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331B1 -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331B1
KR102231331B1 KR1020190058127A KR20190058127A KR102231331B1 KR 102231331 B1 KR102231331 B1 KR 102231331B1 KR 1020190058127 A KR1020190058127 A KR 1020190058127A KR 20190058127 A KR20190058127 A KR 20190058127A KR 102231331 B1 KR102231331 B1 KR 10223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tunnel
tunnel construction
gangg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128A (ko
Inventor
문경선
신영완
김영신
이학규
송헌영
Original Assignee
(주)하경엔지니어링
동부건설(주)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경엔지니어링, 동부건설(주),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하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5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3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2Clamps or other yieldable mean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arch members either rigidly, or allowing arch member parts to slide when subjected to excessive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터널공사용 갱문용 강지보를 설치한 후, 상기 터널공사용 갱문용 강지보 일부를 철거함에 있어, 철거작업을 간단하면서도 신속하며 연결부위 보강도 가능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는 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인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양 복부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양 복부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공관 부재인 슬라이딩 연결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가 연결위치에 세팅된 상태에서, 일측 슬라이딩 연결부재와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복부 및 타측 슬라이딩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를 연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REMOVAL APPARATUS OF STEEL REINFORCING MEMBER FOR TUNNEL PORTAL AREA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터널공사용 갱문용 강지보를 설치한 후, 상기 터널공사용 갱문용 강지보 상부를 철거하는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신속하며 연결부위 보강도 가능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친환경 터널 갱구부 공법으로서 ETPM 공법(Eco-friendly Tunnel Portal Mini-piperoof)에 의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의 설치 및 철거 공종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ETPM 공법은,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을 굴착하지 않고 유지한 상태에서,
고강도의 미니 파이프루프를 터널 굴착선 외측에 장심도로 선시공하여 터널 갱구부의 안정성을 확보한 후,
터널단면을 연속적으로 굴착하여 갱구부 절취면적을 배제 또는 최소화하여 갱구부 토공을 발생시키지 않아 갱구부 안정성, 시공성, 공기단축 및 경제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ETPM 공법은 도 1을 참조하면,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에 노출되지 않고 매립되도록 터널 갱구부 지반조건을 고려한 계획심도까지 터널 굴착선 외부에 직천공으로 미니 파이프루프(미도시)를 시공하고, 상기 미니 파이프루프의 하부로 터널 갱구부를 굴착하여 형성된 터널 갱구부 굴착영역에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 보강용 고강도 강지보를 설치하여 공사용 갱문 강지보(10)가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을 걸쳐 일부 노출되도록 시공하고,
본선터널(20)을 굴착하여 지보재를 설치하고,
상기 일부 노출된 상부 공사용갱문 강지보(12)만을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 경사에 맞추어 철거하고,
본선터널(20) 콘크리트 라이닝을 시공하고, 갱구부(30)를 시공하는 순서로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부 공사용갱문 강지보(12)만을 철거하여 하부 공사용갱문 강지보(12)은 영구 설치되도록 하여, 결국 개착터널의 위치를 터널 내측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공사용 갱문 강지보(10)는 철골부재를 가공하여 아치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에 현장에서 공사용 갱문 강지보 상부(12)만을 철거하는 수단으로서 용접봉을 이용하여 철골 부재를 커팅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실제 이러한 용접작업은 작업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82921호(발명의 명칭: 원형강관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장치, 공개일자: 2008년06월24일)
이에 본 발명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의 상부를 원하는 시점에 간단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연결부위 보강도 가능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로부터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를 철거하기 위하여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로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인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양 복부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양 복부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공관 부재인 슬라이딩 연결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가 연결위치에 세팅된 상태에서, 일측 슬라이딩 연결부재와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복부 및 타측 슬라이딩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를 연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슬라이딩 연결부재와 함께 분리하여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를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양 복부 사이를 경유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복부 내측에 슬라이딩 연결부재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부착된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수단은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상부플랜지 저면과 하부플랜지의 상면에 슬라이딩 연결부재가 복부에 접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내측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 가이드수단; 및 슬라이딩 연결부재가 인접한 복부에 경유하여 걸쳐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저면과 상면의 종방향 가이드수단 타측 주위에 형성된 횡방향 가이드수단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를 터널 갱구부 굴착영역에 설치한 후, 상부만을 간단하게 철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공기도 단축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친환경 터널 갱구부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를 철거하기 전에는 상부 및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의 연결성능을 확보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는 연결부위 보강이 가능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한 환경 터널 갱구부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친환경 터널 갱구부 시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를 이용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시공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는 하부 및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A2)를 서로 연결 및 해체하기 위한 장치로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를 연결성능을 확보하면서 신속하게 연결상태를 해체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 A1,A2)는 통상 H형 단면의 철골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서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면이 부족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연결단면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해체도 용이하며, 연결부위 보강도 가능한 연결부재를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연결부재는 재활용도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슬라이딩 연결부재(110), 가이드수단(120), 체결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먼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중공관 부재(111)로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인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양 복부(220)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양 복부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중공관부재(111)이기 때문에 무게가 크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며 서로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양 복부(220) 사이를 경유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연결부위(C) 강성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어 돌출되어 있지도 않기 때문에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는 관통홀(112)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체결수단(130)에 의하여 서로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를 서로 체결수단(130)을 이용하여 연결시킨 후, 체결수단(130)을 분리하여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는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 복부 사이를 경유하여 슬라이딩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이에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복부에는 가이드수단(120)을 형성시키고, 가이드수단(120)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수단(12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를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양 복부 사이를 경유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철근등을 이용하여 복부(220) 내측에 슬라이딩 연결부재(110)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용접등의 방법으로 부착시킨 것이다.
이에 가이드수단(120)을 따라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는 안정적으로 이동 및 위치 세팅이 가능하게 된다.
도 2a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수단(120)은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상부플랜지(210) 저면과 하부플랜지(230)의 상면에 슬라이딩 연결부재(110)가 복부(220)에 접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내측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 가이드수단(121)이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종방향 가이드수단(121)은 일측은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단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세팅되고, 타측은 자연스럽게 내측 후방에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연결부재(110)가 인접한 복부(220)에 경유하여 걸쳐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210), 하부플랜지(220) 저면과 상면의 종방향 가이드수단(121) 타측 주위에 횡방향 가이드수단(122)이 형성되어 있어 종방향 가이드수단(121)과 함께 슬라이딩 연결부재(11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면서 연결위치에 세팅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수단(13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슬라이딩 연결부재(110)가 연결위치에 세팅된 상태에서, 일측 슬라이딩 연결부재(110)와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복부(220) 및 타측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를 관통하여 결국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를 연결시키고, 분리하여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수단으로 앵커볼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정착너트를 이용하면 되고, 회전에 의하여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130)을 이용하게 되면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를 서로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를 이용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A1,A2)]
도 3은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를 이용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 A1,A2) 시공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A1,A2)는 갱문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갱문의 형태 즉 아치형상으로 제작되어 터널 갱구부 굴착영역(D)에 하부가 고정되도록 시공된다.
이에 터널 갱구부 굴착영역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는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에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가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결국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연결부재(110)가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 복부 사이를 경유하도록 가이드수단(120)을 따라 이동시킨 후, 체결수단(130)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상태이며, 이로서 연결부위를 보강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이에 체결수단(130)을 분리하여 슬라이딩 연결부재(110)가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의 복부에 이동되도록 하여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로부터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를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시공방법]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시공방법은 종래 친환경 터널 갱구부 공법으로서 ETPM 공법(Eco-friendly Tunnel Portal Mini-piperoof)에 있어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A1,A2)를 시공한 후,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를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를 이용하여 분리시키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도 4a와 같이, 터널 선형 및 터널규모를 고려하여 터널 갱구부 위치를 선정하고, 터널 굴착면적에 대응하는 식생 벌개제근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식생 벌개제근 영역에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에 노출되지 않고 매립되도록 터널 갱구부 지반조건을 고려한 계획심도까지 터널 굴착선 외부에 직천공으로 미니 파이프루프(310)를 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미니 파이프루프(310)의 하부로 터널 갱구부를 굴착하여 터널 갱구부 굴착영역(D)을 형성시키고, 터널 갱구부 굴착영역에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 보강용 하부 및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A2)를 설치하여 공사용 갱문이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을 걸쳐 일부 노출되도록 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연속적으로 단계별 본선터널(320)을 굴착하고, 지보재를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상기 일부 노출된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으로부터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만을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 경사에 맞추어 철거하게 된다.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연결부재(110), 가이드수단(120), 체결수단(130)을 포함하는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를 이용함은 살펴본 바와 같다.
즉, 도 3과 같이,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를 이용하여 하부 및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A2)를 서로 연결시킬 경우에는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를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복부 상이를 경유하도록 이동시켜 가이드수단(120)을 이용하여 연결부위에 세팅시켜, 연결부위 보강이 가능하도록 하고, 체결수단(130)을 이용하여 체결수단이 양 슬라이딩 연결부재(110)와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복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연결부재(110)에 의하여 하부 및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A2)를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하부 및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A2)의 철거는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로부터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이는 체결수단(130)을 분리하고,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를 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쪽으로 이동시켜 함께 분리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이에 도 4c와 같이 상기 본선터널 콘크리트 라이닝(190)을 타설하고,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가 철거된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에 사용 갱문에 개착터널 및 갱문(T1)을 형성시키고 되메움재를 포설하연 터널(T)을 완성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110: 슬라이딩 연결부재
111: 중공관부재
112: 관통홀
120: 가이드수단
121: 종방향 가이드수단
122: 횡방향 가이드수단
130: 체결수단
200: H형단면의 철골부재
210: 상부플랜지
220: 복부
230: 하부플랜지
A: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A1: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A2: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Claims (4)

  1.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로부터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를 철거하기 위하여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로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인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양 복부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양 복부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공관 부재인 슬라이딩 연결부재(110);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가 연결위치에 세팅된 상태에서, 일측 슬라이딩 연결부재와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복부 및 타측 슬라이딩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를 연결시키는 체결수단(130);을 포함하여,
    상기 체결수단(130)을 슬라이딩 연결부재와 함께 분리하여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를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양 복부 사이를 경유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복부(220) 내측에 슬라이딩 연결부재(110)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부착된 가이드수단(120)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수단(120)은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상부플랜지(210) 저면과 하부플랜지(230)의 상면에 슬라이딩 연결부재(110)가 복부(220)에 접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내측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 가이드수단(121); 및 슬라이딩 연결부재(110)가 인접한 복부(220)에 경유하여 걸쳐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210), 하부플랜지(220) 저면과 상면의 종방향 가이드수단(121) 타측 주위에 형성된 횡방향 가이드수단(122)을 포함하는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2. 삭제
  3. (a) 계획심도까지 터널 굴착선 외부에 직천공으로 미니 파이프루프(310)를 시공하고, 상기 미니 파이프루프의 하부로 터널 갱구부를 굴착하여 터널 갱구부 굴착영역(D)을 형성시키고, 상기 터널 갱구부 굴착영역에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 보강용 하부 및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A2)를 설치하여 공사용 갱문이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을 걸쳐 일부 노출되도록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일부 노출된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으로부터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만을 터널 갱구부 자연사면 경사에 맞추어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를 이용하여 철거하는 단계; 및
    (c)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가 철거된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에 사용 갱문에 개착터널 및 갱문(T1)을 형성시키고 되메움재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는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인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양 복부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양 복부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공관 부재인 슬라이딩 연결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재가 연결위치에 세팅된 상태에서, 일측 슬라이딩 연결부재와 H형단면의 철골부재의 복부 및 타측 슬라이딩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를 연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체결수단을 슬라이딩 연결부재와 함께 분리하여 인접한 H형단면의 철골부재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를 이용한 하부 및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A2)의 연결은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를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복부 상이를 경유하도록 이동시켜 가이드수단(120)을 이용하여 연결부위에 세팅시켜, 연결부위 보강이 가능하도록 하고, 체결수단(130)을 이용하여 체결수단이 양 슬라이딩 연결부재(110)와 H형단면의 철골부재(200)의 복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연결부재(110)에 의하여 하부 및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A2)를 서로 연결시키고,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100)를 이용한 하부 및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A2)의 철거는 하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1)로부터 상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이는 체결수단(130)을 분리하고, 슬라이딩 연결부재(110)를 부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A2)쪽으로 이동시켜 함께 분리하는 것으로 진행하는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시공방법.
KR1020190058127A 2019-05-17 2019-05-17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3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127A KR102231331B1 (ko) 2019-05-17 2019-05-17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127A KR102231331B1 (ko) 2019-05-17 2019-05-17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128A KR20200133128A (ko) 2020-11-26
KR102231331B1 true KR102231331B1 (ko) 2021-03-25

Family

ID=7367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127A KR102231331B1 (ko) 2019-05-17 2019-05-17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5322A (zh) * 2021-11-22 2022-03-04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大变形隧道防钢架扭曲的加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27B1 (ko) * 2012-10-16 2013-01-09 경서중공업(주)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KR101720114B1 (ko) * 2016-11-08 2017-03-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rp 곡면패널 연결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곡면패널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921B1 (ko) 2006-12-19 2013-07-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원형강관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27B1 (ko) * 2012-10-16 2013-01-09 경서중공업(주)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KR101720114B1 (ko) * 2016-11-08 2017-03-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rp 곡면패널 연결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곡면패널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128A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173B1 (ko) 가이드 형강을 이용한 함체 추진공법
KR102231331B1 (ko)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17096063A (ja) 山留掘削工法及び躯体構築方法
KR101255515B1 (ko) 비개착 타입 터널 시공 방법
JP2017137688A (ja) 山留め工法及び支保工システム
KR102362257B1 (ko)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KR101479267B1 (ko) 터널 벽체를 선시공한 후 터널 내부를 굴착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102184900B1 (ko) 원형강관을 이용한 가설 흙막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21181751A (ja) コンクリート函体もしくはオープンシールド機の発進反力構造および方法
JP6971866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と支保工の仮設構造
KR101967167B1 (ko) 비개착식 터널의 시공방법
KR101978766B1 (ko)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JP6619710B2 (ja) トンネルの拡幅方法、及び、トンネルの補強装置
JP2012046951A (ja) 拡張部分を有する大断面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1304659B1 (ko) 비개착 지하구조물의 수직 기둥 시공 방법
JP4485373B2 (ja) トンネルの分合流部の構築方法
JP2017119953A (ja) 逆打ち工法を用いた建築方法
KR101877436B1 (ko) 원지반 절취 없는 터널 시공방법
JP6620122B2 (ja) 刃口推進工法に用いる方向修正機構
JP7004581B2 (ja) パイプルーフと到達側トンネル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5684416B2 (ja) パイプルーフの接続構造
JP7422102B2 (ja) 鋼製支保工の脚部補強構造
JP5167578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工法
JP5037997B2 (ja) 先行切梁工法及び先行切梁接合構造
KR102122594B1 (ko) 패널형 지중 압입 터널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