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975B1 -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975B1
KR102503975B1 KR1020197023831A KR20197023831A KR102503975B1 KR 102503975 B1 KR102503975 B1 KR 102503975B1 KR 1020197023831 A KR1020197023831 A KR 1020197023831A KR 20197023831 A KR20197023831 A KR 20197023831A KR 102503975 B1 KR102503975 B1 KR 102503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film
film layer
forming
top 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478A (ko
Inventor
야스시 니시무라
아키오 나가이
와타루 야마우치
가즈미 야스다
히로유키 아리모토
마이 오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4214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35132A1/ja
Publication of KR2019013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05D5/067Metallic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05D1/38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with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7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 B05D7/576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each layer being cured, at least partially, separate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01/0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 B05D2401/10Organic sol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20/00Indexing sche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layer within a multilayer coating relative to the substrate
    • B05D2420/01Indexing sche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layer within a multilayer coating relative to the substrate first layer from the substrat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51/00Type of carrier, type of coating (Multi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601/00Inorganic fillers
    • B05D2601/02Inorganic fillers used for pigmentation effect, e.g. metallic effect
    • B05D2601/10Other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05D5/067Metallic effect
    • B05D5/068Metallic effect achieved by multi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7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22F1/054Nanosized particles
    • B22F1/0545Dispersions or suspensions of nanosized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기체 표면에 하도 도막 (12), 은 경막층 (13) 및 상도 도막 (14)이 형성된 표면 장식 구조 (10)에 있어서, 은 경막층 (13)은 표면에 고분자 분산제가 피복된 나노미터 사이즈의 은 입자가 적층된 상태로 막을 형성하고 있고, 상도 도막 (14)은 용매로서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10 질량% 이하의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용액 및 디이소부틸 케톤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하도 도막 (12), 상도 도막 (14)의 적어도 한쪽에는 방청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추가적으로는 은 경막층 (13)에도 방청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양호한 광택을 갖고, 더욱이 내식성이 양호한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
본 발명은 양호한 경면 광택을 갖는 은 경막층(鏡膜層)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도장법에 의해서 제조된 은 경막층의 변색이나 박리가 생기기 어려운,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Ag)은 광의 반사율이 가시 영역에 있어서 높고, 아름다운 금속 광택을 갖고 있다. 수지나 금속 등의 기체 상에 은 경막층을 형성하면 아름다운 금속 광택을 나타내므로, 자동차의 내장 부품이나 외장 부품, 자전거, 낚시 도구, 휴대 전화, 노트북, 화장품 용기 등에 은 경막층을 가하는 것이 기대된다. 예컨대, 자동차는 자동차의 주재료(대부분의 경우는, 강판이나 플라스틱판)의 보호 및 자동차의 미관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서, 도장이 가해지고 있다. 동일 형상, 동일 성능의 자동차를 비교하면, 아름답게 도장된 차가 좋게 보이고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향상한다. 메탈릭 도장은 금속적인 질감에 고급감이 있고, 차의 외관을 보았을 때에, 차를 보는 각도에 따라서 색상이 상이하게 보이며, 차의 형상에 강약을 줄 수 있으므로, 차의 도장으로서 인기가 있다. 차의 메탈릭 도장은 광휘재로서 알루미늄 플레이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메탈릭 도장은 다른 제품에서도 채용되고 있고, 고급품에서는 광휘재 내지 경면 형성막으로서 은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종래에, 기체에 은 경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암모니아성 질산은 용액을 이용한 은경 반응에 의한 은경 도금이 잘 알려져 있다. 이 암모니아성 질산은 용액을 이용한 은경 도금은 도금 특유의 백아화(白亞化)(백화 또는 부식이라고도 한다.)를 생기게 하거나 크랙을 생기게 하거나 막 두께가 균일하지 않도록 하거나, 은경 도금을 형성하는 은 나노 입자의 응집에 편차가 있는 등의 원인에 의해서, 은경 도금면의 발색(금속 광택)에 비균일성을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이 은경 도금은, 본래 은경 도금을 가할 필요가 없는 부분이 은경 도금 되어 버리거나 하는 경우도 있고, 불량율이 높다고 하는 문제나, 형성된 은경 도금면이 기체 등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암모니아성 질산은 용액을 이용한 은경 도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은 화합물 착체로서 암모늄에 대체하여 아민 화합물이나 암모늄 카바메이트계 화합물이 배위한 은 화합물 착체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일본 특허 제5610359호 공보)에는, 알코올계 용매 중에 은 화합물의 은 원자에 암모늄 카바메이트계 화합물이 배위한 제1의 착체와, 은 화합물의 은 원자에 아민계 화합물이 배위한 제2의 착체와 환원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착체와 상기 제2의 착체의 혼합 비율은 은 원자의 몰비로 6:4~8:2인, 은 경막층 형성 조성액, 은 경막층 형성 조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은 경막 도면(塗面)의 형성 방법의 발명이 개시되고 있다.
또, 일단 은 나노 입자를 형성하고 나서 도막으로서 은 경막층을 형성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2(일본 특개 2012-144796호 공보)에는, 은 화합물과 유기 아민 화합물, 또는 유기 아민 화합물 및 유기 카르복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안정제와 유기용매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얻고, 상기 혼합물에 환원제로서 아실모노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분말 몸상태로 첨가하고, 불균일계에 있어서, 상기 은 화합물을 상기 아실모노히드라지드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은 나노 입자를 형성하고, 얻어진 은 나노 입자를 분리·세정·건조한 후에, 적절한 유기용매 중에 분산시키는 것으로써 은 잉크를 조제하고, 이 은 잉크를 이용하여 기체 상에 도포하고, 100~180℃에서 소성함으로써 은 도전성층을 얻는 것이 나타나 있다.
마찬가지로 하기 특허문헌 3(일본 특허 제5950427호 공보)에는, 알코올 용매 중에 스티렌-무수말레산 수지 구조를 갖고, 상기 무수말레산의 일부가 말단 수산기의 폴리알킬렌글리콜 또는 말단 아미노기의 폴리알킬렌글리콜로 변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산가가 150 이하인 고분자 분산제를 용해시키면서, 산화은 및 탄산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은 화합물을 분산시킨 알코올 용액을 이용하고 상기 알코올 용액 중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것으로써, 은 나노 입자가 분산한 알코올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을 조제하고, 이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을 기체의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하여서 상온 하에서 건조하는 것으로써, 은 경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일본 특허 제5610359호 공보 일본 특개2012-144796호 공보 일본 특허 제5950427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은 경막층 형성 방법에 의하면, 은 경막층 형성 조성액을 도포 후에 77~90℃로 가열하는 것으로써, 기체의 표면에 은 경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은 도전성층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나노 사이즈의 은 분산액을 이용하고 100~180℃라고 하는 비교적 저온에서 소성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은 도전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특허문헌 3에 나타나 있는 은 경막층 형성 방법에 의하면, 은 나노 입자가 분산한 알코올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은 경막층 형성용 도장액을 기체의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하여서 상온 하에서 건조하는 것만으로 기체의 표면에 은 경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은 경막층 형성 방법에서는 77~90℃로 가열하는 것으로써,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은 도전성층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는 100~180℃에서 소성함으로써, 각각 은 경막층 내지 은 도전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3에 나타나 있는 은 경막층 형성 방법에 있어서는,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을 기체의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하여서 상온 하에서 건조하는 것만으로 은 경막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용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는 것에 비교하면 적어도 처리 온도에 관해서 큰 이점을 갖고 있다.
이 중에서,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은 경막층 형성 방법에서는, 은 경막층 형성 조성액 중에 은 원자로부터 유리된 아민 화합물이나 암모늄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추가적으로는 환원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형성된 은 경막층 중에 이들 화합물 내지 부성물(副成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들 화합물 내지 부성물이 비부식성이라고 하여도, 형성된 은 경막층의 특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특허문헌 2 내지 3에 나타나 있는 은 경막층 형성 방법에서는,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 중에는 용매, 나노미터 사이즈의 은 입자 및 고분자 분산제 이외의 성분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형성된 은 경막층에는 부식성 성분이 포함되지 않고, 은 경막층 형성 후에 유해한 부성물의 제거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게 여러 가지의 기체의 표면에 은 경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3에 나타나 있는 은 도전성층의 형성 방법에서는, 상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은 경막층 형성 방법과 같이, 나노 사이즈의 은 입자를 생성한 후에 얻어진 은 나노 입자를 분리하고, 세정하고, 추가로 건조한 후, 유기용매 중에 분산시킨다고 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큰 이점을 갖고 있다.
발명자들은 특히 상기 특허문헌 3에 나타나 있는 은 경막층 형성 방법의 이점을 살리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기체의 표면에 은 경막층을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실험을 거듭하여 왔다. 그 결과, 특히 상도 도장 형성 시에 이용된 용매의 종류에 따라서 은 경막층의 표면에의 상도 도장 시에 혹은 상도 도막 형성 후에 은 경막층의 광택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거나, 상도 도막 형성 후에 각종 내식성 시험을 수행하였을 때에 은 경막층의 변색 내지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 등의 과제가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와 같은 과제는, 특히 낚싯대나 자전거 부품과 같은 옥외에서 사용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옥내에서 사용되는 제품에 비교하여 사용 조건이 가혹하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에 큰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기체의 표면에 형성된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을 갖는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특히 상도 도장의 조성을 재검토하는 것으로써, 양호한 광택을 갖고, 더욱이 내식성이 양호한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기체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은 경막층은 나노미터 사이즈의 은 입자가 적층된 상태로 막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상도 도막은 용매로서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10 질량% 이하의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용액 및 디이소부틸 케톤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상도 도막에 의해서 은 경막층의 광휘성(光輝性)에 비균일성이 보이지 않고, 양호한 광휘성을 갖는 표면 장식 구조가 얻어진다. 나아가, 디이소부틸 케톤은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은 아니지만, 입체적으로 케톤기의 주위에 4개의 메틸기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입체 장해에 의해서 케톤기의 극성이 나노 사이즈의 은의 표면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나타낸다. 또,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은 은 경막층의 광휘성에 악영향을 주지만,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중에 10 질량% 이하이면 그 영향은 나타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상기 제1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은 n-헥산, n-헵탄, 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의 태양이 나타내는 작용 효과가 특히 양호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상기 제1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은 상기 상도 도막과 동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하도 도막과 상도 도막이 동종의 것이 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상도 도막과 은 경막층의 사이에 생기는 작용 효과가 하도 도막과 은 경막층의 사이에도 생기게 되고, 상기 효과가 보다 양호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4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상기 제1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 및 상기 하도 도막의 적어도 한쪽은 하기 (1)~(3)의 어느 하나의 조합의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과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2)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3) 트리아진계 화합물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적어도 상도 도막이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의 조합의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내식성, 내후성 및 부착성이 양호한 표면 장식 구조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5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상기 제1~4의 어느 하나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 상기 하도 도막 및 상기 은 경막층의 적어도 한쪽은 방청제로서 트리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의 아민염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은 경막층의 광휘성에 주는 영향이 적게 되고, 장기간 광휘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들 방청제는, 자외선 흡수제와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와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방청제는 방청제를 구성하는 분자가 은 입자와 접촉 내지 은 입자의 근방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써 양호한 방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상도 도막, 하도 도막 및 은 경막층의 적어도 한쪽에 방청제가 함유되어 있으면 양호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은 경막층의 두께는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의 두께보다도 얇기 때문에, 은 경막층 중의 방청제의 함유량은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 중의 방청제의 함유량보다도 적어도 양호한 방수 효과를 나타낸다. 추가로 은 경막층 중에도 방청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방청제끼리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 중의 방청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6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기체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은 경막층은 나노미터 사이즈의 은 입자가 적층된 상태로 막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상도 도막은 극성기를 갖는 수지 도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상도 도막이 극성기를 갖는 수지 도막으로 이루어지면, 상도 도막과 은 경막층과의 결합 강도가 커지므로, 상도 도막과 은 경막층이 박리하기 어려운 표면 장식 구조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7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상기 제6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는 OH기 또는 NH2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6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가 나타내는 효과가 보다 양호하게 나타난다.
또, 본 발명의 제8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상기 제6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은 아크릴우레탄 수지 도막, 폴리우레탄 수지 도막, 실리콘 수지 도막, 아크릴실리콘 수지 도막 또는 아크릴멜라민 수지 도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아크릴우레탄 수지 도막, 폴리우레탄 수지 도막, 실리콘 수지 도막, 아크릴실리콘 수지 도막 및 아크릴멜라민 수지 도막은 각각 극성기로서 OH기 또는 NH2기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제6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가 나타내는 효과가 보다 양호하게 나타난다.
또, 본 발명의 제9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상기 제6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은 상기 상도 도막과 동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하도 도막과 상도 도막이 동종의 것이 되고 있으므로, 상술한 상도 도막과 은 경막층과의 사이에 생기는 작용 효과가 하도 도막과 은 경막층과의 사이에도 생기게 되므로, 상기 효과가 보다 양호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10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상기 제6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 및 상기 하도 도막의 적어도 한쪽은 하기 (1)~(3)의 어느 하나의 조합의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과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2)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3) 트리아진계 화합물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적어도 상도 도막이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의 조합의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내식성, 내후성 및 부착성이 양호한 표면 장식 구조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11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는, 상기 제6~10의 어느 하나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 상기 하도 도막 및 상기 은 경막층의 적어도 한쪽은 방청제로서 트리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의 아민염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에 의하면, 은 경막층의 광휘성에 주는 영향이 적게 되어, 장기간 광휘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들 방청제는 자외선 흡수제와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와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방청제는 방청제를 구성하는 분자가 은 입자와 접촉 내지 은 입자의 근방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써 양호한 방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상도 도막, 하도 도막 및 은 경막층의 적어도 한쪽에 방청제가 함유되어 있으면 양호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은 경막층의 두께는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의 두께보다도 얇기 때문에, 은 경막층 중의 방청제의 함유량은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 중의 방청제의 함유량보다도 적어도 양호한 방수 효과를 나타낸다. 추가로 은 경막층 중에도 방청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방청제끼리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 중의 방청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2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기체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표면에 하도 도료를 스프레이 도장하고 건조하는 것으로써 상기 하도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은 경막층을, 고분자 분산제가 용해된 유기용매 중에 나노미터 사이즈의 은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을 상기 하도 도막이 형성된 기체 상에 스프레이 도장하고 이어서 상온 또는 가열 하에 건조하는 것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은 경막층의 표면에 용매로서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10 질량% 이하의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용액 및 디메틸이소부틸 케톤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상도 도료를 스프레이 도장하고 건조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도 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13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12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로서 n-헥산, n-헵탄, 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14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12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로서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와 동종의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15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12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료의 적어도 한쪽에 하기 (1)~(3)의 어느 하나의 조합의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과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2)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3) 트리아진계 화합물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또, 본 발명의 제16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12~15의 어느 하나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료, 상기 하도 도료 및 상기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의 적어도 한쪽에 방청제로서 트리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의 아민염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7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기체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표면에 하도 도료를 스프레이 도장하고 건조하는 것으로써 상기 하도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은 경막층을, 고분자 분산제가 용해된 유기용매 중에 나노미터 사이즈의 은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을 상기 하도 도막이 형성된 기체 상에 스프레이 도장하고 이어서 상온 또는 가열 하에 건조하는 것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은 경막층의 표면에 상도 도료로서 극성기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를 스프레이 도장하고 건조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도 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18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17의 태양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가 OH기 또는 NH2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19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17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로서 아크릴우레탄 수지 도료,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 실리콘 수지 도료, 아크릴실리콘 수지 도료 또는 아크릴멜라민 수지 도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0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17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로서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와 동종의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1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17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로서 하기 (1)~(3)의 어느 하나의 조합의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과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2)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3) 트리아진계 화합물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또, 본 발명의 제22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17~21의 어느 하나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료, 상기 하도 도료 및 상기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의 적어도 한쪽에, 방청제로서 트리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의 아민염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16 내지 상기 제17~22의 어느 하나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1~5 내지 상기 제6~11의 어느 하나의 태양의 표면 장식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면 외관, 내식성, 내광성, 부착성 등이 우수한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이 얻어진다.
도 1은 각 실험예 내지 예비 실험에서 작성한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예비 실험 시료에 대해서 염수 분무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예비 실험 시료에 대해서 부착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는 예비 실험 시료의 단면의 TEM에 의한 10만배의 확대 사진이며, 도 4(B)는 마찬가지의 50만배의 확대 사진이다.
도 5(A)~도 5(C)는 각 실험예 내지 예비 실험에 있어서의 은 경막층 형성 과정을 순서에 따라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에 대해서, 각종 실험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각종 실험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들 실험예에 나타낸 것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각 실험예 내지 예비 실험에서 작성한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의 모식 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10)은 기체 (11)과 이 기체 (11)의 표면에 형성된 하도 도막 (12)와 하도 도막 (12)의 표면에 형성된 은 경막층 (13)과 은 경막층 (13)의 표면에 형성된 상도 도막 (14)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각 실험예 내지 예비 실험에 대해서, 기체 (11), 하도 도막 (12), 은 경막층 (13) 및 상도 도막 (14)에 대해서, 주로 형성 방법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체로서는, Al, Fe, Mg, Ti 등의 각종 금속이나 이들의 합금, 이들의 금속 내지 합금의 표면에 양극 산화한 피막이 형성된 것, 비금속 소재, 예컨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ABS 수지, 나일론 등의 합성 수지, 이들 합성 수지와 강화 섬유(유리 섬유,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알루미나 섬유 등)와의 복합재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하도 도장 내지 상도 도장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도료는,
(1)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실기와의 우레탄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는 2액성의 아크릴우레탄 수지 도료,
(2) 아미노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와 에폭시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을 탈수 또한 탈알코올 축합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는 2액성의 아크릴실리콘 수지 도료,
(3) 우레탄 반응과 탈수 또한 탈알코올 축합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는 2액성 또는 3액성의 우레탄 변성 아크릴실리콘 수지 도료,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불소 수지계 도료, 폴리에틸렌계 도료, 폴리프로필렌계 도료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조제된 시판의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또, 각 실험예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도장 시에는, 모두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통일하여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장 두께가 되도록 하였다.
[예비 실험]
(하도 도막)
최초로,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의 과제를 확인하기 위한 예비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크릴폴리올을 주제로 하는 아크릴우레탄 도료(AT62-2(상품명), 다이니혼도료((주))가 6 질량부, 용매로서의 톨루엔이 7 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아크리탄(상품명) 경화제, 다이니혼도료(주))가 1 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균일하게 교반·혼합하고, 하도 도료를 조제하였다. 이 하도 도료를 기재로서의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하고, 이어서, 100℃에서 30분간 강제 건조하고, 복수의, 하도 도막이 형성된 표준 시험편 예비 실험 시료를 얻었다.
(은 경막층)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으로서 상기 특허문헌 3에 근거하여 작성되고 시판되어 있는 것(GLANTZCOAT Type RT 실버(상품명), (주)펙트)를 이용하고, 이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과 신너(GLANTZCOAT Type RT 실버 신너 T2(상품명), (주)펙트)로 2배로 희석하여서 스프레이 도장하고, 95℃에서 45분간 건조하고, 복수의, 하도 도막 상에 은 경막층이 형성된 표준 시험편 예비 실험 시료를 얻었다. 나아가, 이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은 유기용매 중에 은 나노 입자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분산액이며, 그 외에 고분자 분산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의 스프레이 도장 후에는, 간단하게 건조하는 것만으로 은 경막층이 형성되지만, 여기에서는 90℃에서 45분간 강제 건조하는 것으로써, 각각의 은 경막층의 형성 시에 각 은 경막층의 건조 조건이 일정해지도록 하고, 형성된 은 경막층에 실온, 습도 등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게 하였다.
(상도 도막)
아크릴폴리올을 주제로 하는 아크릴우레탄 도료(AT62-2)가 6 질량부, 용매로서의 에탄올이 7 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아크리탄 경화제)가 1 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균일하게 교반·혼합하고, 상도 도료를 조제하였다. 이 상도 도료를 은 경막층의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하고, 이어서 100℃에서 30분간 강제 건조하고, 복수의,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표준 시험편으로 이루어지는 예비 실험 시료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서 작성된 표준 시험편 예비 실험 시료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였는데, 은 경막층의 표면에 상도 도장을 수행하였을 때나 상도 도장 후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경면 광택이 저하되고 있는 개소가 인정되었다.
나아가, 이 표준 시험편 예비 실험 시료를 이용하고,
(1) JIS K5600-7-1에 준거한 크로스컷을 형성한 표면에 대해서 염수 분무 시험을 수행한 결과, 크로스컷부에 변색 내지 박리가 인정되었다(도 2 참조).
(2) JIS K5600-7-7에 준거한 크세논 아크 램프를 이용한 내후성 촉진 시험을 수행하였는데, 색조에 황변이 인정되었다.
(3) JIS K5600-5-6에 준거한 크로스컷을 형성한 표면에 대해서 부착성 시험을 수행하였는데, 은 경막층과 하도 도막과의 사이 내지 은 경막층과 상도 도막과의 사이에 박리가 생겼다(도 3 참조).
이상의 예비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특허문헌 3에 나타나 있는 은 나노 입자와 고분자 분산제를 포함하는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을 이용하여 작성한 은 경막층은, 동일한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이용하여 작성되었지만, 100~180℃에서 소송된 상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은 도전성층과는 구조가 상위하다고 추정된다. 여기서, 은 경막층의 단면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상술한 표준 시험편 예비 실험 시료로부터 마이크로톰법에 의해 단면의 샘플을 취출하고,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서 단면 관찰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나아가, 도 4 A는 단면의 TEM에 의한 10만배의 확대 사진이며, 도 4 B는 마찬가지의 50만배의 확대 사진이며, 도 4 B에 있어서의 L=120 nm이다.
도 4 A 및 도 4 B에서의 사진으로부터, 은 나노 입자와 고분자 분산제를 포함하는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을 이용하여 작성한 은 경막층은 은 나노 입자가 소결되지 않고, 개개의 은 나노 입자가 퇴적하여 형성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특히 도 4 B의 사진으로부터는, 개개의 은 나노 입자는 사이즈가 거의 균일하고 직경이 수십 nm의 은 입자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예비 실험에서 이용된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은, 은 나노 입자 및 고분자 분산제 이외에는 휘발성의 용매이므로, 이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을 이용한 은 경막층 형성의 이미지는, 도 5에 나타낸 바대로 되어 있다고 추정된다. 즉, 은 경막 형성액 중에서는, 은 나노 입자는 주위에 고분자 분산제가 부착한 상태로 용액 중에 균질하게 분산되어 있다(도 5 A). 이 은 경막층 형성액이 기재의 표면에 막상(膜狀)으로 도포되면, 용매가 서서히 증발한다(도 5 B). 완전하게 용매가 증발하면, 주위에 고분자 분산제가 부착한 은 나노 입자가 적층된 상태로 은 경막층을 형성하고, 이 은 경막층을 구성하는 은 나노 입자의 사이에 고분자 분산제가 3차원적으로 망목상(網目狀)으로 존재한 상태의 은 경막층이 얻어진다(도 5 C). 이것에 의해, 건조 과정이 상온이어도, 100℃ 이하의 온화한 가열 조건 하이어도, 균질한 은 경막층이 얻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은 나노 입자와 고분자 분산제를 포함하는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을 이용하여 은 경막층을 형성하는 경우의 이점을 살리면서 약점을 극복하려면, 종래 기술과는 상이한 어프로치가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의 기술적 의의를, 각종 실험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매의 종류에 의한 은 경막층에의 영향]
우선, 실험예 1~21에 의해, 미리 하도 도장 상에 형성된 은 경막층에 대해서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의 용매를 여러 가지 변경하여서 스프레이 도장하고, 건조 후에 은 경막층의 변색의 정도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험예 1]
(하도 도막)
하도 도료의 주제로서 알콕실기를 함유하는 실리콘 올리고머(GLANZCOAT Type RT 프라이머 블랙 G, (주)펙트)가 6 질량부, 용매로서의 에탄올이 7 질량부, 경화제(GLANZCOAT type RT 프라이머 경화제 U, (주)펙트)가 1 질량부가 되는 비율로 균일하게 교반·혼합하고, 하도 도료를 조제하였다. 이 하도 도료를, 기재로서의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하고, 이어서, 100℃에서 30분간 강제 건조하고, 하도 도막이 형성된 표준 시험편 시료를 얻었다.
(은 경막층)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으로서 상기 특허문헌 3에 근거하여 조제되고 시판되어 있는 것(GLANTZCOAT Type RT 실버)를 이용하고, 이 은 경막층 형성액을 신너(GLANTZCOAT Type RT 실버 신너 T2)로 2배로 희석하여서 스프레이 도장하고, 10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하도 도막 상에 은 경막층이 형성된 표준 시험편을 얻었다. 나아가, 이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도 유기용매 중에 은 나노 입자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분산액이며, 그 외에 고분자 분산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은 경막층 형성액의 스프레이 도장 후에는, 간단하게 건조하는 것만으로 은 경막층이 형성되지만, 각 실험예의 전부에 있어서, 100℃에서 30분간 건조하는 것으로써, 은 경막층의 형성 시에 각 은 경막층의 건조 조건이 일정해지도록 하여서, 형성된 은 경막층에 실온, 습도 등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게 하였다.
(상도 도막)
상도 도료의 주제로서 알콕실기를 함유하는 실리콘 올리고머(GLANZCOAT Type RT 프라이머 톱, (주)펙트)가 10 질량부, 용매로서의 에탄올이 7 질량부, 경화제(GLANZCOAT type RT 톱 경화제 G, (주)펙트)가 1 질량부의 비율이 되도록 균일하게 교반·혼합하고, 상도 도료를 조제하였다. 이 상도 도료를 은 경막층의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하고, 이어서, 100℃에서 30분간 강제 건조하고,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나아가, 여기서 이용된 상도 도료는 투명 도막이다.
[실험예 2]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2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3]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부탄올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3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4]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아세트산 에틸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4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5]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아세트산 부틸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5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6]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6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7]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메틸 에틸 케톤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7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8]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디이소부틸 케톤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8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9]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메틸이소부틸 케톤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9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0]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시클로헥산온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0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1]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1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2]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3-메톡시-1-부탄올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2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3]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톨루엔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3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4]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크실렌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3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5]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솔벤트납사계 용매(솔베쏘 200(상품명), 토넨 제너럴 세키유(주))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5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6]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n-헥산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6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7]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n-헵탄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7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8]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시클로헥산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8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9]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에틸시클로헥산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19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20]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미네랄 스피릿(방향족 탄화수소 ≤ 10 질량%)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20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21]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에탄올에 대체하여 미네랄 스피릿(방향족 탄화수소 > 10 질량%)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21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실험예 1~21의 측정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서 형성된 실험예 1~21의 각 은 경막층 형성 시료에 대해서, 육안에 의해 변색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변색의 정도로서
(1) 실질적으로 균일한 은 경막층이 얻어지고 광휘성에 비균일성을 볼 수 없었던 것을 「○」,
(2) 부분적으로 광휘성에 약간의 비균일성을 볼 수 있던 것을 「△」,
(3) 광휘성에는 분명하고 큰 비균일성을 볼 수 있던 것을 「×」,
로 나타내었다. 결과를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9085953622-pct00015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다. 즉, 은 경막층 형성 시료에 큰 광휘성의 비균일성이 보여진 것은, 용매가 에탄올(실험예 1), 이소프로필 알코올(실험예 2) 및 부탄올(실험예 3)의 알코올계 화합물의 경우이었다. 또, 은 경막층 형성 시료에 약간의 광휘성의 비균일성이 보여진 것은, 아세트산 에틸(실험예 4), 아세트산 부틸(실험예 5),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실험예 6), 메틸에틸 케톤(실험예 7), 메틸이소부틸 케톤(실험예 9), 시클로헥산온(실험예 10),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실험예 11), 3-메톡시-1-부탄올(실험예 12), 톨루엔(실험예 13), 크실렌(실험예 14), 솔벤트납사계 용매인 솔베쏘 200(실험예 15) 및 미네랄 스피릿(방향족 탄화수소 > 10 질량%)(실험예 21)이었다. 이에 대해서, 디이소부틸 케톤(실험예 8), n-헥산(실험예 16), n-헵탄(실험예 17), 시클로헥산(실험예 18), 에틸시클로헥산(실험예 19) 및 미네랄 스피릿(방향족 탄화수소 ≤ 10 질량%)(실험예 20)의 경우는, 은 경막층 형성 시료의 광휘성에 실질적으로 비균일성이 보이지 않고, 양호한 광휘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코올계 화합물은 은 경막층의 광휘성에 가장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이어서, 에스테르계 화합물, 케톤계 화합물, 에테르계 화합물 및 방향족계 화합물이 은 경막층의 광휘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이용하면 은 경막층의 광휘성이 가장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케톤계 화합물 중에서는, 디이소부틸 케톤(실험예 8)에서는 은 경막층의 광휘성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지만, 메틸에틸 케톤(실험예 7) 및 메틸이소부틸 케톤(실험예 9)에서는 은 경막층의 광휘성이 열위한 결과가 되고 있다. 이것은, 디이소부틸 케톤은 하기 화학식 I로 나타나는 화학 구조식을 구비하고 있고, 입체 구조로서는 케톤기를 구성하는 산소 원자의 외주 측에 4개의 메틸기가 등거리에 배치된 구조로 되고 있으므로, 이들 4개의 메틸기에 의한 입체 장해에 의해서 케톤기를 구성하는 산소 원자는 실질적으로 비극성기로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83122785-pct00002
따라서, 표 1에 나타낸 결과를 정리하면, 시클로헥산은 환식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또는 디이소부틸 케톤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이용하면, 광휘성이 양호한 은 경막층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미네랄 스피릿은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방향족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공업용 가솔린으로 분류되는 석유계 용매이지만,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유량이 10 질량%를 넘으면(실험예 21) 은 경막층의 광휘성에 악영향이 생기지만,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하(실험예 20)이면 광휘성이 양호한 은 경막층이 얻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및 디이소부틸 케톤 중에 방향족 화합물이 10 질량% 이하 포함되어 있어도, 허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22~26]
실험예 22~26으로서는, 용매로서 시판의 신너(톨루엔 35 질량%, 아세트산 에틸 65 질량%)에 미네랄 스피릿(방향족 탄화수소의 함유량이 10 질량% 미만의 것)을 각각 10 질량%(실험예 22), 30 질량%(실험예 23), 50 질량%(실험예 24), 80 질량%(실험예 25) 및 90 질량%(실험예 26)가 되도록 첨가하여 희석한 것을 이용하였을 경우의 은 경막층의 광휘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즉, 하도 도장 및 상도 도장의 용매로서 상기의 신너에 미네랄 스피릿을 첨가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22~26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작성하고, 육안에 의해 은 경막층의 광휘성의 정도에 대해 확인하였다. 결과를 정리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9085953622-pct00016
실험예 22~26의 결과에 의하면, 적어도 상도 도료의 용매로서 신너를 이용하는 경우는, 미네랄 스피릿의 첨가 비율이 30~80 질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이용하면, 양호한 광휘성을 갖는 은 경막층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아마도 신너와 미네랄 스피릿의 혼합 용매 중의 방향족 화합물 성분의 함유 비율이 적절한 범위 내가 되면, 양호한 광휘성을 갖는 은 경막층이 얻어지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험예 27~34]
실험예 27~34에서는, 상도 도막 중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첨가하여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작성하고, 크세논 아크 램프를 이용한 내후성 촉진 시험을 수행하였을 때의 변색의 정도를 육안에 의해 측정하는 것으로써,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의 첨가에 의한 내변색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양호한 광휘성을 갖는 경막층 형성 시료가 얻어진 실험예 16의 상도 도료 중에, 자외선 흡수제로서 시판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실험예 27, 31), 트리아진계 화합물(실험예 28, 32), 벤조페논계 화합물(실험예 29, 33)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실험예 30, 34)을 각각 상도 도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5 질량%가 되는 비율로 첨가하고, 광 안정제로서 시판의 벤조에이트계 화합물(실험예 27~30) 내지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실험예 31~34)을 동일하게 2 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그 외에는 실험예 16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27~34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나아가, 하도 도막은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상도 도료와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작성된 실험예 27~34의 각각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에 대해서, JIS K5600-7-7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크세논 아크 램프를 이용한 내후성 촉진 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각각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의 표면의 황변의 정도를, 전혀 황변이 인정되지 않았던 것을 「◎」으로, 약간의 황변 기미가 보여진 것을 「○」으로, 옅게 황변이 인정된 것을 「△」으로, 명확하게 황변이 인정된 것을 「×」로 나타내고,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19085953622-pct00017
[실험예 35]
표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보면,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광 안정제로서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이용하면 양호한 내변색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실험예 35로서는,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첨가 비율을 0.5 질량%로부터 15.0 질량%까지, 광 안정제로서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0.5 질량%로부터 5.0 질량%까지, 각각 매트릭스상으로 변화시키고, 그 외에는 실험예 27~34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복수의 실험예 35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작성하고, 실험예 27~34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내후성 촉진 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표 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9085953622-pct00018
표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상도 도료의 주제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비율은 1.0~10 질량%,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의 첨가 비율은 0.5~4.0 질량%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첨가 비율은, 상도 도료의 주제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제는 4.0~6.0 질량%,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는 1.0~2.0 질량%이다.
나아가, 실험예 27~35에서는, 상도 도막 중에만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첨가하여서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작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하도 도막 중에도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첨가하여도 되고, 하도 도막에만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첨가하도록 하여도 된다. 특히,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첨가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에 각각 상이한 조성의 것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의 형성 작업이 간략화된다.
[실험예 36~41]
실험예 36~41에서는,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 중에 방청제를 첨가하여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작성하고, 상도 도막 형성 후의 은 경막층의 변색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즉, 방청제로서 시판의 트리아졸계 화합물(실험예 36), 트리아진계 화합물(실험예 37), 벤조티아졸계 화합물(실험예 38),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실험예 39), 인산 에스테르의 아민염(실험예 40)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실험예 41)을 각각 상도 도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5 질량%가 되는 비율로 첨가하고, 그 외에는 실험예 16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36~41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얻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서 작성된 실험예 36~41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의 각각에 대해서, JIS K5600-7-1에 준거한 염수 분무 시험을 수행하고, 은 경막층의 변색의 정도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였다. 결과는, 전혀 변색이 인정되지 않았던 것을 「◎」으로, 약간의 변색이 보여진 것을 「○」으로, 옅게 변색이 인정된 것을 「△」로, 명확하게 변색이 인정된 것을 「×」로 나타내고,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9083122785-pct00006
나아가, 실험예 27~35에서는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 중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첨가한 예를 나타내고, 실험예 36~41에서는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 중에 방청제를 첨가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 중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 뿐만 아니라 방청제도 동시에 첨가해도 된다. 나아가,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에만 방청제를 함유시킬 뿐 아니라,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 중에도 방청제를 첨가하여서 은 경막층 중에 방청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추가적으로는,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에는 방청제를 첨가하지 않고, 은 경막층에만 방청제를 첨가시켜도 된다. 즉, 방청제는, 방청제를 구성하는 분자가 은 입자와 접촉 내지 은 입자의 근방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써 양호한 방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상도 도막, 하도 도막 및 은 경막층의 적어도 한쪽에 방청제가 함유되어 있으면 양호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은 경막층의 두께는,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의 두께에 비해서 훨씬 얇기 때문에, 은 경막층 중의 방청제의 함유량은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 중의 방청제의 함유량보다도 적어도 양호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 때문에,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 중에 방청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상도 도료 내지 하도 도료 중의 방청제 함유량보다도 적은 방청제 함유량으로 해결된다. 나아가, 상도 도료 내지 하도 도료 중에 방청제를 첨가하고, 추가로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 중에도 방청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방청제끼리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 상도 도료 내지 하도 도료 중의 방청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42~46]
표 5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방청제로서는 트리아졸계의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으므로, 실험예 42~46에서는 시판의 트리아졸계 방청제의 함유 비율을 상도 도료 및 하도 도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1 질량%(실험예 42), 2 질량%(실험예 43), 5 질량%(실험예 44), 10 질량%(실험예 45) 및 20 질량%(실험예 46)로 변화시켜서 첨가하고, 실험예 36~4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변색의 정도를 작성하였다. 결과를 정리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19085953622-pct00019
표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방청제로서의 트리아졸계 화합물의 함유 비율은 상도 도료 및 하도 도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2~10 질량%이면 일응 양호한 방수 효과(내변색성)를 나타내지만, 실험예 43의 결과를 실험예 42측 및 실험예 44 측으로 외삽하면, 4~7 질량%이면 보다 양호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7~52]
실험예 1~46에서는,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로서 알콕실기를 함유하는 실리콘 올리고머를 주제로 한 것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실험예 47에서는 아크릴우레탄 도료(아크리딕 A801P(상품명), DIC(주)), 실험예 48에서는 실험예 1~46에서 이용한 것과는 상이한 알콕실기를 함유하는 실리콘 올리고머 도료(FOC 100(상품명), 펙트(주)), 실험예 49에서는 아크릴실리콘 도료(B1161(상품명), DIC(주)), 아크릴멜라민 도료(ARBT 100(상품명), 쿠보코페인트(주)), 실험예 50에서는 에폭시 도료(GR클리어(상품명), 카슈(주)), 실험예 50에서는 메타크릴산 래커(아크리딕 A-166(상품명), DIC(주))를 각각 이용하고, 그 외에는 실험예 16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47~52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복수개씩 작성하였다. 다만, 각각의 도료의 경화제 첨가 비율 및 건조 조건은 각각의 도료의 카탈로그 값에 근거하여서, 각각의 도료에 따라서 최적인 값이 되도록 조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작성된 실험예 47~52의 각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이용하여, JIS K5600-5-6에 준거한 크로스컷법에 의한 박리 시험을 수행하고, 밀착성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육안에 의해 박리의 정도를 확인하고, 복수개의 시료의 모두에 박리가 인정되지 않았던 경우를 「◎」, 일부의 시료에 부분적인 박리가 인정된 것을 「○」로, 일부의 시료에 큰 박리가 인정된 것을 「△」로, 모든 시료에 큰 박리가 인정된 것을 「×」로, 각각 나타내고, 결과를 경화제의 첨가 비율, 건조 조건, 도료의 극성기의 종류와 함께 표 7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112019083122785-pct00008
표 7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의 주제로서는, OH 내지 NH2 등의 극성기를 갖는 것의 쪽이 극성기를 갖지 않는 실험예 52의 도료보다도 밀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실험예 48의 알콕실기를 갖는 실리콘 올리고머를 주제로 하는 도료를 이용하였을 경우가 가장 양호한 밀착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험예 47~49와 실험예 50 및 51의 결과의 비교로부터, 극성기가 OH기인 경우가 극성기가 NH2기인 경우보다도 밀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3~55]
실험예 47~52의 측정 결과로부터,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의 주제로서는 극성기로서 OH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밀착성이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므로, 실험예 53~55에서는, 동일 종류의 주제이지만, OH 값이 상이한 복수의 도료를 이용하여 각각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의 밀착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즉,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의 주제로서, 실험예 53에서는 OH 값이 「50」인 아크릴우레탄 도료(아크리딕 A801P(상품명), DIC(주)), 실험예 54에서는 OH 값이 「25」인 아크릴우레탄 도료(아크리딕 A837(상품명), DIC(주)) 및 실험예 55에서는 OH 값이 「15」인 아크릴우레탄 도료(아크리딕 57-773(상품명), DIC(주))를 각각 이용하고, 그 외에는 실험예 16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표준 시험편의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이 형성된 실험예 53~55의 은 경막층 형성 시료를 복수개씩 작성하고, 실험예 47~52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서 밀착성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다만, 각각의 도료의 경화제 첨가 비율 및 건조 조건은 각각의 도료의 카탈로그 값에 근거하여서, 각각의 도료에 따라 최적인 값이 되도록 조제되어 있다. 결과를 정리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19083122785-pct00009
표 8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의 주제로서 OH 값이 큰, 즉 극성기를 많이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면 부착성이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도료의 주제 중의 극성기는 나노 사이즈의 은 입자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고분자 분산제와 수소 결합을 수행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 형성된 은 경막층은 예비 실험에 있어서의 도 5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 경막층을 구성하는 은 나노 입자의 사이에 고분자 분산제가 3차원적으로 망목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의 주제로서 OH 값이 큰 것을 이용하면, 고분자 분산제가 은 나노 입자를 트랩하면서, 상도 도막 내지 하도 도막과 수소 결합과 같은 분자간력을 형성하고, 강고하게 결합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 53 및 54의 결과를 내삽하면, 상도 도막 및 하도 도막의 주제의 OH 값으로서는 25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 OH 값의 상한치는, 임계적 한도는 명확하지 않지만, 시판의 도료의 일반적인 OH 값의 범위를 고려하면, 200 정도라고 생각할 수 있다.
10 ‥‥‥‥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11 ‥‥‥‥ 기체
12 ‥‥‥‥ 하도 도막
13 ‥‥‥‥ 은 경막층
14 ‥‥‥‥ 상도 도막

Claims (22)

  1. 기체(基體)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銀鏡膜層) 및 상도 도막으로 이루어진 도막을 형성하는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서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은 경막층을 형성하기 위한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은 은 입자와 고분자 분산제와 은 경막용 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은 경막용 용매는 휘발성의 용매이며,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 있어서, 주위에 상기 고분자 분산제가 부착한 상태로 상기 은 입자가 상기 은 경막용 용매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이고,
    상기 은 경막층은 나노미터 사이즈의 은 입자와 고분자 분산제로 이루어지고, 주위에 상기 고분자 분산제가 부착한 상기 은 나노 입자가 적층된 상태로 은 경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은 경막층을 구성하는 은 나노 입자의 사이에 고분자 분산제가 3차원적으로 망목상으로 존재한 상태로 막이 형성되고,
    상기 상도 도막 및 상기 하도 도막은 용매로서 10 질량% 이하의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용액, 상기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및 디이소부틸 케톤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로부터 각각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는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의 주제의 질량에 대해서 각각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1.0∼10 질량%, 및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의 주제의 질량에 대해서 각각 광 안정제로서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0.5∼4.0 질량% 더 포함하고,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각각 방청제로서의 상기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이외의 트리아졸계 화합물을 2∼10 질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식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은 n-헥산, n-헵탄, 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서의 표면 장식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은 상기 상도 도막과 동종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서의 표면 장식 구조.
  4. 기체 표면에 하도 도막, 은 경막층 및 상도 도막으로 이루어진 도막을 형성하는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서의 표면 장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은 경막층을 형성하기 위한 은 경막층 형성용 조성액은 은 입자와 고분자 분산제와 은 경막용 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은 경막용 용매는 휘발성의 용매이며,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 있어서, 주위에 상기 고분자 분산제가 부착한 상태로 상기 은 입자가 상기 은 경막용 용매 중에 균일하게 분산한 상태이고,
    상기 은 경막층은 나노미터 사이즈의 은 입자와 고분자 분산제로 이루어지고, 주위에 상기 고분자 분산제가 부착된 상기 은 나노 입자가 적층된 상태로 은 경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은 경막층을 구성하는 은 나노 입자의 사이에 고분자 분산제가 3차원적으로 망목상으로 존재한 상태로 막이 형성되고,
    상기 상도 도막 및 상기 하도 도막은 극성기를 갖는 수지 도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는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의 주제의 질량에 대해서 각각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1.0∼10 질량%, 및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의 주제의 질량에 대해서 각각 광 안정제로서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0.5∼4.0 질량% 더 포함하고,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도 도막 형성용 도료 및 상기 하도 도막 형성용 도료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각각 방청제로서의 상기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이외의 트리아졸계 화합물을 2∼10 질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서의 표면 장식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는 OH기 또는 NH2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서의 표면 장식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은 아크릴우레탄 수지 도막, 폴리우레탄 수지 도막, 실리콘 수지 도막, 아크릴실리콘 수지 도막 또는 아크릴멜라민 수지 도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서의 표면 장식 구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은 상기 상도 도막과 동종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은 경막층 도막 공정에서의 표면 장식 구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97023831A 2017-01-18 2017-11-24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 KR102503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6966 2017-01-18
JP2017006966 2017-01-18
JP2017215329A JP6406791B2 (ja) 2017-01-18 2017-11-08 銀鏡膜層を備えた表面装飾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JP-P-2017-215329 2017-11-08
PCT/JP2017/042140 WO2018135132A1 (ja) 2017-01-18 2017-11-24 銀鏡膜層を備えた表面装飾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78A KR20190131478A (ko) 2019-11-26
KR102503975B1 true KR102503975B1 (ko) 2023-02-28

Family

ID=6298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831A KR102503975B1 (ko) 2017-01-18 2017-11-24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44997B2 (ko)
EP (1) EP3572228A4 (ko)
JP (2) JP6406791B2 (ko)
KR (1) KR102503975B1 (ko)
CN (1) CN1104310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5383A1 (ja) * 2019-06-21 2020-12-24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装飾品
KR102121025B1 (ko) * 2020-04-29 2020-06-09 이계영 차량용 램프 코팅방법
JP7453925B2 (ja) 2021-02-12 2024-03-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部材等の基材を被覆する銀皮膜及びこれを形成する方法
CN113118000A (zh) * 2021-04-26 2021-07-16 骋嵩涂料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高性能的电镀镜面的表面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8677A1 (ja) * 2010-06-15 2011-12-22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太陽光反射用フィルムミラー及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WO2011162153A1 (ja) 2010-06-23 2011-12-2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太陽熱発電用フィルムミラー、その製造方法及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JP2012002907A (ja) 2010-06-15 2012-01-05 Konica Minolta Opto Inc 太陽光反射用ミラー、フィルムミ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96225A (ja) * 2010-10-06 2012-05-24 Taika:Kk 加飾方法、加飾物品および美爪料
JP2017002219A (ja) * 2015-06-12 2017-01-05 株式会社フェクト 銀鏡膜層形成用組成液の製造方法及び銀鏡膜層の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6979A (en) 1975-04-30 1976-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Process for utilizing sodium aeetate trihy drate as a chief component of heat accumulator for room heating
JPS5950427B2 (ja) 1980-12-08 1984-12-08 ウラデイミ−ル エブセ−ヴイツチ ズロテイン フランジ素材とウエブ素材を高周波溶接する方法及び装置
US5741901A (en) * 1995-11-16 1998-04-21 Eastman Chemical Company UV curable cellulose esters
DE69902876T2 (de) * 1998-01-13 2003-05-15 Minnesota Mining & Mfg Glitzernde filmpartikel mit farbveränderung
DE10000807A1 (de) * 2000-01-12 2001-07-19 Basf Ag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kosmetischen Mittels durch Bestrahlung mit NIR-Strahlung, sowie dessen Verwendung
JP4850694B2 (ja) * 2003-02-26 2012-01-11 チバ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水融和性立体阻害されたヒドロキシ置換アルコキシアミン類
DE112005000678B4 (de) * 2004-03-29 2010-11-04 Nippon Paint Co., Ltd. Verfahren zum Bilden eines glänzenden und/oder glitzernden Beschichtungsfilms und glänzender und/oder glitzernder beschichteter Gegenstand
WO2006121516A1 (en) * 2005-05-06 2006-11-16 Valspar Sourcing, Inc. Method for improving corrosion resistance of metal surfaces
JP2007169685A (ja) * 2005-12-20 2007-07-05 Mitsubishi Paper Mills Ltd 被金属めっき材
KR100727483B1 (ko) 2006-04-29 2007-06-13 주식회사 잉크테크 유기 은 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사막 코팅액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반사막 제조방법
JP2008122907A (ja) 2006-10-20 2008-05-29 Fuji Xerox Co Ltd フッ素樹脂チューブ被覆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定着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100846509B1 (ko) 2006-12-22 2008-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구벽 이동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112100B (zh) * 2008-02-21 2013-08-21 巴斯夫欧洲公司 阳离子纳米颗粒和含所述纳米颗粒的个人护理组合物的制备
JP2012048006A (ja) * 2010-08-27 2012-03-08 Konica Minolta Opto Inc フィルムミラーの製造方法及び太陽光反射用ミラー
JP2012143955A (ja) 2011-01-12 2012-08-02 Mitsubishi Paper Mills Ltd 塗装体
JP2012144796A (ja) 2011-01-14 2012-08-02 Daicel Corp 銀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銀ナノ粒子、並びに銀インク
EP2738580A4 (en) * 2011-07-25 2015-06-03 Konica Minolta Inc MIRROR FOR SOLAR LIGHT REFLECTION, REFLECTION DEVICE FOR SOLAR THERMAL POWER GENERATION, FUNCTIONAL FILM, AND ELECTROSTATIC CHARGE PREVEN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US20130029034A1 (en) 2011-07-28 2013-01-31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silver nanoparticles
JP6037494B2 (ja) 2012-01-11 2016-12-07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銀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銀ナノ粒子、並びに銀塗料組成物
JP2013159649A (ja) * 2012-02-02 2013-08-19 Mitsubishi Paper Mills Ltd 溶剤組成物および銀鏡被膜積層体
JP5610359B2 (ja) 2012-12-21 2014-10-22 株式会社フェクト 銀鏡膜層形成組成液、銀鏡膜層形成組成液の製造方法及び銀鏡膜塗面の形成方法
KR101465887B1 (ko) * 2013-07-18 2014-11-27 대림통상 주식회사 은 코팅 막의 형성에 의해 표면 오염 억제력이 향상된 비데 노즐 및 은 코팅 막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8677A1 (ja) * 2010-06-15 2011-12-22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太陽光反射用フィルムミラー及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JP2012002907A (ja) 2010-06-15 2012-01-05 Konica Minolta Opto Inc 太陽光反射用ミラー、フィルムミ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162153A1 (ja) 2010-06-23 2011-12-2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太陽熱発電用フィルムミラー、その製造方法及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JP2012096225A (ja) * 2010-10-06 2012-05-24 Taika:Kk 加飾方法、加飾物品および美爪料
JP2017002219A (ja) * 2015-06-12 2017-01-05 株式会社フェクト 銀鏡膜層形成用組成液の製造方法及び銀鏡膜層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44997B2 (en) 2024-04-02
EP3572228A1 (en) 2019-11-27
JP6406791B2 (ja) 2018-10-17
US20200009606A1 (en) 2020-01-09
TW201841744A (zh) 2018-12-01
CN110431005A (zh) 2019-11-08
KR20190131478A (ko) 2019-11-26
JP2019031086A (ja) 2019-02-28
EP3572228A4 (en) 2021-07-07
JP2018114747A (ja) 2018-07-26
JP6602930B2 (ja)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975B1 (ko) 은 경막층을 구비한 표면 장식 구조 및 그 형성 방법
TWI391440B (zh) 預塗鋼板用樹脂組成物,預塗鋼板之製備方法及具有優異成形性,耐熱性以及抗腐蝕性之預塗鋼板
KR101173475B1 (ko) 자동차 오이엠용 용접성 프리-프라임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CA2948695C (en) Coating composition with anticorrosion effect
HU221610B (hu) Korrózióvédő bevonókompozíció
US8932492B2 (en) Energy-saving anti-corrosive metal film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003012964A (ja) 金属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その金属顔料組成物を含有する塗料組成物およびインキ組成物
US9469770B2 (en) Rust-preventive coating
CN111699224A (zh) 具有改善的耐腐蚀性的涂料组合物
US20040244649A1 (en) Metal colloid luster color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KR20210077721A (ko) 기능성 폴리에스터 및 이의 생산 방법
TWI833687B (zh) 具備銀鏡膜層之表面裝飾結構及其形成方法
WO2018135132A1 (ja) 銀鏡膜層を備えた表面装飾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TWI773559B (zh) 複層塗膜形成方法
KR20230025786A (ko) 알루미늄 슬러리
JP5182740B2 (ja) 金属感塗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塗膜の形成方法
JP7011556B2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KR20170088015A (ko) 6가 크롬을 함유하지 않는 코일 코팅용 하도 조성물
JPH0994916A (ja) 有機複合被覆鋼板
TW202043380A (zh) 抗高溫氧化塗料組成物與碳鋼的表面塗裝方法
KR102616672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코팅제,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코팅층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자동차 내장재
KR102115306B1 (ko) 2코팅-2베이킹 방식에 의한 후도막 불소 pcm 강판 제조용 pcm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cm 도장강판
WO2022109651A2 (en) Anticorrosive coating composition
WO2022075117A1 (ja) メタリック塗料組成物および塗装体
JPH03114574A (ja) アルミホイールのメタリック仕上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