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651B1 -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651B1
KR102507651B1 KR1020220131781A KR20220131781A KR102507651B1 KR 102507651 B1 KR102507651 B1 KR 102507651B1 KR 1020220131781 A KR1020220131781 A KR 1020220131781A KR 20220131781 A KR20220131781 A KR 20220131781A KR 102507651 B1 KR102507651 B1 KR 102507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natural
fermented
weight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병만
최성근
권혁민
박인규
김미경
이건희
심상보
박진영
홍기민
이달석
Original Assignee
(주)제이비 바이오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공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비 바이오,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공병만 filed Critical (주)제이비 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13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2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 A23Y2220/1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실발효액과 식물혼합추출액을 혼합한 천연혼합발효액에, 유산균, 막걸리효모액과 버섯균사체, 그리고 효소 등을 첨가하여 배양한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으로 멀꿀추출물을 발효한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러한 멀꿀발효물의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용 조성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Fermented Stauntonia hexaphylla for hangover relief, alcoholic liver disease or liver function improvement using fermented enzyme complex solution containing traditional brewery yeas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실발효액과 식물혼합추출액을 혼합한 천연혼합발효액에, 유산균, 막걸리효모액과 버섯균사체, 그리고 효소 등을 첨가하여 배양한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으로 멀꿀추출물을 발효한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러한 멀꿀발효물의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용 조성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효란 유기물이 미생물이나 효소에 의해 분해 및 변화되는 과정을 말한다. 부패 역시 본질적으로는 발효와 같은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발효와 부패의 경계는 모호하다. 단지 미생물의 분해결과가 사람에게 이로운가 해로운가에 따라 부패와 발효를 구별하는 것뿐이다. 사람에게 유익하면 발효라고 하지만 유익한 것이 꼭 건강에 좋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발효과정은 일반적인 식품 등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데, 많은 경우 발효는 탄수화물이 분해될 때 일어나고 부패는 단백질이 분해될 때에 일어난다. 단백질은 분해될 때 그에 포함된 질소나 황에 의해 생기는 암모니아 등 질소화합물이나 황화수소 등 황 화합물이 유독하고 악취가 나기 때문이다. 이를 역이용하는 식품도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는 우리나라에서 전통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홍어를 예로 들 수 있다.
농산물을 주식으로 해온 우리나라는 발효를 이용한 전통식품이 특히 많고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 발전되어 왔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전통식품으로 세계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한 김치를 비롯하여, 된장, 고추장, 술, 빵 등 우리의 주된 먹거리는 상당수가 발효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발효식품은 면역력 증강, 항암, 항산화, 중성지방 감소, 항바이러스 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강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반면에, 이러한 식품들은 발효라는 특성 때문에 아플라톡신, 에틸카바메이트 등 인체에 해로운 물질들도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세심한 주위와 발효조건의 정교한 제어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웰빙 등 소비 트랜드의 급격한 변화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에서 구한 건강한 재료로 만든 친환경 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발효공법 또한 식품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효공정이 적용된 식품, 건강식품, 첨가제, 의약품 원료 등이 가히 폭발적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대체로 유산균이나 널리 알려진 발효균에 의존하여 발효 처리하여 식품이나 의약품 원료를 개발하거나 자연발효공법으로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발효를 효과적이고 고부가가치화하기 위한 바이오 소재는 별로 제안된 바가 없다.
한편, 멀꿀(Stauntonia hexaphylla)은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상록 덩굴식물로 한국, 일본, 타이완 등의 지역에 분포하며, 추위에 약해서 한반도의 남쪽 해안 지방과 섬 지역에 자생한다. 줄기는 녹색 또는 갈색으로 왼쪽으로 감아 오르며, 잎은 손 모양의 겹잎으로 두꺼우며 난형이고 표면에 광택이 있다. 꽃은 암수한몸 단성화이며 황백색의 꽃이 2~4개가 총상화서로 핀다.
멀꿀 열매는 10월 하순에서 12월 중순에 적자색으로 익는데 으름덩굴과 달리 익어도 벌어지지 않으며 장과로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과육은 으름보다 맛이 달다. 종자는 흑색이며 보통 열매 하나에 100여개가 들어 있다. 완전히 익은 열매는 ‘꿀 같이 달다’고하여 ‘멀꿀’이라고 한다.
한방에서는 멀꿀의 줄기와 뿌리를 야모과(野木瓜)라고 하며, 심장이 약하거나 불완전할 때 기능을 정상으로 돌이키는 데 사용하는 강심제나,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의 배출을 촉진하는 이뇨제로도 사용된다. 또한, 외상동통, 내장동통, 수술 후 동통, 신경통, 두통 등 각종 통증에 대한 진정 및 진통제로 쓰이고 있다. 이외에도 피하지방 축적의 억제, 관절질환, 자궁근종이나 안면신경통 등에도 효과 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멀꿀은 매우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열매에는 탄수 화물,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 C 등의 다양한 영양성분들이 있으며, 열매와 잎, 줄기에는 크게 3그룹의 파이토케미컬이 존재한다.
가장 대표적인 성분군은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과 그 유도체 들이다.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네오-클로로겐산, 크립토-클로로겐산, calceolarioside B 등이며 진통, 해열, 소염작용이 탁월하여 관절염 등 염증성 질 환에 대한 약리작용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로겐산은 이외에도 항산화 활성, 항균, 간 보호, 심장 보호, 항염증, 신경 보호, 항비만, 항바이러스, 항균, 항고혈압과 같은 여러 질환에 효능이 있는 중요한 성분이다.
두 번째 성분군은 테르페노이드 사포닌(terpenoid saponin)군이다. 멀꿀은 다른 사포닌도 함유하고 있지만, 특히 트리테르펜 글리코사이드(triterpene glycosides), 모노테르펜(monoterpenes),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s), 트리테르펜 사포닌(triterpene saponins), 리그난 글리코사이드(lignan glycosides)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들은 진통작용 및 항염증 작용을 한다. 또한, 트리테르페노 이드의 하나인 아케비아 사포닌 D(akebia saponin D)는 신경 염증과 기억력 감퇴 등의 억제를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yemuoside YM12와 같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화합물은 전립선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번째 성분군은 항산화 활성으로 대변되는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이다. 페놀성 화합물(phenolic compounds)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논플라보노이드(nonflavonoids), 리그난(lignans), 단순 페놀산(simple phenolic acids), 정유성분(essential oils) 등도 이에 포함되지만 멀꿀은 이들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특히, 잎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YJ-002는 뼈와 연골재생 형성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멀꿀의 알려진 효능을 종합해 보면 멀꿀 열매 및 멀꿀 잎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간 보호, 알콜성 간손상 보호, 해열, 진통, 소염, 관절염 예방 및 치료, 연골재생, 골다공증, 전립선 예방 및 치료, 항 당뇨, 눈 건강 특히 결막염, 이뇨작용, 우울증, 피로회복 등 매우 다양한 효능이 밝혀졌다. 멀꿀의 이와 같은 효능에 근거하여 건강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꿀 추추출물을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한국등록특허 제10-1706017호에는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221617호에는 멀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가 개시되어 있는 등 다양한 의약용도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0-1968891호와 10-1968812호 등에서는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고, 본 발명자들에 의해 개발된 한국특허등록 제10-2387371호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하여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멀꿀 추출물을 일반 식생활에 이용하기는 어렵고 대체로 알약 형태의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그 활용성을 더욱 확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 얻어지는 멀꿀추출물을 그 효과가 미미하혀 실효성이 떨어지고, 발효에 의한 멀꿀추출물의 경우에도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는 등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멀꿀의 발효처리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고 체내흡수율이 개선된 형태의 가공기술을 개발하여 귀한 한약재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601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21617호 한국특허등록 제10-1968891호 한국특허등록 제10-1968812호 한국특허등록 제10-2387371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기존에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멀꿀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가공기술과 그 용도의 개발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조건으로 준비된 천연발효효소복합액으로 멀꿀추출물을 발효한 멀꿀발효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통주 효모 함유 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용 멀꿀발효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멀꿀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매실천연효소액,
헛개, 황칠, 오가피, 칡, 갈근, 울금, 치커리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혼합추출액,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포함하는 유산균,
막걸리 효모액,
동충하초, 차가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 상황버섯, 운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중에서 하나이상의 버섯 균사체, 및
수미자임(Sumizyme), 얼티메이즈(Ultimase MFC), 파이르플로(Pyr-flo), 탄네이즈(Tann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
가 함유된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과 멀꿀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주 효모 함유 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막걸리 효모액은 생막걸리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배양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의 최종 발효 전 혼합물에 비타민 에이(vitamin A), 비타민 비 복합체(vitamin B complex) 및 비타민 씨(vitamin C) 중에서 2 이상을 함유하는 복합비타민이나, 밀크씨슬, 아미노산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멀꿀추출물은 0.1~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멀꿀발효물은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용 건강식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용 멀꿀발효물은 의약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실천연효소액 30~70중량부와 헛개, 황칠, 오가피, 칡, 갈근, 울금, 치커리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혼합추출액 30~70중량부가 혼합된 천연혼합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천연혼합발효액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포함하는 유산균, 막걸리 효모액, 그리고 동충하초, 차가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 상황버섯, 운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중에서 하나이상의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고 30~45℃에서 12~72시간 발효하는 단계;
상기 버섯균사체 적용 발효물에 수미자임(Sumizyme), 얼티메이즈(Ultimase MFC), 파이르플로(Pyr-flo), 탄네이즈(Tann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를 첨가하여 30~45℃에서 1~6시간 발효하여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에 멀꿀추출액을 혼합하여 발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주 효모 함유 발효효소복합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 첨가시에 추가로 비타민 에이(vitamin A), 비타민 비 복합체(vitamin B complex) 및 비타민 씨(vitamin C) 중에서 2 이상을 함유하는 복합비타민, 밀크씨슬,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멀꿀 발효물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발효효소복합액에 멀꿀추출물을 혼합 발효하여 우수한 물성의 멀꿀발효물을 제조함으로써,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 등에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효물은 특정 조성으로 이루어진 전통주 효모 함유 복합발효액을 이용한 천연 발효로 발효 효율을 크게 개선시키고, 특히 멀꿀이 가지는 유효성분을 향상함과 동시에 효소, 버섯균사체, 막걸리 발효액 등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세포벽을 분해하고 영양성분과 유효성분의 추출율을 높이고, 기능성 성분의 체내흡수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전통주 효모 함유 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은 체내흡수율이 현저하게 우수하므로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을 위한 제제로 효율적으로 제제화할 수 있어서, 건강식품, 의약품 등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의 제조공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최근 천연 추출물로 다양한 기능성 재료로 각광을 받고 있는 멀꿀을 발효처리 가공함에 있어서,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기능성 성분의 증대와 체내 흡수율 개선 등을 위하여 새로운 원료로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호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추출물의 액상발효를 통해 새롭게 가공 처리한 것으로서, 특히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개선, 알콜성간질환 개선 또는 간기능 개선에 유용한 멀꿀발효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막걸리 효모를 이용하여 특정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발효용 바이오 소재로 활용하여, 멀꿀추출물을 발효함으로써, 세포벽의 분해를 통한 활성성분의 현저한 향상과 인체 흡수율이 개선되게 하고, 유효성분이 고함량으로 함유되도록 한 특정 용도의 발효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멀꿀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멀꿀열매의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멀꿀추출물은 예컨대, 멀꿀열매를 극성유기용매로서 물이나 저급알코올로 추출할 수 있으며, 열수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발효는 발효대상이 되는 원물이 함유하고 있는 기능성 유효성분과 이에 합당한 미생물의 선택에 의해서 그 유용성이 결정된다. 그러나 미생물이라고 하지만 결국은 미생물 내에 존재하는 특정 효소의 존재와 활성도가 더욱 중요하다. 모든 효소는 고유의 기질특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효소는 한 반응만 촉매하고 온도, pH, 염의 농도 등 특이한 조건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은 이러한 개념에 기초로 하고, 유효성분인 멀꿀추출물과 특정 미생물에 존재하는 효소들과의 상관관계가 발효물의 효율과 특성을 부여하는 점을 고려하여, 특정 성분의 조성과 발효조건으로 특정 조성의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멀꿀추출액을 액상 발효시켜서 우수한 체내흡수율을 가지면서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멀꿀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멀꿀추출물은 발효하기 전에 식물세포가 함유한 다양한 성분들을 손실함이 없이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효모 및 세포막 분해효소를 혼합한 발효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발효액 구성에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들은 발효 미생물 고유의 효소 외에 탄네이즈 등 발효대상물에 존재하는 성분들을 변환시킬 수 있는 효소들을 첨가하여 어떤 천연물에서도 다양하고 많은 생리활성물질이 생성될 수 있는 다기능(multi-functional) 효소복합물로 제조하는 데 유용하다. 그러므로 이를 이용하여 멀꿀추출물을 발효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함량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생체이용율을 현저하게 높여서 체내흡수율이 매우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멀꿀추출액의 발효에 사용되는 발효액은 다양한 천연식물과 전통주 효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구체적으로는 매실천연효소액과 식물혼합추출액인 천연물혼합농축액, 유산균, 막걸리효모액, 버섯균사체, 그리고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로 발효한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멀티비타민, 밀크씨슬, 아미노산 중 하나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전통주인 막걸리 효모를 사용한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사용하여 멀꿀추출물을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멀꿀추출물의 발효에 사용되는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구성하는 매실천연효소액에 혼합되는 식물혼합추출맥은 바람직하게는 헛개, 황칠, 오가피, 칡, 갈근, 울금, 치커리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혼합추출물, 더 좋기로는 이들 모두의 혼합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매실천연효소액은 바람직하게는 5~30brix, 더 좋기로는 5~15brix로 농축된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식물혼합추출액 역시 바람직하게는 5~30brix, 더 좋기로는 5~15brix로 농축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산균으로서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포함하는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유산균은 천연발효효소복합액에서 0.1~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3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발효 효과가 저하되고, 너무 과다하면 과발효로 인하여 원하지 않는 물질 발생 등의 염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통주 효모로서 막걸리효모액을 사용하고, 버섯균사체로는 동충하초, 차가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 상황버섯, 운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중에서 하나이상의 버섯 균사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동충하초 균사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막걸리 효모액은 바람직하게는 생막걸리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배양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막걸리 효모액은 상기 천연발효효소복합액에서 0.5~1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더 바람직하게는 0.5~5중량%, 가장 좋기로는 0.5~1.5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만일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발효 성능이 저하되고, 그 사용량이 너무 과다하면 과발효 문제가 발생하여 좋지 않고 유효성분의 향상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버섯균사체는 1~10중량%, 더 좋기로는 1~5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발효 효과를 증진시키고 체내흡수율 개선을 위해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로서, 수미자임(Sumizyme), 얼티메이즈(Ultimase MFC), 파이르플로(Pyr-flo), 탄네이즈(Tann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더 좋기로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발효함으로써 발효액으로서 매우 우수한 물성의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는 상기 천연발효효소복합액에서 0.01~3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1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흡수율 등이 저하되며, 과다하면 원하는 유효성분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타민 에이(vitamin A), 비타민 비 복합체(vitamin B complex) 및 비타민 씨(vitamin C) 중에서 2 이상을 함유하는 복합비타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크씨슬이나 아미노산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합비타민, 밀크씨슬, 아미노산 중 하나이상을 각각 0.01~1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으로 멀꿀추출물을 발효시킨 멀꿀발효물을 특징으로 하는 바, 여기서 멀꿀추출물은 0.1~50중량%, 0.1~10중량%, 또는 0.5~5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매실천연효소액 30~70중량부와 헛개, 황칠, 오가피, 칡, 갈근, 울금, 치커리 중 2종 이상의 식물혼합추출액 30~70중량부가 혼합된 천연혼합발효액 85~95중량%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포함하는 유산균 0.1~5중량%와 막걸리효모액 0.5~10중량%, 동충하초 균사체 1~5중량%, 수미자임(Sumizyme), 얼티메이즈(Ultimase MFC), 파이르플로(Pyr-flo), 탄네이즈(Tann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 0.01~3중량%, 멀티비타민 0.01~3중량%, 아미노산 0.01~3중량%, 밀크씨슬 0.01~3중량%를 첨가하여 발효한 천연발효효소액에, 멀꿀추출물을 혼합하되 멀꿀추출물이 전체 혼합물의 0.5~50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꿀발효물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멀꿀발효물은 멀꿀을 발효 가공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발효와는 그 발효 후의 기능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일반 발효가 아닌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조된 특정 조건의 천연발효효소복합액으로 액상발효한 결과물로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발효 전의 멀꿀추출물을 기존의 일반적인 유산균 등을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물에 비해 유효성분이 고함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체내흡수율이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 기호성과 활용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멀꿀발효물의 제조공정을 각 단계별로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용원료의 제조
<매실천연효소액의 제조>
본 발명은 매실천연효소액 30~70중량부와 황기, 마늘 및 멀꿀 중에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혼합추출액 30~70중량부를 혼합한 천연혼합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사용되는 매실천연효소액은 매실에 설탕 또는 흑설탕을 1:0.8∼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3∼6개월 동안 발효시킨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매실천연효소액은 상기 농도로 농축하여 사용하면 좋다.
이러한 매실천연효소액은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청매실을 중량비율로 동량의 설탕으로 침지하여 음지 상온에서 3개월 이상 자연발효한 것으로 최종 농도가 상기 범위의 brix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청매실 대신 홍매실을 사용할 수 있고, 설탕은 흑설탕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매실천연효소액의 당도는 상기 범위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첨가한 매실청이 이후 첨가할 유산균의 성장을 위한 탄소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만일, 매실천연효소액의 당도가 너무 높으면 미생물의 성장과 효소의 활성도를 저해할 수 있다.
<식물혼합추출액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기 식물혼합추출액은 상기 열거된 종류의 천연물을 이용하여 예컨대, 10배 내지 20배 용량의 정제수를 가하고 80∼98℃에서 5~15시간. 좋기로는 8시간 침지한 후 여과하여 상기 농도의 brix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추출은 천연물의 종류에 따라서 1, 2회 더 수행할 수 있고 이들을 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추출 용매는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30∼90% 주정을 사용할 수 있다.
<막걸리효모액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막걸리효모액은 예컨대, 생막걸리에 막걸리 대비 설탕 2~10%(w/v)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3~7%를 첨가한 후 25~40℃, 더 좋기로는 28~32℃에서 2~10일, 더 좋기로는 3~5일 동안 배양하여 제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막걸리에 설탕 3.5%(w/v)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를 첨가한 후 30℃에서 4일 동안 배양하여, 이후 단계인 발효과정에서 효모의 활성이 최적화된 막걸리효모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2)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의 제조
본 발명에서 액상발효를 위해 사용되는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은 상기 매실천연효소액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포함하는 유산균과 상기 막걸리효모액, 그리고 버섯균사체, 바람직하게는 동충하초, 차가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 상황버섯, 운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중에서 하나이상의 버섯 균사체 중 하나이상의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고 30~45℃에서 12~72시간 발효하는 단계;와 상기 버섯균사체 적용 발효물에 수미자임(Sumizyme), 얼티메이즈(Ultimase MFC), 파이르플로(Pyr-flo), 탄네이즈(Tann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를 첨가하여 30~45℃에서 1~6시간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섯균사체로는 동충하초 균사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동충하초 균사체는 코디셉스속 동충하초(Cordyceps spp.) 균사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코디셉스 시넨시스(Cordyceps sinensis), 코디셉스 밀라타리스(Cordyceps militaris), 코디셉스 스카라베콜라(Cordyceps scarabaecola), 코디셉스 누탄스(Cordyceps nutans), 코디셉스 스페코세팔라(Cordyceps sphecocephala), 코디셉스 트리센트리(Cordyceps tricentri), 패실로마이세스테누이페스(Paecilomyceps tenuipes) 및 패실로마이세스 자포니카(Paecilomyces japonic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최종 발효 이전에 복합비타민, 아미노산, 밀크씨슬 중 하나이상을 추가로 첨가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를 첨가함으로써 세포벽을 유효성분 소실없이 분해하고 발효 효율을 더욱 개선하므로,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현저하게 상승시키고 고분자량 유효물질은 저분자량으로 전환시켜 생체 흡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의 바람직한 일 예의 제조공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은 멀꿀, 바람직하게는 멀꿀열매의 액상발효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3) 액상발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하면, 멀꿀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추출액으로 제조하여, 이를 상기 제조된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하여 액상발효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은 상기 발효원료인 멀꿀추출물에 0.1~50부피%로 첨가하여 액상발효시킬 수 있다. 만일 그 사용량이 적으면 발효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게 되고, 그 사용량이 과다하면 과발효로 인해 부작용이나 부생성물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상발효에서는 상기 멀꿀추출물에 상기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0.5∼50부피%, 더 좋기로는 1~10부피%로 첨가 또는 분사하고 15℃∼45℃, 더 바람직하게는 17~37℃에서 1시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5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를 거쳐서 액상발효로 얻어지는 멀꿀발효물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멀꿀추출물을 상기 천연발효효소복합액으로 액상발효한 멀꿀발효물은 기존의 일반적인 발효공정을 거친 멀꿀의 발효물에 비해 그 기능성분의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특히 전통주인 막걸리 효모를 이용하고 매실천연효소액, 특정 유산균과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의 사용 등에 의하여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조한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은 일종의 Lactobacillus와 일종의 대표적인 토종 발효균인 Bacillus amyloliquefaciens 및 효모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경우 이 균들은 자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효소반응 외에 산화질소 대사를 촉매하는 nitrate reductase 효소도 함유되어 있다. 또한,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의 주요 성분인 매실천연효소액은 다량의 설탕을 함유하고 있어 식물혼합추출액 성분들과 함께 본 발효시 미생물 성장에 필요한 탄소원 등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발효 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로는 Sumizyme, Pyr-flo, Ultimase 등은 cellulase, Hemi-cellulase, β-glucosidase, arabinosidase, 및 pectinase 등을 함유할 수 있어서 세포막, 세포벽을 분해하고 유출된 활성성분을 가수분해하여 다양한 성분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로 첨가하는 복합비타민은 유산균의 성장이나 효소의 촉매반응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멀꿀발효물은 천연물의 영양성분 추출율을 높여 체내 흡수율을 상승시키며, 인체에 유익한 항산화 물질, 산화질소 전구체 등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크게 증가되고, 체내흡수율이 우수한 조성물로 얻을 수 있어서, 멀꿀의 일반적인 기존의 발효물과는 현저하게 차별화되어 경쟁력이 높은 제품의 생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멀꿀발효물은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에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기존과 다른 새로운 천연발효효소복합액 성분에 의한 액상발효의 결과로 인해 더욱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예컨대 멀꿀의 일반적인 가공이나 발효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발효물에 비해 숙취해소나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 등에서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특정 조성의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하여 멀꿀추출물을 액상발효하는데 사용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바람직한 기능성 효과를 발휘하고, 발효과정에서 다른 천연성분들과의 상승효과 및 멀꿀추출물과의 상승효과가 더욱 향상됨으로 인하여 매우 우수하고 예측할 수 없는 우수한 숙취해소나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에 대한 현저하게 우수한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멀꿀추출물을 효율적인 조건의 천연발효효소복합액으로 발효함으로써, 멀꿀이 함유하고 있는 고분자 물질을 저분자화하고, 세포벽을 분해하여 영양성분 추출율을 높임으로써 영양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기능 성분이 매우 복합적이고 바람직한 형태로 존재하고, 체내 흡수율 향상이나 특성 유효성분의 항산화 효과 및 유효성분의 증진 등의 다양하게 향상되어서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 효과를 위한 바람직한 건강식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꿀발효물은 건강식품이나 의약품으로 적용시 예컨대, 정제 기준으로 성인 1일 1~3회 복용하되, 10~1000mg/1회의 투여량으로 복용할 수 있다. 액제로서 사용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멀꿀발효물은 숙취해소나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의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 의약품 등에 매우 유용한 원료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다양한 통상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제형으로서는 정제, 액제, 그래뉼, 분말 등 다양한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의 제조
(1) 생막걸리에 생막걸리 대비 흑설탕 3.5%(w/v)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5%(w/v)를 접종한 후 30℃에서 4일 동안 배양하여 막걸리 효모액을 제조하였다.
(2) 헛개, 황칠, 오가피, 칡, 갈근, 울금 및 치커리를 서로 동일량으로 혼합한 식물혼합물에 식물혼합물 대비 정제수 8배(v/w)를 첨가한 후 9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식물혼합추출액을 제조하였다.
(3) 매실과 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5~30℃에서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매실천연효소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2)단계에서 제조한 식물혼합추출액(10브릭스)과 상기 (3)단계에서 제조한 매천연효소액(10브릭스)을 7:3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식물혼합 효소액을 제조하였다.
(5)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식물혼합 효소액 대비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막걸리 효모액 1중량%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혼합 유산균 1중량%, 그리고 동충하초 균사체 3중량%를 혼합한 후, 이를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천연혼합발효액을 제조하였다.
(6) 여기에 Sumizyme, Ultimase MFC, Pyr-filo 및 Tannase의 효소 각각 0.5중량%와 복합비타민(비타민A, 비타민B 복합체 및 비타민C), 아미노산 혼합 밀크씨슬 각 0.1중량%를 가하고, 37℃에서 2시간 배양하여 제1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제조하였다.
(7) 멀꿀 열매를 45~55℃에서 수분 함량이 14~15%(v/w)가 될 때까지 건조한 멀꿀 열매에 물을 18~22배(v/w) 첨가한 후 95~100℃에서 7~9시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55~65 brix로 농축하여 멀꿀 농축액을 제조하고, 그 농축액에 물을 첨가하여 4~6 brix가 되도록 희석하여 멀꿀추출물을 얻었다.
(8) 상기 (6)단계에서 제조한 천연발효효소복합액에 상기 (5)단계에서 제조한 멀꿀추출물을 5중량%로 혼합하고 내어 50℃ 온도 및 습도 35%에서 3일 동안 발효하여 멀꿀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6) 단계에서 복합비타민(비타민A, 비타민B 복합체 및 비타민C), 아미노산 혼합 밀크씨슬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멀꿀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천연발효소소복합액 대신에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와 락토바실러스 김치쿠스(Lactobacillus kimchicus DYC51)의 유산균과 플란타아제(plantase C151P)와 수미자임(sumizyme AC)을 혼합하여 발효처리하여 멀꿀발효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막걸리 효모액을 사용하지 아니한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하여 먹꿀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매실천연효소액과 식물혼합추출액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먹꿀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멀꿀 열매를 멀꿀 열매를 45~55℃에서 수분 함량이 14~15%(v/w)가 될 때까지 건조한 멀꿀 열매에 물을 18~22배(v/w) 첨가한 후 95~100℃에서 7~9시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55~65 brix로 농축하여 멀꿀 농축액을 제조하고, 그 농축액에 물을 첨가하여 4~6 brix가 되도록 희석하여 멀꿀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발효처리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시료로 활용하였다.
실험예 1 : 알콜농도 측정 동물실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료를 투여한 경우에 대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동물로 Sprague Dawley 계통 숫컷 흰쥐(240~270g)를 처리군당 10마리씩 배치하여 상기 시료의 투여균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은 주정(알콜농도 40% 위스키)을 경구투여하되 단회성 급성주정 중독량(4g ethanol/1kg body wt.)으로 투여하며, 액상 조성물 시료 투여량은 2.5g/kg으로 투여하고, 알코올 투여 후 60, 90, 150, 240분 간격으로 채혈하였다. 혈액은 안구채혈법으로 채취하고, 혈청(serum)을 분리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enzyme method로 분석하였다. 알콜 투여 30분 후에 액상 조성물 시료를 투여하고 알콜 투여 후 90분, 150분, 240분 경과 시 채혈하여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분석은 실험 혈액을 안구채혈법으로 채취하고 혈청 분리관에 넣어 원심분리(15,000rpm, 10min, 4℃)하여 혈청 시료를 분리하였다. 혈중 알콜의 측장을 위해 알콜의 정량은 alcohol assay kit(Komabiotech,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리된 혈청(10ul)에 2 x yellow reaction mixture(90ul)를 가한 후 37℃에서 30분 incubation 후에 나타나는 발색도를 570nm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를 alcohol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알콜의 농도(mM)를 측정하였으며, 표준곡선은 10mM 표준용액을 2,000, 1,000, 500, 250, 125, 62.5, 31.25, 0 uM으로 희석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평균값±표준편차 (mean ±S.D)로 하기 표에 표시하였고 실험군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은 GraphPad InStat software를 이용하여 one way ANOVA test(Bonferroni test for post hoc multiple comparison)에 의해 유의확률 P<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구분 알콜투여 후 시간별 혈중알콜농도(μM)
60분 후 90분 후 150분 후 240분 후
실시예1 648±27 474±18 351±22 272±21
실시예2 652±23 461±26 327±19 232±28
비교예1 649±25 573±28 487±29 452±31
비교예2 651±27 511±30 453±32 419±21
비교예3 645±19 518±22 442±23 407±26
비교에4 650±26 598±27 501±26 473±17
실험예 2 : 인체 혈중 알콜농도 측정실험
상기 시료의 경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이루어진 성분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실제 사람이 음용한 경우의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자는 19~28세의 연령층을 가진 6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은 평수 주량이 소주 1~2병의 주량을 가진 유사 주량의 피실험자(체중 65~75Kg)로 하여금 실험에 대한 동의를 받고 참여하게 하고 실험 참여전 모두 1주일간 금주하도록 한 다음 실험에 임하도록 하였다. 실험자들은 실험기간 동안 다른 알콜을 일체 섭취하지 아니하고 급식소에서 동일한 식사를 하도록 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각 피험자 1~6으로 하여금 각각 위스키 (알콜농도 40%) 각 210g (3g/kg)을 섭취하게 하였다. 안주로는 오징어 200g, 과일(사과) 250g, 땅콩 150g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 진행 30분 전에 상기 시료를 섭취하고 음주 후 60분, 90분, 150분, 240분 경과 시 채혈하여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피험자 번호 알콜투여 후 시간별 혈중알콜농도(%)
60분 후 90분 후 150분 후 240분 후
실시예1 1(23세/70kg) 0.118 0.038 0.017 0.006
실시예2 2(25세/67kg) 0.117 0.037 0.015 0.004
비교예1 3(19세/65kg) 0.115 0.092 0.058 0.038
비교예2 4(26세/75kg) 0.121 0.067 0.054 0.037
비교예3 5(28세/72kg) 0.119 - 0.041 0.021
비교에4 6(24세/69kg) 0.112 0.095 0.061 0.046
실험예 3 : 간세포보호 활성 확인실험(in vitro)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DMSO 희석액을 에탄올 처리된 HepG2(human liver cancer cell line)에 처리하여 알코올로 손상된 간세포의 보호활성을 확인하였다. HepG2는 하기의 방법으로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배양액으로는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00 IU/mL 페니실린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oc, USA)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고, 3~4일에 한 번씩 계대 유지하였다. 실험을 위해, HepG2를 7x103/well 농도로 플레이트(plate)에 24시간 배양하고, 각 희석 시료를 최종농도 100 ㎍/㎖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1시간 뒤에 95% 에탄올을 각 시료가 처리된 배지 내에 200 mM이 되도록 첨가한 후 17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일간 같은 조건으로 매일 배지를 교체하고 각 시료와 에탄올을 방법으로 처리하여 세포 손상을 유도하였다. 그런 다음, MTT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4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무처리(대조군)의 생존도 100%를 기준으로 시험군의 상대적인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에 정리하였다.
구분 세포 생존율 활성(%)
대조군 100.3
에탄올 25.7
실시예1+에탄올 98.1
실시예2+에탄올 98.6
비교예1+에탄올 67.1
비교예2+에탄올 74.8
상기 실험결과, 실시예의 희석시료 처리군이 비교예의 희석시료 처리군과 비교하여 HepG2의 생존율이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알코올 처리로 인한 대부분의 손상을 회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효과
실험 시료로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료를 각각 200㎍/㎖의 농도로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 래트(rat) 7주령 수컷을 사용하였다. 실험시료를 투여하고 30분 후 체중 kg당 4g의 50% 에탄올을 경구투여하여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을 유도하여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in vivo)을 얻었다.
실험에 사용된 래트 조직내 지질과산화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간 조직을 관류(perfusion)한 후 간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간조직무게의 10%에 해당하는 차가운 PBS(ice cold PBS)를 넣고, 소니케이터(sonicator)를 이용하여 조직을 현탁시켰다. 현탁액은 10,000×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상등액 50㎕와 0.15M KCl 500㎕를 잘 혼합한 후 20mM FeCl3 100㎕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은 37℃에서 30분간 배양(incubation)하고, 반응종료액(0.25N ice-cold HCl + 15%TCA + 0.38% TBA + 0.05% BHT)을 1㎖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90℃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한 후, 10,000×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를 실시하였다.
원심분리 후 얻어진 분홍색 시료물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3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질과산화값은 FeCl3와 비교한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구분 FeCl3 (20mM)와 비교한 지질과산화값(% of FeCl3)
100μM 100㎍/㎖ 200㎍/㎖
대조군(BHT) 44.7 - -
실시예1 - 47.3 44.6
실시예2 - 46.2 43.9
비교예1 - 66.4 64.7
비교예2 - 66.3 64.1
비교예3 - 63.2 61.6
비교예4 - 78.5 73.6
상기 실험결과를 보면, 지질산화값은 실시예의 시료가 100㎍/㎖ 및 200㎍/㎖에서 모두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비교예 4의 일반적인 발효물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실험에서 실시예의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다.
실험예 5 : 관능평가
상기 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 후 24시간 경과한 싯점에서 어지러움, 피로감, 메스꺼움, 속쓰림, 두통, 갈증, 집중력, 졸음 등 8개 항목에 대해 5점 구획 척도법(효과가 매우 우수 : 5점, 우수 : 4점, 보통 : 3점, 약함 : 2점, 매우 약함 : 1점)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점수는 평균을 내고 반올림하여 적용하였다.
구분 피험자 번호 평가항목
어지러움 피로감 메스꺼움 속쓰림 두통 갈증 집중력 졸음
실시예1 1 5 5 5 5 5 4 4 4
실시예2 2 5 5 5 5 5 5 4 5
비교예1 3 3 3 3 4 3 3 3 3
비교예2 4 3 3 3 4 3 3 3 3
비교예3 5 4 3 4 4 4 3 3 3
비교에4 6 3 2 4 2 3 2 3 3
상기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멀꿀발효물의 경우 매우 우수한 혈중알콜농도 개선효과를 보이고, 숙취해소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알콜 분해효과 등으로 인해 혈중 알콜농도가 시간에 따라 현저하게 경감하는 것으로 보아 알콜성 간질환이나 간기능에 우수한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에, 비교예 1 ~ 3의 경우 일반적인 멀꿀추출물(비교예 4에 비해)서는 우수하지만 알콜분해 효과가 실시예의 시료에 비해 현저하게 차이를 보여서 그 효과가 미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인 실시예의 경우 혈중 알콜농도의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숙취해소, 알콜성 간질환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특정 조건의 천연발효효소복합액으로 멀꿀을 발효함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일반적인 발효(비교예 4)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액상발효로 인하여 각 사용된 성분의 상호작용에 의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Claims (9)

  1. 매실천연효소액,
    헛개, 황칠, 오가피, 칡, 갈근, 울금, 치커리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혼합추출액,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포함하는 유산균,
    막걸리 효모액,
    동충하초, 차가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 상황버섯, 운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중에서 하나이상의 버섯 균사체, 및
    수미자임(Sumizyme), 얼티메이즈(Ultimase MFC), 파이르플로(Pyr-flo), 탄네이즈(Tann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
    가 함유된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과 멀꿀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막걸리 효모액은 생막걸리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배양한 것을 포함하는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의 최종 발효 전 혼합물에 비타민 에이(vitamin A), 비타민 비 복합체(vitamin B complex) 및 비타민 씨(vitamin C) 중에서 2 이상을 함유하는 복합비타민이나, 밀크씨슬, 아미노산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꿀추출물은 0.1~50중량%로 함유하는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
  5. 매실천연효소액 30~70중량부와 헛개, 황칠, 오가피, 칡, 갈근, 울금, 치커리 중 2종 이상의 식물혼합추출액 30~70중량부가 혼합된 천연혼합발효액 85~95중량%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포함하는 유산균 0.1~5중량%와 막걸리효모액 0.5~10중량%, 동충하초 균사체 1~5중량%, 수미자임(Sumizyme), 얼티메이즈(Ultimase MFC), 파이르플로(Pyr-flo), 탄네이즈(Tann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 0.01~3중량%, 멀티비타민 0.01~3중량%, 아미노산 0.01~3중량%, 밀크씨슬 0.01~3중량%를 첨가하여 발효한 천연발효효소액에, 멀꿀추출물을 혼합하되 멀꿀추출물이 전체 혼합물의 0.5~50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
  6. 매실천연효소액,
    헛개, 황칠, 오가피, 칡, 갈근, 울금, 치커리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혼합추출액,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포함하는 유산균,
    막걸리 효모액,
    동충하초, 차가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 상황버섯, 운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중에서 하나이상의 버섯 균사체, 및
    수미자임(Sumizyme), 얼티메이즈(Ultimase MFC), 파이르플로(Pyr-flo), 탄네이즈(Tann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
    가 함유된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과 멀꿀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혈중알콜농도,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식품.
  7. 삭제
  8. 매실천연효소액 30~70중량부와 헛개, 황칠, 오가피, 칡, 갈근, 울금, 치커리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혼합추출액 30~70중량부가 혼합된 천연혼합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천연혼합발효액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또는 이들의 혼합균을 포함하는 유산균, 막걸리 효모액, 그리고 동충하초, 차가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 상황버섯, 운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중에서 하나이상의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고 30~45℃에서 12~72시간 발효하는 단계;
    상기 버섯균사체 접종 발효물에 수미자임(Sumizyme), 얼티메이즈(Ultimase MFC), 파이르플로(Pyr-flo), 탄네이즈(Tannas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를 첨가하여 30~45℃에서 1~6시간 발효하여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발효용 천연발효효소복합액에 멀꿀추출액을 혼합하여 발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세포막 분해 및 생체성분 변환 효소 첨가시에 추가로 비타민 에이(vitamin A), 비타민 비 복합체(vitamin B complex) 및 비타민 씨(vitamin C) 중에서 2 이상을 함유하는 복합비타민, 밀크씨슬,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0220131781A 2022-10-13 2022-10-13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KR102507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781A KR102507651B1 (ko) 2022-10-13 2022-10-13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781A KR102507651B1 (ko) 2022-10-13 2022-10-13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651B1 true KR102507651B1 (ko) 2023-03-10

Family

ID=8551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781A KR102507651B1 (ko) 2022-10-13 2022-10-13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35B1 (ko) * 2023-03-17 2024-01-18 (주)제이비 바이오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골밀도 개선, 뼈 성장촉진, 키 성장촉진 또는 관절건강증진용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617B1 (ko) 2012-04-16 2013-01-14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멀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30142707A (ko) * 2012-06-20 2013-12-30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효소전환과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화합물 k의 함량이 강화된 발효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홍삼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706017B1 (ko) 2015-07-31 2017-02-1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101968891B1 (ko) 2015-07-31 2019-04-12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
KR102227539B1 (ko) * 2020-07-30 2021-03-15 (주)디마인화장품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
KR102377209B1 (ko) * 2021-10-08 2022-03-22 (주)제이비 바이오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복합발효액과 고상발효공법을 이용한 발효인삼 및 그 제조방법
KR102387371B1 (ko) 2021-10-08 2022-04-18 (주)제이비 바이오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2466759B1 (ko) * 2021-11-16 2022-11-16 양정열 멀꿀 함유 국수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617B1 (ko) 2012-04-16 2013-01-14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멀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30142707A (ko) * 2012-06-20 2013-12-30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효소전환과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화합물 k의 함량이 강화된 발효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홍삼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706017B1 (ko) 2015-07-31 2017-02-1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101968891B1 (ko) 2015-07-31 2019-04-12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
KR101968812B1 (ko) 2015-07-31 2019-04-15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
KR102227539B1 (ko) * 2020-07-30 2021-03-15 (주)디마인화장품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
KR102377209B1 (ko) * 2021-10-08 2022-03-22 (주)제이비 바이오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복합발효액과 고상발효공법을 이용한 발효인삼 및 그 제조방법
KR102387371B1 (ko) 2021-10-08 2022-04-18 (주)제이비 바이오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2466759B1 (ko) * 2021-11-16 2022-11-16 양정열 멀꿀 함유 국수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35B1 (ko) * 2023-03-17 2024-01-18 (주)제이비 바이오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골밀도 개선, 뼈 성장촉진, 키 성장촉진 또는 관절건강증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4513B2 (en) Method for fermentation and cultivation, fermented plant extract, fermented plant extract powd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fermented plant
KR100962587B1 (ko)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0988072B1 (ko)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N101760478B (zh) 一种葛根红曲的制造方法
KR10142357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4344B1 (ko) 발효보리, 발효배즙, 발효콩 및 발효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851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화장품
KR100815256B1 (ko) 복분자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07651B1 (ko)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KR101663379B1 (ko) 효모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혼합음료 제조방법
KR102137136B1 (ko)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10098080A (ko) 꿀벌 화분 발효액, 프로폴리스, 벌꿀 및 로얄 제리를 함유하는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CN110810693A (zh)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3870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TWM590969U (zh) 具有仿生物間質系統的芸香科植物發酵液微粒結構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65480B1 (ko) 개미취(Aster tataricus)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01435B1 (ko) 높은 유해 산소 제거 능력을 갖는 차가버섯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
KR102459653B1 (ko)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녹각 또는 녹용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550148B1 (ko) 천연발효 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녹각 또는 녹용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전립선 개선 또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25435B1 (ko)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골밀도 개선, 뼈 성장촉진, 키 성장촉진 또는 관절건강증진용 조성물
KR102549447B1 (ko) 고상발효를 통한 체내흡수율이 증가된 컴파운드 k를 고함량 포함하는 조성물과 그의 항암, 항산화, 항염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N108096570A (zh) 具有排毒减肥功能的虫草蛋白肽片
KR20200016610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