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72B1 -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72B1
KR102505072B1 KR1020210112558A KR20210112558A KR102505072B1 KR 102505072 B1 KR102505072 B1 KR 102505072B1 KR 1020210112558 A KR1020210112558 A KR 1020210112558A KR 20210112558 A KR20210112558 A KR 20210112558A KR 102505072 B1 KR102505072 B1 KR 10250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rgo
vibration system
mou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12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9Transporter fram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26Corner fittings characterised by shape, configuration or number of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화물 컨테이너 내에 설치와 탈거가 용이하면서 지게차를 이용한 화물 상차 및 하차가 쉽도록 한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 바닥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마운트부와, 상기 마운트부에 의해 양측 하부가 안착 지지되어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판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Freight Anti-vibration System}
본 발명은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화물 컨테이너 내에 설치와 탈거가 용이하면서 지게차를 이용한 화물 상차 및 하차가 쉽도록 한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방진장치는 종래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2278632호의 "컨테이너 화물 방진장치"에서와 같이 화물이 놓이는 상판과 방진 마운트가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방진장치(1)에 지게차 등으로 화물을 싣기 위해서 컨테이너 문쪽의 방진장치(1)에 경사바(13)을 추가로 설치하고 지게차 하중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를 상판 하부에 설치하는 등 추가적인 구성품이 필요하다.
또한, 화물을 싣고 난 후에 스톱퍼를 해제하여야 하는 등 화물 상하차 과정에서 추가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한편, 방진장치가 상판/마운트 등이 모두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컨테이너 내부에 장치를 설치 탈거하는 경우에도 먼저 해체하거나 큰 무게를 다루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2200949호의 "다중 스프링 조합을 이용한 방진 마운트"에 비교적 단순한 스프링/댐퍼 부품을 조합하면서도 에어서스펜션과 동등 이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방진마운트(이하, 'MSNS 방진마운트')가 나타나 있는데, 상판/프레임과 일체로 방진마운트를 설치할 수 있으나, 설치/탈거와 화물 상하차가 더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278632호 한국 등록특허 제10-220094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 수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하여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쉽게 화물을 상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단순한 부품들로 구성하여 제작과 유지보수에 경제적이며, 상하차 비용과 시간을 줄여 전체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특수 컨테이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화물차 또는 선박, 항공기 등의 적재함 또는 적재공간에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마운트부와, 상기 마운트부에 의해 양측 하부가 안착 지지되어 적재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판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운트부는 하부틀과, 상기 하부틀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틀과, 상기 하부틀과 상부틀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1 및 제2탄성부재와, 상기 하부틀과 상부틀의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틀은 단면이 "∪" 형상이 되도록 양측부에 하부측벽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측벽에는 적재공간에 고박하기 위한 하부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틀은 단면이 "∪" 형상이 되도록 양측부에 상부측벽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측벽에는 화물의 고박을 위한 상부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판프레임부는 격자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양측부에 상기 마운트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바가 돌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상부틀은 상기 설치바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바는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바에는 화물의 고박을 위한 고정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지지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 수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하여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쉽게 화물을 상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부품들로 구성하여 제작과 유지보수에 경제적이며, 상하차 비용과 시간을 줄여 전체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컨테이너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특수 컨테이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화물차 또는 선박, 항공기 등의 적재함 또는 적재공간에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화물 방진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 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이 설치된 컨테이너 내부에 상차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의 상판프레임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 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이 설치된 컨테이너 내부에 상차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의 상판프레임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주로 화물 컨테이너 내에 설치와 탈거가 용이하면서 지게차를 이용한 화물 상차 및 하차가 쉽도록 한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50)에 관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마운트부(100)와, 상기 마운트부(100)에 의해 양측 하부가 안착 지지되어 적재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판프레임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50)은 화물컨테이너, 화물차, 선박 또는 항공기 등의 적재함 등의 적재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물이 안착되는 상판프레임부(200)가 상기 마운트부(100)에 의해 양측 하부가 안착 지지되어 적재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바닥과 이격된 사이로 지게차의 지게포크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마운트부(100)에 상판프레임부(20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게차의 진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화물 상차 및 하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운트부(100)는 상기 상판프레임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공간의 바닥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트부(100)는 적재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틀(110)과, 상기 하부틀(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틀(120)과, 상기 하부틀(110)과 상부틀(120)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1 및 제2탄성부재(130,140)와, 상기 하부틀(110)과 상부틀(120)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틀(110)은 단면이 "∪" 형상이 되도록 양측부에 하부측벽(112)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측벽(112)이 컨테이너 등 적재공간의 내벽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측벽(112)에는 하부고정공(114)이 형성되어 적재공간에 구비되는 라싱링(lashing ring, 미도시)과 하부고정공(114)을 로프, 와이어 또는 쇠사슬 등으로 연결하여 하부틀(110)을 적재공간에 고박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상부틀(120)은 단면이 "∪" 형상이 되도록 양측부에 상부측벽(12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측벽(122)에는 화물의 고박을 위한 상부고정공(1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130) 및 댐퍼(150)는 상기 하부틀(110)과 상부틀(120)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상하방향 진동을 차단 및 감쇄시킴으로써 화물 수송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140)는 상기 하부틀(110)과 상부틀(120)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설치된 길이방향 진동을 차단 및 감쇄시킴으로써 화물 수송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판프레임부(200)는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것으로, 격자 형태의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210)은 양측부에 마운트부(10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바(21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판프레임부(200)가 상기 마운트부(100)에 안착 시 프레임(210)이 고정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데, 상기 설치바(212)는 프레임(210)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바(212)는 상기 마운트부(100)의 상부틀(120)에 형성된 고정홈(126)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틀(120)의 상부측벽(122)에 의해 전,후방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상판프레임부(200)가 상기 마운트부(100)에 안착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지게차에 의해 상판프레임부(200)를 상측으로 들어낼 수 있어 화물의 하차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설치바(212)에는 화물의 고박을 위한 고정링(214)이 구비되어 상기 마운트부(100)의 상부틀(120)에 형성된 상부고정공(124)과 고정링(214)을 로프, 와이어 또는 쇠사슬 등으로 연결하여 상판프레임부(200)를 마운트부(100)에 고박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0)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지지바(218)가 더 구비되어 화물을 탑재하여 평평한 지면에 내려 놓았을 때 지면과 이격을 두어 지면의 물기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하면서도 지게차의 지게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210)의 지지 하중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50)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등의 적재공간의 양측 바닥부에 마운트부(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지게차로 화물이 적재된 상판프레임부(200)를 이송한다.
이때, 마운트부(100)가 적재공간의 양측 바닥부에 설치되고 중앙부는 비어있게 되므로 지게차의 진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운트부(100)는 적재공간에 구비되는 라싱링(lashing ring, 미도시)과 하부고정공(114)을 로프, 와이어 또는 쇠사슬 등으로 연결하여 하부틀(110)을 적재공간에 고박한 상태가 바람직하다.
다음,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게차가 진입하여 화물이 적재된 상판프레임부(200)를 마운트부(100)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판프레임부(200)의 설치바(212)가 마운트부(100)의 상부틀(120)에 형성된 고정홈(126)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틀(120)의 상부측벽(122)에 의해 전후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상판프레임부(200)가 상기 마운트부(100)에 안착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운트부(100)의 상부틀(120)에 형성된 상부고정공(124)과 상판프레임부(200)의 프레임(210)에 형성된 고정링(214)을 로프, 와이어 또는 쇠사슬 등으로 연결하여 상판프레임부(200)를 마운트부(100)에 고박한 상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속하게 화물을 모두 상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50')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프레임부(200')의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설치바(212')는 "ㄱ" 형상이 되도록 프레임(210')의 상측 및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마운트부(100)에 상판프레임부(200')를 설치 시 설치바(212')의 형상에 의해 전술한 실시 예보다 상판프레임부(200')가 바닥에 더 가까운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상판프레임부(200')의 상부 공간이 더욱 높아지게 되므로 적재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높이가 높은 화물도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상판프레임부(200')가 여전히 바닥에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지게차의 지게포크를 상판프레임부(200')의 하부로 진입시킬 수 있고, 지게차로 상판프레임부(200')를 이송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50,5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50,50')은 상판프레임부(200,200')의 프레임(210,210')의 형상이 다수개의 격자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강도가 더욱 보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50,50')에 의하면, 화물 수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하여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쉽게 화물을 상하차할 수 있도록 하며, 비교적 단순한 부품들로 구성하여 제작과 유지보수에 경제적이며, 상하차 비용과 시간을 줄여 전체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일반적인 컨테이너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특수 컨테이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화물차 또는 선박, 항공기 등의 적재함 또는 적재공간에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화물 컨테이너 내에 설치와 탈거가 용이하면서 지게차를 이용한 화물 상차 및 하차가 쉽도록 한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50,50':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100: 마운트부 110: 하부틀
112: 하부측벽 114: 하부고정공
120: 상부틀 122: 상부측벽
124: 상부고정공 126: 고정홈
130, 140: 제1,2탄성부재 150: 댐퍼
200,200': 상판프레임부 210,210': 프레임
212,212': 설치바 214: 고정링
218: 지지바 220: 상판

Claims (9)

  1.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의 바닥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마운트부와,
    상기 마운트부에 의해 양측 하부가 안착 지지되어 적재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판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트부는 하부틀과, 상기 하부틀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틀과, 상기 하부틀과 상부틀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제1 및 제2탄성부재와, 상기 하부틀과 상부틀의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틀은 단면이 "∪" 형상이 되도록 양측부에 상부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측벽에는 화물의 고박을 위한 상부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틀은 단면이 "∪" 형상이 되도록 양측부에 하부측벽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측벽에는 적재공간에 고박하기 위한 하부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프레임부는 격자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양측부에 상기 마운트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틀은 상기 설치바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바는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화물 방진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바에는 화물의 고박을 위한 고정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지지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KR1020210112558A 2021-08-25 2021-08-25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KR10250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58A KR102505072B1 (ko) 2021-08-25 2021-08-25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58A KR102505072B1 (ko) 2021-08-25 2021-08-25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072B1 true KR102505072B1 (ko) 2023-03-03

Family

ID=8551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558A KR102505072B1 (ko) 2021-08-25 2021-08-25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0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242A (ja) * 1997-12-24 1999-07-13 Nippon Express Co Ltd パレットおよびパレット装置
JP2014077500A (ja) * 2012-10-11 2014-05-01 Tokkyokiki Corp 緩み止め具及び当該緩み止め具を備えた減震ストッパ構造
KR20140134364A (ko) * 2013-05-13 2014-11-24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KR102200949B1 (ko) 2020-05-13 2021-0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중 스프링 조합을 이용한 방진 마운트
KR20210010209A (ko) * 2019-07-19 2021-01-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컨테이너 화물 방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242A (ja) * 1997-12-24 1999-07-13 Nippon Express Co Ltd パレットおよびパレット装置
JP2014077500A (ja) * 2012-10-11 2014-05-01 Tokkyokiki Corp 緩み止め具及び当該緩み止め具を備えた減震ストッパ構造
KR20140134364A (ko) * 2013-05-13 2014-11-24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KR20210010209A (ko) * 2019-07-19 2021-01-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컨테이너 화물 방진장치
KR102278632B1 (ko) 2019-07-19 2021-07-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컨테이너 화물 방진장치
KR102200949B1 (ko) 2020-05-13 2021-0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중 스프링 조합을 이용한 방진 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6303B2 (en) Module for the modular frame of a heavy load transport vehicle
KR101030106B1 (ko) 자동차 부품 운반용 파레트
KR20130033894A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JP4901289B2 (ja) 大型精密貨物の輸送用パレット装置
KR102505072B1 (ko)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JP5520157B2 (ja) 防振架台
JP6132866B2 (ja) バンプラバー装置並びにこれを具えた車輌、船舶及び構造物
KR102278632B1 (ko) 컨테이너 화물 방진장치
US8083076B2 (en) Protection apparatus, method of locating a superconductive magnet unit and superconductive magnet unit apparatus
KR102262326B1 (ko) 화물 컨테이너 방진장치
KR20220015782A (ko) 고박구조물
KR102096960B1 (ko) 차량용 적재 장치
JP5871699B2 (ja) 制振パレット
JP5120704B2 (ja) 鉄道輸送用防振マット
KR102347757B1 (ko) 화물 컨테이너용 방진장치
CN216334244U (zh) 一种底架及具有其的集装箱
US20050017001A1 (en) Modified shipping container
KR100698233B1 (ko) 이중완충수단을 갖는 파렛트
JP2007030924A (ja) 防振架台
KR20190134333A (ko) 고하중 적재를 위한 저진동 접이식 팔레트
KR100411161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화물 고정구조
JP2024047196A (ja) ガラス梱包体およびガラス輸送体
JP2004292026A (ja) 防振コンテナ
KR20140015764A (ko) 선박
JP2002255279A (ja) 航空機用防振コンテ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