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302B1 -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 - Google Patents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302B1
KR102513302B1 KR1020217025408A KR20217025408A KR102513302B1 KR 102513302 B1 KR102513302 B1 KR 102513302B1 KR 1020217025408 A KR1020217025408 A KR 1020217025408A KR 20217025408 A KR20217025408 A KR 20217025408A KR 102513302 B1 KR102513302 B1 KR 102513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il member
circuit board
stator
st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979A (ko
Inventor
보펑 위안
위안양 린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8Encapsulating, encasing or sea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5Annular coils, e.g. for cores of the claw-pol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3Non-printed i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코일 부재는 사출성형부(10), 고정자 하우징(20), 고정자 극판(30) 및 회로 기판(40)을 포함한다. 고정자 하우징(20), 고정자 극판(30) 및 회로 기판(40)은 모두 사출성형부(10) 내에 설치된다. 코일 부재는 사출성형부(10) 내에 설치되는 고정부(50); 고정부(50) 상에 설치되어,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를 회로 기판(40)과 도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도전부(60); 및 고정부(50) 상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되는 센서(70)를 더 포함한다. 코일 부재는 종래 기술의 고정자 극판과 고정자 하우징에서 생성되는 정전기를 밖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
본 출원은 2019년 04월 02일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제출된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출원번호는 201910260683.7이고 발명의 명칭은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이다.
본 출원은 팽창 밸브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전자 팽창 밸브는 코일이 통전 및 비통전되는 과정에서 코일의 고정자 극판과 고정자 하우징에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부분의 정전기가 코일 밖으로 즉시 유도되지 않으면, 이 부분의 전하가 다른 부품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전자 팽창 밸브는 고정자 극판과 고정자 하우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코일 밖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대책이 없다. 또한 이 부분의 전하가 전자 팽창 밸브의 다른 부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주요 목적은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고정자 극판과 고정자 하우징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기를 밖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출원의 일 양상은 코일 부재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사출성형부, 고정자 하우징, 고정자 극판 및 회로 기판이 포함된다. 고정자 하우징, 고정자 극판 및 회로 기판은 모두 사출성형부 내에 설치된다. 코일 부재는 사출성형부 내에 설치되는 고정부; 고정부 상에 설치되어, 고정자 하우징과 고정자 극판 중 적어도 하나를 회로 기판과 도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도전부; 및 고정부 상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과 서로 연결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 상에는 제1 연결부가 설치된다. 도전부 상에는 제2 연결부가 설치된다.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연결부는 돌기이고, 제2 연결부는 위치결정 홀이며, 제1 연결부는 제2 연결부 내에 관통 설치된다. 또는 제1 연결부는 위치결정 홀이고, 제2 연결부는 돌기이며,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 내에 관통 설치된다.
또한 고정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제1 연결부는 돌기이고, 제2 연결부는 위치결정 홀이다. 여기에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핫 리베팅 또는 초음파 용접을 통해 고정 연결된다.
또한 고정부 상에는 제1 장착홈이 설치되고, 제1 연결부는 제1 장착홈 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도전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장착홈 내에 설치된다.
또한 도전부는 탄성편이며, 도전부와 회로 기판은 서로 연결된다. 고정자 하우징과 고정자 극판 중 적어도 하나는 도전부와 서로 연결된다.
또한 고정자 하우징과 고정자 극판은 서로 연결된다. 고정자 하우징과 고정자 극판 중 적어도 하나는 도전부와 서로 맞닿는다.
또한 도전부는 고정부와 서로 연결되는 제1 도전 구간; 회로 기판과 서로 연결되는 제2 도전 구간; 및 만곡 구간이며, 고정자 하우징과 서로 맞닿는 접촉 구간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도전 구간은 접촉 구간과 제2 도전 구간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도전 구간과 접촉 구간을 연결한다.
또한 고정부 상에는 관통홀이 설치된다. 센서는 고정부 상에 설치되는 본체부; 및 본체부 상에 설치되며, 관통홀을 관통한 후 회로 기판과 서로 연결되는 핀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는 회로 기판을 등지는 일단에 제2 장착홈이 설치된다. 본체부는 제2 장착홈 내에 설치된다. 고정부는 도전부를 등지는 일측에 수용홈이 설치된다. 핀의 일부는 수용홈 내에 설치된다.
또한 사출성형부 상에는 위치제한 홈이 설치되고, 고정부는 위치제한 홈 내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양상은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코일 부재는 전술한 코일 부재이다.
본 출원의 코일 부재는 도전부를 통해 고정자 하우징 및 고정자 극판 중 적어도 하나와 회로 기판의 도전 연결을 구현한다. 즉, 고정자 하우징과 고정자 극판 상에 생성되는 정전기를 도전부를 통해 회로 기판 상으로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자 하우징과 고정자 극판 상에서 생성되는 정전기가 코일 부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를 통해 종래 기술에서 고정자 극판과 고정자 하우징에서 생성되는 정전기를 밖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추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코일 부재 실시예에서 제1 시야각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코일 부재 실시예에서 제2 시야각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코일 부재의 A-A 지점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코일 부재의 부분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코일 부재에서 고정부, 도전부 및 센서의 제1 시야각의 조립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코일 부재에서 고정부, 도전부 및 센서의 제2 시야각의 조립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코일 부재에서 고정부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코일 부재에서 도전부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단면 구조도이다.
여기에서 상기 첨부 도면에는 하기의 참조 번호가 포함된다.
10은 사출성형부, 11은 위치제한 홈, 20은 고정자 하우징, 30은 고정자 극판, 40은 회로 기판, 50은 고정부, 51은 제1 연결부, 52는 제1 장착홈, 53은 관통홀, 54는 제2 장착홈, 55는 수용홈, 60은 도전부, 61은 제2 연결부, 62는 제1 도전 구간, 63은 제2 도전 구간, 64는 접촉 구간, 70은 센서, 71은 본체부, 72는 핀, 80은 와인딩, 90은 밸브체, 100은 회전자 부재, 110은 밸브 니들 부재, 111은 스크류 로드 부재, 112는 밸브 니들 및 113은 너트 부재이다.
충돌이 없는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결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에 유의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상 달리 해석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은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포함" 및/또는 "포괄"은 특징, 단계, 조작, 장치,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출원은 코일 부재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부재는 사출성형부(10), 고정자 하우징(20), 고정자 극판(30) 및 회로 기판(40)을 포함한다. 고정자 하우징(20), 고정자 극판(30) 및 회로 기판(40)은 모두 사출성형부(10) 내에 설치된다. 코일 부재는 사출성형부(10) 내에 설치되는 고정부(50), 고정부(50) 상에 설치되어,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를 회로 기판(40)과 도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도전부(60) 및 고정부(50) 상에 설치되어,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되는 센서(70)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코일 부재는 도전부(60)를 통해 고정자 하우징(20) 및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와 회로 기판(40)의 도전 연결을 구현하였다. 즉,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상에 생성되는 정전기를 도전부(60)를 통해 회로 기판(40) 상으로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상에서 생성되는 정전기가 코일 부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를 통해 종래 기술에서 고정자 극판과 고정자 하우징에서 생성되는 정전기를 밖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부(60)를 고정부(50) 상에 설치하고, 고정부(50)를 사출성형부(10) 상에 설치한다. 고정부(50)를 통해 도전부(60)를 사출성형부(10) 내에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코일 부재 운행 과정에서 도전부(60)에 변위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전부(60)가 고정자 하우징(20) 및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와 회로 기판(40)의 도전 연결을 구현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상에 생성되는 정전기가 회로 기판(40) 상에 전달된 후, 회로 기판(40)은 이에 대해 필터링 등 처리를 수행하여 정전기로 인한 영향을 줄이고 최종적으로 이를 밖으로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부재가 회전자의 이동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부재는 센서(70)를 더 포함한다. 센서(70)는 고정부(50) 상에 설치되며, 센서(70)는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70)와 도전부(60)는 모두 고정부(50)를 통해 사출성형부(10) 상에 설치된다. 또한 모두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된다. 고정부(50)의 설치를 통해 센서(70)와 도전부(60)의 안정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전체 설치 공간도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70)는 회전 신호 또는 이동 신호와 같은 회전자의 변위 신호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센서(70)는 홀 센서 또는 위치 센서일 수 있다.
도전부(60)를 안정적으로 고정부(50) 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0) 상에 제1 연결부(51)가 설치되고, 도전부(60) 상에 제2 연결부(61)가 설치된다.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61)는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50)와 도전부(60)는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61)를 통해 안정적인 연결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50)와 도전부(60)의 연결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연결부(51)는 적어도 2개이고, 제2 연결부(61)도 적어도 2개이다.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부(51)와 적어도 2개의 제2 연결부(61)는 일대일 서로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61)의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 제1 연결부(51)는 돌기이고, 제2 연결부(61)는 위치결정 홀이며, 제1 연결부(51)는 제2 연결부(61) 내에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는 제1 연결부(51)는 위치결정 홀이고, 제2 연결부(61)는 돌기이며, 제2 연결부(61)는 제1 연결부(51) 내에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5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제1 연결부(51)는 돌기이고, 제2 연결부(61)는 위치결정 홀이다. 여기에서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61)는 핫 리베팅 또는 초음파 용접을 통해 고정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50)는 플라스틱 제품이며, 제1 연결부(51)는 고정부(50) 상의 돌기이다. 구체적인 설치 과정에서, 제1 연결부(51)는 제2 연결부(61) 내에 관통 설치된다. 그 후 핫 리베팅 또는 초음파 용접을 통해 제1 연결부(51)를 처리하여 제1 연결부(51)를 변형시키고 최종적으로 제2 연결부(61)를 감싼다. 즉, 위치결정 홀의 홀 개구에 하나의 위치결정 캡을 형성하여,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61)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한다.
용이한 설치와 콤팩트한 구조를 고려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0) 상에 제1 장착홈(52)을 설치하고, 제1 연결부(51)는 제1 장착홈(52) 내에 설치한다. 여기에서 도전부(6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장착홈(52) 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장착홈(52)은 직사각형홈이며, 고정부(50)의 일부 구간은 제1 장착홈(52)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전부(60)는 탄성편이며, 도전부(60)와 회로 기판(40)은 서로 연결된다.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는 도전부(60)와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부(60)는 탄성편이다. 탄성편은 고정자 하우징(20) 및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 상에 가압된다. 즉, 제1 장착홈(52)의 홈벽과 고정자 하우징(20) 및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클램핑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은 서로 연결된다.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는 도전부(60)와 서로 맞닿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은 서로 연결된다. 즉,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은 항상 도전 연통 상태에 있다. 따라서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가 도전부(60)와 연결된 후,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이 모두 회로 기판(40)과 도전 연통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부(60)는 고정자 하우징(20) 상에 가압 설치된다.
도전부(60)의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부(60)는 고정부(50)와 서로 연결되는 제1 도전 구간(62);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되는 제2 도전 구간(63); 및 만곡 구간이며, 고정자 하우징(20)과 서로 맞닿는 접촉 구간(6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도전 구간(62)은 접촉 구간(64)과 제2 도전 구간(63)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도전 구간(63)과 접촉 구간(64)을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부(60)는 제1 도전 구간(62), 제2 도전 구간(63) 및 접촉 구간(6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 도전 구간(62)은 제2 도전 구간(63)과 접촉 구간(64)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도전 구간(63)과 회로 기판(40)은 서로 용접된다. 제1 도전 구간(62) 상에는 고정부(50) 상의 제1 연결부(51)와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61)가 설치된다. 접촉 구간(64)은 고정자 하우징(20) 상에 가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도전 구간(62)과 제2 도전 구간(63)은 모두 직사각형이다. 제1 도전 구간(62)의 폭은 제2 도전 구간(63)의 폭보다 커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도전 구간(62)은 고정부(50)의 제1 장착홈(52) 내에 설치된다. 접촉 구간(64)은 제1 장착홈(52)의 투영을 향해 제1 장착홈(52) 내에 위치하기도 한다.
센서(70)와 고정부(50)의 구체적인 설치 구조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0) 상에 관통홀(53)이 설치된다. 센서(70)는 고정부(50) 상에 설치되는 본체부(71); 및 본체부(71) 상에 설치되는 핀(72)을 포함한다. 핀(72)은 관통홀(53)을 관통한 후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71) 상의 핀(72)은 관통홀(53)을 관통한 후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되나, 본체부(71) 자체는 고정부(50)와 연결 관계가 없다. 최종적으로 모두 핀(72)과 관통홀(53)에 의해 고정과 위치결정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50)는 회로 기판(40)을 등지는 일단에 제2 장착홈(54)이 설치된다. 본체부(71)는 제2 장착홈(54) 내에 설치된다. 고정부(50)는 도전부(60)를 등지는 일측에 수용홈(55)이 설치된다. 핀(72)의 일부는 수용홈(55) 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장착홈(54)은 직사각형 캐비티이다. 제2 장착홈(54)과 제1 장착홈(52)은 각각 고정부(50)의 양측에 위치한다. 수용홈(55)의 홈벽 상에는 관통홀(53)이 설치된다. 즉, 제2 장착홈(54)과 수용홈(55) 사이 및 도전부(60)와 수용홈(55) 사이에는 모두 관통홀(53)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홀(53)은 복수개이다. 복수개의 관통홀(53)은 핀(7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여기에서 관통홀(53)은 고정부(50)에서 도전부(60)를 등진 일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핀(72)은 3개이며, 관통홀(53)은 이에 상응하여 3세트이다.
고정부(50)를 사출성형부(10)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부(10) 상에 위치제한 홈(11)이 설치되고, 고정부(50)는 위치제한 홈(11) 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제한 홈(11)은 하나의 직사각형 홈이고, 고정부(50)의 일부 구간은 위치제한 홈(11) 내에 설치된다.
본 출원은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팽창 밸브를 더 제공한다. 코일 부재는 전술한 코일 부재이다.
본 출원의 전자 팽창 밸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부재와 밸브체(90)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코일 부재는 위치고정편, 와인딩(80), 회로 기판(40), 고정자 극판(30), 고정자 하우징(20), 고정자 하우징(20)을 감싸는 도전되지 않는 플라스틱 밀봉 하우징(사출성형부(10))을 적어도 포함한다. 코일 부재 내부는 도전부(60)를 통해 고정자 하우징(20)과 회로 기판(40)을 도전 접촉시킨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 설계는 코일 내부의 고정자 극판(30)과 고정자 하우징(20)이 탄성 금속편(도전부(60))을 통해 회로 기판(40)과 도통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 작동 시 고정자 극판(30)과 고정자 하우징(20) 상의 정전기는 회로 기판을 통한 처리 후 다시 접지된다. 따라서 코일에 의해 생성된 정전기가 다른 부품에 미치는 영향과 다른 부품에 의해 생성된 정전기가 전자 팽창 밸브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코일 플라스틱 밀봉 하우징은 일체형 사출성형이며, 코일 상에 회로 기판 보호 케이스를 일체로 성형한다. 또한 다시 회로 기판 장착 캐비티 내에 하나의 위치제한 홈(11)을 설치하여, 홀 스위치 고정 부재(고정부(50))의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하는 데 사용한다. 홀 스위치의 고정 부재 상에 하나의 금속 탄성편(도전부(60))을 조립하여, 고정자 하우징(20)과 회로 기판(40)을 도통시키는 데 사용한다. 고정자 극판(30)과 고정자 하우징(20)은 함께 조립되어 우수한 전기적 접촉을 형성한다. 도전부(60)와 그 중 하나의 고정자 하우징(20)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면, 도전부(60)는 코일 내부의 모든 고정자 극판 및 고정자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금속 탄성편을 통해 코일 상의 고정자 극판(30)과 고정자 하우징(20)이 회로 기판(40)을 통해 처리된 후 접지되도록 만든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팽창 밸브는 회전자 부재(100)와 밸브 니들 부재(110)를 더 포함한다. 코일 부재는 밸브체(90) 상을 씌우도록 설치되어, 회전 자기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회전자 부재(100)는 밸브체 내에 장착된다. 밸브 니들 부재(110)는 상하로 연결된 스크류 로드 부재(111)와 밸브 니들(112)을 포함한다. 밸브 니들 부재(110)의 상부는 회전자 부재(100)를 관통하여 고정 연결되며, 그 중간부에는 그 외측을 감싸는 너트 부재(113)가 설치된다. 너트 부재(113)와 스크류 로드 부재(111)는 나사산을 통해 매칭된다. 너트 부재(113) 외주 상에는 스톱 부재가 설치되어, 밸브 니들의 상하 스트로크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통전 시, 회전자 부재(100)는 코일 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자 부재(100)와 고정 연결된 스크류 로드 부재(111)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너트 부재(113)와 스크류 로드 부재(111) 사이 나사쌍의 작용 하에서, 스크류 로드 부재(111)는 회전과 동시에 너트 부재(113)에 대해 상하로 운동하며 밸브 니들(112)을 상하 운동시킨다. 이를 통해 밸브 니들(112)의 개도 조절을 구현한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는 하기 기술적 효과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코일 부재는 도전부(60)를 통해 고정자 하우징(20) 및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와 회로 기판(40)의 도전 연결을 구현하였다. 즉,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상에 생성되는 정전기를 도전부(60)를 통해 회로 기판(40) 상으로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자 하우징(20)과 고정자 극판(30) 상에서 생성되는 정전기가 코일 부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를 통해 종래 기술에서 고정자 극판과 고정자 하우징에서 생성되는 정전기를 밖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및 상기 첨부 도면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특정한 순서나 앞뒤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본원에 사용된 데이터는 적절한 상황에서 상호 호환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여기에서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와 "구비하다" 및 이의 임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의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비는 명확하게 나열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비 고유의 다른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 위", "~의 상방", "~의 상표면", "~의 상면" 등과 같이 본원에 사용된 공간의 상대적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하나의 장치 또는 특징과 다른 장치 또는 특징의 공간적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공간의 상대적 용어라 함은 장치가 도면에서 설명된 방향 이외에도 사용 또는 작동 중의 상이한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첨부 도면 중의 장치가 도치되는 경우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상방" 또는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위"의 장치로 설명한 후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하방" 또는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아래"로 정의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의 상방"에는 "~의 상방"과 "~의 하방"의 2가지 방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기타 상이한 방식으로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으며(90도 회전하거나 기타 방위에 놓임), 여기에서 사용된 공간의 상대적 설명에 상응하는 해석이 이루어진다.
상기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상과 원칙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코일 부재에 있어서,
    사출성형부(10), 고정자 하우징(20), 고정자 극판(30) 및 회로 기판(4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 하우징(20), 상기 고정자 극판(30) 및 상기 회로 기판(40)은 모두 상기 사출성형부(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사출성형부(10) 내에 설치되는 고정부(50);
    상기 고정부(50)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 하우징(20)과 상기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회로 기판(40)과 도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도전부(60); 및
    상기 고정부(5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되는 센서(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50) 상에는 제1 연결부(51)가 설치되고, 상기 도전부(60) 상에는 제2 연결부(6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51)와 상기 제2 연결부(61)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51)는 돌기이고, 상기 제2 연결부(61)는 위치결정 홀이며, 상기 제1 연결부(51)는 상기 제2 연결부(61) 내에 관통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연결부(51)는 위치결정 홀이고, 상기 제2 연결부(61)는 돌기이며, 상기 제2 연결부(61)는 상기 제1 연결부(51) 내에 관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상기 제1 연결부(51)는 돌기이고, 상기 제2 연결부(61)는 위치결정 홀이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연결부(51)는 상기 제2 연결부(61)와 핫 리베팅 또는 초음파 용접을 통해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 상에는 제1 장착홈(52)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51)는 상기 제1 장착홈(52) 내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도전부(6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장착홈(52)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60)는 탄성편이고, 상기 도전부(60)는 상기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자 하우징(20)과 상기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전부(60)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20)은 고정자 극판(30)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자 하우징(20)과 상기 고정자 극판(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전부(60)와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60)는,
    상기 고정부(50)와 서로 연결되는 제1 도전 구간(62);
    상기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되는 제2 도전 구간(63); 및
    만곡 구간이며, 상기 고정자 하우징(20)과 서로 맞닿는 접촉 구간(64)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도전 구간(62)은 상기 접촉 구간(64)과 상기 제2 도전 구간(6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도전 구간(63)과 상기 접촉 구간(64)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 상에는 관통홀(53)이 설치되고, 상기 센서(70)는,
    상기 고정부(50) 상에 설치되는 본체부(71); 및
    상기 본체부(71) 상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53)을 관통한 후 상기 회로 기판(40)과 서로 연결되는 핀(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회로 기판(40)을 등지는 일단에 제2 장착홈(54)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71)는 상기 제2 장착홈(54)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도전부(60)를 등지는 일측에 수용홈(55)이 설치되고, 상기 핀(72)의 일부는 상기 수용홈(55)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부(10) 상에 위치제한 홈(11)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위치제한 홈(11)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재.
  12.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코일 부재는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일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KR1020217025408A 2019-04-02 2020-03-13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 KR102513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260683.7A CN111765289B (zh) 2019-04-02 2019-04-02 线圈部件及具有其的电子膨胀阀
CN201910260683.7 2019-04-02
PCT/CN2020/079276 WO2020199900A1 (zh) 2019-04-02 2020-03-13 线圈部件及具有其的电子膨胀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979A KR20210114979A (ko) 2021-09-24
KR102513302B1 true KR102513302B1 (ko) 2023-03-23

Family

ID=7266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408A KR102513302B1 (ko) 2019-04-02 2020-03-13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58507A1 (ko)
EP (1) EP3951227A4 (ko)
JP (1) JP7223151B2 (ko)
KR (1) KR102513302B1 (ko)
CN (1) CN111765289B (ko)
WO (1) WO2020199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9108A (zh) * 2020-09-15 2022-03-15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子油泵
DE102020215268A1 (de) * 2020-12-03 2022-06-09 Mahle International Gmbh Expansionsventil
CN115027196A (zh) * 2021-03-05 2022-09-09 法雷奥汽车空调湖北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N215806673U (zh) * 2021-06-29 2022-02-11 盾安汽车热管理科技有限公司 定子组件及具有其的电子膨胀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4858A (ja) * 2004-06-14 2005-12-22 Minebea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06109666A (ja) * 2004-10-08 2006-04-20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JP2012124987A (ja) * 2010-12-06 2012-06-28 Fuji Koki Corp 電動弁用ステ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弁
CN107620824A (zh) 2016-07-14 2018-01-23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107763284A (zh) 2016-08-18 2018-03-06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子膨胀阀、控制系统以及控制系统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0348B2 (ja) * 1996-02-27 2006-05-31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における電磁コイル
DE10351504A1 (de) * 2003-11-05 2005-06-02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es Druckventil
JP2007134553A (ja) * 2005-11-11 2007-05-31 Ckd Corp 制御機器のアクチュエータ
CN102142727B (zh) * 2010-01-29 2012-10-03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电磁线圈及其制造方法和步进电机
JP5619526B2 (ja) * 2010-08-25 2014-11-05 株式会社不二工機 電磁弁一体型膨張弁
CN103016821B (zh) * 2011-09-26 2014-12-03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DE112014000672T5 (de) * 2013-02-04 2015-10-29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Bürstenloser Gleichstrommotor mit reduzierten Störsendungen
CN104283397B (zh) * 2013-07-10 2018-05-29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步进电机线圈
CN108626470B (zh) * 2013-10-15 2020-09-08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KR101921523B1 (ko) * 2014-03-19 2018-11-23 쯔지앙 산화 인텔리전트 컨트롤스 씨오., 엘티디. 전자 팽창 밸브
JP6434236B2 (ja) * 2014-07-03 2018-12-05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CN107345590A (zh) * 2016-05-06 2017-11-14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及其线圈总成、线圈总成的装配方法
CN106090335B (zh) * 2016-08-25 2018-04-24 湖北三江航天红峰控制有限公司 一种分流阀门
JP6798948B2 (ja) * 2017-08-08 2020-12-09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用ステータ及び電動弁
CN108006302B (zh) * 2017-11-08 2019-05-21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金城南京机电液压工程研究中心 一种基于双线圈温升控制的电磁活门
FR3074872B1 (fr) * 2017-12-08 2019-11-01 Moving Magnet Technologies Vanne de reglage compacte
CN208190467U (zh) * 2018-03-20 2018-12-04 瑞智精密股份有限公司 具有接地回路的塑封电机
US10431362B1 (en) * 2018-05-15 2019-10-01 Ademco Inc. Valve actuator with anti-corrosion coat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4858A (ja) * 2004-06-14 2005-12-22 Minebea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06109666A (ja) * 2004-10-08 2006-04-20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JP2012124987A (ja) * 2010-12-06 2012-06-28 Fuji Koki Corp 電動弁用ステ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弁
CN107620824A (zh) 2016-07-14 2018-01-23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107763284A (zh) 2016-08-18 2018-03-06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子膨胀阀、控制系统以及控制系统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9900A1 (zh) 2020-10-08
CN111765289A (zh) 2020-10-13
EP3951227A4 (en) 2022-12-14
EP3951227A1 (en) 2022-02-09
JP2022525501A (ja) 2022-05-17
KR20210114979A (ko) 2021-09-24
JP7223151B2 (ja) 2023-02-15
CN111765289B (zh) 2021-12-07
US20220158507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302B1 (ko) 코일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팽창 밸브
CN110771017B (zh) 具有壳体的电驱动单元
CN101499596B (zh) 螺线管和连接器组件
KR20120030449A (ko) 보빈을 보유하기 위한 클립을 갖는 무브러시 직류 액추에이터
US10307790B2 (en) Vibration motor
EP3404771B1 (en) Wire plug-in aid sleeve structure for wire connection terminal
EP3051637B1 (en) Motor
US20200153324A1 (en) Vibration Motor
CN110739558A (zh) 电子设备
KR20160090925A (ko) 진동 발생기
KR101899741B1 (ko) 전동기 및 그 emc 소자 및/또는 esd 소자의 접지 구조
CN108562774B (zh) 一种小型金属外壳集磁式霍尔电流传感器
KR20180047042A (ko) Bldc 모터
JP6292578B2 (ja) 磁気式入力装置
CN107087371B (zh) 一种新型引出导线密封结构
CN101572459A (zh) 电机
CN220382006U (zh) 一种具有防尘结构的接触器
CN112153813B (zh) 一种电子元器件连接结构及具有其的电子组件
CN101588095B (zh) 一种电机
CN218575503U (zh) 微动开关装配结构
KR101209801B1 (ko) 릴레이 장치
CN211296490U (zh) 步进电机及包括其的电子设备
CN215529121U (zh) 一种开关柜用摄像头
CN210807000U (zh) 一种电机
CN218215978U (zh) 电插头及电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