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88B1 - 감속장치를 위한 부하반대측 케이싱, 세로배치감속장치, 및 가로배치감속장치 - Google Patents

감속장치를 위한 부하반대측 케이싱, 세로배치감속장치, 및 가로배치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88B1
KR102505088B1 KR1020160148197A KR20160148197A KR102505088B1 KR 102505088 B1 KR102505088 B1 KR 102505088B1 KR 1020160148197 A KR1020160148197 A KR 1020160148197A KR 20160148197 A KR20160148197 A KR 20160148197A KR 102505088 B1 KR102505088 B1 KR 10250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asing
lubrication passage
opposite
lubr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803A (ko
Inventor
아키라 야마모토
준 타메나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6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추가가공을 억제하면서, 세로배치감속장치 혹은 가로배치감속장치를 보다 간편하게 제공한다.
세로배치로 사용되는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와, 가로배치로 사용되는 가로배치감속장치(HG1)를 포함하는 감속장치의 시리즈로서, 적어도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세로배치감속장치 및 가로배치감속장치에 공통으로 사용되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제1 윤활통로(81)는, 일단이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외주(33F)에 개구되고, 타단이 제1 부위(71)에 있어서 감속기구(20)와 동일한 공간(P1)에 개구되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제2 윤활통로(82)는, 일단이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외주에 개구되고, 타단이 제1 부위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의 제2 부위(45)에 있어서 감속기구와 동일한 공간에 개구되며,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는, 부하측 케이싱(32)에 제1 관통구멍(51)을 가짐과 함께, 일단이 제1 관통구멍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이 제1 윤활통로에 접속되는 제1 윤활배관(91B)을 포함하는 제1 펌프기구(91)를 구비하고,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는, 제1 윤활통로가 연직방향 상측, 제2 윤활통로가 연직방향 하측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제1 윤활통로와 제2 윤활통로를 접속하는 오일게이지(95)가 구비된다.

Description

감속장치를 위한 부하반대측 케이싱, 세로배치감속장치, 및 가로배치감속장치{Anti-load casing for decelerators, Longitudinal deployment deceleration, and Transverse deployment decelerators}
본 출원은 2015년 12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5-243650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감속장치의 시리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입력축을 연직상측, 출력축을 연직하측에 배치하여, 이른바 세로배치라고 칭해지는 양태로 사용하는 감속장치에 관하여, 펌프기구를 부설하여 양호한 윤활을 가능하게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감속장치는, 세로배치로 사용하는 경우 외에, 출력축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가로배치라고 칭해지는 양태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감속장치는, 세로배치로 사용하는 경우와, 가로배치로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윤활에 관하여 요구되는 구성이 상이하다.
이로 인하여, 종래는, 감속장치의 케이싱에는, 윤활계통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윤활에 특유의) 관통구멍 등은 사전에는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고, 감속장치의 용도가 특정되어, 윤활을 위한 관통구멍 등의 형성 양태가 확정된 단계에서, 필요한 관통구멍 등을, 추가가공에 의하여 형성하도록 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KR)10-0771666호
그러나, 이와 같은 추가가공에 의하여 세로배치, 혹은 가로배치의 종별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용양태에 따른 감속장치를 특별주문으로 제조하도록 하면, 납품까지 걸리는 시간과 코스트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추가가공을 억제하고, 세로배치감속장치 혹은 가로배치감속장치를, 보다 간편하게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입력축을 연직상측, 출력축을 연직하측에 배치하여 세로배치로 사용되는 세로배치감속장치와, 출력축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가로배치로 사용되는 가로배치감속장치를 포함하는 감속장치의 시리즈로서, 상기 세로배치감속장치 및 상기 가로배치감속장치는, 감속기구와, 상기 감속기구보다도 부하측을 수납하는 부하측 케이싱과, 상기 감속기구보다도 부하반대측을 수납하는 부하반대측 케이싱을 갖고, 적어도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은, 상기 세로배치감속장치 및 상기 가로배치감속장치에 공통으로 사용되며,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은, 제1 윤활통로와, 제2 윤활통로를 갖고, 상기 제1 윤활통로는, 일단이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외주에 개구되며, 타단이 제1 부위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와 동일한 공간에 개구되고, 상기 제2 윤활통로는, 일단이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외주에 개구되며, 타단이 상기 제1 부위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의 제2 부위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와 동일한 공간에 개구되고, 상기 세로배치감속장치는, 상기 부하측 케이싱에 제1 관통구멍을 가짐과 함께, 일단이 상기 제1 관통구멍에 접속되며 타단이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상기 제1 윤활통로에 접속되는 제1 윤활배관을 포함하는 제1 펌프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배치감속장치는, 상기 제1 윤활통로가 연직방향 상측, 상기 제2 윤활통로가 연직방향 하측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상기 제1 윤활통로와 상기 제2 윤활통로를 접속시킨 오일게이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감속장치의 적어도 부하반대측 케이싱을 공통화하여,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에, 직경방향 길이가 상이한 제1 윤활통로와 제2 윤활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세로배치감속장치에서는, 부하측 케이싱에 형성된 제1 관통구멍과 부하반대측 케이싱에 형성된 직경방향 길이가 긴 제1 윤활통로를 활용하여 제1 펌프기구를 구성하고, 가로배치감속장치에서는, 보다 직경방향 길이가 짧은 제2 윤활통로가 연직방향 하측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제1 윤활통로와 제2 윤활통로를 활용하여 오일게이지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로써, 추가가공을 억제하고, 세로배치감속장치 혹은 가로배치감속장치에 요구되는 윤활구성을, 간편하고 또한 합리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가공을 억제하고, 세로배치감속장치 혹은 가로배치감속장치를, 보다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감속장치의 시리즈에 있어서의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및 세로배치 제2 감속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방향에서 보았을 때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감속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방향에서 보았을 때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감속장치를, 도 3과는 다른 각도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방향에서 보았을 때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감속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세로배치 제3 감속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감속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감속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는, 입력축을 연직상측, 출력축을 연직하측에 배치하여 세로배치로 사용되는 세로배치감속장치(VG)와, 출력축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가로배치로 사용되는 가로배치감속장치(HG)를,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다만, 여기에서의 “수평으로 배치”라는 개념에는, 엄밀한 수평뿐만 아니라, 수평으로부터 약간(예를 들면 ±20도) 기울어져 있는 개념이 포함된다.
도 1~도 5에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도 6~도 8에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먼저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및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는, 모두, 감속기구(20)와, 감속기구(20)보다도 부하측을 수납하는 부하측 케이싱(32)과, 감속기구(20)보다도 부하반대측을 수납하는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적어도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이,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와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에서 공통이 된다.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제1 윤활통로(81)와, 제2 윤활통로(82)를 갖는다. 제1 윤활통로(81)는, 일단이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외주(33F)에 개구되고, 타단이 제1 부위(구체적으로는, 제1 축방향 홈(71))에 있어서 감속기구(20)와 동일한 공간(감속기구공간(P1))에 개구되어 있다. 제2 윤활통로(82)는, 일단이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외주(33F)에 개구되고, 타단이 제1 부위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의 제2 부위(구체적으로는, 외치(外齒)기어(44)와 내치(內齒)기어(46)의 맞물림부(45)의 근방)에 있어서 감속기구(20)와 동일한 감속기구공간(P1)에 개구되어 있다. 즉, 제2 부위는, 제1 부위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윤활통로(82)는, 제1 윤활통로(81)보다도 짧다.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는, 부하측 케이싱(32)에 제1 관통구멍(51)을 구비함과 함께, 일단이 그 제1 관통구멍(51)에 접속되고 타단이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제1 윤활통로(81)에 접속되는 제1 윤활배관(91B)을 포함하는 제1 펌프기구(91)를 구비한다.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는, 제1 윤활통로(81)가 연직방향(Xv)의 상측, 제2 윤활통로(82)가 연직방향(Xv)의 하측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제1 윤활통로(81)와 제2 윤활통로(82)를 접속시킨 오일게이지(95)를 구비한다.
다만,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는,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와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 외에, 다양한 베리에이션에 관한 감속장치를 포함하고 있다(예를 들면 도 1~도 5에 있어서 상상선(想像線)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세로배치 제2 감속장치(VG2),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세로배치 제3 감속장치(VG3),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HG2) 등: 후술). 본 기어장치의 시리즈는, 이와 같은 다양한 베리에이션에 관한 세로배치감속장치나 가로배치감속장치를, 적절히 포함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이하, 도 1~도 5 및 도 6~도 8을 참조하여, 이 감속장치의 시리즈에 있어서의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및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의 공통의 구성으로부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및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는, 감속기구(20)와, 그 감속기구(20)를 수납하는 케이싱(30)을 구비한다.
감속기구(20)는, 이 예에서는, 편심요동형의 유성기어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감속기구(20)는, 입력축(12)과, 그 입력축(12)과 일체화되어 2개의 편심부(40A)를 갖는 편심체(40)와, 그 편심체(40)의 편심부(40A)의 외주에 조립된 편심체베어링(42)과, 그 편심체베어링(42)의 외주에 조립된 외치기어(유성기어)(44)와, 그 외치기어(44)가 내접하여 맞물리는 내치기어(46)를 구비하고 있다.
내치기어(46)는, 케이싱(30)(의 후술하는 본체케이싱(31))과 일체화된 내치기어본체(46A)와, 그 내치기어본체(46A)에 지지된 원주형상의 지지핀(46B)과, 그 지지핀(46B)에 회전 가능하게 외측에 끼워져, 내치기어(46)의 내치를 구성하는 외측롤러(46C)로 구성되어 있다. 내치기어(46)의 내치의 수(외측롤러(46C)의 수)는, 외치기어(44)의 외치의 수보다도 약간, (이 예에서는 2개만)많다. 다만, 내치기어(46)의 축심(C46)은, 입력축(12)의 축심(C12) 및 출력축(14)의 축심(C14)과 일치하고 있다.
외치기어(44)는, 그 외치기어(44)의 축심(C44)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외치기어관통구멍(44A)을 갖고 있다. 외치기어관통구멍(44A)에는, 원주형상의 내측핀(54)이 끼워 넣어져 있다. 내측핀(54)에는, 슬라이딩 촉진부재로서 내측롤러(5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측에 끼워져 있다. 내측롤러(56)는, 일부가 외치기어관통구멍(44A)과 맞닿아 있다. 그러나, 내측롤러(56)의 외경은, 외치기어관통구멍(44A)의 내경보다도 작고, 내측롤러(56)와 외치기어관통구멍(44A)의 사이에는 편심부(40A)의 편심량의 2배에 상당하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내측핀(54)은, 플랜지형상의 캐리어(58)에 압입(壓入)되어 있다. 캐리어(58)는, 출력축(14)과 일체화되어 있다.
감속기구(20)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입력축(12)의 회전에 의하여 편심체(40)의 편심부(40A), 편심체베어링(42)을 통하여 외치기어(44)를 요동시키고 있다. 이 요동에 의하여 외치기어(44)는 내치기어(46)에 대하여 상대회전하기 때문에, 그 상대회전을 내측롤러(56) 및 내측핀(54)을 통하여 캐리어(58)로부터 취출하고, 그 캐리어(58)와 일체화되어 있는 출력축(14)을 감속회전시키고 있다.
이 감속기구(20)는, 구조상, 편심체베어링(42)의 근방 및 외치기어(44)와 내치기어(46)의 맞물림부(45)의 근방에 양호한 윤활이 필요하게 된다.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및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의 케이싱(30)은, 감속기구(20)를 수납하는 본체케이싱(31)과, 감속기구(20)보다도 부하측을 수납하는 부하측 케이싱(32)과, 감속기구(20)보다도 부하반대측을 수납하는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을 구비한다. 본체케이싱(31), 부하측 케이싱(32), 및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연결볼트(35)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함께 체결되어 있다.
케이싱(30)의 본체케이싱(31)은, 상기 내치기어본체(46A)와 일체화되어 있다. 본체케이싱(31)은,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직경방향 내측에 감속기구(20)를 수납하고 있다.
케이싱(30)의 부하측 케이싱(32)은, 감속기구(20)보다도 부하측을 수납하고 있다. 부하측 케이싱(32)은, 축방향 중앙에 위치하며,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중앙원통부(32A)와, 그 중앙원통부(32A)의 축방향 부하반대측에 위치하고, 중앙원통부(32A)보다도 큰 직경의 부하반대측 플랜지부(32B)와, 중앙원통부(32A)의 축방향 부하측에 위치하며, 중앙원통부(32A)보다도 큰 직경의 부하측 플랜지부(32C)를 갖고 있다.
부하측 케이싱(32)의 중앙원통부(32A)는, 그 중앙원통부(32A)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51)을 갖고 있다.
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측 플랜지부(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측 단부)(32C)는,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혹은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를 상대부재(16A)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32F)를 갖고 있다.
또한, 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반대측 플랜지부(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반대측 단부)(32B)는, 그 부하반대측 플랜지부(32B)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관통구멍(85)을 갖고 있다. 이 제3 관통구멍(85)은,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의 경우는 급유구(급지구(給脂口))로서 이용되고,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의 경우는, 배유구(배지구(排脂口))로서 이용된다.
다만, 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측 플랜지부(32C)의 부하측 단부면에는, 커버체(36)가 장착된다. 커버체(36)와 출력축(14)에 장착된 칼라(38)의 사이에는, 오일시일(39)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30)의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감속기구(20)보다도 부하반대측을 수납하고 있다.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원판형상의 플랜지부(33A)와, 그 플랜지부(33A)의 내주측에 있어서 플랜지부(33A)에 대하여 부하반대측으로 돌출된(입력베어링(60)의) 베어링수납부(33B)를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1개의 제1 윤활통로(81)와, 3개의 제2 윤활통로(82(82A~82C))와, 1개의 제3 윤활통로(83)를 갖고 있다.
제1 윤활통로(81)의 구성부터 순서대로 설명한다.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제1 윤활통로(81)는, 일단이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외주(33F)에 개구되어 있다. 제1 윤활통로(81)의 타단부는, 제1 축방향 홈(71)(제1 부위)에 있어서 감속기구(20)가 수납되어 있는 감속기구공간(P1)과 동일한 공간에 개구되어 있다.
제1 윤활통로(81)는, 단면이 원형이고 직경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직경방향 길이(r81)가(후술하는 제2 윤활통로(82)의 직경방향 길이(r82)보다) 길다. 이로써,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직경방향 내측 깊숙히 위치하는 제1 축방향 홈(71)에 개구 가능하다.
제1 축방향 홈(71)은, “입력축(12)을 지지하는 입력베어링(60)의 외주측(60A)에 축방향으로 마련되고, 감속기구공간(P1)과 동일한 공간을 공유하는 축방향 통로”에 상당하고 있다. 단, 제1 축방향 홈(71)은, 입력베어링(60)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멈춤링(62)에 의하여 부하측 단부가 폐쇄되어 있어, 입력베어링(60)의 축방향 부하반대측을 경유하여 감속기구공간(P1)과 연통되어 있다.
다만,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입력베어링(60)의 외주측(60A)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제1 축방향 홈(71) 외에, 제2 축방향 홈(7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축방향 홈(72)은, 제3 윤활통로(83)에 대응하는 원주방향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축방향 홈(72)은, 본 감속장치를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로서 구성할 때에, 그 제2 축방향 홈(72)을 입력베어링(60)의 연직방향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입력베어링(60)의 부하반대측에 존재하는 윤활제의 드레인을 촉진시키는 축방향 드레인통로를 구성한다.
다만, 입력베어링(60)은, 여기에서는, 전동체(60B), 외륜(60C), 및 내륜(60D)을 갖는 볼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베어링(60)의 외륜(60C)은,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베어링수납부(33B)의 내주(33C)와, (제1 축방향 홈(71) 및 제2 축방향 홈(72) 이외의 부분에서)맞닿아 부하반대측 케이싱(33)과 일체화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베어링(60)의 외륜(60C)은, 멈춤링(62)에 의하여 축방향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멈춤링(62)이 제1 축방향 홈(71)의 부하측 단부를 폐쇄하고 있다. 입력베어링(60)의 외륜(60C)과 베어링수납부(33B)의 바닥면(33D)(축방향 벽면)의 사이에는, 수납부간극(δ33)이 확보되어 있다. 제1 축방향 홈(71)에 개구되어 있는 제1 윤활통로(81)는, 이 수납부간극(δ33)을 통하여 입력베어링(60)의 축방향 부하반대측을 경유하여 감속기구공간(P1)과 연통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윤활통로(8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제2 윤활통로(82)를, 원주방향에 합계 3개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윤활통로(81)와 대향하는 원주방향위치에, 대향 제2 윤활통로(82A)가 1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윤활통로(81)와 대향 제2 윤활통로(82A)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X1)과 직각인 방향(X2)으로, 측부 제2 윤활통로(82B, 8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윤활통로(82)도 단면이 원형이며 직경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윤활통로(82)는, 모두 일단이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외주(33F)에 개구되고, 타단이 제1 축방향 홈(71)(제1 부위)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의 부위(제2 부위)에 있어서 감속기구공간(P1)에 개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윤활통로(82)는,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외치기어(44)와 내치기어(46)의 맞물림부(45)의 근방의 감속기구공간(P1)에 개구되어 있다. 제2 윤활통로(82)의 형성 길이(r82)는, 제1 윤활통로(81)의 직경방향 길이(r81)보다도 짧다.
다만, 제2 윤활통로(82)의 직경방향 내측단은, 축방향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의 약간 큰 공간(P2)으로서 공동(空洞)형성되어 있다. 윤활제는,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외측의 공간(P3)으로부터 제2 윤활통로(82)를 거쳐, 이 공간(P2) 부분에서 외치기어(44)측으로 방향을 변경하여, 외치기어(44)와 내치기어(46)의 맞물림부(45)의 근방에 있어서 감속기구공간(P1)에 유입 가능하다.
또, 이 예에서는, 제1 윤활통로(81)와 측부 제2 윤활통로(82B)의 원주방향 이반각(離反角)(θ1)은,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를 구성할 때에 수평이 되는 방향(Xh)으로부터 45도씩 떨어진 90도로 되어 있다. 단, 이 원주방향 이반각(θ1)은, 반드시 90도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를 구성할 때에 수평이 되는 방향(Xh)으로부터 30도씩 떨어진 60도로 해도 된다. 이로써,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를 구성할 때에 조립하는 오일게이지(95)의 원주방향 길이를, 보다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윤활통로(81) 및 제2 윤활통로(82)의 형성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또 형성 개수도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제3 윤활통로(8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제3 윤활통로(83)를 1개 갖고 있다. 제3 윤활통로(83)는, 형상적으로는 제2 윤활통로(82)와 동일하다. 제3 윤활통로(83)는, 대향 제2 윤활통로(82A)와 측부 제2 윤활통로(82B)의 중간의 원주방향위치에 1개 형성되어 있다. 제3 윤활통로(83)는,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로서 구성될 때 연직방향(Xv)의 가장 하측이 되어야 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윤활통로로 인식할 수도 있다. 바꿔 말하면, 제3 윤활통로(83)는, 가로배치로 사용되는 감속장치이고, 또한 후술하는 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반대측 단부(구체적으로는 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반대측 플랜지부(32B))에, 상대부재의 장착부를 갖는 감속장치에 있어서, 윤활제의 배출구로서 사용되는 윤활통로로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출력축(14)의 내부에는 출력축 윤활통로(86)가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6 참조). 이 출력축 윤활통로(86)는, 캐리어(58)의 부하반대측 단부면에 개구되고, 출력축(14)의 축심(C14)을 따라 형성된 축방향 출력축 윤활통로(86A)와, 출력축(14)의 부하반대측의 테이퍼롤러베어링(74)의 부하측의 외주에 개구되며, 그 축방향 출력축 윤활통로(86A)와 연통하는 직경방향 출력축 윤활통로(86B)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축 윤활통로(86)는, 출력축(14)의 부하반대측의 테이퍼롤러베어링(74)의 부하측과 부하반대측을 연통하여, 감속기구공간(P1) 내의 윤활제의 순환을 촉진한다.
여기까지 설명해 온 구성은, 도 1~도 5에 나타나는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와, 도 6~도 8에 나타내는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에서 공통이다. 특히,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이, 제1~제3 윤활통로(81~83)를 포함하여 공통으로 되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다음으로,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및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의 각각의 완성 시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의상, 작용과 함께 설명해 간다.
먼저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의 구체적 구성부터 설명한다.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는, 입력축(12)을 연직상측(연직방향(Xv)에 있어서의 상측), 출력축(14)을 연직하측(연직방향(Xv)에 있어서의 하측)에 배치하여 세로배치로 사용되는 세로배치감속장치(VG)로서, 특히 1대의 펌프기구를 구비한 감속장치로서 차별화되어 있다.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는, 예를 들면 대형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에 수납된 액체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장치(전체는 도시하지 않음)(16)의 장착대 등의 상대부재(16A)에 장착된다. 입력축(12)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모터축이 계축(繼軸) 등을 통하여 연결된다. 출력축(14)에는, 교반장치(16)의 도시하지 않은 교반봉이 연결된다. 이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에서는, 출력축(14)은, 입력축(12)과 동 축이며, 출력축(14)의 축심(C14)은, 입력축(12)의 축심(C12)과 일치하고 있다.
다만, 부하반대측 케이싱(33)에는, 모터케이싱을 그 부하반대측 케이싱(33)에 직결시킬 때를 위한 모터장착구멍(34)도 형성되어 있지만, 이 예에서는 입력축(12)은, 양축(兩軸) 타입으로 되어 있으며, 모터케이싱은, 부하반대측 케이싱(33)에는 직결되어 있지 않다. 다만, 부호 15는 냉각팬이다.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를 구성할 때는, 부하측 케이싱(32)에 형성된 제1 관통구멍(51)과, 부하반대측 케이싱(33)에 형성된 제1 윤활통로(81)를 활용하여 제1 펌프기구(91)를 조립한다. 다만, 지금부터 설명하는 다른 감속장치를 포함하여, 사용하지 않는 관통구멍이나 윤활통로는 적절히 마개로 막도록 한다.
제1 펌프기구(91)는, 출력축(14)의 외주(14A)에 마련되어, 제1 관통구멍(51)에 윤활제를 토출 가능한 제1 펌프본체(91A)와, 일단이 그 제1 관통구멍(51)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이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제1 윤활통로(81)에 접속되는 제1 윤활배관(91B)으로 주로 구성된다. 제1 펌프기구(91)는, (감속기구공간(P1)과 연결되어 있는)부하측 케이싱(32)의 중앙원통부(32A)의 공간(P1a) 내의 윤활제를, 펌프작용에 의하여 부하측 케이싱(32)의 제1 관통구멍(51)으로부터, 제1 윤활배관(91B)을 통하여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제1 윤활통로(81)에 압송(壓送)한다. 다만, 부호 91B1은, 배관커넥터이다.
제1 윤활통로(81)는, 일단이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외주(33F)에 개구되고, 타단부는, 제1 축방향 홈(71)(제1 부위)에 있어서 감속기구(20)가 수납되어 있는 감속기구공간(P1)에 개구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축방향 홈(71)의 부하측 단부는, 멈춤링(62)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축방향 홈(71)에 유입되어 온 윤활제는, 그 제1 축방향 홈(71) 내를 부하반대측을 향하여 흐르고, 입력베어링(60)의 외륜(60C)의 부하반대측에 확보된 수납부간극(δ33)을 통과하여 입력베어링(60)의 전동체(60B)를 윤활하면서, 감속기구(20)측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제1 윤활통로(81)는, 직경방향으로 깊숙히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 작용에 의하여, 감속기구(20)의 (열부하가 높은)입력베어링(60)의 전동체(60B)나 편심체베어링(42)의 근방을 효율적으로 윤활할 수 있다.
편심체베어링(42)의 근방에 흘러들어간 윤활제는, 원심력에 의하여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내측핀(54) 및 내측롤러(56), 혹은 지지핀(46B) 및 외측롤러(46C)를 포함하는 외치기어(44)와 내치기어(46)의 맞물림부(45)로 확산되며, 그 후에는 출력축(14)의 주변으로 흘러 떨어진다. 이로 인하여, 결국, 감속기구(20)의 전체를 양호하게 윤활할 수 있다.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를 구성할 때는, 특별히 관통구멍 등의 추가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매우 간편하게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를 제조할 수 있고, 단시간 또한 저코스트로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도 8을 참조하여,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는, 출력축(14)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가로배치로 사용되는 가로배치감속장치로서, 특히, 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측 단부(예를 들면, 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측 플랜지부(32C))에 상대기계기둥부 등의 상대부재(16A)에 대한 장착부(32F)를 갖는 감속장치로서 차별화되어 있다.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에서는, 펌프기구는 탑재되지 않고, 이른바 유욕윤활(oil bath lubrication)로 윤활이 이루어진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는, 부하반대측 케이싱(33) 외에, 부하측 케이싱(32)에 대해서도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와 공용화되어 있다. 단, 부하측 케이싱(32)의 제1 관통구멍(51)은, 제1 펌프기구(91)의 토출구로서가 아니라, 오일의 급유구(급지구)로서 활용된다.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는, 부하측 케이싱(32)의 제1 관통구멍(51)이, 출력축(14)의 연직방향(Xv)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급유 후에는)제1 관통구멍(51)에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기빼기캡(87)이 씌워진다. 부호 96은, 드레인밸브기구이다.
또한, 제1 윤활통로(81)와 측부 제2 윤활통로(82B)를 접속하는 양태로 오일게이지(95)가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외주(33F)를 따라 마련된다.
다만, 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반대측 플랜지부(32B)의 제3 관통구멍(85)은,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에서는 급유구(급지구)로서 활용되고 있었지만,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에서는, 배유구(배지구)로서 기능한다. 오일게이지(95)의 설치도 부하반대측 케이싱(33)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제1 윤활통로(81)와 측부 제2 윤활통로(82B)를 사용하여 행하기 때문에,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관통구멍 등의 추가가공은 불필요하다.
또, 직경방향 길이(r82)가 짧은 측부 제2 윤활통로(82B)가, 오일게이지(95)의 연직방향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유 시(배지 시)의 잔존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에 의하면,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및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공통의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재고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이에 따라,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및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이 공통이기 때문에)구동원측과의 장착구조를 공통화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얻어진다. 종래에는, 추가가공에 의하여 부하반대측 케이싱에 윤활용의 구멍을 형성하려고 한 경우에, 예를 들면 당해 윤활용의 구멍과 구동원측의 장착구멍이 간섭하는 경우에는, 그 구동원측의 장착구멍(예를 들면 모터의 케이싱의 장착구멍)의 변경도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에 의하면,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및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의 사이에서,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이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의 감속장치는, 제1~제3 윤활통로(81~83)나 제1 관통구멍(51)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의 구성에 관한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 외에, 다양한 세로배치감속장치 VG, 혹은 가로배치감속장치 HG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부하인 연속운전이 요구되는 특수한 용도에 있어서는, 펌프기구를 1대만 구비한 상기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의 윤활구성으로는 윤활능력이 불충분할 때도 있다. 그 경우에는,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를 보다 고부하용 세로배치 제2 감속장치(VG2)로 발전시킨다.
도 1~도 5에는, 상상선으로 부가적으로 나타나 있는 제2 펌프기구를 구비한 세로배치 제2 감속장치(VG2)가 아울러 기재되어 있다. 세로배치 제2 감속장치(VG2)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의 구성에 더하여, 부하측 케이싱(32)의 제1 관통구멍(51)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2 관통구멍(52)을 추가형성하고, 부하반대측 케이싱(33)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윤활통로(82) 중 하나(이 예에서는 대향 제2 윤활통로(82A))를 활용하여 제2 펌프기구(92)를 구성한다. 제2 펌프기구(92)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 펌프기구(91)와 동일하다.
제2 펌프기구(92)는, 부하측 케이싱(32)의 중앙원통부(32A) 내의 윤활제를, 제2 펌프기구(92)의 작용에 의하여, 부하측 케이싱(32)의 제2 관통구멍(52)으로부터 제2 윤활배관(92B)을 통하여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대향 제2 윤활통로(82A)에 압송한다. 다만, 부호 92B1은, 배관커넥터이다. 대향 제2 윤활통로(82A)는, 일단이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외주(33F)에 개구되고, 타단이 제1 축방향 홈(71)(제1 부위)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의 부위(제2 부위)에 있어서 감속기구공간(P1)에 개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향 제2 윤활통로(82A)는, 감속기구공간(P1)에 있어서의 감속기구(20)의 외치기어(44)와 내치기어(46)의 맞물림부(45)의 근방에 개구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펌프기구(92)의 작용에 의하여 당해 외치기어(44)와 내치기어(46)의 맞물림부(45)의 윤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다만, 제2 관통구멍(52)은, 처음부터 형성해 두고,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를 구성할 때에는, 그 제2 관통구멍(52)에 도시하지 않은 마개를 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 및 세로배치 제2 감속장치(VG2) 양방을, 추가가공을 실시하는 일 없이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도 10에, 펌프기구를 갖지 않고, 감속기구(20)의 주요부를 윤활제에 잠기게 하는, 이른바 유욕윤활로 한 세로배치감속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세로배치 제3 감속장치(VG3)에서는, 유욕윤활기능을 구축하기 위하여, 부하측 케이싱(32)의 제1 관통구멍(51)과,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제1~제3 윤활통로(81~83) 중 어느 하나를, 에어브리더(94C)가 부착된 오일공급탱크(94B)를 개재시킨 배관(94)으로 연통시키고 있다.
즉, 오일공급탱크(94B)의 바닥면(94B1)에 연결되어 있는 배관(94A)은, 제1 관통구멍(51)에 연결되어 오일공급배관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오일공급탱크(94B)의 측면(94B2)에 연결되어 있는 배관(94D)은,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제1~제3 윤활통로(81~83)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급유 시에 감속기구공간(P1)으로부터 분출되어 나오는 공기 또는 윤활제의 일부를, 오일공급탱크(94B)로 되돌리는 오일복귀배관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다만, 오일게이지(97)는, 상대기계와의 관계에서(추가가공에 의하여) 적절한 장소에 장착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오일공급탱크(94B)를, 오일게이지가 부착된 탱크로 해도 된다. 오일공급탱크(94B)를 오일게이지가 부착된 탱크로 한 경우에는, 관통구멍의 추가가공은 불필요하고, 설치의 유연성도 높일 수 있다. 또, 부하측 케이싱(32)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제3 관통구멍(85)과 제3 윤활통로(83)를 접속하는 오일게이지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추가가공은 불필요하다.
도 11~도 13에,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HG2)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HG2)는, 부하측 케이싱(99)의 부하반대측 단부(예를 들면, 부하측 케이싱(99)의 부하반대측 플랜지부(99B)의 부하측 단부)에 상대부재에 대한 장착부(99F)를 갖는 가로배치감속장치로서 차별화되어 있다.
도 11~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HG2)도, 감속기구(20)나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지금까지의 감속기구(20)나 부하반대측 케이싱(33)과 공통이다. 단,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HG2)는, 부하측 케이싱(99)의 대부분이 상대부재 내에 들어가기 때문에, 상대부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큰 직경의 부하측 플랜지부를 갖지 않는 부하측 케이싱(99)이 전용으로 준비된다(부하측 케이싱(99)은, 지금까지 설명한 세로배치 제1~제3 감속장치(VG1~VG3)나,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의 부하측 케이싱(32)과 공통화되어 있지 않다).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HG2)에서는,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의 연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측부 제2 윤활통로(82C)를 급지구, 제3 윤활통로(83)를 배지구로서 활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HG2)는, 부하측 케이싱(99)의 부하반대측 플랜지부(99B)에, 상대부재에 장착되는 장착부(99F)를 갖는 점에서, 부하측 케이싱(99)의 부하반대측 플랜지부(99B)에 형성된 제3 관통구멍(85)을 활용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HG2)에서는, 제1~제3 윤활통로(81~83)가 형성된 시리즈 공통의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을 활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측부 제2 윤활통로(82C)를 급지구, 제3 윤활통로(83)를 배지구로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추가가공으로, 예를 들면 본체케이싱(31)에 급지구나 드레인구를 형성하거나 하는 일 없이, 대응할 수 있다.
오일게이지(95)의 설치는,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와 마찬가지로, 부하반대측 케이싱(33)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제1 윤활통로(81)와 측부 제2 윤활통로(82B)를 이용한다. 측부 제2 윤활통로(82B)는, 직경방향의 형성 깊이가 얕기 때문에, 배유 시의 잔존유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의 부하반대측 케이싱(33)은, 개구의 직경방향 위치가 상이한 제1 윤활통로(81)와 제2 윤활통로(82)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감속기구(20)의 구조에 따라, 또한 윤활의 필요도에 따라, 적절한 부위에 효율적으로 윤활제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감속장치로 채용되어 있던 편심체(40)을 내치기어(46)의 직경방향 중앙에 1개만 갖는 이른바 센터크랭크형의 편심요동형의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경우, 감속기구(20)의 직경방향 중앙 부근에 있는 편심체베어링(42)의 근방이 가장 윤활이 필요한 부분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감속기구(20)이더라도,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에서는, 직경방향 내측에 깊숙히 들어가 있는 제1 윤활통로(81)를 갖고 있기 때문에, 양호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에서는,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에 더하여, 제2 펌프기구(92)를 더 갖는 세로배치 제2 감속장치(VG2)를 간편하게 구성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VG1)에 대하여, 보다 강력한 윤활기능이 얻어지는 세로배치 제2 감속장치(VG2)를, 불과 1개소의 제2 관통구멍(52)의 추가가공만으로(제2 관통구멍(52)을 미리 형성해 두는 경우에는 전혀 추가가공 없이)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에서는, 이 외에, 유욕윤활의 세로배치 제3 감속장치(VG3), 부하측 케이싱(32)의 부하측 단부(32C)에 상대부재(16A)에 대한 장착부(32F)를 갖는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HG1), 혹은 부하측 케이싱(99)의 부하반대측 플랜지부(99B)에 상대부재에 대한 장착부(99F)를 갖는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HG2) 등도, 기본적으로 추가가공 없이 간편하게 제조 가능하다(시리즈의 구성요소로서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이상, 3종의 세로배치감속장치(VG1~VG3), 및 2종의 가로배치감속장치(HG1, HG2)를, 제조하는 구체예를 나타냈지만,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에 대응할 수 있는 베리에이션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 다양한 베리에이션에 대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본 감속장치의 시리즈에 있어서는, 제2 윤활통로(82)가, 제1 윤활통로(81)에 대하여 대칭인 원주방향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오일게이지의 위치를, 유저의 요구에 따라, 어느 측에도 동일한 부품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시리즈의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감속기구로서 편심요동형의 감속기구(20)를 채용한 감속장치가 예시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시리즈의 감속장치의 감속기구는, 이와 같은 감속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종류의 감속기구의 감속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입력축과 출력축도, 반드시 동 축일 필요는 없다.
다만, 상기 감속장치의 시리즈에 있어서는, 제1 윤활통로(81)를 1개, 제2 윤활통로(82)를 3개(제3 윤활통로(83)도 제2 윤활통로(82)의 하나로 인식하면 4개) 형성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윤활통로 및 제2 윤활통로의 형성 개수 및 형성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제1 윤활통로나 제2 윤활통로는, 미리 많이 형성하고 있을수록, 보다 다양한 베리에이션에 대응할 수 있게 되지만, 미리 수많은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은, 코스트와 시간이 걸림과 함께, 부하반대측 커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예와 같이, 제1 윤활통로(81)를 1개, 제2 윤활통로(82)를 3개(제3 윤활통로(83)도 제2 윤활통로(82)의 하나로 인식하면 4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하측 케이싱의 제2 관통구멍이나 제3 관통구멍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미리 형성해 두어도 되고, 추가가공에 의하여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미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추가가공을 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오일게이지 등을 배치하기 위한 관통구멍이나 드레인구 등은, 상대부재와의 위치관계 등, 감속장치가 설치되는 구체적인 환경에 따라 적절히 형성되어도 된다.
VG1…세로배치 제1 감속장치
HG1…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
12…입력축
14…출력축
20…감속기구
30…케이싱
32…부하측 케이싱
33…부하반대측 케이싱
33F…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외주
45…맞물림부(제2 부위)
51…제1 관통구멍
71…제1 축방향 홈(제1 부위)
81…제1 윤활통로
82…제2 윤활통로
83…제3 윤활통로
91…제1 펌프기구
91B…제1 윤활배관
95…오일게이지

Claims (5)

  1. 입력축을 연직상측, 출력축을 연직하측에 배치하여 세로배치로 사용되는 용도와, 출력축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가로배치로 사용되는 용도를 포함하는 2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감속장치를 위한 부하반대측 케이싱으로서,
    상기 감속장치는, 감속기구와, 상기 감속기구보다도 부하측을 수납하는 부하측 케이싱과, 상기 감속기구보다도 부하반대측을 수납하는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을 갖고,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은, 제1 윤활통로와 제2 윤활통로를 갖고,
    상기 제1 윤활통로는, 일단이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외주에 개구되며, 타단이 제1 부위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와 동일한 공간에 개구되고,
    상기 제2 윤활통로는, 일단이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외주에 개구되며, 타단이 상기 제1 부위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의 제2 부위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와 동일한 공간에 개구되고,
    상기 세로배치로 사용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은, 제1 관통구멍 및 상기 제1 관통구멍에 일단이 접속된 제1 펌프기구를 구비하는 상기 부하측 케이싱과 결합하여 상기 감속기구를 수용하고,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상기 제1 윤활통로에 상기 제1 펌프기구의 타단이 접속되며,
    상기 가로배치로 사용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윤활통로가 연직방향 상측, 상기 제2 윤활통로가 연직방향 하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윤활통로와 상기 제2 윤활통로가 오일게이지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장치를 위한 부하반대측 케이싱.
  2. 제 1 항에 기재된 부하반대측 케이싱으로서,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은, 상기 감속장치의 입력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외주측에 축방향으로 마련된 축방향 통로를 갖고,
    상기 제1 윤활통로는, 상기 축방향 통로에 연통하며, 또한, 상기 축방향 통로의 부하측 개구는, 상기 입력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멈춤링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장치를 위한 부하반대측 케이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부하반대측 케이싱과, 상기 감속기구와, 상기 부하측 케이싱을 가지고, 입력축을 연직상측, 출력축을 연직하측에 배치하여 세로배치로 사용되는 세로배치감속장치로서,
    상기 세로배치감속장치는, 상기 부하측 케이싱에 제2 관통구멍을 가짐과 함께, 일단이 상기 제2 관통구멍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의 상기 제2 윤활통로에 접속되는 제2 윤활배관을 포함하는 제2 펌프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배치감속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부하반대측 케이싱과, 상기 감속기구와, 상기 부하측 케이싱을 가지고, 출력축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가로배치로 사용되는 가로배치감속장치로서,
    상기 부하반대측 케이싱은, 제3 윤활통로를 갖고,
    상기 가로배치감속장치는, 상기 부하측 케이싱의 부하측 단부에 상대부재에 대한 장착부를 갖는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와, 상기 부하측 케이싱의 부하반대측 단부에 상대부재에 대한 장착부를 갖는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배치 제1 감속장치는, 상기 부하측 케이싱의 부하반대측 단부에 배지구가 되는 제3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가로배치 제2 감속장치는, 상기 제3 윤활통로가 배지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배치감속장치.
  5. 제 4 항에 기재된 가로배치감속장치로서,
    상기 부하측 케이싱이 상기 제1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구멍이 급지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배치감속장치.
KR1020160148197A 2015-12-14 2016-11-08 감속장치를 위한 부하반대측 케이싱, 세로배치감속장치, 및 가로배치감속장치 KR102505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3650 2015-12-14
JP2015243650A JP6529899B2 (ja) 2015-12-14 2015-12-14 減速装置のための反負荷側ケーシング、縦置き減速装置、横置き減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803A KR20170070803A (ko) 2017-06-22
KR102505088B1 true KR102505088B1 (ko) 2023-02-28

Family

ID=5908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197A KR102505088B1 (ko) 2015-12-14 2016-11-08 감속장치를 위한 부하반대측 케이싱, 세로배치감속장치, 및 가로배치감속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29899B2 (ko)
KR (1) KR102505088B1 (ko)
CN (1) CN1070236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2010B2 (ja) * 2018-04-05 2023-06-1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潤滑脂を交換するための交換機構及び回収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3799A (ja) 2011-03-16 2012-10-11 Sumitomo Heavy Ind Ltd 減速装置、及び減速装置のシリーズ
JP2012207692A (ja) 2011-03-29 2012-10-25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821A (ja) * 1996-02-08 1997-08-1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車両における環流油制御装置
KR100771666B1 (ko) 2006-09-11 2007-11-01 주식회사 해성산전 수직감속기용 오일펌프 어셈블리
JP5139475B2 (ja) * 2010-06-07 2013-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油圧制御回路
US9180869B2 (en) * 2011-11-11 2015-11-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drive system
CN104455356B (zh) * 2014-11-24 2017-04-05 盛瑞传动股份有限公司 一种变速箱的润滑油路
CN204573046U (zh) * 2015-02-09 2015-08-19 绍兴金道齿轮箱有限公司 电动车辆、减速箱及其润滑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3799A (ja) 2011-03-16 2012-10-11 Sumitomo Heavy Ind Ltd 減速装置、及び減速装置のシリーズ
JP2012207692A (ja) 2011-03-29 2012-10-25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803A (ko) 2017-06-22
JP6529899B2 (ja) 2019-06-12
CN107023643B (zh) 2019-06-18
CN107023643A (zh) 2017-08-08
JP2017110688A (ja)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790B2 (en) Vacuum pump with improved oil lubrication
US5492416A (en) Rolling element bearing system with a filtering seal
JP5049892B2 (ja) 車両用駆動モータユニット
US20180171838A1 (en) Power system
EP2317083A1 (en) Cam shaft supporting apparatus
US20120024107A1 (en) Transmission with splash lubrication system
JP6759124B2 (ja) 偏心揺動型の歯車装置
KR102505088B1 (ko) 감속장치를 위한 부하반대측 케이싱, 세로배치감속장치, 및 가로배치감속장치
US5211262A (en) Hydraulic oil supplying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2006029393A (ja) 軸受部構造
JP5537251B2 (ja) 車両駆動用電動機の軸受装置
CN111536224A (zh) 用于交通工具,尤其用于机动车的驱动系
JP6122825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JP2011112145A (ja) 遊星歯車の潤滑装置
JP6011973B2 (ja) 変速機におけるベアリングの回り止め構造
CN106224507A (zh) 一种结构紧凑的取力器
CN109707800B (zh) 行星辊式变速器
CN108571567B (zh) 行星齿轮装置
JP3213356U (ja) 内接歯車ポンプ
GB2387205A (en) Lubricated taper roller bearing assembly
JP6214120B2 (ja) バランサ装置
JP6466817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RU2620124C9 (ru) Корпус трансмиссии и узел ведущей оси,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ый корпус
JP2015127579A (ja) 減速装置
KR102580720B1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