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611A -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및 이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및 이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611A
KR20200071611A KR1020180159513A KR20180159513A KR20200071611A KR 20200071611 A KR20200071611 A KR 20200071611A KR 1020180159513 A KR1020180159513 A KR 1020180159513A KR 20180159513 A KR20180159513 A KR 20180159513A KR 20200071611 A KR20200071611 A KR 20200071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cket
crickets
breeding
fed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린
정기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포대 허브관광농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포대 허브관광농원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경포대 허브관광농원
Priority to KR102018015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1611A/ko
Publication of KR2020007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뚜라미 약충에 콩비지와 허브를 급여하여 간편하게 귀뚜라미를 사육할 수 있는 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 성충은 이취가 적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식품으로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귀뚜라미의 사육방법은 수분이 함유된 콩비지를 먹기로 사용하여 귀뚜라미 사육시 수분을 별도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소모가 적고 귀뚜라미가 습한 대기환경에 노출되지 않아도 되므로 생존율이 높으며 먹이에 추가되는 허브가 곤충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고 식감을 부드럽게 하여 섭취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귀뚜라미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함에 따라 귀뚜라미가 좀 더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고 단백질 및 무기질의 귀뚜라미 체내흡수를 저해하는 콩비지의 피트산을 분해 및 제거하여 귀뚜라미가 콩비지의 단백질과 무기질을 좀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으므로 건강한 귀뚜라미를 수확할 수 있다.

Description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및 이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Breeding Method for Cricket, and Food Containing the Cricket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귀뚜라미 약충에 콩비지와 허브를 급여하여 간편하게 귀뚜라미를 사육할 수 있는 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 성충은 이취가 적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식품으로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곤충은 대부분 해충으로 인식되어 이들을 방제하는데 주력하였을 뿐 곤충을 이용하는 사례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나, 최근 들어 곤충의 다양성과 특성을 새롭게 인식하면서 곤충의 생리활성물질을 산업적으로 이용하는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
유용 곤충 중에서 귀뚜라미는 매우 유효한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을 포함한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무기질, 비타민, 단백질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키틴, 키토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여 이러한 귀뚜라미를 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귀뚜라미는 먹이용 곤충으로 사육될 수 있는 유일한 품종으로 알려져 있어서 귀뚜라미를 축산물 사료에 첨가하여 축육의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증가시키고 육질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귀뚜라미의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은 특히 DH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급성 및 유전독성 시험에서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간 보호, 항피로, 소염효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어 식품으로의 활용가치가 높으나, 주로 가축 사료로 이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을 뿐 이를 식품으로 개발하는 시도는 아직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더불어, 곤충 원료식품에 대한 거부감 및 위생문제와 함께 귀뚜라미에는 이취가 있어서 이를 식용으로 섭취하기에 거부감이 있고 이취를 제거하면서 귀뚜라미를 대량 사육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된 바 없어서 귀뚜라미를 원료로 하는 식품의 출시가 미진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01648호에는 귀뚜라미를 대량 사육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귀뚜라미 암컷과 수컷의 교미 후 특정장소에 알을 집중적으로 산란할 수 있도록 고운 흙과 톱밥을 3:2의 비율로 섞어 만들어진 알받이를 사육통에 넣어 산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완전하게 살균 처리되지 않은 재료를 사용하거나 장기간 사용시 흙에 응애 및 각종 미생물들이 발생하여 귀뚜라미의 폐사가 많고 흙의 일정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화 후 사육통 내에 종이로 만든 계란판과 신문지를 넣고 먹이와 물을 공급하면서 유충을 사육하는데, 습도를 60%로 조정하기 위하여 수시로 물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인력소모가 크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화 시스템을 갖출 경우 시설설치 비용이 증가하며, 종이가 부패하기 쉬워서 사육환경이 비위생적이고 폐기물(부패한 계란판과 종이) 처리에 비용과 인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22403호에는 활엽수 인조잎, 침엽수 인조잎, 계란판, 나무, 철재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구획형성용 인공구조물; 산란상; 원예용 오아시스, 탈지면, 인조솜 및 수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수분유지용 인공소재; 및 부패방지용 방부제;를 포함하는 귀뚜라미 사육시설과 상기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귀뚜라미를 대량 사육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발명은 사육시설 내부를 입체적으로 구성하여 귀뚜라미의 생존율을 높이고 충체의 냄새 및 쓰레기 처리에 대한 부담이 없으며, 수분유지용 인공소재는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면서 가볍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귀뚜라미의 산란과 부화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방부제를 사용할 경우 습한 환경이 지속됨에 따라 수반되는 부패 및 귀뚜라미 사멸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 또한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분유지용 인공소재에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야 하고 방부제를 사용하므로 귀뚜라미의 생체에 악영향을 미치며, 방부제와 귀뚜라미의 이취로 인하여 식품으로 이용하기에 부적합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용과 인력소모가 적게 들면서 귀뚜라미를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고, 사육된 귀뚜라미 성체의 이취를 줄여서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귀뚜라미의 성충 암놈과 수놈을 교배하여 알을 산란시킨 후 부화시키는 단계; 차단벽이 사방으로 둘러싸이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환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차단벽 내부에는 종이 재질의 달걀판을 볼록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상하 적층한 구조물이 배치되는 사육시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화된 귀뚜라미 약충을 상기 사육시설에 옮기는 단계; 상기 사육시설의 달걀판 상부에 콩비지를 급여하는 단계; 및 상기 콩비지 급여 후 8~12일부터 콩비지와 함께 허브를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콩비지의 급여는 1일 2~3회 급여하고, 콩비지 최초 급여 후 8~12일까지 회당 10~15g/100마리 급여하며, 이후 25~35일까지 회당 30~35g/100마리 급여하고, 이후 성충이 될 때까지 회당 40~50g/100마리 급여하며, 상기 허브의 급여는 2~3일에 1회 급여하고, 콩비지 최초 급여 후 8~12일부터 25~35일까지 회당 10~15g/100마리 급여하며, 이후 성충이 될 때까지 회당 15~25g/100마리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허브의 급여는 레몬밤, 페퍼민트, 오레가노, 꾸지뽕잎, 솔잎 및 바나나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급여하고, 이후 허브 종류를 바꾸어가면서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콩비지는 콩비지 100중량부 기준 무의 뿌리 마쇄물 5~15중량부가 첨가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콩비지를 급여하는 동안 최상층 달걀판에 구멍이 생성되면 최상층 달걀판의 하부에서 구멍이 생성되지 않은 달걀판을 최상층 달걀판의 상부로 올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 성체를 건조하고 분쇄한 귀뚜라미 분말 식품과, 상기 귀뚜라미 분말 40~50중량%, 밀크시슬 분말 40~50중량%, 스테비아 분말 5~10중량% 및 유산균 3~7중량%를 혼합하여 제환한 귀뚜라미 환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귀뚜라미의 사육방법은 수분이 함유된 콩비지를 먹기로 사용하여 귀뚜라미 사육시 수분을 별도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소모가 적고 귀뚜라미가 습한 대기환경에 노출되지 않아도 되므로 생존율이 높으며, 먹이에 추가되는 허브가 곤충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고 식감을 부드럽게 하여 섭취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귀뚜라미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함에 따라 귀뚜라미가 좀 더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고 단백질 및 무기질의 귀뚜라미 체내흡수를 저해하는 콩비지의 피트산을 분해 및 제거하여 귀뚜라미가 콩비지의 단백질과 무기질을 좀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으므로 건강한 귀뚜라미를 수확할 수 있다.
도 1은 부화상자에서 귀뚜라미 약충이 알받이(플로랄폼)로부터 부화되어 나오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귀뚜라미 약충을 사육시설로 옮긴 직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귀뚜라미에 콩비지와 허브를 급여하여 사육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현재, 식용으로 허가 난 곤충은 종류가 많지 않고 그 중에서 귀뚜라미로는 쌍별 귀뚜라미가 있는데, 본 발명은 쌍별 귀뚜라미 성충으로부터 산란된 알을 부화시킨 후 두부 제조 부산물인 콩비지와 허브를 급여하여 사육한다.
귀뚜라미의 성충 암놈과 수놈의 교배가 이루어지면 알을 산란할 수 있도록 흙이나 톱밥 또는 플로랄폼(floral foam, 친수성 원예용 발포제)이 담겨있는 산란용기에 넣어주며, 흙이나 톱밥의 경우 완전 살균이 어렵고 잡균의 발생이 많으므로 플로랄폼을 알받이로 하여 산란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란이 완료된 후 알받이를 온도 28~32℃, 상대습도 55~65%의 환경에 보관하면 산란 후 7~10일경에 알이 부화되어 귀뚜라미 약충(nymph)이 나오며, 산란된 알이 부화되는 동안 알이 부패하지 않도록 알받이를 달걀판의 볼록면 위에 올려놓아 알받이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귀뚜라미 약충을 사육시설로 옮기는데, 사육시설은 귀뚜라미를 내부에 가두어두는 차단벽으로 둘러싸이고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환기구가 설치되며, 차단벽 내부에는 종이 재질의 달걀판을 상하 3~5겹 적층한 구조물이 설치되고 상기 달걀판은 볼록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달걀판의 오목면이 상부를 향해 적층될 경우 귀뚜라미의 배설물이 달걀판의 오목면에 담겨 부패되기 쉽다.
달걀판을 적층하면 상하 달걀판끼리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 달걀판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형성되고 귀뚜라미 약충은 크기가 작아서 이러한 공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면서 약충의 몸체 크기와 비교하여 적당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므로 귀뚜라미의 약충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구조물이 형성된다.
귀뚜라미의 약충을 사육시설에 옮긴 후 바로 콩비지를 급여하고 귀뚜라미가 성장함에 따라 콩비지의 급여량을 증가시키며 콩비지 급여 후 8~12일부터는 허브를 함께 급여한다.
콩비지는 두부 또는 두유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콩비지는 수용성 유용성분이 빠져나간 상태이긴 하나 많은 영양성분이 남아 있으며, 수분함량이 약 80% 정도이고 콩비지에 함유된 단백질은 다른 식품 단백질에서 부족하기 쉬운 함황 아미노산과 라이신(lysine)이 풍부하여 양질의 단백질로 평가받고 있으며,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다량의 중성당을 함유한 펙틴 다당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콩비지는 필수 아미노산 조성비가 전체 아미노산의 약 35%로서 대두의 33%, 두유의 30%보다 높고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을 비롯하여 조섬유와 칼슘, 철분 등의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두부제조의 부산물이긴 하지만 불용성의 영양성분을 함유하여 식품영양학적 가치가 충분할 뿐만 아니라 칼슘과 섬유질이 함께 들어 있는 우수한 식재료이다.
그러나 콩비지는 수분함량이 높아서 미생물이 번식하기 쉽고 지방의 산패가 발생하는 등 변질되기 쉬우며, 저장 중에 형성되는 불쾌취로 인하여 식품소재로서의 이용도가 낮은 실정으로서, 두부 및 두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콩비지의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일부만이 대두유 생산에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주로 동물의 사료로 사용되거나 변질된 상태로 폐기처분되어 자원의 낭비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문제 또한 야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귀뚜라미 사육농가에서는 주로 밀기울을 사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밀기울로 사육할 경우 별도로 수분공급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반면에, 콩비지는 수분함량이 높아서 별도로 수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귀뚜라미 먹이가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고 사육시설의 환경이 귀뚜라미의 생육에 적절한 습도로 조절되므로 인력 소모가 줄어들고 귀뚜라미의 성장이 촉진되며, 폐기처분되는 콩비지를 사료로 이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귀뚜라미를 사육할 수 있다.
귀뚜라미의 단백질 함량은 소고기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한 콩비지를 사료로 급여하면 단백질 함량이 더욱 증가한 귀뚜라미 성충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콩비지에는 대두에 함유되어 있는 피트산(phytic acid)이 잔류하고 피트산은 단백질, 무기질과 결합하여 귀뚜라미의 체내흡수를 저해하므로, 콩비지의 단백질이 귀뚜라미에 부가되는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콩비지에 무의 뿌리 마쇄물을 첨가하여 무에 함유된 효소의 작용으로 피트산을 분해·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콩비지 100중량부에 무의 뿌리 마쇄물 5~1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피트산의 분해에 효과적이다.
무의 뿌리에는 포도당, 자당, 과당의 당분, 각종 유기산과 아미노산 및 섬유소, 칼륨, 칼슘 등이 풍부하고 녹말을 분해하여 소화흡수를 촉진하는 디아스타아제, 발암물질을 분해ㆍ해독하고 위벽을 보호하는 오게시타제, 전분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 및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콩비지에 무의 뿌리 마쇄물을 첨가하면 콩비지의 피트산이 무 뿌리에 함유된 효소들과 반응하여 제거되고 또한 무의 뿌리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C는 피트산의 무기질 흡수 저해능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무 뿌리의 효소는 콩비지의 소화흡수율을 향상시켜 콩비지에 함유된 다른 유용성분의 흡수를 도와주는 효과도 있다.
콩비지에 무의 뿌리 마쇄물을 혼합하고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0~20시간 숙성시킨 후 급여할 수 있으나, 혼합 후 바로 급여하여도 귀뚜라미가 섭취할 때까지 시간이 소요되므로 피트산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콩비지의 급여는 1일 2~3회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콩비지 최초 급여 후 8~12일까지 회당 10~15g/100마리, 이후 25~35일까지 회당 30~35g/100마리, 이후 성충이 될 때까지 회당 40~50g/100마리의 양으로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내에서 급여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도록 급여한다.
상기 허브 또한 귀뚜라미의 성장에 따라 급여량을 증가시키는데, 허브의 급여는 2~3일에 1회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콩비지 최초 급여 후 8~12일부터 25~35일까지 회당 10~15g/100마리, 이후 성충이 될 때까지 회당 15~25g/100마리의 양으로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내에서 급여량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킨다.
상기 허브는 귀뚜라미가 잘 섭취하면서 섭취에 의해 귀뚜라미의 이취가 나지 않도록 하거나 이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종류를 선택하고 레몬밤, 페퍼민트, 오레가노, 꾸지뽕잎, 솔잎, 바나나 열매가 바람직하며, 이들을 혼합하여 급여하면 귀뚜라미가 선호하는 허브만 주로 섭취하여 이취 제거가 불충분하므로 이들 중에서 어느 한 종류를 선택하여 급여하고 차기 급여시 허브 종류를 바꾸어가면서 급여하여 상기 허브 종류를 골고루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뚜라미 약충이 성장하면서 몸체가 커져 상하 달걀판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되는데, 수분함량이 높은 콩비지가 달걀판을 적신 후 시간이 지나면서 수분이 증발하여 건조되고 다시 콩비지를 급여하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므로, 종이 재질의 달걀판은 수분흡수 및 건조를 반복함에 따라 약해져서 귀뚜라미의 체중에 의해 부서져 귀뚜라미가 이동할 수 있는 구멍. 즉 이동통로가 생성된다.
콩비지는 적층된 달걀판의 상부에 공급하므로 먼저 최상층 달걀판에 귀뚜라미의 이동통로가 생성되고 이후 달걀판의 상부에 콩비지를 공급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최상층 달걀판의 이동통로를 통하여 콩비지가 그 하층의 달걀판에도 공급되며, 상기와 같은 원리로 하층의 달걀판에 귀뚜라미의 이동통로가 생성되고 이러한 과정이 하층으로 계속 반복되어 달걀판으로 구성되는 구조물 전체에 귀뚜라미의 이동통로가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콩비지가 이동통로를 통하여 하층의 달걀판에 투입되므로 이동통로가 달걀판의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으로만 형성되기 쉬워서 귀뚜라미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나, 최상층의 달걀판에 이동통로가 형성되면 이동통로가 형성되지 않은 하층의 달걀판을 최상층 위로 올려서 콩비지를 급여하며, 교체된 최상층의 달걀판에 이동통로가 다시 형성되면 하부의 달걀판 중에서 이동통로가 형성되지 않은 달걀판을 최상층으로 올려주어 각 층의 상하 달걀판의 이동통로가 서로 엇갈리도록 함으로써 귀뚜라미의 이동통로가 달걀판 구조물에 좀 더 많이 형성되면서 복잡한 형태를 띠게 할 수 있다.
귀뚜라미는 충분한 공간과 은신처가 없으면 서로 잡아먹을 수 있고 통풍이 잘되지 않으면 집단 폐사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달걀판 구조물에 이동통로를 복잡하게 많이 형성시키면 이동공간과 은신처가 생성되고 통풍이 잘 이루어짐과 아울러 활동공간이 확보되어 귀뚜라미의 움직임이 좀 더 활발해지며, 이 결과 귀뚜라미가 건강하게 성장하여 생존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귀뚜라미는 번데기 시기를 거치지 않고 약충에서 성충까지 통상 50일 정도의 짧은 시일이 소요되므로 사육기간이 짧고 폐기되는 콩비지를 먹이로 급여하므로 사료비용이 절감되며, 콩비지의 수분함량이 높아서 별도로 수분공급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소모가 절감되고 콩비지의 급여만으로 사육시설의 구조가 귀뚜라미가 생활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변화하므로, 본 발명의 귀뚜라미 사육방법은 저렴한 비용과 적은 인력소모로 건강한 귀뚜라미 성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육된 귀뚜라미의 성체에는 콩비지에 함유된 양질의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섬유질이 풍부하여 이를 유용 식재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귀뚜라미 성체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화한 다음 이를 환이나 과립으로 성형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하거나 귀뚜라미 분말을 식품 또는 요리의 부재료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귀뚜라미 환을 제조할 경우 상기 귀뚜라미 분말 40~50중량%와 밀크시슬 분말 40~50중량%를 혼합하고 맛을 보완하기 위한 스테비아 분말 5~10중량% 및 소화촉진을 위한 유산균 3~7중량%를 혼합한 후 제환하여 영양과 맛이 우수한 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쌍별 귀뚜라미 성충 암놈과 수놈을 교배시킨 후 쌍별 귀뚜라미 성충 암놈을 플로랄폼이 들어있는 산란상자에 넣어서 플로랄폼에 산란되도록 하였으며, 부화상자 내부에 볼록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놓인 달걀판 상부에 상기 플로랄폼을 올려놓고 온도 30℃, 상대습도 60%의 환경조건을 유지한 결과 7일 후부터 귀뚜라미 약충이 부화되기 시작하였다(도 1 참조).
종이 재질의 달걀판을 볼록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상하 4겹으로 적층한 구조물을 설치한 후 그 외곽에 나무재질의 가로×세로=1000×70㎝ 직사각형 차단벽을 설치하고 차단벽의 상부는 덮개로 덮었으며 차단벽과 덮개 사이는 비닐로 허술하게 가려서, 공기는 내외부를 통과하도록 하고 귀뚜라미는 차단벽을 뛰어넘어 밖으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 사육시설을 설치하였다.
상기 귀뚜라미 약충이 부화되기 시작하여 3일이 경과된 후 부화된 귀뚜라미 약충을 모두(약 1500마리) 상기 사육시설로 옮겨준 다음(도 2 참조) 10일 동안 콩비지를 달걀판 최상부에 1일 2회 회당 10~15g/100마리 급여하였으며, 이후 30일까지 콩비지를 1일 2회 회당 30~35g/100마리 급여하면서 레몬밤, 페퍼민트, 오레가노, 꾸지뽕잎, 솔잎 및 바나나 열매를 1종류씩 순차적으로 2일 1회 회당 10~15g/100마리 급여하였으며, 이후 성충이 될 때까지 콩비지를 1일 2회 회당 40~50g/100마리 급여하면서 상기 허브를 1종류씩 순차적으로 2일 1회 회당 15~25g/100마리 급여하였다(도 3 참조).
콩비지와 허브의 급여량은 상기 범위 내에서 처음에는 적은 양을 급여하고 귀뚜라미가 성장함에 따라 조금씩 양을 늘려주었으며, 부화 후 50일이 지나 충분히 성장하여서 사육을 종료하고 귀뚜라미를 수확하였다.
<실시예 2>
무의 뿌리를 깨끗이 세척한 후 마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콩비지에 섞은 다음(콩비지 90중량%, 무의 뿌리 마쇄물 10중량%) 귀뚜라미에 급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귀뚜라미를 사육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콩비지를 급여하는 동안 매 15일 정도 경과시 달걀판 최상부에 구멍이 뚫리는데 이때 최하부의 달걀판을 최상부 달걀판의 상부로 올려주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귀뚜라미를 사육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콩비지 대신에 밀기울을 급여하고 1일 2회 분무기로 물을 뿌려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귀뚜라미를 사육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허브를 급여하지 않고 콩비지만을 급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귀뚜라미를 사육하였다.
<시험예 1> 귀뚜라미의 생존율 측정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2에서, 사육시설에 입고된 귀뚜라미 약충(약 1500마리)과 사육이 수확한 귀뚜라미 성충의 생존 개체수를 세어서 귀뚜라미의 생존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귀뚜라미의 생존율 측정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입고 개체수 1500
생존 개체수 985 1115 1224 654 915
생존율(%) 65.7 74.3 81.6 43.6 61.0
상기 표 1을 보면, 콩비지를 급여한 실시예에 비하여 콩비지 대신에 밀기울을 급여한 비교예 1의 생존율이 많이 낮은데, 이는 밀기울에 비하여 콩비지가 단백질이 풍부하여 체내 구성성분 중 단백질 함량이 높은 귀뚜라미에 콩비지가 먹이로서 좀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더불어 밀기울을 급여함에 따라 물을 분무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해 사육시설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비교예 1의 생존율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콩비지만 급여하고 허브를 급여하지 않은 비교예 2가 콩비지와 허브를 모두 급여한 실시예 1보다 생존율이 낮은 결과로부터, 허브의 급여가 귀뚜라미의 생존율에도 도움을 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중에서는 상하 달걀판의 위치를 바꾸어 준 실시예 3이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콩비지에 무의 뿌리 마쇄물을 혼합한 실시예 2가 다음으로 생존율이 높았으며, 이는 실시예 3의 달걀판에 귀뚜라미의 이동통로가 복잡하게 많이 형성되어 이동공간과 은신처가 좀 더 많이 생성되고 공기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 인해 귀뚜라미가 건강하게 성장한 것으로 판단되며, 실시예 2의 경우는 무의 뿌리 마쇄물에 함유된 효소가 단백질 및 무기질의 귀뚜라미 체내흡수를 저해하는 콩비지의 피트산을 분해 및 제거하여 귀뚜라미가 콩비지의 단백질과 무기질을 좀 더 많이 흡수한 결과로 판단된다.
<시험예 2> 귀뚜라미 식품의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확한 귀뚜라미 성충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귀뚜라미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귀뚜라미 분말 45중량%에 밀크시슬 분말 45중량%, 스테비아 분말 7중량% 및 유산균 3중량%를 혼합하고 제환기에서 제환하여 귀뚜라미 환 제품을 제조하였다.
10대에서 70대까지의 남녀 각각 5명씩 모두 7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된 귀뚜라미 환을 시식하여 맛,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3.8 4.0 3.8 3.5 3.3
3.7 3.9 3.8 3.6 3.1
전체적인 기호도 3.8 3.9 3.8 3.5 3.2
5:매우 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매우 나쁨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콩비지와 허브를 급여한 실시예가 밀기울과 허브(비교예 1) 또는 콩비지만을 급여(비교예 2)한 비교예에 비하여 맛과 향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를 통하여 허브가 귀뚜라미에서 곤충의 이취를 제거하고 식감을 부드럽게 하며 콩비지 사료가 밀기울 사료에 비하여 귀뚜라미의 맛과 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높게 평가되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사육한 귀뚜라미는 식품의 원료로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귀뚜라미의 성충 암놈과 수놈을 교배하여 알을 산란시킨 후 부화시키는 단계;
    차단벽이 사방으로 둘러싸이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환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차단벽 내부에는 종이 재질의 달걀판을 볼록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상하 적층한 구조물이 배치되는 사육시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부화된 귀뚜라미 약충을 상기 사육시설에 옮기는 단계;
    상기 사육시설의 달걀판 상부에 콩비지를 급여하는 단계; 및
    상기 콩비지 급여 후 8~12일부터 콩비지와 함께 허브를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콩비지의 급여는 1일 2~3회 급여하고, 콩비지 최초 급여 후 8~12일까지 회당 10~15g/100마리 급여하며, 이후 25~35일까지 회당 30~35g/100마리 급여하고, 이후 성충이 될 때까지 회당 40~50g/100마리 급여하며,
    상기 허브의 급여는 2~3일에 1회 급여하고, 콩비지 최초 급여 후 8~12일부터 25~35일까지 회당 10~15g/100마리 급여하며, 이후 성충이 될 때까지 회당 15~25g/100마리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급여는 레몬밤, 페퍼민트, 오레가노, 꾸지뽕잎, 솔잎 및 바나나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급여하고, 이후 허브 종류를 바꾸어가면서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콩비지는 콩비지 100중량부 기준 무의 뿌리 마쇄물 5~15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콩비지를 급여하는 동안 최상층 달걀판에 구멍이 생성되면 최상층 달걀판의 하부에서 구멍이 생성되지 않은 달걀판을 최상층 달걀판의 상부로 올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 성체를 건조하고 분쇄한 귀뚜라미 분말 식품.
  7. 청구항 6의 귀뚜라미 분말 40~50중량%, 밀크시슬 분말 40~50중량%, 스테비아 분말 5~10중량% 및 유산균 3~7중량%를 혼합하여 제환한 귀뚜라미 환 식품.
KR1020180159513A 2018-12-11 2018-12-11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및 이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 KR20200071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13A KR20200071611A (ko) 2018-12-11 2018-12-11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및 이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13A KR20200071611A (ko) 2018-12-11 2018-12-11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및 이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611A true KR20200071611A (ko) 2020-06-19

Family

ID=7113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513A KR20200071611A (ko) 2018-12-11 2018-12-11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및 이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16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4151A1 (en) * 2020-07-27 2022-02-03 Societa' Agricola Italian Cricket Farm S.R.L. Process and plant for breeding hearth crickets, acheta domestic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4151A1 (en) * 2020-07-27 2022-02-03 Societa' Agricola Italian Cricket Farm S.R.L. Process and plant for breeding hearth crickets, acheta domestic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247B1 (ko)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
KR101044051B1 (ko) 팽연왕겨를 포함하는 천적 사육용 충진재 조성물, 천적 사육용 조성물 및 해충 방제용 조성물
KR20170051890A (ko)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가축 사료첨가제 분말의 제조방법
KR101725057B1 (ko) 곤충 스프
KR101997365B1 (ko)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101918483B1 (ko) 식용곤충 및 약용식물의 숙성액을 이용한 성형쌀 제조방법
KR101831033B1 (ko) 꽃송이 버섯, 노루둥뎅이 및 동충하초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
CN109496992B (zh) 一种超级富硒黄粉虫的生产方法
JP2011234701A (ja) イエバエの蛹を含む栄養物質の製造方法
Carrasco et al. Commercial cultivation techniques of mushrooms
CN102742550A (zh) 鲜松针养鸡方法
KR101832725B1 (ko) 닭 사육 방법
KR101891274B1 (ko) 분말 혼합물 및 곤충 국수
CN106417167A (zh) 一种山羊的养殖方法
KR101963185B1 (ko) 굼벵이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굼벵이 사육 방법
KR102041394B1 (ko) 단호박을 함유한 귀뚜라미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1611A (ko) 귀뚜라미의 사육방법 및 이 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식품
KR102194869B1 (ko) 새싹보리를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방법
KR100873778B1 (ko) 가축사료첨가제
Munshi et al. Button mushroom cultivation
CN114145268A (zh) 一种绿色环保型蜗牛生态养殖系统
CN106577533A (zh) 一种林下养鸡方法
CN106212885A (zh) 一种苏北土鸡林下放养补料配方及其制备方法
JP2006246824A (ja) 養鶏飼料
KR20210090388A (ko) 동애등에 유충박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의 사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