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155B1 -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155B1
KR100893155B1 KR1020070052011A KR20070052011A KR100893155B1 KR 100893155 B1 KR100893155 B1 KR 100893155B1 KR 1020070052011 A KR1020070052011 A KR 1020070052011A KR 20070052011 A KR20070052011 A KR 20070052011A KR 100893155 B1 KR100893155 B1 KR 100893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group
leek
weight
pork
p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763A (ko
Inventor
김수기
이상락
Original Assignee
파주연천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주연천축산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파주연천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07005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15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1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of green fodder
    • A23K30/12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돈 사료에 항생제 대체제로서 부추를 첨가한 고급 청정 돈육 생산용 양돈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이유자돈의 폐사율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항생제 사용량을 혁신적으로 감소시키고, 무항생제 사육 시스템을 확립하여 양돈 산업 발전과 돈육의 브랜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부추, 양돈 사료 조성물, 친환경, 무항생제 사육, 폐사율 감소

Description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 {Composition for Pork feed comprising Allium tuberosu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추 추출물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유자돈의 분변으로부터 엔테로코쿠스(Enterococcus)의 생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유자돈의 분변으로부터 엔테로박터(Enterobacter)의 생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유자돈의 분변으로부터 대장균(E. coli)의 생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유자돈의 분변으로부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의 생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육후기돈의 분변으로부터 엔테로코쿠스(Enterococcus)의 생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육후기돈의 분변으로부터 시트로박터(Citrobacter)의 생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육후기돈의 분변으로부터 엔테로박 터(Enterobacter)의 생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육후기돈의 분변으로부터 대장균(E. coli)의 생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육후기돈의 분변으로부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의 생성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육후기돈의 육질을 비교한 것이다(단, 여기에서 C는 대조군, T1은 처리군 1 및 T2는 처리군 2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돈 사료에 항생제 대체제로서 부추를 첨가한 고급 청정 돈육 생산용 양돈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럽연합(EU; Eropean Union)은 항생제 규제를 염격히 하고 있으며, 아빌라마이신(avilamycin), 플라보포포리피돌(flavophopholipidol), 살리노마이신(salinomycin), 모넨신(monensin) 등 4종류의 항생제만을 허용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항생제로 2006년도 1월까지만 사용할 수 있도록 검토하였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성장촉진제 및 항생제 대체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덴마크의 경우, 항생제 사용 없이 양돈 및 양계 산업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음을 이미 보고하였으며, 1999년에 이미 치료 목적 이외의 사료첨가제로서 항생제 사용을 전면 중단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항생제 사용을 줄이고, 기능성을 추가하여 돈육을 브랜드화 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축산물의 브랜드화는 단순히 마케팅의 차원에서 접근되기 보다는 보다 과학적인 차원에서 무항생제, 즉 친환경 유기 축산에 그 기초를 두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돈육의 브랜드화를 위하여 무항생제 양돈 사양체계 및 관련 기술을 확립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부추를 이용하여 자돈 및 비육돈에서 폐사율을 줄이고, 항생제의 사용량을 혁신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급 청정 돈육 생산을 위한 양돈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 조성물을 돼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고급 청정 돈육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고급 청정 돈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부추를 포함하는 양돈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부추(Allium tuberosum Rottl)는 숙근다년초(宿根多年草)로 선명한 선록색을 띄며, 독특하고 강한 향이 있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맛은 시고 맵고 떫으며, 독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능을 항진시키는 '온신고정(溫腎固情)'의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부추는 몸을 덥게 하는 보온효과가 있어 몸이 찬 사람에게 좋으며, 감기예방에 효과가 있고, 부추의 아릴성분은 소화를 돕고 장을 튼튼하게 하며, 부추즙은 피를 맑게 하여 허약체질 개선, 미용, 성인병 예방 효과가 있고, 이 외에도 혈액정화, 산후통, 치질, 혈변, 치통, 변비, 설사, 구토증의 치료와 개선 등 그 효과가 매우 다양하여 각종 민간요법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추는 분말의 형태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 통상의 건조방법, 예를 들면, 동결건조, 열풍건조, 실온의 그늘에서 자연건조, 야외건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은 물추출법, 열수추출법, 알코올추출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부추 물추출물은 분쇄한 부추와 증류수를 1 : 9의 비율(w/w)로 10배 희석하여, 6시간동안 150 rpm으로 교반 추출한 다음 거즈로 여과하여 12시간 정치시키고, 그 상등액을 취하여 원심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추의 열수추출물은 분쇄한 부추와 증류수를 1 : 9의 비율(w/w) 로 10배 희석하고, 7시간 동안 95 ~ 100℃에서 끓인 다음 용액을 거즈로 걸러 12시간 정치시킨 후 상등액을 취하여 원심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추의 알코올 추출물은 분쇄한 부추를 여과지로 싼 후 시료 : 에탄올을 1 : 9의 비율(w/w)로 10배 희석하여 6시간 동안 150 rpm으로 교반 추출한 다음 상기 여과지를 제거한 후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해당 용매로 다시 용해시켜 4℃에서 보관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추는 양돈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분말의 형태로 0.5 ~ 3.0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중량%가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사료 조성물을 생체중 9.4 ㎏의 25일령 이유자돈 또는 생체중 70.2 ㎏의 17주령 비육후기돈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고급 청정 돈육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여는 1 ~ 35일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돈육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고급 청정 돈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부추 분말 및 추출물의 제조
1-1. 분말 제조
파주 지역의 부추를 수집하여 65℃에서 2 ~ 3일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부추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1-2. 물추출물 제조
부추를 분쇄하여 증류수와 1 : 9의 비율(w/w)로 10배 희석하고, 6시간 동안 150 rpm으로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용액은 거즈로 여과하여 12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상등액을 취하여 원심분리한 다음 0.45 ㎛ 주사기 필터(syringe filter)로 미생물 오염원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1-3. 열수추출물 제조
분쇄한 부추를 증류수와 1 : 9의 비율(w/w)로 희석하여 7시간 동안 95 ~ 100℃에서 끓인 다음 용액을 거즈로 걸러 12시간 정치시킨 후 상등액을 취하여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한 상등액은 0.45 ㎛ 주사기 필터(syringe filter)로 미생물 오염원 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1-4. 에탄올추출물 제조
분쇄한 부추를 여과지(filter paper)로 싼 후, 시료 : 에탄올을 1 : 9의 비율(w/w)로 10배 희석하여 6시간 동안 150 rpm으로 교반 추출한 후 시료를 싼 여과지를 제거하여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해당 용매 에탄올로 다시 용해시켜 4℃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부추 추출물의 항균 활성 확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추 추출물 분획의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우선, 상기 병원균은 가축의 소화기성 질병과 호흡기 질병 등을 유발하는 주요 병원성 세균으로, 수의과학 검역원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표 1 참조).
-70℃에서 보관된 각 병원균은 멸균된 백금이를 이용하여 LB 아가(Luria Bertani; 표 2 참조)에 펴발라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LB 아가 표면에 나타난 각 병원성 세균의 콜로니(colony) 중 하나를 백금이로 LB 액체 배지(broth)로 옮겨 37℃ 진탕배양기에서 200 rpm으로 24시간 배양한 후 피검균으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중층 배지는 0.8% 아가(Bacto agar; Difco사, 미국) 용액을 15 ㎖ 마개가 달린 시험관(screw cap tube)에 10 ㎖씩 나누어 담고,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준비하였으며, 시험관 내의 아가가 굳지 않게 하기 위하여 50 ℃ 수욕조(water bath)에서 보관하였다.
배양된 병원균은 최종 농도를 1×107 ~ 1×108 cfu/㎖ 가 되게 희석한 후 상기 멸균 0.8% 아가 용액에 100 ㎕를 접종하였고, 볼텍스 혼합기(Voltex mixture; KMC-1300V, Vision, 한국)를 이용하여 교반한 후 LB 아가 평판(LB agar plate)에 붓고 상온에서 식히면서 고형화 시켰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추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윤 등(2005)의 방법에 따라 paper disc method를 통해 평가하였다.
용매별로 추출된 분획을 멸균된 6 ㎜ filter paper disk(Whatmann AA Disc)에 25 ㎕씩 흡수시키고, 상온에서 각 용매가 휘발되도록 30분간 방치하였다.
각 용매가 휘발된 후에 병원성 세균이 도말된 중층배지 위에 올려놓은 후, 37℃ 배양기에서 24 ~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paper disc 주변으로 형성된 생육저지 환을 관찰하여 항균활성의 유무와 정도를 평가하였다.
[표 1] 본 발명에 따른 병원성 균주
균주 질병 균주기원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E 가축의 장독혈증 국립수의과학검역원
Enterotoxigenic E. coli 소, 돼지의 대장균 감염증 국립수의과학검역원
Pasteurella multocida type A Pm033 호흡기 질환 국립수의과학검역원
Mannheimia ( Pasteurella ) haemolytica type A Ns 호흡기 질환 국립수의과학검역원
Haemopillus parasuis 돼지 글래서병 국립수의과학검역원
Haemopillus somnus 호흡기 질환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표 2] LB(Luria Bertani) 조성
조성 함량
트립톤(tryptone) 10.0 g
이스트 추출물(yeast extract) 5.0 g
NaCl 5.0 g
증류수(distilled water) 1000 ㎖
단, 상기에서 아가 평판(agar plate) 제조 시 1.5% Bacto agar(Difco사, 미국)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추 물추출물, 열수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은 호흡기 질환의 병원성 균주 파스퇴렐라 물토시다(Psateurella multocida type A Pm033)와 돼지 글래서병 균주인 헤모필러스 파라수이스(Haemopilus parasuis)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추의 건조분말을 이용한 각 추출 분획으로부터의 항균 효과는 관찰되지 아니하였다(표 3 참조). 그 이유는 부추의 건조에 의해 항균단백질의 변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표 3] 본 발명의 부추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병원성 세균의 항균 활성
병원성 미생물 추출방법
물추출 열수추출 에탄올추출
Mannheimia ( Pasteurella ) haemolytica type A Ns N.D. N.D. N.D.
Enterotoxigenic E. coli N.D. N.D. N.D.
Pasteurella multocida type A Pm033 ++ ++ +
Haemopillus somnus N.D. N.D. N.D.
Haemopillus parasuis ++ +++ ++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E N.D. N.D. N.D.
단, 상기에서 +++는 활성이 강함; ++는 활성이 중간 정도; +는 활성이 약함; N.D.는 활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3. 이유자돈에 대한 부추 첨가 효과 확인
3-1. 이유자돈 사양시험 설계 및 공시동물
파주시 파평읍 적성리에 위치한 이유자돈 농장에서 25일령의 개체시중 평균 9.4 ㎏ 72두를 공시 3개의 처리군으로 나누어 무항생제 처리군(대조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추 건조분말 1.5중량%를 사료에 첨가한 처리군 1 및 상기 부추 건조분말 1.5중량%에 더하여 생균제 0.15중량%을 추가로 첨가한 처리군 2에 대하여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기본사료로는 서울축협의 이유자돈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생균제는 초대&F의 엔세라를 사용하였다.
3-2. 사양관리
시험돈은 체중을 기초로 하여 완전임의 배치하고, 전면틈새바닥이 설치된 돈방에서 사육하였으며, 이유자돈의 사양관리는 농장 관행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급식 하였다.
3-3. 체중 및 사료섭취량의 측정
시험돈은 체중은 개시 및 매주 각각 측정하였으며, 사료 섭취량은 매주 사료의 잔량을 측정하여 총 급여량으로부터 공제하여 계산하였다.
이유자돈에 대한 총 4주간의 사양실험에서 처리군 1은 돼지의 성장에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처리군 1은 대조군(폐사율 25%)과 처리군 2(폐사율 20.8%)과 비교하여 폐사율이 4.2%로 가장 낮았으며, 폐사율을 포함해서 종합 분석하면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있어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표 4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이유자돈에 있어서 부추를 이용한 항생제 대체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4] 부추 첨가 이유자돈 사양 성적
대조군 처리군 1 처리군 2
사육두수 24 24 24
폐사두수 (두/4주) 6 1 2
폐사율 (%) 25.0 4.2 20.8
체중 (전체)
개시체중 (㎏/두) 9.06±0.21 9.66±0.17 9.45±0.34
종료체중 (㎏/두) 21.11±0.82 20.98±0.79 20.41±0.60
증체량 (㎏/두/4주) 12.05 11.32 10.96
체중 (중간 50%)*
개시체중 (㎏/두) 9.12±0.11 9.62±0.11 8.99±0.18
종료체중 (㎏/두) 19.17±0.71 20.67±0.58 19.61±0.47
증체량 (㎏/두) 10.05 11.05 10.62
사료섭취량 (㎏/두/4주) 19.89 18.49 22.71
사료효율 (전체두수 4주 증체량/4주 사료섭취량) 0.606 0.612 0.483
단, 상기 값은 각 처리별 두수의 평균값이며, 중간 50% 체중은 상위 및 하위 25%를 제외한 개체의 평균 체중값이다.
3-4. 돼지분변의 세균 측정
사양 시험돈의 분변을 0, 2, 4주에 채취하여 0.85% 살린 완충용액으로 희석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표 1의 병원성 균주에 대해 주차별 세균총 분포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 과는 표 5 및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5] 이유자돈 분변으로부터 주차별 균총 검사
Figure 112007039299429-pat00001
단, 상기 값은 각 처리군별 두수의 평균값이며, ND는 미생물이 관찰되지 아 니하였음을 의미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엔테로코쿠스(Enterococcus)에 대해서는 처리군 1에서 대조군 및 처리군 2와 비교하여 감소하였고, 엔테로박터(Enterobacter)도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 1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3 참조).
또한, 처리군 1에서는 대조군과 처리군 1과 비교하여 병원성 대장균(E. coli)는 검출되지 아니하였다(도 4 참조).
한편,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는 대조군과 처리군 2에 비해 처리군 1에서 가장 많은 증가를 나타내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참조).
반면, 살모넬라(Salmonella) 속은 모든 처리군에서 검출되지 아니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부추의 첨가가 병원성 기회 감염균의 억제와 유익균의 생육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돼지의 장낸 균총 유지 및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5. 혈액 화학성분 측정
혈액성분 분석을 위한 채혈은 시험 개시 및 종료 시에 실시하였으며, 각 처리군 별로 4두씩 1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5 ㎖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SST(Sodium Sulfite Titration)와 K2 EDTA 처리 튜브에 각각 3 ㎖와 2 ㎖씩 담아 분석 전까지 4℃ 냉장 보관을 하였으며, 자동혈액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혈액 분석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이유자돈의 혈액 성상
Figure 112007039299429-pat00002
단, 상기 값은 각 처리군별 4두의 평균값이다.
상기 표 6에 명시된 것과 같이, 알부민, GOT(AST), GPT(ALT) 및 IgG 농도들은 각 처리군별 큰 차이는 없었다.
혈중 총 단백질은 처리군 1이 다소 낮았으며, HDL-콜레스테롤 및 글루코오스는 처리군 2가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지질,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총 콜레스테롤은 대조군과 처리군 2에 비교하여 처리군 1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예 4. 비육후기돈에 대한 부추 첨가 효과 확인
4-1. 사양시험 설계 및 공시 동물
파주시 파평읍 적성리에 위치한 농장에서 17주령의 개체시중 평균 70.2 ㎏ 90두를 공시 3개의 처리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으로는 관행 항생제 처리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추 건조분말 1.5중량%를 사료에 첨가한 처리군 1 및 상기 부추 건조분말에 1.5중량%에 더하여 활성탄 0.5중량%와 생균제 0.15중량%를 추가로 첨가한 처리군 2에 대하여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기본사료로는 부천축협의 비육후기돈 사료를 사용하였고, 상기 활성탄을 파주축협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으며, 상기 생균제는 초대&F의 엔세라를 사용하였다.
4-2. 사양관리
시험돈은 체중을 기초로 하여 완전임의 배치하고, 전면틈새바닥이 설치된 돈방에서 사육하였으며, 비육후기돈의 사양관리는 농장 관행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급식 하였다.
4-3. 체중 및 사료섭취량의 측정
시험돈은 체중은 개시 및 매주 각각 측정하였으며, 사료 섭취량은 매주 사료의 잔량을 측정하여 총 급여량으로부터 공제하여 계산하였다.
비육후기돈에 대한 총 5주간의 사양실험에서 처리군 1 및 처리군 2는 돼지의 성장에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구체적으로, 처리군 1은 대조군과 처리군 2의 개시체중과 비교해 볼 때,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부추 건조분말이 비육후기돈에 있어서 청정 브랜드육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표 7] 부추 건조분말에 의한 사양 성적
대조군 처리군 1 처리군 2
개시체중(㎏/두) 70.50 66.78 73.35
종료체중(㎏/두) 102.35 100.26 106.20
증체량(㎏/두/주) 6.37 6.70 6.57
사료섭취량(㎏/두/주) 20.34 20.33 21.21
사료효율 (증체량/사료섭취량) 0.31 0.33 0.31
단, 상기 값은 각 처리군별 30두의 평균값이다.
4-4. 돼지분변에 있어서 세균 측정
사양 시험돈의 분변을 0, 2, 5주째에 채취하여 0.85% 살린 완충용액으로 희석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LB 배지(Luria Bertani media), BCP(유산균 분리 아가), 크롬 아가(Chrom agar; ChroMagar TM) 평판배지에서 도말한 후 일반 세균군총, 유산균, 병원성 기회 감염균을 계산하였다.
하기의 표 8에 명시한 바와 같이, 엔테로코쿠스(Enterococcus)는 처리군 1이 대조군과 처리군 2와 비교하여 다소 감소하였고(도 6 참조), 시트로박터(Citrobacter)는 처리군 1과 처리군 2에서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도 7 참조).
엔테로박터(Enterobacter)는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 1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도 8 참조), 특히 처리군 1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장균(E. coli)을 가장 많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9 참조).
또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처리군 1과 처리군 2에서 가장 많은 증가가 나타나,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0 참조).
반면, 살모넬라(Salmonella) 속 모든 처리군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부추의 첨가가 병원성 기회 감염균의 억제와 유익균의 생육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돼지의 장내 건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표 8] 후기비육돈 분변으로부터 주차별 균총 검사 (균수/g)
Figure 112007039299429-pat00003
단, 상기에서 ND는 미생물이 관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4-5. 혈액 화학성분의 측정
혈액성분 분석을 위한 채혈은 시험 종료 시 실시하였으며, 각 처리군 별로 5두씩, 1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5 ㎖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SST와 K2 EDTA 처리 튜브에 각각 3 ㎖와 2 ㎖씩 담아 분석 전까지 4℃에서 냉장보관을 하였으며, 자동혈액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표 9 참조).
그 결과, 알부민, 총 단백질, HDL-콜레스테롤 및 IgG는 각 처리군 별로 차이는 없었으며, GOT(AST)와 GPT(ALT)는 처리군 1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글루코오스(glucose)는 처리군 2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 지방산과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처리군 1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콜레스테롤은 대조군과 처리군 2에 비해 처리군 1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부추 건조분말이 콜레스테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9] 비육후기돈의 혈액 성상
대조군 처리군 1 처리군 2
Albumin, g/㎗ 4.38±0.14 4.18±0.13 4.09±0.11
Total Protein, g/㎗ 7.53±0.24 7.54±0.19 7.24±0.12
GOT(AST), IU/ℓ 85.4±6.30 124±19.24 85.4±3.57
GPT(ALT), IU/ℓ 75±8.55 80.6±12.44 70.2±6.66
Glucose, ㎎/㎗ 118.2±2.92 118.8±10.49 127.2±6.83
Total Cholesterol, ㎎/㎗ 125±5.94 108±5.28 117±5.98
Free Fatty Acid(NEFA), uEq/ℓ 252.4±24.4 455.6±75.5 322±39.3
HDL-Cholesterol, ㎎/㎗ 52.8±1.97 51.1±0.59 50.2±1.99
Total Lipid, ㎎/㎗ 434.4±26.9 421.6±28.5 378.6±13.3
Triglyceride, ㎎/㎗ 33.6±3.47 40.2±4.97 29.6±2.71
IgG, ㎎/㎗ 380.4±18.6 366.6±5.2 379±13.8
단, 상기 값은 각 처리군별 10두의 평균값이다.
4-6. 도체성적 분석
실험 종료 후 도체 분석을 위해 각 처리군 10마리씩 임의 선발하여 24시간 절식 후 부천축산물 공판장에서 도축하여 도체 성적을 얻었다(표 10 참조).
비육돈의 도체중은 대조군과 처리군 2에 비해, 처리군 1이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개시체중을 비교하여 볼 때 처리군 1이 오히려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등지방 두께에서는 처리군 1이 다른 처리군에 비교하여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등급판정율을 보면, A등급은 대조군이 30%인데 반해 처리군 1과 처리군 2는 각각 50%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B등급은 대조군 60%, 처리군 1에서 30%, 처리군 2에서 10%였으며, C등급은 처리군 1에서 10%, 처리군 2에서 40%로 나타났다. 또한, D등급은 대조군 10%, 처리군 1에서 10%로 나타났다.
도체성적을 종합해 볼 때, 대조군에 비교하여 처리군 1이 A와 B등급 판정율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서 개시체중의 차이(대조군: 70.5 ㎏, 처리군 1: 66.7 ㎏)의 차이를 고려한다면 오히려 대조군보다 처리군 1의 성적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0] 비육후기돈의 도체성적
도체분석 대조군 처리군 1 처리군 2
도체중, ㎏ 83.5 81.9 85
등지방두께, ㎝ 24.7 24.2 26.2
등급판정율, %
A 30 50 50
B 60 30 10
C 0 10 40
D 10 10 0
100 100 100
단, 상기 값은 각 처리군별 15두의 평균값이다.
4-7. 육질 분석
도체 후 24시간 냉장보관 하였으며, 각 처리군당 9두씩 등심(목심이 끝나고 등심이 시작되는 부위부터 15 ㎝)을 절단하여, 아래와 같이 보수력, 전단력, 가열감량, 육색도 및 pH를 측정하였다(표 11 참조).
(1) 보수력
보수력은 전수분과 유리 수분을 구한 뒤 하기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전수분(W%) = (A - B)/A × 100
유리수분(F%) = (C - D)/C × 100
보수력(W, H, C%) = (전수분 - 유리수분)/전수분 × 100
단, 상기에서 A는 건조 전 시료의 무게, B는 건조 후 시료 무게, C는 원심분리 전 시료 무게 및 D는 원심분리 후 시료 무게를 의미한다.
(2) 전단력
가열한 시료를 실온에서 1시간 방냉시킨 후 시료채취기(직경 11 ㎜)로 근섬유와 평행하게 취하여 블레이드셋(bladeset; Warner Bratzler blade, 영국)으로 시료의 전단력을 측정하였으며, 이때의 교차 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는 2 ㎜/sec였다.
(3) 가열수율(가열감량)
95℃ 수욕조에서 시료의 중심 온도가 75℃가 될 때까지 조리한 돈육을 상온에서 20분간 방냉시킨 후 다음 식에 의하여 가열수율을 측정하였다.
가열수율(%) = 가열 후 중량/가열 전 중량 × 100
(4) 육색
시료의 표면을 색도 측정기(chromometer; CR210, Minolta, 일본)를 이용하여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색은 L* = +97.83, a* = -0.43 및 b* = +1.98인 표준색판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였다.
(5) pH
근막, 지방 등을 제거한 후 세절한 시료 3 g을 증류수 27 ㎖와 함께 균질화기로 14,000 rpm에서 20초간 균질하여 pH-meter(Isterk-735P, 한국)로 측정하였다.
하기 표 11에 명시된 바와 같이, 보수력은 처리군 2가 다른 처리군에 비교하여 다소 높았으며, 가열감량은 처리군 1이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육색도의 명도에서는 처리군 1이 다소 높았으며, 적색도에서는 처리군 2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종합해 볼 때, 각 처리군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아니 하였고, 또한 각 처리군의 육질을 육안으로 비교하였을 때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아니하였다(도 11 참조).
[표 11] 비육후기돈의 육질 성적
분석항목 대조군 처리군 1 처리군 2
pH 5.40 5.29 5.47
보수력 42.27 42.48 43.58
전단력 3.93 4.28 3.58
가열감량 27.58 31.19 29.46
육색도(명도) 54.61 55.15 54.66
육색도(적색도) 14.85 14.28 15.32
육색조(황색도) 4.38 4.69 4.42
단, 상기 값은 각 처리군별 15두의 평균값이다.
4-8. 관능검사
도체 후 24시간 냉장보관 하였으며, 각 처리군 당 9두씩 등심(목심이 끝나고 등심이 시작되는 부위부터 15 ㎝)을 절단하여, 전공 관련 전문가 20명에게 관능검사 수치를 정해 기호도, 다즙성, 냄새, 육색, 및 연도에 대하여 5점을 만점으로 평점하고 그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평점표에서 5점은 가장 우수하고, 1점은 가장 열악한 품질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다즙성은 즙이 많을수록 점수가 높으며, 냄새는 안 날수록, 육색은 색의 호감도가 높을수록, 및 연도는 질김의 정도가 연할수록 평점이 높다.
하기 표 13에 명시된 바와 같이, 기호도, 다즙성, 냄새, 육색 및 연도에서 처리군 1 및 처리군 2가 대조군에 비해 좋은 평가를 얻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부추 가루분말의 첨가가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비육후기돈에 있어 부추를 이용한 청정 브랜드육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
[표 12] 비육후기돈 관능검사
기호도 다즙성 냄새 육색 연도
대조군 2.78±0.34 2.33±0.40 2.88±0.48 3.11±0.34 2.78±0.40
처리군 1 3.22±0.40 3.22±0.40 2.88±0.34 3.22±0.34 3.11±0.44
처리군 2 3.44±0.34 3.44±0.34 3.00±0.40 3.47±0.30 3.24±0.27
단, 상기 값은 각 처리군별 20명의 평균값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돈 사료에 부추를 첨가함으로써 항생제나 면역증강용 사료첨가제를 대신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그 결과 농업생태계 환경오염 경감 및 친환경 사육으로 치료제 사용 절감에 따른 양돈 농가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이유자돈의 폐사율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항생제 사용량을 혁신적으로 감소시키고, 무항생제 사육 시스템을 확립하여 양돈 산업 발전과 고급 청정 돈육의 생산으로 돈육의 브랜드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양돈 사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부추를 건조 분말의 형채로 1.0 ~ 2.0중량%로 함유하는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을 생체중 9.4 ㎏의 25일령 이유자돈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돈육의 생산방법.
  3. 양돈 사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부추를 건조 분말의 형채로 1.0 ~ 2.0중량%로 함유하는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을 생체중 70.2 ㎏의 17주령 비육후기돈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고급 청정 돈육의 생산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는 1 ~ 35일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돈육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항 또는 제3항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돈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70052011A 2007-05-29 2007-05-29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 KR100893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011A KR100893155B1 (ko) 2007-05-29 2007-05-29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011A KR100893155B1 (ko) 2007-05-29 2007-05-29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763A KR20080104763A (ko) 2008-12-03
KR100893155B1 true KR100893155B1 (ko) 2009-04-16

Family

ID=4036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011A KR100893155B1 (ko) 2007-05-29 2007-05-29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613B1 (ko) * 2020-04-28 2022-04-20 김창섭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877A (ko) * 2002-05-18 2002-07-12 김학응 사료부패곰팡이, 식물병원성곰팡이 및 식물부패곰팡이에대해 항균효과를 가지는 부추추출물 및 항균 활성성분의추출방법
KR20060099192A (ko) * 2005-03-10 2006-09-19 (주)바이오뉴트리젠 항산화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체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가축사료첨가제조성물
KR100679153B1 (ko) 2004-08-26 2007-02-05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추동물의 메탄 생성량을 억제하기 위한 사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877A (ko) * 2002-05-18 2002-07-12 김학응 사료부패곰팡이, 식물병원성곰팡이 및 식물부패곰팡이에대해 항균효과를 가지는 부추추출물 및 항균 활성성분의추출방법
KR100679153B1 (ko) 2004-08-26 2007-02-05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추동물의 메탄 생성량을 억제하기 위한 사료조성물
KR20060099192A (ko) * 2005-03-10 2006-09-19 (주)바이오뉴트리젠 항산화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체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가축사료첨가제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부추 추출물에 의한 Escherichia coli 및 Staphylococcus aureus의 생육 저해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0권-1호 196-198쪽, 2001.02.28, 이민경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763A (ko)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wdhury et al. Effect of citric acid, avilamycin, and their combination on the performance, tibia ash, and immune status of broilers
Ross et al. Effects of probiotic administration in swine
Haque et al. Effect of dietary citric acid, flavomycin and their combination on the performance, tibia ash and immune status of broiler
Blaiotta et al. Production of probiotic bovine salami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299v as adjunct
Madruga et al. Meat quality of Moxotó and Canindé goats as affected by two levels of feeding
Oladipo et al. Nutritional and microbial quality of fresh and dried Clarias gariepinus and Oreochromis niloticus
Incharoen et al. Intestinal villus histological alterations in broilers fed dietary dried fermented ginger
TWI359666B (ko)
KR101255166B1 (ko) 천연물을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Rigobelo et al. Use of probiotics to reduce faecal shedding of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sheep
Tekeli et al. Determination of the effects of Z. officinale and propolis extracts on intestinal microbiology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in broilers
Shah et al.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treated King grass silage on the performance traits and serum metabolites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Oryctolagus cuniculus)
Das et al. Edible oil marination in broiler meat for short term preservation
Visscher et al. Effects of feed particle size at dietary presence of added organic acids on caecal parameters and the prevalence of Salmonella in fattening pigs on farm and at slaughter
Peña et al. Use of grape pomace in formulated feed for the rainbow trout fry, Oncorhynchus mykiss (Walbaum, 1792)
Hossain et al. Evaluation of green tea by-product and green tea plus probiotics on th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immunity of growing–finishing pigs
Stefanello et al. Stability of vacuum-packed meat from finishing steers fed different inclusion levels of brewer's spent grain
KR20200080867A (ko) 발효된 주스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El-Katcha et al. Impact of water acidification or magnetic treatment on growth performance, health and oxidative status of broiler chicks challenged by Salmonella enteritidis.
KR100893155B1 (ko) 부추를 첨가한 양돈 사료 조성물
Ahmad et al. Effects of replacing antibiotic growth promoters (AGPS) with botanical extracts and oils in feed of laying hens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some microbial counts in feces.
Ítavo et al. Influence of solid residue from alcoholic extraction of brown propolis on intake, digestibility,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of lambs in feedlot.
Soto et al. Probiotic effect on calves infected with Salmonella Dublin: haematological parameters and serum biochemical profile
SI et al. Effect of propolis on the immune response and meat quality in experimentally Escherichia coli infected broilers
Partovi et al. Breast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its oxidative status during storage at refrigerator temperature and growth capabilities of Japanese quail fed by Echinacea purpurea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