 가열가압하에서 융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절단 및 융착과정에서 히터(30)와 수축필름(F)사이에는 테프론 테이프(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절단시 남게 되는 수축필름(F)의 찌꺼기가 히터(30)에 달라붙지 않게 됨과 동시에 고정식 베이스(23)의 상면에도 테프론 테이프(25)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베이스(23)상에도 수축필름(F)찌거기가 달라붙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연속적인 절단 및 융착과정에서도 수축필름(F)이 히터(30)에 달라붙지 않으므로 이의 연소에 의한 연기 및 환경호르몬을 포함하고 있는 연소가스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절단 및 융착이 완료된 피포장제품은 콘베이어(도시안됨)를 타고 수축장치(3)로 진입하여 수축장치(3)내에서 일정시간동안 가열되므로 수축필름(F)이 수축되면서 피포장제품을 견고하게 결속시키게 되는 것이며, 포장이 완료된 피 포장제품은 배출장치(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실링장치의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제4(c)도는 제4(d)도에 도시된 실링장치의 요부 확대도로서, 본 실시예는 하부의 베이스(23')를 회전형으로하고, 상부의 히터부(21')는 이를 고정하는 실링 플레이트(28)의 하면에 상기 회전식 베이스(23')의 직경보다 약간 큰 곡률을 갖는 요홈(28a)을 양측에 형성한 특징을 갖는다.
다시 설명하면,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에어실린더(26)에 의하여 양측 가이드 축(27)사이에서 수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실링 플레이트(28)의 하부에 절연재(29')가 끼워지고, 이 절연재(29)의 하부에는 스트링(string)상의 열선 히터(30')가 양측 블록(35)사이에 장력조절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이 열선 히터(30')의 하부에는 상기 실링 플레이트(28)의 일측면에 롤상태로 감겨진 테프론 테이프(22)가 인출되어 열선 히터(30')를 덮어준 상태로 실링 플레이트(28)의 타측면에 고정판(31)으로 눌러져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히터부(21)와 대응되는 하부의 베이스(23')는 로울러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로울러(23b)의 표면에 일정두께의 실리콘(24')이 피복되어 있으며, 이 로울러(23b)의 양단은 프레임(1')상에 고정된 로울러 가이드(1a)에 회전가능하게 끼움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 중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부의 히터(30')가 플레이트가 아닌 열선형태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과, 실링 플레이트(28)의 하면에 일정곡률을 갖는 요홈(28a)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과, 하부의 베이스(23')가 로울러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다.
상기 실링 플레이트(28)의 하면에 형성된 요홈(28a)의 곡률반경은 하부의 로울러형 베이스(23')의 반경보다 약간 크게, 예를 들면 하부의 로울러 베이스(23') 반경이 25mm인 경우 요홈(28a)의 반경은 30mm내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필름(F) 접착시 접착면의 폭을 요홈(28a)면의 폭 보다 좁게(약 2~5mm) 하고자 하는 것이다. 접착면이 넓으면 수축과정이 완료된 후에도 접착면이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제품 적재시 접착면과 접착면의 간섭으로 포장필름의 파손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접착면의 폭은 포장된 제품의 수축과정에서 터지지 않을 정도로 좁을수록 좋다. 이와 아울러 필름(F)을 접착할 때, 로울러 베이스(23')와 실링플레이트(28)의 요홈(28a) 끝 부위가 필름(F)을 누르게 될 경우 필름이 파손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수축포장기는 상기한 첫 번째 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작동을 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주요한 작용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피포장제품에 수축필름(F)이 감겨진 상태로 실링장치(2)로 공급완료되면 에어실린더(26)에 의해 하강한 실링 플레이트(28)는 수축필름(F)을 로울러 베이스(23')의 임의의 표면위에서 가압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열선 히터(30')에 가해진 열에 의해 수축필름(F)은 양쪽으로 절단되는 것이며, 이 절단부 양쪽의 수축필름(F)은 로울러 베이스(23')와 실링 플레이트(28)하면의 요홈(28a)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압가열되어 일정폭으로 융착된 후 에어실린더(26)가 실링 플레이트(28)를 상승시키면 실링작업이 완료되어 피포장 제품이 수축장치(3)로 이송된다.
상기 로울러 베이스(23')는 피포장제품 외측에 감겨진 수축필름(F)과 접촉하면서 피포장제품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열선 히터(30')와의 접촉부위가 임의의 위치로 바뀌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로울러 베이스(23')에는 별도의 테프론 테이프를 부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 로울러 베이스(23')는 그 외측의 완충용 실리콘(24') 전표면이 사용되므로 국부적인 피로와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는 실링 플레이트(28)가 하부 로울러 베이스(23')의 한면과 계속 접촉하게 된다면 접촉되는 로울러 베이스(23')는 열전도에 의하여 가열되고 필름(F) 찌꺼기가 늘어 붙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지만, 로울러 베이스(23')가 회전하면 접촉면이 고정되지 않으므로 로울러 베이스(23')가 가열될 여지가 적어지게 되므로 필름 찌꺼기가 붙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실리콘(24')으로 구성된 로울러 베이스(23')의 수명은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양 실시예에서는 히터(30)(30')와 수축필름(F)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중간에 테프론 테이프(22)가 개재된 상태에서 가압가열되므로 절단 및 융착시 수축필름(F)이 히터(30)(30')에 달라붙어 연소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실링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연기나 환경호르몬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쾌적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축포장기의 실링장치를 이루는 히터부와 베이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포장재인 수축필름과 히터가 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수축필름의 절단 및 융착시 연기와 연소가스의 발생없이 견고한 절단 및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실링장치를 이루는 베이스는 그 상부에 테프론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어 여기에도 수축필름이 달라붙지 않게 되어 상기 히터에서와 같은 연소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더우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울러 베이스는 피포장제품의 이송에 의하여 회전되어 실리콘으로 된 전표면이 사용되므로 이의 국부적인 피로를 막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피포장제품을 공급하는 제품공급장치(1), 이 제품공급장치(1)에 의해 공급된 피포장제품에 수축필름(F)을 씌우고 열접착하면서 절단시키도록 히터(30')와 히터(30') 외측면에 고정된 테프론 테이프(22)를 포함하는 히터부(21)와 베이스(23')로 이루어진 실링장치(2), 피포장제품에 씌워진 수축필름(F)을 가열수축시키는 수축장치(3) 및 포장완료된 제품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4)로 구성된 수축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2)의 실링 플레이트(28) 하면에는 일정곡률을 갖는 요홈(28a)이 형성되고, 하부의 베이스(23')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울러(23b)의 외측에 완충용 실리콘(24')이 도포되어 있고, 이 실리콘(24')의 곡률 반경은 상기 요홈(28a)의 곡률 반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포장기.
KR2019980013250U 1998-07-18 1998-07-18 수축포장기 KR200233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250U KR200233424Y1 (ko) 1998-07-18 1998-07-18 수축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250U KR200233424Y1 (ko) 1998-07-18 1998-07-18 수축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083U KR19980065083U (ko) 1998-11-25
KR200233424Y1 true KR200233424Y1 (ko) 2001-11-22

Family

ID=6951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250U KR200233424Y1 (ko) 1998-07-18 1998-07-18 수축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4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22B1 (ko) * 2001-04-20 2004-04-13 주식회사 아펙엔지니어링 오일필터의 자동 더스트 캡 홀딩머신
KR100853398B1 (ko) * 2008-01-31 2008-08-21 이한일 오일필터 제작을 위한 캡 공급장치
KR102659348B1 (ko) * 2022-03-30 2024-04-22 길벗 주식회사 Pe 및 pvc 필름 겸용 포장 필름 실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섬유 전용 수축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083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5473B1 (en) Product overwrapping machine
CN101068719B (zh) 密封和收缩外包装的多级加热板
KR200233424Y1 (ko) 수축포장기
EP2308669A2 (en) Bag manufacturing and packaging apparatus with heat insulated sealing jaws
KR20150001265A (ko) 냉장고 열수축 필름 포장 장치
GB9221689D0 (en) A device for inducing slack in a wrapping film,associated with means for heat sealing packs of rolls
KR101798834B1 (ko) 파이프 포장 장치
US4696147A (en) Film tubing device for use in packaging apparatus
US3965333A (en) Seal temperature control means for curtain-type wrapping machine
IT1292614B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la saldatura di porzioni determinate di incarti di materiale termosaldabile di prodotti.
IT1275612B1 (it) Macchina e procedimento per realizzare un nastro composito continuo per la produzione di involucri per prodotti alimentari e nastro ed
EP1055603A1 (en) Method and machine for wrapping a product in a sheet of heat-shrink wrapping material
JP3790012B2 (ja) 断裂開放用ストリップをフィルムウエブと熱融着する装置
BR9201863A (pt) Dispositivo de vedacao por calor,controlado,para fixacao de envoltorios de material termoplastico,especificamente em maquinas para embrulhar pacotes de cigarros e semelhante
KR101469948B1 (ko) 좌우 대칭 서포트가 구비된 냉장고 열수축 필름 포장 장치용 필름랩핑기
JPH07300109A (ja) 梱包機のバンド引き締め方法および梱包機
HUP0004220A3 (en) Apparatus for feeding cartons, device for forming cartonbox, pack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feeding cartons
KR200458629Y1 (ko) 포장장치
KR200171044Y1 (ko) 롤 자동포장기의 포장지융착 권선포장장치
JPH09249210A (ja) フィルム包装装置
CN219506376U (zh) 一种方便进料的热收缩膜包装机
JP2843014B2 (ja) 包装装置およびその包装方法
KR200171045Y1 (ko) 롤 자동포장기의 권선포장 장치
JP2002193218A (ja) フイルム包装装置におけるフイルム収縮方法および装置
JP2738792B2 (ja) 容器の包装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