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092A -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092A
KR20230075092A KR1020210161335A KR20210161335A KR20230075092A KR 20230075092 A KR20230075092 A KR 20230075092A KR 1020210161335 A KR1020210161335 A KR 1020210161335A KR 20210161335 A KR20210161335 A KR 20210161335A KR 20230075092 A KR20230075092 A KR 20230075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minated film
printing
pap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한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은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은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은팩
Priority to KR102021016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092A/ko
Publication of KR2023007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B41F9/02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00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 B41F1/16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for offs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54Auxiliary folding, cutt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08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means for stamping or cutt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41F21/005Electrostatic holding dow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02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cleaning devices for sheets 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제1권출롤로부터 권출되어 공급 및 이송되는 제1급지에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하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를 통해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된 상태에 있는 제1급지에 식품의 종류는 물론 액체상 또는 고체상 여부에 따라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여 합지하는 합지부; 상기 합지부를 통해 2가지 이상의 급지가 합지된 상태에 있는 합지필름을 경화 처리하고, 제1권취롤을 통해 권취하는 경화부; 상기 경화부를 거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슬리팅칼날을 이용한 슬리팅 처리를 통해 재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넓이를 갖게 하는 슬리팅부; 상기 슬리팅부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회전되는 절단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합지필름 2장을 포갠 상태로 하여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실링부; 상기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 상에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표면에 묻어있을 수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클리닝 처리하고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함으로써 인쇄 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는 클리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FOOD PACKING FILM PRINTING EQUIPMENT}
아래 실시예들은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품 포장 필름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등을 유통함에 있어서는 일정한 양으로 계량하고 이렇게 일정량으로 계량된 식품을 각각 포장한 후 유통시키게 되는데, 식품의 포장을 위해서는 포장필름이 사용된다.
이러한 식품에 사용되는 포장필름은 포장하는 식품의 특성에 따라 밀봉성과 방수성, 투기성, 항균성 등을 고려하여 만들어지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식품용 등 포장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앞면과 뒷면의 인쇄층이 한 쌍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된 포장원단을 이송하다가 앞면의 인쇄층과 뒷면의 인쇄층의 사이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된 상태에서 자세 전환을 이루게 하여 각각의 안쪽면이 서로 마주하게 하고, 서로 합지한 상태에서 외측 둘레를 실링함에 의해 완성된다.
이후, 후가공을 통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포장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식품용 포장필름 등 포장재료에 대한 위생성 및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의 포장지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재질의 포장지 원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에도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실시예들은 식품용 포장필름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면서 식품 포장필름 인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들은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공함은 물론 제품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식품 포장 필름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제1권출롤로부터 권출되어 공급 및 이송되는 제1급지에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하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를 통해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된 상태에 있는 제1급지에 식품의 종류는 물론 액체상 또는 고체상 여부에 따라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여 합지하는 합지부; 상기 합지부를 통해 2가지 이상의 급지가 합지된 상태에 있는 합지필름을 경화 처리하고, 제1권취롤을 통해 권취하는 경화부; 상기 경화부를 거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슬리팅칼날을 이용한 슬리팅 처리를 통해 재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넓이를 갖게 하는 슬리팅부; 상기 슬리팅부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회전되는 절단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합지필름 2장을 포갠 상태로 하여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실링부; 상기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 상에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표면에 묻어있을 수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클리닝 처리하고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함으로써 인쇄 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는 클리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포장하고자 하는 식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급지의 공급 및 합지를 수행하여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 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규격 처리가 가능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규격에 맞게 가공하면서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한 식품용 포장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식품용 포장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산업 전반에 걸쳐 이용되는 식품포장재, 과자포장재, 아이스팩, 과일 포장, 야채 포장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위생적이고 변질 없이 식품을 신선하게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급지를 공급하여 합지 처리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조공정에 있어서 인쇄불량을 방지하는 등 제품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에 있어 클리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에 있어 인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는 액체상 또는 고체상의 다양한 식품을 내부에 보관 및 포장하기 위한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로서, 도 1 내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부(110), 인쇄부(120), 합지부(130), 경화부(140), 슬리팅부(150), 절단부(160), 실링부(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리닝부(110) 내지 경화부(140)는 제1권출롤(101)과 제1권취롤(102)을 통해 롤투롤 방식으로 처리 및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팅부(150) 내지 실링부(170)는 각각 개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권출롤(101)을 통해서는 베이스필름으로서 완성 제품의 최외면에 위치되고 인쇄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제1급지(1)를 권출하여 공급하며, 상기 제1권취롤(102)을 통해서는 인쇄부(120)를 경유하여 인쇄가 이루어진 제1급지(1)에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합지시킨 합지필름을 권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리닝부(110) 내지 경화부(140)는 제조시간 단축과 작업효율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연속 공정으로 실시하는 형태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각각 개별 공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클리닝부(110)는 상기 인쇄부(120)를 향해 이송되는 제1급지(1) 상에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표면에 묻어있을 수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클리닝 처리하고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함으로써 인쇄 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클리닝부(110)와 상기 인쇄부(120)은 도2와 도 3에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합지부(130)는 상기 인쇄부(120)를 통해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된 상태에 있는 제1급지(1)에 식품(내용물)의 종류는 물론 액체상 또는 고체상 여부에 따라 제2급지(2) 내지 제4급지(4)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공급하여 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합지부(130)는 상기 제1권출롤(101) 및 제1권취롤(102)을 통해 클리닝부(110)에서 경화부(140)를 향해 이송되는 제1급지(1)가 경유하며 이송되는 제1급지(1)의 상하방향에 위치하고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급지(1)에 추가되는 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합지 처리하는 한 쌍의 라미네이팅롤러와, 공급롤과 상기 한 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기 이전에 급지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롤러와, 도포롤러의 외면에 접착제를 각각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합지부(130)에는 합지부를 커버하도록 하우징에 의한 커버 구조를 제공하고, 하우징 내부에 이오나이저 또는 플라즈마 발생기의 탈취수단을 설치하여 합지공간 상에 음이온 또는 음이온과 동시에 오존을 방출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탈취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경화부(140)는 상기 합지부(130)를 통해 제1급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제1급지를 포함하여 2가지 이상의 급지가 합지된 상태에 있는 합지필름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합지필름을 경화 처리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경화부(140)는 열풍 경화방식, UV 경화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슬리팅부(150)는 상기 경화부(140)를 통해 경화 및 2가지 이상의 급지가 일체로 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슬리팅칼날을 이용한 슬리팅 처리를 통해 재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넓이를 갖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절단부(160)는 상기 슬리팅부(150)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회전되는 절단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으로써 재단된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절단나이프는 가벼우면서도 강도와 내구성 및 절단력을 구비하도록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한다.
즉, 상기 절단나이프는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분말을 원재료로 구비하고 가압 성형하여 나이프 형상을 갖게 하며 소결 처리한 후 끝단부를 연마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절단부(160)를 통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합지필름 2장을 서로 마주하도록 포갠 상태로 하여 어느 한 면을 제외한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실링부(170)는 고주파 가열을 통해 합지필름을 융착시켜 실링 처리하는 고주파 융착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방식의 융착실링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에 있어 클리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클리닝부(110)는 상기 인쇄부(120)로 이송 공급되는 제1급지(1)의 상하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클리닝롤러(111)(112)와, 상기 각 클리닝롤러(111)(112)의 외면에 부착되고 인쇄부(120)로 공급되는 제1급지(1)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융이나 극세사 또는 면의 부드러운 직물소재로 이루어지는 클리닝부재(113)와, 상기 한 쌍의 클리닝롤러(111)(112) 전방에 위치 및 제1급지(1)의 인쇄가 수행되어지는 일면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급지(1)의 폭방향을 커버하도록 라인형 노즐 구조를 가지며 음이온을 분사함에 의해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하는 기능과 함께 2차 클리닝을 수행하는 음이온 분사기(114)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음이온 분사기(114)는 이오나이저 또는 플라즈마 발생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발생기를 적용하는 경우 음이온과 동시에 오존을 함께 분사할 수 있어 클리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을 갖는 클리닝부(110)를 통해서는 제1급지(1)의 인쇄를 진행할 표면에 대해 클리닝부재(113)로 닦아주어 사전에 먼지나 이물질 또는 기름때 등을 클리닝 처리할 수 있고, 이오나이저나 플라즈마 발생기에 의한 음이온 분사기(114)에서 제1급지(1) 측으로 음이온 등을 분사하므로 정전기를 제거 및 정전기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이와 같은 기능 및 작용을 통해 제1급지(1) 상에 인쇄를 진행 시 인쇄잉크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어 색상의 부착성을 높일 수 있고 진한 색상 표기가 가능하며, 인쇄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양질의 인쇄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에 있어 인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인쇄부(120)는 상기 클리닝부(110)를 경유하여 이송 공급되는 제1급지(1)에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인쇄부(120)는 인쇄롤을 이용하는 방식의 그라비아 인쇄기 또는 옵셋 인쇄기이며, 제1인쇄부(121) 내지 제8인쇄부(128)를 일렬로 연속 구비하여 제1급지(1) 상에 1도 내지 8도의 색상으로 인쇄하거나 또는 제1급지 상에1도 내지 8도의 색상 중에서 어느 1가지 이상을 선택 인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필름 인쇄장치를 통해서는 포장하고자 하는 식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급지의 공급 및 합지를 수행하여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 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규격 처리가 가능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규격에 맞게 가공하면서 가장자리 3면을 실링처리한 식품 포장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급지를 공급하여 합지 처리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제 1급지
101: 제1권출롤
102: 제1권취롤
110: 클리닝부
111,112: 클리닝롤러
113: 클리닝부재
114: 음이온 분사기
120: 인쇄부
121: 제1인쇄부
122: 제 2인쇄부
127: 제7인쇄부
128: 제8인쇄부
130: 합지부
140: 경화부
150: 슬리팅부
160: 절단부
170: 실링부

Claims (3)

  1.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제1권출롤로부터 권출되어 공급 및 이송되는 제1급지에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하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를 통해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된 상태에 있는 제1급지에 식품의 종류는 물론 액체상 또는 고체상 여부에 따라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여 합지하는 합지부;
    상기 합지부를 통해 2가지 이상의 급지가 합지된 상태에 있는 합지필름을 경화 처리하고, 제1권취롤을 통해 권취하는 경화부;
    상기 경화부를 거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슬리팅칼날을 이용한 슬리팅 처리를 통해 재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넓이를 갖게 하는 슬리팅부;
    상기 슬리팅부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회전되는 절단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합지필름 2장을 포갠 상태로 하여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실링부;
    상기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 상에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표면에 묻어있을 수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클리닝 처리하고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함으로써 인쇄 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는 클리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2.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슬리팅부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감은 상태에서 권출하여 공급하는 합지필름공급롤;
    상기 합지필름공급롤을 통해 공급되는 합지필름의 이송을 가이드 및 합지필름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서로 상대 회전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롤러 및 절단롤러; 상기 지지롤러 및 절단롤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절단된 합지필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절단된 합지필름을 상기 실링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롤러는 외면 둘레에 간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절단나이프를 통해 합지필름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나이프는,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분말을 원재료로 구비하고 가압 성형하여 나이프 형상을 갖게 하며 소결 처리한 후 끝단부를 연마 가공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의 상하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클리닝롤러;
    상기 각 클리닝롤러의 외면에 부착되고,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융이나 극세사 또는 면의 부드러운 직물소재로 이루어지는 클리닝부재;
    상기 한 쌍의 클리닝롤러 전방(前方)에 위치 및 제1급지의 인쇄가 수행되어지는 일면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급지의 폭방향을 커버하도록 라인형 노즐 구조를 가지며, 음이온을 분사함에 의해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하는 기능과 함께 2차 클리닝을 수행하는 이오나이저 또는 플라즈마 발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KR1020210161335A 2021-11-22 2021-11-22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KR20230075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335A KR20230075092A (ko) 2021-11-22 2021-11-22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335A KR20230075092A (ko) 2021-11-22 2021-11-22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092A true KR20230075092A (ko) 2023-05-31

Family

ID=8654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335A KR20230075092A (ko) 2021-11-22 2021-11-22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50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019B1 (ko) * 2023-06-02 2023-11-13 김병주 친환경 에탄올기반 잉크 및 저심도 그라비아롤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을 저감하는 포장재 제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019B1 (ko) * 2023-06-02 2023-11-13 김병주 친환경 에탄올기반 잉크 및 저심도 그라비아롤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을 저감하는 포장재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2674B2 (en) RFID tag supplying apparatus and tag tape roll
KR20230075092A (ko)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EP2651644A1 (de) Verfahren zum kaschieren einer substratplatte mit einer kunststofffolie
TW201404478A (zh) 塗覆裝置
KR101904688B1 (ko)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CN110700012B (zh) 涂覆法多功能pvc地板生产装备及方法
CN110039869A (zh) 一种新型三层复合涂布机
KR101910320B1 (ko)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방법
KR20170114091A (ko) 친환경 종이 양면지를 이용한 수저통합지 봉투의 제조방법
JP5260170B2 (ja) 情報通信体の製造方法
KR101837133B1 (ko) 시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31107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ape
TWI513441B (z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et tissue,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wet tissue
CN109963795A (zh) 用于包装纸卷的方法和机器以及获得的包装
KR100789926B1 (ko) 폴리우레탄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7077928B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label stock carrier
IT201600083243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nastri stampati accoppiati e macchina per la sua esecuzione.
KR101910319B1 (ko) 비닐지퍼를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CN216708554U (zh) 一种单一材质复合包装袋的制袋加工设备
WO201400690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ody of continuous sheets for an absorbent article and apparatus of the same
JP2012200804A (ja) 複合積層シート断裁装置
WO2020199340A1 (zh) 一种全回收环保包装结构及其制作方法
ITBO990318A1 (it)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e l' applicazione di un elemento di copertura su contenitori , quali lattine , barattoli e si
CN217803669U (zh) 一种分次复合的复合纸板生产系统
CN110817552A (zh) 一种pe薄膜印刷涂布分切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