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911B1 -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911B1
KR102514911B1 KR1020217018683A KR20217018683A KR102514911B1 KR 102514911 B1 KR102514911 B1 KR 102514911B1 KR 1020217018683 A KR1020217018683 A KR 1020217018683A KR 20217018683 A KR20217018683 A KR 20217018683A KR 102514911 B1 KR102514911 B1 KR 102514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backing material
equation
less
cl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788A (ko
Inventor
신지 츠게
노부유키 오카다
마사토모 가와
유스케 오이카와
Original Assignee
닛테츠 스테인레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테츠 스테인레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테츠 스테인레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2Hardening articles or materials formed by forging or rolling, with no further heating beyond that required for the 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3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heets of limited length, e.g. folded sheets, superimposed sheets, pack rolling
    • B21B2001/383Cladded or coat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51/00Treating composite or clad material
    • C21D2251/02Cla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하여 모재가 되는 강판의 특성(인성이나 강도)을 살리면서, 양호한 내식성을 겸비하는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C: 0.030% 이하, Si: 0.05 내지 1.0%, Mn: 0.10 내지 3.00%, P: 0.05% 이하, S: 0.005% 이하, Cr: 22.00 내지 27.00%, Ni: 4.00 내지 7.00%, Mo: 0.50 내지 2.50%, W: 0 내지 1.50%, N: 0.10 내지 0.25%, 산소: 0.001 내지 0.006%이며, 식 1, 식 2, 식 5를 만족시키고, 잔부 Fe 및 불순물인 2상 스테인리스강을 덧댐재로 하고, 강판과 클래드한 클래드 강판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 할 수 있다.
εmax=0.0035-Tσ*2.63*10-6 (식 1)
Tσ=4Cr+25Ni+71(Mo+W)-11.4(Mo-1.3)*(Mo-1.3)+5Si-6Mn-30N+569(℃) (식 2)
PREW=Cr+3.3(Mo+0.5W)+16N (식 5)

Description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Mo 함유량이 0.5 내지 2.5%의 화학 조성을 갖는 2상 스테인리스강을 덧댐재로 한 클래드 강판에 관한 것이다.
2상 스테인리스강은 Cr, Mo, Ni, N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금속간 화합물, 질화물이 석출되기 쉽기 때문에, 1000℃ 이상의 고용화 열처리를 행하고, 석출물을 고용시켜, 열간 압연 강재로서 제조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2상 스테인리스강을 덧댐재로 한 클래드 강판은, 제조할 때에 1000℃ 이상의 고온 열처리를 해도 기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화학 조성을 연구한 탄소강을 모재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열간 압연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열처리를 생략하여 2상 스테인리스 클래드 강판을 제조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또한, 열간 압연 중에 재가열하여 덧댐재 내의 석출을 억제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한편, Ni, Mo 등을 절감한 합금 원소 절감형 2상 스테인리스강의 클래드 강판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또한, 강 중의 CaS가 공식(孔食)의 기점이 되어서 강의 내식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에 대하여, Ca와 Al의 첨가량을 제어하여 내식성에 대한 CaS의 무해화를 도모한 2상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 클래드 강판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5). 합금 원소 절감형 2상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주로 영향을 미치는 석출물은 크롬 질화물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7-2924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4-226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6-369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805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028146호 공보
ISIJ Vol. 58(2018), p1181-1183
클래드 강판은, 덧댐재로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에 내식성을, 모재에 강도·인성과 용접성을 갖게 함으로써, 복합적인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강재이다. 클래드 강판은, 덧댐재로서의 스테인리스강과 모재가 구조적으로 접합되는 부위에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판 두께가 두껍고, 특히 강도나 인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해수 담수화 기기, 수송선의 탱크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도에는, 종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요즘은, 저렴한 2상 스테인리스강을 적용하는 사안도 증가되고 있다.
그래서, 덧댐재를 2상 스테인리스강으로 한 클래드 강판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클래드 강판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강도나 인성의 기능을 모재가 담당하고, 내식성을 덧댐재가 담당하게 된다. 특히, 기수역(汽水域)에 있어서의 댐이나 수문의 강제 부재에는 도어 스톱퍼나 레일과 같은 미끄럼 이동 부재도 있고, 미끄럼 이동성과 내식성의 양쪽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은, Mo 함유량이 0.5 내지 2.5%의 화학 조성을 갖는 2상 스테인리스강을 덧댐재로 한 클래드 강판의 내식성은 시그마(σ)상으로 대표되는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물이 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시그마상은 Cr 함유량이 높은 금속간 화합물이다. 2상 스테인리스강의 열간 압연 중에 시그마상이 석출되면, 그 주위에 크롬 결핍층이 생성되어 강의 내식성이 저하된다. 마찬가지로 크롬 질화물이 석출되어도, 그 주위에 크롬 결핍층이 생성되어, 강의 내식성이 저하된다. 종래 기술(특허문헌 4 및 5)에는, 석출물의 형태나 석출량 및 그 밖의 강의 금속 조직의 상태와 강의 내식성의 관계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2상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이나 클래드 강판의 제조에서는, 고용화 열처리가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 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상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내식성을 저하시키는 금속간 화합물이나 질화물을 해소시키기 때문이다. 특히 클래드 강판의 덧댐재에 사용되는 2상 스테인리스강은 열간 가공 온도역에서 금속간 화합물이나 질화물이 석출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열간 압연을 종료한 상태에서 이들 석출물이 강재 중에 분산되기 때문에 내식성이 저하된다. 고용화 열처리에 의해, 덧댐재 중의 석출물을 소실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1000℃ 이상의 고용화 열처리를 실시하면 모재의 인성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클래드 강판의 용도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처리이다.
또한, 비용 저감에 대한 요구나, 근년의 사용 에너지 삭감에 대한 요구로부터도, 고용화 처리를 생략하여 클래드 강판 제조 비용이나 제조에 요하는 에너지를 저감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Mo 함유량이 0.5 내지 2.5%의 화학 조성을 갖는 2상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면서,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하여 모재가 되는 강판의 특성(인성이나 강도)을 살리고, 양호한 내식성을 겸비하는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클래드 강판 제조 과정의 모재와 덧댐재를 열간 압연으로 접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덧댐재인 2상 스테인리스강 중에 금속간 화합물과 질화물이 석출되지 않으면, 후공정인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해도 내식성이 손상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클래드 강판의 덧댐재에 열간 압연 온도를 저하시켜도 높은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는 2상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함으로써 해결책을 알아 내는 것을 생각하였다. 이러한 2상 스테인리스강을 얻기 위해서는,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한 열연 강재의 화학 조성, 열간 가공 조건과 시그마상이나 크롬 질화물 등의 석출량,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의 회복·재결정 등을 포함하는 금속 조직의 상태, 또한 강재의 충격 특성, 내식성의 관계 등에 관한 지견을 얻었다. 특히, 시그마상이 페라이트상 중에 석출되기 쉬운 것인 점에서, 페라이트상 중의 마이크로 변형 εα가 Tσ와의 특정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열간 압연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지견하였다.
이들의 지견을 기초로, Mo 함유량이 0.5 내지 2.5%의 화학 조성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을 덧댐재로서 사용해도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할 수 있는 클래드 강판에 관한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이 요지로 하는 바는 이하와 같다.
[1]
모재가 되는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덧댐재를 클래드한 클래드 강판이며,
상기 덧댐재의 화학 조성이 질량%로,
C: 0.030% 이하,
Si: 0.05 내지 1.00%,
Mn: 0.10 내지 3.00%,
P: 0.050% 이하,
S: 0.0050% 이하,
Cr: 22.0 내지 27.0%,
Ni: 4.00 내지 7.00%,
Mo: 0.50 내지 2.50%,
W: 0 내지 1.50%,
N: 0.100 내지 0.250%,
산소: 0.001 내지 0.006%,
Co: 0 내지 1.00%,
Cu: 0 내지 3.00%,
V: 0 내지 1.00%,
Nb: 0 내지 0.200%,
Ta: 0 내지 0.200%,
Ti: 0 내지 0.030%,
Zr: 0 내지 0.050%,
Hf: 0 내지 0.100%,
B: 0 내지 0.0050%,
Al: 0 내지 0.050%,
Ca: 0 내지 0.0050%,
Mg: 0 내지 0.0050%,
REM: 0 내지 0.100%,
Sn: 0 내지 0.100%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이고,
식 5로 구해지는 PREW가 24 이상 35 이하이고,
식 2로 구해지는 σ상 석출 온도 Tσ(℃)가 800℃이상 950℃ 이하이고,
덧댐재의 표면 경도가 고용화 열처리 상태의 1.3배 이하의 값이고,
그 페라이트상의 마이크로 변형 εα가 식 1로 구해지는 εmax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강판.
εmax=0.0035-Tσ*2.63*10-6 (식 1)
Tσ=4Cr+25Ni+71(Mo+W)-11.4(Mo-1.3)*(Mo-1.3)+5Si-6Mn-30N+569(℃) (식 2)
PREW=Cr+3.3(Mo+0.5W)+16N (식 5)
단, 식 1, 식 2, 식 5에 있어서의 각 원소 기호는, 상기 덧댐재에 있어서의 당해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한다.
[2]
상기 덧댐재의 화학 조성에 있어서, 질량%로,
Co: 0.03 내지 1.00%,
Cu: 0.30 내지 3.00%,
V: 0.03 내지 1.00%,
Nb: 0.010 내지 0.200%,
Ta: 0.010 내지 0.200%,
Ti: 0.003 내지 0.030%,
Zr: 0.005 내지 0.050%,
Hf: 0.010 내지 0.100%,
B: 0.0005 내지 0.0050%,
Al: 0.003 내지 0.050%,
Ca: 0.0005 내지 0.0050%,
Mg: 0.0005 내지 0.0050%,
REM: 0.010 내지 0.100%,
Sn: 0.010 내지 0.100%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1]에 기재된 클래드 강판.
[3]
[1] 또는 [2]에 기재된 덧댐재를 모재가 되는 강판의 편면에 접합한 슬래브 2체를, 덧댐재가 내측에 배치하도록 중첩하여 1체의 슬래브로 하여 열간 압연을 실시하는 샌드위치 조립에 의한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
식 3을 만족시키는 마무리 온도 TF가 되도록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TF로부터 600℃까지 평균 냉각 속도를 0.6℃/s 이상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TF≥Tσ-50(℃) (식 3)
Tσ=4Cr+25Ni+71(Mo+W)-11.4(Mo-1.3)*(Mo-1.3)+5Si-6Mn-30N+569(℃) (식 2)
단, 식 2에 있어서의 각 원소 기호는, 상기 덧댐재에 있어서의 당해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한다.
[4]
[1] 또는 [2]에 기재된 덧댐재를 모재가 되는 강판의 편면에 접합한 슬래브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는 오픈 샌드 조립에 의한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 식 4를 만족시키는 마무리 온도 TF가 되도록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TF로부터 6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0.6℃/s 이상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TF≥Tσ+30(℃) (식 4)
Tσ=4Cr+25Ni+71(Mo+W)-11.4(Mo-1.3)*(Mo-1.3)+5Si-6Mn-30N+569(℃) (식 2)
단, 식 2에 있어서의 각 원소 기호는, 상기 덧댐재에 있어서의 당해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한다.
본 발명에 의해,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하여 모재가 되는 강판의 특성(인성이나 강도)을 살리면서, 양호한 내식성을 겸비하는 클래드 강판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산업면, 환경면에 기여하는 바는 극히 크다.
도 1은, 덧댐재 표층부의 페라이트상의 마이크로 변형과 σ상 석출 온도: Tσ(℃)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성분에 관한 「%」는 강 중의 질량%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클래드 강판 제조 과정의, 모재와 덧댐재를 열간 압연으로 접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덧댐재인 2상 스테인리스강 중에 금속간 화합물과 질화물이 석출되지 않으면, 후공정인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해도 내식성이 손상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클래드 강판의 덧댐재에 열간 압연 온도를 저하시켜도 높은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는 2상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이러한 2상 스테인리스강을 얻기 위해서는,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한 열연 강재의 화학 조성, 열간 가공 조건과 시그마상이나 크롬 질화물 등의 석출량,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의 회복·재결정 등을 포함하는 금속 조직의 상태, 또한 강재의 내식성의 관계 등에 대하여 이하의 실험을 행하여 조사하였다.
시그마상의 석출에 관한 지표로서, 시그마상 석출 온도 Tσ를 도입하고, 이 시그마상 석출 온도 Tσ가 다른 2상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열간 압연의 가열 온도를 1150 내지 1250℃, 열간 압연의 최종 마무리 패스의 입측 온도 TF를 700 내지 1000℃, 열간 압연 종료 후의 가속 냉각 개시 온도 TC를 950℃ 이하로 하고, 판 두께 10mm 내지 35mm의 열연 강재를 얻었다. 얻어진 열연 강재 및 그것에 고용화 열처리를 실시한 강재에 대하여 강도, 충격 특성을, 표층부 및 판 두께 중앙부의 금속 조직과 내식성을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의 실험에서 얻은 2상 스테인리스강의 지견을 기초로, 2상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이 양호한 압연 조건에 있어서도 고강도가 얻어지는 강 성분이나 제조 조건을 얻는 것을 시도하였다. 즉, 보통강의 성분 조정에 의해 재결정 온도를 높게 함과 함께, σ상 석출 온도역 이하의 냉각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 여러가지 성분을 함유하는 강의 표면에 덧댐재로서 2상 스테인리스강을 붙인 슬래브를 제작하여, 그 슬래브 2개를, 덧댐재를 내측에 배치한 샌드위치 방식의 클래드 소재를, 전자 빔 용접법을 사용하여 조립하였다. 이 클래드 소재를 열간 압연하고, 덧댐재의 두께가 3mm, 전체 두께를 20mm 내지 50mm로 한 클래드 강판을 얻고, 강도, 충격 특성, 금속 조직, 내식성을 평가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서, 2상 스테인리스강을 덧댐재로서 사용하여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할 수 있는 클래드 강판에 관한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먼저, 덧댐재의 화학 조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C는,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0.030% 이하의 함유량으로 제한한다. 0.030%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열간 압연 시에 Cr 탄화물이 생성되어, 내식성, 인성이 열화된다.
Si는, 탈산을 위해 0.05% 이상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함유하면 된다. 그러나, 1.00%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상한을 1.00%로 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0.70% 이하 함유하면 된다.
Mn은 오스테나이트상을 증가시켜 인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고, 모재 및 용접부의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와, 또한 질화물 석출 온도 TN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갖기 위해서 0.10% 이상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함유하면 된다. 그러나, 3.00%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내식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상한을 3.00%로 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함유하면 된다.
P는 원료로부터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원소이고, 열간 가공성 및 인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적은 쪽이 좋고 0.050% 이하로 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0.030% 이하 함유하면 된다.
S도 원료로부터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원소이고, 열간 가공성, 인성 및 내식성도 열화시키기 때문에, 적은 쪽이 좋고 0.0050% 이하로 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0.0030% 이하이다.
Cr은, 기본적인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22.0% 이상 함유시킨다. 바람직하게는 23.0% 이상 함유시키면 된다. 한편 27.0%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페라이트상 분율이 증가하여 인성 및 용접부의 내식성을 저해한다. 이 때문에 Cr의 함유량을 27.0% 이하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26.0% 이하 함유하면 된다.
Ni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안정되게 하고, 각종 산에 대한 내식성, 또한 인성을 개선하기 때문에 4.00% 이상 함유시킨다. Ni 함유량을 증가함으로써 질화물 석출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4.50% 이상 함유하면 된다. 한편, Ni는 고가의 합금으로, 비용의 관점에서 7.00% 이하의 함유량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6.50% 이하 함유하면 된다.
Mo는,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높이는 매우 유효한 원소이고, 0.50% 이상 함유시킨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함유하면 된다. 내식성 개선을 위해서는 많이 함유시키는 것이 되지만, 시그마상의 석출을 촉진시키는 원소이기 때문에 2.50% 이하 함유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2.30% 이하, 나아가 2.00% 이하 함유하면 된다.
N(질소)은, 오스테나이트상에 고용하여 강도, 내식성을 높이는 유효한 원소이다. 이 때문에 0.100% 이상 함유시킨다. 바람직하게는 0.150% 이상 함유하면 된다. 고용 한도는 Cr 함유량에 따라서 높아지지만, 0.250%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질화물 석출 온도 TN이 높아져서 열간 압연 중에 Cr 질화물을 석출하여 인성 및 내식성을 저해하게 되기 때문에 함유량의 상한을 0.250%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0.220% 이하 함유하면 된다.
O(산소)는, 불가피한 불순물이고, 비금속 개재물의 대표인 산화물을 구성하는 중요한 원소이고, 과잉 함유는 인성을 저해한다. 또한 조대한 클러스터상 산화물이 생성되면 표면 흠집의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그 상한을 0.006%로 하였다. 한편 과잉의 탈산은 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에 그 하한을 0.001%로 하였다.
잔부는 Fe 및 불순물이다. 불순물이란, 강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혼입되고, 전부 제거할 수 없어 잔존하는 성분 등이다.
또한, Fe를 대신하여 이하의 원소(W, Co, Cu, V, Nb, Ta, Ti, Zr, Hf, B, Al, Ca, Mg, REM, Sn)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이들 원소는 함유하지 않아도 되므로, 함유량의 범위는 0%도 포함한다.
W는, Mo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고, 함유해도 된다. 한편 고가의 원소이므로, 1.50% 이하 함유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로 하면 된다. 함유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0.05% 이상으로 하면 된다.
Co는, 강의 인성과 내식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효한 원소이고, 선택적으로 함유된다. 1.00%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고가의 원소이기 때문에 비용에 상응하는 효과가 발휘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한을 1.00%로 정하였다. 함유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하한이 0.03%이고, 상한이 0.50%이다.
Cu는, 스테인리스강의 산에 대한 내식성을 부가적으로 높이는 원소이고, 또한 인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함유시킬 수 있다. 3.00%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열간 압연 시에 고용도를 초과하여 εCu가 석출되어 취화를 발생시키므로 상한을 3.00%로 하였다. Cu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하한이 0.30%이고, 상한이 2.00%이다.
V, Nb, Ta는 강 중에서 탄화물, 질화물을 생성하는 원소이며, 내식성을 부가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미량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N을 함유하는 강에 있어서의 V, Nb, Ta의 다량의 함유는 탄질화물을 생성하여 인성을 저해하게 되기 때문에, 상한이 규제된다. V, Nb, Ta의 작용의 크기, 합금 비용을 감안하여, 각각의 상한을 1.00%, 0.200%, 0.200%로 정하였다. 함유시키는 경우의 적합 범위는 각각, 하한이 0.03%, 0.010%, 0.010%이고, 상한이 0.20%, 0.100%, 0.100%이다.
Ti, Zr, Hf는 강 중에서 질화물, 탄화물을 생성하는 원소이며, 결정 조직을 미세화할 목적으로 미량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i, Zr, Hf의 질화물 형성 능력은 매우 강하기 때문에, N을 함유하는 강에 있어서의 Ti, Zr, Hf의 다량의 함유는 조대한 질화물을 생성하여 인성을 저해하게 되기 때문에, 상한이 규제된다. Ti, Zr, Hf의 작용의 크기, 합금 비용을 감안하여, 각각의 상한을 0.030%, 0.050%, 0.100%로 정하였다. 함유시키는 경우의 적합 범위는 각각, 하한이 0.003%, 0.005%, 0.010%이고, 상한이 0.020%, 0.030%, 0.050%이다.
B는 강 중에서 질화물, 탄화물을 생성하는 원소이고, 또한 강 중에서의 고용도가 작아, 입계에 편석하기 쉬운 원소이다. 그 작용으로서 열간 가공성을 개선한다. 한편, 과잉 함유는 조대한 질화물을 형성하여, 강의 인성을 저해하게 된다. 이 때문에, 함유량의 상한을 0.0050%로 정하였다. 함유시키는 경우의 적합한 함유량은, 하한이 0.0005%이고, 상한이 0.0035%이다.
Al은 강의 탈산을 위하여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질화물을 생성하는 원소이고, 과잉 함유는 조대한 질화물을 형성하여 인성을 저해하게 되는 점에서, 그 상한을 0.050%로 정하였다. 함유시키는 경우의 적합한 함유량, 하한이 0.003%이고, 상한이 0.030%이다.
Ca 및 Mg는 강의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함유할 수 있다. 과잉 함유는 반대로 열간 가공성을 저해하게 되는 점에서, 그 상한을 0.0050%로 정하였다. 함유시키는 경우의 적합한 함유량 범위는, 하한이 0.0005%이고, 상한이 0.0035%이다.
REM은 강의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함유할 수 있다. 과잉 함유는 반대로 열간 가공성을 저해하게 되는 점에서, 그 상한을 0.100%로 정하였다. 적합한 함유량 범위는, 하한이 0.010%이고, 상한이 0.080%이다. 여기서 REM은 La나 Ce 등의 란타노이드계 희토류 원소의 함유량의 총합으로 한다.
Sn은 강의 산에 대한 내식성을 부가적으로 높이는 원소이고, 이 목적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한편, 과잉 함유는 강의 열간 가공성을 저해하게 되는 점에서, 그 상한을 0.100%로 정하였다. 함유시키는 경우의 적합한 함유량은, 하한이 0.010%이고, 상한이 0.080%이다.
PREW는 스테인리스강의 내공식성에 대한 지표이며, 합금 원소 Cr, Mo, W, N의 함유량(%)을 사용하여, 식 5로 산출된다. 2상 스테인리스강의 PREW가 24 미만이면 기수 환경에 있어서의 내식성을 발휘할 수 없고, 35를 초과하여 합금 원소를 함유시키면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PREW의 범위를 24 이상 35 이하로 규정하였다.
PREW=Cr+3.3(Mo+0.5W)+16N (식 5)
단, 식 5에 있어서의 각 원소 기호는, 당해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한다.
σ상 석출 온도: Tσ(℃)는 덧댐재의 화학 조성에 의해 결정되는 지표이며, 시그마상이 평형적으로 석출되기 시작하는 온도를 나타내고, 금속 재료의 평형 상태도에 대한 열역학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는 값이다. 열역학 계산은, 시판되고 있는 서모칼크(Themocalc@)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와 열역학 데이터베이스(FE-DATA version6 등)를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각종 2상 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 이 계산을 행하였다. 시그마상은 Fe, Cr, Mo, W를 주요 원소로 하는 금속간 화합물이고, Fe, Cr 함유량이 일정 수치 범위에 있는 2상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Mo, W가 석출을 촉진한다. Cr은 시그마상을 석출시키는 주요 원소이고, Cr양의 대소에 따라서도 Tσ는 변화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발명 강의 성분 범위에서 적용 가능한 Tσ의 값을 구하는 식(식 2)을 작성하였다. 열간 압연 중의 시그마상의 석출을 제어하여 원하는 클래드 강판을 얻을 목적으로부터 이 Tσ(식 2)의 하한값을 800℃, 상한값을 950℃로 하였다. Tσ가 800℃ 미만이면 시그마상의 석출은 억제되지만 Mo, Cr 함유량이 적은 강종이 되기 때문에 원하는 내식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고, 한편 950℃를 초과하면 클래드 강판 표층부의 시그마상 석출 억제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상기의 수치 범위를 정하였다.
Tσ=4Cr+25Ni+71(Mo+W)-11.4(Mo-1.3)*(Mo-1.3)+5Si-6Mn-30N+569(℃) (식 2)
단, 식 2에 있어서의 각 원소 기호는, 당해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한다.
덧댐재의 표면 경도는, 클래드 강판의 표면 특성을 좌우하는 특성이며,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강판은 열간 압연의 후에 냉각되어, 고용화 열처리를 생략하여 적용되는 제품이고, 고용화 열처리재보다도 높은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덧댐재의 표면 경도가 고용화 열처리 상태의 1.3배 이하인 경도를 가짐을 규정하였다. 이 경도는 큰 쪽이 바람직하지만, 열간 압연 중에 도입되어 잔류한 큰 변형에 의해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이 촉진되어, 클래드 강판 표면의 내식성을 손상시키게 되는 점에서, 이 상한을 1.3배로 정하였다.
여기서 고용화 열처리 상태란, 동일한 덧댐재를 고용화 열처리했을 때의 표면 경도를 말한다. 이 경도의 배율 측정에는, 2상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덧댐재의 대상으로 되는 표층부(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0.1 내지 0.5mm 깊이까지의 영역)의 위치(시료 A1)를 연마하여 비커스 경도 측정을 행하는 동시에, 이 시료에 대하여 1050℃ 균열의 고용화 열처리를 부가한 재료(시료 B1)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경도 측정을 행하여, 덧댐재의 표면 경도가 고용화 열처리 상태에 대한 비(시료 A1의 경도/시료 B1의 경도)의 값을 가지고 수치화한다. 바람직하게는, 덧댐재(시료 A1)의 표면 경도가, 고용화 열처리를 실시한 경우(시료 B1)의 표면 경도의 1.05 내지 1.30배이면 된다. 시료 A1과 시료 B1은, 동일한 시료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반드시 동일한 것일 필요는 없고, 동일한 강재라면 별개의 시료(예를 들어 강재로부터 잘라낸 별개의 시료)여도 된다.
페라이트상의 마이크로 변형: εα는 강판의 덧댐재를 규정하는 중요한 특성값이다. 2상 스테인리스강은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열간 가공 중의 조직 변화 거동은 크게 다르다. 열간 가공에 의해 도입되는 변형은 재료 내부에서 전위(轉位)가 되고, 그 전위는 회복, 재결정의 과정을 거쳐서 감소한다. 오스테나이트상에 있어서의 전위 밀도 감소의 속도는 작다. 한편, 페라이트상에 있어서의 전위 밀도 감소의 속도는 크다. 이러한 지견을 기초로, 본 발명자들은 2상 스테인리스강의 클래드 강판을 여러가지 열간 압연 조건하에서 제작하고, 그 덧댐재 표층부의 금속 조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2상 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 적절한 열간 압연을 실시하지 않으면 페라이트상의 전위 밀도 감소가 억제되어, 클래드 강판의 덧댐재에 변형이 잔류함을 지견하였다. 또한, 열간 압연 후의 냉각 과정에서 페라이트상 중에, 광학 현미경으로는 관찰 곤란한 금속간 화합물이 석출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내식성이 저하됨도 지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석출의 과정에서 페라이트상의 마이크로 변형이 증대하는 것도 지견하였다. 이들의 지견을 정리함으로써, 덧댐재 표층부의 페라이트상의 마이크로 변형이 식 1로 구해지는 εmax보다도 작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다(도 1).
εmax=0.0035-Tσ×2.63×10-6 (식 1)
단, 식 1에 있어서의 각 원소 기호는, 당해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한다.
여기서, 마이크로 변형의 값은 X선 회절법에 의해 구할 수 있는 값이고, 단위는 무차원이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2상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덧댐재의 표층부(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0.1mm 이상 0.5mm 이하의 깊이까지의 영역)의 위치(시료 A2)를 기계 가공과 전해 연마에 의해 시료 제작 시의 변형이 남지 않도록 3mm 두께×20mm 폭×20mm 길이 정도의 치수로 마무리한 뒤, CuKα선 등의 선원을 사용한 X선 회절을 행하여, 페라이트상, 오스테나이트상의 각 회절면의 회절 강도 프로파일 A를 측정한다. 비교재로서, 상기 덧댐재에 1050℃ 균열의 고용화 열처리를 추가하여 열간 가공에 의해 도입되어 있었던 변형을 제거하고(시료 B2), 마찬가지의 X선 회절용 시료를 제작하여 X선 회절을 행하여, 변형이 없는 회절 강도 프로파일 B를 측정한다. 잔류한 변형이 큰 시료에서는 회절 강도 프로파일이 회절각 2θ에 대하여 확대(반값폭)를 갖고 있고, 프로파일 A와 B의 대비에 의해 반값폭의 증가량을 회절면마다 구하여 수치 처리함으로써,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의 마이크로 변형이 정량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한 마이크로 변형과 재료 내부의 전위 밀도의 관계는 일정 관계가 있다. 페라이트상에 관한 양자의 관계는 비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된다.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샌드위치 조립이란, 모재가 되는 강판의 편면에 상기의 화학 조성을 갖는 덧댐재를 접합한 슬래브 2체를, 각각 덧댐재를 내측에 배치하도록 중첩해서 1체의 슬래브로 하여 조립하는 방식이다. 모재가 되는 강판의 화학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모재, 덧댐재, 덧댐재, 모재로 이루어지는 슬래브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가열하고, 가열로부터 추출 후에 열간 압연을 행하여, 압연 클래드 강판을 제조한다. 마무리 온도 TF는 열간 압연의 최종 패스의 입구에 있어서의 강재 표면 온도로 정의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험에 있어서, 덧댐재인 2상 스테인리스강의 시그마상 석출 온도 Tσ와 TF의 관계를 식 3으로 나타내는 관계로 열간 압연하고, 열간 압연 후의 클래드 강판의 TF로부터 6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0.6℃/s(s는 초를 나타낸다.) 이상이 되도록 제조하면 된다.
TF≥Tσ-50(℃) (식 3)
Tσ는, 상기 식 2에서 얻어지는 σ상 석출 온도이다.
또한, 샌드위치 조립의 경우, 덧댐재가 내측에 모재가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덧댐재 온도는 강판 표면 온도보다 높아지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TF로부터 6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규정한 이유는, 열간 압연 후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시그마상 등의 금속간 화합물이 석출되는 온도역이 900(바람직하게는 Tσ) 내지 700℃ 정도임으로써, 이 온도 구간의 냉각 속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개시 온도를 Tσ℃ 이상으로 하면 된다.
판 두께가 큰 샌드위치 조립 방식으로 열간 압연된 클래드 강판의 냉각 속도를 0.6℃/s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열간 압연 종료 후에 수랭을 실시하면 된다. 판 두께가 작은 경우에는 공랭이나 강제 풍랭에 의해서도 된다.
냉각 속도는 높을수록 좋고, 바람직하게는 1.0℃/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s 이상으로 하면 된다.
오픈 샌드 조립이란, 모재가 되는 강판과 2상 스테인리스강의 덧댐재를 접합하여 슬래브로서 조립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모재와 덧댐재로 이루어지는 슬래브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가열하고, 가열로부터 추출 후에 열간 압연을 행하여, 압연 클래드 강판을 제조한다. 마무리 온도 TF는 열간 압연의 최종 패스의 입구에 있어서의 강재 표면 온도로 정의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험에 있어서, 덧댐재인 2상 스테인리스강의 시그마상 석출 온도 Tσ와 TF의 관계를 식 4로 나타내는 관계로 열간 압연하고, 열간 압연 후의 클래드 강판의 TF로부터 6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0.6℃/s 이상이 되도록 제조하면 된다.
TF≥Tσ+30(℃) (식 4)
Tσ는, 상기 식 2에서 얻어지는 σ상 석출 온도이다.
또한, 오픈 샌드위치 조립의 경우, 덧댐재가 외측에 모재가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덧댐재 온도가 강판 표면 온도가 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서 TF로부터 6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규정한 이유는, 샌드위치 조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열간 압연 후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시그마상 등의 금속간 화합물이 석출되는 온도역이 900(바람직하게는 Tσ) 내지 700℃ 정도임으로써, 이 온도 구간의 냉각 속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개시 온도를 Tσ 이상으로 하면 된다.
냉각 속도는 높을수록 좋고, 바람직하게는 1.0℃/s 이상으로 하면 된다. 오픈 샌드 조립 방식으로 열간 압연된 클래드 강판은 수랭과 같이 큰 냉각 속도를 부여하는 냉각을 행하면 덧댐재와 모재가 되는 강의 열팽창 차에 의해 클래드 강판에 휨이 발생하여 통판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공랭이나 강제 풍랭 등의 냉각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10.0℃/s 이하로 제한하면 된다.
덧댐재로 되는 2상 스테인리스강의 시그마상 석출 온도에 맞춰서 적절한 열간 압연을 행함으로써 덧댐재 표면으로의 시그마상 석출에 수반하는 조직 변화를 억제하고,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클래드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시그마상 석출 온도보다도 과냉각된 온도에서 2상 스테인리스강이 열간 압연되면, 그 과냉각도에 따라, 2상 스테인리스강의 조직 변화가 진행되어, 내식성이 저하된다. 여기서, 샌드위치 조립 방식의 클래드 강판에서는 덧댐재가 강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강재 표면 온도보다 덧댐재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열간 압연된다. 이 때문에, 샌드위치 조립 방식에서는 덧댐재의 온도가 열간 압연 중의 강재 표면 온도보다도 높다. 이렇게 조립하는 방식에 의해, 덧댐재가 실질적으로 압연되는 온도가 다르게 된다. 즉, 각각의 조립 압연 방식으로 식 3 또는 식 4의 압연 온도 규정이 필요한 것이 명확해진 것이다.
클래드 강판은, 덧댐재인 2상 스테인리스강의 시그마상 석출 온도에 따라서 열간 압연의 온도를 특정 온도 이상으로 하고, 냉각 속도를 0.6℃/s 이상으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클래드 강판의 모재는, 보통강(탄소강) 및 합금강(단, 스테인리스강을 제외한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목적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합금강으로서는, 저합금강, 니켈강, 망간강, 크롬몰리브덴강, 고속도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통강에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한 강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대하여 기재한다. 표 1에 덧댐재의 화학 조성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이외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 원소이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성분에 대하여 함유량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불순물 레벨임을 나타내고, REM은 란타노이드계 희토류 원소를 의미하고, 함유량은 그것들 원소의 합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중의 시그마상 석출 온도는 식 2로 구하였다.
클래드 강판은 표 1에 나타낸 화학 조성의 2상 스테인리스강을 덧댐재로 하고, 모재로서 C: 0.16%, Si: 0.21%, Mn: 0.63%, P: 0.018%, S: 0.006%, Ni: 0.01%, Cr: 0.04%, Cu: 0.02%, 잔부 Fe 및 불순물의 조성을 갖는 SS400 강을 소정의 두께의 소재로 하고, 용접에 의해 모재가 되는 강의 편면에 덧댐재를 접합하여, 두께를 130mm의 슬래브로 하였다. 오픈 샌드 방식에서는 이 슬래브를 열간 압연용의 소재로 사용하였다. 샌드위치 방식에서는, 130mm 두께의 슬래브 2체를, 덧댐재를 내측으로 하여 용접에 의해 조립(샌드위치 조립), 260mm 두께의 슬래브로 하였다.
샌드위치 조립 방식의 열간 압연은 260mm 두께의 슬래브를 1150 내지 1220℃의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후, 2단 압연기에 의해 클래드 강판을 제작하였다. 열간 압연 조건으로서는, 8 내지 12회의 압하를 반복하여, 최종 판 두께가 20 내지 50mm가 되도록 TF가 830 내지 1030℃에서 마무리 압연을 실시하였다. 일부의 클래드 강판은 스프레이 냉각 장치에서 가속 냉각하고, 그 후 냉각 베드로 이송하여 냉각하였다. 냉각 후에 판 두께 중앙부에서 박리하고, 2매의 클래드 강판으로 분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덧댐재의 두께가 3mm이고 전체 판 두께가 10 내지 25mm의 클래드 강판을 얻었다. 이 강판의 일부를 사용해서 1050℃에서 고용화 열처리를 실시하고, 열처리 전후의 덧댐재 표층부의 금속 조직을 평가하기 위한 X선 회절용 시료와 공식 전위 측정용 시료를 채취하였다.
오픈 샌드 조립 방식의 열간 압연은 덧댐재측을 하면으로 한 슬래브를 1150 내지 1220℃의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후, 2단 압연기에 의해 클래드 강판을 제작하였다. 열간 압연 조건으로서는, 8 내지 15회의 압하를 반복하여, 최종 판 두께가 10 내지 25mm로 되도록 TF가 780 내지 1030℃에서 마무리 압연을 실시하였다. 그 후, 냉각 베드로 이송하여 냉각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덧댐재의 두께가 3mm이고 전체 판 두께가 10 내지 25mm인 클래드 강판을 얻었다.
이 강판의 일부를 사용해서 1050℃에서 고용화 열처리를 실시하고, 열처리 전후의 덧댐재 표층부의 금속 조직을 평가하기 위한 X선 회절용 시료와 공식 전위 측정용 시료를 채취하였다.
덧댐재 표면의 마이크로 변형의 측정은 강재의 표면 하 0.3mm의 면을 시험편 가공의 변형이 남지 않도록 에머리지에 의한 습식 연마와 전해 연마에 의해 마무리한 2.5mmt×20w×25L의 X선 회절용 시료를 채취하여, CuKα의 선원을 사용한 X선 회절 측정에 의해,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의 회절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 고용화 열처리를 실시하기 전후(시료 A와 시료 B)의 강재에 대하여 각각의 반값폭 데이터로부터 고용화 열처리 전의 시료 A3의 양쪽 상(相)의 마이크로 변형을 구하였다. 이 중, 페라이트상의 마이크로 변형의 값을 표 2(샌드위치 조립 방식)와 표 3(오픈 샌드 조립 방식)에 나타내었다.
덧댐재의 표면 경도 측정은 강재의 표면 하 0.3mm의 면에 대하여 비커스 하중 5kgf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고용화 열처리를 실시하기 전후의 강재(즉 고용화 열처리를 하고 있지 않은 시료 A와 고용화 열처리를 한 시료 B)에 대하여 각각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구하여, 그 평균값의 비(=시료 A의 경도/시료 B의 경도)의 값을 표 2와 표 3에 나타내었다.
덧댐재의 공식 전위 측정은 강재의 표면 하 0.3mm의 면에 대하여 JIS G0577에 정해진 방법에 준하여 50℃-1몰 NaCl 용액 중에서 분극을 행하고, 전류 밀도가 100μA/㎠에 대응하는 전위(VC'100)를 측정하였다. 고용화 열처리를 실시하기 전후의 강재(즉 고용화 열처리를 하고 있지 않은 시료 A3과 고용화 열처리를 한 시료 B3)에 대하여 각각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구하여 그 시료의 공식 전위로 하였다. 그 평균값의 차를 표 2와 표 3에 나타내었다. 그 시료 A와 시료 B의 공식 전위 및 그 차도 표 2와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A의 공식 전위가 0.3V 이상이고, 또한 고용화 열처리재의 전위에 대한 클래드 강판의 전위의 차(시료 A와 시료 B의 공식 전위의 차)가 0.1V 이하인 것을 합격이라 하였다.
표 2에, 표 1에 나타낸 강을 덧댐재로 하여, 샌드위치 방식으로 조립하여 열간 압연한 클래드 강판의 덧댐재에 대한 실시예를 정리하였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되는 클래드 강판은 덧댐재의 표면 경도가 크고, 내식성은 고용화 열처리재와 비교하여 그 차가 0.1V 이하로 손색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표 3에, 표 1에 나타낸 강을 덧댐재로 하여, 오픈 샌드 방식으로 조립하여 열간 압연한 클래드 강판의 덧댐재에 대한 실시예를 정리하였다.
이렇게 실시예가 되는 클래드 강판은 덧댐재의 표면 경도가 크고, 내식성은 고용화 열처리재와 비교하여 그 차가 0.1V 이하로 손색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21069783819-pct00001
Figure 112021069783819-pct00002
Figure 112021069783819-pct00003
본 발명에 의해 내식성이 양호한 합금 원소 절감형의 경제적인 클래드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기기, 수송선의 탱크류, 각종 용기 등 모든 산업 기기나 구조물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모재가 되는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덧댐재를 클래드한 클래드 강판이며,
    상기 덧댐재의 화학 조성이 질량%로,
    C: 0.030% 이하,
    Si: 0.05 내지 1.00%,
    Mn: 0.10 내지 3.00%,
    P: 0.050% 이하,
    S: 0.0050% 이하,
    Cr: 22.0 내지 27.0%,
    Ni: 4.00 내지 7.00%,
    Mo: 1.00 내지 2.50%,
    W: 0 내지 1.50%,
    N: 0.100 내지 0.250%,
    산소: 0.001 내지 0.006%,
    Co: 0 내지 1.00%,
    Cu: 0 내지 3.00%,
    V: 0 내지 1.00%,
    Nb: 0 내지 0.200%,
    Ta: 0 내지 0.200%,
    Ti: 0 내지 0.030%,
    Zr: 0 내지 0.050%,
    Hf: 0 내지 0.100%,
    B: 0 내지 0.0050%,
    Al: 0 내지 0.050%,
    Ca: 0 내지 0.0050%,
    Mg: 0 내지 0.0050%,
    REM: 0 내지 0.100%,
    Sn: 0 내지 0.100%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이고,
    식 5로 구해지는 PREW가 24 이상 35 이하이고,
    식 2로 구해지는 σ상 석출 온도 Tσ(℃)가 800℃이상 950℃ 이하이고,
    덧댐재의 표면 경도가 고용화 열처리 상태의 1.3배 이하의 값이고,
    그 페라이트상의 마이크로 변형 εα가 식 1로 구해지는 εmax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강판.
    εmax=0.0035-Tσ*2.63*10-6 (식 1)
    Tσ=4Cr+25Ni+71(Mo+W)-11.4(Mo-1.3)*(Mo-1.3)+5Si-6Mn-30N+569(℃) (식 2)
    PREW=Cr+3.3(Mo+0.5W)+16N (식 5)
    단, 식 1, 식 2, 식 5에 있어서의 각 원소 기호는, 상기 덧댐재에 있어서의 당해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덧댐재의 화학 조성에 있어서, 질량%로,
    Co: 0.03 내지 1.00%,
    Cu: 0.30 내지 3.00%,
    V: 0.03 내지 1.00%,
    Nb: 0.010 내지 0.200%,
    Ta: 0.010 내지 0.200%,
    Ti: 0.003 내지 0.030%,
    Zr: 0.005 내지 0.050%,
    Hf: 0.010 내지 0.100%,
    B: 0.0005 내지 0.0050%,
    Al: 0.003 내지 0.050%,
    Ca: 0.0005 내지 0.0050%,
    Mg: 0.0005 내지 0.0050%,
    REM: 0.010 내지 0.100%,
    Sn: 0.010 내지 0.100%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클래드 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덧댐재를 모재가 되는 강판의 편면에 접합한 슬래브 2체를, 덧댐재가 내측에 배치하도록 중첩하여 1체의 슬래브로 하여 열간 압연을 실시하는 샌드위치 조립에 의한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
    식 3을 만족시키는 마무리 온도 TF가 되도록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TF로부터 600℃까지 평균 냉각 속도를 0.6℃/s 이상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TF≥Tσ-50(℃) (식 3)
    Tσ=4Cr+25Ni+71(Mo+W)-11.4(Mo-1.3)*(Mo-1.3)+5Si-6Mn-30N+569(℃) (식 2)
    단, 식 2에 있어서의 각 원소 기호는, 상기 덧댐재에 있어서의 당해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한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덧댐재를 모재가 되는 강판의 편면에 접합한 슬래브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는 오픈 샌드 조립에 의한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 식 4를 만족시키는 마무리 온도 TF가 되도록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TF로부터 600℃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0.6℃/s 이상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강판의 제조 방법.
    TF≥Tσ+30(℃) (식 4)
    Tσ=4Cr+25Ni+71(Mo+W)-11.4(Mo-1.3)*(Mo-1.3)+5Si-6Mn-30N+569(℃) (식 2)
    단, 식 2에 있어서의 각 원소 기호는, 상기 덧댐재에 있어서의 당해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내고,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한다.
KR1020217018683A 2019-03-29 2020-03-27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4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8968 2019-03-29
JP2019068968 2019-03-29
PCT/JP2020/014404 WO2020203938A1 (ja) 2019-03-29 2020-03-27 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788A KR20210091788A (ko) 2021-07-22
KR102514911B1 true KR102514911B1 (ko) 2023-03-27

Family

ID=7266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683A KR102514911B1 (ko) 2019-03-29 2020-03-27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50999A4 (ko)
JP (1) JP7224443B2 (ko)
KR (1) KR102514911B1 (ko)
CN (1) CN113646457B (ko)
WO (1) WO2020203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155A1 (ja) * 2022-10-18 2024-04-25 日本製鉄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材
CN115976426B (zh) * 2023-01-29 2023-07-04 襄阳金耐特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韧马氏体耐热钢
CN116005077B (zh) * 2023-02-16 2024-05-17 慈溪市龙山汽配有限公司 一种高强导轨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466A (ja) 2012-12-07 2014-06-26 Jfe Steel Corp 耐孔食性に優れた二相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の合せ材及びそれを用いた二相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6149102B2 (ja) * 2013-03-19 2017-06-1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線状加熱性良好な二相ステンレス鋼を合わせ材とする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880A (ja) 1985-11-09 1987-05-21 Sumitomo Metal Ind Ltd 2相ステンレス鋼クラツド鋼板の製造方法
JPH0636993B2 (ja) 1989-04-25 1994-05-18 日本鋼管株式会社 耐食性および靭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
JPH0422677A (ja) 1990-05-17 1992-01-27 Kuraray Co Ltd 感熱記録用シート
JPH0636993A (ja) 1992-05-21 1994-02-10 Canon Inc 露光装置及び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H07292445A (ja) 1994-04-22 1995-11-07 Japan Steel Works Ltd:The 二相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溶接方法
KR20130105721A (ko) * 2011-01-27 2013-09-25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합금 원소 절감형 2상 스테인리스 열연 강재, 클래드재로서 2상 스테인리스강을 구비하는 클래드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5406233B2 (ja) 2011-03-02 2014-02-05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を合わせ材とする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29632B2 (ja) * 2011-10-21 2013-10-30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二相ステンレス鋼鋳片、および、二相ステンレス鋼鋼材
KR101686721B1 (ko) * 2012-03-08 2016-12-1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내해수 스테인리스 클래드강
JP5454723B2 (ja) * 2012-04-25 2014-03-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海水腐食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の合せ材及びそれを用いた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5977854B1 (ja) * 2015-03-26 2016-08-2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浸炭性及び耐酸化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671424A (zh) * 2016-01-26 2016-06-1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管线用镍基合金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JP6799387B2 (ja) * 2016-05-17 2020-12-16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水蒸気酸化性に優れる複相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6437062B2 (ja) 2016-08-10 2018-12-12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クラッド鋼用二相ステンレス鋼及びクラッド鋼
JP6946737B2 (ja) * 2017-05-18 2021-10-06 日本製鉄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89871A1 (ja) * 2018-03-30 2019-10-03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466A (ja) 2012-12-07 2014-06-26 Jfe Steel Corp 耐孔食性に優れた二相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の合せ材及びそれを用いた二相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6149102B2 (ja) * 2013-03-19 2017-06-1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線状加熱性良好な二相ステンレス鋼を合わせ材とする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788A (ko) 2021-07-22
EP3950999A1 (en) 2022-02-09
CN113646457B (zh) 2022-10-25
JPWO2020203938A1 (ko) 2020-10-08
WO2020203938A1 (ja) 2020-10-08
EP3950999A4 (en) 2023-03-08
CN113646457A (zh) 2021-11-12
JP7224443B2 (ja)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26068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hot-rolled plate, strip or coil made of duplex stainless steel
KR10128951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4911B1 (ko)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520684B1 (en) Austenite steel material having superior ductility
KR20130105721A (ko) 합금 원소 절감형 2상 스테인리스 열연 강재, 클래드재로서 2상 스테인리스강을 구비하는 클래드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WO2015064128A1 (ja) 低温靭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マルテンサイト2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95917A (ko) 전봉 강관용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940172B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ryogenic temperature toughness and low yield ratio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034642B1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219820A1 (en) Nickel alloy cla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A3015441C (en) Ti-containing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flange
KR102364255B1 (ko) 강관 및 강판
KR20120099521A (ko) 인성이 우수한 고내식성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열연 강판
KR20210010566A (ko) 클래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3859043A1 (en) Abrasion resistant steel having excellent hardness and impact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8088547A (ja) 高温強度、靭性及び耐再熱脆化特性に優れた耐火鋼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EP3964600A1 (en) Ultra-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hear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442270B2 (ja) 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39329A1 (en) Structural ultra-thick steel having excellent resistance to brittle crack propaga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8009231A (ja) 製造性と耐食性に優れた刃物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CN115443344B (zh) 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618489B1 (ko)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2105601A (ja) 高強度複相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479944A (zh) 具有优异的冲击韧性的基于铁素体的不锈钢及其生产方法
JP4757858B2 (ja) 高温強度、靭性及び耐再熱脆化特性に優れた耐火鋼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