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692B1 -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692B1
KR102505692B1 KR1020217010505A KR20217010505A KR102505692B1 KR 102505692 B1 KR102505692 B1 KR 102505692B1 KR 1020217010505 A KR1020217010505 A KR 1020217010505A KR 20217010505 A KR20217010505 A KR 20217010505A KR 102505692 B1 KR102505692 B1 KR 102505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up
laminate
formula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884A (ko
Inventor
나오야 시바타
유야 하마구치
다케히로 가사하라
나오키 고이토
쥰 다케다
유미 가토
다카시 요네모토
유타카 노조에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02838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056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0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441A/ko
Publication of KR2021005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60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nitro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55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1/00Presence of cellulose
    • C09J2401/006Presence of cellulos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9/00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 C09J2429/003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3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 배향층과 광흡수 이방성층을 갖는 적층체에 있어서, 지지체만을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지지체, 배향층, 광흡수 이방성층, 점착층을 이 순서로 갖고, 지지체, 점착층을 제외하고 지지체부터 점착층의 사이의 두께가 5μm 이하이며, 점착층의 두께가 5μm~50μm인 적층체이다.

Description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색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광흡수 이방성층에 대하여 다양한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액정 경화막과, 점접착제층과, 위상차 필름과, 점접착제층을 이 순서로 적층한 원편광판으로서, 그 액정 경화막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기재면 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로 경화된 두께가 3μm 이하인 막이며,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막인 원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청구항 16]).
한편, 최근의 표시 장치의 가일층의 박형화의 요망으로부터, 상술한 원편광판 등에 이용되고 있던 지지체를 박리하여 박형화하는 양태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서는, 박형의 광학 이방성 필름을 부여하는 광학 이방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0004]).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27431호
그러나, 다양한 기능 발현을 위하여 층 구성이 복잡한 경우, 전사 시에 어느 계면에서 박리할지를 컨트롤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특히, 편광자 등이 박형화되고 있는 등의 이유에 의하여 각층(各層)이 매우 얇은 적층체인 경우, 박리 계면의 컨트롤은 더 난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지지체, 배향층 및 광흡수 이방성층을 갖는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만을 박리하려고 해도, 배향층과 광흡수 이방성층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체, 배향층과 광흡수 이방성층을 갖는 적층체에 있어서, 지지체만을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다른 부재와 첩합시킬 때의 점착층의 성질에 의하여, 그 외의 계면에서의 박리성이 변화하는 것을 알아냈다.
즉, 지지체, 배향층, 광흡수 이방성층 및 점착층을 이 순서로 갖고, 지지체 및 점착층을 포함하지 않는 지지체부터 점착층까지의 사이의 두께가 5μm 이하인 적층체에 있어서, 점착층의 두께를 특정의 값으로 함으로써, 지지체만을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1] 지지체, 배향층, 광흡수 이방성층, 및 점착층을 이 순서로 갖고,
지지체 및 점착층을 포함하지 않는 지지체부터 점착층까지의 사이의 두께가 5μm 이하이며,
점착층의 두께가, 5μm~50μm이고,
배향층이,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신나모일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광배향층인, 적층체.
[2]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이, 100kPa~20MPa인, [1]에 기재된 적층체.
[3]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이, 100kPa~2MPa인, [2]에 기재된 적층체.
[4] 점착층의 두께가, 10μm 초과 50μm 이하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5] 광흡수 이방성층이, 이색성 물질과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6] 광흡수 이방성층이, 이색성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7] 광흡수 이방성층의 두께가, 0.1μm~3μm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8] 배향층의 두께가, 0.1μm~2μm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9] 배향층의 두께가, 0.5μm 초과 2μm 이하인, [8]에 기재된 적층체.
[10] 신나모일 화합물이, 후술하는 식 (A)로 나타나는 광배향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A와, 후술하는 식 (B)로 나타나는 가교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B를 갖는, 광배향성 공중합체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1] 후술하는 식 (A) 중의 L1이, 후술하는 식 (1)~(10)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2가의 연결기인, [10]에 기재된 적층체.
[12] 액정성 화합물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인, [5]에 기재된 적층체.
[13] 액정성 화합물이,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인, [5]에 기재된 적층체.
[14] 광흡수 이방성층이, 저분자 액정성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13]에 기재된 적층체.
[15] 광흡수 이방성층과 점착층의 사이에, 두께 100nm 이하의 경화층을 더 갖는,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6] 경화층이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15]에 기재된 적층체.
[17] 경화층이 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층인, [15]에 기재된 적층체.
[18] 광흡수 이방성층과 점착층의 사이에, 두께 2μm 이하의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더 갖는,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9] 지지체와 배향층이 접하고 있는,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20] 배향층과 광흡수 이방성층이 접하고 있는,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21]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와, 표면 필름을 갖고, 점착층과 표면 필름이 접하고 있는, 적층체.
[22] 지지체가 박리된, [21]에 기재된 적층체.
[23] 위상차 필름을 더 갖고, 위상차 필름이 배향층 측에 배치된, [22]에 기재된 적층체.
[24]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와, 화상 표시 소자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 배향층과 광흡수 이방성층을 갖는 적층체에 있어서, 지지체만을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행, 직교란 엄밀한 의미에서의 평행, 직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평행 또는 직교로부터 ±5°의 범위를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성분은,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을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각 성분에 대하여 2종 이상의 물질을 병용하는 경우, 그 성분에 대한 함유량이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병용한 물질의 합계의 함유량을 가리킨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내는 표기이고,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나타내는 표기이며, "(메트)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또는 "메타크릴로일"을 나타내는 표기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정성 조성물, 액정성 화합물이란, 경화 등에 의하여, 더 이상 액정성을 나타내지 않게 된 것도 개념으로서 포함된다.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지지체, 배향층, 광흡수 이방성층, 및 점착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이다.
또, 본 발명의 적층체는, 지지체 및 점착층을 포함하지 않는 지지체부터 점착층까지의 사이의 두께가 5μm 이하이며, 또한 점착층의 두께가, 5μm~50μm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배향층이,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신나모일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광배향층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전체의 구성을 도 1~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후에,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적층체(10)는, 지지체(1), 배향층(2), 광흡수 이방성층(3), 및 점착층(4)을 이 순서로 갖는다.
또, 적층체(10)는, 지지체(1) 및 점착층(4)을 포함하지 않는 지지체(1)부터 점착층(4)까지의 사이의 두께, 즉 지지체(1)의 배향층(2) 측의 표면으로부터 점착층(4)의 광흡수 이방성층(3) 측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5μm 이하이며, 1μm~4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층체(10)는, 점착층(4)의 두께는 5μm~50μm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1)와 배향층(2)이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적층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향층(2)과 광흡수 이방성층(3)이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흡수 이방성층(3)과 점착층(4)의 사이에, 두께 100nm 이하의 경화층(5)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흡수 이방성층(3)과 점착층(4)의 사이에, 두께 2μm 이하의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하, "PVA층"이라고도 약칭한다.)(6)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경화층(5)과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층(6)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흡수 이방성층(3), 경화층(5),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층(6) 및 점착층(4)을 이 순서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필름(7)을 더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표면 필름(7)과 점착층(4)이 접하고 있다, 즉 표면 필름(7)과 그 외의 층이 점착층(4)에 의하여 첩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도 2에 나타내는 지지체(1)를 박리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1)를 갖지 않는 상태에서 이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적층체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8)을 더 갖고 있어도 되고, 그 경우, 위상차 필름(8)은 배향층(2)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점착층은, 두께가 5μm~50μm이면, 이용하는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각종 공지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은, 지지체의 박리성을 보다 조절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10kPa~2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10kPa~2M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 탄성률은, 아이티 게이소쿠 세이교 주식회사제의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DVA-200)를 이용하여, 주파수 1Hz, 25℃에서 측정한 값을 말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점착층의 두께는, 5μm~50μm이며, 10μm 초과 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박리성의 조정이 보다 용이해진다.
<점착층에 이용되는 소재>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점착층에 포함되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유레테인계 점착제, 바이닐알킬에터계 점착제,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바이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점착제, 및 셀룰로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감압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에스터 부분의 알킬기가 메틸기, 에틸기 또는 뷰틸기 등의 탄소수가 20 이하의 알킬기인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메트)아크릴산이나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는, 점착성이 우수하고, 또, 타 부재에 첩합한 후에, 박리할 때도, 표시 장치에 잔여 접착 등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비교적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25℃ 이하가 바람직하고, 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지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로서는 박리 가능한 지지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지체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글루타르산 무수물계 수지, 글루타르이미드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복수 종의 수지의 혼합 수지를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셀룰로스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박리성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지지체의 두께는 10~200μm가 바람직하고, 50~200μm가 더 바람직하며, 100~20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에 따라, 지지체의 탄성률을 조정함으로써, 박리성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배향층의 조성물에 따라, 스며들기 어려운 지지체를 선택함으로써 지지체/배향층의 밀착력을 낮추는 것에 의하여, 박리성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배향층〕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배향층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신나모일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광배향층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배향층의 두께는, 0.1μm~2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0.5μm 초과 2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배향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이하, 본 단락에 있어서 "중합성기"라고 약칭한다.)를 갖는 신나모일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광배향층이며, 그중에서도, 신나모일 화합물로서 후술하는 광배향성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형성한 광배향층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흡수 이방성층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과 동종의 중합성기(예를 들면, 메타크릴로일기 또는 아크릴로일기)가, 광배향층의 조성물에도 포함됨으로써 서로의 층이 화학 결합하여 광배향층/광흡수 이방성층의 층간 밀착력이 높아져, 본 발명의 과제인 지지체만을 박리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적층체를 실현하는 데 유리하다.
<광배향성 공중합체>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배향성 공중합체는, 하기 식 (A)로 나타나는 광배향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A와,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가교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B를 갖는, 광배향성의 공중합체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41278672-pct00001
상기 식 (A)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L1은, 질소 원자와 사이클로알케인환을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사이클로알케인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일부가,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2, R3, R4, R5 및 R6 중, 인접하는 2개의 기가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식 (B) 중,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L2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며, X는, 하기 식 (X4)로 나타나는 가교성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21041278672-pct00002
상기 식 (X4) 중, *는, 상기 식 (B) 중의 L2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내고, S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 (A)로 나타나는 광배향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A와, 상기 식 (B)로 나타나는 가교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B를 갖는 광배향성 공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광배향막의 내용제성 및 액정 배향성이 양호해진다.
이것은, 상세하게는 명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즉, 상기 식 (A) 중의 L1로 나타나는 2가의 연결기가, 질소 원자와 사이클로알케인환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수소 결합성 및 분자 강직성이 높아짐으로써 분자 운동이 억제되고, 그 결과, 내용제성이 향상되었다고 생각된다.
동일하게, 상기 식 (A) 중의 L1로 나타나는 2가의 연결기가, 질소 원자와 사이클로알케인환을 포함함으로써,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승하여, 얻어지는 광배향막의 경시 안정성이 향상된 결과, 광학 이방성층을 형성하는 타이밍에 관계없이, 액정 배향성이 양호해졌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상기 식 (A) 중의 L1이 나타내는, 질소 원자와 사이클로알케인환을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클로알케인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일부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사이클로알케인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일부가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는, 사이클로알케인환과는 별도로 질소 원자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식 (A) 중의 L1이 나타내는 2가의 연결기에 포함되는 사이클로알케인환은, 탄소수 6 이상의 사이클로알케인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사이클로헥세인환, 사이클로헵테인환, 사이클로옥테인환, 사이클로도데케인환, 사이클로도코세인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배향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상기 식 (A) 중의 L1이, 하기 식 (1)~(10)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2가의 연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21041278672-pct00003
상기 식 (1)~(10) 중, *1은, 상기 식 (A) 중의 주쇄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식 (A) 중의 카보닐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10)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2가의 연결기 중, 광배향막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용매에 대한 용해성과, 얻어지는 광배향막의 내용제성과의 밸런스가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상기 식 (2), (3), (7) 및 (8)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2가의 연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A) 중의 L1은, 상술한 "질소 원자와 사이클로알케인환을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 이외의 2가의 연결기여도 된다.
이와 같은 2가의 연결기로서는, 광배향성기가 액정성 화합물과 상호 작용하기 쉬워져, 인접하는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18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12의 아릴렌기, 에터기(-O-), 카보닐기(-C(=O)-), 및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이미노기(-N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 이상의 기를 조합한 2가의 연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식 (A) 중의 R2, R3, R4, R5 및 R6의 일 양태가 나타내는 치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식 (A) 중의 R2, R3, R4, R5 및 R6이, 치환기가 아닌 수소 원자여도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식 (A) 중의 R2, R3, R4, R5 및 R6의 일 양태가 나타내는 치환기는, 광배향성기가 액정성 화합물과 상호 작용하기 쉬워져, 액정 배향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젠 원자, 탄소수 1~20의 직쇄상, 분기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직쇄상의 할로젠화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사이아노기, 아미노기, 또는 하기 식 (11)로 나타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
Figure 112021041278672-pct00004
여기에서, 상기 식 (11) 중, *는, 상기 식 (A) 중의 벤젠환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내고, R9는,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할로젠 원자로서는, 예를 들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로민 원자, 아이오딘 원자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불소 원자, 염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20의 직쇄상, 분기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에 대하여, 직쇄상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분기상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3~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이소프로필기, tert-뷰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환상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3~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20의 직쇄상의 할로젠화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4의 플루오로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 퍼플루오로에틸기, 퍼플루오로프로필기, 퍼플루오로뷰틸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로서는, 탄소수 1~18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6~18의 알콕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6~14의 알콕시기가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n-뷰톡시기, 메톡시에톡시기, n-헥실옥시기, n-옥틸옥시기, n-데실옥시기, n-도데실옥시기, n-테트라데실옥시기 등을 적합하게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n-헥실옥시기, n-옥틸옥시기, n-데실옥시기, n-도데실옥시기, n-테트라데실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6~20의 아릴기로서는, 탄소수 6~12의 아릴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페닐기, α-메틸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로서는, 탄소수 6~12의 아릴옥시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페닐옥시기, 2-나프틸옥시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페닐옥시기가 바람직하다.
아미노기로서는, 예를 들면 제1급 아미노기(-NH2); 메틸아미노기 등의 제2급 아미노기; 다이메틸아미노기, 다이에틸아미노기, 다이벤질아미노기, 함질소 복소환 화합물(예를 들면, 피롤리딘, 피페리딘, 피페라진 등)의 질소 원자를 결합손으로 한 기 등의 제3급 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11)로 나타나는 기에 대하여, 상기 식 (11) 중의 R9가 나타내는 1가의 유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20의 직쇄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직쇄상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메틸기 또는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환상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3~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사이클로헥실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11) 중의 R9가 나타내는 1가의 유기기로서는, 상술한 직쇄상의 알킬기 및 환상의 알킬기를 직접 또는 단결합을 통하여 복수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배향성기가 액정성 화합물과 상호 작용하기 쉬워져, 액정 배향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상기 식 (A) 중의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R4가 상술한 치환기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얻어지는 광배향성 공중합체의 직선성이 향상되어, 액정성 화합물과 상호 작용하기 쉬워져, 액정 배향성이 더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R2, R3, R5 및 R6이 모두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얻어지는 광배향막에 광조사했을 때에 반응 효율이 향상되는 이유에서, 상기 식 (A) 중의 R4가 전자 공여성의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전자 공여성의 치환기(전자 공여성기)란, 하메트값(Hammett 치환기 상수 σp)이 0 이하의 치환기를 말하고, 예를 들면 상술한 치환기 중, 알킬기, 할로젠화 알킬기, 알콕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알콕시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액정 배향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탄소수가 6~16의 알콕시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7~10의 알콕시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식 (B) 중의 L2가 나타내는 2가의 연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2가의 연결기로서는, 광배향성기가 액정성 화합물과 상호 작용하기 쉬워져, 액정 배향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18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12의 아릴렌기, 에터기(-O-), 카보닐기(-C(=O)-), 및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이미노기(-N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 이상의 기를 조합한 2가의 연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알킬렌기, 아릴렌기 및 이미노기가 갖고 있어도 되는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젠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아릴옥시기, 사이아노기, 카복시기, 알콕시카보닐기 및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젠 원자로서는, 예를 들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로민 원자, 아이오딘 원자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불소 원자, 염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18의 직쇄상,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8의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n-뷰틸기, 아이소뷰틸기, sec-뷰틸기, t-뷰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1~4의 알킬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콕시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18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n-뷰톡시기, 메톡시에톡시기 등)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릴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6~12의 아릴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페닐기, α-메틸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아릴옥시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녹시, 나프톡시, 이미다조일옥시, 벤즈이미다조일옥시, 피리딘-4-일옥시, 피리미딘일옥시, 퀴나졸린일옥시, 퓨린일옥시, 싸이오펜-3-일옥시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카보닐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18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에 대하여, 직쇄상의 알킬렌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뷰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데실렌기, 운데실렌기, 도데실렌기, 트라이데실렌기, 테트라데실렌기, 펜타데실렌기, 헥사데실렌기, 헵타데실렌기, 옥타데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분기상의 알킬렌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다이메틸메틸렌기, 메틸에틸렌기, 2,2-다이메틸프로필렌기, 2-에틸-2-메틸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환상의 알킬렌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프로필렌기, 사이클로뷰틸렌기, 사이클로펜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사이클로옥틸렌기, 사이클로데실렌기, 아다만테인-다이일기, 노보네인-다이일기, exo-테트라하이드로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다이일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사이클로헥실렌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6~12의 아릴렌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페닐렌기, 자일릴렌기, 바이페닐렌기, 나프틸렌기, 2,2'-메틸렌비스페닐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페닐렌기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식 (B) 중의 X가 나타내는 가교성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 (B) 중의 X(가교성기)는, 하기 식 (X1)~(X4)로 나타나는 가교성기 중, 하기 식 (X4)로 나타나는 가교성기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21041278672-pct00005
상기 식 (X1)~(X4) 중, *는, 상기 식 (B) 중의 L2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내고, R8은, 수소 원자, 메틸기 및 에틸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식 (X4) 중, S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바이닐기, 알릴기, 스타이릴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를 들 수 있고,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강도가 높아져, 후술하는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이용하여 다른 층을 형성할 때의 핸들링성이 양호해지는 이유에서, 반복 단위 B가, 상기 식 (B) 중의 X가 상기 식 (X1)~(X3)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가교성기인 반복 단위(이하, "반복 단위 B1"이라고도 약칭한다.)와, 상기 식 (B) 중의 X가 상기 식 (X4)로 나타나는 가교성기인 반복 단위(이하, "반복 단위 B2"라고도 약칭한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A)로 나타나는 광배향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A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반복 단위 A-1~A-44를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식 중, Me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Et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구체예 중, 반복 단위 A-1~A-10의 2가의 연결기에 포함되는 "1,4-사이클로헥실기"는, 시스체 및 트랜스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트랜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6]
Figure 112021041278672-pc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21041278672-pct00007
Figure 112021041278672-pct00008
한편, 상기 식 (B)로 나타나는 가교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B(반복 단위 B1)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반복 단위 B-1~B-17을 들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112021041278672-pct00009
또, 상기 식 (B)로 나타나는 가교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B(반복 단위 B2)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반복 단위 B-18~B-47을 들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0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1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배향성 공중합체는, 상술한 반복 단위 A의 함유량 a와, 상술한 반복 단위 B의 함유량 b가, 질량비로 하기 식 (12)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 (13)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하기 식 (14)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하기 식 (15)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03≤a/(a+b)≤0.5…(12)
0.03≤a/(a+b)≤0.3…(13)
0.03≤a/(a+b)≤0.2…(14)
0.05≤a/(a+b)≤0.2…(15)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배향성 공중합체는, 상술한 반복 단위 B1과 함께 상술한 반복 단위 B2를 갖는 경우, 양호한 액정 배향성, 밀착성을 유지하면서, 광배향막을 포함하는 광학 이방성층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이유에서, 상술한 반복 단위 A의 함유량 a와, 상술한 반복 단위 B1의 함유량 b1과, 상술한 반복 단위 B2의 함유량 b2가, 질량비로 하기 식 (16)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 (17)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5≤b2/(a+b1+b2)≤0.7…(16)
0.10≤b2/(a+b1+b2)≤0.5…(17)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배향성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상술한 반복 단위 A 및 반복 단위 B 이외에, 다른 반복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다른 반복 단위를 형성하는 모노머(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터 화합물, 메타크릴산 에스터 화합물, 말레이미드 화합물, 아크릴아마이드 화합물, 아크릴로나이트릴, 말레산 무수물, 스타이렌 화합물, 바이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배향성 공중합체의 합성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술한 반복 단위 A를 형성하는 모노머, 상술한 반복 단위 B를 형성하는 모노머, 및 임의의 다른 반복 단위를 형성하는 모노머를 혼합하여, 유기 용제 중에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중합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배향성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액정 배향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유에서, 10000~500000이 바람직하고, 30000~30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젤 침투 크로마토그래프(GPC)법에 의하여 측정된 값이다.
·용매(용리액):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
·장치명: TOSOH HLC-8320GPC
·칼럼: TOSOH TSKgel Super HZM-H(4.6mm×15cm)를 3개 접속하여 사용
·칼럼 온도: 40℃
·시료 농도: 0.1질량%
·유속: 1.0ml/min
·교정 곡선: TOSOH제 TSK 표준 폴리스타이렌 Mw=2800000~1050(Mw/Mn=1.03~1.06)까지의 7샘플에 의한 교정 곡선을 사용
〔광흡수 이방성층〕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흡수 이방성층은, 방향에 의하여 광흡수의 정도가 다른 층으로서, 통상, 흡수축과 편광축(투과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흡수 이방성층의 두께는 0.1μm~3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0.1μm~2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흡수 이방성층은,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흡수 이방성층은, 이색성 물질과 함께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흡수 이방성층은, 이색성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물질>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이색성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시광 흡수 물질(이색성 색소, 이색성 아조 화합물), 발광 물질(형광 물질, 인광 물질), 자외선 흡수 물질, 적외선 흡수 물질, 비선형 광학 물질, 카본 나노 튜브, 무기 물질(예를 들면 양자 로드) 등을 들 수 있고, 종래 공지의 이색성 물질(이색성 색소)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액정성을 갖는 이색성 물질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28706호의 [0067]~[0071]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27532호의 [0008]~[0026]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09367호의 [0008]~[0015]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14883호의 [0045]~[0058]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09090호의 [0012]~[0029]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01328호의 [0009]~[0017]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37353호의 [0051]~[0065]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63387호의 [0049]~[0073]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05036호의 [0016]~[0018]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3630호의 [0009]~[0011]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15337호의 [0030]~[016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06242호의 [0021]~[0075]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15846호의 [0011]~[0025]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48311호의 [0017]~[0069]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13610호의 [0013]~[0133]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37513호의 [0074]~[0246]단락,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06502호의 [0005]~[0051]단락, 국제 공개공보 제2016/060173호의 [0005]~[0041]단락, 국제 공개공보 제2016/136561호의 [0008]~[0062]단락, 국제 공개공보 제2017/154835호의 [0014]~[0033]단락, 국제 공개공보 제2017/154695호의 [0014]~[0033]단락, 국제 공개공보 제2017/195833호의 [0013]~[0037]단락 등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종 이상의 이색성 물질을 병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편광자를 흑색에 가깝게 하는 관점에서, 파장 370~550nm의 범위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이색성 물질과, 파장 500~700nm의 범위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이색성 물질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색성 물질은, 가교성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가교성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로일기, 에폭시기, 옥세탄일기, 스타이릴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이색성 물질은, 광흡수 이방성층의 고형분에 대하여, 1~50질량%가 바람직하고, 3~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0~30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액정성 화합물>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액정성 화합물로서는, 저분자 액정성 화합물 및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분자 액정성 화합물"이란, 화학 구조 내에 반복 단위를 갖지 않는 액정성 화합물을 말한다.
또,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이란, 화학 구조 내에 반복 단위를 갖는 액정성 화합물을 말한다.
저분자 액정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28706호에 기재되어 있는 액정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37513호에 기재되어 있는 서모트로픽 액정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또,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은, 말단에 가교성기(예를 들면,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액정성 화합물은,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성 화합물(중합성 액정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중합성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스타이릴기, 및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성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과 함께 저분자 액정성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25~20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33~10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50~500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액정성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편광자의 배향도가 보다 향상된다.
〔경화층〕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임의의 경화층은, 두께 100nm 이하의 경화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층으로서는, 각종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이나, 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층을 들 수 있다. 광흡수 이방성층과 인덱스 매칭을 행할 수 있는 바와 같은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층〕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임의의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층(PVA층)은, 두께 2μm 이하의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필름〕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임의의 표면 필름은, 통상,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 내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이 없고, 각종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필름이 하드 코트층 및 기재를 갖는 양태를 들 수 있다.
표면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글루타르산 무수물계 수지, 글루타르이미드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복수 종의 수지의 혼합 수지를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플렉시블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폴리이미드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표면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외에, 주쇄에 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즉, 락톤환을 갖는 중합체, 무수 석신산환을 갖는 무수 말레산계 중합체, 무수 글루타르산환을 갖는 중합체, 글루타르이미드환 함유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적층체에 경도 또는 내상성을 부여하기 위한 층이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하드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하드 코트층 상에, 다른 기능층을 적층해도 된다.
또, 하드 코트층에 필러 또는 첨가제를 더함으로써, 기계적, 전기적 혹은 광학적인 물리적인 성능, 또는 발수 혹은 발유성 등의 화학적인 성능을 하드 코트층 자체에 부여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내찰상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내찰상성의 지표가 되는 연필 경도 시험을 실시한 경우에, 3H 이상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0.1~6μm가 바람직하고, 3~6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은,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조성물은, 액상의 도포 조성물로서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조성물의 일례는, 매트릭스 형성 바인더용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와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필름은 기재와 하드 코트층을 갖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재뿐이어도 되고, 하드 코트층뿐이어도 된다.
〔위상차 필름〕
본 발명에 이용되는 임의의 위상차 필름은, 각종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 레타데이션의 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위상차 필름은 λ/4판 또는 λ/2판이어도 된다. 또,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λ/4판"이란, λ/4 기능을 갖는 판이며, 구체적으로는, 어느 특정의 파장의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판이다.
예를 들면, λ/4판이 단층 구조인 양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연신 폴리머 필름이나, 지지체 상에 λ/4 기능을 갖는 광학 이방성층을 마련한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또 λ/4판이 복층 구조인 양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λ/4판과 λ/2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광대역 λ/4판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각종 폴리머 필름, 각종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술한 적층체와, 화상 표시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화상 표시 소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정 셀,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이하, "EL"이라고 약칭한다.) 표시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액정 셀 또는 유기 EL 표시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고, 액정 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화상 표시 소자로서 액정 셀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표시 소자로서 유기 EL 표시 패널을 이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EL 표시 장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 셀〕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액정 셀은, VA(Vertical Alignment)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 IPS(In-Plane-Switching) 모드, 또는 TN(Twisted Nematic)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N 모드의 액정 셀에서는, 전압 무인가 시에 봉상 액정성 분자가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하고, 또한 60~120°로 비틀림 배향하고 있다. TN 모드의 액정 셀은, 컬러 TFT(Thin Film Transistor) 액정 표시 장치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문헌에 기재가 있다.
VA 모드의 액정 셀에서는, 전압 무인가 시에 봉상 액정성 분자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다. VA 모드의 액정 셀에는, (1) 봉상 액정성 분자를 전압 무인가 시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시키고, 전압 인가 시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시키는 좁은 의미의 VA 모드의 액정 셀(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76625호 기재)에 더하여, (2) 시야각 확대를 위하여, VA 모드를 멀티 도메인화한(MVA 모드의) 액정 셀(SID97, Digest of tech. Papers(예고집) 28(1997) 845 기재), (3) 봉상 액정성 분자를 전압 무인가 시에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시키고, 전압 인가 시에 비틀림 멀티 도메인 배향시키는 모드(n-ASM 모드)의 액정 셀(일본 액정 토론회의 예고집 58~59(1998) 기재) 및 (4) SURVIVAL 모드의 액정 셀(LCD 인터내셔널 98에서 발표)이 포함된다. 또,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형, 광배향형(Optical Alignment), 및 PSA(Polymer-Sustained Alignment)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모드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15326호, 및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38819호에 상세한 기재가 있다.
IPS 모드의 액정 셀은, 봉상 액정성 분자가 기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하고 있어, 기판면에 평행한 전계가 인가함으로써 액정 분자가 평면적으로 응답한다. IPS 모드는 전계 무인가 상태로 흑색 표시가 되어, 상하 한 쌍의 편광판의 흡수축은 직교하고 있다. 광학 보상 시트를 이용하여, 경사 방향에서의 흑색 표시 시의 누출광을 저감시켜, 시야각을 개량하는 방법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0549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023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25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334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052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0729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인 유기 EL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시인 측으로부터, 상술한 본 발명의 적층체와, 유기 EL 표시 패널을 이 순서로 갖는 양태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보다 적합하게는, 시인 측으로부터, λ/4판을 갖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적층체와, 유기 EL 표시 패널을 이 순서로 갖는 양태이다. 이 경우에는, 적층체는, 시인 측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표면 필름, 점착층, 광흡수 이방성층, 배향층, 위상차 필름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유기 EL 표시 패널은, 전극 간(음극 및 양극 간)에 유기 발광층(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층)을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된 표시 패널이다. 유기 EL 표시 패널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이 채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광배향층 PA1의 형성>
지지체로서, TAC(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TJ40UL, 두께 40μm, 후지필름사제)을 이용했다.
이어서, 후술하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 PA1을,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지지체 상에 도포했다. 도막이 형성된 지지체를 140℃의 온풍으로 120초간 건조하고, 계속해서, 도막에 대하여 편광 자외선 조사(10mJ/cm2, 초고압 수은 램프 사용)함으로써, 광배향층 PA1을 형성하여, 광배향층 부착 TAC 필름을 얻었다.
또한, 광배향층 PA1의 막두께는 1.0μm였다.
----------------------------------------------------------------------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 PA1
----------------------------------------------------------------------
·하기 중합체 PA-1 100.00질량부
·하기 산발생제 PAG-1 5.00질량부
·하기 산발생제 CPI-110TF 0.005질량부
·자일렌 1220.00질량부
·메틸아이소뷰틸케톤 122.00질량부
----------------------------------------------------------------------
중합체 PA-1
[화학식 10]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2
산발생제 PAG-1
[화학식 11]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3
산발생제 CPI-110F
[화학식 12]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4
<광흡수 이방성층 P1의 형성>
얻어진 광배향층 PA1 상에, 하기 조성의 광흡수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 P1을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도포층 P1을 형성했다.
이어서, 도포층 P1을 140℃에서 90초간 가열하여, 도포층 P1을 실온(23℃)이 될 때까지 냉각했다.
이어서, 80℃에서 60초간 가열하여, 다시 실온이 될 때까지 냉각했다.
그 후, 고압 수은등을 이용하여 조도 28mW/cm2의 조사 조건으로 60초간 조사함으로써, 광배향층 PA1 상에 광흡수 이방성층 P1을 형성했다.
또한, 광흡수 이방성층 P1의 막두께는 0.4μm였다.
----------------------------------------------------------------------
광흡수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 P1
----------------------------------------------------------------------
·하기 아조 색소 Y-1 0.25질량부
·하기 아조 색소 M-1 0.27질량부
·하기 아조 색소 C-1 0.65질량부
·하기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 P-1 3.59질량부
·하기 액정 화합물 L-1 0.12질량부
·중합 개시제
IRGACUREOXE-02(BASF사제) 0.200질량부
·하기 계면개량제 F-1 0.026질량부
·사이클로펜탄온 47.50질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7.50질량부
----------------------------------------------------------------------
아조 색소 Y-1
[화학식 13]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5
아조 색소 M-1
[화학식 14]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6
아조 색소 C-1
[화학식 15]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7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 P-1
[화학식 16]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8
액정성 화합물 L-1
[화학식 17]
Figure 112021041278672-pct00019
계면개량제 F-1
[화학식 18]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0
<경화층 L1의 형성>
얻어진 광흡수 이방성층 P1 상에, 하기 조성의 경화층 형성용 조성물 L1을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조성물층 L1을 형성했다.
이어서, 조성물층 L1을 실온 건조시키고, 이어서, 고압 수은등을 이용하여 조도 28mW/cm2의 조사 조건으로 10초간 조사함으로써, 광흡수 이방성층 P1 상에 경화층 L1을 형성했다.
또한, 경화층 L1의 막두께는, 30nm였다.
----------------------------------------------------------------------
경화층 형성용 조성물 L1
----------------------------------------------------------------------
·하기 봉상 액정성 화합물의 혼합물 L-2 2.43질량부
·하기 변성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아크릴레이트 0.98질량부
·하기 광중합 개시제 I-1 0.20질량부
·상기 계면개량제 F-1 0.14질량부
·1,4-페닐렌다이보론산(도쿄 가세이 고교) 0.10질량부
·메틸에틸케톤 371질량부
----------------------------------------------------------------------
봉상 액정성 화합물의 혼합물 L-2(하기 식 중의 수치는 질량%를 나타내고, R은 산소 원자로 결합하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9]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1
변성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아크릴레이트
[화학식 20]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2
하기 광중합 개시제 I-1
[화학식 21]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3
<PVA층 B1의 형성>
경화층 L1 상에, 하기 조성의 폴리바이닐알코올(PVA)층 형성용 도포액 B1을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도포했다.
그 후, 100℃의 온풍으로 2분간 건조함으로써, 경화층 L1 상에 두께 1.0μm의 PVA층을 형성했다.
----------------------------------------------------------------------
PVA층 형성용 도포액 B1
----------------------------------------------------------------------
·하기의 변성 폴리바이닐알코올 3.80질량부
·개시제 Irg2959 0.20질량부
·물 70질량부
·메탄올 30질량부
----------------------------------------------------------------------
변성 폴리바이닐알코올
[화학식 22]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4
<적층체 1의 제작>
상기 PVA층 B1 상에, 이하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N1의 점착층 N1 측을 압착하여, 실시예 1의 적층체 1을 완성했다. 또한, 점착층의 두께는, 20μm였다.
(점착 시트 N1의 제작)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질소 가스를 도입하고, 이 반응 장치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했다.
그 후, 이 반응 장치 내에, 뷰틸아크릴레이트 70질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30질량부, 아크릴산 4질량부, N,N-다이메틸메타크릴아마이드 2질량부,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1질량부 및 아세트산 에틸 120질량부를 첨가했다.
이것을 교반시키면서, 질소 가스 기류 중에 있어서, 60℃에서 8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15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또한 아세트산 에틸로 희석하여 고형분 15%의 공중합체 용액 1을 얻었다.
이어서, 공중합체 용액 1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코로네이트 L, 닛폰 폴리유레테인 고교사제) 3질량부,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알루미늄 킬레이트 A, 가와켄 파인 케미컬사제) 0.2질량부, 및 γ-머캅토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KBM-803, 신에쓰 가가쿠 고교사제) 0.1질량부를 혼합한 용액(점착제 조성물 N1)을 조제했다.
이어서, 조제한 점착제 조성물 N1을, 실리콘 수지 코팅된 PET 필름(이하, "박리 필름"이라고도 약칭한다.) 상에 도포하고, 90℃에서 건조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며, 두께 20μm의 점착층 N1을 갖는 점착 시트 N1을 제작했다. 점착층 N1의 저장 탄성률은, 0.3MPa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광흡수 이방성층의 형성에 있어서, 지지체를 PET(두께 40μm)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광흡수 이방성층의 형성에 있어서, 지지체를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TJ100UL(두께 100μm, 후지필름사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3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4~7]
실시예 1의 광흡수 이방성층의 형성에 있어서, 광흡수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 및 광배향층의 두께를 각각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4~7의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하기 표 2 중, 광흡수 이방성층 형성용의 조성물 P2 및 P3의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
광흡수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 P2
----------------------------------------------------------------------
·상기 아조 색소 Y-1 0.25질량부
·상기 아조 색소 M-1 0.27질량부
·하기 아조 색소 C-2 0.65질량부
·하기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 P-2 3.71질량부
·중합 개시제
IRGACUREOXE-03(BASF사제) 0.151질량부
·상기 계면개량제 F-1 0.026질량부
·사이클로펜탄온 47.50질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7.50질량부
----------------------------------------------------------------------
아조 색소 C-2
[화학식 23]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5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 P-2
[화학식 24]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6
----------------------------------------------------------------------
광흡수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 P3
----------------------------------------------------------------------
·하기 아조 색소 Y-2 0.17질량부
·하기 아조 색소 M-2 0.19질량부
·하기 아조 색소 C-3 0.45질량부
·상기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 P-2 4.07질량부
·중합 개시제
IRGACUREOXE-03(BASF사제) 0.151질량부
·상기 계면개량제 F-1 0.026질량부
·사이클로펜탄온 47.50질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7.50질량부
----------------------------------------------------------------------
아조 색소 Y-2
[화학식 25]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7
아조 색소 M-2
[화학식 26]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8
아조 색소 C-3
[화학식 27]
Figure 112021041278672-pct00029
[실시예 8]
<광흡수 이방성층 P4의 형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배향층 PA1을 형성하여, 광배향층 부착 TAC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배향층 PA1 상에, 이하에서 조제한 광흡수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 P4를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도포층 P4를 형성했다.
이어서, 도포층 P4를 120℃에서 60초간 가열하여, 도포층 P4를 실온(23℃)이 될 때까지 냉각했다.
그 후, 고압 수은등을 이용하여 조도 28mW/cm2의 조사 조건으로 60초간 조사함으로써, 광배향층 PA1 상에 광흡수 이방성층 P4를 형성했다.
또한, 광흡수 이방성층 P4의 막두께는 1.7μm였다.
하기의 조성에서, 광흡수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 P4를 조제하고, 교반하면서 50℃에서 3시간 가열 용해하여, 0.45μm 필터로 여과했다.
----------------------------------------------------------------------
광흡수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 P4
----------------------------------------------------------------------
·하기 아조 색소 Y-3 2.7질량부
·하기 아조 색소 M-3 2.7질량부
·하기 아조 색소 C-4 2.7질량부
·하기 액정 화합물 P-3 75.5질량부
·중합 개시제 IRGACURE819(BASF사제) 0.8질량부
·상기 계면개량제 F-1 0.6질량부
·사이클로펜탄온 274.5질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640.5질량부
----------------------------------------------------------------------
아조 색소 M-3
[화학식 28]
Figure 112021041278672-pct00030
아조 색소 Y-3
[화학식 29]
Figure 112021041278672-pct00031
아조 색소 C-4
[화학식 30]
Figure 112021041278672-pct00032
액정 화합물 P-3(하기 화합물 A/하기 화합물 B=75/25로 혼합)
화합물 A
[화학식 31]
Figure 112021041278672-pct00033
화합물 B
[화학식 32]
Figure 112021041278672-pct00034
<적층체 8의 제작>
상기 광흡수 이방성층 P4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VA층 B1, 점착층을 형성하고, 실시예 8의 적층체 8을 완성했다.
[실시예 9~16]
실시예 1의 점착층의 형성에 있어서, 상술한 점착 시트 N1 및 후술하는 점착 시트 N2~N6에 있어서의 점착층 중,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두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9~16의 적층체를 얻었다.
<점착 시트 N2의 제작>
점착 시트 N1과 동일하게 하여, 뷰틸아크릴레이트 95질량부, 및 아크릴산 5질량부를 용액 중합법에 의하여 중합시켜, 평균 분자량 200만, 분자량 분포(Mw/Mn) 3.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2를 얻었다.
이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2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아로닉스 M-315, 도아 고세이사제) 10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500, BASF사제) 1질량부,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코로네이트 L, 닛폰 폴리유레테인사제) 1질량부, 및 실레인 커플링제(KBM-403, 신에쓰 가가쿠 고교사제) 0.2질량부를 혼합한 용액(점착제 조성물 N2)을 조제했다.
이어서, 조제한 점착제 조성물 N2를, 실리콘 수지 코팅된 PET 필름(박리 필름) 상에 도포하고, 90℃에서 건조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며, 자외선(UV)을 하기 조건으로 조사하여, 두께 20μm의 점착층 N2를 갖는 점착 시트 N2를 제작했다. 점착층 N2의 저장 탄성률은, 0.6MPa였다.
(UV 조사 조건)
·퓨전사 무전극 램프 H밸브
·조도: 600mW/cm2
·광량: 150mJ/cm2
또한, UV 조도 및 광량은, 아이 그래픽스제 "UVPF-36"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점착 시트 N3~N5의 제작>
먼저, 이하의 순서에 따라, 아크릴계 폴리머를 조제했다.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질량부, 아크릴산 에틸 20질량부,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6질량부, 및 아크릴산 4질량부를 용액 중합법에 의하여 중합시켜, 평균 분자량 3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 A1을 얻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A1을 이용하여, 이하의 순서에 따라, 점착 시트 N3~N5를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폴리머 A1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질량부의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코로네이트 L, 닛폰 폴리유레테인사제)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어서, 조제한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수지 코팅된 PET 필름(박리 필름)에 다이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50℃에서 3시간 건조시켜, 원하는 두께의 점착층 N3~5를 갖는 점착 시트 N3~5를 제작했다. 점착층 N3~N5의 저장 탄성률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표 1]
Figure 112021041278672-pct00035
<점착 시트 N6의 제작>
점착 시트 N2와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2를 얻었다.
이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2의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코로네이트 L, 닛폰 폴리유레테인사제) 1질량부, 및 실레인 커플링제(KBM-403, 신에쓰 가가쿠 고교사제) 0.2질량부를 혼합한 용액(점착제 조성물 N6)을 조제했다.
이어서, 조제한 점착제 조성물 N6을, 실리콘 수지 코팅된 PET 필름(박리 필름) 상에 도포하고, 90℃에서 건조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여, 두께 25μm의 점착층 N6을 갖는 점착 시트 N6을 제작했다. 점착층 N6의 저장 탄성률은, 0.1MPa였다.
[실시예 17]
지지체로서 TJ40UL 대신에 TJ100UL(두께 100μm, 후지필름사제)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7의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점착층의 두께를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의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2]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 PA1을 하기 조성의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 PA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적층체를 얻었다.
----------------------------------------------------------------------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 PA2
----------------------------------------------------------------------
·하기 중합체 PA-2 100.00질량부
·상기 산발생제 PAG-1 5.00질량부
·상기 산발생제 CPI-110TF 0.005질량부
·자일렌 1220.00질량부
·메틸아이소뷰틸케톤 122.00질량부
----------------------------------------------------------------------
중합체 PA-2
[화학식 33]
Figure 112021041278672-pct00036
[평가]
《박리 평가》
얻어진 적층체를 25mm×150mm의 크기로 재단하여, 박리 필름을 박리한 후, 점착층 측을 유리 기판(코닝사 Eagle XG) 상에 압착했다.
이 후, 적층체의 지지체에 테이프를 붙여 박리했다.
박리한 지지체의 박리면을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을 따라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AA: 박리면의 거침 없음
A: 박리면이 거칠어져 있음
B: 배향층에 기인하는 박리 잔류가 관찰되며, 박리면의 면적에 대한 박리 잔류의 면적이 5% 미만
C: 배향층에 기인하는 박리 잔류가 관찰되며, 박리면의 면적에 대한 박리 잔류의 면적이 5% 이상
[표 2]
Figure 112021041278672-pct00037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지지체 및 점착층의 두께를 제외한 지지체부터 점착층까지의 사이의 두께가 5μm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점착층의 두께가 5μm 미만이면, 지지체만을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1).
또, 배향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신나모일 화합물이,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지 않은 경우, 지지체만을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비교예 2).
이에 대하여, 지지체 및 점착층의 두께를 제외한 지지체부터 점착층까지의 사이의 두께가 5μm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점착층의 두께가 5~50μm이며, 배향층이,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신나모일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광배향층이면, 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1~17).
1 지지체
2 배향층
3 광흡수 이방성층
4 점착층
5 경화층
6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층
7 표면 필름
8 위상차 필름
10 적층체

Claims (24)

  1. 지지체, 배향층, 광흡수 이방성층, 및 점착층을 이 순서로 갖고,
    상기 광흡수 이방성층이, 이색성 물질과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점착층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지지체부터 상기 점착층까지의 사이의 두께가 5μm 이하이며,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5μm~50μm이고,
    상기 배향층이,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신나모일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광배향층인, 적층체.
  2. 지지체, 배향층, 광흡수 이방성층, 및 점착층을 이 순서로 갖고,
    상기 광흡수 이방성층이, 이색성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점착층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지지체부터 상기 점착층까지의 사이의 두께가 5μm 이하이며,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5μm~50μm이고,
    상기 배향층이,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신나모일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광배향층인, 적층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이, 100kPa~20MPa인, 적층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이, 100kPa~2MPa인, 적층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10μm 초과 50μm 이하인, 적층체.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이방성층의 두께가, 0.1μm~3μm인, 적층체.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의 두께가, 0.1μm~2μm인, 적층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의 두께가, 0.5μm 초과 2μm 이하인, 적층체.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나모일 화합물이, 하기 식 (A)로 나타나는 광배향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A와, 하기 식 (B)로 나타나는 가교성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B를 갖는, 광배향성 공중합체인, 적층체.
    [화학식 1]
    Figure 112022088010353-pct00038

    상기 식 (A)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L1은, 질소 원자와 사이클로알케인환을 포함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상기 사이클로알케인환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일부가,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2, R3, R4, R5 및 R6 중, 인접하는 2개의 기가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식 (B) 중,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L2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며, X는, 하기 식 (X4)로 나타나는 가교성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88010353-pct00039

    상기 식 (X4) 중, *는, 상기 식 (B) 중의 L2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내고, S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식 (A) 중의 L1이, 하기 식 (1)~(10)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나는 2가의 연결기인, 적층체.
    [화학식 3]
    Figure 112021041278672-pct00040

    상기 식 (1)~(10) 중, *1은, 상기 식 (A) 중의 주쇄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식 (A) 중의 카보닐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성 화합물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인, 적층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성 화합물이, 고분자 액정성 화합물인, 적층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이방성층이, 저분자 액정성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적층체.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이방성층과 상기 점착층의 사이에, 두께 100nm 이하의 경화층을 더 갖는, 적층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경화층이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적층체.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경화층이 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층인, 적층체.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이방성층과 상기 점착층의 사이에, 두께 2μm 이하의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더 갖는, 적층체.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배향층이 접하고 있는, 적층체.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과 상기 광흡수 이방성층이 접하고 있는, 적층체.
  2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적층체와, 표면 필름을 갖고, 상기 점착층과 상기 표면 필름이 접하고 있는, 적층체.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박리된, 적층체.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을 더 갖고,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배향층 측에 배치된, 적층체.
  2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적층체와, 화상 표시 소자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217010505A 2018-10-18 2019-10-15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505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6930A KR20230035441A (ko) 2018-10-18 2019-10-15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6920 2018-10-18
JPJP-P-2018-196920 2018-10-18
PCT/JP2019/040495 WO2020080359A1 (ja) 2018-10-18 2019-10-15 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930A Division KR20230035441A (ko) 2018-10-18 2019-10-15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884A KR20210058884A (ko) 2021-05-24
KR102505692B1 true KR102505692B1 (ko) 2023-03-03

Family

ID=702838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505A KR102505692B1 (ko) 2018-10-18 2019-10-15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237006930A KR20230035441A (ko) 2018-10-18 2019-10-15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930A KR20230035441A (ko) 2018-10-18 2019-10-15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086210B2 (ko)
KR (2) KR102505692B1 (ko)
CN (2) CN116751522A (ko)
WO (1) WO2020080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1743B2 (ja) * 2018-12-12 2020-08-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組成物、光吸収異方性膜、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314170B2 (ja) 2018-12-14 2023-07-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吸収異方性膜、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2071054A1 (ja) * 2020-09-30 2022-04-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30107594A (ko) * 2020-11-27 2023-07-17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광학 이방성 적층체 및 광학 소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9389A (ja) * 2014-11-18 2016-05-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用積層体、光学素子、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WO2016125802A1 (ja) 2015-02-04 2016-08-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8180003A1 (ja) * 2017-03-31 2018-10-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737A (ja) * 1999-09-27 2001-04-06 Nippon Mitsubishi Oil Corp 紫外線偏光フィルムおよび偏光照射装置
JP4421120B2 (ja) * 2001-01-23 2010-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用広視野角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531380B2 (ja) * 2003-12-15 2010-08-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シート
JP2012213938A (ja) * 2011-03-31 2012-11-08 Mitsubishi Plastics Inc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TWI645962B (zh) * 2013-08-09 2019-01-01 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光學異向性薄片
JP6360821B2 (ja) * 2015-07-22 2018-07-18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10598836B2 (en) * 2015-07-24 2020-03-2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aminated body, circularly polarizing plate including laminated body, display device including laminated body
JP6638401B2 (ja) * 2016-01-06 2020-01-29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168051B (zh) * 2016-12-28 2022-11-22 富士胶片株式会社 液晶性组合物、高分子液晶化合物、吸光各向异性膜、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9389A (ja) * 2014-11-18 2016-05-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用積層体、光学素子、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WO2016125802A1 (ja) 2015-02-04 2016-08-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8180003A1 (ja) * 2017-03-31 2018-10-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359A1 (ja) 2020-04-23
JP7086210B2 (ja) 2022-06-17
JP2022133275A (ja) 2022-09-13
CN112888561A (zh) 2021-06-01
KR20210058884A (ko) 2021-05-24
KR20230035441A (ko) 2023-03-13
JPWO2020080359A1 (ja) 2021-10-14
CN112888561B (zh) 2023-06-20
CN116751522A (zh)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692B1 (ko)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7109476B2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2909903B (zh) 光学薄膜用粘合片、其制造方法、粘合型光学薄膜及图像显示装置
JP5429073B2 (ja)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WO2018135360A1 (ja) タッチパネル用フィルム積層体
US10302828B2 (en)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WO2018135359A1 (ja) タッチパネル用フィルム積層体
US20170023715A1 (en)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6253069B2 (ja) 粘着剤組成物
US7858669B2 (en) Composition for alignment film having excellent adhesiveness
WO2019131976A1 (ja) 光吸収異方性膜、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030982A (ja)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24026152A (ja) 光吸収異方性層、積層体、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US20230062801A1 (en) Composition, polarizer layer, laminate, and image displaying device
JP4636599B2 (ja) 積層位相差板、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70013143A (ko)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WO2021166694A1 (ja) 光学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JP7453354B2 (ja) 光配向膜、積層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アゾ化合物
US20240094452A1 (en) Light absorption anisotropic layer, laminate, display device, infrared light irradiation device, and infrared light sensing device
WO2022202268A1 (ja) 視角制御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光学異方性層、積層体
WO2023095863A1 (ja) 光学膜、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KR102031800B1 (ko) 도광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CN117471595A (zh) 圆偏振板
WO2022234789A1 (ja) 偏光板及び有機el表示装置
JP2011128397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