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782A - 고박구조물 - Google Patents

고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782A
KR20220015782A KR1020200096273A KR20200096273A KR20220015782A KR 20220015782 A KR20220015782 A KR 20220015782A KR 1020200096273 A KR1020200096273 A KR 1020200096273A KR 20200096273 A KR20200096273 A KR 20200096273A KR 20220015782 A KR20220015782 A KR 20220015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thin
container
shi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아
김진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782A/ko
Publication of KR2022001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거주구에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에 설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고박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고박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박구조물{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의 고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컨테이너선은,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인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선박이다.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선박으로서, 다량의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해상 운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선은 많은 양의 컨테이너를 실어야 하므로, 선체의 화물창에 컨테이너를 실은 후 해치 커버를 덮고, 해치 커버 상부에도 컨테이너를 복수의 층으로 쌓고 있다.
여기서, 해치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컨테이너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데, 이들 컨테이너는 풍랑이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컨테이너가 전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복을 방지하고 적층 단수 및 중량의 분배를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선에는 고박구조물을 설치하여 컨테이너를 고박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경우는, 고박구조물(10)이 선박의 갑판(30)에 설치되고, 거주구(20)와 고박구조물(10)의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있었다.
이 경우, 종래의 경우는 고박구조물(10)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고, 거주구(20)와 고박구조물(10)의 사이가 서로 이격되면서 선박의 길이가 다소 길어질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는, 고박구조물(10)에 작용하는 모멘트값이 커지면서 고박구조물(10)의 경량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박구조물을 선박의 거주구에 일체화시켜 고박구조물의 설치와 유지보수에 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선박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고박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멘트값을 최소화하여 고박구조물의 경량화를 달성하여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고박구조물을 선박의 거주구에 일체화시켜 고박구조물의 설치와 유지보수에 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선박의 길이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고박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멘트값을 최소화하여 고박구조물의 량화 및, 비용절감을 달성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선박의 거주구에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에 설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고박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고박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거주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본체; 상기 연장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테라스부재; 및, 상기 테라스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고박부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브라켓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박부는, 컨테이너에 형성된 장공형상의 단부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핀부재; 및, 상기 삽입핀부재 및, 상기 브라켓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로드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주구에는 하나의 상기 수평지지부만 설정된 높이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박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에서 컨테이너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박구조물을 선박의 거주구에 일체화시켜 고박구조물의 설치와 유지보수에 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선박의 길이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박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멘트값을 최소화하여 고박구조물의 경량화 및, 비용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박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고박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의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박구조물(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박구조물(10)은 수평지지부(100) 및, 고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박구조물(10)은 선박의 거주구(20)에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부(100) 및, 상기 수평지지부(100)에 설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C)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고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평지지부(100)는 선박의 거주구(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구조물이고, 수평지지부(100)에 고정된 고박구조물(10)을 지지하는 구조부재의 역할을 한다.
수평지지부(100)는 선박의 거주구(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선박의 폭방향인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100)는 높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C)를 고정하기 위해 선박의 폭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지지부(100)는 컨테이너(C)의 횡방향 배치길이에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박부(200)는 수평지지부(100)와 컨테이너(C)의 사이를 연결하여 컨터이너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박부(200)의 일측 단부는 수평지지부(10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컨테이너(C)에 고정될 수 있다.
고박부(200)는 수평지지부(100)와 컨테이너(C)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100)에는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고박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컨테이너(C)에는 2개의 고박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C)는 고박부(200)를 매개로 수평지지부(100)에 고정될 수 있고, 수평지지부(100)는 거주구(20)에 고정된 상태로 컨테이너(C)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박구조물(10)을 선박의 거주구(20)에 일체화시켜 고박구조물(10)의 설치와 유지보수에 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선박의 길이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박구조물(10)이 선박으로 거주구(20)에 일체화됨으로써, 본 발명의 컨테이너(C)경계(L2)는 종래의 컨테이너(C)경계(L1) 보다 거주구(20)에 가까워질 수 있어 선박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박구조물(10)에 작용하는 모멘트값을 최소화하여 고박구조물(10)의 경량화 및, 비용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고박구조물(10)은 거주구(20) 등의 대형구조물 제작시 고박구조물(10)의 조립작업을 함께 할 수 있어, 작업공부가 줄어들면서 선박의 제작공기의 단축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평지지부(100)는, 상기 거주구(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본체(110)와, 상기 연장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테라스부재(130) 및, 상기 테라스부재(130)에 형성되고, 상기 고박부(20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브라켓부재(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본체(110)는 평면상에서 선박의 폭방향으로 장변이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장본체(110)는 거주구(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연장본체(110)의 일측 단부는 거주구(20)에 일체로 고정되면서 고정단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컨테이너(C)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테라스부재(130)는 연장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테라스부재(130)는 작업자의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재(131)와, 바닥부재(131)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난간부재(13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박부(200)는, 컨테이너(C)에 형성된 장공형상의 단부홀(H)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핀부재(230) 및, 상기 삽입핀부재(230) 및, 상기 브라켓부재(15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로드본체(210)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핀부재(230)는 컨테이너(C)에 형성된 장공형상의 단부홀(H)에 삽입되고, 삽입핀부재(230)가 단부홀(H)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삽입핀부재(230)의 양단부가 단부홀(H)의 주변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로드본체(210)는 브라켓부재(150) 및, 삽입핀부재(230)에 각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수평지지부(100)와 컨테이너(C)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로드본체(210)는 브라켓부재(1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로드부재(211)와, 삽입핀부재(2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로드부재(213)와, 제1 로드부재(211) 및 제2 로드부재(213)의 사이를 연결하는 턴버클부재(21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로드부재(211)와 브라켓부재(150)는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로드부재(213)는와 삽입핀부재(230)는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컨테이너(C)가 높이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면서 컨테이너라인(CL)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컨테이너라인(CL)이 횡방향으로 열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컨테이너라인(CL)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C) 중 하나의 컨테이너(C)에만 고박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컨테이너라인(CL)을 구성하는 인접한 컨테이너(C)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높이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된 컨테이너라인(CL)이 고박부(200)를 매개로 수평지지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상기 수평지지부(100) 만이 상기 거주구(20)의 설정된 높이에 설치되고, 고박부(200)는 하나의 컨테이너라인(CL)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컨터이너 중 하나의 컨테이너(C)만을 수평지지부(10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박구조물(10)은 거주구(20)에는 하나의 상기 수평지지부(100)만 설정된 높이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박부(200)는 상기 수평지지부(100)에서 컨테이너(C)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평지지부(100)와 하나의 컨테이너(C)의 사이에는 2개의 고박부(200)가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박부(200)는 수평지지부(100)의 브라켓부재(150)과 컨테이너(C)의 단부홀(H)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박부(200)는 높이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C) 중 브라켓부재(150)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C)의 단부홀(H) 중 가장 가까운 단부홀(H)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박부(200)에 의해 수평지지부(100)에 고정된 컨테이너(C)가 선박의 갑판(30)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고, 고박구조물(1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고박구조물(10)에 작용하는 모멘트값을 최소화하면서 고박구조물(10)의 경량화 및 비용을 절감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고박구조물 20: 거주구
30: 갑판 100: 수평지지부
110: 연장본체 130: 테라스부재
131: 바닥부재 133: 난간부재
150: 브라켓부재 200: 고박부
210: 로드본체 211: 제1 로드부재
213: 제2 로드부재 215: 턴버클부재
230: 삽입핀부재 C: 컨테이너
CL: 컨테이너라인 H: 단부홀
L1: 종래의 컨테이너경계 L2: 본 발명의 컨테이너경계

Claims (4)

  1. 선박의 거주구에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에 설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고박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고박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거주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본체;
    상기 연장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테라스부재; 및,
    상기 테라스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고박부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브라켓부재;를 구비하는 고박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박부는,
    컨테이너에 형성된 장공형상의 단부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핀부재; 및,
    상기 삽입핀부재 및, 상기 브라켓부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로드본체;를 구비하는 고박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에는 하나의 상기 수평지지부만 설정된 높이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박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에서 컨테이너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구조물.
KR1020200096273A 2020-07-31 2020-07-31 고박구조물 KR20220015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73A KR20220015782A (ko) 2020-07-31 2020-07-31 고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73A KR20220015782A (ko) 2020-07-31 2020-07-31 고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782A true KR20220015782A (ko) 2022-02-08

Family

ID=8025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273A KR20220015782A (ko) 2020-07-31 2020-07-31 고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7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780A (ko) 2022-09-30 2024-04-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고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780A (ko) 2022-09-30 2024-04-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고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3951A (en) Cargo-container stack and stack reinforcing and lash-down apparatus
US7140821B2 (en) Roll on/roll off ramp-deck transport platform
US6572325B2 (en) Freight container and lift casting therefore and method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same
US20040028495A1 (en) Transport linking frames
KR20130033894A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US7040848B2 (en) Transport platform
EA001289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и выгрузки грузовых контейнеров с агрегатом тележки на палубе
US20050019127A1 (en) Contrail shipping platform
US3178216A (en) Cargo pallet construction
KR20220015782A (ko) 고박구조물
EP0121681B1 (en) Apparatus for securing on-deck containers
KR20230129344A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JP6542404B1 (ja) ベントポスト兼用コンテナシート
KR102530035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CN201224483Y (zh) 集装箱运输架
KR200427799Y1 (ko) 선적용 승용차 컨테이너
US20040028496A1 (en) Load carrying vehicle
KR102505072B1 (ko)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EP4316973A1 (en) Auxiliary container loading apparatus, container carrier comprising same, and container unloading method
KR20240002146A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20120109727A (ko) 컨테이너선용 래싱 브리지
JPS6345435Y2 (ko)
CN117377613A (zh) 货柜堆叠协助装置、具有货柜堆叠协助装置的货柜载具及货柜装载和卸除方法
JPS6327036Y2 (ko)
JPH0738073Y2 (ja) 貸物搭載用架台付き船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