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125B1 -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125B1
KR102509125B1 KR1020217043041A KR20217043041A KR102509125B1 KR 102509125 B1 KR102509125 B1 KR 102509125B1 KR 1020217043041 A KR1020217043041 A KR 1020217043041A KR 20217043041 A KR20217043041 A KR 20217043041A KR 102509125 B1 KR102509125 B1 KR 10250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lens
camera module
hypotenus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148A (ko
Inventor
밍쥬 왕
보어지에 자오
춘메이 리우
페이판 천
쩐위 천
Original Assignee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057589.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36315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107077.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892433U/zh
Application filed by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0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어셈블리(10)와 카메라모듈(100)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렌즈 어셈블리(10)는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 렌즈(114)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모따기 렌즈(114)는 적어도 하나의 빗변 변두리(1141)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변두리(1142)를 포함하고, 빗변 변두리(1141)와 원형 변두리(1142)는 서로 인접하며, 여기에서 빗변 변두리(1141)와 원형 변두리(1142)는 곡률이 다르고, 초협폭 카메라모듈(100)을 구성할 수 있도록 렌즈(114)가 좁아지며, 렌즈 어셈블리(10)의 폭이 좁아진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 { CAMERA MODULE }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모듈의 체형을 많이 줄여 스마트 설비 중에서 카메라모듈을 빈틈없이 사용하는 데 편리를 제공하는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설비가 발전함에 따라, 카메라모듈은 이미 스마트 설비 중에서 필수적인 기자재로 되었다. 카메라모듈의 고성능화 또한 스마트 설비 개선과 연구개발의 주요 방향으로서, 스마트 설비 성능을 구현하는 핵심이다.
현재, 종래기술에 따른 스마트 설비, 예컨대 스마트 휴대폰, 스마트 컴퓨터, 스마트 홈 등 설비는 그 중에 특별히 카메라모듈을 위해 아주 큰 공간을 남겨 두어야 하며, 특히, 프레임을 설계할 때 카메라모듈을 위해 아주 넓은 가장자리를 남겨두어야 한다. 하지만, 스마트 설비가 체적 소형화, 프레임 협소화를 지향함에 따라, 카메라모듈도 체적을 줄여야 한다. 체적을 줄이는 동시에, 렌즈 어셈블리의 정상 작동과 카메라모듈의 기능 완벽화를 보증하는 것은 우리가 해결해야 할 기술문제다.
종래기술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와 카메라모듈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10P), 하나의 렌즈튜브(20P), 하나의 렌즈 베이스(30P)와 하나의 회로유닛(40P)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렌즈(10P)는 원형 렌즈이고, 상기 렌즈튜브(20P)는 원기둥형 통 구조를 이루며, 상기 렌즈 베이스(30P)와 상기 회로유닛(40P)은 모두 네모꼴 구조를 이룬다. 여기에서, 상기 렌즈튜브(20P)가 상기 렌즈(10P)를 감싸 지지하므로, 상기 렌즈튜브(20P)와 상기 렌즈(10P)의 외형이 서로 대응되는데, 즉, 축방향에서 관찰할 때 상기 렌즈(22P)와 상기 렌즈튜브(20P)는 모두 완벽한 원형을 이룬다. 하지만, 렌즈 베이스(30P)와 상기 회로유닛(40P)이 모두 네모꼴 구조를 이룰 뿐만 아니라, 상기 회로유닛(40P) 중 주요 감광칩(41P)도 네모꼴 구조를 이룬다. 각각의 상기 렌즈(10P)는 원형을 이루어 광선이 투과되는 부분과 광선이 투과되지 않는 부분을 가진다. 따라서, 광선 중에서 아주 많은 광선이 상기 회로유닛(40P)에 흡수되지 않고, 상기 회로유닛(40P)의 금줄, 패드(pad), 회로, 렌즈 베이스, 몰딩, 접착제 등과 같이 표면이 상대적으로 매끄러운 부품에 흡수된 후, 여러 번의 반사를 거친 후 이미징 영역에 복귀해 미광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렌즈(10P)로부터 개조해 불필요한 부분을 줄인다면, 상기 렌즈튜브(20P), 상기 렌즈 베이스(30P)와 상기 회로유닛(40P)이 모두 대응되게 불필요한 부분을 줄이도록 해 전반적 체형 상에서 카메라모듈의 체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실제적으로, 최대 한도에서, 상기 회로유닛(40P)이 감광칩보다 약간만 크면, 상기 렌즈튜브(20P)가 상기 회로유닛(40P)와 대응되는 크기, 상기 렌즈(10P)가 상기 회로유닛(40P)의 감광칩과 대응되는 크기는 카메라모듈의 완벽한 기능을 보증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상기 회로유닛(40P)에게 아주 많은 안전 공간을 남겨 두었는 데, 특히, 감광칩(41P)이 안정적으로 장기간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로유닛(40P) 중에 아주 많은 공간을 확장시켰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렌즈(10P)는 효과적인 광선 투과 구경을 보증하기 위해, 스페이서 또는 광선차단시트를 이용해 불필요한 광선을 차단한다. 하지만, 광선은 여전히 렌즈에서 굴절, 반사되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미광을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요소로 인해, 이미징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카메라모듈의 전반 체형 중에도 불필요한 부분이 아주 많이 존재하게 한다. 이는 치밀한 사용 환경과 고집적도 시스템의 응용에 대해 모두 불리하게 작용한다.
다른 측면에서, 카메라모듈은 고화소로 발전함에 따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수량이 점차적으로 많아 지는 데, 4p, 5p, 6p, 7p등 이상 수량에 도달하면, 렌즈 어셈블리의 체적이 계속 커져 렌즈 어셈블리가 카메라모듈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점차적으로 커지므로, 렌즈 어셈블리 개선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더 뚜렷이 드러났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목적은 콤팩트한 체형을 이용해 불필요한 체적을 줄이고, 기능의 완벽성을 보증하는 전제 하에, 효과적으로 스마트 설비 중에 응용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 렌즈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빗변 변두리, 하나의 이미징역역와 하나의 비(非)이미징역역을 구비하며, 상기 빗변 변두리를 통해 상기 모따기 렌즈의 체형을 줄이지만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이미징역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카메라모듈이 하나의 모따기 렌즈튜브, 하나의 베이스와 하나의 회로유닛을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와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로유닛 중에서 효과적으로 광선을 처리할 수 있도록 모두 대응되게 상기 모따기 렌즈의 체형과 매칭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가 상기 이미징역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상기 비(非)이미징역역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변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의 형태가 달라 상기 모따기 렌즈를 조립할 때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가 직선형일 수 있고 아치형일 수도 있으며, 상기 원형 변두리의 원형에 대비해, 상기 빗변 변두리가 금형을 가공, 설계할 때 소모하는 시간과 원가가 모두 감소하여 사용 재료를 확실히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의 대응되는 가공 양품율이 상기 원형 변두리보다 향상된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비(非)이미징역역이 종래 렌즈보다 많이 줄고, 상기 비(非)이미징역역을 투과하는 광선도 대응되게 줄어 이미징 효과와 이미징 효율 면에서 향상된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의 체형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회로유닛의 체형도 대응되게 줄어들어 전체적인 카메라모듈의 체형이 협소해지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의 설계에 의해,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와 상기 베이스의 형태 중에도 대응되는 빗변 변두리부가 구비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와 상기 베이스의 대응 위치는 직선형일 수 있고 아치형일 수도 있으며,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비와 금형도 원형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의 설계와 가공이 종래의 원형보다 소모되는 시간과 원가가 모두 감소하지만 대응되는 가공 양품율은 이에 반해 향상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와 상기 베이스의 대응되는 매칭으로 카메라모듈의 조립이 편리하게 되어 설치 방향을 신속히 확정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와 상기 베이스의 체형이 줄어 상기 회로유닛을 보다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가 상기 회로유닛의 감광칩과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비(非)이미징역역이 상기 회로유닛에 대한 감광칩의 체형이 작아지며, 영향도 대응되게 적어지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는 사출을 통해 일회성으로 성형되고, 대응되게 상기 빗변 변두리를 형성해 제조원가를 줄이는 동시에, 생산 난이도도 낮추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와, 상기 모따기 렌즈에 대응되는 기타 기자재를 사출에 의해 일회성 성형으로 구성하고, 그 제조 금형 또한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체형을 가지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응되는 상기 모따기 렌즈,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회로유닛에 의해, 조립할 때 편리하게 대응시켜 조립 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응되는 상기 모따기 렌즈,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회로유닛에 의해 카메라모듈의 체형을 대응되게 줄여, 종래기술에 대비해 초협폭 카메라모듈을 구현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렌즈가 베이스 설계 수요에 따라 카메라모듈의 사이즈를 전반적으로 소형화한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목적에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 렌즈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빗변 변두리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변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서로 인접하며, 여기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곡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 상기 빗변 변두리는 곡률이 0인 직선 선분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 상기 원형 변두리는 곡률>0인 하나의 아치형 선분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는 직선이고, 상기 원형 변두리는 원호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1개이고, 상기 빗변 변두리는 곡률이 0인 직선 선분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는 2개이고, 각각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곡률이 0인 직선 선분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는 2개이고, 상기 원형 변두리는 2개이며, 각각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대칭되게 분포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는 직선 선분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복수개 렌즈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모따기 렌즈이고, 적어도 하나가 원형 렌즈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의 사이즈가 상기 원형 렌즈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렌즈는 4개의 렌즈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렌즈는 사이즈가 차례대로 커지고, 여기에서, 사이즈가 가장 큰 상기 렌즈는 상기 모따기 렌즈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하나의 모따기 렌즈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 렌즈는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 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는 하나의 빗변 변두리부와 하나의 원형 변두리부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부와 상기 원형 변두리부는 단면 가장자리 곡률이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는 서로 대응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사출 방식을 통해 일회성 성형으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광로소자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광로소자는 상기 렌즈에 미리 설정된 광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와 인접되게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에 위치한 상기 광로소자의 외부 가장자리 형태는 상기 모따기 렌즈 형태와 일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중에서, 상기 광로소자는 와셔, 개스킷, 코팅층 중의 하나로 조합된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서 하나의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데,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 및 하나의 감광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 렌즈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빗변 변두리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변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서로 인접하고, 여기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곡률이 다르고; 상기 감광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가 상기 감광어셈블리의 감광 경로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감광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적어도 하나의 감광칩과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하나의 설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칩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감광칩의 감광 경로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베이스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에 성형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학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감광칩에게 광 채널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베이스는 하나의 베이스 몸체와 보충베이스를 포함하는데, 상기 베이스 몸체는 하나의 노치를 구비하고, 상기 보충베이스는 하나의 상기 노치를 보충해 하나의 밀폐된 상기 윈도우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모따기 위치와 상기 보충베이스의 위치는 서로 대응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로기판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회로기판몸체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회로기판몸체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에 성형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소자를 피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회로기판몸체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회로기판몸체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 꼭대기부에 성형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함몰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감광칩은 침하되어 상기 함몰영역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함몰영역은 오목홈, 스루홀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감광칩는 하나의 감광영역과 하나의 비(非)감광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일체형으로 적어도 일부의 상기 비(非)감광영역을 밀폐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광필터소자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일체형으로 상기 광필터소자를 밀폐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하나의 차단렌즈를 포함하는데, 상기 차단렌즈는 상기 감광칩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 의해 일체형으로 밀폐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차단렌즈는 상기 모따기 렌즈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은 하나의 렌즈탑재소자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탑재소자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탑재소자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렌즈탑재소자는 하나의 구동 부품으로서, 하나의 오토포커스 카메라모듈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 중에서, 상기 렌즈탑재소자는 하나의 렌즈 고정부품으로서, 하나의 고정 초점 카메라모듈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렌즈탑재소자는 일체형으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탑재소자에 장착되어 하나의 고정초점모듈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카메라모듈은 하나의 어레이 카메라모듈을 구성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 측면에서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 렌즈와 하나의 모따기 렌즈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 렌즈는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 내에 장착되고,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빗변 변두리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변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서로 인접하고, 여기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곡률이 다르며,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는 하나의 빗변 변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빗변 변두리부와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가 대응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 측면에서 하나의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데, 하나의 렌즈 및 하나의 감광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 렌즈와 하나의 모따기 렌즈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 렌즈는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 내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빗변 변두리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변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서로 인접하고, 여기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곡률이 다르고,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는 하나의 빗변 변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빗변 변두리부와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가 대응되고; 및
상기 감광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가 상기 감광 어셈블리의 감광 경로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제1 슬래브와 하나의 제2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래브와 상기 제2 슬래브는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래브는 전자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상기 제2 슬래브에 근접한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제1 슬래브와 하나의 제2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래브와 상기 제2 슬래브는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래브는 전자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는 상기 제2 슬래브에 근접한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제1 슬래브와 하나의 제2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래브와 상기 제2 슬래브는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래브는 전자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상기 제2 슬래브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제1 슬래브와 하나의 제2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래브와 상기 제2 슬래브는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래브는 전자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는 상기 제2 슬래브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제1 슬래브와 하나의 제2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래브와 상기 제2 슬래브는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래브는 전자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는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상기 제1 슬래브에 근접한 일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상기 제2 슬래브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제1 슬래브와 하나의 제2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래브와 상기 제2 슬래브는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래브는 전자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슬래브에 설치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는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는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와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는 상기 제1 슬래브에 급접한 일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빗변 변두리부는 상기 제2 슬래브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는 각각 하나의 제1 측변, 하나의 제2 측변, 하나의 제3 측변, 하나의 제4 측변인 4개의 측변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측변, 상기 제2 측변, 상기 제3 측변과 상기 제4 측변은 서로 인접해 하나의 광학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감광칩에게 광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측변은 상기 제2 슬래브에 근접하며, 상기 빗변 변두리는 상기 제1 측변 방향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측변의 폭 사이즈가 상기 제2 측변과 상기 제4 측변의 폭 사이즈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는 각각 하나의 제1 측변, 하나의 제2 측변, 하나의 제3 측변, 하나의 제4 측변인 4개의 측변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측변, 상기 제2 측변, 상기 제3 측변과 상기 제4 측변은 서로 인접해 하나의 광학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감광칩에게 광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측변은 상기 제2 슬래브에 근접하며, 상기 제3 측변은 상기 제1 측변과 마주보고, 상기 빗변 변두리는 상기 제3 측변 방향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측변의 폭 사이즈는 제2 측변과 상기 4개의 측변의 폭 사이즈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는 각각 하나의 제1 측변, 하나의 제2 측변, 하나의 제3 측변, 하나의 제4 측변인 4개의 측변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측변, 상기 제2 측변, 상기 제3 측변과 상기 제4 측변은 차례대로 서로 인접해 하나의 광학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감광칩에게 광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측변은 상기 제2 슬래브에 근접하며, 상기 제3 측변은 상기 제1 측변과 마주보고, 여기에서,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상기 제1 측변 방향에 위치하며, 다른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상기 제3 측변 방향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제1 슬래브와 하나의 제2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래브와 상기 제2 슬래브는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래브는 전자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슬래브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제1 슬래브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일체형으로 상기 제1 슬래브에 성형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소자를 피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소자는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의 4개 측변 중의 일측변, 양측변, 3측변 또는 4측변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제2 측변과 상기 제4 측변 위치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제1 측변과 상기 제3 측변 위치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감광칩은 하나의 전기연결소자를 통해 상기 제1 슬래브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는 일회성으로 상기 제1 슬래브에 성형되어 상기 전기연결소자를 피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기적 연결은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 4측 중의 2측, 3측 또는 4측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기연결소자는 상기 제2 측변과 상기 제4 측변이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기연결소자는 상기 제1 측변과 상기 제3 측변이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카메라모듈의 전체 투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입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분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분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설계 원리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광과 종래 렌즈 어셈블리의 대조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첫번째 변형 실시예의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두번째 변형 실시예의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세번째 변형 실시예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네번째 변형 실시예의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의 다섯번째 변형 실시예의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부 변형 실시예의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세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네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아홉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열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열한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열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열세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25a, 도 25b는 본 발명의 열네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26a, 도 26b는 본 발명의 열다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과 감광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27a, 27b는 본 발명의 열여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과 감광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28a, 28b는 본 발명의 열일곱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과 감광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열다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열여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카메라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의 예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응용 예시도다.
이하 기재는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공개하는 데 이용된다. 이하 서술 내용 중의 선택가능한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예일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라면 기타의 자명한 변형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서술 중에서 명확히 확정한 본 발명의 기본원리는 기타 실시방안, 변형방안, 개선방안 동등방안과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기타 기술방안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용어인 "세로방향", "가로방향", "위", "아래", "앞", "뒤", "좌", "우", "수직", "수평", "꼭대기", "밑", "안", "밖" 등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근거하며, 그 또한 본 발명의 서술 상 편리성과 서술 간소화를 목적으로 하였을 뿐이지,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필연코 특정된 방향을 갖고,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 작동한다는 것을 가리키거나 또는 묵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용어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간주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용어 "일(하나)"은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또는 여러 개"로 간주해야 하며, 즉,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소자의 수량이 하나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해당 소자의 수량이 복수개일 수도 있으며, 용어 "일(하나)"은 수량에 대한 한정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스마트 휴대폰이 초박형, 대형 스크린, 무경계화, 이미징 고품질 방향으로 발전하는 등과 같이, 스마트 전자 설비가 발전함에 따라, 카메라모듈에 대한 요구도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상기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카메라모듈은 다른 부품으로 구성되고, 고속으로 발전함에 따라 부품이 정밀히 간소화되었으며, 더 발전함에 따라, 각 부품의 가능한 개선을 검토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각 부품 간의 매칭, 개선관계도 감안해야 한다. 본 발명은 광학 이미징 품질을 보증하는 기초 상에서, 카메라모듈의 렌즈 어셈블리를 개선해 그 체형을 줄이는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나머지 부품은, 예컨대, 감광 어셈블리와의 구조가 조합을 이루도록 해 카메라모듈의 전체 사이즈를 줄이고 외부 형태가 더 일치해져 전자설비에 설치하는 것이 더 적절하게 되었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선택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10)와 하나의 감광 어셈블리(3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감광 경로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초협폭 렌즈 어셈블리(10)이며, 모따기 렌즈 어셈블리(10)라고도 불린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형태와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형태가 매칭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하나의 초협폭 카메라모듈(100)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적어도 하나 모따기 렌즈와 하나의 모따기 렌즈튜브(12)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 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의 적어도 일부 원형 가장자리를 제거해 상기 모따기 렌즈의 체형이 원형에 대응되게 줄고 미광이 적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원형 렌즈튜브에 대응되게 적어도 일부 원형 가장자리를 제거해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전체 체형이 줄어들게 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와 모따기의 형태가 기타 부품의 매칭에 더 적절하다.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의 모따기는 원형 렌즈에 상대되는 원형, 즉, 원형 렌즈의 적어도 일부 원형 가장자리를 제거 또는 교체해 상기 원형 렌즈의 가장자리는 하나의 완벽한 원이 아니다.
더 나아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복수개 렌즈(11)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따기 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렌즈이다. 상기 모따기 렌즈의 수량과 상기 모따기 렌즈의 위치는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원형 렌즈와 모따기 렌즈는 각각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4개의 상기 렌즈(11)로 구성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를 예로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11)의 수량 또한 기타, 예를 들어, 2개, 3개, 5개 및 5개 이상 등일 수 있다. 하지만, 렌즈 수량이 다른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에서, 구체적인 수요에 따라 대응되는 렌즈(11) 형태를 설계해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렌즈(11)가 상기 모따기 렌즈가 되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와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에서, 1개의 상기 렌즈(11)는 모따기 렌즈이고, 나머지 3개는 원형 렌즈이며,상기 모따기 렌즈는 최저부에 위치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 렌즈의 수량은 기타, 예를 들어, 2개, 3개, 4개일 수도 있으며, 상기 모따기 렌즈의 위치 또한 수요에 따라 4개의 상기 렌즈(11) 중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이 이 측면에서 한정받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와 도면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4개의 상기 렌즈(11)는 사물 측면으로부터 이미지 측면까지 각각 하나의 제1 렌즈(111), 하나의 제2 렌즈(112), 하나의 제3 렌즈(113)와 하나의 제4 렌즈(114)이다. 또한, 4개의 상기 렌즈(11)의 체형이 사물측으로부터 이미지측까지 차례대로 점차적으로 커진다. 다시 말해,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기 렌즈(11)의 체형은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에 근접할 수록 점차적으로 커진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4 렌즈(114)의 체형이 가장 크다. 무엇보다도, 각각의 상기 렌즈(11)는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 내에 설치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축방향 사이즈가 일치한 상황에서, 체형이 가장 큰 상기 렌즈(11)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전체 면적을 결정하는 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여기에서 가장 큰 상기 렌즈(11), 즉, 상기 제4 렌즈(114)가 모따기 렌즈이므로,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형태가 그에 따라 변경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전체 체형이 줄어든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111), 상기 제2 렌즈(112), 상기 제3 렌즈(113)는 원형 렌즈이고, 상기 제4 렌즈(114)는 상기 모따기 렌즈이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 체형이 가장 큰 상기 렌즈(11)를 선택해 모따기를 실시하지 않고 기타 상기 렌즈(11)를 선택해 모따기를 실시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 측면에서 한정받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상기 렌즈(11)가 차례대로 커지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렌즈(11)는 예컨대, 등척성 배열, 중간 렌즈 등척성, 전단 최소화, 저단 최대화, 앞 구간 최소화, 후단 전부 등척성과 같은 기타 형태로 분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저단 렌즈가 가장 크다.
상기 감광 어셈블리(30)는 하나의 감광칩(31)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모따기 설계의 상기 렌즈(11)는 상기 감광칩(31)의 형태와 사이즈에 근거해 모따기를 설계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따기 렌즈의 설계는 상기 감광칩(31)를 참조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이미징 품질을 보증한다. 특히, 일부 실시에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에 대한 설계는 상기 감광칩(31)의 감광영역의 형태와 사이즈에 의해 진행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체형을 줄이기 위해, 모따기를 설계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중에서 가장 큰 상기 렌즈(11), 즉, 이미지측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4 렌즈(114)의 체형은 상기 감광칩(31)의 사이즈에 따라 줄인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4 렌즈(114)는 상기 감광칩(31)와 대응되는 크기로 줄인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엇보다도,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기 모따기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빗변 변두리를 더 포함하는데, 즉, 상기 제4 렌즈(114)는 하나의 빗변 변두리(1141)를 포함한다. 완벽한 원형 렌즈에 대비해, 이미지측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4 렌즈(114)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상기 제4 렌즈(114)의 체형이 대응되게 줄어들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빗변 변두리(1141)를 갖는 상기 제4 렌즈(114)는 대응되는 원형 렌즈의 체형보다 작아진다. 다시 말해, 본 발명 중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114)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상기 제4 렌즈(114)의 원단면도 중에서 원래 원형 변두리가 아닌 선분으로 구성된 가장자리 부분이다. 다시 말해,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기 제4 렌즈(114) 또한 적어도 하나의 원형 변두리(1142)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설명해야 할 부분은, 상기 제4 렌즈(114)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직선 선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치형 선분 또는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상기 감광칩(31)을 매칭하기 위한 임의의 선분일 수도 있다. 완벽한 원형 렌즈에 있어서,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완벽한 원형에 대비해 부족한 부분의 렌즈(11)의 가장자리라고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14)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체형을 줄이는 데 있어서,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모따기 렌즈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2부분의 곡률이 다른 선분이 인접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모따기의 렌즈(11)의 가장자리가 하나의 완벽한 원을 구성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서로 인접해 상기 렌즈(11)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데,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곡률이 다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곡률이 0인 일직선 선분이고,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곡률>0인 일 원호 선분이다.
전반적인 상기 렌즈(11)의 예시도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상기 렌즈(11)로 구성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중에서, 이미지측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4 렌즈(114)가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하나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를 갖는다. 상기 렌즈(11), 상기 제2 렌즈(112)와 상기 제3 렌즈(113)는 각각 하나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를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제1 렌즈(11), 상기 제2 렌즈(112)와 상기 제3 렌즈(113)는 원형 렌즈이고, 상기 제4 렌즈(114)는 변두리 하나를 제거한 모따기 렌즈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1개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1개 상기 원형 변두리(1142)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4 렌즈(114)를 예로 들어 상기 모따기 렌즈의 구조 설계를 설명하였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는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원형 변두리(1142)의 수량 및 형태, 분포 등을 기타 방식으로 구성해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예컨대,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2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 3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3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 4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4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등과 같이, 해당 측면에서 한정받지 않는다. 상기 빗변 변두리(1141)과 상기 원형 변두리(1142)의 비율 크기와 위치는, 예컨대, 대칭 설치, 비대칭 설치, 미리 설정된 비율 크기별로 설치 등과 같이 수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 측면에서 한정 받지 않는다.
더 나아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은 적어도 하나의 광로소자(13)를 포함하는데, 상기 광로소자(13)는 각각의 상기 렌즈(11) 사이에 하나의 미리 설정된 광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접한 2개의 상기 렌즈(11)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광로소자(13)는 와셔, 개스킷, 코팅층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로소자(13) 외부 가장자리의 형태는 대응되는 상기 렌즈(11)의 가장자리를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11)의 외부 형태와 일치한다. 각각의 상기 렌즈(11)와 상기 광로소자(13)는 차례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11)는 수량이 4개이고, 대응되게, 상기 광로소자(13)는 수량이 3개이고, 각각 하나의 제1 광로소자(131), 하나의 제2 광로소자(132)와 하나의 제3 광로소자(133)에 의하여 3개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광로소자(131)는 상기 제1 렌즈(111)와 상기 제2 렌즈(11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광로소자(131)의 외부 형태와 상기 제2 렌즈(112)의 외부 형태는 일치하며, 상기 제2 광로소자(13)는 상기 제2 렌즈(112)와 상기 제3 렌즈(113)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광로소자(13)의 외부 형태와 상기 제3 렌즈(113)의 외부 형태가 일치한다. 상기 제3 광로소자(13)는 상기 제3 렌즈(113)와 상기 제4 렌즈(114)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광로소자(13)의 외부 형태와 상기 제4 렌즈(114)의 외부 형태가 일치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로소자(131)와 상기 제2 광로소자(132)의 외부는 원형 광로소자이고 상기 제3 광로소자(133)는 모따기 광로소자인데,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변과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변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제조 과정에서 각각의 상기 렌즈(11)는 일체형을 이룬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렌즈(11)의 체형이 바람직하게는 금형 사출을 통해 일회성으로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원형 변두리(1142)의 원형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금형을 가공, 설계할 때 소모되는 시간과 원가가 모두 낮아 사용재료를 뚜렷이 줄인다. 설계에 근거해 금형 사출 공간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사출한 후에 필요한 형태의 상기 렌즈(1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립할 때 사용되는 상기 광로소자(13)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모두 이 형태에 근거해 금형을 주문, 제작한 후 사출해 얻는다. 조립할 때,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일정한 유도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빗변 변두리(1141)의 위치에 근거해 상기 렌즈(11)에 대해 위치고정을 실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빛 투과 경로는 가장 작은 상기 렌즈(11)와 상기 광로소자(13)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시 말해, 도 5에서 이미지측에 가장 근접한 상기 렌즈(11)는 대부분 이미징에 대한 역할이 비교적 작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빗변 변두리(1141)를 이용한 후, 상기 렌즈(11)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체형을 줄일 뿐만 아니라, 이미지측에 가장 근접한 상기 렌즈(11)의 이용율도 향상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측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4 렌즈(114)를 예로 들어, 상기 광로소자(13)의 역할 하에, 대응되게 상기 제4 렌즈(114)가 하나의 이미징영역(1143)과 하나의 비(非)이미징영역(1144)을 형성하는 데, 여기에서, 상기 이미징영역(1143)은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상기 감광칩(31)에 대응되게 광선이 받아들여지는 주요 영역이며, 여기에서, 상기 비(非)이미징영역(1144)은 빛 투과를 차단하고, 투과된 소량의 광선은 감광 역할을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렌즈(11)의 상기 이미징영역(1143)은 상기 카메라모듈(100)에게 주요한 이미징 기능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무엇보다도, 상기 광로소자(13)는 각 상기 렌즈(11)의 가장자리의 빛을 차단하고 미리 설정된 광로를 형성해 주변의 미광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데, 실제 생산 과정에서 상기 광로소자(13)는 전혀 투과되지 않는 것이 아니며, 가장자리 광선 또한 전부 차단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렌즈(11)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이미징영역(1143)과 상기 비(非)이미징영역(1144)은 비교적 적은 빛이 투과된다. 하지만, 상기 비(非)이미징영역(1144)을 투과한 빛은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기타 부분, 예컨대,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베이스(33)에서 반사되는데, 상기 회로기판(32), 상기 전기연결소자(313) 등은 반사된 빛이 상기 감광칩(31)에 받아들여져 즉 상기 감광칩(31) 이미징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미광이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1141)의 상기 제4 렌즈(114)를 채용하여,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비(非)이미징영역(1144)의 빛 강도가 약해지면 형성된 미광도 줄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이미징 효과가 향상된다. 이미징 효과를 살펴볼 경우,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이미징 원 중에 점차적으로 희미해지는 하나의 가장자리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렌즈(11)의 모따기 설계는 비(非)이미징영역(1144)의 일부 영역의 빛 강도가 약해지고 미광의 영향이 줄도록 해 이미징 효과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하거나 또는 영향이 비교적 적게 한다. 상기 렌즈(11)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상기 이미징영역(1143)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기능이 완벽해지도록 보증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렌즈(11)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상기 이미징영역(1143)이 대응되게 일부를 잃지 않도록 하고, 대응되게 밝기와 이미징 품질이 모두 점차적으로 떨어지는 가장자리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非)이미징영역(1144)의 점유율이 줄고, 효과적인 상기 이미징영역(1143)이 상기 감광칩(31)에 대응되는 더 작은 일부에 집중되어, 이미징 품질이 변경되지 않거나 또는 변화가 비교적 작다는 전제 하에, 상기 렌즈(11)의 체형을 줄이는 동시에, 상기 비(非)이미징영역(1144)에 조사되는 빛 투과량을 줄이고, 직접 미광의 근원을 줄인다. 이외에도,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11)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가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상기 감광칩(31)의 외곽과 서로 일치되어 상기 렌즈(11)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체형을 대폭 줄여야 한다는 것을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측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4 렌즈(114)를 조립할 때 일정한 여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감안하여, 일정한 상기 비(非)이미징영역(1144)을 더 갖는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11)의 체형에 근거해, 상기 광로소자(13)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를 모두 이 형태에 근거해 설계, 제조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로소자(13)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금형을 주문 제작한 후 사출해 제조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적어도 하나의 빗변 변두리부(121)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변두리부(122)를 더 포함하는데, 각각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원형 변두리(1142)에 대응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빗변 변두리(1141)가 직선형을 채용하면,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도 대응되게 직선 형태를 채용한다. 상기 렌즈(11)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에 대한 제조와 유사하게, 직선형을 이루는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원형의 아치형 변보다 상대적으로, 설비와 금형을 가공, 설계할 때 소모되는 시간과 원가가 모두 낮아진다. 따라서, 본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렌즈탑재소자(20)와 상기 감광 어셈블리(30)가 모두 직선형 또는 네모꼴 형태로 구성되도록 해 설계와 제조공법 면에서 일관성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생산 난이도를 낮추고, 더 나아가, 대응되는 가공 양품율을 대폭 향상시킨다.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수량과 위치가 서로 대응되는 데, 상기 빗변 변두리(1141)의 수량이 기타 형태로 구성될 경우,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의 위치, 형태와 수량도 대응되게 변경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빗변 변두리부(121)는 일 평면이고,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는 하나의 곡면이다. 다시 말해,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조감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조감도는 하나의 원호와 하나의 직선으로 구성된 폐(閉)곡선인데, 이때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형태는 상기 제4 렌즈(114)의 조감도 형태와 일치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가 일정한 벽 두께를 가지므로, 이 곳의 일치는 크기가 완전히 같다는 의미는 아니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2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 3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3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 4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4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 등과 같이,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의 수량, 위치와 분포 또한 기타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의 비율 크기와 위치는, 예컨대, 대칭 설치, 비대칭 설치, 미리 설정된 비율 크기별로 설치 등과 같이 수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 측면에서 한정받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가 서로 대응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가 서로 대응되어, 상기 렌즈(1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대적 위치가 확정되도록 하므로, 상기 렌즈(11)의 설치가 더 편리해지고, 광로의 일치성을 보증하는데 이롭다. 다시 말해, 상기 렌즈(11)의 모따기 설계는 상기 렌즈(11)의 위치고정에 이롭지만, 종래의 원형 렌즈와 원형 렌즈튜브 중에는 렌즈와 렌즈튜브 간에 확정된 상대적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다.
특별히 더 명시해야 할 부분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의 설치 위치는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와 서로 매칭을 이루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전체적인 가장자리가 줄도록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이러한 장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하나의 광필터소자(40)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를 투과하는 빛을 여과하는 데 사용한다. 상기 광필터소자(4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차단 광필터 시트, 청색유리 광필터 시트, 웨이퍼급 적외선 차단 광필터 시트, 전체 투과 시트, 가시광 필터 시트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필터소자(40)는 하나의 보충지지대(332, 이하 설명)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칩(31)의 광 채널에 위치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렌즈탑재소자(2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상기 렌즈탑재소자(20)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탑재소자(20)는 상기 베이스(33)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10)가 상기 감광칩(31)의 감광 경로에 위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탑재소자(20)는 각각 하나의 고정 초점 카메라모듈(100) 또는 하나의 오토포커스 카메라모듈(100)을 형성하는 데 편리하도록 하나의 렌즈고정부품 또는 하나의 구동부품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품은, 예를 들어, 압전기 모터, 보이스 코일 모터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렌즈탑재소자(20)가 구동부품으로 실시될 경우, 상기 렌즈탑재소자(20)는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핀, 도선 등 방식을 통해 감광 어셈블리(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감광 어셈블리(30)는 하나의 회로기판(32)과 일 베이스(33)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회로기판(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33)는 설치 위치를 제공하는 데 편리하도록 상기 회로기판(32)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카메라모듈(100)에 필요한 후초점거리를 형성한다.
더 나아가, 상기 베이스(33)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32)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33)는 하나의 베이스몸체(331)를 포함하고 하나의 광학윈도우(333)를 갖는다. 상기 광학윈도우(333)는 상기 감광칩(31)에 광 채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광학윈도우(333)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감광칩(31)의 감광 경로는 상기 광학윈도우(333) 방향과 일치한다.
상기 회로기판(32)은 하나의 회로기판몸체(321)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322)를 포함하는데,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회로기판(32)에게 감광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상기 감광칩(31)이 빛을 받아 들여 감광하는 데 편리하도록 상기 감광칩(31)의 감광 경로에 위치한다. 특히, 일부 실시방식에서, 상기 감광칩(31)은 표면 실장 공정 SMT(Surface Mount Technology)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연결소자(313)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는 예를 들어 금선, 은선, 구리선, 알루미늄선, 솔더, 전도 페이스트 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소자(322)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전자소자(322)는 SMT공법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실장되는 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소자(322)는 전기 저항, 전기 용량, 구동 기자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3)를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밀폐하고, 일체형으로 상기 전자소자(322)에 피복해 유사한 종래 카메라모듈(100) 중의 먼지, 불순물이 상기 전자소자(322)에 부착되어 상기 감광칩(31)이 오염됨으로써, 이미징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별도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322)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매립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전자소자(32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322)는 상기 감광칩(31)의 주변에 설치되며, 다른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322)의 설치 위치는 수요에 따라 설계를 배치할 수 있는데, 예컨대, 일측 또는 양측에 집중시키거나 또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뒷면 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감광칩(31)의 설치 위치, 상기 전기연결소자(313) 설치 위치와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보충지지대(332)의 형태와 서로 매칭시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 상에서의 공간 위치를 더 합리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가능한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2)의 상기 회로기판몸체(321)는 PCB 하드보드, PCB 소프트보드, 소프트 및 하드 결합 보드, 세라믹 회로기판몸체(321) 등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상기 전자소자(322)를 완전히 피복할 수 있으므로, 전자소자(322)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매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몸체(321)는 도통회로의 형성에만 이용되어 최종적으로 확보한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두께가 더 얇아지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예컨대, 몰딩 성형 방식처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상기 회로기판(32)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33)와 상기 회로기판(3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별도의 설치 고정 과정을 줄인다. 예컨대, 접착제로 접착하는 과정을 줄이면 연결이 더 안정적이고 접착제 연결의 높이가 발생되지 않아 카메라모듈(100) 유닛의 높이가 낮아진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33)는 예컨대 회로기판에 몰딩되는 방식과도 같이, 금형에 의한 몰딩 일체형 성형 방식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32)에 설치할 수 있어, 종래의 COB(Chip On Board) 방식과는 다르다. 금형에 의한 일체형 성형 방식을 통해 성형 형태와 표면 평탄도를 비교적 우수하게 제어할 수 있어, 예컨대 베이스몸체(331)가 비교적 우수한 평탄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설치된 부품, 예를 들어, 상기 렌즈탑재소자(20), 상기 광필터소자(40)에게 평탄한 설치 조건을 제공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광축 일치성을 향상시키는 데 이롭다.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는 SMT와 같은 공법을 통해 상기 감광칩(31) 외측처럼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회로기판(32)의 가장자리 영역에 실장된다. 무엇보다도,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는 별도로 상기 회로기판(32)의 동측 또는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는데, 예컨대, 하나의 상세한 예시에서, 상기 감광칩(31)과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가 별도로 상기 회로기판(32)의 같은 쪽에 위치하되,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회로기판(32)의 칩 실장 영역에 실장되고,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는 별도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32)의 가장자리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성형 후에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몸체(331)에 의해 인접한 상기 전자소자(322)를 격리시키고, 상기 전자소자(322)와 상기 감광칩(31)을 격리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메라모듈(100) 중에서, 상기 베이스몸체(331)를 통해, 성형 후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하는 방식은 아주 많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해 인접한 상기 전자소자(322) 간이 서로 간섭하는 불량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인접한 상기 전자소자(322)의 간격이 비교적 작다 할지라도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이미징 품질을 보증해 면적이 작은 상기 회로기판(32) 상에 더 많은 상기 전자소자(322)가 실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구조가 더 치밀해 져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사이즈를 제어하는 기초 상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이미징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이로우며; 둘째,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해 수평 방향이든 높이 방향이든지를 막론하고 상기 베이스몸체(331)와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 간이 모두 사전에 안전 거리를 남겨둘 필요가 없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셋째,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해 상기 베이스몸체(331)와 상기 회로기판(32) 간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 레벨링되도록 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높이 사이즈를 낮추는 데 이로우며; 넷째, 상기 베이스몸체(331)가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하므로, 향후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운송, 조립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몸체(331)에 의해 상기 전자소자(322)가 흔들리고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구조 안정성을 보증하는 데 이로우며; 다섯째, 상기 베이스몸체(331)가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하므로, 향후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운송, 조립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이 각각의 상기 전자소자(322)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이미징 품질을 보증할 수 있으며; 여섯째, 상기 베이스몸체(331)가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한 후, 상기 전자소자(322)를 공기와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방식을 통해 상기 전자소자(322)의 금속 부분의 산화 속도를 늦추어 상기 전자소자(322)와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환경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이롭다.
무엇보다도,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성형되고, 상기 회로기판(32)의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해, 상기 베이스몸체(331)와 상기 회로기판몸체(321)가 비교적 큰 연결 면적을 갖도록 하고 연결이 더 안정되도록 하며, 일체형 성형 방식을 통해 비교적 우수한 구조 강도를 갖도록 하므로, 상기 베이스몸체(331)가 단단하고 믿음직하게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부품을 지지, 고정해 제품의 양품율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무엇보다도, 고해상도의 카메라모듈(100)유닛에 대해, 예컨대 4p, 5p, 6p 및 6p 이상 등에 달하는 경우처럼,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렌즈(11) 수량이 지속적으로 많아지는데, 카메라모듈(100) 렌즈 어셈블리(10)의 렌즈(11) 수량이 많아질 때, 광학 성능의 수요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데, 예컨대, 충분한 후초점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광필터소자(40)가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이미징 품질에 대해, 이미징에 검은 반점이 나타나고 가장자리의 이미지가 희미해 지는 등과 같은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소자(40)는 일체형으로 성형된 상기 베이스(33)에 설치되어 상기 광필터소자(40)에게 평탄한 설치 조건을 제공하고, 상기 베이스(33)의 높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상기 광필터소자(40)가 설치되는 높이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광칩(31)은 하나의 감광영역(311)과 하나의 비(非)감광영역(312)을 갖는데, 상기 감광영역(311)은 감광 역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비(非)감광영역(312)은 상기 회로기판(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非)감광영역(312)은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베이스몸체(331)의 내측에 위치하는 데,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몸체(331)에 의해 일체형으로 밀폐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회로기판(32)에 실장되어야 하는데,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상기 감광칩(31)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감광칩(31)을 상기 전기연결소자(313)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데, 예를 들어, 금선을 포설하는 방식으로 상기 회로기판(32)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감광칩(31)을 상기 회로기판(32)에 설치하는 방식은 예컨대 내장, 침강, FC(Flip Chip, 칩플립) 등과 같은 기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라면, 상기 감광칩(31)과 상기 회로기판(32)의 연결, 설치방식이 본 발명의 한정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3)는 하나의 보충지지대(332)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몸체(331)를 보충해 밀폐된 상기 광학윈도우(333)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하나의 설치홈(3311)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윈도우(333)에 연통된다. 상기 보충지지대(332)는 상기 광필터소자(40)에 설치 위치를 제공하는 데 편리하도록 상기 설치홈(3311)에 설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3312)를 갖고, 상기 노치(3312)는 상기 광학윈도우(333)와 외부에 연통되며, 보충지지대(332)는 상기 (3312)를 보충해 측면이 밀폐된 상기 광학윈도우(333)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밀폐 구조가 아니라 개방 구조로서, 보충지지대(332)의 보충을 통해 상기 베이스몸체(331)가 밀폐된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밀폐 구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치(3312)는 하향으로 상기 회로기판 몸체(321)까지 연장된다. 상기 보충지지대(332)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몸체(3321)와 하나의 연장레그그(extended leg)(3322)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장레그(3322)는 상기 노치(3312)를 밀폐하도록 상기 지지대몸체(3321)에서부터 일체형에 의해 하향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까지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장레그(3322)는 잡착 방식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 및/또는 상기 베이스몸체(331)에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대몸체(3321)는 상기 설치홈(3311)에 설치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상기 보충지지대(332)의 상기 연장레그(3322)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어, 상기 연장레그(3322)가 위치하는 방향에서 가장자리가 더 좁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322)는 집중적으로 상기 베이스몸체(331)가 위치하는 일측, 예컨대, 상기 연장레그(3322)와 마주보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레그(3322)가 위치하는 일측이 상기 전자소자(322)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사전에 상기 전자소자(322)의 설치 위치를 남겨둘 필요가 없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가장자리에 더 근접하며, 상기 연장레그(3322)는 그가 예컨대, 사출 성형 방식과 같은 기타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장레그(3322)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몸체(331)의 벽 두께보다 더 얇을 수 있으며,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 또한 가장자리가 좁아지기 때문에, 양자가 서로 매칭되어 카메라모듈(100)의 전체 사이즈가 더 작아진다.
물론,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종래 COB공법의 방식에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33)는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는 베이스(33)의 사이즈가 안쪽으로 작아지게 되는 장점도 포함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보충지지대(332)를 갖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체적이 작아지는 상기 베이스(33)와 매칭해 여전히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사이즈가 작아지게 한다.
다른 일 측면에서, 일체형 성형 방식은 상기 베이스(33)의 사이즈가 작아지게 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및/또는 상기 렌즈탑재소자(20)는 상기 베이스(33)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33)가 충분한 설치 면적을 제공해야 하므로, 종래기술에 따라 사이즈가 비교적 큰 렌즈 어셈블리(10)에 대비해, 상기 베이스(33) 또한 사이즈가 너무 작으면 안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33)의 소형화 사이즈는 종래기술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10)의 크기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모따기 설계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전체 사이즈를 줄이고, 상기 베이스(33)의 설치에 필요한 사이즈를 줄여 상기 베이스(33)가 더 소형화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33) 또는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설계는 서로 매칭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전체 사이즈가 더 소형화를 이루도록 한다. 하지만, 별도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를 소형화 하거나 또는 상기 감광 어셈블리(30)를 소형화하면 이루어 지는 효과가 모두 약간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하나의 내측 벽을 갖는데, 상기 내측 벽은 경사각을 가져 금형 제조에 편리하고, 미광이 상기 감광칩(31)까지 반사되는 것을 줄인다. 예컨대, 상기 측벽이 수직 각도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331)에 도달하는 광선의 입사각이 비교적 크므로, 광선의 반사각이 비교적 커 내측으로 비교적 쉽게 반사되며, 즉, 상기 감광칩(31)이 자리잡은 위치로 반사된다. 상기 내측벽이 경사질 때, 광선의 입사각이 비교적 작으므로, 같은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은 반사 광선 방향이 상기 감광칩(31)의 위치로부터 멀어져 편향되는 데, 경사진 설치 방식은 미광의 간섭을 줄이는 데 이롭다. 상기 경사각의 크기는 수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몸체(331)의 상기 내측벽은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상기 경사각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광축 방향에서, 상기 렌즈튜브(12) 및 상기 복수개의 렌즈(11)의 위치가 사물 측면을 향하는 상기 베이스(33)의 꼭대기면 상부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다.
도 7부터 도 9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다른 변형 실시방식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몇 가지 실시방식에서는 상기 모따기 렌즈(11)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원형 변두리(1142)가 변형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예컨대, 도 7에서 도시한 방식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기 모따기 렌즈, 즉, 상기 제4 렌즈(114)는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2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원형 렌즈에 대비해, 상기 모따기 렌즈는 2개 가장자리 위치가 좁아 진다. 특히,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대칭되게 분포될 수 있다.
대응되게,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2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를 포함하는데, 특히,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대칭되게 설치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렌즈튜브에 대응되게,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2개 방향에서 모따기를 설계함으로써, 상기 렌즈 어셈블리(10)가 두 곳이 좁아지게 한다.
특히, 상기 제4 렌즈(114)의 2개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곡률이 0이고, 2개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곡률>0이다. 다시 말해,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직선이고, 2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원호선이다.
더 나아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의 외부 가장자리는 각각 상기 빗변 변두리(1141) 및 상기 원형 변두리(1142)와 서로 대응된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방식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기 모따기 렌즈, 즉, 상기 제4 렌즈(114)는 3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3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원형 렌즈에 대비해, 상기 모따기 렌즈는 3개의 가장자리 위치가 좁아진다. 특히, 3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대칭되게 분포될 수 있다.
대응되게,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3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3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를 포함하는데, 특히, 3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대칭되게 설치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렌즈튜브에 대비해,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3개 방향에서 모따기를 설계함으로써, 상기 렌즈 어셈블리(10)가 세 곳이 좁아지게 한다.
특히, 상기 제4 렌즈(114)의 3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곡률이 0이고, 3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곡률>0이다. 다시 말해, 3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직선이고, 3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원호선이다.
더 나아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의 외부 가장자리는 각각 상기 빗변 변두리(1141) 및 상기 원형 변두리(1142)와 서로 대응된다.
도 9에서 도시하는 방식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기 모따기 렌즈, 즉, 상기 제4 렌즈(114)는 4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4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원형 렌즈에 대비해, 상기 모따기 렌즈는 4개 가장자리 위치가 좁아 진다. 특히, 4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대칭되게 분포될 수 있다.
대응되게,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4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4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를 포함하는데, 특히, 4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대칭되게 분포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렌즈튜브에 대응되게,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4개 방향에서 모따기를 설계함으로써, 렌즈 어셈블리(10)가 4곳이 좁아지게 한다.
특히, 상기 제4 렌즈(114)의 4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곡률이 0이고, 4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곡률>0이다. 다시 말해, 4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직선이고, 4개의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원호선이다.
더 나아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와 상기 원형 변두리부(122)의 외부 가장자리는 각각 상기 빗변 변두리(1141) 및 상기 원형 변두리(1142)와 서로 대응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다른 변형 실시방식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중의 상기 모따기 렌즈의 수량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였다.
도 10에서 도시한 방식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중의 2개 상기 렌즈(11)는 모따기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제3 렌즈(113)와 상기 제4 렌즈(114)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렌즈(113)와 상기 제4 렌즈(114)는 각각 하나의 빗변 변두리(1141)와 하나의 원형 변두리(1142)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 중에서, 2개의 상기 모따기 렌즈(11)는 기타 임의의 2개 렌즈(11)일 수 있다.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수량이 기타 개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대응되게,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내측 형태는 상기 렌즈(11)의 형태에 따라 변경된다.
도 11에서 도시하는 방식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중의 3개의 상기 렌즈(11)는 모따기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제2 렌즈(112), 제3 렌즈(113)와 상기 제4 렌즈(114)를 포함하며, 제2 렌즈(112), 상기 제3 렌즈(113)와 상기 제4 렌즈(114)는 각각 하나의 빗변 변두리(1141)와 하나의 원형 변두리(1142)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 중에서, 3개의 상기 모따기 렌즈(11)는 기타 임의의 3개 렌즈(11)일 수 있다.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원형 변두리(1142)는 수량이 기타 개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대응되게,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내측 형태는 각각 상기 렌즈(11)의 형태에 따라 변경된다.
상술한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접착해 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렌즈탑재소자(20)에 설치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외부가 평탄하고 나사산 구조를 갖지 않는다.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다른 변형 실시방식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외부에 나사산을 구비하는데, 다시 말해,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모따기를 실시한 후, 나사산 구조를 갖는 상기 렌즈탑재소자(20)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322)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저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전에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꼭대기부에 상기 전자소자(322)의 설치 공간을 남겨둘 필요가 없어, 상기 베이스몸체(331)와 상기 보충지지대(332)의 설계가 더 원활해지고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적어지며, 대응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에 대해 모따기를 설계할 수 있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부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뒷면에 위치한 상기 전자소자(322)를 밀폐해 상기 전자소자(322)가 피복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세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322)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뒷면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33)는 접착방식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설치되는데, 다시 말해, 종래기술에 따른 베이스는 이 실시예 중에 응용될 수 있지만, 사전에 상기 전자소자(322)의 공간 위치를 남겨둘 필요가 없어 베이스(33)의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에 대한 모따기 설계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몰딩 베이스를 설치해 상기 전자소자(322)를 피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 뒷면에 위치한 상기 전자소자를 밀폐해 그의 조립이 더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네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3)는 하나의 베이스몸체(331)를 포함하고, 하나의 광학윈도우(333)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32)에 성형되어 상기 광학윈도우(333)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하나의 밀폐 구조인데,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상기 노치(3312)를 구비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하나의 설치홈(3311)을 구비하고, 상기 광필터소자(40)는 상기 설치홈(3311)에 설치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3)는 하나의 베이스몸체(331)와 하나의 보충지지대(33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32)에 성형되어 상기 광학윈도우(333)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하나의 밀폐 구조인데,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상기 노치(3312)를 구비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하나의 설치홈(3311)을 구비하고, 상기 보충지지대(332)는 상기 설치홈(3311)에 설치되며, 상기 광필터소자(40)는 보충베이스(33)에 설치된다.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보충지지대(332)가 상기 연장레그(3322)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다시 말해, 상기 보충지지대(332)는 직접 회로기판(32)에 연결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상기 보충지지대(332)는 상기 광학윈도우(333) 내에 침강되어 상기 광필터소자(40)가 상기 감광칩(31)에 더 근접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후초점거리를 줄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예시도이다.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회로기판몸체(321)가 하나의 함몰영역(3211)을 갖는 것인데, 상기 감광칩(31)과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상대적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상기 감광칩(31)을 침강시켜 상기 함몰영역(3215)에 설치한다.
상기 함몰영역(3215)은 하나의 오목홈 또는 스루홀로 실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양측 공간은 연통하지 않거나 또는 연통할 수 있다. 상기 함몰영역(3215)이 오목홈인 경우, 상기 감광칩(31)은 홈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기연결소자(313)의 외단은 상기 오목홈의 홈 바닥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함몰영역(3215)의 외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측면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상기 감광칩(31)의 꼭대기면은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꼭대기면과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꼭대기면보다 높거나, 또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꼭대기면보다 낮은 데,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침강 깊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 상기 함몰영역(3215)은 하나의 스루홀인데, 다시 말해, 상기 회로기판(32) 양측은 상기 스루홀을 통해 연통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상기 회로기판(32)은 하나의 바닥판(323)을 포함하는데, 상기 감광칩(3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층식으로 회로기판몸체(321)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구조 강도를 높인다. 다시 말해, 상기 감광칩(31)은 침강되어 상기 함몰영역(3215)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323)의 지지를 받는다.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23)은 하나의 금속판으로서, 부착 방식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저부에 설치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상기 베이스(33)는 일체형으로 상기 감광칩(31)의 적어도 일부 상기 비(非)감광영역(312)을 밀폐한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33)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회로기판(32), 상기 감광칩(31)을 밀폐해 상기 감광칩(3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베이스(33)의 성형 가능 영역을 확대한다. 상기 베이스(33)는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를 피복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첫 번째 실시예 중 베이스(33)가 상기 회로기판에만 성형되는 방식에 대비해, 감광칩에 몰딩 성형되는 방식은 상기 베이스(33)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범위를 상기 감광칩(31)의 상기 비(非)감광영역(312)까지 확정함으로써, 상기 감광칩(31)의 정상 감광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베이스(33) 저부의 연결 면적을 확대해 상기 베이스(33)와 상기 회로기판(32) 및 상기 감광칩(31)이 더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꼭대기부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상기 렌즈탑재소자(20) 등과 같은 기타 부품일 수 있어, 더 큰 설치 가능 면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는 상기 베이스(33)에 의해 피복되어 외부가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를 간섭하는 것을 피하고, 상기 전기연결소자(313)가 산화되거나 또는 먼지가 묻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이미징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3)는 하나의 지지소자(334)를 포함하는데, 제조 과정에서 금형을 지지하는데 사용해 상기 회로기판 또는 상기 감광칩(3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제조 과정에서, 상기 제조 금형은 상기 지지소자(334)에 의해 떠받쳐져 금형이 직접 상기 회로기판 또는 상기 감광칩(31)을 접촉하지 않아 성형 재료가 내측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더 나아가, 상기 지지소자(334)는 고리모양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몸체(331)의 형태와 일치한다. 상기 지지소자(334)는 탄성을 가지는데, 예를 들어 접착제 코팅층 또는 고무 패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9는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는 하나의 함몰영역(3215)을 갖는데,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감광칩(31)과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상대적 높이를 낮추기 위해 침강되어 상기 함몰영역(3215)에 설치된다.
함몰영역(3215)은 하나의 오목홈 또는 스루홀로 실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양측은 연통하지 않거나 또는 연통할 수 있다. 상기 함몰영역(3215)이 오목홈인 경우, 상기 감광칩(31)은 홈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기연결소자(313)의 외단은 상기 오목홈의 홈 바닥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함몰영역(3215)의 외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 측면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상기 감광칩(31)의 꼭대기면은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꼭대기면과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꼭대기면보다 낮거나, 또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꼭대기면보다 높은데,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침강 깊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 상기 함몰영역(3215)은 하나의 스루홀인데, 다시 말해, 상기 회로기판(32) 양측 공간은 상기 스루홀을 통해 연통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상기 베이스(33)는 일체형으로 상기 감광칩(31)의 적어도 일부 상기 비(非)감광영역(312)을 밀폐한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33)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회로기판, 상기 감광칩(31)을 밀폐해 상기 감광칩(3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베이스(33)의 성형 가능 영역을 확대한다. 상기 베이스(33)는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를 피복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첫번째 실시예 중 베이스(33)가 상기 회로기판에만 성형되는 방식에 대비해, 감광칩에 몰딩 성형되는 방식은 상기 베이스(33)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범위를 상기 감광칩(31)의 상기 비(非)감광영역(312)까지 확정함으로써, 상기 감광칩(31)의 정상 감광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베이스(33) 저부의 연결 면적을 확대해 상기 베이스(33)와 상기 회로기판(32) 및 상기 감광칩(31)이 더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꼭대기부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10), 상기 렌즈탑재소자(20) 등과 같은 기타 부품일 수 있어, 더 큰 설치 가능 면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는 상기 베이스(33)에 의해 피복되어 외부가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를 간섭하는 것을 피하고, 상기 전기연결소자(313) 가 산화되거나 또는 먼지가 묻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이미징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광칩(31)과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는 상기 베이스(33)에 의해 일체형으로 밀폐되므로, 상기 베이스(33)를 통해 상기 감광칩(3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2) 저부는 하나의 바닥판(323)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바닥판(323)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아홉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상기 광필터소자(40)는 대응되게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33)는 성형 후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와 상기 광필터소자(40)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그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접착방식처럼 별도의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33)에 설치되는 것과 달리, 상기 광필터소자(40)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33)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상기 광필터소자(40)는 대응되게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에 설치되어 상기 광필터소자(40)와 상기 감광 어셈블리(3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상기 감광칩(31)의 상기 감광영역은 각각 상기 밀폐 공간에 위치해 몰딩공법으로 상기 베이스(33)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33)를 형성하는 성형 재료가 상기 밀폐 공간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해 상기 베이스(33)가 상기 밀폐 공간의 외부에만 형성되도록 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33)는 성형 후 상기 회포기판(32)의 일부와 상기 광필터소자(40)의 일부를 피복하고, 상기 베이스(33)는 상기 광학윈도우(333)를 구비하며, 상기 감광칩(31)의 상기 감광영역은 상기 광학윈도우(333)에 대응되어, 상기 광학윈도우(333)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와 상기 감광칩(31)에게 하나의 광 채널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열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광 어셈블리(30)는 하나의 차단렌즈(14)를 포함하는데, 상기 차단렌즈(14)는 상기 감광칩(31)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렌즈(14)는 상기 베이스(33)에 의해 일체형으로 밀폐된다.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선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와 상기 차단렌즈(14)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내부로 침투된 후, 상기 감광칩(31)에 의해 받아 들여지고 광전기 전환을 진행해 물체와 관련된 이미지를 얻는다. 상기 차단렌즈(14)의 설치는 광학의 TTL(렌즈 어셈블리(10) 광선 투과 홀 윗면의 렌즈 어셈블리(10) 평면으로부터 칩까지의 감광 평면 거리)를 단축시켜 광학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사이즈가 더 작아지게 함으로써, 전자 설비가 소형 사이즈 카메라모듈(100)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차단렌즈(14)의 설치는 오점에 대한 민감도를 낮출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오점 민감도를 50% 낮춘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렌즈(14)는 하나의 열경화성 렌즈로 실시되는데, 즉, 상기 차단렌즈(14)는 하나의 열경화성 렌즈로 실시되어 상기 차단렌즈(14)가 몰딩공법을 실시할 때 몰딩공법 중의 환경 온도를 감당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일 실시예의 몰딩공법 중에서 180℃의 몰딩 환경 온도를 감당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몰딩공법을 실시하기 전에, 고온에 견디고 열경화 처리를 거친 상기 차단렌즈(14)는 상기 지지소자(334)에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32) 및 상기 감광칩(31)과 함께 금형 중에 설치되고, 유체의 몰딩 응고 재료는 상기 지지소자(334)와 상기 차단렌즈(14)의 외표면을 감싸면서 몰딩에 의해 일체형으로 상기 베이스(33)를 성형해 상기 베이스(33)가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32)에 성형되도록 하는데,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33), 상기 회로기판(32)과 상기 차단렌즈(14)가 일체형 구조를 형성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단렌즈(14)는 열경화 렌즈일 수 있고, 기타 특성의 렌즈(11)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상기 차단렌즈(14)는 하나의 렌즈몸체(141)와 상기 렌즈몸체(141) 주변에 설치된 일 렌즈테두리(142)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렌즈(14)는 정밀 광학소자고, 상기 렌즈몸체(141)의 가장자리는 비교적 얇다. 상기 렌즈몸체(141)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기 렌즈테두리(142)는 두꺼운 지지대 형태로 설계되어 상기 상기 렌즈몸체(141)를 탑재하므로, 상기 렌즈몸체(141)의 광학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시에, 상기 렌즈몸체(141)가 몰딩 중에서 일체형 몰딩에 의해 상기 베이스(33)에 연결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33)가 성형되기 전에, 상기 차단렌즈(14)의 상기 렌즈테두리(142)는 상기 감광칩(31)의 상기 비(非)감광영역(312)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렌즈(14)의 상기 렌즈몸체(141)는 상기 감광 어셈블리(30)의 상기 감광칩(31)의 감광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33)가 성형된 후, 상기 베이스(33)는 상기 회로기판(32), 상기 감광칩(31)의 적어도 일부 상기 비(非)감광영역(312), 상기 지지소자(334)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차단렌즈(140의 상기 렌즈테두리(142)를 피복해 상기 감광 어셈블리(30)를 형성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차단렌즈(14) 또한 상기 모따기 렌즈로 구성되어, 상기 렌즈(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줄이고, 상기 차단렌즈(14)의 면적을 줄여 상기 차단렌즈(14)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형태가 서로 대응되게 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열한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상기 회로기판몸체(321)는 하나의 제1 슬래브(3211)와 하나의 제2 슬래브(3212)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슬래브(3211)와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하나의 연결매개체(3213)를 통해 고정 연결된다. 상기 제1 슬래브(3211)는 하나의 하드보드일 수 있고,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하나의 소프트보드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매개체(3213)는 ACF 전도 페이스트일 수 있다.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하나의 전자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커넥터를 설치하는 것처럼 하나의 접속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일체형으로 상기 제1 슬래브(3211)에 성형되고,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상기 제1 슬래브(3211)의 일단부에 걸려 연결된다. 제조 과정에서, 먼저, 상기 제1 슬래브(3211)와 상기 제2 슬래브(3212)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몸체(321)를 형성하고, 이어서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먼저, 상기 제1 슬래브(3211)에서 일체형으로 성형한 다음, 상기 제2 슬래브(3212)를 상기 제1 슬래브(32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ACF전도 페이스트를 통해 상기 제1 슬래브(3211)에 고정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도 2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상기 연결매개체(3213)를 통해 상기 제1 슬래브(3211)의 상부에 연결되며,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상기 연결매개체(3213)를 통해 상기 제1 슬래브(3211)의 저부에 연결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측면에서 한정 받지 않는다.
도 23은 본 발명의 열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는 하나의 역부착홈(3214)을 설치하고, 상기 감광칩(31)은 역부착 방식으로 상기 역부착홈(3214)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감광칩(31)은 FC(Flip Chip, 플립 칩) 방식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에 설치된다. 상기 역부착홈(3214)과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방향이 상대적이다.
다시 말해, 설치 과정에서, 상기 감광칩(31)은 상기 회로기판몸체(321) 아래 방향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321)를 향해 설치하고, 상기 감광칩(31)의 상기 감광영역은 상기 역부착홈(3214)을 통해 감광 역할을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열세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예시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고정 초점 카메라모듈을 형성하도록, 상기 렌즈탑재소자(20)는 일체형으로 상기 베이스(33)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10)가 상기 렌즈탑재소자(20)에 설치되는 것에 적합하다.
더 나아가, 상기 렌즈탑재소자(20)는 밀폐된 렌즈 위치한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몸체(331)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일체형으로 위를 향해 연장된다. 다시 말해,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베이스(33)는 상기 렌즈탑재소자(20)를 포함해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에 위치한정,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제조 과정에서, 금형을 사용해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32)에 상기 렌즈탑재소자(20)를 구비하는 상기 베이스(33)를 성형하며, 상기 베이스몸체를 성형한 후, 이어서, 상기 베이스몸체에 상기 렌즈탑재소자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측면에서 한정 받지 않는다.
도 25a와 도 25b는 본 발명의 열네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예시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적어도 2개의 렌즈유닛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상기 렌즈유닛은 광로가 일치한다. 더 나아가, 각각의 상기 렌즈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렌즈유닛은 모따기 렌즈유닛이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렌즈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따기 렌즈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0)는 제1 렌즈유닛(110)과 일 제2 렌즈유닛(120)으로 구성된 2개의 상기 렌즈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렌즈유닛(110)과 상기 제2 렌즈유닛(120)은 아래에서 위로 적층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렌즈유닛(110)은 모따기 렌즈이다. 상기 제1 렌즈유닛(110)과 상기 제2 렌즈유닛(120)은 각각 독립되는데, 다시 말해, 제조 과정에서, 각자가 별도로 상기 제1 렌즈유닛(110)과 상기 제2 렌즈유닛(120)을 형성한 후, 이어서, 예컨대, 접착제로 접착시키듯이, 2개의 렌즈유닛을 조립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렌즈유닛(110)은 하나의 제1 렌즈(111), 하나의 제2 렌즈(112), 하나의 제3 렌즈(113)와 하나의 제4 렌즈(114)로 구성된 4개의 렌즈(11)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제4 렌즈(114)는 모따기 렌즈이다. 상기 제1 렌즈유닛(110)은 하나의 모따기 렌즈튜브(12)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렌즈(11)는 각각 상기 렌즈튜브(12) 내에 설치된다.
무엇보다도, 렌즈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광축의 일치성과 렌즈 간의 상대적 각도 관계는 렌즈 이미징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각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를 조립할 때, 상대적 위치, 특히, 마지막 렌즈의 위치를 조정해야 한다. 마지막 렌즈가 조립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먼저 상기 렌즈에 초벌 조립한 후, 예컨대, 미리 설정된 각도를 회전시키는 것처럼 상기 렌즈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렌즈가 비교적 우수한 이미징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조정은 상기 제2 렌즈유닛(120)을 조정해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렌즈 어셈블리(10)를 조립할 때, 먼저, 상기 제1 렌즈유닛(110)과 상기 제2 렌즈유닛(120)을 조립한 다음, 상기 제1 렌즈유닛(110)과 상기 제2 렌즈유닛(120)을 초벌 조립하며, 이어서, 상기 제2 렌즈유닛(120) 또는 상기 제1 렌즈유닛(110)을 회전시켜 상기 제1 렌즈유닛(110)과 상기 제2 렌즈유닛(12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해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이미징 품질이 이미징 품질 요구 범위에 도달하도록 하거나 또는 더 우수한 이미징 효과를 이루도록 해 렌즈 간 상대적 위치 관계 조정 목적에 달성한다.
도 26a와 도 26b는 본 발명의 열다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래브 상기 회로기판몸체(321)는 하나의 제1 슬래브(3211)와 하나의 제2 슬래브(3212)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상기 제1 슬래브(3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슬래브(3211)는 하나의 하드보드일 수 있고,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하나의 소프트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압축 방식으로 상기 제1 슬래브(3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전도매개체를 통해 상기 제1 슬래브(3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하나의 전자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커넥터를 설치하는 것처럼 하나의 접속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슬래브(3212)는 하나의 전기연결 접속 포트로서, 전자설비와 같은 기타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상기 제2 슬래브(3212)의 일측에 근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몸체(331)는 하나의 제1 측변(33101), 하나의 제2 측변(33102), 하나의 제3 측변(33103), 하나의 제4 측변(33104)으로 구성된 4개의 측변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측변(33101), 상기 제2 측변(33102), 상기 제3 측변(33103)과 상기 제4 측변(33104)은 차례대로 서로 인접해 밀폐되어 상기 광학윈도우(333)를 형성한다. 상기 제2 측변(33102)과 상기 제4 측변(33104)은 상기 제1 측변(33101)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측변(33103)과 상기 제1 측변(33101)은 서로 마주본다.
하나의 지지대(3320)는 상기 베이스몸체(331)에 설치되고, 상기 광필터소자(40)는 상기 지지대(3320)에 설치되어 상기 광필터소자(40)가 상기 감광칩(31)의 감광 경로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변(33101)은 상기 제2 슬래브(3212)에 인접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상기 제1 측변(33101) 방향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접속 포트에 근접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332)와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측변(33102)과 상기 제4 측변(33104)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측변(33102)과 상기 제4 측변(33104)이 대응하는 상기 회로기판몸체(321)의 위치를 충분히 이용한다. 즉, 상기 전자소자(332)와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는 상기 제2 측변(33102)과 상기 제4 측변(33104)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슬래브의 위치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전자소자(332)와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는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수직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빗변 변두리(1141)가 위치하는 방향의 사이즈가 최대한 줄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기연결소자(313)와 상기 전자소자(332)가 마주보는 양측에 설치되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연결소자(313)와 상기 전자소자(332)가 수요에 따라 상기 감광칩(31)의 임의의 양측, 3측 또는 4측에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소자(332) 및/또는 상기 전기연결소자(313)는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몸체(331)의 상기 제1 측변(33101), 상기 제2 측변(33102), 상기 제3 측변(33103)과 상기 제4 측변(33104) 중 일측변, 양측변, 3측변 또는 4측변에 설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측면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상기 제1 측변(33101)의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변(33101)이 대응하는 위치는 상기 전자소자(332)를 설치하지 않아 상기 제1 측변(33101)의 폭 사이즈 요구를 낮추어 상기 카메라모듈의 체적을 더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소자(332)와 상기 전기연결소자(313)의 설치 위치는 상기 빗변 변두리(1141)의 설치 방향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변(33101)은 폭 사이즈가 비교적 작아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모따기 설계에 적합하고, 즉,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에 적합하다. 특히, 상기 제1 측변(33101)의 폭 사이즈W1은 상기 제2 측변(33102)과 상기 제4 측변(33104)의 폭 사이즈인 W2와 W4보다 작다.
도 27a와 도 27b는 본 발명의 열여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과 감광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열다섯 번째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변(33103)은 상기 제2 슬래브(3212)와 멀리 떨어져 있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상기 제3 측변(33101)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전기연결 접속 포트와 멀리 떨어져 있다. 즉,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는 상기 제2 슬래브(3212)와 마주보는 일측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변(33103)은 폭 사이즈가 비교적 작아 상기 렌즈 어셈블리(10)의 모따기 설계에 적합하고, 즉, 상기 모따기 렌즈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에 적합하다. 특히, 상기 제3 측변(33101)은 폭 사이즈 W3이 상기 제2 측변(33102)과 상기 제4 측변(33104)의 폭 사이즈인 W2와 W4보다 작다.
도 28a와 도 28b는 본 발명의 열일곱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과 감광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를 포함하고,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는 2개의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모따기 렌즈의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하나의 각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상기 제2 슬래브(3212)에 근접한 일측에 위치한다. 하나의 상기 모따기 렌즈의 다른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다른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상기 제2 슬래브(3212)와 멀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상기 모따기 렌즈의 하나의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하나의 각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상기 베이스몸체(331)의 상기 제1 측변(33101)에 위치한다. 상기 모따기 렌즈의 다른 상기 빗변 변두리(1141)와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의 다른 상기 빗변 변두리부(121)는 상기 베이스몸체(331)의 상기 제3 측변(33103)에 위치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열다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카메라모듈 예시도이다.
이러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카메라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포함해 각각의 상기 모듈이 서로 매칭하여 작동하도록 한다. 특히, 각각의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분리해 설치되는데, 다시 말해, 각각의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상기 회로기판(32)과 상기 베이스(33)는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 각각의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하나의 외부 프레임(50)을 통해 조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카메라모듈은 본 발명의 상기 카메라모듈(100)과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다시 말해, 상기 어레이 카메라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포함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열여섯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카메라모듈 예시도이다.
이러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카메라모듈(100)은 복수개의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포함해 각 상기 모듈이 서로 매칭하여 작동하도록 한다. 특히, 각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결합해 설치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각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상기 회로기판(32)과 상기 베이스(33)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전체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카메라모듈은 본 발명의 상기 카메라모듈(100)과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모듈이 조합을 이루어 구성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상기 어레이 카메라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어레이 카메라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10) 제조방법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렌즈 어셈블리(10)의 제조방법(1000)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모따리 렌즈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1101;
하나의 모따기 렌즈튜브(12)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1102; 및
상기 모따기 렌즈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따라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12)에 설치하는단계 1103를 포함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응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전자설비(300)를 더 제공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전자설비는 하나의 전자설비몸체(200)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별도로 상기 전자설비몸체(200)에 설치되어 이미지를 획득하는 데 사용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전자설비몸체(200)의 유형은 한정 받지 않는데, 예컨대, 상기 전자설비몸체(200)는 스마트 휴대폰,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PC, 노트북, 전자도서, PDA, 렌즈, 모니터링 장치 등과 같이, 상기 카메라모듈(100)에 설치될 수 있는 임의의 전자설비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라면, 도 32에서 상기 전자설비몸체(200)가 실시되는 스마트 휴대폰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내용과 범위는 한정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설명과 도면에 명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을 뿐이며,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전면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구현되었다. 본 발명의 기능과 구조 원리는 이미 실시예에서 시현해 설명되었으며, 상기 원리를 벗어나지 않은 전제 하에,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임의로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45)

  1.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 및 하나의 감광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모따기 렌즈이고, 여기에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빗변 변두리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변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가 서로 인접하며, 여기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가 곡률이 다르고; 및
    상기 감광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가 상기 감광 어셈블리의 감광 경로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상기 감광 어셈블리는 하나의 감광칩, 하나의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감광칩은 상기 베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의 몸체에 성형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하나의 렌즈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렌즈는 상기 렌즈튜브 내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방향에서, 상기 렌즈튜브 및 상기 복수개의 렌즈가 사물 측면을 향하는 상기 베이스의 꼭대기면 상부 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하나의 광필터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필터소자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감광 어셈블리는 하나의 차단렌즈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차단렌즈가 상기 감광칩과 상기 광필터소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차단렌즈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일체형으로 밀폐되고, 상기 차단렌즈와 상기 베이스가 일체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 변두리는 곡률이 0인 직선 선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변두리는 곡률>0인 하나의 아치형 선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 변두리는 직선이고, 상기 원형 변두리는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 변두리와 상기 원형 변두리는 1개이며, 상기 빗변 변두리는 곡률이 0인 직선 선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 변두리는 2개이며, 각각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곡률이 0인 직선 선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 변두리는 2개이고, 상기 원형 변두리는 2개이며, 각각의 상기 빗변 변두리는 대칭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모따기 렌즈이고, 적어도 하나가 원형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사이즈가 상기 원형 렌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튜브는 하나의 모따기 렌즈튜브이고, 상기 모따기 렌즈는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모따기 렌즈튜브는 하나의 빗변 변두리부와 하나의 원형 변두리부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빗변 변두리부와 상기 원형 변두리부는 단면 가장자리 곡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 렌즈는 사출 방식에 의하여 일회성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어셈블리는 상기 감광칩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하나의 설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감광칩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감광칩의 감광 경로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로기판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회로기판몸체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회로기판몸체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몸체에 성형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소자를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회로기판몸체와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는 상기 회로기판몸체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하나의 함몰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감광칩은 침하되어 상기 함몰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함몰영역은 오목홈, 스루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137. 삭제
  138. 삭제
  139. 삭제
  140. 삭제
  141. 삭제
  142. 삭제
  143. 삭제
  144. 삭제
  145. 삭제
KR1020217043041A 2017-01-26 2018-01-26 카메라모듈 KR102509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57589.2A CN108363159B (zh) 2017-01-26 2017-01-26 一镜头和摄像模组及其制造方法
CN201710057589.2 2017-01-26
CN201720107077.8U CN206892433U (zh) 2017-01-26 2017-01-26 镜头和摄像模组
CN201720107077.8 2017-01-26
PCT/CN2018/074319 WO2018137706A1 (zh) 2017-01-26 2018-01-26 镜头和摄像模组及其制造方法
KR1020197021981A KR20190107679A (ko) 2017-01-26 2018-01-26 렌즈와 카메라모듈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981A Division KR20190107679A (ko) 2017-01-26 2018-01-26 렌즈와 카메라모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148A KR20220003148A (ko) 2022-01-07
KR102509125B1 true KR102509125B1 (ko) 2023-03-10

Family

ID=629790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041A KR102509125B1 (ko) 2017-01-26 2018-01-26 카메라모듈
KR1020197021981A KR20190107679A (ko) 2017-01-26 2018-01-26 렌즈와 카메라모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981A KR20190107679A (ko) 2017-01-26 2018-01-26 렌즈와 카메라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79341B2 (ko)
EP (1) EP3575844A4 (ko)
JP (2) JP6876812B2 (ko)
KR (2) KR102509125B1 (ko)
WO (1) WO2018137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1830B2 (en) * 2017-04-03 2019-05-14 Denso Corporation Vehicle windshield camera module
US10317651B2 (en) 2017-04-03 2019-06-11 Denso Corporation Camera module
USD891504S1 (en) * 2018-01-12 2020-07-28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USD897405S1 (en) * 2018-01-12 2020-09-29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TWI791962B (zh) * 2019-04-24 2023-02-11 大陸商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鏡頭裝置
CN110320632A (zh) * 2019-08-08 2019-10-11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镜头
US10944915B1 (en) 2020-01-05 2021-03-09 Ningbo Sunny Opotech Co., Ltd. Multi-aperture imaging system and application thereof
US20210255427A1 (en) * 2020-02-18 2021-08-19 Facebook Technologies, Llc Stop-in-front or stop-near-front lens assembly
US11323599B1 (en) 2020-12-23 2022-05-03 Waymo Llc Flexure amplified piezo actuator for focus adjustment
EP4351158A1 (en) * 2022-08-19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comprising lens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115499570B (zh) * 2022-09-14 2024-04-16 昆山丘钛微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的封装方法及装置
JP7403691B1 (ja) 2023-01-04 2023-12-22 維沃移動通信有限公司 レンズモジュール、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161B1 (ko) 2010-06-17 2012-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JP2015072388A (ja) * 2013-10-03 2015-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60139359A1 (en) * 2014-11-19 2016-05-19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lens module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1986B2 (ja) * 1997-10-02 2007-10-31 フジノ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光学レンズ
JPH11352374A (ja) * 1998-06-08 1999-12-24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の保持構造
JP2000206312A (ja) * 1998-11-12 2000-07-28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素子
JP4321078B2 (ja) * 2003-02-28 2009-08-2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成形レンズ
TW200527881A (en) * 2004-01-30 2005-08-16 Konica Minolta Opto Inc Optical unit, imaging device with the optical unit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imaging device
JP4691674B2 (ja) * 2004-01-30 2011-06-01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JP4847020B2 (ja) * 2005-01-19 2011-12-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装置
US7830610B2 (en) * 2005-12-13 2010-11-09 Panasonic Corporation Lens, lens unit, and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0810284B1 (ko) * 2006-09-2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과 그 제조 방법
JP2010525413A (ja) 2007-04-24 2010-07-22 フレックストロニクス エーピー エルエルシー ウエハーレベル光学部品を用いた自動焦点/ズームモジュール
US20100025793A1 (en) * 2008-08-01 2010-02-04 Impac Technology Co., Ltd. Assembly for image sensing chip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N101872051A (zh) * 2009-04-23 2010-10-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筒及其应用的镜头模组
KR20120087904A (ko) * 2009-09-29 2012-08-07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렌즈 및 렌즈의 가공 방법
CN102236150B (zh) 2010-04-20 2013-03-27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取像光学透镜系统
JP5836610B2 (ja) * 2011-03-04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50554A (ja) * 2011-08-30 2013-03-14 Sony Corp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FR2997329B1 (fr) * 2012-10-30 2014-12-26 Essilor Int Procede de fabrication de lentilles optiques et ensemble pour la fabrication de telles lentilles
TWI650016B (zh) * 2013-08-22 2019-02-01 新力股份有限公司 成像裝置、製造方法及電子設備
KR102266735B1 (ko) * 2014-07-16 2021-06-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6067731A1 (ja) 2014-10-27 2016-05-06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TWM521747U (zh) * 2015-10-16 2016-05-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遮光片、遮光元件、光學元件、成像鏡頭與鏡頭模組
CN109445235B (zh) 2015-12-02 2022-02-22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采用分体式镜头的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205792878U (zh) 2016-04-21 2016-12-07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基于模塑工艺的摄像模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161B1 (ko) 2010-06-17 2012-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JP2015072388A (ja) * 2013-10-03 2015-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60139359A1 (en) * 2014-11-19 2016-05-19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lens module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19400A (ja) 2021-08-12
US20230161082A1 (en) 2023-05-25
KR20190107679A (ko) 2019-09-20
US11579341B2 (en) 2023-02-14
JP6876812B2 (ja) 2021-05-26
WO2018137706A1 (zh) 2018-08-02
JP2020507804A (ja) 2020-03-12
EP3575844A4 (en) 2021-01-13
KR20220003148A (ko) 2022-01-07
EP3575844A1 (en) 2019-12-04
US20190361153A1 (en)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125B1 (ko) 카메라모듈
CN108363159B (zh) 一镜头和摄像模组及其制造方法
US11601576B2 (en) Array camera module having height difference, circuit board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device
CN107959770B (zh) 基于一体封装工艺的摄像模组和阵列摄像模组
TWI706551B (zh) 基於一體封裝工藝的攝像模組和陣列攝像模組
US20110267535A1 (en) Image sensor module having image sensor package
KR20180114116A (ko) 어레이 이미징 모듈 및 성형된 감광성 어셈블리, 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용 그 제조 방법
CN104469105A (zh) 相机模块
WO2018126565A1 (zh) 一种镜头结构及其制作方法、摄像头
CN104094405A (zh) 拍摄单元及拍摄装置
TWI668554B (zh) 成像裝置
TWI701493B (zh) 一體基座組件、基於一體封裝工藝的攝像模組和陣列攝像模組
CN206894759U (zh) 阵列摄像模组及其模塑电路板组件和电子设备
US20190384137A1 (en) Liquid len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645837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114143A1 (zh) 感光组件、摄像模组、摄像模组的制造方法和电子设备
KR20180092362A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TWI691752B (zh) 擋光元件、擋光元件的製作方法及鏡頭模組
TWI685255B (zh) 分體式陣列攝像模組及其製造方法
TWI506351B (zh) 攝影模組
TWI607554B (zh) 影像模組結構
JP2007065650A (ja) 赤外線フィルタ及びウィンドウ一体型カメラモジュール装置
KR20180081905A (ko)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201300511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11381766B2 (en) Bracket reducing flare and having no dark edges,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