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688B1 -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 Google Patents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688B1
KR101904688B1 KR1020180012771A KR20180012771A KR101904688B1 KR 101904688 B1 KR101904688 B1 KR 101904688B1 KR 1020180012771 A KR1020180012771 A KR 1020180012771A KR 20180012771 A KR20180012771 A KR 20180012771A KR 101904688 B1 KR101904688 B1 KR 101904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pair
feed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철민
Original Assignee
서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철민 filed Critical 서철민
Priority to KR102018001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29C65/7894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of continuously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8Non-mechanical surface pre-treatments, i.e. by flame treatment, electric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9Packag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Wrapper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제1권출롤로부터 권출되어 공급 및 이송되는 제1급지에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하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를 통해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된 상태에 있는 제1급지에 식품의 종류는 물론 액체상 또는 고체상 여부에 따라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여 합지하는 합지부; 상기 합지부를 통해 2가지 이상의 급지가 합지된 상태에 있는 합지필름을 경화 처리하고, 제1권취롤을 통해 권취하는 경화부; 상기 경화부를 거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슬리팅칼날을 이용한 슬리팅 처리를 통해 재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넓이를 갖게 하는 슬리팅부; 상기 슬리팅부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회전되는 절단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합지필름 2장을 포갠 상태로 하여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실링부; 상기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 상에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표면에 묻어있을 수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클리닝 처리 및 인쇄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다양한 급지를 공급하여 합지 처리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클리닝, 인쇄, 합지, 경화, 슬리팅, 절단, 실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인쇄불량을 방지하는 등 제품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MANUFACTURING EQUIPMENT OF PACKAGING FILM FOR PACKAGING FOOD}
본 발명은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용 포장필름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면서 3면을 실링 처리하여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등을 유통함에 있어서는 일정한 양으로 계량하고 이렇게 일정량으로 계량된 식품을 각각 포장한 후 유통시키게 되는데, 식품의 포장을 위해서는 포장필름이 사용된다.
이러한 식품에 사용되는 포장필름은 포장하는 식품의 특성에 따라 밀봉성과 방수성, 투기성, 항균성 등을 고려하여 만들어지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부연하면, 식품포장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삼면 포장지, 지퍼가 있어 남은 내용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는 지퍼 포장지, 내용물을 넣은 후 세울 수 있는 스탠드 포장지, 내용물을 충진하고 밀봉하여 가압가열살균 또는 멸균 처리할 수 있는 레토르트 포장지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에, 식품용 포장필름은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종이나 필름이 사용되고 있으며, 때로는 합지하여 제조한다.
통상적으로 식품용 등 포장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앞면과 뒷면의 인쇄층이 한 쌍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된 포장원단을 이송하다가 앞면의 인쇄층과 뒷면의 인쇄층의 사이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된 상태에서 자세 전환을 이루게 하여 각각의 안쪽면이 서로 마주하게 하고, 서로 합지한 상태에서 외측 둘레를 실링함에 의해 완성된다.
이후, 후가공을 통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포장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식품용 포장필름 등 포장재료에 대한 위생성 및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의 포장지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재질의 포장지 원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에도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90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35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95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식품용 포장필름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면서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여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급지 공급과 더불어 클리닝, 인쇄, 합지, 경화, 슬리팅, 절단, 실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함은 물론 제품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는, 액체상 또는 고체상의 다양한 식품을 내부에 보관 및 포장하기 위한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설비로서, 식품용 포장필름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면서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에 있어서, 제1권출롤로부터 권출되어 공급 및 이송되는 제1급지에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하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를 통해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된 상태에 있는 제1급지에 식품의 종류는 물론 액체상 또는 고체상 여부에 따라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여 합지하는 합지부; 상기 합지부를 통해 2가지 이상의 급지가 합지된 상태에 있는 합지필름을 경화 처리하고, 제1권취롤을 통해 권취하는 경화부; 상기 경화부를 거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슬리팅칼날을 이용한 슬리팅 처리를 통해 재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넓이를 갖게 하는 슬리팅부; 상기 슬리팅부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회전되는 절단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합지필름 2장을 포갠 상태로 하여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실링부; 상기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 상에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표면에 묻어있을 수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클리닝 처리하고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함으로써 인쇄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의 상하방향에 위치하는 한쌍의 클리닝롤러; 상기 각 클리닝롤러의 외면에 부착되고,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융이나 극세사 또는 면의 부드러운 직물소재로 이루어지는 클리닝부재; 상기 한쌍의 클리닝롤러 전방(前方)에 위치 및 제1급지의 인쇄가 수행되어지는 일면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급지의 폭방향을 커버하도록 라인형 노즐 구조를 가지며, 음이온을 분사함에 의해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하는 기능과 함께 2차 클리닝을 수행하는 이오나이저 또는 플라즈마발생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합지부는, 상기 제1권출롤 및 제1권취롤을 통해 클리닝부에서 경화부를 향해 이송되는 제1급지가 경유하며, 이송되는 제1급지의 상하방향에 위치하고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것으로서, 제1급지에 추가되는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합지 처리하는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 상기 제1급지 상에 제2급지를 공급 및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도록 공급하는 제2급지 공급롤; 상기 제1급지 또는 제2급지 상에 제3급지를 공급 및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도록 공급하는 제3급지 공급롤; 상기 제1급지 내지 제3급지 중 어느 하나의 급지 상에 제4급지를 공급 및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도록 공급하는 제4급지 공급롤;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기 이전에 제1급지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접착제 도포롤러;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기 이전에 제2급지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접착제 도포롤러;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기 이전에 제3급지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접착제 도포롤러; 상기 제1접착제 도포롤러 내지 제3접착제 도포롤러에 접착제를 각각 공급하는 제1접착제 공급부 내지 제3접착제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합지부를 커버하도록 하우징을 설치하고, 하우징 내부에 이오나이저 또는 플라즈마발생기의 탈취수단을 설치하여 음이온 또는 음이온과 동시에 오존을 방출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탈취 및 항균 기능을 제공 및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는,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하되 이송방향으로 좌우 간격 배치되는 상측 라미네이팅롤러; 상기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되는 상측 라미네이팅롤러를 연결하여 동시 회전되게 하고, 제1급지에 추가되는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상측방향에서 가압하여 합지 처리하는 가압벨트; 상기 상측 라미네이팅롤러의 하측에 설치되고, 서로 대응하도록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하되 이송방향으로 좌우 간격 배치되는 하측 라미네이팅롤러; 상기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되는 하측 라미네이팅롤러를 연결하여 동시 회전되게 하고, 제1급지에 추가되는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하측방향에서 가압하여 합지 처리하는 가압벨트;로 구비함으로써 면 접촉을 통해 합지에 따른 라미네이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슬리팅부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감은 상태에서 권출하여 공급하는 합지필름공급롤; 상기 합지필름공급롤을 통해 공급되는 합지필름의 이송을 가이드 및 합지필름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서로 상대 회전하는 한쌍의 이송롤러; 상기 한쌍의 이송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롤러 및 절단롤러; 상기 지지롤러 및 절단롤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절단된 합지필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 상기 한쌍의 가이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절단된 합지필름을 상기 실링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롤러는 외면 둘레에 간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절단나이프를 통해 합지필름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단나이프는,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분말을 원재료로 구비하고 가압 성형하여 나이프 형상을 갖게 하며 소결 처리한 후 끝단부를 연마 가공하여 제조하되; 상기 원재료 분말에 대해 평균 입자 크기가 10~30㎛이고, 상기 가압 성형은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분말을 성형틀에 넣은 후 300~500Kg/㎠의 가압조건에서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실시하며, 상기 소결은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10-3~10-4atm의 진공도 및 1100~1250℃의 온도조건에서 8~12시간 동안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하고자 하는 식품(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급지의 공급 및 합지를 수행하여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규격 처리가 가능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규격에 맞게 가공하면서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한 식품용 포장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급지를 공급하여 합지 처리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클리닝, 인쇄, 합지, 경화, 슬리팅, 절단, 실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인쇄불량을 방지하는 등 제품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를 나타낸 개략적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에 있어 클리닝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에 있어 인쇄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에 있어 합지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에 있어 절단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는 액체상 또는 고체상의 다양한 식품을 내부에 보관 및 포장하기 위한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부(110), 인쇄부(120), 합지부(130), 경화부(140), 슬리팅부(150), 절단부(160), 실링부(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리닝부(110) 내지 경화부(140)는 제1권출롤(101)과 제1권취롤(102)을 통해 롤투롤 방식으로 처리 및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팅부(150) 내지 실링부(170)는 각각 개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권출롤(101)을 통해서는 베이스필름으로서 완성 제품의 최외면에 위치되고 인쇄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제1급지(1)를 권출하여 공급하며, 상기 제1권취롤(102)을 통해서는 인쇄부(120)를 경유하여 인쇄가 이루어진 제1급지(1)에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합지시킨 합지필름(F)을 권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리닝부(110) 내지 경화부(140)는 제조시간 단축과 작업효율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연속 공정으로 실시하는 형태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각각 개별 공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클리닝부(110)는 상기 인쇄부(120)를 향해 이송되는 제1급지(1) 상에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표면에 묻어있을 수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클리닝 처리하고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함으로써 인쇄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클리닝부(110)는 상기 인쇄부(120)로 이송 공급되는 제1급지(1)의 상하방향에 위치하는 한쌍의 클리닝롤러(111)(112)와, 상기 각 클리닝롤러(111)(112)의 외면에 부착되고 인쇄부(120)로 공급되는 제1급지(1)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융이나 극세사 또는 면의 부드러운 직물소재로 이루어지는 클리닝부재(113)와, 상기 한쌍의 클리닝롤러(111)(112) 전방(前方)에 위치 및 제1급지(1)의 인쇄가 수행되어지는 일면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급지(1)의 폭방향을 커버하도록 라인형 노즐 구조를 가지며 음이온을 분사함에 의해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하는 기능과 함께 2차 클리닝을 수행하는 음이온 분사기(114)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음이온 분사기(114)는 이오나이저 또는 플라즈마발생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발생기를 적용하는 경우 음이온과 동시에 오존을 함께 분사할 수 있어 클리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을 갖는 클리닝부(110)를 통해서는 제1급지(1)의 인쇄를 진행할 표면에 대해 클리닝부재(113)로 닦아주어 사전에 먼지나 이물질 또는 기름때 등을 클리닝 처리할 수 있고, 이오나이저나 플라즈마발생기에 의한 음이온 분사기(114)에서 제1급지(1) 측으로 음이온 등을 분사하므로 정전기를 제거 및 정전기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이와 같은 기능 및 작용을 통해 제1급지(1) 상에 인쇄를 진행시 인쇄잉크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어 색상의 부착성을 높일 수 있고 진한 색상 표기가 가능하며, 인쇄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양질의 인쇄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인쇄부(120)는 상기 클리닝부(110)를 경유하여 이송 공급되는 제1급지(1)에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인쇄부(120)는 인쇄롤을 이용하는 방식의 그라비아 인쇄기 또는 옵셋 인쇄기이며, 제1인쇄부(121) 내지 제8인쇄부(128)를 일렬로 연속 구비하여 제1급지(1) 상에 1도 내지 8도의 색상으로 인쇄하거나 또는 제1급지 상에 1도 내지 8도의 색상 중에서 어느 1가지 이상을 선택 인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130)는 상기 인쇄부(120)를 통해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된 상태에 있는 제1급지(1)에 식품(내용물)의 종류는 물론 액체상 또는 고체상 여부에 따라 제2급지(2) 내지 제4급지(4)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공급하여 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합지부(130)는 상기 제1권출롤(101) 및 제1권취롤(102)을 통해 클리닝부(110)에서 경화부(140)를 향해 이송되는 제1급지(1)가 경유하며 이송되는 제1급지(1)의 상하방향에 위치하고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급지(1)에 추가되는 제2급지(2) 내지 제4급지(4)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합지 처리하는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131)와, 상기 제1급지(1) 상에 제2급지(2)를 공급 및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131)를 경유하도록 공급하는 제2급지 공급롤(132)과, 상기 제1급지(1) 또는 제2급지(2) 상에 제3급지(3)를 공급 및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131)를 경유하도록 공급하는 제3급지 공급롤(133)과, 상기 제1급지 내지 제3급지 중 어느 하나의 급지 상에 제4급지(4)를 공급 및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131)를 경유하도록 공급하는 제4급지 공급롤(134)과,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131)를 경유하기 이전에 제1급지(1)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접착제 도포롤러(135A)와,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기 이전에 제2급지(2)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접착제 도포롤러(135B)와,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기 이전에 제3급지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접착제 도포롤러(135C)와, 상기 제1접착제 도포롤러(135A) 내지 제3접착제 도포롤러(135C)의 외면에 접착제를 각각 공급하는 제1접착제 공급부(136A) 내지 제3접착제 공급부(136C)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131)는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하되 이송방향으로 좌우 간격 배치되는 상측 라미네이팅롤러(131a)와, 상기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되는 상측 라미네이팅롤러(131a)를 연결하여 동시 회전되게 하고 제1급지(1)에 추가되는 제2급지(2) 내지 제4급지(4)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상측방향에서 가압하여 합지 처리하는 가압벨트(131b)와, 상기 상측 라미네이팅롤러(131a)의 하측에 설치되고 서로 대응하도록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하되 이송방향으로 좌우 간격 배치되는 하측 라미네이팅롤러(131c)와, 상기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되는 하측 라미네이팅롤러(131c)를 연결하여 동시 회전되게 하고 제1급지에 추가되는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하측방향에서 가압하여 합지 처리하는 가압벨트(131d)로 구비함으로써 이송 공급되는 급지와의 면 접촉을 통해 합지에 따른 라미네이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접착제 공급부(136A) 내지 제3접착제 공급부(136C)는 각각 상기 제1접착제 도포롤러(135A) 내지 제3접착제 도포롤러(135C)의 하측에 구비되고, 액상의 접착제가 담긴 용기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접착제 도포롤러(135A) 내지 제3접착제 도포롤러(135C)가 회전하면서 액상의 접착제를 묻혀 제1급지(1) 내지 제3급지(3) 등에 도포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접착제 공급부(136A) 내지 제3접착제 공급부(136C)는 액상의 접착제가 굳지 않도록 열선이나 히터봉 등의 발열체를 내장하여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합지부(130)에는 합지부를 커버하도록 하우징(137)에 의한 커버 구조를 제공하고, 하우징 내부에 이오나이저 또는 플라즈마발생기의 탈취수단(138)을 설치하여 합지공간 상에 음이온 또는 음이온과 동시에 오존을 방출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탈취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7)의 내면에는 황토, 제올라이트, 광촉매물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을 도포하여 코팅함으로써 탈취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급지(1)는 PET필름, OPP필름, PE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고, 상기 제2급지(2)는 알루미늄필름, LLDPE필름, 나일론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고, 상기 제3급지(3)는 나일론필름, PE필름, CPR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고, 상기 제4급지(4)는 CPR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급지(1) 내지 제4급지(4)는 서로 중복되지 않게 선택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합지부(130)를 통해서는 2가지 내지 4가지 급지가 합지될 수 있다 할 것인데, 제1급지로 PET필름을 사용하고 제2급지로 LLDPE필름을 사용하여 2겹의 합지필름으로 합지할 수 있으며, 제1급지로 PET필름을 사용하고 제2급지로 LLDPE필름을 사용하며 제3급지로 CPR필름을 사용하여 3겹의 합지필름으로 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급지로 PET필름을 사용하고 제2급지로 LLDPE필름을 사용하고 제3급지로 나일론필름을 사용하며 제4급지로 CPR필름을 사용하여 4겹의 합지필름으로 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급지와 제3급지 또는 제4급지를 합지하여 2겹의 합지필름으로 합지할 수 있고, 제1급지와 제3급지 및 제4급지를 합지하여 3겹의 합지필름으로 합지할 수 있는 등 포장하는 식품(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합지할 수 있다.
상기 경화부(140)는 상기 합지부(130)를 통해 제1급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제1급지를 포함하여 2가지 이상의 급지가 합지된 상태에 있는 합지필름(F)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합지필름(F)을 경화 처리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경화부(140)는 열풍 경화방식, UV 경화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합지필름(F)은 경화부(140)를 경유하여 제1권취롤(102)에 권취된다.
상기 슬리팅부(150)는 상기 경화부(140)를 통해 경화 및 2가지 이상의 급지가 일체로 된 합지필름(F)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슬리팅칼날을 이용한 슬리팅 처리를 통해 재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넓이를 갖게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슬리팅부(15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합지필름(F)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이 장착되고, 일정 넓이를 갖도록 재단된 합지필름을 권취하도록 권취롤이 장착되며, 상기 공급롤과 권취롤의 사이에 슬리팅칼날이 장착되어 합지필름(F)을 재단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권취롤은 합지필름의 재단 상태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리팅칼날은 장착위치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160)는 상기 슬리팅부(150)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회전되는 절단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으로써 재단된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는 구성이다.
상기 절단부(160)는 상기 슬리팅부(150)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감은 상태에서 권출하여 공급하기 위한 합지필름공급롤(161)과, 상기 합지필름공급롤(161)을 통해 공급되는 합지필름(F)의 이송을 가이드 및 합지필름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이송롤러(162)와, 상기 한쌍의 이송롤러(162)의 하측에 배치되고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롤러(163) 및 절단롤러(164)와, 상기 지지롤러(163) 및 절단롤러(164)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절단된 합지필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165)와, 상기 한쌍의 가이드롤러(165)의 하측에 배치되어 절단된 합지필름을 실링부(170)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66)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절단롤러(164)는 외면 둘레에 간격 배치되어 2개 이상의 다수가 고정 설치되고 합지필름의 폭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절단나이프(164a)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회전하면서 합지필름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절단나이프(164a)는 가벼우면서도 강도와 내구성 및 절단력을 구비하도록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한다.
즉, 상기 절단나이프는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분말을 원재료로 구비하고 가압 성형하여 나이프 형상을 갖게 하며 소결 처리한 후 끝단부를 연마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의 원재료 분말에 대해서는 평균 입자 크기가 10~30㎛이고, 상기 가압 성형에 있어서는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분말을 나이프 형상을 갖는 성형틀에 넣은 후 300~500Kg/㎠의 가압조건에서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실시하며, 상기 소결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10-3~10-4atm의 진공도 및 1100~1250℃의 온도조건에서 8~12시간 동안 처리한다.
이후, 소결을 마친 결과물에 대해 끝단부를 연마하여 날카롭게 가공함으로써 실제 합지필름을 절단 처리하는 절단날부를 갖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절단부(160)에서는 합지필름공급롤(161)을 통해 상기 슬리팅부(150)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F)을 감은 상태에서 권출하여 공급하는데, 합지필름공급롤(161)을 통해 공급되는 합지필름(F)은 서로 밀착되어 상대 회전하는 한쌍의 이송롤러(162)를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되고, 연이어 서로 상대 회전하는 지지롤러(163)와 절단롤러(164) 사이를 통과하여 한쌍의 가이드롤러(165)에 의해 이송이 가이드된다.
이때, 상기 절단롤러(164)는 외면 둘레에 간격 배치되어 2개 이상의 다수가 고정 설치되는 절단나이프(164a)의 어느 하나가 이송되는 합지필름과 접촉되어 일정 크기로 절단하게 되며, 절단된 합지필름(F1)은 한쌍의 가이드롤러(165)를 통해 가이드되어 컨베이어(166) 상으로 안착 배치되고, 다음 공정을 위해 실링부(170) 측으로 이송 처리된다.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절단부(160)를 통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합지필름(F1) 2장을 서로 마주하도록 포갠 상태로 하여 어느 한 면을 제외한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실링부(170)는 고주파 가열을 통해 합지필름을 융착시켜 실링 처리하는 고주파 융착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방식의 융착실링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를 통해서는 포장하고자 하는 식품(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급지의 공급 및 합지를 수행하여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다양한 규격 처리가 가능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규격에 맞게 가공하면서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한 식품용 포장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급지를 공급하여 합지 처리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클리닝, 인쇄, 합지, 경화, 슬리팅, 절단, 실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조하며,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0: 클리닝부 111,112: 클리닝롤러
113: 클리닝부재 114: 음이온 분사기
120: 인쇄부 130: 합지부
140: 경화부 150: 슬리팅부
160: 절단부 161: 합지필름공급롤
162: 이송롤러 163: 지지롤러
164: 절단롤러 164a: 절단나이프
165: 가이드롤러 170: 실링부

Claims (6)

  1. 액체상 또는 고체상의 다양한 식품을 내부에 보관 및 포장하기 위한 식품용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설비로서, 식품용 포장필름을 규격에 맞게 가공하면서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에 있어서,
    제1권출롤로부터 권출되어 공급 및 이송되는 제1급지에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하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를 통해 1도 이상의 색상으로 인쇄된 상태에 있는 제1급지에 식품의 종류는 물론 액체상 또는 고체상 여부에 따라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여 합지하는 합지부; 상기 합지부를 통해 2가지 이상의 급지가 합지된 상태에 있는 합지필름을 경화 처리하고, 제1권취롤을 통해 권취하는 경화부; 상기 경화부를 거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슬리팅칼날을 이용한 슬리팅 처리를 통해 재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넓이를 갖게 하는 슬리팅부; 상기 슬리팅부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공급 및 이송 처리하되, 회전되는 절단나이프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으로써 합지필름에 대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합지필름 2장을 포갠 상태로 하여 가장자리 3면을 실링 처리하는 실링부; 상기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 상에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표면에 묻어있을 수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클리닝 처리하고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함으로써 인쇄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는 클리닝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슬리팅부를 통해 일정 넓이로 재단된 합지필름을 감은 상태에서 권출하여 공급하는 합지필름공급롤; 상기 합지필름공급롤을 통해 공급되는 합지필름의 이송을 가이드 및 합지필름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서로 상대 회전하는 한쌍의 이송롤러; 상기 한쌍의 이송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롤러 및 절단롤러; 상기 지지롤러 및 절단롤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서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절단된 합지필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 상기 한쌍의 가이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절단된 합지필름을 상기 실링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롤러는 외면 둘레에 간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절단나이프를 통해 합지필름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나이프는,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분말을 원재료로 구비하고 가압 성형하여 나이프 형상을 갖게 하며 소결 처리한 후 끝단부를 연마 가공하여 제조하되, 상기 원재료 분말에 대해 평균 입자 크기가 10~30㎛이고, 상기 가압 성형은 티타늄이나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분말을 성형틀에 넣은 후 300~500Kg/㎠의 가압조건에서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실시하며, 상기 소결은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10-3~10-4atm의 진공도 및 1100~1250℃의 온도조건에서 8~12시간 동안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의 상하방향에 위치하는 한쌍의 클리닝롤러;
    상기 각 클리닝롤러의 외면에 부착되고, 인쇄부로 공급되는 제1급지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융이나 극세사 또는 면의 부드러운 직물소재로 이루어지는 클리닝부재;
    상기 한쌍의 클리닝롤러 전방(前方)에 위치 및 제1급지의 인쇄가 수행되어지는 일면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급지의 폭방향을 커버하도록 라인형 노즐 구조를 가지며, 음이온을 분사함에 의해 정전기를 제거 및 차단하는 기능과 함께 2차 클리닝을 수행하는 이오나이저 또는 플라즈마발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부는,
    상기 제1권출롤 및 제1권취롤을 통해 클리닝부에서 경화부를 향해 이송되는 제1급지가 경유하며, 이송되는 제1급지의 상하방향에 위치하고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것으로서, 제1급지에 추가되는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합지 처리하는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
    상기 제1급지 상에 제2급지를 공급 및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도록 공급하는 제2급지 공급롤;
    상기 제1급지 또는 제2급지 상에 제3급지를 공급 및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도록 공급하는 제3급지 공급롤;
    상기 제1급지 내지 제3급지 중 어느 하나의 급지 상에 제4급지를 공급 및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도록 공급하는 제4급지 공급롤;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기 이전에 제1급지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접착제 도포롤러;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기 이전에 제2급지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접착제 도포롤러;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를 경유하기 이전에 제3급지의 일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접착제 도포롤러;
    상기 제1접착제 도포롤러 내지 제3접착제 도포롤러에 접착제를 각각 공급하는 제1접착제 공급부 내지 제3접착제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합지부를 커버하도록 하우징을 설치하고, 하우징 내부에 이오나이저 또는 플라즈마발생기의 탈취수단을 설치하여 음이온 또는 음이온과 동시에 오존을 방출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탈취 및 항균 기능을 제공 및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라미네이팅롤러는,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하되 이송방향으로 좌우 간격 배치되는 상측 라미네이팅롤러;
    상기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되는 상측 라미네이팅롤러를 연결하여 동시 회전되게 하고, 제1급지에 추가되는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상측방향에서 가압하여 합지 처리하는 가압벨트;
    상기 상측 라미네이팅롤러의 하측에 설치되고, 서로 대응하도록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하되 이송방향으로 좌우 간격 배치되는 하측 라미네이팅롤러;
    상기 2개 1조 또는 3개 1조로 구비되는 하측 라미네이팅롤러를 연결하여 동시 회전되게 하고, 제1급지에 추가되는 제2급지 내지 제4급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급지를 하측방향에서 가압하여 합지 처리하는 가압벨트; 로 구비함으로써 면 접촉을 통해 합지에 따른 라미네이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5. 삭제
  6. 삭제
KR1020180012771A 2018-02-01 2018-02-01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KR10190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71A KR101904688B1 (ko) 2018-02-01 2018-02-01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71A KR101904688B1 (ko) 2018-02-01 2018-02-01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688B1 true KR101904688B1 (ko) 2018-10-05

Family

ID=6387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71A KR101904688B1 (ko) 2018-02-01 2018-02-01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1742A (zh) * 2022-05-09 2022-06-03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薄膜包装的纸膜覆合设备
KR102604696B1 (ko) * 2023-02-28 2023-11-24 대원산업(주) 저심도홈부가 형성된 그라비아롤을 이용한 유해물질을 저감하는 포장재 제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629B1 (ko) * 2002-10-04 2005-06-22 (주) 필름마스터 포장용 필름 클리닝장치
KR100838708B1 (ko) * 2007-04-30 2008-06-16 김현노 포장용 봉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용봉투
KR101684932B1 (ko) * 2015-07-24 2016-12-09 대신기계 주식회사 배봉지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629B1 (ko) * 2002-10-04 2005-06-22 (주) 필름마스터 포장용 필름 클리닝장치
KR100838708B1 (ko) * 2007-04-30 2008-06-16 김현노 포장용 봉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용봉투
KR101684932B1 (ko) * 2015-07-24 2016-12-09 대신기계 주식회사 배봉지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1742A (zh) * 2022-05-09 2022-06-03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薄膜包装的纸膜覆合设备
KR102604696B1 (ko) * 2023-02-28 2023-11-24 대원산업(주) 저심도홈부가 형성된 그라비아롤을 이용한 유해물질을 저감하는 포장재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206B1 (ko)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US103685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rab stick
KR101904688B1 (ko)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US11738927B2 (en) Bundled product an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EP2651644B1 (de) Verfahren zum kaschieren einer substratplatte mit einer kunststofffolie
ATE512060T1 (de) Modulare zuförderer für automatische einrichtung zum formen, füllen und versiegeln
WO201207971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aschieren einer substratplatte mit einer kunststofffolie
KR20110080142A (ko) 골판지 포장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WO2009063370A3 (en) Machine for making pods containing infusion products
US200701755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orming a label to the contour of a container
KR101910320B1 (ko)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방법
CN105151360A (zh) 四边封包装机
KR20230075092A (ko) 식품 포장 필름 인쇄 장치
KR101910319B1 (ko) 비닐지퍼를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CN204916262U (zh) 四边封包装机
CN104802219A (zh) 一种纸盒包装的圆孔内衬模切工艺
KR20040095471A (ko) 수지인쇄에 의한 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의 제조장치
JP2012200804A (ja) 複合積層シート断裁装置
ITBO990318A1 (it)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e l' applicazione di un elemento di copertura su contenitori , quali lattine , barattoli e si
KR20090011137A (ko) 방습용 지대 제작방법 및 그 장치
JP2019077473A (ja) 真空チャンバー
EP33741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ating a film of plastic material
CN113195365B (zh) 用于包裹容器组的设备和方法
KR200283568Y1 (ko) 폴리에틸렌 시트 라미네이팅 장치
US20200369447A1 (en) Bundled product an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