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690B1 -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690B1
KR101426690B1 KR1020130130113A KR20130130113A KR101426690B1 KR 101426690 B1 KR101426690 B1 KR 101426690B1 KR 1020130130113 A KR1020130130113 A KR 1020130130113A KR 20130130113 A KR20130130113 A KR 20130130113A KR 101426690 B1 KR101426690 B1 KR 10142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axis
attachment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김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태 filed Critical 김현태
Priority to KR102013013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having several plungers moving in a closed path and cooperating with stationary folding die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용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과, 박스조립부와, 상기 박스조립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를 하나의 조립 장치에서 조립할 수 있고, 조립시 발생한 불량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포장박스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포장박스의 하부판을 접는 박스조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스조립부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절첩구와, 상기 제1절첩구에 대해 교차 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절첩구와, 상기 제1절첩구와 제2절첩구에 각각 결합되어 제1절첩구와 제2절첩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포장박스용 조립장치{assembly devices for Packaging-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용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과, 박스조립부와, 상기 박스조립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를 하나의 조립 장치에서 조립할 수 있고, 조립시 발생한 불량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포장박스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물품을 일정 수량만큼 담거나 안전하게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해 포장박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박스는 내측에 수용되는 물품을 보호하기 위해 내구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하드보드 또는 골판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내부 단면의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포장박스는 하드보드 또는 골판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내부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는 사각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네 측벽을 이루는 측벽판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판과 하부판이 내측을 향해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측벽판은 길이가 긴 장판과 짧은 단판으로 구성된다.
종래 포장박스의 조립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측벽판 중 단판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판을 내측으로 절곡한 뒤 측벽판 중 장판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판을 내측으로 절곡하고, 장판의 끝단이 상호 접하는 부위를 테이프를 부착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포장박스는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포장박스의 자동화 공정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7467호(2013.06.10. 등록)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의 자동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포장박스의 하부를 조립한 뒤 이송하고, 이송된 포장박스에 제품을 수납하고 제품이 수납된 포장박스의 상부를 조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은 포장박스를 자동으로 조립하여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제품이 수납된 포장박스를 다시 조립하여 포장을 완료하는 자동 조립장치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포장박스를 조립하는 공정에서는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포장박스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제1하부조립부, 제2하부조립부, 상부조립부 등 포장박스를 조립하는 구성을 변경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포장박스의 조립 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공정을 정지시킨 후 불량 조립된 포장박스를 제거해야 하므로 이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를 하나의 조립장치를 통해서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되는 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하부조립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포장박스를 조립하는 순서 중 일부분이 반자동화(半自動化) 공정으로 이루어져 포장박스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조립시 발생하는 불량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포장박스의 하부판을 접는 박스조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스조립부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절첩구와, 상기 제1절첩구에 대해 교차 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절첩구와, 상기 제1절첩구와 제2절첩구에 각각 결합되어 제1절첩구와 제2절첩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절첩구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음판과, 일단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접음판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접음판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제1절첩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조절부는, 제1이동블럭과, 상기 제1이동블럭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절첩구의 하단이 결합된 제1고정구와, 양단이 고정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1이동블럭에 배치되되 상기 제1고정구에 관통 삽입되는 1-1축과, 일단은 상기 제1절첩구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타측의 제1절첩구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1-1축의 상부에서 1-1축에 대해 교차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1-2축과,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브라켓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1-1축의 하부에서 1-1축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1-3축과, 상기 1-3축이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이동블럭의 하부에 결합된 제2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제2절첩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조절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조절부는, 제2이동블럭과, 상기 제2이동블럭의 상부에 고정브라켓을 통해 양단이 고정된 2-1축과, 한 쌍의 제2절첩구 중 어느 일측의 제2절첩구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2-1축이 관통 삽입된 제3고정구와, 메인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브라켓을 통해 고정된 2-3축과, 상기 제2이동블럭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2-3축이 관통 삽입되는 제4고정구과, 상기 1-1축이 관통 삽입되며 상부에 고정몸체가 구비된 제5고정구과, 일단은 상기 고정몸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제2절첩구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2-1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2-2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음판은,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음판이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절첩구는 제1절첩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좌우 양측단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단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만곡면이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 진입하는 포장박스의 하부판이 상기 만곡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동블럭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 형상의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는 원터치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를 조립하기 용이하며, 조립시 발생하는 불량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불량품을 제거하기 위해 조립 공정을 중단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포장박스의 자동화 공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조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조립장치를 분해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음판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립부의 위치 조절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조립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포장박스(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네 측벽판(110)과, 상기 네 측벽판(11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판(120)과, 상기 네 측벽판(1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판(130) 및 상기 측벽판(110)과 하부판(120)이 맞닿는 부위와 측벽판(110)과 상부판(130)이 맞닿는 부위에 각각 절첩선(140)이 구비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부, 하부, 전방, 후방, 좌측, 우측의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다만 도 6의 (c)는 평면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므로, 도 6의 (c)의 설명 중 방향은 도 6의 (c)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조립장치(1)는, 메인프레임(10)과, 박스조립부(20) 및 위치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11)과, 상기 수평프레임(11)의 좌우 양측단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11)은 정단면의 형상이 사각 또는 사다리꼴 등과 같이 상면이 평탄한 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상면에 후술하는 고정브라켓(15)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13)은 일측면에 만곡면(14)이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 진입하는 포장박스(100)의 하부판(120)이 만곡면(14)을 따라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박스조립부(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00)의 하부판(120)을 접는 제1절첩구(21)와, 제2절첩구(22) 및 상기 제1절첩구(21)와 제2절첩구(2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절첩구(21)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부로부터 진입하는 포장박스(100)의 하부판(120)을 접기 위한 것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1)와, 접음판(23)과, 탄성스프링(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절첩구(21)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포장박스(100)의 하부판(120)을 접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211)와, 상기 지지대(211)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음판(23)과, 일단은 상기 지지대(2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접음판(23)의 일측단부에 고정되어 접음판(23)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접음판(23)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3a)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211)의 상단에는 상기 돌기(23a)가 삽입되는 절개홈(211a)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접음판(23)은 지지대(211)의 상단에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며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접음판(23)을 지지대(211)로부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제1절첩구(21)의 위치를 후술하는 위치조절수단(30)을 통해 조절한 뒤 포장박스 하부판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접음판(23)으로 교체하는 것이다.
또한, 접음판(23)은 탄성스프링(213)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방으로부터 진입하는 포장박스의 하부판(120)의 하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접음판(23)의 상단과 맞닿고, 이후 하부판(120)의 하단이 접음판(23)을 따라 하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포장박스에 형성된 절첩선(140)에 의해 접혀지기 시작한다.
이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의 측판벽(110)이 접음판(23)과 맞닿아 이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음판(23)은 상방으로 선회하면서 하부판(120)을 접게 되며 이때 탄성스프링(213)은 접음판(23)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늘어난다(인장(引張))
이후,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포장박스가 다음 공정을 위하여 이동되며 탄성스프링(213)은 수축(복귀)되면서 접음판(23)을 하방으로 당겨 접음판(23)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2절첩구(22)는 상기 제1절첩구(2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제1절첩구(21)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인접한 제1절첩구(21)와 90°을 유지하면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절첩구(22)의 상단에 배치된 접음판(23)은 제1절첩구(21)에 배치된 접음판(23)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절첩구(21)가 포장박스의 하부판 중 길이가 짧은 단판을 접은 후 제2절첩구(22)가 포장박스의 하부판 중 길이가 긴 장판을 접도록 하여 접혀진 하부판이 상하로 겹치도록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및 상기 설명에서는 제2절첩구(22)가 제1절첩구(21)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제2절첩구(22)에 구비된 접음판(23)의 높이가 제1절첩구(21)에 구비된 접음판(23)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절첩구(21)와 제2절첩구(2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수단(3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첩구(21)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31)와, 제2절첩구(22)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조절부(31)는 한 쌍의 제1절첩구(21)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고, 한 쌍의 제1절첩구(21) 중 어느 일측을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조절부(31)는 한 쌍의 제1절첩구(21) 중 일측의 제1절첩구(21)가 배치되는 제1이동블럭(311)과, 양단이 고정브라켓(15)을 통해 제1이동블럭(311)의 상부에 고정되는 1-1축(313)과, 제1절첩구(21)의 하부에 결합되며 1-1축(313)이 관통 삽입되는 제1고정구(312)와, 일단은 제1이동블럭(311)에 배치된 제1절첩구(21)에 관통 삽입되고 타단은 타측의 제1절첩구(21)에 고정 결합된 1-2축(314)과,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브라켓(15)을 통해 고정된 1-3축(315)과, 1-3축(315)이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이동블럭(311)의 하부에 결합된 제2고정구(3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동블럭(31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 형상의 이동판(311a)과 상기 이동판(311a)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보조프레임(311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판(311a)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제2고정구(317)가 결합되어 제1이동블럭(31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한 쌍의 제1절첩구(21)사이의 간격을 더 넓히거나 좁게 배치할 때 제2고정구(317)를 1-3축(315)으로부터 해제한 뒤 제1이동블럭(31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고정구(317)를 1-3축에 결합하여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제1절첩구(21)의 간격을 조절할 때는, 제2고정구(317)를 1-3축(315)으로부터 해제하고, 제1이동블럭(311)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보조프레임(311b)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가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보조프레임(311b)의 상단에는 만곡면(14)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3)이 결합되어 상방으로부터 진입되는 포장박스의 하부판을 제1절첩구(21)가 배치된 측으로 안내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보조프레임(311b)의 상부에는 한 쌍의 제1절첩구(21) 중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절첩구(21)가 배치되며 상기 제1절첩구(21)는 후술하는 1-1축(313)과 1-1축(313)에 결합된 제1고정구(312)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1-1축(313)은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구비되는 제1절첩구(21)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제1고정구(312)는 상기 1-1축(313)이 각각 관통 삽입되고 상부에는 제1절첩구(21)가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제1고정구(312)는 제1절첩구(2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 뒤 이동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각각의 제1절첩구(21)의 하부에 구비된 제1고정구(312)를 해제한 뒤 제1절첩구(21)를 전방 또는 후방(도 6의 (c)는 평면방향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때의 방향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구(312)와 제2고정구(317)는 일반적인 원터치 클램프와 구조 및 동작 관계가 동일한 것이므로 내부 구조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기 1-1축(313), 1-2축(314), 1-3축(315) 및 후술하는 2-1축(322), 2-2축(328), 2-3축(324)이 원형의 봉 형상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필요에 따라 단면이 사각 형상을 이루는 LM 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1-1축(313), 1-2축(314), 1-3축(315) 및 후술하는 2-1축(322), 2-2축(328), 2-3축(324)이 각각 일반적인 공작 기계 또는 자동화 고정 등에서 사용되는 LM 가이드 중 LM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고정구(312)와 제2고정구(317) 및 후술하는 제3고정구(322)와 제4고정구(325)는 LM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LM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1-2축(314)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제1절첩구(21) 중 어느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타단은 타측의 제1절첩구(21)에 관통 삽입되어 관통 삽입된 측의 제1절첩구(2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때 흔들림을 방지한다. 즉, 상기 1-2축(314)은 후술하는 1-3축(315)에서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절첩구(2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때 흔들림을 방지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33)는 상기 1-2축(314)이 관통 삽입되며 제1절첩구(21)에 고정 결합된 리니언부쉬(33)이다.
상기 1-3축(315)은, 양단이 메인프레임(10)의 수평프레임(11)의 상면에 고정브라켓(15)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1-1축(313)과는 교차하는 방향, 상기 1-2축(314)과는 평행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이동블럭(311)이 1-3축(315)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1-3축(315)이 관통 삽입된 제2고정구(317)가 제1이동블럭(311)의 이동판(311a) 하부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제2고정구(317)를 해제 또는 결합하여 제1이동블럭(31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고정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이동블럭(311)의 동작 관계에서 설명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30)의 제2조절부(32)는, 한 쌍의 제2절첩구(2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2이동블럭(321)과, 2-1축(322), 2-2축(328), 2-3축(324) 및 제3고정구(322)와 제4고정구(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이동블럭(321)은 상부에 한 쌍의 제2절첩구(22)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2-3축(324)이 관통 삽입된 제4고정구(325)가 결합된다.
이때, 상부에 배치된 제2절첩구(22)는 도 3 및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제2이동블럭(321)의 상부에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2-1축(322)이 관통 삽입된 제3고정구(322)의 이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2-2축(328)은, 제2절첩구(22) 중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절첩구(22)에 관통 삽입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때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2-2축은 상술한 1-2축(314)과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며, 다만 2-2축(328)은 한 쌍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필요에 따라 1개의 축만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2-2축(328)의 일단은 상기 1-1축(313)이 관통 삽입된 제5고정구(326)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5고정구(326)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축(313)이 관통 삽입되어 이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2-2축(328)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몸체(327)가 구비된다.
상기 2-3축(324)은 양단이 고정브라켓(15)에 의해 메인프레임(10)의 수평프레임(11)에 고정된 것으로, 상기 제4고정구(325)에 관통 삽입된다.
즉, 상기 2-3축은 상술한 1-3축(315)과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의 위치조절수단(30)의 동작 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서는 제1절첩구(21)의 위치 조절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a)는 위치 조절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한 쌍의 제1절첩구(21) 중 일측을 도면 중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c)는 한 쌍의 제1절첩구(21)를 동시에 도면 중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b)에서 좌측 방향에 배치된 제1절첩구(21)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 먼저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된 제2고정구(317)를 1-3축(315)으로부터 해제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하고, 이후 제2고정구(317) 또는 제1이동블럭(311)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도면 중 좌측 방향), 제2고정구(317)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고정구(317)의 상부에 결합된 제1이동블럭(311) 및 상기 제1이동블럭(311)의 상부에 배치된 제1고정구(312)를 포함한 제1절첩구(21)가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6의 (c)는 제1절첩구(21)의 위치 이동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면 중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제1절첩구(21)를 모두 도면 중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절첩구(21)의 하단에 각각 결합된 제1고정구(312)를 1-1축(313)으로부터 해제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한 뒤, 작업자가 한 쌍의 제1절첩구(21)를 도면 중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제1고정구(312)를 1-1축(313)에 고정하여 제1절첩구(21)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0)는 조립된 포장박스(100)의 하부판(120)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테이프가 저장된 저장함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조립장치 100 : 포장박스 110 : 측벽판
120 : 하부판 130: 상부판 140 : 절첩선
10 : 메인프레임 11 : 수평프레임 12 : 수직프레임
13 : 상부프레임 14 : 만곡면 15 : 고정브라켓
20 : 박스조립부 21 : 제1절첩구 22 : 제2절첩구
23 : 접음판 211 : 지지대 213 : 탄성스프링
23a : 돌기 211a : 절개홈
30 : 위치조절수단 31 : 제1조절부 32 : 제2조절부
311 : 제1이동블럭 312 : 제1고정구 313 : 1-1축
314 : 1-2축 315 : 1-3축 317 : 제2고정구
321 : 제2이동블럭 322 : 2-1축 323 : 제3고정구
324 : 2-3축 325 : 제4고정구 326 : 제5고정구
327 : 고정몸체 326 : 2-2축

Claims (10)

  1. 메인프레임과, 포장박스의 하부판을 접는 박스조립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스조립부(20)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절첩구(21)와,
    상기 제1절첩구(21)에 대해 교차 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절첩구(22)와,
    상기 제1절첩구(21)와 제2절첩구(22)에 각각 결합되어 제1절첩구(21)와 제2절첩구(2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절첩구(21)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211)와,
    상기 지지대(211)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음판(23)과,
    일단은 상기 지지대(2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접음판(23)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접음판(23)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30)은,
    제1절첩구(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조절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조절부(31)는,
    제1이동블럭(311)과,
    상기 제1이동블럭(311)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절첩구(21)의 하단이 결합된 제1고정구(312)와,
    양단이 고정브라켓(15)을 통해 상기 제1이동블럭(311)에 배치되되 상기 제1고정구(312)에 관통 삽입되는 1-1축(313)과,
    일단은 상기 제1절첩구(21)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타측의 제1절첩구(21)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1-1축(313)의 상부에서 1-1축(313)에 대해 교차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1-2축(314)과,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브라켓(15)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1-1축(313)의 하부에서 1-1축(313)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1-3축(315)과,
    상기 1-3축(315)이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이동블럭(311)의 하부에 결합된 제2고정구(3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30)은,
    제2절첩구(22)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조절부(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조절부(32)는,
    제2이동블럭(321)과,
    상기 제2이동블럭(321)의 상부에 고정브라켓(15)을 통해 양단이 고정된 2-1축(322)과,
    한 쌍의 제2절첩구(22) 중 어느 일측의 제2절첩구(22)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2-1축(322)이 관통 삽입된 제3고정구(323)와,
    메인프레임(10)의 수평프레임(11)에 양단이 고정브라켓(15)을 통해 고정된 2-3축(324)과,
    상기 제2이동블럭(321)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2-3축(324)이 관통 삽입되는 제4고정구(325)과,
    상기 1-1축(313)이 관통 삽입되며 상부에 고정몸체(327)가 구비된 제5고정구(326)과,
    일단은 상기 고정몸체(329)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제2절첩구(22)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2-1축(32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2-2축(3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판(23)은,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3a)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211)의 상단에는 돌기(23a)가 삽입되는 절개홈(211a)이 형성되어 상기 접음판이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첩구(22)는 제1절첩구(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11)과,
    상기 수평프레임(11)의 좌우 양측단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3)은,
    상단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만곡면(14)이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 진입하는 포장박스(100)의 하부판(120)이 상기 만곡면(14)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블럭(31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 형상의 이동판(311a)과, 상기 이동판(311a)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보조프레임(3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제1고정구(312)와 제2고정구(317)는 원터치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KR1020130130113A 2013-10-30 2013-10-30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KR10142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113A KR101426690B1 (ko) 2013-10-30 2013-10-30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113A KR101426690B1 (ko) 2013-10-30 2013-10-30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690B1 true KR101426690B1 (ko) 2014-08-07

Family

ID=5174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113A KR101426690B1 (ko) 2013-10-30 2013-10-30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6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10A (ko) *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삼원기계 특수형 자동 제함기
KR20230034650A (ko) 2021-09-03 2023-03-10 허상우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KR20230094606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태강테크놀리지 포장용 상자 제조기용 적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712A (ja) 1998-12-18 2000-07-04 Okamoto Takeshi 紙製引起し箱仮組立装置
JP2001328182A (ja) 2000-05-22 2001-11-27 Lion Corp ダンボール箱フラップ折り方法および装置
JP3920925B2 (ja) 1996-01-22 2007-05-30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ランダム箱閉じ機
JP2010036971A (ja) 2008-08-07 2010-02-18 Tokyo Automatic Machinery Works Ltd 箱の被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0925B2 (ja) 1996-01-22 2007-05-30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ランダム箱閉じ機
JP2000185712A (ja) 1998-12-18 2000-07-04 Okamoto Takeshi 紙製引起し箱仮組立装置
JP2001328182A (ja) 2000-05-22 2001-11-27 Lion Corp ダンボール箱フラップ折り方法および装置
JP2010036971A (ja) 2008-08-07 2010-02-18 Tokyo Automatic Machinery Works Ltd 箱の被蓋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110A (ko) *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삼원기계 특수형 자동 제함기
KR102515000B1 (ko) * 2021-07-29 2023-03-29 주식회사 삼원기계 특수형 자동 제함기
KR20230034650A (ko) 2021-09-03 2023-03-10 허상우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KR20230094606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태강테크놀리지 포장용 상자 제조기용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690B1 (ko)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CN103189195B (zh) 组装纸板箱的机器
US9487323B2 (en) Packaging box
KR101807350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US12054322B2 (en) Product display with self-deploying header
KR101449999B1 (ko) 포장박스용 조립 지그
KR101836448B1 (ko) 조립식 서랍장
JP2010254370A (ja) 位置決め板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の梱包装置
US2409701A (en) Chick box
JP6254438B2 (ja) 梱包構造体
JP2016216118A (ja) トレイ
KR20110085306A (ko) 백라이트 유닛 운반용 포장 블록 및 어셈블리
CN110282217B (zh) 一种电风扇的绿色缓冲包装体
KR200474226Y1 (ko) 너비조절이 용이한 글래스셀박스
KR200472243Y1 (ko) 액자용 포장 박스
JPH11127993A (ja) 引き出し支持構造
JP3170459U (ja) 生花輸送用箱
JPH04352660A (ja) 包装用支持部材
CN216469086U (zh) 新型包装纸盒
US20230146687A1 (en) Packing member
JP2014234211A (ja) 遊技機関連部材収容ボックス
CN221341533U (zh) 一种用于玻璃水壶的包装盒
CN219790952U (zh) 一种具有缓冲结构的包装盒
JP2018165165A (ja) 梱包装置
CN212290837U (zh) 一种适合多尺寸围板的调节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