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987A -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987A
KR20190033987A KR1020170122806A KR20170122806A KR20190033987A KR 20190033987 A KR20190033987 A KR 20190033987A KR 1020170122806 A KR1020170122806 A KR 1020170122806A KR 20170122806 A KR20170122806 A KR 20170122806A KR 20190033987 A KR20190033987 A KR 20190033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ek
chicken feed
manufacturing
raw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김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섭 filed Critical 김창섭
Priority to KR102017012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3987A/ko
Publication of KR2019003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7Poultry or ruminant fee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은, 부추를 전처리하여 부추부산물을 생성하는 제1 단계;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단미원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부추부산물 및 상기 단미원료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배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HICKEN FEED INCLUDING CHIVES}
본 발명은 닭 사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달걀 생산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의 일종으로 달걀의 맛과 영양을 증대시키기 위한 닭 사료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두부, 두유 및 대두유 등의 식품가공 폐기물인 비지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하는 monacolin K 함량을, 쌀을 이용한 기존의 홍국에 비하여 280%나 높은 함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발효법을 이용하여 발효된 비지홍국을 기존의 닭 사료에 5-20% 혼합하여 닭고기와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1/2∼1/3로 낮출 수 있는 사료의 제조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6977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부추가 갖고 있는 우수한 영양성분과 오메가 3 지방산 등의 기능성 성분을 갖는 단미원료를 이용하여 닭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신선도, 풍미, 난색, 난각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상품성이 뛰어난 계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은, 부추를 전처리하여 부추부산물을 생성하는 제1 단계;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단미원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부추부산물 및 상기 단미원료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배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부추를 예비 건조시키는 제1a 단계; 예비 건조된 상기 부추에 농약이 잔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제1b 단계; 예비 건조된 상기 부추의 성분을 분석하는 제1c 단계; 예비 건조된 상기 부추를 발효시키는 제1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은, 부추부산물과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단미원료의 적절한 배합을 통하여 닭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 6의 비율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비율을 충족하는 계란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섭취시 심혈관계wlfghksdml 원인물질인 중성지방의 혈중 수치가 감소시키고, 면역 기능을 강화시키고, 비만, 암, 고혈압, 당뇨, 염증반응, 우울증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계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의 부추부산물을 생성하는 제1 단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사료 제조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도 1의 부추부산물을 생성하는 제1 단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3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부추를 전처리하여 부추부산물을 생성하는 제1 단계(S100)가 수행되는데, 이러한 부추는 특히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미네랄, 비타민 등이 풍부하므로 매우 우수한 사료 자원이 된다.
특히, 상술한 제1 단계(S10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5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부추를 예비 건조시키는 제1a 단계(S110)가 수행되며, 이후 예비 건조된 부추에 농약의 잔류여부를 검사하는 제1b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이후, 예비 건조된 부추의 성분을 분석하는 제1c 단계(S130)와, 예비 건조된 부추를 발효시키는 제1d 단계(S140)가 수행되며, 마지막으로 발효된 부추를 저장하는 제1e 단계(S150)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부추부산물, 특히 부추부산물 사일리지를 준비할 경우, 계절적 수급 불균형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질의 사료 자원을 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닭 사료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상술한 제1 단계(S100) 이후에는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단미원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S200)가 수행된다.
즉, 부추의 우수한 영양성분 뿐만 아니라 오메가3 지방산이 함유된 기능성 단미원료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단미원료로는 아마, 임자박, 루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계란 내에 원하는 영양성분의 함유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성 재료, 예를 들면 오메가3, 미강, 싸라기, 굼벵이 등을 상술한 부추부산물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단계(S200) 이후, 부추부산물 및 단미원료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배합하는 제3 단계(S300)가 수행된다.
이때 우수한 영양성분을 갖는 부추부산물과 기능성 성분을 갖는 단미원료의 혼합 비율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양소 요구량의 충족을 위한 최적 혼합비는 컴퓨터로 설계하여 산란성적에 맞도록 급여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계란의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 6의 비율과 관련하여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 비율을 1:4.5 이하인데, 이에 부합하기 위하여 부추부산물 및 기타 단미원료의 배합 비율을 별도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닭 사료를 닭에게 급여하면서 사육하여 생산된 계란을 섭취시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물질인 중성지방의 혈중 수치가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계란의 신선도, 풍미, 난색, 난각 등의 발달이 우수하므로 상품성이 뛰어난 계란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부추를 전처리하여 부추부산물을 생성하는 제1 단계;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단미원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부추부산물 및 상기 단미원료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배합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부추를 예비 건조시키는 제1a 단계;
    예비 건조된 상기 부추에 농약이 잔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제1b 단계;
    예비 건조된 상기 부추의 성분을 분석하는 제1c 단계;
    예비 건조된 상기 부추를 발효시키는 제1d 단계;
    를 포함하는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KR1020170122806A 2017-09-22 2017-09-22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KR20190033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806A KR20190033987A (ko) 2017-09-22 2017-09-22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806A KR20190033987A (ko) 2017-09-22 2017-09-22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87A true KR20190033987A (ko) 2019-04-01

Family

ID=6610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806A KR20190033987A (ko) 2017-09-22 2017-09-22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39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983B1 (ko) 2019-10-29 2021-03-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추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k471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20210132882A (ko) * 2020-04-28 2021-11-05 김창섭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20220109196A (ko) 2021-01-28 2022-08-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금 병원성 세균 및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발효부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그 효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75A (ko) 2001-05-11 2001-07-25 김순동 다량의 모나콜린이 함유된 비지 홍국을 이용한 닭사료와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75A (ko) 2001-05-11 2001-07-25 김순동 다량의 모나콜린이 함유된 비지 홍국을 이용한 닭사료와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983B1 (ko) 2019-10-29 2021-03-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추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k471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20210132882A (ko) * 2020-04-28 2021-11-05 김창섭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20220109196A (ko) 2021-01-28 2022-08-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금 병원성 세균 및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발효부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그 효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3987A (ko) 부추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CN103110008A (zh) 大口黑鲈无鱼粉浮性膨化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381642A (zh) 一种鲤鱼成鱼饲料的制备方法
CN103918911A (zh) 一种黄鸡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001054A (ko) 고양이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Riaz et al. Use of Camelina sativa and by-products in diets for dairy cows: A review
Pinotti et al. Pig-based bioconversion: the use of former food products to keep nutrients in the food chain
CN103392757A (zh) 一种微胶囊营养面粉改良剂
CN105995248A (zh) 一种罗非鱼育成期膨化配合饲料
CN105831414A (zh) 一种高脂肪膨化豆粕/饼饲料原料
CN104430941A (zh) 一种营养美味调和食用油
Morgan World vegetable oil consumption expands and diversifies
CN103621818A (zh) 一种鲤鱼饲料
KR101358396B1 (ko) 마를 함유한 쌀국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마 쌀국수
CN105410360A (zh) 一种提高羊肉肉质的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Ogbuewu et al. Utilisation of cassava as energy and protein feed resource in broiler chicken and laying hen diets
Pottgüter Potential for use of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DDGS) in layer diets
RU2245077C1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з семян облепихи
Sjafrina et al. Consumers Preferences to Sweet Potato Flakes (Spf) from Sweet Potato Pasta as A Raw Material, with Enrichment Mung Bean Flour as Source Protein
Judy et al. Other uses of tomato by-products
Chakraborty et al. Strategic nutrient enhancement of mustard oil seed cake by briquetting and koji fermentation for ruminants feed
Kouadio et al. Biochemical, nutrients,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ockounou flours enhanced with soybean and Voandzou
Jaiyeoba et al. EVALUATION OF YELLOW-MAIZE OGI FLOUR COMPLEMENTED WITH OYSTER MUSHROOM (Pleurotusostreatus) FLOUR
Saavedra-Castillo et al. ENZYMES FROM Pleurotus ostreatus SPENT SUBSTRATE USED FOR FATTENING RABBITS: EFFECTS ON PRODUCTIVE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CHARACTERISTICS
You et al. Development of Tteokgalbi Supplemented with Mudfish (Misgurnus mizolepis) and Radish Greens (Raphanus sativus L. Lea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