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509Y1 - 압축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509Y1
KR200461509Y1 KR2020070013863U KR20070013863U KR200461509Y1 KR 200461509 Y1 KR200461509 Y1 KR 200461509Y1 KR 2020070013863 U KR2020070013863 U KR 2020070013863U KR 20070013863 U KR20070013863 U KR 20070013863U KR 200461509 Y1 KR200461509 Y1 KR 200461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mpressor
base
elastic memb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783U (ko
Inventor
김록희
문제명
백철호
서형석
홍현진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3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50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7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4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50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 F05B2280/5001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압축기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으면서도 운송 중 생길 수 있는 과도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 지지장치를 개시한다. 개시한 압축기 지지장치는 압축기를 베이스에 장착하기 위해 압축기에 결합된 지지대와; 지지대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와; 베이스, 탄성부재, 지지대를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운송 중에 생기는 진동 이상의 과도한 진동을 제한 하기 위해 지지대를 지지하며 베이스 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춘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축기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OF COMPRESSOR}
본 고안은 압축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나 운송 중 생길 수 있는 과도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공조기기나 냉장고 등에 적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압축기는 사용 중 진동이 생기기 때문에 압축기를 방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장치가 필요하다. 압축기의 진동이 공조기기나 냉장고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721833호(2007년 5월 28일 공고)에는 이러한 압축기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압축기 지지장치는 압축기의 하단에 고정된 받침대와, 받침대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와, 베이스, 탄성부재, 받침대를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와셔 및 너트를 구비한다. 또 운송 중 압축기의 과도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대와 와셔 사이에 장착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유동방지부재는 운송 중 과도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압축기를 장착한 기기를 설치 완료한 후 제거함으로써 지지장치가 본연의 방진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압축기 지지장치는 압축기를 장착한 기기를 운송한 후 유동방지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압축기 받침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받침대가 움직일 수 있어야 지지장치가 본연의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 압축기 지지장치는 운송 후 유동방지부재를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 기기를 설치한 후 압축기 지지장치로부터 유동방지부재를 분리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유동방지부재로 인해 압축기의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이 더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기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이나 운송 중 생길 수 있는 과도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송 후 유동방지부재와 같은 부품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운전 중 생기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는 압축기를 베이스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 탄성부재, 지지대를 관통하는 볼트 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운송 중에 생기는 진동 이상의 과도한 진동을 제한 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춘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탄성부재 상부와 상기 지지대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체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볼트의 결합을 위해 그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그 상부가 상기 체결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상부에 외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마련된 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부 하측에 상기 결합부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하측 완충부와, 상기 결합부 상측에 상기 결합부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상측 완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결합된 연질의 완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는 운전 중 스토퍼가 베이스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운송이나 이동 중에 과도한 진동이 생길 경우 스토퍼가 베이스와 접하여 진동을 완화하므로 압축기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이나 운송 중 생길 수 있는 과도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는 운전 중 스토퍼와 베이스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기기를 설치한 후 스토퍼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운전 중 생기 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가 적용된 압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압축기(10)는 원통형의 밀폐용기(11)와, 밀폐용기(11) 내에 설치된 압축장치(미도시), 그리고 압축장치의 구동을 위해 밀폐용기(11) 내에 설치된 구동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밀폐용기(11)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12),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관(13)이 각각 연결되고, 유입관(12)에는 흡입되는 냉매의 기화를 위한 어큐뮬레이터(14)가 설치된다.
압축기(10)는 하부의 지지장치(20)에 의해 공조기기나 냉장고 등의 베이스(100)와 이격 상태로 설치된다. 압축기 지지장치(2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0) 하단에 결합되는 판상의 지지대(21)와, 지지대(21)의 사방 모서리부분을 베이스(100)와 이격 상태에서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지지부(30)는 지지대(21)와 베이스(100)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31)와, 베이스(100), 탄성부재(31), 지지대(21)를 관통하는 볼트(32)와, 볼트(32)의 상부에 체결되는 와셔(33) 및 너트(34), 그리고 압축기(10)의 과도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35)를 구비한다.
탄성부재(31)는 탄성을 가진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하로 볼트(32)가 관통하는 관통공(31d)을 구비한다. 탄성부재(31)는 스토퍼(35)에 형성 된 관통공(35c) 및 지지대(21)에 형성된 관통공(21a)에 끼워지도록 상부에 외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결합부(31a)를 구비한다. 또 결합부(31a) 하측에는 결합부(31a)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하측 완충부(31b)가 마련되고, 결합부(31a) 상측에는 결합부(31a)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상측 완충부(31c)가 마련된다.
스토퍼(35)는 탄성부재(31)의 하측 완충부(31b) 상부와 지지대(21)의 하면 사이에 결합되는 체결부(35a)와, 체결부(35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5b)를 구비한다. 체결부(35a)에는 탄성부재(31)의 결합부(31a)에 결합되는 관통공(35c)이 형성된다. 연장부(35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후 하단이 베이스(100)의 상면과 소정간격(t) 이격되도록 탄성부재(31)의 하측 완충부(31b) 높이보다 짧은 상하길이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부(30)를 조립할 때는 용접 등을 통하여 베이스(100)에 볼트(32)의 머리부(32a)를 고정한다. 그리고 탄성부재(31)의 결합부(31c)에 스토퍼(35)를 장착한 상태에서 다시 탄성부재(31)의 결합부(31a)를 지지대(21)의 관통공(21a)으로 진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31)를 볼트(32)에 결합시킨 후 와셔(33)와 너트(34)를 체결한다.
이렇게 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0)의 지지대(21)는 베이스(100)와 이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압축기(10)의 진동이 탄성부재(31)로 전달되면 탄성부재(31)가 이를 완충하게 되므로 압축기(10)의 진동이 베이스(1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토퍼(35)는 연장부(35b) 하단이 베이스(100) 상면과 이격된 상태이므로 압축기(10) 운전 중에 작은 진동이 생길 경우 베이스(100)와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압축기(10)가 장착된 기기(공조기기나 냉장고 등)를 운송하는 할 때는 압축기(10)에 흔들림이 생기기 때문에 지지대(21) 쪽으로 과도한 진동이 전달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35)의 연장부(35b) 하단이 베이스(21)와 접촉하게 되므로 과도한 진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스토퍼(35)가 압축기 지지대(21)를 지지하므로, 압축기(10)의 운전진동 이상의 과도한 진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압축기(10)의 과도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운송 중 압축기(10)에 연결된 유입관(12) 또는 토출관(1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압축기(10)의 운전 중 작은 진동이 생길 경우에는 스토퍼(35)가 베이스(10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기기를 설치한 후 각 지지부(30)로부터 스토퍼(35)를 분리할 필요도 없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5의 예는 스토퍼(35) 하단에 고무 등으로 된 연질의 완충부(35d)가 마련된 것이다. 이는 압축기(10)에 과도한 진동이 생길 때 스토퍼(35)의 완충부(35d)가 베이스(100)에 접하게 되므로 완충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스토퍼(35)와 베이스(100)의 접촉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가 적용된 압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의 단면도로, 과도진동 발생 시 스토퍼와 베이스가 접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지지장치의 단면도로, 다른 실시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압축기, 11: 밀폐용기,
20: 지지장치, 21: 지지대,
30: 지지부, 31: 탄성부재,
32: 볼트, 33: 와셔,
34: 너트, 35: 스토퍼.

Claims (6)

  1. 압축기를 베이스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 탄성부재, 지지대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운송 중에 생기는 진동 이상의 과도한 진동을 제한 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탄성부재 상부와 상기 지지대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체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볼트의 결합을 위해 그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그 상부가 상기 체결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상부에 외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마련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부 하측에 상기 결합부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하측 완충부와, 상기 결합부 상측에 상기 결합부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상측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결합된 연질의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지지장치.
KR2020070013863U 2007-08-21 2007-08-21 압축기 지지장치 KR200461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863U KR200461509Y1 (ko) 2007-08-21 2007-08-21 압축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863U KR200461509Y1 (ko) 2007-08-21 2007-08-21 압축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783U KR20090001783U (ko) 2009-02-25
KR200461509Y1 true KR200461509Y1 (ko) 2012-07-20

Family

ID=4129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863U KR200461509Y1 (ko) 2007-08-21 2007-08-21 압축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5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9026B (zh) * 2016-04-11 2018-03-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制冷装置及用于压缩机的减震脚垫
CN110017265A (zh) * 2018-01-10 2019-07-16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增压泵用底脚和具有其的净饮设备
CN111981066B (zh) * 2020-07-02 2021-12-21 加西贝拉压缩机有限公司 一种制冷压缩机用橡胶垫减振结构
CN112483355B (zh) * 2020-11-12 2021-11-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压缩机脚垫结构及压缩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293Y1 (ko) 2003-03-05 2003-05-23 주식회사 영진브이엔씨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가 설치된 방진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293Y1 (ko) 2003-03-05 2003-05-23 주식회사 영진브이엔씨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가 설치된 방진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783U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529B1 (ko) 동흡진기를 구비한 압축기
JPH10185411A (ja) 冷蔵庫の圧縮機固定構造
KR200461509Y1 (ko) 압축기 지지장치
JP2005344705A (ja) 圧縮機の支持装置
JP201314823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その他の防振装置付きの圧縮機を搭載した機器
KR200156903Y1 (ko) 냉장고의 콤프레서 고정구조
KR20070069773A (ko) 압축기의 요동방지장치
KR102522291B1 (ko) 차량용 현가장치
CN109578246A (zh) 压缩机减振装置、房车空调和房车
KR20100048098A (ko) 압축기의 방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12250382U (zh) 缓冲结构、压缩机和制冷设备
KR200228560Y1 (ko) 방진용 천장구조물 고정 장치
KR200314293Y1 (ko)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가 설치된 방진가대
KR200382899Y1 (ko) 방진 마운트
JP2010133184A (ja) 背負い式作業機
JP5042158B2 (ja) 圧縮機
KR100716000B1 (ko) 압축기 고정장치
CN111219315A (zh) 具有向上振动约束结构的减振组件及空调器
CN108953111B (zh) 减振部件及压缩机
CN209586624U (zh) 压缩机减振装置、房车空调和房车
KR100608672B1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JPS634932Y2 (ko)
KR20090005843U (ko) 압축기의 방진장치
CN109798237A (zh) 冰箱
CN111594415A (zh) 减振垫、压缩机组件及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