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684B1 -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684B1
KR102501684B1 KR1020210188927A KR20210188927A KR102501684B1 KR 102501684 B1 KR102501684 B1 KR 102501684B1 KR 1020210188927 A KR1020210188927 A KR 1020210188927A KR 20210188927 A KR20210188927 A KR 20210188927A KR 102501684 B1 KR102501684 B1 KR 102501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wale
lever
plate membe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Priority to KR102021018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은 물론 별도의 공구도 필요없이 시공되어 띠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함과 더불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건설의 굴착 현장에서 가설흙막이 시공시 지주에 장착되어 띠장을 지지하는 띠장 설치용 보걸이로서, 상기 지주의 플랜지를 양쪽에서 감싸는 제1,2장착부재; 상기 제1,2장착부재에 연결되며 띠장을 지지하는 지지판부재; 및 상기 제1,2장착부재와 지지판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부재를 고정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장착부재 외측면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체결되는 체결너트; 상기 체결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제1,2장착부재 및 지지판부재에 형성된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들을 관통하는 삽입을 이루는 체결봉; 및 상기 체결봉에서 상기 제2장착부재의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회동축을 통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Convenient bracket for installation of wale of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용접은 물론 별도의 공구도 필요없이 시공되어 띠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함과 더불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의 건설 현장에서는 기초 공사에 따라 지면의 굴착시,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가설흙막이 공사를 선행한다.
가설흙막이 공사로는, 통상 STRUT 공법이 많이 사용되는데, STRUT 공법은 벽체에 해당되는 지면에 일정 간격을 따라 복수개의 H형강 지주를 매립한 후, 지면을 굴착하여 매립되는 H형강 지주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노출되는 복수개의 H형강 지주의 플랜지에는 보걸이를 결합하고, 띠장을 안착시킨 후, 띠장의 상부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사용되는 보걸이는 L형강의 앵글로 이루어진 앵글 브래킷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앵클 브래킷은 H형강 지주의 플랜지에 주로 용접 접합으로 설치되어 고정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걸이는 용접에 의해 지주에 접합 고정됨으로써, 1인의 작업자에 의해 설치가 곤란하고, 용접에 의해 지주에 일체화됨에 따라, 해체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많은 해체시간이 소요되어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용접타입 보걸이는 단차 또는 높이 불량에 따른 오시공이 발생될 경우, 용접 접합으로 인한 재조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후 조건에 따른 용접 품질의 차이에 의해 불량 발생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3601호(2010.08.0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8907호(2013.11.1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가설흙막이의 형성을 위한 띠장의 설치시 보걸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용접이 필요치 않아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별도의 공구 또한 필요치 않도록 하여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는, 건설의 굴착 현장에서 가설흙막이 시공시 지주에 장착되어 띠장을 지지하는 띠장 설치용 보걸이로서, 상기 지주의 플랜지를 양쪽에서 감싸는 제1,2장착부재; 상기 제1,2장착부재에 연결되며 띠장을 지지하는 지지판부재; 및 상기 제1,2장착부재와 지지판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부재를 고정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장착부재 외측면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체결되는 체결너트; 상기 체결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제1,2장착부재 및 지지판부재에 형성된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들을 관통하는 삽입을 이루는 체결봉; 및 상기 체결봉에서 상기 제2장착부재의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회동축을 통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장착부재는, 상기 플랜지와 면접촉을 이루는 절곡부위 내측면에 상기 플랜지와 면접촉을 이루는 제1마찰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부재와 면접촉을 이루는 연장부위 내측면에 상기 지지판부재와 면접촉을 이루는 제2마찰보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회동축에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체결홀은 종단면이 상기 체결봉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고, 상기 하부체결홀은 상기 체결봉의 외경보다 길이가 긴 곡선형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부재가 상기 띠장의 하중에 의해 상기 지주쪽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주와 큰 마찰력으로 지지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부재는 상기 제1,2장착부재와 면접촉을 이루는 부위 전방에 하나 이상의 개방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회동축과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전방 단부에 잠금홀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체결홀에 체결된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레버는 전방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고 상기 하부체결홀에 체결된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레버는 전방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어, 상기 회동레버들의 전방 단부가 서로 면접촉을 이루어 상호 연결된 상기 잠금홀들에 잠금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부재는 외측면에 상기 상부체결홀에 체결된 레버부재 및 상기 하부체결홀에 체결된 레버부재의 회동레버들에 각각 대응하는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는, 건설의 굴착 현장에서 가설흙막이 시공시 지주에 장착되어 띠장을 지지하는 띠장 설치용 보걸이로서, 상기 지주의 플랜지를 양쪽에서 감싸는 제1,2장착부재; 상기 제1,2장착부재에 연결되며 띠장을 지지하는 지지판부재; 및 상기 제1,2장착부재와 지지판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부재를 고정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2장착부재 및 지지판부재에 형성된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들을 관통하는 삽입을 이루는 체결봉; 및 상기 체결봉에서 상기 제1,2장착부재의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 외부 양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회동축을 통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레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지주 플랜지의 상측 단부 횡방향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상기 제1장착부재와 제2장착부재의 절곡부위를 장착하여 상기 띠장의 설치위치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2장착부재 및 지지판부재가 상호 면접촉을 이루도록 상기 레버부재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보걸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용접이 필요치 않아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별도의 공구 또한 필요치 않게 되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하부체결홀의 종단면 형상이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잠금홀에 체결되는 잠금부재를 통해 띠장의 견고한 지지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의 잠금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용접은 물론 별도의 공구도 필요없이 시공되어 띠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함과 더불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설의 굴착 현장에서 가설흙막이(1) 시공시 H형강의 지주(2)에 장착되어 띠장(4)을 지지하는 띠장 설치용 보걸이로서, 제1장착부재(10), 제2장착부재(20), 지지판부재(30) 및 레버부재(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장착부재(10, 20)는 지주(2)의 플랜지(3)를 양쪽에서 깜사는 것으로, 그 중 제1장착부재(10)는, 지주(2)의 플랜지(3) 횡방향 일측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판 형상으로 플랜지(3)에 장착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제1장착부재(10)는, 도 4와 같이, 플랜지(3)와 면접촉을 이루는 절곡부위(11) 내측면에 플랜지(3)와 면접촉을 이루는 제1마찰보강부재(15)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지지판부재(30)와 면접촉을 이루는 연장부위(12) 내측면에 지지판부재(30)와 면접촉을 이루는 제2마찰보강부재(16)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2마찰보강부재(15, 16)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가 띠장(4)의 하중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띠장(4)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미끄러져 설치 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되거나, 이에 의해 띠장(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예컨대 제1 및 2마찰보강부재(15, 16)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장착부재(20)는 제1장착부재(10)와 간격을 이루며 마주하여 상호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플랜지(3)의 횡방향 타측 단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형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장착부재(20)는 제1장착부재(10)와 마찬가지로, 도 4와 같이, 플랜지(3)와 면접촉을 이루는 절곡부위(21) 내측면에 플랜지(3)와 면접촉을 이루는 제1마찰보강부재(25)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지지판부재(30)와 면접촉을 이루는 연장부위(22) 내측면에 지지판부재(30)와 면접촉을 이루는 제2마찰보강부재(26)를 구비하여 상술한 제1장착부재(10)의 제1 및 2마찰보강부재(15, 16)와 동일한 효과를 유발하며 띠장(4)의 지지관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예컨대, 제2장착부재(20)의 제1 및 2마찰보강부재(25, 26)도 제1장착부재(10)의 제1 및 2마찰보강부재(15, 16)와 마찬가지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판부재(30)는 제1,2장착부재(10, 20)에 연결되며 띠장(4)을 지지하는 것으로, 제1장착부재(10)와 제2장착부재(20)의 절곡부위(11, 21)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부위(12, 22)의 횡방향 사이에 개재되는 장착을 이루는 판 형상으로 후면이 플랜지(3)의 전면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상면에 띠장(4)이 안착되는 지지관계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부재(30)는 횡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며 종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레버부재(40)는 제1,2장착부재(10, 20)와 지지판부재(30)에 체결되어 지지판부재(30)를 고정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횡방향으로 상호 면접촉을 이루는 제1장착부재(10), 지지판부재(30) 및 제2장착부재(20) 각각에 형성된 상부체결홀(13, 33, 23)과 하부체결홀(14, 34, 24)에 각각 체결되어 제1장착부재(10), 지지판부재(30) 및 제2장착부재(20)가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구성이다.
레버부재(40)는, 제1장착부재(10) 연장부위의 외측면과 면접촉을 이루는 체결너트(41)와, 체결너트(41)와 체결되어 체결너트(41)에서 횡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1장착부재(10), 지지판부재(30) 및 제2장착부재(20)의 상부체결홀(13, 33, 23)과 하부체결홀(14, 34, 24)들을 관통하는 삽입을 이루는 체결봉(42)과, 체결봉(42)에서 제2장착부재(20)의 상부체결홀(23)과 하부체결홀(24)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회동축(44)을 통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레버(43)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회동레버(43)는 회동축(44)에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즉 회동축(44)에 결합을 이루는 부위 중, 회동 전 제2장착부재(20)의 외측면과 밀착을 이루는 부위의 두께보다 회동 후 제2장착부재(20)의 외측면과 밀착을 이루는 부위의 두께가 더 두꺼워 제2장착부재(20)를 가압함에 따른 회동 상태의 유지를 이루도록 한다.
아울러, 레버부재(40)는 체결너트(41)와 체결봉(42)의 연결 관계, 회동축(44) 및 체결봉(42)과 회동레버(43)의 연결 관계에 있어, 지지스프링을 통한 연결을 이루도록 하여 회동레버(43)의 전방 회동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그 회동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장착부재(10), 지지판부재(30) 및 제2장착부재(20)의 상부체결홀(13, 33, 23)과 하부체결홀(14, 34, 24)들의 구성 관계에 있어, 상부체결홀(13, 33, 23)은 종단면이 체결봉(42)의 종단면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고, 하부체결홀(14, 34, 24)은 종단면이 체결봉(42)이 삽입된 위치에서 전방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곡선을 이루며 연장된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부체결홀(14, 34, 24)은 체결봉(42)의 외경보다 길이가 긴 곡선형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지지판부재(30)가 띠장(4)의 하중에 의해 지주(2)쪽으로 회전하면서 지주(2)와 큰 마찰력으로 지지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1장착부재(10), 지지판부재(30) 및 제2장착부재(20) 상에 거치된 띠장(4)의 하중 또는 상측으로부터 외력이 과도하게 작용할 경우, 제1장착부재(10), 지지판부재(30) 및 제2장착부재(20)가 하측으로 어느 정도 밀리면서 하부체결홀(14, 34, 24)에 삽입된 체결봉(42)이 어느 정도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는 형상을 이루게 되어 지지판부재(30)의 후면이 플랜지(3)의 전면에 더욱 밀착된 상태에 놓이게 됨으로써, 띠장(4)의 지지관계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판부재(30)는 제1장착부재(10) 및 제2장착부재(20)의 연장부위(12, 22)와 면접촉을 이루는 부위 전방에 하나 이상의 개방홀(31)을 형성하고, 회동레버(43)는 회동축(44)과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전방 단부에 잠금홀(45)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체결홀(13, 23, 33)에 체결된 레버부재(40)의 회동레버(43)는 전방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고, 하부체결홀(14, 24, 34)에 체결된 레버부재(40)의 회동레버(43)는 전방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어, 회동레버(43)들의 전방 단부가 서로 면접촉을 이루어 상호 연결된 잠금홀(45)들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잠금부재(50)를 더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장착부재(20)는 외측면에 상부체결홀(13, 23, 33)에 체결된 레버부재(40) 및 하부체결홀(14, 24, 34)에 체결된 레버부재(40)의 회동레버(43)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술한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GL)이 형성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회동레버(43)들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회동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잠금부재(50)는 상술한 잠금홀(45)에 삽입되는 체결을 이루는 잠금본체(51)와, 잠금본체(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본체(51)를 개폐하는 잠금핀(52)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잠금본체(51)가 개방홀(31)과 잠금홀(45)에 동시에 삽입되는 체결을 이룬 상태에서 지지판부재(30)의 전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잠금핀(52)의 회동을 통해 잠금상태를 이루게 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잠금본체(51)가 개방홀(31) 내에 위치한 잠금홀(45)에만 삽입되는 체결을 이루어 개방홀(31) 내에서 잠금핀(52)의 회동을 통해 잠금상태에 놓이게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잠금부재(50)를 통해, 보걸이의 해체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회동레버(43)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설의 굴착 과정에서 띠장(4)의 실치 및 지지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의 시공방법으로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지주 플랜지(3)의 상측 단부 횡방향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제1장착부재(10)와 제2장착부재(20)의 절곡부위(11, 21)를 장착하여 띠장(4)의 설치위치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단계와, 제1장착부재(10), 지지판부재(30) 및 제2장착부재(20)가 상호 면접촉을 이루도록 레버부재(40)의 회동레버(43)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제1단계에 앞서 제1장착부재(10), 지지판부재(30) 및 제2장착부재(20)는, 그 상부체결홀(13, 33, 23) 및 하부체결홀(14, 34, 24)에 이미 레버부재(40)가 체결되어 어느 정도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제1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보걸이를 해체시키고자 할 경우, 제2단계와 반대로 레버부재(40)의 회동레버(43)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제1장착부재(10), 지지판부재(30) 및 제2장착부재(20)가 미세한 간격을 이루도록 결합을 어느 정도 해제시킨 상태에서 플랜지(30)의 상측 단부로 이동시켜 플랜지(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는, 제1장착부재(10), 제2장착부재(20), 지지판부재(30), 레버부재(40) 및 잠금부재(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부재(40)에서 상술한 체결너트(41)의 구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체결봉(42)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 즉 체결봉(42)에서 제1장착부재(10) 및 제2장착부재(20)의 상부체결홀(13, 23)과 하부체결홀(14, 24) 외부 양측(횡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회동축(44)을 통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레버(43)를 적용한 구성에 특징이 있다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보걸이의 조립 또는 시공 과정에서 체결너트(41)와 체결봉(42)의 체결을 배제하여 보다 간편한 조립 또는 시공을 이루게 할 수 있고, 제1장착부재(10), 제2장착부재(20) 및 지지판부재(30)가 밀착 결합을 이룬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우, 상부체결홀(13, 23, 33)과 하부체결홀(14, 24, 34) 횡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된 4개의 회동레버(43)들의 잠금홀(45)에 하나의 잠금부재(50)를 체결하여 잠금을 이루도록 할 수 있어 기재의 절감 또한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체결홀(13, 23, 33)에 체결된 레버부재(40)의 횡방향 일측 및 타측의 회동레버(43)는 전방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고, 하부체결홀(14, 24, 34)에 체결된 레버부재(40)의 횡방향 일측 및 타측의 회동레버(43)는 전방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어, 4개의 회동레버(43)들 전방 단부가 서로 면접촉을 이루게 하여 상호 연결된 잠금홀(45)들에 잠금부재(50)를 체결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1장착부재(10)의 외측면에도 제2장착부재(20)와 마찬가지로 상부체결홀(13, 23, 33)에 체결된 레버부재(40) 및 하부체결홀(14, 24, 34)에 체결된 레버부재(40)의 회동레버(43)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술한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GL)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가설흙막이 2 : 지주
3 : 플랜지 4 : 띠장
10 : 제1장착부재 11 : 절곡부위
12 : 연장부위 13 : 상부체결홀
14 : 하부체결홀 15 : 제1마찰보강부재
16 : 제2마찰보강부재 20 : 제2장착부재
21 : 절곡부위 22 : 연장부위
23 : 상부체결홀 24 : 하부체결홀
25 : 제1마찰보강부재 26 : 제2마찰보강부재
30 : 지지판부재 31 : 개방홀
33 : 상부체결홀 34 : 하부체결홀
40 : 레버부재 41 : 체결너트
42 : 체결봉 43 : 회동레버
44 : 회동축 45 : 잠금홀
50 : 잠금부재 51 : 잠금본체
52 : 잠금핀 GL : 가이드라인

Claims (8)

  1. 건설의 굴착 현장에서 가설흙막이 시공시 지주에 장착되어 띠장을 지지하는 띠장 설치용 보걸이로서,
    상기 지주의 플랜지를 양쪽에서 감싸는 제1,2장착부재; 상기 제1,2장착부재에 연결되며 띠장을 지지하는 지지판부재; 및 상기 제1,2장착부재와 지지판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부재를 고정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장착부재 외측면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체결되는 체결너트; 상기 체결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제1,2장착부재 및 지지판부재에 형성된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들에 삽입되는 체결봉; 및 상기 체결봉에서 상기 제2장착부재의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회동축을 통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부재는 상기 제1,2장착부재와 면접촉을 이루는 부위 전방에 하나 이상의 개방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회동축과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전방 단부에 잠금홀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체결홀에 체결된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레버는 전방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고 상기 하부체결홀에 체결된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레버는 전방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어, 상기 회동레버들의 전방 단부가 서로 면접촉을 이루어 상호 연결된 상기 잠금홀들에 잠금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장착부재는,
    상기 플랜지와 면접촉을 이루는 절곡부위 내측면에 상기 플랜지와 면접촉을 이루는 제1마찰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부재와 면접촉을 이루는 연장부위 내측면에 상기 지지판부재와 면접촉을 이루는 제2마찰보강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회동축에 편심을 이루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결홀은 종단면이 상기 체결봉과 동일한 원형을 이루고,
    상기 하부체결홀은 상기 체결봉의 외경보다 길이가 긴 곡선형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부재가 상기 띠장의 하중에 의해 상기 지주쪽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주와 큰 마찰력으로 지지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재는 외측면에 상기 상부체결홀에 체결된 레버부재 및 상기 하부체결홀에 체결된 레버부재의 회동레버들에 각각 대응하는 회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7. 건설의 굴착 현장에서 가설흙막이 시공시 지주에 장착되어 띠장을 지지하는 띠장 설치용 보걸이로서,
    상기 지주의 플랜지를 양쪽에서 감싸는 제1,2장착부재; 상기 제1,2장착부재에 연결되며 띠장을 지지하는 지지판부재; 및 상기 제1,2장착부재와 지지판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부재를 고정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2장착부재 및 지지판부재에 형성된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들에 삽입되는 체결봉; 및 상기 체결봉에서 상기 제1,2장착부재의 상부체결홀과 하부체결홀 외부 양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회동축을 통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부재는 상기 제1,2장착부재와 면접촉을 이루는 부위 전방에 하나 이상의 개방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회동축과의 결합부위 반대편인 전방 단부에 잠금홀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체결홀에 체결된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레버는 전방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고 상기 하부체결홀에 체결된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레버는 전방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을 이루어, 상기 회동레버들의 전방 단부가 서로 면접촉을 이루어 상호 연결된 상기 잠금홀들에 잠금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의한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지주 플랜지의 상측 단부 횡방향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상기 제1장착부재와 제2장착부재의 절곡부위를 장착하여 상기 띠장의 설치위치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2장착부재 및 지지판부재가 상호 면접촉을 이루도록 상기 레버부재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의 시공방법.
KR1020210188927A 2021-12-27 2021-12-27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KR102501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927A KR102501684B1 (ko) 2021-12-27 2021-12-27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927A KR102501684B1 (ko) 2021-12-27 2021-12-27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684B1 true KR102501684B1 (ko) 2023-02-21

Family

ID=8532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927A KR102501684B1 (ko) 2021-12-27 2021-12-27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6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01B1 (ko) 2008-05-19 2010-08-02 (주) 아이제이컨티넨탈엔지니어링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터파기방법
KR101107452B1 (ko) * 2009-11-30 2012-01-19 주식회사 화성기연 걸이식 철골 좌대
KR101262043B1 (ko) * 2011-06-21 2013-05-08 (주) 아인이앤씨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KR101328907B1 (ko) 2013-02-20 2013-11-13 손일준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KR20180052188A (ko) * 2016-11-10 2018-05-18 윤택규 띠장설치용 볼팅타입 보걸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01B1 (ko) 2008-05-19 2010-08-02 (주) 아이제이컨티넨탈엔지니어링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터파기방법
KR101107452B1 (ko) * 2009-11-30 2012-01-19 주식회사 화성기연 걸이식 철골 좌대
KR101262043B1 (ko) * 2011-06-21 2013-05-08 (주) 아인이앤씨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KR101328907B1 (ko) 2013-02-20 2013-11-13 손일준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KR20180052188A (ko) * 2016-11-10 2018-05-18 윤택규 띠장설치용 볼팅타입 보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68416B2 (ko)
JP5033726B2 (ja) 型枠支保工および型枠支保工用水平力処理部材
KR101656367B1 (ko) 도로 지하에 관을 매설하기 위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JP4196412B1 (ja) 杭構造とこれを用いた防護柵
KR102501684B1 (ko)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KR101844977B1 (ko)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JP4884117B2 (ja) 柱と鋼管杭の位置決め装置及び位置決め方法
KR100383268B1 (ko)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20160127467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JP6831714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KR200385376Y1 (ko)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JPH0726568A (ja) 鉄骨柱、杭および基礎梁の接合構造
KR102000675B1 (ko)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JP3491116B2 (ja) 柱と杭の接合部材
KR102444870B1 (ko) 고소작업용 합벽지지대 설치장치
JPH09291545A (ja) 柱と杭の接合方法
JP7049016B1 (ja) 吊り足場
KR101836165B1 (ko) 공장제작과 현장조립이 2원화된 cft강관 지보재의 터널구축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2097718A (ja) 鋼管柱の建て込み工法
KR102231331B1 (ko)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02242302A (ja) 建築鉄骨骨組の柱梁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JPH0813493A (ja) 斜梁取付用継手
JPH08151648A (ja) 鉄骨構造の柱梁の仕口構造
KR101933635B1 (ko) 띠장의 보강구조체
JPH08269969A (ja) 土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