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778B1 - 가축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가축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778B1
KR100873778B1 KR1020060121767A KR20060121767A KR100873778B1 KR 100873778 B1 KR100873778 B1 KR 100873778B1 KR 1020060121767 A KR1020060121767 A KR 1020060121767A KR 20060121767 A KR20060121767 A KR 20060121767A KR 100873778 B1 KR100873778 B1 KR 10087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dditive
powder
feed
livestock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889A (ko
Inventor
임종춘
Original Assignee
임종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춘 filed Critical 임종춘
Priority to KR102006012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7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5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가축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육질 개선, 분뇨 냄새 감소, 가축의 건강 증진 및 설사 방지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저렴하고 제조가 간편한 새로운 가축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는, 활성탄 분말, 쌀눈 분말, 쌀겨(미강) 분말, 및 대두박 분말을 각각 중량 기준으로 10 : 3∼7 : 80∼120 : 4∼6의 비율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축, 사료, 첨가제

Description

가축사료첨가제{LIVESTOCK FEED ADDITIVE}
도 1(a)는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와 일반 양돈사료를 배합한 배합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삼겹살 사진이고, 도 1(b)는 일반 양돈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삼겹살 사진.
도 2의 (a)와 (b)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삼겹살을 달궈진 불판에서 구울 때 발생된 기름을 그릇에 담아 일정시간이 지난 후 찍은 사진.
본 발명은 가축사료에 첨가하는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가축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육질 개선, 분뇨 냄새 감소, 가축의 건강 증진 및 설사 방지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저렴하고 제조가 간편한 새로운 가축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가축 사육 분야는 대량 사육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고 가축에 먹이는 사료도 적절한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배합 사료 등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가축에 의해 제공되는 고기나 털, 우유, 계란 등과 같은 축산물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배합 사료에 특수한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많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녹차나 한방 재료 등을 추가하거나 톱밥이나 왕겨 등을 첨가하는 노력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노력 중에, 종래에 특히 가축사료첨가제로서 제안되어 있는 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10-1995-003641 (특허권자: 김재광) "가축사료첨가물 및 그 제조 방법"의 특허등록공보에는 솔가지와 솔잎 및 쌀겨의 발효생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및 그 발효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기재된 사료첨가제는 솔가지와 솔잎 및 쌀겨를 소정 비율로 배합하여 효소액을 뿌려 상대적으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발효 과정을 거친 사료첨가제는 자연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가축이 소화하기 쉬운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지만 발효장을 따로 갖추어야 하며 그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10-2000-0005637 (특허권자: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시스템) "가축사료첨가제용 조성물"의 등록공보에는, 젖산 생성 박테리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스트렙토마이세스 균주를 첨가시켜 배양 제조하여 각종 영양 성분을 만든 사료첨가제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사료첨가제는 가축 성장을 촉진시키고 그 생산 축산물의 질을 향상시키는 등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재료를 구하고 배양시키는 과정이 일반적인 축산 농가에서는 매우 어려우며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배합 사료에 첨가하여 축산 생산물의 질을 높이고 가축 사육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첨가제에 있어서 일반 축산 농가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그 제조 과정이 단순하고 재료가 저렴한 첨가제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가축사료첨가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하여 왔으며 많은 시행착오 끝에, 활성탄 분말, 쌀눈 분말, 쌀겨(미강) 분말, 대두박 분말을 일정 비율로 배합한 후 이를 일반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을 사육할 경우 육질 개선, 분뇨 냄새 감소, 가축의 건강 증진 및 설사 방지 등의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의적 목적은 육질 개선, 분뇨 냄새 감소, 가축의 건강 증진 및 설사 방지 등의 효과가 뛰어나되 제조 과정이 단순하고 재료가 저렴한 가축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는, 활성탄 분말, 쌀눈 분말, 쌀겨 분말 및 대두박 분말을 각각 중량 기준으로 10 : 3∼7 : 80∼120 : 4∼6의 비율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약 10 : 5 : 100 : 5의 비율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는, 한약재, 특히 인삼찌꺼기를 건조시켜 분말화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는 향을 내는 성분 약간을 더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은 활성탄 분말, 쌀눈 분말, 쌀겨 분말 및 대두박 분말을 각각 중량 기준으로 10 : 3∼7 : 80∼120 : 4∼6의 비율로 배합한 사료첨가제를 일반 양돈사료 100중량부에 대해 1~3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한 배합사료를 비육돈이 100~130일령 되었을 때부터 급여하여 150~170일령 되었을 때 도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활성탄(숯)
활성탄이란 더 많은 구멍이 생기게 하기 위하여 완성된 숯에 600~900℃의 수증기를 가하여 다시 열처리 과정을 거친 숯으로, 흡착력이 일반 숯보다 뛰어나며 식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숯이 지닌 효과 중 가장 뛰어난 것은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이다. 숯은 전자 밀도가 높기 때문에 주위에 전자를 공급하여 사물을 활성화하고 생체 건강을 유지시키며 치료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숯은 산성화한 물질이나 식품을 중화시켜 알칼리화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 숯의 성분 가운데 약 60%가 알칼리성 염류이므로 생체 내 체액이나 혈액을 알칼리로 중화하여 신선하게 유지해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숯은 강력한 원적외선 효과가 있다. 숯은 끊임없이 원적외선을 뿜어내 우리 몸의 환부나 병든 세포를 복원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원적외선은 피부 5cm까지 침투하여 작용한다.
또한 숯은 음이온을 발생시켜 모든 물질의 노화를 예방하고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숯은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해서 냄새의 근원을 없애고 그 악취를 흡착한다. 냉장고, 신발장, 옷장, 주방, 자동차 등에 숯을 넣으면 탈취용이 되기도 하며, 물을 여과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염소 등 소독 냄새가 강한 수돗물에 숯을 넣으면 냄새가 제거되고 물맛도 좋아진다. 밥이 약간 탔을 때 밥 속에 숯을 넣으면 탄 냄새가 없어진다는 것은 이미 옛날부터 주부들이 사용해온 방법이다.
또한, 항균 및 해독 효과가 뛰어나 히포크라테스 시대에 간질, 현기증, 빈혈, 탄저병 등의 치료에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고, 동양의 한방에서는 각종 숯을 약용했으며, 또 각종 약재를 탄화시켜서 사용하기도 했다. 숯을 식용하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은 그대로 두고, 인체 내의 유해 바이러스 등에 항균작용을 하거나 체외로 유해한 균을 배출시킨다.
(2) 쌀눈
쌀의 영양성분 중 66%를 차지하고 있는 영양의 보고이다. 다른 어떤 음식보다도 양질의 필수영양소를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양 또한 흔히들 완전식품이라 일컬어지는 우유와 계란과 대비하여도 수십 배에 이르러 지상 최고의 건강식이라 일컬어진다.
(3) 쌀겨(미강)
쌀겨는 바로 현미에서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파괴, 종피, 호분층 등의 분쇄된 혼합물이다. 쌀겨는 백미의 부산물이지만 쌀의 영양성분 중 29%를 차지할만큼 영양이 상당히 우수한 재료이다. 쌀겨에는 비타민A를 비롯해 B1, B6, 철분, 인,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들이 함유되어 있다. 쌀겨를 먹으면 식물 섬유로 인해 장의 작용이 활발하게 되어 배변이 촉진되므로 심한 변비도 해결할 수 있다. 또, 식물 섬유는 장내의 비피더스균을 증가시켜 장안에 기생하고 있는 세균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기능까지 하고 있기 때문에 대장암도 예방된다.
(4) 대두박
대두박은 동물에게 급여하는 가장 경제적이고 고품질의 식물성 단백질사료로 콩으로부터 기름을 짤 때 생기는 부산물이다. 대두박은 껍질의 유무에 따라 영양소 함량에 차이가 있는데, 껍질을 벗긴 탈피대두박은 섬유소는 낮으나 조단백질 함량이 약 50%이며, 껍질을 벗기지 않은 대두박은 섬유소 함량이 5∼6% 정도이고 조단백질 함량은 약 45%정도가 된다. 돼지에게 대두박은 가장 우수한 단백질 사료로 쓰이고 경제적으로도 다른 박류에 비해 우수한 편이다. 대두 단백질은 너무 어린 돼지 (2 ∼21 일령)를 제외한 모든 연령의 돼지에 대해 소화율이 높으며, 육성돈에 있어서는 훌륭한 필수아미노산 공급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사료첨가제의 제조
활성탄 분말(제조원: 우성테크) 10kg과 쌀눈 분말 5kg, 쌀겨 분말 100kg 및 탈피대두박 분말 5kg을 혼합기로 30분 정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쌀눈은 쌀을 도정하는 과정 중에 이탈된 쌀눈을 분리수거한 것으로서 그 자체로는 체내에 충분히 섭취되지 않기 때문에 곱게 분말로 만든 후 사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제조한 사료첨가제를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포장한 후 건조한 곳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돼지의 사육 1 (급여구)
시판 사료(제조원:선진, 상품명: 스페셜팜) 100중량부에 대해 본 사료첨가제를 2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한 배합사료를, 임의로 선별한 30마리의 비육돈이 110일령 되었을 때부터 60일간 급여한 후 출하하였다.
본 발명자의 오랜 경험에 따르면 본 사료첨가제의 효과라 할 수 있는 육질개선, 분뇨냄새 감소 등의 효과는 본 사료첨가제의 함량 및 급여기간에 비례하나, 본 사료첨가제의 함량이 일반사료 100중량부에 대해 3중량부를 넘거나 100일령이 채 되지 않을 때부터 본 사료첨가제를 비육돈에 급여할 경우에는 일반사료만을 급여할 때에 비해 성장이 늦어져 경제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사료첨가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가 되려면 본 사료첨가제의 함량이 일반사료 100 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를 넘어야 하고, 비육돈을 도축하기 전에 최소 30일 이상은 본 사료첨가제가 배합된 배합사료를 급여하여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모든 점을 고려하여 볼 때, 본 사료첨가제를 사용하여 고품질의 돈육을 얻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본 사료첨가제를 일반 양돈사료 100중량부에 대해 1~3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한 배합사료를 비육돈이 100~130일령 되었을 때부터 급여하여 150~170일령 되었을 때 도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돼지의 사육 2 (대조구)
실시예 2와 모두 동일하되, 다만 사료에 있어서 사료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시판사료를 출하 때까지 급여하였다.
<실시예 4> 급여구와 대조구의 비교
(1) 체중 비교
출하시 체중이 급여구는 평균 110kg이고 대조구는 평균 111kg으로서 거의 동일하였다.
(2) 육질비교
도 1에서 (a)는 급여구의 삼겹살 사진이고, (b)는 대조구의 삼겹살 사진이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지방층이 얇고 그 모양이 우수하다. 급여구와 대조구의 출하시 체중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아 급여구는 지방이 감소한 대신 근육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즉, 급여구는 대조구에 비해 체중 감소없이 육질이 현저히 개선되어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지방비교
도 2에서 (a) 와 (b)는 각각 급여구와 대조구의 삼겹살을 달궈진 불판에서 구울 때 발생된 기름을 그릇에 담아 일정시간이 지난 후 찍은 사진이다. 대조구의 기름은 완전히 굳어 고체를 이루고 있는 데 반하여 급여구의 기름은 상당부분이 액체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급여구의 지방이 대조구의 지방에 비해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낮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더 높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라 생각된다.
(4) 고기맛 비교 (관능검사)
급여구의 삼겹살과 대조구의 삼겹살을 동일한 조건으로 구운 후 이를 각각 무작위로 선별한 50명의 관능평가 요원에게 제공하고 그 맛, 냄새, 외관 및 전반적인 기호성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관능검사 결과
구분 냄새 외관 전반적인 기호성
급여구 9.0 8.0 10.0 9.0
대조구 7.0 7.0 7.0 7.0
관능평가 : 매우 싫다(0점), 보통이다(5점), 매우 좋다(10점). 0~10점내에서 1점 단위로 평가.
상기 관능검사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맛과 냄새, 외관 및 전반적인 기호성 등 모든 면에서 뛰어났다.
구체적으로 급여구의 삼겹살이 대조구에 비해 고소하며 돼지냄새가 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대조구의 경우 암퇘지가 수퇘지에 비해 좋은 평가를 받았던 데 반하여 급여구는 암퇘지와 수퇘지에 대한 평가가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돼지에 급여하면 수퇘지의 경우도 그 고기를 암퇘지와 동일 유사한 가격으로 출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축산농가의 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5) 기타
이 외에도, 급여구의 삼겹살은 대조구에 비해 불에 구운 후 식어도 고기가 쉽게 굳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급여구의 경우 분뇨에서 악취가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돼지의 설사 현상도 현저히 감소되었다. 또한 돼지 분뇨를 발효하지 않고 곧바로 퇴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는 제조과정이 단순하고 재료가 저렴하면서도 육질개선, 분뇨 냄새 감소, 가축의 건강증진 및 설사 방지 등의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를 사료에 배합하여 가축에 급여할 경우 가축을 건강하게 사육할 수 있으므로 항생제의 오남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의 주요성분인 활성탄은 항생제를 흡착하여 배출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축산물에 잔류하는 항생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은 맛과 외관이 뛰어나서 상품성이 높으며, 특히 수퇘지와 암퇘지의 고기 맛이 동일하여 수퇘지를 암퇘지와 동일한 가격에 출하할 수 있어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4)

  1. 활성탄 분말, 쌀눈 분말, 쌀겨 분말 및 대두박 분말을 각각 중량 기준으로 10 : 3∼7 : 80∼120 : 4∼6의 비율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사료첨가제는 활성탄 분말, 쌀눈 분말, 쌀겨 분말 및 대두박 분말을 각각 중량 기준으로 10 : 5 : 100 : 5의 비율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첨가제.
  3. 삭제
  4. 삭제
KR1020060121767A 2006-12-04 2006-12-04 가축사료첨가제 KR10087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767A KR100873778B1 (ko) 2006-12-04 2006-12-04 가축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767A KR100873778B1 (ko) 2006-12-04 2006-12-04 가축사료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889A KR20080050889A (ko) 2008-06-10
KR100873778B1 true KR100873778B1 (ko) 2008-12-15

Family

ID=3980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767A KR100873778B1 (ko) 2006-12-04 2006-12-04 가축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253A (ko) 2014-03-27 2015-10-08 (주)현농 비타민 강화 미강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06B1 (ko) * 2008-12-05 2009-08-26 유희민 천연 식물성분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및 무항생제 축산물 생산을 위한 가금용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1955613A (zh) * 2020-07-13 2020-11-20 中粮营养健康研究院有限公司 一种功能性猪配合饲料组合物及生长育肥猪饲养方法
KR20230025605A (ko) * 2021-08-13 2023-02-22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점토광물과 유기물 등을 이용한 유기코팅 사료(애완동물용)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253A (ko) 2014-03-27 2015-10-08 (주)현농 비타민 강화 미강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889A (ko)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837B1 (ko) 감귤박과 맥주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2211027B1 (ko) 반려동물 사료배합용 소취첨가제와 이를 함유한 반려동물 소취용 시리얼 조성물
CN102894215A (zh) 一种畜禽用中药多酶菌秸秆复合饲料
KR102013899B1 (ko)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염소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높은 염소육
CN103519009B (zh) 一种鸽用保健沙
Ndelekwute et al. Effect of dietary Black pepper (Piper nigrum)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N104904657A (zh) 一种鹅的养殖方法
KR20150034569A (ko) 유산균과 산야초를 이용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KR20160130615A (ko) 애완동물용 보조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0663832A (zh) 一种促进猪生长的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873778B1 (ko) 가축사료첨가제
JP2542655B2 (ja) 動物用混合飼料
CN106923031A (zh) 新型狗粮
CN103975896B (zh) 降低半散养传统黑猪肉质中重金属抗生素残留的饲养方法
KR20090014033A (ko) 솔잎이 함유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CN109315348B (zh) 一种麻香猪的养殖方法
KR100937552B1 (ko)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387407A (zh) 一种提高消化能综合利用海带黑猪饲料添加剂
KR20080079162A (ko) 치아시드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합사료와, 그것을사용한 닭 사육방법과, 그로부터 얻어지는 닭고기
Shaheed The effect of adding germinated date kernel powder to the diet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some broilers E. coli bacteria
KR101662806B1 (ko) 비타민 강화 미강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Bakr et al. ROSEMARY, MARJORAM AND GINGER AS A FEED ADDITIVES AND ITS INFLUENCES ON GROWTH PERFORMANCE TRAITS OF NZW RABBITS UNDER SINAI CONDITIONS
CN104905068B (zh) 一种提高幼年宠物犬适口性的蘑菇味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71229A (ko) 소나무 껍질을 함유한 무항생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96251B1 (ko) 동물사료용 전지대두 팽화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1114

Appeal identifier: 2008101003890

Request date: 200804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28

Effective date: 20081114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11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0428

Decision date: 20081114

Appeal identifier: 2008101003890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6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8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