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296B1 -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296B1
KR102507296B1 KR1020220046732A KR20220046732A KR102507296B1 KR 102507296 B1 KR102507296 B1 KR 102507296B1 KR 1020220046732 A KR1020220046732 A KR 1020220046732A KR 20220046732 A KR20220046732 A KR 20220046732A KR 102507296 B1 KR102507296 B1 KR 102507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ed
fermentation
temperature environment
yeas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533A (ko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김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섭 filed Critical 김창섭
Priority to KR102022004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2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23K10/38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from distillers' or brewers' was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척한 부추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05 내지 0.06mm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춘 건조부추 분말을 마련하는 A단계; 껍질을 벗기고 내부에 씨를 제거한 오이 조각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5℃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1 내지 0.13mm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춘 건조오이 분말을 마련하는 B단계; 통밀로 만든 누룩 반죽을 발효 및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누룩을 마련하는 C단계; 세척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작두콩 조각들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220℃의 온도환경에서 60분 동안 덖음을 수행하여 덖은 작두콩 조각을 마련하는 D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건조부추 분말 100g을 기준으로, 상기 B단계를 통해 마련된 건조오이 분말 55 내지 58g, 상기 C단계를 통해 마련된 누룩 38 내지 40g, 상기 D단계를 통해 마련된 덖은 작두콩 조각 15 내지 16g, 옥수수 가루 15g, 석회석 10g, 인산칼슘 17g, 구연산 1g, 미네랄 5g, 미강 42g, 톱밥, 당귀 0.4g, 감초 0.2g, 소엽 0.2g, 우엉 1.6g, 굴 껍질 1.5g, 지모 0.5g, 건조 맥주박 80 내지 85g을 배합하는 E단계; 및 상기 E단계를 통해 배합된 닭 사료를 수분함량 14% 미만이 될 때 까지 30℃의 온도환경 내에서 건조를 진행하는 F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CHICKEN FEED USING ALLIUM TUBEROSUM AND NATURAL MATERIAL}
본 발명은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닭을 사육함에 있어 먹이로 이용되는 사료의 경우 다양한 성분들을 배합하여 닭의 성장 및 번식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들이 함유되도록 하며, 예를 들어 소맥 등의 곡류를 비롯해 식물 혹은 동물성 가공물, 지방, 광물질 등의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닭 사료는 단순히 닭의 성장 및 번식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닭의 산란, 자체 육질, 계란의 품질 그리고 더 나아가 닭이 사육되는 환경적 요인에까지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어떠한 성분들이 배합되고, 배합되는 각 성분의 함량이 어떤 수준을 갖추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닭 사료에 차별화된 식물 혹은 약재를 첨가하여 사료를 통한 특정 기능성을 부가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나의 예로 부추가 주요 성분으로 첨가된 닭 사료의 경우도 개발되고 있다.
닭 사료를 구성하는 하나의 주요 조성으로 부추가 첨가될 경우, 많은 조단백을 함유하고 있는 부추에 의해 닭이 사료를 더욱 잘 먹을 뿐 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우수하며, 다량의 비타민과 다종의 미량 원소를 함유할 뿐만 아니라 항생물질 또한 부추에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면역적으로도 더욱 개선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부추가 갖고 있는 우수한 영양성분과 오메가 3 지방산 등의 기능성 성분을 갖는 단미 원료를 이용하여 닭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신선도, 풍미, 난색, 난각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상품성이 뛰어난 계란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3987호의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종래의 부추가 첨가된 닭 사료들의 경우, 부추가 가진 따뜻한 성질의 강함이 다른 사료 내 성분들의 효능에 영향을 주어 영양학적이 균형을 무너뜨리기 쉽고, 이를 섭취한 닭의 위장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발생된 미미한 염증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부추가 주요 성분으로 다량 첨가된 닭 사료들을 닭에게 적용할 시 닭의 산란특성을 일부 저하시키는 현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축사 내 일부 닭의 배변문제로 인한 악취가 심해지고, 궁극적으로 계란의 영양 및 품질에도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부추를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는 닭 사료를 제조함에 있어 부추의 따뜻한 성질을 일부 완화시키고, 모든 성분 간의 균형적 효과 발현이 가능하도록 조화를 이룬 조성을 갖추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은, 세척한 부추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05 내지 0.06mm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춘 건조부추 분말을 마련하는 A단계; 껍질을 벗기고 내부에 씨를 제거한 오이 조각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5℃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1 내지 0.13mm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춘 건조오이 분말을 마련하는 B단계; 통밀로 만든 누룩 반죽을 발효 및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누룩을 마련하는 C단계; 세척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작두콩 조각들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220℃의 온도환경에서 60분 동안 덖음을 수행하여 덖은 작두콩 조각을 마련하는 D단계; 및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건조부추 분말 100g을 기준으로, 상기 B단계를 통해 마련된 건조오이 분말 55 내지 58g, 상기 C단계를 통해 마련된 누룩 38 내지 40g, 상기 D단계를 통해 마련된 덖은 작두콩 조각 15 내지 16g, 옥수수 가루 15g, 석회석 10g, 인산칼슘 17g, 구연산 1g, 미네랄 5g, 미강 42g, 톱밥, 당귀 0.4g, 감초 0.2g, 소엽 0.2g, 우엉 1.6g, 굴 껍질 1.5g, 지모 0.5g, 건조 맥주박 30 내지 35g을 배합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단계는, 내부공간에 상기 누룩 반죽을 놓기 위해 가로 10cm, 세로 10cm, 높이 3.5cm로 마련된 반죽 틀이 구비되고, 상기 반죽 틀에 놓인 누룩반죽의 품온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품온 센서가 일측에 설치된 발효 통의 상기 반죽 틀에 상기 누룩 반죽을 채워 넣는 C-1단계; 상기 C-1단계를 통해 상기 누룩 반죽이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 습도를 90 내지 92%의 수준으로 만든 상기 발효 통을 26 내지 28℃의 내부 온도 및 92 내지 95%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1발효실에 두어 누룩 반죽의 품온 온도가 증온되어 31 내지 33℃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1차 발효를 진행하는 C-2단계; 상기 C-2단계를 통해 1차 발효를 거친 상기 발효 통을 25 내지 26℃의 내부 온도 및 80 내지 85%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2발효실에 두어 누룩 반죽의 품온 온도가 감온되어 28 내지 29℃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2차 발효를 진행하는 C-3단계; 및 상기 C-3단계를 통해 2차 발효를 거친 상기 발효 통을 33 내지 35℃의 내부 온도 및 35 내지 36%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3발효실에 8일간 두어 3차 발효를 진행하는 C-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E단계를 통해 배합되는 건조 맥주박은 맥주박을 10g 기준 증류수 100mL에 90분간 침지시켜 발생되는 상층액을 제거한 뒤, 맥주박만을 여과하여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50℃의 온도환경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킨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은, 상기 E단계를 통해 배합된 닭 사료를 수분함량 14% 미만이 될 때 까지 30℃의 온도환경 내에서 건조를 진행하는 F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일례로써 본 발명은 앞 서 설명한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닭 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건조 부추 분말을 통해 조단백, 조지방, 철분, 칼슘, 비타민, 무기질, 항생물질 등이 다량으로 닭 사료에 함유되어, 이를 섭취하는 닭의 성장 및 번식의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자체 육질, 산란상태, 계란의 품질을 개선시키고, 바이러스 및 균에 대한 닭의 감염률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둘째, 건조 부추 분말이 가진 활성 물질의 제공을 통해 영양학적, 면연학적 효과를 제공함이, 부추의 따뜻한 성질이 건조 오이 분말을 통해 일정 수준 완화되어 누룩, 작두콩, 옥수수 가루, 석회석, 맥주박 등의 성분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각종 효과의 영향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셋째, 건조 부추 분말이 가진 활성 물질의 제공을 통해 영양학적, 면연학적 효과를 제공함이, 부추의 따뜻한 성질이 건조 오이 분말을 통해 일정 수준 완화되어 해당 사료를 섭취하는 닭의 위장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닭의 위장에 염증이 발생되거나 발생된 염증을 악화시키기 않도록 할 수 있고, 결국 축사의 위생 문제 또한 개선시킬 수 있다.
넷째, 작두콩을 건조 후 덖음을 거쳐 마련한 뒤, 사료에 배합함으로써 건조 부추 분말을 통해 닭이 가진 각종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는 부작용을 해소시키고, 더 나아가 닭의 면역력의 개선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일정 가공처리를 거친 누룩을 특정 조성의 조건으로 사료에 배합하여, 조단백 및 조섬유의 사료 내 함유량을 더욱 높이고 발효 산물을 통해 사료의 소화를 더욱 적극적으로 도와 닭의 성장, 산란 및 번식의 정도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여섯째, 일정 가공처리를 거친 맥주박을 특정 조성의 조건으로 사료에 배합하여, 다량의 가용무질소물, 가소화 영양소, 비타민 및 아미노산의 사료 내 함유량을 더욱 높여 해당 사료의 섭취를 통한 산란율, 사료효율 및 증체량의 특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추 분말 제조단계(S100), 건조오이 분말 제조단계(S200), 누룩 제조단계(S300), 작두콩 조각 제조단계(S400), 배합 단계(S500) 및 건조 단계(S600)의 6개 과정으로 구분되며, 이 중 건조부추 분말 제조단계(S100), 건조오이 분말 제조단계(S200), 누룩 제조단계(S300) 및 작두콩 조각 제조단계(S400)는 진행 순서상 선후가 바뀔 수 있으며 실시에 따라 동시 진행될 수도 있다.
(1) 건조부추 분말 제조단계<S100, A단계>
본 단계(S100)는 세척한 부추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05 내지 0.06mm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춘 건조부추 분말을 마련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부추는 경남 김해에서 6월에 수확된 5벌 부추를 이용하였으며, 이와 같이 수확된 부추를 세척하여 기본적인 표면상의 이물질 제거를 거친 뒤 열풍건조기(LD918BH, Lequip)를 통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우선적으로 부추 내 포함된 수분함량의 수준을 일정 수준 낮추게 된다.
더욱이, 앞 서 설명한 건조 조건하에서 부추의 건조를 진행하게 되면, 부추의 향이 더욱 풍부해져 사료에 배합 시 이를 섭취하는 닭의 입맛을 높여 더욱 잘 섭취할 수 있도록 하게 되고, 부추에 함유된 조단백, 조지방, 철분, 칼슘, 비타민, 무기질, 항생물질 등의 영양물질의 함량을 높이게 되며, 궁극적으로 최종 배합되는 닭 사료의 수분함량의 수준을 나머지 배합 재료들의 수분함량을 고려하여 12% 초과 및 14% 미만의 수준으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닭 사료의 배합 재료 중 주제에 해당하는 건조부추는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 진행함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건조 온도 조건이 60℃를 초과하거나 건조 시간 조건이 10시간을 초과할 경우 부추의 클로로필 파괴가 많이 발생하며 엽록소 함량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건조 온도 조건이 60℃ 미만이거나 건조 시간 조건이 10시간 미만일 경우 충분한 건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요구되는 수준의 수분함량만큼 낮춰지지 못해 추후 닭 사료 배합 시 전체 수분 함량이 14%를 초과하거나 해당 수분 함량 수준을 맞추기 위해 배합된 닭 사료의 추가적인 건조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장시간 진행되어 영양물질의 균형을 무너뜨리거나 닭의 기호성을 낮추는 특유의 부정적 향미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2) 건조오이 분말 제조단계<S200, B단계>
본 단계(S200)는 껍질을 벗기고 내부에 씨를 제거한 오이 조각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5℃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1 내지 0.13mm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춘 건조오이 분말을 마련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준비된 오이는 건조 과정을 거치기 전에 우선적으로 껍질을 벗기고 조각내어 내부에 위치한 씨를 제거하는 것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오이의 껍질과 씨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추후 닭 사료로 배합될 시 닭의 기호성을 낮추는 특유의 부정적 향미가 발생하는 문제와 함께 해당 부분에 다량 함유된 아스코르비나아제가 닭 사료의 나머지 배합 재료가 제공하고자 하는 비타민C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껍질과 씨가 완전히 제거되어 조각난 오이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5℃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거친 뒤, 0.1 내지 0.13mm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춘 건조오이 분말로 분쇄된다.
여기서, 오이의 건조 과정은 오이의 수분함량 수준을 일정하게 낮춰 최종 배합되는 닭 사료의 수분함량의 수준을 나머지 배합 재료들의 수분함량을 고려하여 12% 초과 및 14% 미만의 수준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열풍건조기를 이용한 오이의 65℃의 온도환경 내 7시간동안의 건조 과정은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높이고 혈전용해능을 높여 이를 섭취하는 닭의 건강적이 측면에서의 효능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건조오이 분말은 앞 서 설명한 건조부추 분말에 상호작용을 통해 사료의 성질이 과도하게 따듯한 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재료로서, 따듯한 성질을 가진 부추가 자칫 닭의 간 기능에 부담을 가하거나 위장 장애를 일으켜 설사를 유발함으로써 축사 환경의 위생 문제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건조부추 분말의 배합 중량의 수준을 100g으로 기준하였을 때, 건조오이 분말을 56g의 수준으로 배합하여 가장 적당한 수준으로 부추의 따듯한 성질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3) 누룩 제조단계<S300, C단계>
본 단계(S300)에서는 통밀로 만든 누룩 반죽을 발효 및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누룩을 마련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S300)는 누룩 반죽을 배치하는 C-1단계, 제1발효실에서 1차 발효를 진행하는 C-2 단계, 제2발효실에서 2차 발효를 진행하는 C-3단계, 제3발효실에서 3차 발효를 진행하는 C-4단계로 세분화되어 진행되며,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누룩이 완성된다.
우선, 누룩 반준 배치 단계(C-1단계)는 내부공간에 누룩 반죽을 놓기 위해 가로 10cm, 세로 10cm, 높이 3.5cm로 마련된 반죽 틀이 구비되고, 이와 같은 반죽 틀에 놓인 누룩반죽의 품온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품온 센서가 일측에 설치된 발효 통의 반죽 틀에 누룩 반죽을 채워 넣는 과정이다.
여기서, 누룩 반죽은 우리밀 500g을 이용해 만들어진 시판 반죽을 통해 본 단계(S300)의 누룩 제조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1차 발효 단계(C-2단계)는 앞 서 진행된 C-1단계를 통해 누룩 반죽이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 습도를 90 내지 92%의 수준으로 만든 발효 통을 26 내지 28℃의 내부 온도 및 92 내지 95%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1발효실에 두어 누룩 반죽의 품온 온도가 증온되어 31 내지 33℃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1차 발효를 진행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1발효실의 온도 및 습도는 앞 서 설명한 적정 조건 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지속 유지시킴이 바람직하고, 반죽틀 내의 누룩 반죽에 대한 품온 온도는 반죽틀에 설치된 품온센서를 이용해 모니터링하여 31 내지 33℃에 도달하는 시점에 발효를 종료하여 전발효가 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한다.
다음으로, 2차 발효 단계(C-3단계)는 앞 서 진행된 C-2단계를 통해 1차 발효를 거친 발효 통은 꺼내져 25 내지 26℃의 내부 온도 및 80 내지 85%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2발효실로 이동하게 되어 주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온도 및 습도 조건이 갖춰진 제2발효실 내에 안착된 발효 통은 누룩 반죽의 품온 온도가 감온되어 28 내지 29℃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2차 발효를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3차 발효 단계(C-4단계)는 앞 서 진행된 C-3단계를 통해 2차 발효를 거친 발효 통을 제2발효실에서 꺼내 33 내지 35℃의 내부 온도 및 35 내지 36%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3발효실로 옮긴 뒤 8일간 두어 3차 발효를 진행하여 후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1차 발효에서부터 3차 발효에 이르기까지 제1발효실 내지 제3발효실의 온도 또는 습도의 적정 조건이 더욱 낮은 수준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거나, 발효가 진행되는 품온온도 기반의 적정 기간 및 적정 후발효 기간의 수준이 더욱 낮은 수준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경우 발효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사료에 배합시 산미의 정도가 과도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1차 발효에서부터 3차 발효에 이르기까지 제1발효실 내지 제3발효실의 온도 또는 습도의 적정 조건이 더욱 높은 수준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거나, 발효가 진행되는 품온온도 기반의 적정 기간 및 적정 후발효 기간의 수준이 더욱 높은 수준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경우 고초균과 같이 사료의 배합재료로서는 부적합한 세균이 증식되고 특유의 곰팡내가 심해져 사료로 배합 시 닭의 기호성을 낮추는 특유의 부정적 향미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4) 작두콩 조각 제조단계<S400, D단계>
본 단계(S400)에서는 세척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작두콩 조각들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220℃의 온도환경에서 60분 동안 덖음을 수행하여 덖은 작두콩 조각을 마련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1차적으로 작두콩 조작을 열풍 건조를 통해 작두콩 조각 내 수분함량의 수준을 일정 수준 낮추고, 이에 이어 덖음을 통해 추가적으로 수분함량을 더욱 낮게 조정하여 추후 닭 사료 배합 시 전체 수분 함량이 14%를 초과하거나 해당 수분 함량 수준을 맞출 수 있도록한다.
또한, 작두콩 조각의 건조 과정은 수분함량 수준의 조정을 위한 목적이 주요하나, 추후 진행되는 덖음은 부가적인 수분함량 수준의 조정과 더불어 이소플라본, 무기질,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의 함량과 함께 활성 수준을 높이기 위함이 더욱 주요하다.
이를 위해, 작두콩 조각을 우선적으로 건조한 후, 220℃의 온도환경에서 60분 동안 덖음을 수행하는 온도 및 시간의 조건을 해당 적정값을 벗어나지 않음이 바람직히다.
(5) 배합 단계<S500, E단계>
본 단계(S500)에서는 A단계(S100)를 통해 마련된 건조부추 분말 100g을 기준으로, B단계(S200)를 통해 마련된 건조오이 분말 55 내지 58g, C단계(S300)를 통해 마련된 누룩 38 내지 40g, D단계(S400)를 통해 마련된 덖은 작두콩 조각 15 내지 16g, 옥수수 가루 15g, 석회석 10g, 인산칼슘 17g, 구연산 1g, 미네랄 5g, 미강 42g, 톱밥, 당귀 0.4g, 감초 0.2g, 소엽 0.2g, 우엉 1.6g, 굴 껍질 1.5g, 지모 0.5g, 건조 맥주박 30 내지 35g을 배합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E단계를 통해 배합되는 건조 맥주박은 맥주박을 10g 기준 증류수 100 mL에 90분간 침지시켜 발생되는 상층액을 제거한 뒤, 맥주박만을 여과하여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50℃의 온도환경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킨 상태로 마련된다.
맥주박은 이를 섭취하는 닭의 육질을 연하게 하고 성장 및 산란 효율을 높이며, 풍부한 섬유질과 단백질을 제공하기 위한 재료로, 이러한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무엇보다 건조 작업을 위한 온도 및 시간의 조건을 벗어나지 않음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합 비율에 관해, 건조부추 분말 100g을 기준으로, 건조오이 분말 56g, 누룩 38g, 덖은 작두콩 조각 16g, 옥수수 가루 15g, 석회석 10g, 인산칼슘 17g, 구연산 1g, 미네랄 5g, 미강 42g, 톱밥, 당귀 0.4g, 감초 0.2g, 소엽 0.2g, 우엉 1.6g, 굴 껍질 1.5g, 지모 0.5g, 건조 맥주박 32g을 배합하여 닭 사료를 완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와 같은 배합비율을 통해 최종 닭 사료의 전체 수분함량이 12% 이상에서 14% 미만을 갖추게 되고, 무엇보다 각각의 재료가 가진 생리 활성적 성질이 상호 가장 조화로운 균형을 갖추어 닭의 성장 및 산란, 계란의 영양상태 그리고 축사 사육 환경 등을 우수하게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6) 건조 단계<S600, F단계>
본 단계(S600)에서는 상기 E단계를 통해 배합된 닭 사료를 수분함량 14% 미만이 될 때 까지 30℃의 온도환경 내에서 건조를 진행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해당 과정은 추가적으로 실시 가능한 단계로서, 앞 서 설명한 적정 비율 내에서 각 재료들을 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닭 사료를 제조했음에도 전체 수분함량의 수준이 14% 미만으로 갖춰지지 않았을 경우 수행되는 과정이다.
여기서, 건조를 수행하는 온도 조건은 30℃를 초과하지 않음이 바람직한데, 이는 자칫 옥수수 가루, 인산칼슘, 미네랄, 지모 등의 재료 자체가 제공하려하는 생리 활성적 효과의 저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2.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닭 사료의 특성 분석
앞 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닭 사료에 대해 다양한 실시 형태로 계란의 특성, 영양 및 품질 검사, 닭의 산란율 검사, 점박이 발생 검사, 닭 육질 평가, 축사 악취 억제효과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수준의 카페인 성분 제거의 정도를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검증 방법을 이용하였다.
(1) 실시예의 제조
- 실시예1
실시예1은 건조부추 분말 100g을 기준으로, 건조오이 분말 56g, 누룩 38g, 덖은 작두콩 조각 16g, 옥수수 가루 15g, 석회석 10g, 인산칼슘 17g, 구연산 1g, 미네랄 5g, 미강 42g, 톱밥, 당귀 0.4g, 감초 0.2g, 소엽 0.2g, 우엉 1.6g, 굴 껍질 1.5g, 지모 0.5g, 건조 맥주박 32g을 배합하여 제조된 닭 사료이다.
여기서, 건조부추 분말은 세척한 부추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05 내지 0.06mm의 평균입자 크기로 만들어 사용했다.
또한, 건조오이 분말은 껍질을 벗기고 내부에 씨를 제거한 오이 조각을 65℃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1 내지 0.13mm의 평균입자 크기로 만들어 사용했다.
또한, 누룩은 가로 10cm, 세로 10cm, 높이 3.5cm로 마련된 반죽 틀이 구비되고, 반죽 틀에 놓인 누룩반죽의 품온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품온 센서가 일측에 설치된 발효 통의 반죽 틀에 시판되는 누룩 반죽을 채워 내부 습도를 90%의 수준으로 만든 발효 통을 28℃의 내부 온도 및 94%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1발효실에 두어 누룩 반죽의 품온 온도가 증온되어 32℃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1차 발효를 진행한 뒤, 1차 발효를 거친 발효 통을 26℃의 내부 온도 및 82%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2발효실에 두어 누룩 반죽의 품온 온도가 감온되어 28℃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2차 발효를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2차 발효를 거친 발효 통을 34℃의 내부 온도 및 35%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3발효실에 8일간 두어 3차 발효하여 마련하였다.
아울러, 덖은 작두콩 조각은 절단한 작두콩 조각들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220℃의 온도환경에서 60분 동안 덖음을 수행하여 마련했다.
마지막으로, 건조 맥주박은 맥주박을 10g 기준 증류수 100 mL에 90분간 침지시켜 발생되는 상층액을 제거한 뒤, 맥주박만을 여과하여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50℃의 온도환경에서 16시간 동안 건조하여 사용했다.
-실시예2
실시예1과 건조오이 분말의 배합 중량을 60g으로 차이를 두되, 나머지 배합 및 각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3
실시예1과 건조오이 분말의 배합 중량을 52g으로 차이를 두되, 나머지 배합 및 각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4
실시예1과 누룩의 배합 중량을 40g으로 차이를 두되, 나머지 배합 및 각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5
실시예1과 누룩의 배합 중량을 36g으로 차이를 두되, 나머지 배합 및 각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6
실시예1과 건조 맥주박의 배합 중량을 40g으로 차이를 두되, 나머지 배합 및 각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7
실시예1과 건조 맥주박의 배합 중량을 24g으로 차이를 두되, 나머지 배합 및 각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8
실시예1과 건조 부추의 제조에 있어 세척한 부추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5℃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를 진행하도록 온도 조건의 차이를 두되, 전체 배합 비율 및 나머지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9
실시예1과 건조 부추의 제조에 있어 세척한 부추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55℃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를 진행하도록 온도 조건의 차이를 두되, 전체 배합 비율 및 나머지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10
실시예1과 건조 부추의 제조에 있어 껍질을 벗기고 내부에 씨를 제거한 오이 조각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70℃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동안 건조를 진행하도록 온도 조건의 차이를 두되, 전체 배합 비율 및 나머지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11
실시예1과 건조 부추의 제조에 있어 껍질을 벗기고 내부에 씨를 제거한 오이 조각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동안 건조를 진행하도록 온도 조건의 차이를 두되, 전체 배합 비율 및 나머지 재료별 제조 방법 및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11에 따라 제조된 닭사료와 함께 시판되는 A사의 닭 사료도 같이 48 주령 산란계(Hy-Line Brown종)를 10마리씩 나누어 12주간 급여하여 아래 각종 평가를 실시예별로 진행하였다.
(2) 산란율 및 점박이 발생율 검사
우선,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실시예 8 내지 실시예11의 닭 사료와 시판 닭 사료(비교예)를 공급하여 사육된 산란계의 군별 평균 산란율(%)과 난각 상의 점박이 발생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비교예
산란율 64.0 61.4 62.7 58.6 59.1 58.6 57.7 52.3
점박이
발생율
2.1 3.6 4.2 4.7 3.9 4.6 4.7 9.6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건조 오이분말의 배합 비율 변화는 산란율을 낮추고 점박이 발생율을 높이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은 건조 부추 및 건조 오이의 제조 공정상의 조건값의 변화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무엇보다도, 실시예1의 닭 사료를 통해 길러진 산란계는 비교예에 따른 시판 닭 사료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매우 우수한 산란율과 매우 낮은 점박이 발생율의 수준을 대비하여 보임을 알 수 있다.
(3) 계란 특성 검사
실시예1 내지 실시예7의 닭 사료와 시판 닭 사료(비교예)를 공급하여 사육된 산란계가 산란한 계란을 각 실시예 군별로 무게, 난각 두께, 신선도를 측정하여 평균을 내어 아래 표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무게(g) 난각두께(mm) 신선도(HU)
실시예1 60.12 0.34 83.71
실시예2 57.11 0.31 81.45
실시예3 57.86 0.32 81.33
실시예4 58.90 0.33 82.14
실시예5 59.41 0.33 80.15
실시예6 56.94 0.31 80.59
실시예7 57.38 0.33 81.73
비교예 59.84 0.29 77.14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닭 사료의 재료별 전체 배합 비율이 건조부추 분말 100g을 기준으로, 건조오이 분말 56g, 누룩 38g, 덖은 작두콩 조각 16g, 옥수수 가루 15g, 석회석 10g, 인산칼슘 17g, 구연산 1g, 미네랄 5g, 미강 42g, 톱밥, 당귀 0.4g, 감초 0.2g, 소엽 0.2g, 우엉 1.6g, 굴 껍질 1.5g, 지모 0.5g, 건조 맥주박 32g을 갖출 경우 가장 계란의 두께가 두껍고 무게가 무거 우며, 가장 신선한 것으로 나타났고, 무엇보다 비교예에 따른 시판 닭 사료를 사용한 경우와 산란된 계란의 무게, 난각두께, 신선도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4) 계란 영양 검사
실시예1 내지 실시예7의 닭 사료와 시판 닭 사료(비교예)를 공급하여 사육된 산란계가 산란한 계란을 각 실시예 군별로 국제화학분석방법규격(AOAC) Officaial Method 994.10에 따라 인지질,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3과 같다.
인지질 함량 중성지질 함량 콜레스테롤 함량
실시예1 18.94 5.42 15.98
실시예2 17.21 7.45 18.45
실시예3 17.33 7.58 19.77
실시예4 16.81 7.51 19.17
실시예5 17.13 7.24 19.43
실시예6 16.66 8.02 18.60
실시예7 16.79 7.96 18.96
비교예 16.88 9.21 24.17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닭 사료의 재료별 전체 배합 비율이 건조부추 분말 100g을 기준으로, 건조오이 분말 56g, 누룩 38g, 덖은 작두콩 조각 16g, 옥수수 가루 15g, 석회석 10g, 인산칼슘 17g, 구연산 1g, 미네랄 5g, 미강 42g, 톱밥, 당귀 0.4g, 감초 0.2g, 소엽 0.2g, 우엉 1.6g, 굴 껍질 1.5g, 지모 0.5g, 건조 맥주박 32g을 갖춘 닭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한 닭이 산란한 계란의 경우가 가장 인지질 함량을 높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의 함량의 수준이 낮았으며, 비교예에 따른 시판 닭 사료를 사용한 경우와도 영양적으로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5) 축사 악취 발생정도 검사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실시예 8 내지 실시예11의 닭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되는 산란계의 각 군별 축사를 분리하여 축사 환경을 독립시키고, 축사 내 산란계의 대변을 채취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의 수준을 측정하여 악취 수준을 비교 검증하였다.
여기서, 시간 경과의 기준은 채취 직후, 채취 후 2일차, 채취 후 5일 차, 채취 후 7일 차를 기준으로 암모니아 농도(ppm)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도4와 같다.
채취 직후 2일차 5일차 7일차
실시예1 17.0 20.1 42.7 68.5
실시예2 25.4 35.3 58.9 84.6
실시예3 26.8 58.4 60.7 88.1
실시예8 20.5 25.8 45.9 71.1
실시예9 20.4 27.1 48.0 73.0
실시예10 22.8 29.6 46.6 70.9
실시예11 23.2 30.1 49.3 72.2
표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닭 사료의 재료별 전체 배합 비율 내에 건조부추 분말의 배합 중량 대비 건조오이 분말의 배합 중량의 수준의 변화는 부추가 가진 따뜻한 성질의 적절한 보완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여 산란계의 위장에 영향을 주고, 이는 실시예2 및 실시예3과 같이 축사 환경의 악취 및 오염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1과 같이 건조부추 분말의 배합 중량과 건조오이 분말의 배합 중량 비율을 건조부추 분말 100g 대비 건조오이 분말 56g을 갖추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세척한 부추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05 내지 0.06mm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춘 건조부추 분말을 마련하는 A단계;
    껍질을 벗기고 내부에 씨를 제거한 오이 조각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5℃의 온도환경에서 7시간 동안 건조한 뒤, 분쇄하여 0.1 내지 0.13mm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춘 건조오이 분말을 마련하는 B단계;
    통밀로 만든 누룩 반죽을 발효 및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누룩을 마련하는 C단계;
    세척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작두콩 조각들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60℃의 온도환경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한 뒤, 220℃의 온도환경에서 60분 동안 덖음을 수행하여 덖은 작두콩 조각을 마련하는 D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건조부추 분말 100g을 기준으로, 상기 B단계를 통해 마련된 건조오이 분말 55 내지 58g, 상기 C단계를 통해 마련된 누룩 38 내지 40g, 상기 D단계를 통해 마련된 덖은 작두콩 조각 15 내지 16g, 옥수수 가루 15g, 석회석 10g, 인산칼슘 17g, 구연산 1g, 미네랄 5g, 미강 42g, 톱밥, 당귀 0.4g, 감초 0.2g, 소엽 0.2g, 우엉 1.6g, 굴 껍질 1.5g, 지모 0.5g, 건조 맥주박 30 내지 35g을 배합하는 E단계; 및
    상기 E단계를 통해 배합된 닭 사료를 수분함량 14% 미만이 될 때 까지 30℃의 온도환경 내에서 건조를 진행하는 F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내부공간에 상기 누룩 반죽을 놓기 위해 가로 10cm, 세로 10cm, 높이 3.5cm로 마련된 반죽 틀이 구비되고, 상기 반죽 틀에 놓인 누룩반죽의 품온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품온 센서가 일측에 설치된 발효 통의 상기 반죽 틀에 상기 누룩 반죽을 채워 넣는 C-1단계;
    상기 C-1단계를 통해 상기 누룩 반죽이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 습도를 90 내지 92%의 수준으로 만든 상기 발효 통을 26 내지 28℃의 내부 온도 및 92 내지 95%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1발효실에 두어 누룩 반죽의 품온 온도가 증온되어 31 내지 33℃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1차 발효를 진행하는 C-2단계;
    상기 C-2단계를 통해 1차 발효를 거친 상기 발효 통을 25 내지 26℃의 내부 온도 및 80 내지 85%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2발효실에 두어 누룩 반죽의 품온 온도가 감온되어 28 내지 29℃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2차 발효를 진행하는 C-3단계; 및
    상기 C-3단계를 통해 2차 발효를 거친 상기 발효 통을 33 내지 35℃의 내부 온도 및 35 내지 36%의 내부 습도를 갖춘 제3발효실에 8일간 두어 3차 발효를 진행하는 C-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단계를 통해 배합되는 건조 맥주박은 맥주박을 10g 기준 증류수 100 mL에 90분간 침지시켜 발생되는 상층액을 제거한 뒤, 맥주박만을 여과하여 열풍건조기를 이용해 50℃의 온도환경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킨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2. 삭제
KR1020220046732A 2020-04-28 2022-04-15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10250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732A KR102507296B1 (ko) 2020-04-28 2022-04-15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37A KR102388613B1 (ko) 2020-04-28 2020-04-28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1020220046732A KR102507296B1 (ko) 2020-04-28 2022-04-15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337A Division KR102388613B1 (ko) 2020-04-28 2020-04-28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533A KR20220053533A (ko) 2022-04-29
KR102507296B1 true KR102507296B1 (ko) 2023-03-06

Family

ID=7850785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337A KR102388613B1 (ko) 2020-04-28 2020-04-28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1020220046730A KR102507295B1 (ko) 2020-04-28 2022-04-15 건조부추 분말을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1020220046732A KR102507296B1 (ko) 2020-04-28 2022-04-15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1020220046731A KR102507294B1 (ko) 2020-04-28 2022-04-15 부추 및 누룩을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337A KR102388613B1 (ko) 2020-04-28 2020-04-28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1020220046730A KR102507295B1 (ko) 2020-04-28 2022-04-15 건조부추 분말을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731A KR102507294B1 (ko) 2020-04-28 2022-04-15 부추 및 누룩을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88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613B1 (ko) * 2020-04-28 2022-04-20 김창섭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6969B2 (ja) 2007-10-12 2010-05-26 株式会社クラフト 鶏用飼料添加増重剤と鶏用増重飼料
US20140273048A1 (en) 2013-03-15 2014-09-18 Allte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imal feed
KR101813270B1 (ko) 2017-04-03 2018-01-30 (주)라파프로폴리스 산란계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산란계 사육방법
KR101956516B1 (ko) 2018-10-11 2019-03-08 고원국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8361A (ja) * 1986-10-16 1988-04-28 Kazuo Yanai 鶏用飼料
JP3692158B2 (ja) * 1994-12-06 2005-09-07 塩野香料株式会社 野菜類による水産動物の攝餌・誘引活性物質
KR100586813B1 (ko) * 2001-10-10 2006-06-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식품
KR100472224B1 (ko) * 2003-01-24 2005-03-10 정일철 오이주의 제조방법
US20070110880A1 (en) 2005-11-01 2007-05-17 Serenegy, Llc Hypoallergenic animal food
JP2008220197A (ja) 2007-03-08 2008-09-25 Saga Prefecture 鶏用飼料、機能性鶏卵及び強健鶏
KR100893155B1 (ko) * 2007-05-29 2009-04-16 파주연천축산업협동조합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
KR100888492B1 (ko) 2008-07-31 2009-03-12 한국식품연구원 맥주박을 원료로 한 식이섬유의 제조방법
KR101018270B1 (ko) * 2008-09-02 2011-03-04 박병길 식품폐기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발효사료
KR101061260B1 (ko) * 2010-01-12 2011-08-31 한국인칼균연구소(주) 인산 및 칼슘을 함유한 발효사료 제조방법
JP5964824B2 (ja) 2010-06-28 2016-08-03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経管栄養製剤を投与する方法
KR101109415B1 (ko) 2011-04-20 2012-01-31 농업회사 법인 주식회사 반석엘티씨 가금류의 뉴캐슬병 바이러스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능이 있는 가금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함유한 사료조성물
KR101288392B1 (ko) * 2011-06-01 2013-07-23 대한민국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의 육질개선 방법
JP6111416B2 (ja) 2012-07-18 2017-04-12 霧島高原ビール株式会社 飼料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4068646A (ja) 2012-09-28 2014-04-21 Buhei Kono 鶏に配合飼料と海草を混合し焼酎粕によって発酵後、摂取させ、海草に含まれるフコキサンチンを肝臓機能においてフコキサンチノールの構造に蓄積させ、フコキサンチノールを鶏の肝臓並びに卵から回収する方法。
KR101407409B1 (ko) 2014-01-08 2014-06-13 양명옥 작두콩차의 제조방법
KR102038476B1 (ko) * 2015-11-03 2019-10-30 고상길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가축 사료첨가제 분말의 제조방법
KR101827378B1 (ko) * 2016-06-29 2018-02-09 송충성 전통 누룩 제조 장치
KR20190033987A (ko) * 2017-09-22 2019-04-01 김창섭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KR102388613B1 (ko) * 2020-04-28 2022-04-20 김창섭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EP3995002B1 (en) * 2020-11-04 2023-08-30 Samda Co., Ltd. Feed composition for farmed fish using fermented porcine blo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6969B2 (ja) 2007-10-12 2010-05-26 株式会社クラフト 鶏用飼料添加増重剤と鶏用増重飼料
US20140273048A1 (en) 2013-03-15 2014-09-18 Allte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imal feed
KR101813270B1 (ko) 2017-04-03 2018-01-30 (주)라파프로폴리스 산란계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산란계 사육방법
KR101956516B1 (ko) 2018-10-11 2019-03-08 고원국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613B1 (ko) 2022-04-20
KR102507294B1 (ko) 2023-03-06
KR20220052889A (ko) 2022-04-28
KR20220053532A (ko) 2022-04-29
KR20220053533A (ko) 2022-04-29
KR102507295B1 (ko) 2023-03-06
KR20210132882A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247B1 (ko)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
Haustetn et al. Duckweed, a useful strategy for feeding chickens: performance of layers fed with sewage-grown Lemnacea species
EP2457450A1 (en) Edible composition with stevia rebaudiana
Simol et al. Performance of chicken broilers fed with diets substituted with mulberry leaf powder
Ojediran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of processed Jatropha curcas kernel meals: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CN104286593A (zh) 一种鲢鱼养殖专用饲料添加剂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7296B1 (ko) 부추 및 천연재료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101813270B1 (ko) 산란계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산란계 사육방법
CN102669212A (zh) 蒿子面粉
CN101904459A (zh) 一种用大米草制备的肉兔复合颗粒饲料
KR101966931B1 (ko) 곤충분말을 포함하는 기능성 떡의 제조방법
CN109170328A (zh) 一种笼养蛋鸭配合饲料及其制作方法
KR20220068483A (ko) 식용꽃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건강간식 및 제조방법
KR20170102212A (ko) 젖소의 우유 생산 효율의 향상
KR101484274B1 (ko) 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14420A (ko) 흑마늘 박 및 흑마늘 엑기스를 포함하는 어류 또는 가축용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065175A (ja) 動物飼料
EP0768040A1 (en) Preserved feeding/food stuff, a method of preparing it and the use thereof
CN110338295A (zh) 低温烘培肉食全价去便臭主粮及制备方法
KR20200071611A (ko)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및 이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
Alencar et al. Performance of brown-egg laying pullets fed diets with sunflower meal and enzyme complexes
Oladele et al. Evaluation of Tigernut (Cyperus esculentus) meal as a replacement for maize meal in the diet of catfish (Clarias gariepinus) fingerlings
JP6799552B2 (ja) 家禽用飼料及びそれを用いた家禽の飼育方法
KR102306391B1 (ko) 잣부산물 이용한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