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907B1 -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 - Google Patents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907B1
KR102502907B1 KR1020227030307A KR20227030307A KR102502907B1 KR 102502907 B1 KR102502907 B1 KR 102502907B1 KR 1020227030307 A KR1020227030307 A KR 1020227030307A KR 20227030307 A KR20227030307 A KR 20227030307A KR 102502907 B1 KR102502907 B1 KR 10250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ignal line
line group
cable clamp
integrat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376A (ko
Inventor
유키 마사이
하루유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전동기(100)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신호선 군에 접속된 일체형 커넥터(22)에 대하여 장착되는 케이블 클램프(23A)로서,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신호선 군이 격납된 케이블(24)이 개구부(51)로부터 차입되어 있고, 또한 개구부(52)로부터 제2 신호선 군을 인출한 차입부(231)와, 차입부(231)로부터 인출된 제2 신호선 군을 격납함과 아울러,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되면 차입부(231)로부터 인출된 제2 신호선 군을 제1 신호선 군에 접속하는 접속부(230A)를 구비하고, 접속부(230A) 내의 제2 신호선 군은, 케이블(24)이 차입되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접속부(230A)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만곡시켜져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
본 개시는, 케이블에 접속되는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는,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로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선을 가지고 있다. 전동기부터는, 검출기의 신호선과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선이, 별개의 커넥터로부터 인출되지만, 전동기는, 장치 내에서 다수 사용되므로, 신호선용의 커넥터와, 동력선용의 커넥터를, 별개로 배선하는 경우에는 배선 처리에 장시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동력선과 신호선을 일체화한 일체형 케이블, 및, 신호선용의 커넥터와 동력선용의 커넥터를 일체화한 일체형 커넥터를 이용함으로써, 배선을 실시하는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일체형 케이블은, 동력선을 쉴드로 덮은 차폐 동력선과 신호선을 쉴드로 덮은 차폐 신호선이 절연 시스 내에 수용됨으로써, 동력선과 신호선이 일체화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61-17101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전동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일체형 케이블을 접속할 때에, 전동기와 제어 회로와의 배치 관계에 의해서는 일체형 케이블을 만곡시키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체형 케이블이 굵은 경우, 일체형 케이블을 만곡시키는 것이 곤란해져, 일체형 케이블의 인회성(引回性, 라우팅의 용이성)이 악화된다.
본 개시는,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체형 케이블을 전동기에 접속할 때에 일체형 케이블의 인회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클램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전동기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신호선 군에 접속된 일체형 커넥터에 대하여 장착되는 케이블 클램프로서,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신호선 군이 격납된 케이블이 제1 개구부로부터 차입(差入, 찔러 넣음)되어 있고, 또한 제2 개구부로부터 제2 신호선 군을 인출한 차입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개시의 케이블 클램프는, 차입부로부터 인출된 제2 신호선 군을 격납함과 아울러, 일체형 커넥터에 장착되면 차입부로부터 인출된 제2 신호선 군을 제1 신호선 군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접속부 내의 제2 신호선 군은, 케이블이 차입되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접속부가 일체형 커넥터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만곡시켜져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는, 일체형 케이블을 전동기에 접속할 때에 일체형 케이블의 인회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가 접속된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2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3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3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비교예의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비교예의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비교예의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4 비교예의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비교예의 전동기에 대한 케이블의 접속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비교예의 전동기에 대한 케이블의 접속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2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4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기가 구비하는 샤프트의 축을 X축이라고 하고, 샤프트의 축에 수직인 면 내의 2개의 축으로서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축을 Y축 및 Z축이라고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샤프트가 연설(延設, 연장하여 마련함)되는 방향인 부하측을 플러스 X방향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마이너스 Z방향을 전동기의 하측이라고 하고, 플러스 Z방향을 전동기의 상측이라고 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가 접속된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전동기(100)를 샤프트(1)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XZ평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전동기(10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전동기(100)는, 인버터를 갖는 제어 회로(미도시)에 케이블(24)을 매개로 하여 접속되고, 제어 회로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동작한다. 전동기(100)는, 검출기 통신선(10)과 모터 동력선(6)이 일체화된 복합 커넥터인 일체형 커넥터(22)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기 통신선(10)은, 로터(15)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12)에 접속된 신호선이며, 검출기(12)로부터의 신호를 제어 회로로 보낸다. 모터 동력선(6)은, 제어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스테이터 코어(4)에 보내는 신호선이다.
또한, 전동기(100)는, 샤프트(1)와, 부하측 베어링(2)과, 부하측 브래킷(3)과, 판 스프링(16)과, 스테이터 코어(4)와, 프레임(5)과, 자석 등으로 구성된 로터(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동기(100)는, 복수개의 모터 동력선(6)과, 반(反)부하측 브래킷(7)과, 복수개의 검출기 통신선(10)과, 검출기 커버(11)와, 검출기 회로(13)를 갖는 검출기(12)와, 반(反)부하측 베어링(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동기(100)는, 케이블 클램프(23A)와, 케이블(24)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기(100) 중, 샤프트(1), 부하측 베어링(2), 부하측 브래킷(3), 판 스프링(16), 스테이터 코어(4), 프레임(5), 로터(15), 모터 동력선(6), 반부하측 브래킷(7), 복수개의 검출기 통신선(10), 검출기 커버(11), 검출기(12), 및 반부하측 베어링(14)이 전동기(100)의 본체부이다. 또한, 전동기(100) 중, 일체형 커넥터(22), 케이블 클램프(23A), 및 케이블(24)이, 본체부에 접속되는 접속 부품이다.
전동기(100)에서는, 통 모양의 프레임(5) 내에, 샤프트(1)의 일부, 스테이터 코어(4), 로터(15), 및 모터 동력선(6)의 일부가 격납되어 있다.
또한, 전동기(100)에서는, 프레임(5)의 플러스 X방향의 단부에 부하측 브래킷(3)이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5)의 마이너스 X방향의 단부에 반부하측 브래킷(7)이 배치되어 있다.
부하측 브래킷(3)과 프레임(5)과의 사이에는, 부하측 베어링(2) 및 판 스프링(16)이 배치되어 있다. 반부하측 브래킷(7)과 프레임(5)과의 사이에는, 반부하측 베어링(14)이 배치되어 있다. 반부하측 브래킷(7)의 반부하측에는, 검출기(12)가 장착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어(4)는, 축방향이 X방향의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다. 로터(15)는, 축방향이 X방향의 원기둥 모양을 이루고 있고, 스테이터 코어(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15)는, 샤프트(1)에 접속되고 있고, 로터(15)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샤프트(1)가 X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샤프트(1)는, 부하측 브래킷(3)의 근방에서, 부하측 베어링(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부하측 베어링(2)은, 판 스프링(16)을 매개로 하여 부하측 브래킷(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1)는, 일방의 단부인 검출기(12)의 근방에서, 반부하측 베어링(1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1)는, 타방의 단부가, 플러스 X방향으로 배치된 부하에 접속된다.
모터 동력선(6)의 일단은, 스테이터 코어(4)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 동력선(6)의 타단은, 프레임(5)의 반부하측으로부터 인출되고, 반부하측 브래킷(7)을 관통하여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되어 있다.
검출기(12)는, 샤프트(1)의 반부하측인 일방의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검출기(12)는, 반부하측 브래킷(7)을 매개로 하여 프레임(5)에 고정되어 있다. 검출기(12)는, 검출기 회로(13)를 이용하여 로터(15)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기 통신선(10)은, 일단이 검출기(12)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되어 있다. 검출기(12)의 반부하측에는, 검출기 커버(11)가 배치되어 있다. 검출기 커버(11)는, 검출기(12), 검출기 통신선(10), 모터 동력선(6)의 일부를 격납하도록 반부하측 브래킷(7)에 고정되어 있다.
검출기 통신선(10)의 타단 및 모터 동력선(6)의 타단은, 검출기 커버(11)와 반부하측 브래킷(7)과의 사이에 마련된 인출구까지 연설되어 있고, 인출구에 마련된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24)이 전동기(100)에 접속될 때에는, 케이블(24)에 접속된 케이블 클램프(23A)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일체형 커넥터(22)는, 전동기(100)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신호선 군에 접속되는 커넥터이다. 실시 형태 1에서의 제1 신호선 군에는, 모터 동력선(6) 및 검출기 통신선(10)이 포함되어 있다.
케이블(24)에는,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신호선 군이 격납되어 있다. 케이블(24)에 격납되어 있는 신호선은, 각각 제1 신호선 군에 포함되는 신호선에 접속된다.
일체형 커넥터(22)는, 복수의 볼록핀을 갖는 볼록핀부(70P)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볼록핀부(70P)가 커넥터 핀인 볼록핀(73P, 74P)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일체형 커넥터(22)는, 볼록핀(73P)에 접속된 신호선인 배선(71P)과, 볼록핀(74P)에 접속된 신호선인 배선(72P)을 격납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일체형 커넥터(22) 내의 배선으로서 배선(71P, 72P)의 2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일체형 커넥터(22) 내에는, 모터 동력선(6) 및 검출기 통신선(10)의 개수에 대응하는 배선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일체형 커넥터(22) 내의 각 배선에는, 각각 볼록핀이 접속되어 있다.
배선(71P)은 일단이 볼록핀(73P)에 접속되고, 타단이 모터 동력선(6)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72P)은 일단이 볼록핀(74P)에 접속되고, 타단이 검출기 통신선(10)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 클램프(23A)는, 케이블(24)의 차입구를 갖는 차입부(231)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되어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되는 접속부(230A)를 갖고 있다. 케이블 클램프(23A)는, 수지 성형품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입부(231)는, 2의 개구부를 갖고 있고, 제1 개구부인 개구부(51)로부터 케이블(24)이 차입되고, 제2 개구부인 개구부(52)로부터는 케이블(24)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선인 배선(81Q, 82Q)이 인출되어 있다. 차입부(231)로부터 인출된 배선(81Q, 82Q)은, 접속부(230A) 내에 연설되어 있다. 일체형 커넥터(22)가 갖는 제3 개구부인 개구부(5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접속부(230A)는, 차입부(231)에 접합되어 있다. 접속부(230A)는, 2의 개구부를 갖고 있고, 제4 개구부인 개구부(54)로부터 배선(81Q, 82Q)을 인입(引入)하고, 제5 개구부인 개구부(55)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된다.
배선(81Q, 82Q)은, 복수의 오목핀을 갖는 오목핀부(80Q)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오목핀부(80Q)가 오목핀(83Q, 84Q)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블 클램프(23A)는, 오목핀(83Q)에 접속된 신호선인 배선(81Q)과, 오목핀(84Q)에 접속된 신호선인 배선(82Q)을 격납하고 있다. 배선(81Q, 82Q)은, 차입부(231) 내 및 접속부(230A) 내를 통과하도록 케이블 클램프(23A)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케이블 클램프(23A) 내의 배선으로서 배선(81Q, 82Q) 2개 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케이블 클램프(23A) 내에는, 모터 동력선(6) 및 검출기 통신선(10)의 개수에 대응하는 배선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클램프(23A) 내의 각 배선에는, 각각 오목핀이 접속되어 있다.
배선(81Q)은 일단이 오목핀(83Q)에 접속되고, 타단이 케이블(24)에 인입되어 있다. 배선(82Q)은 일단이 오목핀(84Q)에 접속되고, 타단이 케이블(24)로 인입되어 있다. 즉, 배선(81Q, 82Q)은, 차입부(231) 내에서 케이블(24)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배선(81Q, 82Q)은, 케이블 클램프(23A) 내에서 Z방향으로부터 X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오목핀(83Q)은, 접속부(230A)와 일체형 커넥터(22)와의 접속 부분에서, 볼록핀(73P)에 접속되고, 오목핀(84Q)은, 접속부(230A)와 일체형 커넥터(22)와의 접속 부분에서, 볼록핀(74P)에 접속된다.
오목핀부(80Q)는, 볼록핀부(70P)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케이블 클램프(23A)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되면, 오목핀(83Q)이 볼록핀(73P)에 접속되고, 오목핀(84Q)이 볼록핀(74P)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배선(81Q)과 배선(71P)이 접속되고, 배선(82Q)과 배선(72P)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접속부(230A)는, 차입부(231)로부터 인출된 배선(81Q, 82Q)을 격납함과 아울러, 케이블 클램프(23A)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되면, 차입부(231)로부터 인출된 배선(81Q, 82Q)을 배선(71P, 72P)에 접속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오목핀부(80Q)와 볼록핀부(70P)와의 접속 위치가 케이블 클램프(23A)와 일체형 커넥터(22)와의 접속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오목핀부(80Q)와 볼록핀부(70P)와의 접속 위치는, 일체형 커넥터(22)의 내부여도 된다. 또한, 볼록핀(73P, 74P)의 연설 방향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마이너스 X방향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A)가 볼록핀(73P, 74P)을 구비하고, 일체형 커넥터(22)가 오목핀(83Q, 84Q)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배선(71P)과 배선(81Q)은, 도 1에 나타낸 것 이외의 다른 구조로 접속되어도 되고, 배선(72P)과 배선(82Q)은, 도 1에 나타낸 것 이외의 다른 구조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전동기(100)가, 모터 동력선(6) 및 검출기 통신선(10)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전동기(100)는, 로터(1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에 접속된 브레이크선, 전동기(100) 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선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케이블 클램프(23A) 내 및 일체형 커넥터(22) 내에는, 브레이크선에 접속되는 배선, 서미스터선에 접속되는 배선 등이 배치된다.
케이블(24)은, 전동기(100)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부터 접속시킬지는 여러가지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케이블(24)을 플러스 Z방향으로부터 전동기(100)에 접속시키고 싶은 경우도 있고, 케이블(24)을 마이너스 X방향으로부터 전동기(100)에 접속시키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서는, 케이블 클램프(23A)와 같이, 케이블(24)로부터 인출된 배선을 접속부(230A) 내에서 특정 방향으로 만곡시켜 둔다.
이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23A)에서는, 케이블(24)로부터 인출된 배선인 신호선 군을, 접속부(230A) 내에서, 케이블(24)이 차입되어 있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부터, 접속부(230A)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만곡시키고 있다. 케이블 클램프(23A)의 경우, 마이너스 Z방향이 제1 방향이며, 플러스 X방향이 제2 방향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케이블 클램프(23A)와는 다른 구성의 케이블 클램프도 준비해 둔다. 즉,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 마이너스 Y방향으로부터 플러스 X방향으로 굽혀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을 갖는 케이블 클램프, 플러스 Y방향으로부터 플러스 X방향으로 굽혀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선을 갖는 케이블 클램프 등 여러가지의 케이블 클램프가 준비된다. 또한,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 만곡하지 않고 X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을 갖는 케이블 클램프가 준비되어도 된다. 케이블 클램프(23A) 이외의 케이블 클램프의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유저에 의해서 케이블(24)이 전동기(100)에 접속될 때에는, 케이블 클램프(23A) 등의 여러가지의 케이블 클램프 중에서 케이블(24)의 연설 방향에 대응하는 케이블 클램프가 유저에게 선택되어,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특정 방향으로부터 연설된 케이블(24)에 대하여 케이블(24)을 만곡시키지 않고 일체형 커넥터(22)에 케이블(24)을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케이블 클램프(23A)가,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1 구성예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케이블 클램프(23A)가, 나사(41)에 의해서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접속부(230A)는, 예를 들면, 직방체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을 갖고 있다. 접속부(230A)는, 나사(41)가 차입되는 개소가 절단되어 있다.
케이블 클램프(23A)는, YZ평면에 평행한 플러스 X방향을 향한 면인 후면에서 일체형 커넥터(22)와 접속되도록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즉, 접속부(230A) 중 오목핀(83Q, 84Q)이 배치된 면이 YZ평면에 평행이 되도록, 케이블 클램프(23A)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케이블 클램프(23A)는, 직방체의 6면 중 1개의 면인 YZ평면에 평행한 후면이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하고, 다른 5면은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하고 있지 않다.
케이블 클램프(23A)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속부(230A)의 상면(42), 즉 플러스 Z방향을 향한 XY면에 평행한 면에 차입부(231)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 클램프(23A)는,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입부(231)의 차입구인 개구부(51)가, 플러스 Z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23A)는, 마이너스 Z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24)과, 일체형 커넥터(22)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A)는, 플러스 Z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24)과, 일체형 커넥터(22)를 접속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케이블 클램프(23A)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속부(230A)의 하면(43), 즉 마이너스 Z방향을 향한 XY면에 평행한 면에 차입부(231)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 클램프(23A)는,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입부(231)의 개구부(51)가, 마이너스 Z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A)는, 플러스 X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24)과, 일체형 커넥터(22)를 접속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케이블 클램프(23A)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속부(230A)의 전면(44), 즉 마이너스 X방향을 향한 YZ면에 평행한 면에 차입부(231)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 클램프(23A)는,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입부(231)의 개구부(51)가, 마이너스 X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2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케이블 클램프(23B)가 나사(41)에 의해서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블 클램프(23B)는, 접속부(230B)와 차입부(231)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230B)는, 접속부(230B) 내에서, 마이너스 Y방향으로 연설된 케이블(24)을 플러스 X방향으로 만곡시키고 있다. 즉, 케이블 클램프(23B)의 경우, 마이너스 Y방향이 제1 방향이며, 플러스 X방향이 제2 방향이다.
케이블 클램프(23B)도 케이블 클램프(23A)와 마찬가지로, YZ평면에 평행한 후면에서 일체형 커넥터(22)와 접속되도록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케이블 클램프(23B)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속부(230B)의 좌면(45), 즉 플러스 Y방향을 향한 XZ면에 평행한 면에 차입부(231)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 클램프(23B)는,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입부(231)의 개구부(51)가, 플러스 Y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23B)는, 마이너스 Y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24)과, 일체형 커넥터(22)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3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3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케이블 클램프(23C)가 나사(41)에 의해서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블 클램프(23C)는, 접속부(230C)와 차입부(231)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230C)는, 접속부(230C) 내에서, 플러스 Y방향으로 연설된 케이블(24)을 플러스 X방향으로 만곡시키고 있다. 즉, 케이블 클램프(23C)의 경우, 플러스 Y방향이 제1 방향이며, 플러스 X방향이 제2 방향이다.
케이블 클램프(23C)도 케이블 클램프(23A)와 마찬가지로, YZ평면에 평행한 후면에서 일체형 커넥터(22)와 접속되도록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케이블 클램프(23C)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속부(230C)의 우면(46), 즉 마이너스 Y방향을 향한 XZ면에 평행한 면에 차입부(231)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 클램프(23C)는,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입부(231)의 개구부(51)가, 마이너스 Y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23C)는, 플러스 Y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24)과, 일체형 커넥터(22)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A~23C)는,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입부(231)의 개구부(51)가 어느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차입부(231)를 Y축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마이너스 Y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0도로부터 180도까지의 어느 위치로 회전시킨 케이블 클램프를, 케이블 클램프(23A)로 해도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차입부(231)를 X축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마이너스 X방향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0도에서 360도까지의 어느 위치로 회전시킨 케이블 클램프를, 케이블 클램프(23B)로 해도 된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A~23C)와 일체형 커넥터(22)와의 접속면보다도 케이블 클램프(23A~23C)측이면, 차입부(231)를 어느 방향을 향하게 한 케이블 클램프를, 케이블 클램프(23A~23C)로 해도 된다.
또한, 도 2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케이블 클램프(23A~23C)와 일체형 커넥터(22)와의 접속면 이외의 면에서 케이블 클램프(23A~23C)와 일체형 커넥터(22)가 접속되어도 된다. 즉, 케이블 클램프(23A~23C)는, 일체형 커넥터(22)가 갖는 외벽면 중, 외측으로 노출하여 있는 면이면 어느 면에 접속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케이블 클램프(23A~23C)와 일체형 커넥터(22)와의 접속면을, 일체형 커넥터(22)의 후면이라고 한 경우에, 케이블 클램프(23A~23C)는, 일체형 커넥터(22)의 후면, 좌면, 우면, 및 상면 중 어느 면에서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도, 케이블 클램프(23A~23C)와 일체형 커넥터(22)와의 접속면보다도 케이블 클램프(23A~23C)측이면, 차입부(231)를 어느 방향을 향하게 한 케이블 클램프를, 케이블 클램프(23A~23C)로 해도 된다.
또한, 일체형 커넥터(22)는, 전동기(100)의 본체부에 착탈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일체형 커넥터(22)는, 케이블 클램프가 장착되는 제3 개구부인 개구부(53)가, 샤프트(1)의 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부하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향하거나, 또는 부하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 방향이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 오는 케이블(24)에 대하여도, 케이블(24)을 만곡시키지 않고 케이블(24)을 전동기(10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후술하는 케이블 클램프(23X)로부터 형상이 변경된 케이블 클램프(23A~23C) 어느 것이 이용되는 것에 의해, 일체형 커넥터(22)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케이블(24)의 인출 방향이 변경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비교예의 전동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 비교예의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제2 비교예의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전동기(101, 102)를 샤프트(1)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XZ평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전동기(101, 102)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의 각 구성요소 중 도 1에 나타낸 케이블 클램프(23A)와 동일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동기(101)는, 케이블 클램프(23A) 대신에 케이블 클램프(23X)를 갖고 있는 점에서 전동기(100)의 구성과 다르다. 케이블 클램프(23X)는, 일체형 커넥터(22)를 매개로 하여 모터 동력선(6) 및 검출기 통신선(10)에 접속된다.
케이블 클램프(23X)는, 차입부(231) 및 접속부(230X)를 갖고 있다. 접속부(230X)는, 오목핀(83Q)에 접속된 배선(81X)과, 오목핀(84Q)에 접속된 배선(82X)을 갖고 있다. 배선(81X, 82X)은, 차입부(231) 내 및 접속부(230X) 내를 통과하도록 케이블 클램프(23X)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배선(81X, 82X)은, 배선(81Q, 82Q)과 달리, 만곡하지 않고 접속부(230X) 내를 관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동기(101)에서는, 차입부(231)의 개구부(56)가 마이너스 X방향을 향하고 있다. 전동기(101)에 케이블 클램프(23X)를 매개로 하여 케이블(24)이 장착되면, 케이블(24)은, 전동기(101)로부터 마이너스 X방향으로 연설되는 것이 된다.
전동기(102)는, 로터(1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동기(102)는, 모터 동력선(6) 및 검출기 통신선(10)에 더하여, 브레이크(17)에 접속되는 신호선인 브레이크선(1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동기(102)는, 전동기(101)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클램프(23X)를 갖고 있다.
전동기(102)의 케이블 클램프(23X)는, 일체형 커넥터(22)를 매개로 하여 모터 동력선(6), 검출기 통신선(10), 및 브레이크선(18)에 접속된다.
전동기(102)에서도 전동기(101)와 마찬가지로, 차입부(231)의 개구부(56)가 마이너스 X방향을 향하고 있다. 전동기(102)에 케이블 클램프(23X)를 매개로 하여 케이블(24)이 장착되면, 케이블(24)은, 전동기(102)로부터 마이너스 X방향으로 연설되는 것이 된다.
도 8은, 제3 비교예의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제4 비교예의 전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전동기(103, 104)를 샤프트(1)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XZ평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전동기(103, 104)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케이블 클램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의 각 구성요소 중 도 1에 나타낸 케이블 클램프(23A)와 동일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동기(103, 104)는, 일체형 커넥터(22) 대신에, 복수의 커넥터를 갖고 있는 점에서 전동기(100~102)의 구성과 다르다.
전동기(103)는, 모터 동력선(6)에 접속되는 동력선 커넥터(32), 및 검출기 통신선(10)에 접속되는 검출기 통신선 커넥터(31)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동기(103)에서는, 모터 동력선(6)과 검출기 통신선(10)이 별개의 커넥터에 의해서 인출되어 있다. 전동기(103)에서는, 동력선 커넥터(32) 및 검출기 통신선 커넥터(31)에 케이블 클램프가 접속된다.
동력선 커넥터(32)는, 모터 동력선(6)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과, 이 배선의 선단부 각각에 배치되는 볼록핀을 갖고 있다. 또한, 검출기 통신선 커넥터(31)는, 검출기 통신선(10)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과, 이 배선의 선단부 각각에 배치되는 볼록핀을 갖고 있다.
전동기(104)는, 전동기(103)의 기능에 더하여, 로터(15)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동기(104)는, 모터 동력선(6) 및 검출기 통신선(10)에 더하여, 브레이크(17)에 접속되는 신호선인 브레이크선(1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동기(104)는, 일체형 커넥터(22) 대신에, 동력선 커넥터(32), 검출기 통신선 커넥터(31), 및 브레이크선(18)에 접속되는 브레이크 전원 커넥터(33)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동기(104)에서는, 모터 동력선(6)과, 검출기 통신선(10)과, 브레이크선(18)이 별개의 커넥터에 의해서 인출되어 있다. 전동기(104)에서는, 동력선 커넥터(32), 검출기 통신선 커넥터(31), 및 브레이크 전원 커넥터(33)에 케이블 클램프가 접속된다.
브레이크 전원 커넥터(33)는, 브레이크선(18)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과, 이 배선의 선단부 각각에 배치되는 볼록핀을 갖고 있다.
일체형 커넥터(22)를 갖는 실시 형태 1의 전동기(100)는, 전동기(103, 104)와 비교하면, 커넥터 수의 저감에 의해서 전동기(100)의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넥터의 장착 공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동기(101, 102)에서는, 검출기 통신선(10)에 접속되는 배선과 모터 동력선(6)에 접속되는 배선이 묶여져 1개의 케이블(24)에 격납된다. 이 때문에, 케이블(24)을 만곡시켜 인회하는 경우에는, 케이블(24)의 경도 등의 특성에 의해, 전동기(101)에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24)의 종류에 많은 제약이 걸린다.
예를 들면, 전동기(101, 102)에 대하여 마이너스 X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케이블(24)을 연설시키는 경우에는, 케이블(24)을 만곡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전동기(101, 102)에 대하여 케이블(24)을 접속하는 경우의 접속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동기(101, 102)에 대한 케이블(24)의 접속 구성은 마찬가이므로, 여기에서는 전동기(101)에 대한 케이블(24)의 접속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1 비교예의 전동기에 대한 케이블의 접속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제1 비교예의 전동기에 대한 케이블의 접속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케이블 클램프(23X)는,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케이블 클램프(23X)는, 케이블(24)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배선(81X, 82X)을 갖고 있고, 이들 배선(81X, 82X)이,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된다. 케이블 클램프(23X)는, 각 배선(81X, 82X)이 플러스 X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전동기(101)와 같이 일체형 커넥터(22)에의 케이블 클램프(23X)의 장착 방향이 X방향이고, 케이블(24)을 연설시키고 싶은 방향이 Z방향인 경우, 케이블(24)은, 케이블 클램프(23X)의 외부에서 만곡시킬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블(24)을 Z방향으로부터 X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케이블 클램프(23X)가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전동기(101)에서는, 케이블(24)을 구부린 상태에서의 만곡 부분의 부푼 정도가 커지게 되어, 케이블(24)을 배치하기 위한 넓은 배치 영역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전동기(101)에서는, 무리하게 케이블(24)을 접어 구부리면 케이블(24)의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하거나 단선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실시 형태 1의 전동기(100)에서는, 케이블 클램프(23A)의 외부에서 케이블(24)을 만곡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전동기(100)의 일체형 커넥터(22)에 케이블 클램프(23A~23C)를 접속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케이블 클램프(23A~23C)는, 전동기(102)의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케이블 클램프(23A)는, 케이블(24)을 케이블 클램프(23A)의 외부에서 만곡시키지 않고,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클램프(23A)는, 일체형 케이블인 케이블(24)을 일체형 커넥터(22)를 매개로 하여 전동기(100)에 접속할 때에, 케이블(24)의 인회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A~23C)는, 일체형 커넥터(22)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일체형 커넥터(22)를 매개로 하여 케이블(24)을 전동기(10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클램프(23A)는, 일체형 케이블인 케이블(24)을 일체형 커넥터(22)에 용이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A~23C)는, 비교적 염가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클램프(23A~23C)는, 저코스트로 임의의 방향으로 케이블(24)을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클램프(23A~23C) 중 어느 것과, 케이블(24)을 구비한 전동기(100)를 저코스트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A~23C)는, 여러 가지의 전동기에서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케이블(24)을 전동기(100)에 접속하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선이 일체화된 케이블(24)을 케이블 클램프(23A~23C)의 외부에서 만곡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케이블(24)의 배치 영역이 커지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복수의 차입부를 구비한 케이블 클램프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케이블(24)을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1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의 각 구성요소 중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의 케이블 클램프(23A)와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블 클램프(23D)는, 케이블 클램프(23A)와 마찬가지로,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되는 케이블 클램프이다. 케이블 클램프(23D)는, 검출기 통신선(10)과 모터 동력선(6)을 별개의 케이블(24A, 24B)에 접속한다.
케이블 클램프(23D)는, 1개의 접속부(230D)와, 2개의 차입부(23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의 각 차입부(235)는, 마이너스 X방향으로 개구하고 있고, 플러스 X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24A, 24B)에 접속된다. 접속부(230D)는, 접속부(230A)와 마찬가지로 나사(41)에 의해서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접속부(230D)는, 접속부(230A)와 마찬가지의 내부 구성을 갖고 있다.
2개의 차입부(235) 중 일방의 차입부(235)는, 제1 케이블인 케이블(24A)에 접속되고, 2개의 차입부(235) 중 타방의 차입부(235)는, 제2 케이블인 케이블(24B)에 접속된다.
케이블(24A)은, 일방의 차입부(235) 내에서 복수개의 배선에 접속되고, 케이블(24B)은, 타방의 차입부(235) 내에서 복수개의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일방의 차입부(235) 내의 배선은, 접속부(230D) 내를 관통하고, 오목핀 및 볼록핀을 매개로 하여 일체형 커넥터(22) 내의 배선에 접속된다. 이 배선이, 검출기 통신선(10)에 접속된다.
타방의 차입부(235) 내의 배선은, 접속부(230D) 내를 관통하고, 오목핀 및 볼록핀을 매개로 하여 일체형 커넥터(22) 내의 배선에 접속된다. 이 배선이, 모터 동력선(6)에 접속된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제2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의 각 구성요소 중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의 케이블 클램프(23A)와 동일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블 클램프(23E)는, 케이블 클램프(23A)와 마찬가지로, 일체형 커넥터(22)에 접속되는 케이블 클램프이다. 케이블 클램프(23E)는, 검출기 통신선(10)과 모터 동력선(6)과 브레이크선(18)을 별개의 케이블(24A~24C)에 접속한다.
케이블 클램프(23E)는, 1개의 접속부(230E)와, 3개의 차입부(23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의 각 차입부(235)는, 마이너스 X방향으로 개구하고 있고, 플러스 X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24A, 24B, 24C)에 접속된다. 접속부(230E)는, 접속부(230A)와 마찬가지로 나사(41)에 의해서 일체형 커넥터(22)에 장착된다. 접속부(230E)는, 접속부(230A)와 마찬가지의 내부 구성을 갖고 있다.
3개의 차입부(235) 중 제1 및 제2 차입부(235)는, 도 12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차입부(235)로 마찬가지의 배선 구성을 가지고 있다. 3개의 차입부(235) 중 제3 차입부(235)는, 제3 케이블인 케이블(24C)에 접속된다.
케이블(24C)은, 제3 차입부(235) 내에서 복수개의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차입부(235) 내의 배선은, 접속부(230E) 내를 관통하고, 오목핀 및 볼록핀을 매개로 하여 일체형 커넥터(22) 내의 배선에 접속된다. 이 배선이, 브레이크선(18)에 접속된다.
또한, 각 차입부(235)의 배선에는, 전동기(100)로부터 인출되는 신호선 중 어느 신호선이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차입부(235)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어느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차입부(235)가, 케이블 클램프(23A)의 차입부(231)와 마찬가지로 플러스 Z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속부(230E) 내에서 배선이 마이너스 Z방향으로부터 플러스 X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E)는, 4개 이상의 차입부(235)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2에서는, 2개의 차입부(235)를 갖는 케이블 클램프(23D)를 매개로 하여 케이블(24A, 24B)과 일체형 커넥터(22)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전동기(100)에 접속시키는 케이블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3개의 차입부(235)를 갖는 케이블 클램프(23E)를 매개로 하여 케이블(24A~24C)과 일체형 커넥터(22)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전동기(100)에 접속시키는 케이블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23D, 23E)를 이용하여 배선을 분할함으로써 각 케이블(24A~24C)의 지름이 작아지게 되어, 인회성이 향상된다. 또한, 검출기 통신선(10) 및 모터 동력선(6) 등을 정리한 일체형의 특수한 전용의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되므로, 유저측에서 희망하는 케이블을 택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의 특수한 전용의 케이블을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케이블(24A~24C)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24A~24C)로서 범용의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된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14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3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케이블 클램프가 구비하는 차입부를, 차입부의 개구부에 덮개를 붙일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의 각 구성요소 중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의 케이블 클램프(23A) 또는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의 케이블 클램프(23D)와 동일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블 클램프(23F)는, 케이블 클램프(23D)와 비교하여, 차입부(235) 대신에 차입부(236)를 구비하고 있다. 차입부(236)는, 케이블(24A) 또는 케이블(24B)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개구 상태의 경우에, 개구부(57)에 덮개(25)를 장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57)는, 개구부(51)와 마찬가지의 제1 개구부이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F)는, 2개의 차입부(236)를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고, 1개의 차입부(235)와 1개의 차입부(236)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E)가 차입부(235) 대신에 차입부(236)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케이블 클램프(23E)는, 적어도 1개의 차입부(236)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3에서는, 케이블 클램프(23F)가 구비하는 차입부(236)의 케이블 인출구인 개구부(57)에 덮개(25)를 착탈할 수 있도록 케이블 클램프(23F)가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 클램프(23F)를 복수의 전동기에서 공통화하면서 유저 니즈에 따라 유저측에서 사용하는 케이블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유저빌리티가 향상된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F)를 복수의 전동기에서 공통화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15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4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4에서는, 굵기가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전동기(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케이블 클램프에, 복수 종류의 사이즈의 차입부가 배치된다.
도 15는, 실시 형태 4에 관한 케이블 클램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각 구성요소 중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의 케이블 클램프(23A) 또는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의 케이블 클램프(23D)와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블 클램프(23G)는, 케이블 클램프(23D)와 비교하여, 차입부(235) 대신에 차입부(237, 23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차입부인 차입부(37)가 갖는 개구부(58)와, 제2 차입부인 차입부(238)가 갖는 개구부(59)는, 개구 영역의 넓이가 다르다. 즉, 차입부(37)에 차입되는 케이블(24D)의 굵기와, 차입부(238)에 차입되는 케이블(24E)의 굵기는, 다른 굵기이다. 도 15에서는, 케이블(24E)이 케이블(24D)보다도 가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개구부(58, 59)는, 개구부(51)와 마찬가지의 제1 개구부다.
전동기(100)에는, 여러 가지의 굵기의 케이블(24D, 24E)을 접속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실시 형태 4에서는, 접속시키고 싶은 케이블(24D, 24E)의 굵기에 따른 차입부(237, 238)을 갖는 케이블 클램프(23G)가 이용됨으로써, 희망하는 케이블(24D, 24E)을 전동기(100)에 접속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전동기(100)의 유저는, 전동기(100)에 접속하는 케이블(24D, 24E)의 지름을 임의로 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동기(100)의 유저는, 전동기(100)에 접속하는 케이블로서 작은 지름의 케이블(24E)을 선택할 수 있다. 작은 지름의 케이블(24E)이 선택되었을 경우, 인회성이 향상되므로, 케이블(24E)의 배치 영역을 스페이스 절약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24D, 24E)로서, 범용적인 케이블이 사용되는 것, 또는 케이블 클램프(23G)로서 범용적인 케이블 클램프가 사용됨으로써, 전동기(100)의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범용적인 케이블 및 범용적인 케이블 클램프를 사용 가능하므로, 전동기(100)에의 보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각 차입부(237, 238)의 배선에는, 전동기(100)로부터 인출되는 신호선 중 어느 신호선이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차입부(237, 238)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어느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차입부(237, 238)가, 케이블 클램프(23A)의 차입부(231)와 마찬가지로 플러스 Z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속부(230G) 내에서 배선이 마이너스 Z방향으로부터 플러스 X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 클램프(23G)에는 3개 이상의 케이블이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케이블 클램프(23G)는, 3개 이상의 차입부가 배치된다. 이 3개 이상의 차입부는, 각각 개구부의 개구 영역이 달라도 되고, 일부의 차입부는, 개구부의 개구 영역이 동일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개구부의 개구 영역의 넓이가 다른 차입부(237, 238)가 케이블 클램프(23G)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여러 가지의 지름을 갖는 복수개의 케이블(24D, 24E)을 전동기(10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실시 형태끼리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샤프트
2: 부하측 베어링
3: 부하측 브래킷
4: 스테이터 코어
5: 프레임
6: 모터 동력선
7: 반부하측 브래킷
10: 검출기 통신선
11: 검출기 커버
12: 검출기
13: 검출기 회로
14: 반부하측 베어링
15: 로터
16: 판 스프링
17: 브레이크
18: 브레이크선
22: 일체형 커넥터
23A~23G, 23X: 케이블 클램프
24, 24A~24E: 케이블
25: 덮개
31: 검출기 통신선 커넥터
32: 동력선 커넥터
33: 브레이크 전원 커넥터
41: 나사
42: 상면
43: 하면
44: 전면
45: 좌면
46: 우면
51~59: 개구부
70P: 볼록핀부
71P, 72P, 81Q, 82Q, 81X, 82X: 배선
73P, 74P: 볼록핀
80Q: 오목핀부
83Q, 84Q: 오목핀
100~104: 전동기
230A~230E, 230G, 230X: 접속부
231, 235~238: 차입부

Claims (7)

  1. 전동기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신호선 군에 접속된 일체형 커넥터에 대하여 장착되는 케이블 클램프로서,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신호선 군이 격납된 케이블이 제1 개구부로부터 차입(差入)되어 있고, 또한 제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 신호선 군을 인출한 차입부와,
    상기 차입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 신호선 군을 격납함과 아울러, 상기 일체형 커넥터에 장착되면 상기 차입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 신호선 군을 상기 제1 신호선 군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 내의 상기 제2 신호선 군은, 상기 케이블이 차입되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접속부가 상기 일체형 커넥터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만곡시켜져 있고, 또한 상기 접속부가 상기 일체형 커넥터에 장착되는 방향은, 상기 전동기가 갖는 샤프트의 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부하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 또는 상기 부하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이고,
    상기 차입부는 복수이고,
    상기 차입부 마다에 상기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차입부 마다에 상기 제2 신호선 군을 상기 제1 신호선 군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클램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입부는, 상기 케이블이 차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제1 개구부에 덮개를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클램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로 이루어지는 상기 차입부 중의 제1 차입부의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차입부의 상기 제1 개구부는, 개구 영역의 넓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클램프.
  5.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어에 의해서 부하를 구동하는 전동기로서,
    상기 구동 시에 이용되는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신호선 군과,
    상기 제1 신호선 군에 접속된 일체형 커넥터와,
    상기 일체형 커넥터에 대하여 장착되는 케이블 클램프와,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신호선 군이 격납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 클램프에 접속된 케이블을 갖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케이블이 제1 개구부로부터 차입되어 있고, 또한 제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 신호선 군을 인출한 차입부와,
    상기 차입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 신호선 군을 격납함과 아울러, 상기 일체형 커넥터에 장착되면 상기 차입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 신호선 군을 상기 제1 신호선 군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 내의 상기 제2 신호선 군은, 상기 케이블이 차입되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접속부가 상기 일체형 커넥터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만곡시켜져 있고,
    상기 일체형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장착되는 제3 개구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전동기의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3 개구부가, 상기 전동기가 갖는 샤프트의 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부하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을 향하거나, 또는 상기 부하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차입부는 복수이고,
    상기 차입부 마다에 상기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차입부 마다에 상기 제2 신호선 군을 상기 제1 신호선 군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6. 삭제
  7. 삭제
KR1020227030307A 2020-09-09 2020-09-09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 KR102502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34081 WO2022054162A1 (ja) 2020-09-09 2020-09-09 ケーブルクランプおよび電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376A KR20220125376A (ko) 2022-09-14
KR102502907B1 true KR102502907B1 (ko) 2023-02-24

Family

ID=7608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307A KR102502907B1 (ko) 2020-09-09 2020-09-09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80349B1 (ko)
KR (1) KR102502907B1 (ko)
CN (1) CN115244793A (ko)
DE (1) DE112020006429B4 (ko)
WO (1) WO2022054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9722A1 (de) * 2021-09-03 2023-03-0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ischer Lüfterantrieb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3175U (ja) * 1981-12-29 1983-07-13 山一電機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におけるケ−ブルクランプ機構
JPS61171010A (ja) * 1985-01-24 1986-08-01 フアナツク株式会社 動力、信号一体化ケ−ブル
JP3568095B2 (ja) * 1998-01-30 2004-09-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電線保持構造
JP2004056943A (ja) 2002-07-22 2004-02-19 Fanuc Ltd 電動機
JP2008177871A (ja) * 2007-01-18 2008-07-31 Smk Corp モジュール機器用電気機器
JP5103266B2 (ja) 2008-05-12 2012-12-19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株式会社 モータ用端子箱
JP5416158B2 (ja) 2011-03-31 2014-02-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発電電動機および作業機械
JP5902976B2 (ja) * 2012-03-26 2016-04-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電動機
JP5852489B2 (ja) * 2012-03-26 2016-02-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電動機
JP6187788B2 (ja) * 2013-10-15 2017-08-30 株式会社安川電機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ケーブル引き出し方向の変更方法
JP6578642B2 (ja) * 2014-09-30 2019-09-25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16195011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フジキン コネクタフード
JP6706557B2 (ja) * 2016-07-27 2020-06-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DE102016124096A1 (de) 2016-12-12 2018-06-14 Borgward Trademark Holdings Gmbh Anschlussdose, Elektromotoranordnung und Fahrzeug
JP6813181B2 (ja) * 2016-12-28 2021-01-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バー部材、カバー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CN209592878U (zh) * 2019-04-18 2019-11-05 黄绍富 一种新型走线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054162A1 (ko) 2022-03-17
DE112020006429B4 (de) 2024-07-25
JP6880349B1 (ja) 2021-06-02
DE112020006429T5 (de) 2022-10-20
KR20220125376A (ko) 2022-09-14
CN115244793A (zh) 2022-10-25
WO2022054162A1 (ja)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051B2 (en) Wire harness
KR102502907B1 (ko) 케이블 클램프 및 전동기
CN101268228A (zh) 用于水平轴洗衣机的一体化电动机与控制器组件
CN106535542B (zh) 噪声滤波器、电路板和电力转换设备
EP2848815B1 (en) Housing of fan motor
JP5420147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基地局
JP2020058182A (ja) ワイヤハーネス
JP6893905B2 (ja) 筐体、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5042221B (zh) 机器人关节模组及机器人
KR102628071B1 (ko) 유체 기계
CN214506814U (zh) 电机与电控集成结构、动力总成及车辆
CN117044054A (zh) 线束及电动压缩机
JP5939511B2 (ja) 回転電機
CN1260871C (zh) 电动机用连接器装置及电动机
JP5333871B2 (ja) 回転電機
KR100395898B1 (ko) 통신함 구조
JP2011073539A (ja) 電装部品用支持ボックス構造
PL215616B1 (pl) Oslona wentylatora
CN220952577U (zh) 铰链组件、门组件和衣物处理装置
JP2020058096A (ja) ワイヤハーネスシステム
JP2005318742A (ja) 電動モータ
JP7509099B2 (ja) 充電コネクタ
CN220527828U (zh) 电机总成及电驱系统
CN213861856U (zh) 一种汽车变速箱支架
CN115335875B (zh) 集成电气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