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000B1 - 특수형 자동 제함기 - Google Patents

특수형 자동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000B1
KR102515000B1 KR1020210099874A KR20210099874A KR102515000B1 KR 102515000 B1 KR102515000 B1 KR 102515000B1 KR 1020210099874 A KR1020210099874 A KR 1020210099874A KR 20210099874 A KR20210099874 A KR 20210099874A KR 102515000 B1 KR102515000 B1 KR 102515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oving
bending
coupled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110A (ko
Inventor
전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기계
전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기계, 전성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기계
Priority to KR102021009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0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7Feeding sheets or blank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3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continuously feeding the sheets, blanks or webs to stationary members, e.g. plates, plough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moving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31B50/782Mechanically by pushing the opposite ends of collapsed blanks towards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형 자동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되는 박스의 폭 방향 날개편을 접는 제1,2절곡수단을 가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는 박스의 제함이 하나의 제함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함기의 활용성을 개선하고, 박스 종류별로 제함기를 구매하는 경제적 부담도 해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첫째 기체와; 기체와 직각으로 배치된 박스적재부에서 공급되는 박스를 낱장으로 흡착 공급하도록 기체에 설치한 박스공급부와; 박스공급부와 직각으로 기체에 설치되어 공급된 박스의 폭 방향 날개편을 절곡하는 제1,2절곡수단과; 폭 방향 날개편의 바깥쪽으로 길이방향 날개편을 절곡하도록 기체에 설치한 제3,4절곡수단과; 제2절곡수단의 지지체 상단에 구비되어 폭 방향 날개편과 길이방향 날개편이 접힌 상태의 박스를 테이핑 헤드가 있는 박스이송컨베이어 쪽으로 가압하는 이송시키는 푸싱수단을 포함하는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제1,2절곡수단 중 어느 하나는 푸싱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박스의 이동방향으로 제1이동수단 또는 제2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다양한 박스를 제함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2절곡수단은 푸싱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박스의 이동방향으로 제1,2이동수단에 의해 각각 이동되어 다양한 박스를 제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특수형 자동 제함기{Special type automatic box folding machine}
본 발명은 특수형 자동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되는 박스의 폭 방향 날개편을 접는 제1,2절곡수단을 가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는 박스의 제함이 하나의 제함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함기의 활용성을 개선하고, 박스 종류별로 제함기를 구매하는 경제적 부담도 해소할 수 있게 한 특수형 자동 제함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박스는 골판지를 재단하여 4각형으로 측벽을 만들고 측벽 상ㅇ하단에 폭 방향 날개편과 길이방향 날개편을 일체 형성하고, 이들 날개편을 접은 후 테이핑 작업을 통해 밀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통상 제함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작업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Y1)20-0176058호(2000.03.15.)의 제함기의 종이박스 밑면 접는 장치, 등록특허공보(B1) 10-0881129호(2009.02.02.)의 제함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195597호(2012.10.29.)의 제함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대부분 특정 크기의 박스에 부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크기가 다른 박스의 제함이 어려웠다.
이에 업계에서는 크기가 다른 박스들도 하나의 제함기로 제함할 수 있는 특수한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는 제함기가 요구되고 있다.
KR 200176058 Y1 2000.03.15. KR 100881129 B1 2009.02.02. KR 101195597 B1 2012.10.29.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박스 크기별로 별도의 제함기를 구매 사용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하나의 제함기에서 효과적으로 제함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공급되는 박스에서 폭 방향 날개편을 제1,2절곡수단으로 1차 절곡한 상태에서 제3,4절곡수단으로 길이방향 날개편을 2차 절곡한 후 테이핑 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박스이송컨베이어 쪽으로 푸싱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1,2절곡수단 중 하나 또는 제1,2절곡수단 모두를 좌우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여 다양한 구성의 박스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박스 크기별로 제함기를 별도 구매하는 등의 경제적인 부담 없이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제함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 특수형 자동 제함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기체와; 기체와 직각으로 배치된 박스적재부에서 공급되는 박스를 낱장으로 흡착 공급하도록 기체에 설치한 박스공급부와; 박스공급부와 직각으로 기체에 설치되어 공급된 박스의 폭 방향 날개편을 절곡하는 제1,2절곡수단과; 폭 방향 날개편의 바깥쪽으로 길이방향 날개편을 절곡하도록 기체에 설치한 제3,4절곡수단과; 제2절곡수단의 지지체 상단에 구비되어 폭 방향 날개편과 길이방향 날개편이 접힌 상태의 박스를 테이핑 헤드가 있는 박스이송컨베이어 쪽으로 가압하는 이송시키는 푸싱수단을 포함하는 제함기에 있어서;
상기 제1,2절곡수단 중 어느 하나는 푸싱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박스의 이동방향으로 제1이동수단 또는 제2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다양한 박스를 제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제1,2절곡수단은 푸싱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박스의 이동방향으로 제1,2이동수단에 의해 각각 이동되어 다양한 박스를 제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제1이동수단은, 기체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시가 결합된 제1이동구와; 제1이동구와 기체에 양단을 결합한 제1이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제1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제1절곡수단은, 제1이동구 상측에 세워진 서포터와; 서포터 전방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절곡편과; 제1이동구와 제1절곡편에 양단이 회전되도록 결합된 제1절곡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서포터의 상부에는 푸싱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도록 푸싱판을 결합한 푸싱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제2이동수단은, 기체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시가 결합된 제2이동구와; 제2이동구와 기체에 양단을 결합한 제2이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제2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제2절곡수단은, 제2이동구 상측에 세워지는 서포터와; 서포터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편 상측에 설치한 고정절곡편과; 고정절곡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절곡편과; 제2이동구와 제2절곡편에 양단을 결합한 제2이동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수형 자동 제함기를 사용할 경우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제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은 박스공급부와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2절곡수단이 각각 제1,2이동수단에 의해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제1,2절곡수단을 이동시키는 수고로움으로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제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박스 규격별로 제함기를 별로 비치해야 하는 등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으로 박스를 제함하는 순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수형 자동 제함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절곡수단 및 푸싱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절곡수단이 제1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절곡수단의 작동상태 및 푸싱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절곡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절곡수단이 제2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절곡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3,4절곡수단의 일 례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수형 제함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으로 제함하는 박스의 순서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박스(100)의 경우 상부와 하부에 각각 4개의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10)를 사각형으로 만든 다음 박스(100) 하측의 폭 방향 날개편(120)을 1차 절곡하고, 폭 방향 날개편(120)이 덮이도록 길이방향 날개편(130)을 2차 절곡한 후 테이핑을 하는 순서에 의해 제함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박스(100) 제함을 기계적으로 연속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의 제함기(1)가 제공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수형 자동 제함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박스(100)를 제함하는 제함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00)가 적재된 상태로 공급되는 박스적재부(200)가 배치되며, 박스적재부(200)와 직각으로 기체(2)가 배치된다.
기체(2)에는 박스적재부(200)에 적재되어 있는 박스(100)를 진공 흡착한 상태로 공급하는 박스공급부(3)가 설치된다. 박스공급부(3)는 실린더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며 박스(100)의 길이방향 측면을 흡착구(3a)로 흡착하여 공급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상기 박스공급부(3)와 직각으로 기체(2)에는 제1절곡수단(10)과, 제2절곡수단(20)이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2절곡수단(10)(20)은 박스(100)의 폭 방향에 위치하는 폭 방향 날개편(120)을 절곡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절곡수단(10)의 상측에는 박스(100)를 제1절곡수단(10)에서 제2절곡수단(20)으로 가압이송시키는 푸싱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절곡수단(20)의 좌우측으로는 대칭으로 제3,4절곡수단(40)(50)이 배치되며, 제1,2절곡수단(10)(20)에 의해 박스(100)의 폭 방향 날개편(120)을 1차 절곡한 상태에서 제3,4절곡수단(40)(50)이 구동되어 박스(100)의 길이방향 날개편(130)의 폭 방향 날개편(120)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2차 절곡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3,4절곡수단(40)(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상으로 구성되어 서로 대칭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게 일단에 기어로 결합되고 일측 기어를 실린더와 같은 동력수단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제함기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기술이다.
상시 제2절곡수단(20)의 측방에는 박스이송컨베이어(4)가 설치된다.
박스이송컨베이어(4)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제1 내지 4절곡수단(10)(20)(30)(40)에 의해 폭 방향 날개편(120) 및 길이방향 날개편(130)이 순차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푸싱수단(30)에 의해 가압되는 박스(100)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 박스이송컨베이어(4)는 기체(2)에 구비되어 있는 핸들을 이용하여 좌우 폭을 조절하여 다양한 폭의 박스(10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박스이송컨베이어(4) 사이의 기체(2)에는 테이핑 헤드(5)를 설치한다.
테이핑 헤드(5)는 상기와 같이 박스(100)의 길이방향 날개편(130)의 폭 방향 날개편(120)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절곡된 상태에서 박스이송컨베이어(4)에 의해 이송될 때 양측 길이방향 날개편(130)에 테이프를 테이핑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함기(1)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본적인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제함기(1)의 경우 제1,2절곡수단(10)(20)이 기체(2)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어서 박스(100)의 규격, 특히 박스(100)의 길이가 달라지는 경우 폭 방향 날개편(120)의 위치가 달라져 올바른 제함이 어려워 박스(100) 규격별로 제함기(1)를 별도 비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1,2절곡수단(10)(20) 중 어느 하나는 푸싱수단(30)에 의해 이동하는 박스(100)의 이동방향으로 제1이동수단(60) 또는 제2이동수단(70)에 의해 이동되어 다양한 박스(100)를 제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1,2절곡수단(10)(20)은 푸싱수단(30)에 의해 이동하는 박스(100)의 이동방향으로 제1,2이동수단(60)(70)에 의해 각각 이동되어 다양한 박스(100)를 제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에서 제1,2절곡수단(10)(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절곡수단 및 푸싱수단을 발췌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절곡수단이 제1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절곡수단의 작동상태 및 푸싱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1절곡수단(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수단(60)에 의해 가변 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이동수단(60)은 기체(2)에 한 쌍의 가이드봉(61)을 설치하고, 가이드봉(61)을 따라서 제1이동구(62)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이동구(62)의 하측으로는 가이드봉(6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시(6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이동구(62)의 측방에는 기체(2)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제1이동실린더(64)의 로드를 결합하여 제1이동구(6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이동수단(60)에 의해 이동되는 제1절곡수단(10)의 구성은 상기 제1이동구(62)의 상측으로 서포터(11)를 세우고, 서포터(11)의 전방(제2절곡수단(20) 쪽)에 제1절곡편(12)을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제1절곡편(12)과 제1이동구(62) 사이에는 제1절곡실린더(13)를 결합하여 제1절곡편(1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박스(100)의 폭 방향 날개편(120)을 접을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서포터(11)의 상측으로는 푸싱수단(30)이 설치되어 제1이동수단(60)에 의해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푸싱수단(30)은 푸싱실린더(31)의 로드에 푸싱판(32)을 결합하여 박스(100)를 박스이송컨베이어(4) 쪽으로 가압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절곡수단을 발췌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절곡수단이 제2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절곡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2절곡수단(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수단(70)에 의해 가변 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이동수단(70)은 기체(2)에 한 쌍의 가이드봉(71)을 설치하고, 가이드봉(71)을 따라서 제2이동구(72)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이동구(72)의 하측으로는 가이드봉(7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시(7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이동구(72)의 측방에는 기체(2)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제2이동실린더(74)의 로드를 결합하여 제2이동구(7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이동수단(70)에 의해 이동하는 제2절곡수단(20)의 구성은 상기 제2이동구(72) 상측에 서포터(21)를 세우고, 서포터(21)의 상측으로 얇은 지지편(22)을 형성하여 제3,4절곡수단(40)(50)에 의해 상향으로 절곡되는 길이방향 날개편(130) 사이에 지지편(22)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편(22)의 상측으로는 고정절곡편(23)을 설치하고, 고정절곡편(23)에는 제1절곡수단(10) 쪽으로 제2절곡편(24)을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제2절곡편(24) 제2이동구(72) 사이에는 제2절곡실린더(25)를 결합하여 제2절곡편(24)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박스(100)의 폭 방향 날개편(120)을 접을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박스공급부(3)와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2절곡수단(10)(20)이 각각 제1,2이동수단(60)(70)에 의해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제1,2절곡수단(10)(20)을 이동시키는 수고로움으로 다양한 규격의 박스(100)를 제함할 수 있으므로 박스(100) 규격별로 제함기(1)를 별로 비치해야 하는 등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특수형 자동) 제함기 2:기체
3:박스공급부 3a:흡착구
4:박스이송컨베이어 5:테이핑 헤드
10:제1절곡수단 11:서포터
12:제1절곡편 13:제1절곡실린더
20:제2절곡수단 21:서포터
22:지지편 23:고정절곡편
24:제2절곡편 25:제2절곡실린더
30:푸싱수단 31:푸싱실린더
32:푸싱판 40:제3절곡수단
50:제4절곡수단 60:제1이동수단
61:가이드봉 62:제1이동구
63:슬라이드부시 64:제1이동실린더
70:제2이동수단 71:가이드봉
72:제2이동구 73:슬라이드부시
74: 제2이동실린더
100:박스 110:측벽
120:폭 방향 날개편 130:길이방향 날개편
200:박스적재부

Claims (5)

  1. 기체(2)와; 기체(2)와 직각으로 배치된 박스적재부(200)에서 공급되는 박스(100)를 낱장으로 흡착 공급하도록 기체(2)에 설치한 박스공급부(3)와; 박스공급부(3)와 직각으로 기체(2)에 설치되어 공급된 박스(100)의 폭 방향 날개편(120)을 절곡하는 제1,2절곡수단(10)(20)과; 폭 방향 날개편(120)의 바깥쪽으로 길이방향 날개편(130)을 절곡하도록 기체(2)에 설치한 제3,4절곡수단(40)(50)과; 제2절곡수단(20)의 지지체 상단에 구비되어 폭 방향 날개편(120)과 길이방향 날개편(130)이 접힌 상태의 박스(100)를 테이핑 유닛이 있는 이송컨베이어 쪽으로 가압하는 이송시키는 푸싱수단(30)을 포함하는 제함기(1)에 있어서;
    상기 제1,2절곡수단(10)(20) 중 어느 하나는 푸싱수단(30)에 의해 이동하는 박스(100)의 이동방향으로 제1이동수단(60) 또는 제2이동수단(70)에 의해 이동되어 다양한 박스(100)를 제함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1이동수단(60)은, 기체(2)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61)과;
    가이드봉(6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시(63)가 결합된 제1이동구(62)와;
    제1이동구(62)와 기체(2)에 양단을 결합한 제1이동실린더(64)를 포함하며;
    제1이동수단(60)에 의해 이동되는 제1절곡수단(10)은, 제1이동구(62) 상측에 세워진 서포터(11)와;
    서포터(11) 전방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절곡편(12)과;
    제1이동구(62)와 제1절곡편(12)에 양단이 회전되도록 결합된 제1절곡실린더(13)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11)의 상부에는 푸싱실린더(31)에 의해 작동하도록 푸싱판(32)을 결합한 푸싱수단(30)을 설치하며;
    상기 제2이동수단(70)은, 기체(2)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71)과;
    가이드봉(7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시(73)가 결합된 제2이동구(72)와;
    제2이동구(72)와 기체(2)에 양단을 결합한 제2이동실린더(74)를 포함하며;
    제2이동수단(70)에 의해 이동하는 제2절곡수단(20)은, 제2이동구(72) 상측에 세워지는 서포터(11)와;
    서포터(11)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편(22) 상측에 설치한 고정절곡편(23)과;
    고정절곡편(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절곡편(24)과; 제2이동구(72)와 제2절곡편(24)에 양단을 결합한 제2이동실린더(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형 자동 제함기.
  2. 기체(2)와; 기체(2)와 직각으로 배치된 박스적재부(200)에서 공급되는 박스(100)를 낱장으로 흡착 공급하도록 기체(2)에 설치한 박스공급부(3)와; 박스공급부(3)와 직각으로 기체(2)에 설치되어 공급된 박스(100)의 폭 방향 날개편(120)을 절곡하는 제1,2절곡수단(10)(20)과; 폭 방향 날개편(120)의 바깥쪽으로 길이방향 날개편(130)을 절곡하도록 기체(2)에 설치한 제3,4절곡수단(40)(50)과; 제2절곡수단(20)의 지지체 상단에 구비되어 폭 방향 날개편(120)과 길이방향 날개편(130)이 접힌 상태의 박스(100)를 테이핑 유닛이 있는 이송컨베이어 쪽으로 가압하는 이송시키는 푸싱수단(30)을 포함하는 제함기(1)에 있어서;
    상기 제1,2절곡수단(10)(20)은 푸싱수단(30)에 의해 이동하는 박스(100)의 이동방향으로 제1,2이동수단(60)(70)에 의해 각각 이동되어 다양한 박스(100)를 제함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1이동수단(60)은, 기체(2)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61)과;
    가이드봉(6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시(63)가 결합된 제1이동구(62)와;
    제1이동구(62)와 기체(2)에 양단을 결합한 제1이동실린더(64)를 포함하며;
    제1이동수단(60)에 의해 이동되는 제1절곡수단(10)은, 제1이동구(62) 상측에 세워진 서포터(11)와;
    서포터(11) 전방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절곡편(12)과;
    제1이동구(62)와 제1절곡편(12)에 양단이 회전되도록 결합된 제1절곡실린더(13)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11)의 상부에는 푸싱실린더(31)에 의해 작동하도록 푸싱판(32)을 결합한 푸싱수단(30)을 설치하며;
    상기 제2이동수단(70)은, 기체(2)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71)과;
    가이드봉(7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시(73)가 결합된 제2이동구(72)와;
    제2이동구(72)와 기체(2)에 양단을 결합한 제2이동실린더(74)를 포함하며;
    제2이동수단(70)에 의해 이동하는 제2절곡수단(20)은, 제2이동구(72) 상측에 세워지는 서포터(11)와;
    서포터(11)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편(22) 상측에 설치한 고정절곡편(23)과;
    고정절곡편(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절곡편(24)과; 제2이동구(72)와 제2절곡편(24)에 양단을 결합한 제2이동실린더(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형 자동 제함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99874A 2021-07-29 2021-07-29 특수형 자동 제함기 KR102515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74A KR102515000B1 (ko) 2021-07-29 2021-07-29 특수형 자동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74A KR102515000B1 (ko) 2021-07-29 2021-07-29 특수형 자동 제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10A KR20230018110A (ko) 2023-02-07
KR102515000B1 true KR102515000B1 (ko) 2023-03-29

Family

ID=8522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874A KR102515000B1 (ko) 2021-07-29 2021-07-29 특수형 자동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0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90B1 (ko) * 2013-10-30 2014-08-07 김현태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JP2018065321A (ja) 2016-10-20 2018-04-26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シート折り畳み装置及び製函機
KR101998618B1 (ko) 2017-02-15 2019-07-10 주식회사 삼원기계 박스 둘레를 테이핑하는 테이핑장치
KR102275809B1 (ko) * 2020-06-05 2021-07-12 주식회사 에스씨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903Y2 (ko) * 1986-11-20 1991-11-08
KR200176058Y1 (ko) 1999-11-02 2000-03-15 주식회사대현하이테크 제함기의 종이박스 밑면 접는 장치
KR100881129B1 (ko) 2007-06-14 2009-02-02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KR101195597B1 (ko) 2012-03-28 2012-10-29 주식회사 삼원기계 제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90B1 (ko) * 2013-10-30 2014-08-07 김현태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JP2018065321A (ja) 2016-10-20 2018-04-26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シート折り畳み装置及び製函機
KR101998618B1 (ko) 2017-02-15 2019-07-10 주식회사 삼원기계 박스 둘레를 테이핑하는 테이핑장치
KR102275809B1 (ko) * 2020-06-05 2021-07-12 주식회사 에스씨 자동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10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2886B2 (ja) 物品または積重ね体を包装するための装置
JP5943401B1 (ja) 多関節型ロボットによる箱組立て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箱組立てシステム
MX2014010627A (es) Metodos y maquina para formar un recipiente a partir de una plantilla utilizando una seccion de mandril pre-doblada.
JP6587963B2 (ja) 製函装置
KR101631097B1 (ko) 자동 박스 제함기
CA2830282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sealing a container having centering tabs
US11981102B2 (en) Machine for forming a container from a blank
KR20190073734A (ko) 포장박스 조립 자동화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6876588B2 (ja) 箱詰め装置および箱詰め方法
ITMO980034U1 (it) Confezione per pacchi di oggetti di forma appiattita impilati l'uno sull'altro
KR102515000B1 (ko) 특수형 자동 제함기
KR101195597B1 (ko) 제함기
KR102294935B1 (ko) 다열 제함기
JP2005119730A (ja) ロボット式ケーサ
JPH0514607B2 (ko)
JPH0742711Y2 (ja) 製函装置
JP2020059536A (ja) 箱のフラップ拡開装置
KR102597474B1 (ko) 박스 봉함 장치
JP6158772B2 (ja) 中仕切りの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100418354B1 (ko) 부분적으로 포장이 형성된 골판지 포장재의자동포장기계장치
JPS597204Y2 (ja) 包装々置
JPS597201Y2 (ja) 包装々置
CN216832454U (zh) 一种折盒机
JPS6123378Y2 (ko)
JP7142911B2 (ja) 箱のフラップ拡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