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364A -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364A
KR20140134364A KR1020130053962A KR20130053962A KR20140134364A KR 20140134364 A KR20140134364 A KR 20140134364A KR 1020130053962 A KR1020130053962 A KR 1020130053962A KR 20130053962 A KR20130053962 A KR 20130053962A KR 20140134364 A KR20140134364 A KR 20140134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frame
fastening
vibrati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to KR102013005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364A/ko
Publication of KR2014013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또는 대형 냉장·냉동 설비를 구성하는 실외기의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측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과 실외기가 고정되는 제2프레임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방진수단을 배열하여 특히 엔진 히트 펌프(GHP)의 실외기와 같은 고용량·대형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실외기 설치 구조물에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되고 구조물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는 지지면측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 실외기가 고정되는 제2프레임, 그리고 이 둘 사이에 배열되는 방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VIBRATION-PROOF SUPPORT APPARATUS FOR OUTDOOR UNI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또는 대형 냉장·냉동 설비를 구성하는 실외기의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측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과 실외기가 고정되는 제2프레임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방진수단을 배열하여 특히 엔진 히트 펌프(GHP)의 실외기와 같은 고용량·대형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실외기 설치 구조물에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되고 구조물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외기는 공기조화기 또는 대형 냉장·냉동 설비를 구성하는데, 실내측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실내기와 연결되고, 실외에 설치되며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실외기는 작동시 내부에 구비된 압축기, 응축기, 팬 등의 작동으로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데,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고 소음을 저감하며, 다양한 기후환경에서 발생되는 원인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장치 위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실외기용 받침장치로는 특허공개 제1999-0047355호(1999년07월05일) [에어콘 실외기 베이스 체결방법]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에어콘 실외기의 납품시, 제품의 하부에 지지하는 베이스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간편하게 체결하여 체결작업공수를 감소시키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에어콘 실외기 베이스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며,
베이스의 저면에 사출형성한 고정베이스를 설치하고, 바로 실외기의 저면에 구비한 다음, 최종적으로 상기 고정베이스의 저면에 방진패드를 부착하므로써,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이면서 재료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콘 실외기 베이스 체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04-0086897호(2004년10월13일)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받침장치]에는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하지 않고 받침대를 회전시키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지지대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받침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받침대가 상, 하로 이동되도록 하여 특정 받침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실외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의 상태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실외기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특허공개 제10-2007-0113905호(2007년11월29일) [에어컨 베이스의 조립구조]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본체와 베이스를 체결하는 체결수를 줄여줌으로서, 안전하고 간단한 조립공정을 갖고, 에어컨 조립의 임가공비 및 부품비가 절감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베이스의 조립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140715호(2012년04월20일) [실외기 베이스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실외기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기나 어큐뮬레이터 또는 냉매저장탱크와 같이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용기부와 실외기 하부의 베이스판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실외기의 방진 효율성 증대 기술과는 일정 정도 거리가 있는 것이며, 특히 엔진 히트 펌프(GHP)와 같은 대형 공기조화기 또는 대형 냉장·냉동 설비용 고용량·대형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는 부족함이 크다.
이에 본 발명은 지지면측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과 실외기가 고정되는 제2프레임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방진수단을 배열하여 설치 바닥면의 습기로 인한 부식을 원천 차단한다는 기본 기능 달성은 물론,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실외기 설치 구조물에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되고 구조물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방진수단이 코일스프링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하 두 수용체를 포함하고, 이 수용체가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텐션바와 각 프레임의 접촉이나 코일스프링과의 접촉으로 인한 2차 소음 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방진수단을 구성하는 각 수용체에 보강링을 추가 구성하여 합성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구성된 수용체가 진동 및 구성요소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파손되어 방진기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면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에 추가로 지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지지체를 더 도입하고, 실외기 및 받침장치의 설치상태를 확고히 고정하는 앵커볼트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브라켓을 위한 제1-3체결부를 제1프레임에 도입하고, 나아가 방진수단을 위한 제2프레임의 제2-1체결부에 프레임과 방진수단의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하면서 확고히 방진수단이 설치되도록 하는 체결베이스, 체결브라켓, 그리고 체결너트 어셈블리를 도입한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는
제1-1 및 제1-2 체결부를 갖고, 지지면측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
제2-1 및 제2-2 체결부를 갖고, 제2-2 체결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통하여 상부에 위치한 실외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프레임;
제1-2 체결부에 결합되어 지지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체; 및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열되도록 제1-1 및 제2-1 체결부에 상하부가 결합되어 제2프레임을 통하여 전달되는 실외기의 작동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의 방진수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진수단 각각은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하부를 감싸는 제1 및 제2 수용체, 상기 코일스프링과 상기 수용체들을 관통하여 제1-1 및 제2-1 체결부 각각에 결합되는 텐션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에서
상기 방진수단의 제1 및 제2 수용체 각각은 수용공간 및 관통공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내장되는 보강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용체의 각 바디는 제1-1 및 제2-1 체결부를 구성하는 각 결합공에 끼워지는 환형돌기를 갖고,
상기 지지체는 탄성접촉체와, 이와 연결되고 제1-2 체결부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볼트로 구성되고,
제1프레임에는 복수의 제1-3 체결부가 구비되고, 제1-3 체결부에는 앵커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는 지지면측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과 실외기가 고정되는 제2프레임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방진수단을 배열하여 설치 바닥면의 습기로 인한 부식을 원천 차단한다는 기본 기능 달성은 물론,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실외기 설치 구조물에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되고 구조물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방진수단이 코일스프링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하 두 수용체를 포함하고, 이 수용체가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텐션바와 각 프레임의 접촉이나 코일스프링과의 접촉으로 인한 2차 소음 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상기 방진수단을 구성하는 각 수용체에 보강링을 추가 구성하여 합성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구성된 수용체가 진동 및 구성요소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파손되어 방진기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지지면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에 추가로 지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지지체를 더 도입하고, 실외기 및 받침장치의 설치상태를 확고히 고정하는 앵커볼트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브라켓을 위한 제1-3체결부를 제1프레임에 도입하고, 나아가 방진수단을 위한 제2프레임의 제2-1체결부를 체결베이스, 체결브라켓, 그리고 체결너트 어셈블리로 구성하여 방진수단을 위한 프레임과 방진수단의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하면서 확고히 방진수단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의 제2프레임의 투시 평면도 및 받침장치의 전체 편집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의 측면도 및 제1프레임의 투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의 투시 정면도 및 핵심 요부의 편집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B]의 사진 및 도 3 [A]의 정면도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 즉 실외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A)는 지지면측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10), 실외기가 상부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20), 그리고 이 두 프레임 사이에 배열되는 방진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의 종단면 형상은 각각 '
Figure pat00001
'으로 프레스 등의 방식으로 가공된 홈통부재이며, 사각 형태의 프레임의 각 모서리는 사선 형태의 접면을 이루고, 용접 등의 방식으로 홈통부재가 상호 연결되며, 소재 및 크기, 두께 등은 실외기의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은 방진수단을 위한 제1-1 체결부(11)와,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체(30)를 위한 제1-2체결부(13), 그리고 실외기 및 받침장치의 설치상태를 확고히 고정하는 앵커볼트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브라켓(27)이 고정볼트(27c,도3 [A] 참조)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제1-3 체결부(15)를 갖는다.
제1-1 체결부(11)는 단순한 구멍 형태이고, 총 6개가 구비되어 있으나 장착되는 실외기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제1프레임 크기와 제1-1 체결부 수가 선택될 수 있다.
제1-2체결부(13)는 합성고무나 실리콘 등의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는 탄성접촉체(31)와, 이와 연결된 높낮이 조절볼트(33)로 구성되는 상기 지지체(30)의 조절볼트(33)가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며,
이 너트는 도 3 [B] 우측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단면 형상이 대략 '
Figure pat00002
' 형태를 갖고 제1프레임의 하면 트임 공간을 통하여 안착된 후 용접 결합되는 지지베이스(13A)에 결합되어 있다('
Figure pat00003
' 형태에서 중앙 돌출부는 너트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임).
조절볼트(33)의 선회에 따라 너트에 대하여 승하강을 하여 탄성접촉체(31)가 승하강하므로 높이조절 및 수평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3 체결부(15)는 도 2, 도 3 [A], 도 3 [B] 좌측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프레임(10) 측면에 네 곳에 관통부에 용접 결합된 너트로 구성된다.
도 2 [B]의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사시도와 같이, 앵커브라켓(27)은 고정볼트(27c)를 통하여 제1-3체결부(15)에 결합되며 제1프레임과 지지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측면패널에 연결장공(27a)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패널에는 앵커볼트가 결합되는 고정공(27b)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프레임(20)의 제2-2체결부(23)는 도 1 [A] 및 [B]와 및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 형태의 통공 형상이며, 실외기 다리와 제2프레임의 체결을 위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위하여 몽키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2-2체결부(23)에 상응하는 제2프레임(20)의 측면 위치에는 트임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되는 실외기의 하중에 따라 제2프레임(20)을 보강을 위하여 중앙을 가로 질러 용접 결합된 보강바(20A)가 구비되어 있는데, 보강바는 하나 또는 복수개 도입될 수 있고, 제2프레임 내에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도입될 수도 있는데, 또 보강바는 필요에 따라 제1프레임(10)에도 도입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의 제2-1체결부(21)는 도 2 [A] 및 확대도 등의 일점 쇄선 원 내 도면들 및 도 3 [A] 및 도 도 3 [B]의 좌측 및 중앙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단면 형상이 대략 '
Figure pat00004
'인 체결베이스(21A)와(중앙에 결합공(21a)이 형성되어 있음),
종단면 형상이 대략 '
Figure pat00005
'이고 체결베이스(21A)에 안착되어 용접결합되는 체결브라켓(21B)(중앙 돌기는 체결베이스에 용접 결합된 체결너트(21C)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 체결브라켓(21B)에 용접 결합된 체결너트(21C)를 포함하는
[체결베이스, 체결브라켓, 그리고 체결너트 어셈블리]로 대략의 종단면 형상은 '
Figure pat00006
'의 형태를 갖는다(그러나 이러한 편의상의 개략적인 형상 설명과 달리 '
Figure pat00007
'형 체결베이스(21A)에 대하여 '
Figure pat00008
'형 체결브라켓(21B)은 90도 회전하여 엇갈린 형태로 용접결합된 것이 실제 샘플에 해당하고 도 3 [B]의 사진 및 도 2의 도면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도 2의 좌측 일점 쇄선 원 내 단면도 및 도 3 [B]의 중앙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
Figure pat00009
' 형상인 체결베이스(21A)는 측벽에 방진수단의 텐션바(45)의 나선부(45b)가 체결너트(21C)에 결합된 정도를 확인하여 적절한 긴장 상태(코일스프링(41)의 압축·텐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관찰슬롯(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1 및 제2 프레임(10)(20) 사이에 배열되도록 제1-1 및 제2-1 체결부(11)(21)에 상하부가 결합되어 제2프레임(20)을 통하여 전달되는 실외기의 작동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의 방진수단(40)은 6개 구비되는데,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고, 그 방진 핵심 요소인 코일스프링(41)의 사용 또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 상기 방진수단(40)은 코일스프링(41)의 상하부를 감싸고, 수요자로 하여금 코일스프링의 작동·기능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의 중간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수용체(43A)(43B)을 구비하고,
코일스프링(41)과 제1 및 제2 수용체(43A)(43B)는 텐션바(45)에 의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10)(20)의 제1-1 및 제2-1 체결부(11)(21)에 각각 결합된다.
텐션바(45)는 특히 볼트 형태로 도 3 [C]의 우측 사진에서 와셔(45c)를 개재한 상태로 제1프레임(10)의 제1-1체결부(11)에 끼워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텐션바의 나선부(45b)는 도 2 [A]의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확대도 및 도 3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
Figure pat00010
'형상의 [체결베이스, 체결브라켓, 그리고 체결너트 어셈블리] 중 체결너트(21C)에 결합된다.
한편, 합성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구성된 수용체(43A)는 도 2 [A]의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확대도 및 도 3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링(47)이 삽입 제조된 것으로, 수용체가 진동 및 구성요소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파손되어 방진기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와셔 등을 응용한 금속 보강링(47)은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되며, 수용체(43A,43B)만을 도시한 도 2 [A]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단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41)을 위한 수용공간과 이에 연통된 중앙 관통공(43h)(텐션바(45)의 외주면과 접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음)을 갖는 수용체 바디는 그 외측에 환형돌기(43a), 또 그 외측 밀착 요홈(43b), 그리고 최외곽 지지테두리(43c)를 갖는다.
또 보강링(47)을 확인할 수 있고, 인서트사출시 금형 내에서 보강링을 지지하는 핀 자리에 해당하는 지지핀홀(43d)이 밀착 요홈(43b) 영역 내에 있다.
도 2 [A]의 중앙 일점 쇄선 원 내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체(43A)의 환형돌기(43a)는 제1프레임(10)의 제1-1체결부(11)의 결합공(11a)에 삽입되어 텐션바(45)의 와셔(45c)와 접촉하므로 실외기의 작동시 진동으로 인하여 와셔 또는 텐션바가 제1프레임과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되고 방진 받침장치(A), 특히 제1프레임이 파손되는 상황 발생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제2수용체(45B)의 환형돌기(43a)가 역시 제1프레임(20)의 하부 트임 공간을 통하여 안착된 체결베이스(21A)의 결합공(21a)에 삽입되어 있어 텐션바(45) 나선부(45b)만이 체결너트(21C)와 접촉하는 형태의 결합구조가 되도록 하여 소음방지 및 제2프레임 파손 방지에 일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공기조화기 또는 대형 냉장·냉동 설비를 구성하는 실외기, 특히 엔진 히트 펌프(GHP)용 실외기에 대한 구체 설명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방진 받침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방진 받침장치 10: 제1프레임
11,13,15: 체결부
20: 제2방진프레임 21,23: 체결부
20A: 보강바 27: 앵커브라켓
30: 지지체 31: 탄성접촉체
40: 방진수단 41: 코일스프링
43a,43b: 수용체 45: 텐션바
47: 보강링

Claims (4)

  1. 제1-1 및 제1-2 체결부를 갖고, 지지면측에 배열되는 제1프레임;
    제2-1 및 제2-2 체결부를 갖고, 제2-2 체결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통하여 상부에 위치한 실외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프레임;
    제1-2 체결부에 결합되어 지지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체; 및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열되도록 제1-1 및 제2-1 체결부에 상하부가 결합되어 제2프레임을 통하여 전달되는 실외기의 작동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의 방진수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진수단 각각은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하부를 감싸는 제1 및 제2 수용체, 상기 코일스프링과 상기 수용체들을 관통하여 제1-1 및 제2-1 체결부 각각에 결합되는 텐션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수단의 제1 및 제2 수용체 각각은
    수용공간 및 관통공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내장되는 보강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용체의 각 바디는 제1-1 및 제2-1 체결부를 구성하는 각 결합공에 끼워지는 환형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탄성접촉체와, 이와 연결되고 제1-2 체결부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볼트로 구성되고,
    제1프레임에는 복수의 제1-3 체결부가 구비되고, 제1-3 체결부에는 앵커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KR1020130053962A 2013-05-13 2013-05-13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KR20140134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62A KR20140134364A (ko) 2013-05-13 2013-05-13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62A KR20140134364A (ko) 2013-05-13 2013-05-13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364A true KR20140134364A (ko) 2014-11-24

Family

ID=5245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962A KR20140134364A (ko) 2013-05-13 2013-05-13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3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65B1 (ko) 2021-01-12 2021-07-27 ㈜동광시스템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구비한 실외기용 거치대
KR102336798B1 (ko) 2021-08-09 2021-12-09 박용준 에어컨 실외기용 시멘트블록 받침대 제조장치
CN115307194A (zh) * 2022-08-08 2022-11-08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居民供暖用超低温空气源热泵
KR102505072B1 (ko) * 2021-08-25 2023-03-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KR102595125B1 (ko) * 2022-09-20 2023-10-26 한영미 식자재 신선도 유지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65B1 (ko) 2021-01-12 2021-07-27 ㈜동광시스템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구비한 실외기용 거치대
KR102336798B1 (ko) 2021-08-09 2021-12-09 박용준 에어컨 실외기용 시멘트블록 받침대 제조장치
KR102505072B1 (ko) * 2021-08-25 2023-03-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운송화물 방진 시스템
CN115307194A (zh) * 2022-08-08 2022-11-08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居民供暖用超低温空气源热泵
CN115307194B (zh) * 2022-08-08 2023-08-08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居民供暖用超低温空气源热泵
KR102595125B1 (ko) * 2022-09-20 2023-10-26 한영미 식자재 신선도 유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4364A (ko) 실외기용 방진 받침장치
US8944401B2 (en) Vibration damper of a vehicle and method of reducing vibration
CN101886788B (zh) 灯具减振装置
JP201314823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その他の防振装置付きの圧縮機を搭載した機器
KR101392541B1 (ko) 압축기 고정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20070148013A1 (en) Fixing device and compressor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2562935B (zh) 防振装置及具有该防振装置的空调器室外机的固定装置
CN102878755A (zh) 用于制冷设备的压缩机底板及具有其的冰箱
CN110332092A (zh) 一种车载空调压缩机的二次减震降噪系统
WO2020001872A1 (en) Vibration attenuation mechanism, and vehicle with said vibration attenuation mechanism mounted thereon
CN109703348B (zh) 汽车电池固定结构以及汽车电池固定方法
CN116067045A (zh) 用于热泵的热源单元
CN106403218A (zh) 空调器
KR200461509Y1 (ko) 압축기 지지장치
KR20100048098A (ko) 압축기의 방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12202476A (ja) 防振架台
KR102033825B1 (ko) 기계구조물용 내진장치
JP2016109399A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H08296558A (ja) 圧縮機の防振支持構造
CN209586628U (zh) 减振装置、压缩机及空调器
CN210660315U (zh) 一种多功能发动机附件安装支架总成
CN219873042U (zh) 一种减震型变压器
US20230052219A1 (en) Vibration isolator and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CN219262620U (zh) 用于压缩机的固定装置及车辆
CN112211684A (zh) 机匣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