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960B1 - 차량용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960B1
KR102096960B1 KR1020180104465A KR20180104465A KR102096960B1 KR 102096960 B1 KR102096960 B1 KR 102096960B1 KR 1020180104465 A KR1020180104465 A KR 1020180104465A KR 20180104465 A KR20180104465 A KR 20180104465A KR 102096960 B1 KR102096960 B1 KR 102096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ading box
loading
cargo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482A (ko
Inventor
임명희
Original Assignee
임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희 filed Critical 임명희
Priority to KR102018010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960B1/ko
Priority to PCT/KR2019/011315 priority patent/WO2020050583A1/ko
Publication of KR2020002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에 장착되어 소형 화물을 포함한 다양한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적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트럭의 적재함에 장착되는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일측벽에 인접되는 제1 프레임유닛 및 상기 적재함의 타측벽에 인접되어 상기 제1 프레임유닛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프레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의 사이 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화물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적재공간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소형 화물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일상생활에 쓰이는 다양한 물품을 안정적으로 운송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적재 장치{LOAD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트럭용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화물 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차량을 의미하며, 차량 후미에 적재함을 구비하여 다양한 화물의 운송이 쓰이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자재 및 산업물품 등 대형화물의 운송에 적합한 대형트럭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전반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형트럭, 일례로 픽업트럭(Pick-up Truck)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소형트럭에 대한 종래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338540호(픽업트럭 적재함 커버, 2004.01.05.)"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고안은 차량 후미에 구비된 적재함에 안정적으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 커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종래의 소형트럭의 경우 적재함 벽면에 형성된 후크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화물을 고정하고, 적재함 커버를 닫아 화물이 적재함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만, 소형 화물의 경우 와이어를 사용하더라도 적재함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하기 어려워 화물이 크게 움직이는 바,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338540호(픽업트럭 적재함 커버, 2004.01.05.)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럭의 적재함에 장착되어 소형 화물을 포함한 다양한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적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장치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트럭의 적재함에 장착되는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일측벽에 인접되는 제1 프레임유닛 및 상기 적재함의 타측벽에 인접되어 상기 제1 프레임유닛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프레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의 사이 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화물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적재공간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은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트럭의 바퀴에 의해 돌출된 돌출공간을 회피하여 상기 적재함에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적재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 상부에 탈착 가능하며, 하부에 제1 화물이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제2 화물이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3 프레임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프레임유닛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제2 화물이 상기 제3 프레임유닛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돌출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모듈과, 상기 상부프레임모듈의 하측에서 상기 돌출공간을 회피하도록 배치되는 하부프레임모듈과, 상기 상부프레이모듈과 상기 하부프레임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프레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모듈은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프레임은 연속되는 "V"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와이어 또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이 상기 적재함에 탈착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탈착부는 상기 적재함의 측벽에 형성된 후크에 탈착되고, 상기 적재함의 측벽에 밀착되며 상기 후크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으로부터 상기 적재함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판과, 상기 제1 지지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프레임과 삽입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지지판에 마주하도록 상기 밀착판으로부터 상기 적재함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프레임과 삽입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제2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탈착부는 상기 적재함의 전방에 위치하는 탑승부의 벽면에 형성된 후크에 탈착되고, 상기 탑승부의 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후크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으로부터 상기 적재함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프레임과 삽입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는 소형 화물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일상생활에 쓰이는 다양한 물품을 안정적으로 운송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창작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의 제1 탈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의 제2 탈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의 사용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창작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100, 이하, 적재 장치라 칭한다.)는 픽업트럭(10)의 적재함(12)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화물이 픽업트럭(10)에 견고하게 적재되도록 한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 장치(100)는 픽업트럭(10)을 포함한 다양한 트럭에 장착될 수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그리고 픽업트럭(10)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사가 탑승하는 탑승부(11) 및 탑승부(11)의 후미에 연결되어 화물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적재함(12)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적재함(12)은 복수 개의 강철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재함(12)의 벽면에는 와이어 등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후크가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적재 장치(100)는 적재함(12)에 구비된 후크에 탈착되며, 적재함(12) 내부에 화물의 고정공간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적재 장치(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100)는 제1 프레임유닛(110), 제2 프레임유닛(120) 및 제3 프레임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프레임유닛(110)은 적재함(12) 내부에서 일측벽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1 프레임유닛(110)은 제1 상부프레임모듈(111), 제1 하부프레임모듈(112) 및 제1 연결프레임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모듈(111)은 제1 프레임유닛(110)의 상부를 형성한다. 제1 상부프레임모듈(111)은 복수 개의 프레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상부프레임모듈(111)은 제1 프레임(F1), 제2 프레임(F2), 제3 프레임(F3) 및 제4 프레임(F4)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프레임(F1)은 적재함(12)의 내측벽에 밀착되며 픽업트럭(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2 프레임(F2)은 제1 프레임(F1)으로부터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탑승부(11)의 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레임(F3)은 제1 프레임(F1)에 마주하도록 제2 프레임(F2)으로부터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이 제1 프레임(F1)의 자유단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4 프레임(F4)은 제1 프레임(F1)과 제3 프레임(F3)의 연결부위로부터 픽업트럭(10)의 후미를 향해 연장된다.
그리고 제1 하부프레임모듈(112)은 제1 프레임유닛(110)의 하부를 형성한다. 제1 하부프레임모듈(112)은 복수 개의 프레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부프레임모듈(112)은 제5 프레임(F5) 및 제6 프레임(F6)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5 프레임(F5)은 적재함(12)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일단이 탑승부(11)의 벽면에 밀착될 수 있고 타단이 픽업트럭(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재함(12)의 내측벽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프레임(F5)은 제3 프레임(F3)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제3 프레임(F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프레임(F5)은 제1 프레임유닛(110)이 적재함(1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돌출공간을 회피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돌출공간은 픽업트럭(10)에 구비되는 뒷바퀴에 따라 적재함(12)의 바닥면과 일측벽 사이에서 돌출된 영역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픽업트럭(10)의 경우 적재함(12)에 뒷바퀴를 위한 돌출영역이 형성된다. 이에, 제5 프레임(F5)은 적어도 일영역이 적재함(12)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1 프레임유닛(110)이 돌출공간을 회피하여 내측벽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프레임(F6)은 제5 프레임(F5)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제4 프레임(F4)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프레임모듈(113)은 제1 상부프레임모듈(111)과 제1 하부프레임모듈(112)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1 연결프레임모듈(113)은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수직프레임(113a), 제1 수평프레임(113b) 및 제1 경사프레임(113c)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수직프레임(113a)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수직프레임(113a)은 제4 프레임(F4)과 제6 프레임(F6) 사이, 및 제3 프레임(F3)과 제5 프레임(F5)의 절곡부위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상부프레임모듈(111)과 제1 하부프레임모듈(112)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수평프레임(113b)은 복수 개의 제1 수직프레임(113a) 중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제1 경사프레임(113c)은 제3 프레임(F3)과 제5 프레임(F5)의 전방영역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경사프레임(113c)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경사프레임(113c)은 연속되는 "V"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유닛(120)은 제1 프레임유닛(110)에 마주하도록 적재함(12) 내부에서 타측벽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2 프레임유닛(120)은 제2 상부프레임모듈(121), 제2 하부프레임모듈(122) 및 제2 연결프레임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프레임모듈(121)은 제2 프레임유닛(120)의 상부를 형성한다. 제2 상부프레임모듈(121)은 복수 개의 프레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상부프레임모듈(121)은 제7 프레임(F7), 제8 프레임(F8), 제9 프레임(F9) 및 제10 프레임(F1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7 프레임(F7)은 적재함(12)의 내측벽에 밀착되며 픽업트럭(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8 프레임(F8)은 제7 프레임(F7)으로부터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탑승부(11)의 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9 프레임(F9)은 제7 프레임(F7)에 마주하도록 제8 프레임(F8)으로부터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이 제7 프레임(F7)의 자유단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0 프레임(F10)은 제7 프레임(F7)과 제9 프레임(F9)의 연결부위로부터 픽업트럭(10)의 후미를 향해 연장된다.
그리고 제2 하부프레임모듈(122)은 제2 프레임유닛(120)의 하부를 형성한다. 제2 하부프레임모듈(122)은 복수 개의 프레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하부프레임모듈(122)은 제11 프레임(F11) 및 제12 프레임(F1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1 프레임(F11)은 적재함(12)의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일단이 탑승부(11)의 벽면에 밀착될 수 있고 타단이 픽업트럭(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재함(12)의 내측벽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1 프레임(F11)은 제9 프레임(F9)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제9 프레임(F9)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프레임(F11)은 제2 프레임유닛(120)이 적재함(1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돌출공간을 회피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2 프레임(F12)은 제11 프레임(F1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0 프레임(F10)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프레임모듈(123)은 제2 상부프레임모듈(121)과 제2 하부프레임모듈(122)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2 연결프레임모듈(123)은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제2 수직프레임(123a), 제2 수평프레임(123b) 및 제2 경사프레임(123c)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2 수직프레임(123a)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수직프레임(123a)은 제10 프레임(F10)과 제12 프레임(F12) 사이, 및 제9 프레임(F9)과 제11 프레임(F11)의 절곡부위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상부프레임모듈(121)과 제2 하부프레임모듈(122)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수평프레임(123b)은 복수 개의 제2 수직프레임(123a) 중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제2 경사프레임(123c)은 제9 프레임(F9)과 제11 프레임(F11)의 전방영역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2 경사프레임(123c)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2 경사프레임(123c)은 연속되는 "V"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프레임유닛(130)은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프레임유닛(110)과 제2 프레임유닛(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3 프레임유닛(130)은 제1 프레임유닛(110)과 제2 프레임유닛(12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 개의 프레임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유닛(110)과 제2 프레임유닛(120)의 상부에 배치된 제3 프레임유닛(130)은 하부에 대형화물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소형화물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3 프레임유닛(130)의 후방영역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 프레임(131)이 장착되어 제3 프레임유닛(130)의 상부에 배치된 소형화물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한편, 적재 장치(100)에는 적재 장치(100)를 픽업트럭(10)에 탈착시키는 제1 탈착부(200) 및 제2 탈착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 탈착부(200) 및 제2 탈착부(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의 제1 탈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의 제2 탈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100)는 제1 탈착부(200) 및 제2 탈착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탈착부(200)는 복수의 커플링부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며, 적재함(12)에 구비된 후크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제1 탈착부(200)는 제6 프레임(F6) 및 제12 프레임(F12)에 마련되어 적재함(12)의 측벽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탈착부(200)의 위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1 탈착부(200)는 제1 밀착판(210), 제1 커플링부재(220) 및 제2 커플링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착판(210)은 적재함(12)의 벽면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제1 장착홀(21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1 장착홀(211)은 적재함(12) 내측벽에 구비된 후크가 삽입 및 이탈되며 제1 밀착판(210)이 적재함(12)에 탈착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장착홀(211)이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함(12)의 구비되는 후크의 종류에 따라 제1 장착홀(211)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홀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의 변경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커플링부재(220)는 제1 지지판(221) 및 제1 삽입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판(221)은 제1 밀착판(210)으로부터 적재함(12)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측방향에 제1 삽입부(222)가 마련된다. 제1 삽입부(222)는 제1 프레임유닛(110) 및 제2 프레임유닛(120)의 프레임과 삽입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플링부재(230)는 제2 지지판(231) 및 제2 삽입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판(231)은 제1 밀착판(210)으로부터 적재함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지지판(231)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지지판(231)의 외측방향에는 제2 삽입부(232)가 마련된다. 제2 삽입부(232)는 제1 프레임유닛(110) 및 제2 프레임유닛(120)의 프레임과 삽입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한편, 제2 탈착부(300)는 단일의 커플링부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며, 적재함(12)에 구비된 후크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제2 탈착부(300)는 제5 프레임(F5) 및 제11 프레임(F11)의 일단에 마련되어 탑승부(11)의 벽면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2 탈착부(300)의 위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2 탈착부(300)는 제2 밀착판(310) 및 제3 커플링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착판(310)은 탑승부의 벽면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제2 장착홀(31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2 장착홀(311)은 탑승부(11) 벽면에 구비된 후크가 삽입 및 이탈되며 제2 밀착판(310)이 탑승부(11) 벽면에 탈착되도록 한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부(11) 벽면의 구비되는 후크의 종류에 따라 제2 장착홀(311)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홀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의 변경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3 커플링부재(320)는 제3 지지판(321) 및 제3 삽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판(321)은 제2 밀착판(310)으로부터 적재함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측방향에 제3 삽입부(322)가 마련된다. 제3 삽입부(322)는 제1 프레임유닛(110) 및 제2 프레임유닛(120)의 프레임과 삽입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의 사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의 사용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100)는 픽업트럭(10)의 적재함(12)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유닛(110)은 적재함(12)의 일측벽과 탑승부(11)의 벽면 사이에서 뒷바퀴에 따른 돌출영역을 회피하여 배치된다. 이때, 제1 프레임유닛(110)은 제1 탈착부와 제2 탈착부(300)에 의해 픽업트럭(10)에 구비된 후크와 연결되어 견고하게 적재함(12)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유닛(120)은 적재함(12)의 타측벽과 탑승부(11)의 벽면 사이에서 뒷바퀴에 따른 돌출영역을 회피하여 배치된다. 이때 제2 프레임유닛(120)은 제1 탈착부(200)와 제2 탈착부(300)에 의해 픽업트럭(10)에 구비된 후크와 연결되어 견고하게 적재함(12)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레임유닛(130)은 필요에 따라 제1 프레임유닛(110)과 제2 프레임유닛(120)에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제3 프레임유닛(130)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운전자는 제1 프레임유닛(110)과 제2 프레임유닛(120)을 기반으로 화물을 적재함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는 제1 프레임유닛(110)과 제2 프레임유닛(120)의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에 와이어(31) 또는 별도의 프레임(32)을 연결하여 화물(40)을 적재 장치(100)에 지지시키거나 화물(40)의 크기에 적합한 적재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유닛(130)이 연결된 경우 운전자는 제3 프레임유닛(130)의 상부에 소형화물을 위치시키고, 하부에 대형화물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유닛(110)과 제2 프레임유닛(120)의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에 와이어(31) 또는 별도의 프레임(32)을 연결하여 화물(40)을 적재 장치에 지지시키거나 화물(40)의 크기에 적합한 적재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적재 장치는 소형 화물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일상생활에 쓰이는 다양한 물품을 안정적으로 운송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픽업트럭
11 : 탑승부
12 : 적재함
31 : 와이어
32 : 프레임
100 : 차량용 적재 장치
110 : 제1 프레임유닛
120 : 제2 프레임유닛
130 : 제3 프레임유닛

Claims (10)

  1.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트럭의 적재함에 장착되는 적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일측벽에 인접되는 제1 프레임유닛;
    상기 적재함의 타측벽에 인접되어 상기 제1 프레임유닛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프레임유닛;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이 상기 적재함에 탈착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탈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 상부에 탈착 가능하며, 하부에 제1 화물이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제2 화물이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3 프레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의 사이 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화물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적재공간이 변화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은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트럭의 바퀴에 의해 돌출된 돌출공간을 회피하여 상기 적재함에 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프레임모듈과,
    상기 상부프레임모듈의 하측에서 상기 돌출공간을 회피하도록 배치되는 하부프레임모듈과,
    상기 상부프레임모듈과 상기 하부프레임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프레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모듈은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프레임유닛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제2 화물이 상기 제3 프레임유닛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돌출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프레임은
    연속되는 "V"자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탈착부는 상기 적재함의 측벽에 형성된 후크에 탈착되고,
    상기 적재함의 측벽에 밀착되며 상기 후크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으로부터 상기 적재함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판과,
    상기 제1 지지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프레임과 삽입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지지판에 마주하도록 상기 밀착판으로부터 상기 적재함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프레임과 삽입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탈착부는 상기 적재함의 전방에 위치하는 탑승부의 벽면에 형성된 후크에 탈착되고,
    상기 탑승부의 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후크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으로부터 상기 적재함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프레임과 삽입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04465A 2018-09-03 2018-09-03 차량용 적재 장치 KR10209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65A KR102096960B1 (ko) 2018-09-03 2018-09-03 차량용 적재 장치
PCT/KR2019/011315 WO2020050583A1 (ko) 2018-09-03 2019-09-03 차량용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65A KR102096960B1 (ko) 2018-09-03 2018-09-03 차량용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482A KR20200026482A (ko) 2020-03-11
KR102096960B1 true KR102096960B1 (ko) 2020-04-03

Family

ID=6972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465A KR102096960B1 (ko) 2018-09-03 2018-09-03 차량용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6960B1 (ko)
WO (1) WO20200505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89A (ko) 2020-04-29 2021-11-08 (주)디테크게엠베하 리무진 승합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074A1 (en) * 2002-04-09 2003-10-09 Dise Joe H. Tool storage system for pick-up truck
US20090081015A1 (en) * 2007-09-21 2009-03-26 Hutchison Ronald G Small vehicle loading and transport deck for pickup truck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359U (ja) * 1984-01-31 1985-08-22 スズキ株式会社 トランクル−ムカバ−
KR100338540B1 (ko) 2000-03-28 2002-05-27 에릭 발리베 차량용 알티네이터의 스테이트코어 제작장치 및 방법
US6752301B1 (en) * 2002-08-30 2004-06-22 Thomas A. Drolet Collapsible rack for use in truck beds
US8070029B1 (en) * 2007-01-24 2011-12-06 Michelle Settle Truck bed compan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074A1 (en) * 2002-04-09 2003-10-09 Dise Joe H. Tool storage system for pick-up truck
US20090081015A1 (en) * 2007-09-21 2009-03-26 Hutchison Ronald G Small vehicle loading and transport deck for pickup truc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489A (ko) 2020-04-29 2021-11-08 (주)디테크게엠베하 리무진 승합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0583A1 (ko) 2020-03-12
KR20200026482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2740B1 (en) Modular utility truck bed
KR102096960B1 (ko) 차량용 적재 장치
CN104045024A (zh) 叉车以及运输叉车的方法和组件
KR101757340B1 (ko) 트레일러의 위치 가변형 화물 지지바 고정장치
US20060278637A1 (en) Pallet container
KR200453951Y1 (ko) 부품 고정구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보관 및 운반용 파레트
KR200385638Y1 (ko) 화물차 적재함 지지대
JP2018027760A (ja) 固定具、及び、運搬台車
TW201532501A (zh) 單元收納裝置
US20120080347A1 (en) Container for shipping fragile product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9021473A (ja) 車載用電池パック
KR200449263Y1 (ko) 컨테이너
KR100790344B1 (ko) 차량 적재용 파렛트
KR200295648Y1 (ko) 화물운반용 손수레
CN211309626U (zh) 具有外挂设备的集装箱
EP3023347B1 (en) Motorcycle crate
JP2013203398A (ja) 梱包装置
JP2019099088A (ja) 車両用自転車搭載構造
KR101849915B1 (ko) 상용차용 경량 적재함
JP7426708B2 (ja) 運搬具
KR100448435B1 (ko) 운반구가 탈착되는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
CN209442582U (zh) 一种叉车货叉延伸装置
CN214421080U (zh) 一种汽车尾门下饰板运输载具
KR200425855Y1 (ko) 차량 적재용 파렛트
KR200287759Y1 (ko) 트레일러 적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