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275B1 -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 Google Patents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275B1
KR102511275B1 KR1020220131042A KR20220131042A KR102511275B1 KR 102511275 B1 KR102511275 B1 KR 102511275B1 KR 1020220131042 A KR1020220131042 A KR 1020220131042A KR 20220131042 A KR20220131042 A KR 20220131042A KR 102511275 B1 KR102511275 B1 KR 10251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transfer
compression
frame
buo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완
이윤창
Original Assignee
김진완
이윤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완, 이윤창 filed Critical 김진완
Priority to KR102022013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29C65/209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and involving the use of a fa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부표를 접합하여 부표를 제작함에 있어서 안정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편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부표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가 놓이며 상부에 환기부를 갖는 몸체선반틀, 몸체선반틀 선반 위에 양측으로 놓여 중앙을 기점으로 평행이동동작하여 반부표 각각을 양방향 이송압착하는 부표이송압착장치, 양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 중간에 놓여 전후 이동동작하여 압착전 부표의 접합면에 융착열을 가하는 이동융착열판장치, 상기 몸체선반틀 일측에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되어, 이동융착열판장치를 이용하여 반부표의 접합면에 융착열을 가하고, 융착열이 가해진 반부표를 부표이송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압착접합하여 부표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좌우압착접합으로 작업자가 작업을 함으로 인하여 좌우 넓어진 시야각으로 부표작업을 인지하여 사고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다. 나아가 접합과정에서는 부표이송압착장치의 부표흡착부가 반부표를 흡착접착하여 고정하고 압착접합 후 부표흡착부의 흡착률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쉽게 완부표를 수거하여 별도의 부표를 들어올리는 과정 없이 쉽게 회수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부표제작용 열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표제작용 열융착기{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oy}
본 발명은 부표제작용 열융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부표 두 개를 열접합하여 하나의 완부표로 제작하는 부표제작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바다에 어업시설물을 고정하거나 바다에 특정위치를 고정하여 알려주기 위하여 설치된다. 종래에 부표는 스티로폼으로 제작되었지만 환경파괴의 문제로 인하여 볼형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볼형의 플라스틱 부표의 제작장치중 방법중에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941174호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선행기술은 상하로 플라스틱부표를 눌러서 압착하는 장치로 상부에서 압착하는 장치는 작업자가 작업을 함에 있어서 상하 시야각이 좁아서 (인간의 좌우 시야각 180~210도, 상하 시야각 120도 내외) 내려오는 압착장치를 인지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성형완료된 부표를 성형틀에서 제거함에 있어서 들어올려야 하는 과정으로 인하여 작업자에게 불편한 동작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4117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부표 제작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하로 압착하는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사고의 문제점과 성형완료된 부표를 탈착시키는 과정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노동력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부표제작장치에 있어서, 장치가 놓이며 상부에 환기부를 갖는 몸체선반틀, 몸체선반틀 선반 위에 양측으로 놓여 중앙을 기점으로 평행이동동작하여 반부표 각각을 양방향 이송압착하는 부표이송압착장치, 양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 중간에 놓여 전후 이동동작하여 압착전 부표의 접합면에 융착열을 가하는 이동융착열판장치, 상기 몸체선반틀 일측에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된 부표제작용 열융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융착열판장치를 이용하여 반부표의 접합면에 융착열을 가하고, 융착열이 가해진 반부표를 부표이송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압착접합하여 부표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좌우압착접합으로 작업자가 작업을 함으로 인하여 좌우 넓어진 시야각으로 부표작업을 인지하여 사고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다. 나아가 접합과정에서는 부표이송압착장치의 부표흡착부가 반부표를 흡착접착하여 고정하고 압착접합 후 부표흡착부의 흡착률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쉽게 완부표를 수거하여 별도의 부표를 들어올리는 과정 없이 쉽게 회수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부표이송압착장치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라 부표이송압착장치의 구성의 예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융착열판장치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가열공기주입구 및 쿨링에어배출구를 구비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실제품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반부표를 거치부착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반부표에 이동융착열판장치로 융착열을 제공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융착열을 가진 반부표를 부표이송압착장치로 압착접합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양 흡착컵 중 한 측의 흡착력을 제거하고 부표이송압착장치를 벌어서 접합완료된 완부표의 모습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반부표를 접합하여 부표를 제작함에 있어서 안정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편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두 개의 반부표를 접합하여 완부표로 만드는 부표제작용 열융착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선반틀(10)과 부표이송압착장치(20), 이동융착열판장치(30), 조작부 및 제어부 (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반부표는 원형, 타원형, 원통형, 박스형과 같은 내부가 비어 있는 밀폐형 완부표를 반으로 가른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선반틀(10)은 장치가 놓이며 상부에 환기부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20)는 몸체선반틀 선반 위에 양측으로 놓여 중앙을 기점으로 평행이동동작하여 반부표 각각을 양방향 이송압착하는 것이다.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20)는 선반 위에 상하로 놓여 중앙을 기점으로 상하이동동작하여 반부표 각각을 양방향에서 이송압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융착열판장치(30)는 양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 중간에 놓여 전후 이동동작하여 반부표의 압착전 접합면에 융착열을 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몸체선반틀 일측에 장치를 조작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20)는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몸체(61), 부표가 이송되도록 이동하는 이송몸체(62)로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몸체 안측에 부표 접합 전 일단의 반부표가 놓여지는 부표고정부(100), 상기 부표고정부(100)에 부표를 고정함에 있어서 흡입 흡착하여 고정되게 하는 부표흡착부(200), 상기 부표고정부(100)에 흡착고정된 부표를 중앙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부표이송부(300)로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부표고정부(100)는 부표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부표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삽입봉(110), 부표가 삽입되어 부표의 외측을 감싸는 부표의 고정틀이 되며 부표후방에 부표를 지지하는 후방지지틀(140), 상기 후방지지틀(140)과 함께 부표전방에서 부표의 지지하며 접합시 부표의 접합면을 바깥 양측에서 누르도록 누름면이 되는 전방누름틀(150)로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방지지틀(140)은 상기 고정삽입봉(110)이 둘려 결속되어 지지되게 형성되게 구비하고, 상기 전방누름틀(150)은 후방에 틀지지봉(120)에 후방 결속되어 지지되게 형성하여 구비하고, 상기 고정삽입봉(110)과 틀지지봉(120)은 중간연결부위에 완충되도록 완충연결버퍼(130)로 연결형성되게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표흡착부(200)는 부표고정부(100)에 놓여진 부표의 후방에서 흡입하는 흡착컵(210), 이송몸체 일측에 상기 흡착컵(210)에 연결튜브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220), 상기 진공펌프(220)와 흡착컵(210)의 연결튜브 사이에 흡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진공필터(230)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표이송부는 이송몸체 하부에 이송몸체의 이동가이드레일이 되는 수평레일(310), 상기 이송몸체가 수평레일(310)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몸체이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이송수단은 상기 고정몸체에 이송몸체의 이송동력이 되는 압착메인모터(320), 상기 압착메인모터(320)에 연결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되며 일단이 이송몸체에 연결되며 반부표 중심점에 축이 위치한 메인나사축(331)으로 이송몸체를 이송시키는 메인볼스크류(330)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이송수단은 일단이 이송몸체에 연결된 메인나사축(331)을 이송하는 서보모터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이송수단은 상기 이송몸체를 수평레일을 따라 이송하도록 하는 공압 또는 유압의 압력으로 동작하는 압력이동수단으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융착열판장치(30)는 몸체가 되는 열판몸체(410), 상기 열판몸체(410) 바닥면 하부에 바닥면 전진레일(420)을 따라 전 후진이동시키는 로드레스실린더(430), 반부표 접합면에 양면이 닿아 융착열을 가하는 접촉열판(440), 상기 접촉열판(440) 내부에 접촉열판(440)을 가열하는 발열코일(450)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융착열판장치(30)는 상기 접촉열판(440) 중앙에 반부표 내부에 주입펌프로 가열공기를 불어넣는 가열공기주입구(510)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몸체안측에 압착과정중인 부표를 쿨링시키도록 부표 외면에 쿨링에어를 부는 쿨링에어배출구(520)를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열공기주입구(510)는 상기 발열코일(450)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공기생성공간(511)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동작과정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부표고정부(100)에 작업자가 반부표를 양측에 각각 거치하는 것이다. 거치의 과정 중에 상기 고정삽입봉(110)이 반부표의 관통홀에 삽입되고 후방지지틀(140)과 전방누름틀(150)에 반부표의 몸체가 거치되어 반부표의 위치를 잡아주며 이러한 과정 중에 상기 부표흡착부(200)의 흡착컵(210)이 흡착동작하여 반부표를 흡착고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융착열판장치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양측 부표이송압착장치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의 이송몸체가 부표이송부(300)로 인하여 양 중앙으로 이동하여 반부표의 접합면이 이동융착열판장치의 접촉열판(440)에 접촉하고 접합면에 융착열이 가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충분한 융착열이 가해지면 부표이송압착장치의 이송몸체가 다시 벌여지고 이동융착열판장치가 후방으로 후진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부표이송압착장치의 이송몸체가 중앙으로 다물 듯이 이동하여 양 반부표의 접합면이 서로 접합 되도록 하며 상기 부표이송부(300)가 일정 힘을 가하여 접합면을 전방누름틀(150)로 가압하여 압착접합하는 동작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연결버퍼(130)로 인하여 압착과정 중에 과한 압력으로 부표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양 부표이송압착장치의 흡착컵(210)중 한 부분의 흡착 진공이 제거되고 이송몸체가 다시 벌어지게 되며, 벌어진 후 흡착중이던 흡착컵(210)의 흡착압을 줄여서 작업자가 접합된 완부표를 쉽게 추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반부표의 접합면에 융착열을 가하는 과정에 상기 가열공기주입구(510)로 반부표내부에 가열공기를 주입하고, 압착접합하는 과정에 상기 쿨링에어배출구(520)로 부표 외부에서 내부공기를 식히면 내부공기압이 줄어들어 압착접합하는 과정 중 접합성능이 향상하고 내부압력의 상승에 따른 부표에 크랙이 생겨 밀폐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구성에 따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치가 놓이며 상부에 환기부를 갖는 몸체선반틀, 몸체선반틀 선반 위에 양측으로 놓여 중앙을 기점으로 평행이동동작하여 반부표 각각을 양방향 이송압착하는 부표이송압착장치, 양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 중간에 놓여 전후 이동동작하여 압착전 부표의 접합면에 융착열을 가하는 이동융착열판장치, 상기 몸체선반틀 일측에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반부표를 양 부표이송압착장치에 각각 거치하여 이동융착열판장치로 반부표의 접합면에 융착열을 가하고 부표이송압착장치로 압착접합하여 부표의 접합이 이루어져 부표가 제작되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압착접합의 과정은 수평적인 동작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상하시야각보다 넓은 좌우시야각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서 작업자의 작업인식률이 높아져 안전사고의 발생이 줄어들게 되며 접합이 완료된 완부표를 수거하는 과정에 별도의 들어올리는 동작없이 완부표를 때어내는 단순한 수거동작만으로 작업이 이루어져서 작업의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부표고정부(10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부표고정부(100)로 고정삽입봉(110)에 부표의 관통홀이 삽입되어 접합작업과정에서 부표가 회전 또는 움직여서 접합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후방지지틀(140)과 전방누름틀(150)로 반부표의 외형을 잡으면서 부표의 거치를 도와 접합면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전방누름틀(150)은 부표를 압착접합함에 있어서 부표의 접합면이 포함된 접합테두리 양측에서 눌러주면서 압착접합시키는 것이다. 나아가 후방지지틀(140)과 전방누름틀(150)을 지지하는 고정삽입봉(110)과 틀지지봉(120)에 완충연결버퍼(130)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압착과정에서 과도한 압착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완충 되면서 이루어지게 하여 압착과정에 부표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표흡착부(20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진공펌프(220)와 연결튜브로 연결된 흡착컵(210)을 통하여 반부표의 거치시 흡착하여 부표를 고정할 수 있으며, 접합완료된 완부표를 이탈시킴에 있어서 한쪽은 흡착을 제거하고 다른 한쪽은 흡착력을 줄여서 쉽게 완부표를 작업자가 수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진공펌프(220)와 연결튜브 사이에 진공필터(230)를 구비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작업공간에서 이물질로 인해 흡착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부표이송부(30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압착메인모터(320)에 연결벨트로 연결된 메인볼스크류(330)의 구성으로 이송몸체를 이송시켜 압착동작이 이루어지는 반부표의 중앙점에서 압축힘이 전달되 압축힘이 균일하게 전달되어 불균형압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융착열판장치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열판몸체(410)가 로드레스실린더(430)로 전후 이동하여 반부표의 접합전에 양 반부표의 접합면에 융착열을 제공하며 제공과정에서 접촉열판(440)이 발열코일(450)에 간접 가열되어 일정한 융착열이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공기주입구(510)와 쿨링에어배출구(52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가열공기생성공간(511)에서 발열코일(450)로 가열생성된 가열공기를 주입펌프로 가열공기주입구(510)를 통해 반부표 내부에 머무르게 한 뒤 부표를 접합하고, 압착접합과정 중에 쿨링에어배출구(520)를 통해 쿨링펌프로 주입되는 쿨링에어를 부표 외면에 분사하면, 압착접합과정중에 부표 내부 공기가 식으면서 내부압력이 낮아서 부표접합과정에서 압력차로 접합이 더 잘 이루어지는 것이다. 나아가 완료된 완부표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생성되게 되어 부표가 물속으로 눌려서 가라앉는 경우와 같이 부표내부 외부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높아지는 것을 줄여서 부표가 내부공기 유출로 인한 방지하는 것이다.
1: 부표
10: 몸체선발틀 20: 부표이송압착장치
30: 이동융착열판장치 40: 조작부 & 제어부
51: 동작스위치
61: 고정몸체 62: 이송몸체
100: (부표고정부)
110: 고정삽입봉 120: 틀지지봉
130: 완충연결버퍼 140: 후방지지틀
150: 전방누름틀
200: (부표흡착부)
210: 흡착컵 220: 진공펌프
230: 진공필터
300: (부표이송부)
310: 수평레일 320: 압착메인모터
330: 메인볼스크류 331: 메인나사축
410: 열판몸체 420: 전진레일
430: 로드레스실린더 440: 접촉열판
450: 발열코일
510: 가열공기주입구 511: 가열공기생성공간
520: 쿨링에어배출구

Claims (4)

  1. 부표를 제작하는 열융착기에 있어서,
    장치가 놓이며 상부에 환기부를 갖는 몸체선반틀, 몸체선반틀 선반 위에 양측으로 놓여 중앙을 기점으로 평행이동 또는 상하이동 양방향 동작하여 반부표 각각을 양방향 이송압착하는 부표이송압착장치, 양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 중간에 놓여 전후 이동동작하여 압착전 부표의 접합면에 융착열을 가하는 이동융착열판장치, 상기 몸체선반틀 일측에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부표이송압착장치는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몸체, 부표가 이송되도록 이동하는 이송몸체로 구비하고;
    상기 이송몸체 안측에 부표 접합 전 일단의 반부표가 놓여지는 부표고정부, 상기 부표고정부에 부표를 고정함에 있어서 흡입 흡착하여 고정되게 하는 부표흡착부, 상기 부표고정부에 흡착고정된 부표를 중앙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부표이송부로 구비하여 구성하며;
    상기 부표고정부는 부표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부표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삽입봉, 부표가 삽입되어 부표의 외측을 감싸는 부표의 고정틀이 되며 부표후방에 부표를 지지하는 후방지지틀, 상기 후방지지틀과 함께 부표전방에서 부표의 지지하며 접합시 부표의 접합면을 누르도록 누름면이 되는 전방누름틀로 구비하고,
    상기 후방지지틀은 상기 고정삽입봉이 둘려 결속되어 지지되게 형성되게 구비하고, 상기 전방누름틀은 후방에 틀지지봉에 후방 결속되어 지지되게 형성하여 구비하고, 상기 고정삽입봉과 틀지지봉은 중간연결부위에 완충 되도록 완충연결버퍼로 연결형성되게 구비하고,
    상기 부표흡착부는 부표고정부에 놓여진 부표의 후방에서 흡입하는 흡착컵, 이송몸체 일측에 상기 흡착컵에 연결튜브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와 흡착컵의 연결튜브 사이에 흡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진공필터로 구비하고,
    상기 부표이송부는 이송몸체 하부에 이송몸체의 이동가이드레일이 되는 수평레일, 상기 고정몸체에 이송몸체가 이동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송몸체의 이송동력이 되는 몸체이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융착열판장치는 몸체가 되는 열판몸체, 상기 열판몸체 바닥면 하부에 바닥면 전진레일을 따라 전 후진이동시키는 로드레스실린더, 반부표 접합면에 양면이 닿아 융착열을 가하는 접촉열판, 상기 접촉열판 내부에 접촉열판을 가열하는 발열코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이송수단은 고정몸체일측에 압착메인모터, 상기 압착메인모터에 연결벨트로 연결되어 일단이 이송몸체에 연결되며 반부표 중심점에 축이 위치한 메인나사축으로 이송몸체를 이송시키는 메인볼스크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융착열판장치는 상기 접촉열판 중앙에 반부표 내부에 주입펌프로 가열공기를 불어넣는 가열공기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몸체안측에 압착과정중인 부표를 쿨링시키도록 부표 외면에 쿨링펌프로 쿨링에어를 부는 쿨링에어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KR1020220131042A 2022-10-13 2022-10-13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KR10251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042A KR102511275B1 (ko) 2022-10-13 2022-10-13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042A KR102511275B1 (ko) 2022-10-13 2022-10-13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275B1 true KR102511275B1 (ko) 2023-03-17

Family

ID=8587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042A KR102511275B1 (ko) 2022-10-13 2022-10-13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2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192B1 (ko) * 2016-07-04 2018-03-13 주식회사 에이스원테크 합성수지제 부표 열융착 시스템
KR101848197B1 (ko) * 2017-02-06 2018-04-11 손병규 해저용 부구 융착 장치
KR101941174B1 (ko) 2018-11-06 2019-01-23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부표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192B1 (ko) * 2016-07-04 2018-03-13 주식회사 에이스원테크 합성수지제 부표 열융착 시스템
KR101848197B1 (ko) * 2017-02-06 2018-04-11 손병규 해저용 부구 융착 장치
KR101941174B1 (ko) 2018-11-06 2019-01-23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부표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6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KR101809483B1 (ko)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CN204453798U (zh) 一种用于夹持瓶盖体内侧的机械手
KR102511275B1 (ko) 부표제작용 열융착기
CN209731745U (zh) 一种用于pcb板的贴片机
CN113319693A (zh) 一种用于手持吸尘器壳体模具的打磨清理设备
CN114102097B (zh) 一种5g通讯手机自动化装配装置
CN209747460U (zh) 贴膜机
CN114083389A (zh) 一种近视矫正眼镜的镜片磨片装置
CN210312482U (zh) 一种模具取料装置
CN209888145U (zh) 一种3d曲面贴合机
KR100347429B1 (ko) 반도체 펠릿의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CN100540401C (zh) 密封带的成型粘结装置及方法
CN105499908A (zh) 一种电池盖板滤气片热封机器人
CN109461808A (zh) 一种用于led灯的加工设备
CN210214068U (zh) 一种镜片夹取装置
CN210047089U (zh) 一种蒸发器真空贴海绵设备
CN208589357U (zh) 电磁铁组立流转非标自动化设备
CN109515860B (zh) 一种利用摩擦与双负压的聚乙烯胶袋开袋装置
CN209424931U (zh) 用于电子烟盒组装的壳体底盖组装线
CN209493144U (zh) 一种用于曲面的贴条装置
JP3182424U (ja) 真空式封緘機構造
CN206995745U (zh) 乒乓球增压合球机
CN110733151A (zh) 一种搪胶机
TW200821656A (en) Absorbing pick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