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127B1 -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127B1
KR101216127B1 KR1020120114522A KR20120114522A KR101216127B1 KR 101216127 B1 KR101216127 B1 KR 101216127B1 KR 1020120114522 A KR1020120114522 A KR 1020120114522A KR 20120114522 A KR20120114522 A KR 20120114522A KR 101216127 B1 KR101216127 B1 KR 101216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itting assembly
connecting member
shaped flang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박영길
추우일
Original Assignee
경서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서중공업(주) filed Critical 경서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2011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9Hooks, dovetails or other interlocking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철골조 구조물의 기둥부재와 보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끼움조립체를 기둥부재에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먼저 설치하고, 상기 끼움조립체에 보를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기둥부재에 보를 연결시키게 된다. 즉, 상기 끼움조립체에 의하여 기둥부재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체결방식으로 기둥부재와 보를 서로 연결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Description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CONNECTION METHOD OF COLUMN AND BEAM FOR STEEL STRUCTURE USING INSERTING CONN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철골조 구조물의 기둥부재와 보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철골조 구조물의 기둥부재(10)에 빔(20)이 연결된 부위의 연결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기둥부재(10)에는 보(20)가 수평으로 연결되는데 가장 통상적인 방법은 기둥부재(10)와 보(20)가 H형 철골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위를 용접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이다.
즉, 기둥부재(10)와 보(20)의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들을 서로 용접에 의하여 연결시키되 특히 복부들에는 연결판(30,덧댐판, 스플라이스)을 더 설치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키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다.
또한 기둥부재(10)의 플랜지에 H형 철골로 제작된 플랜지 연결부(40)를 미리 형성시키고, 이러한 플랜지 연결부(40)도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포함하는 H형 철골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역시 H형 철골로 제작된 보(20)를 플랜지 연결부(40)와 연결판(30)을 이용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키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다.
도 1b 및 도 1c는 특히 도 1a에 있어 용접에 의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부위에 발생하는 결함을 도시한 것인데,
도 1b에 의하면 기둥부재(10)와 보(20)의 용접된 연결부위가 결함(바닥판 등의 하중이 작용)에 의하여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으며, 실제 도 1c에 의하면 기둥부재와 보의 용접된 연결부위가 서로 벌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종래 기둥부재(10)와 보(20)의 연결부위는 용접이나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킴에 있어서 기둥부재(10)와 보(20)를 강결만 시키다 보니 하중이 작용할 때 하중에 의한 기둥부재(10)와 보(20)의 변형을 허락하지 않아서 기둥부재(10)와 보(20)의 연결부위에 하자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포함하는 H형 철골을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의 기둥부재와 보를 서로 연결시킴에 있어서 시공성, 작업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부위의 변형을 허락하여 하중에 의한 연결부위 변형을 흡수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끼움조립체를 기둥부재에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먼저 설치하고, 상기 끼움조립체에 보를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기둥부재에 보를 연결시키게 된다. 즉, 상기 끼움조립체에 의하여 기둥부재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체결방식으로 기둥부재와 보를 서로 간단하게 연결시키는 방식을 취한 것이다.
둘째, 상기 끼움조립체는 기둥부재에 보의 상부,하부플랜지 및 복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 복부 끼움조립체 및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로 구분하여 제공되도록 하고 각각의 끼움조립체는 기둥부재의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설치 되도록 하였다. 이로서 끼움조립체의 설치도 간단한 작업으로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셋째, 상기 각각의 끼움조립체는 기둥부재의 플랜지에 체결되어 설치되도록 하되 작용하중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부위가 강결만 되어 있어 하자가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끼움조립체는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부위에 있어 하중에 의한 끼움조립체의 변형을 허락(변형효과)하여 서로의 구속효과(강결효과)가 있으면서도 종래 연결부위의 변형에 의한 하자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둥부재와 보를 서로 연결시킴에 있어 현장에서 용접작업이 필요 없어 용접에 의한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을 이용하므로 작업성 및 시공성이 증진되어 보다 효과적인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 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종래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 하자도 및 하자발생사진.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의 사시도 및 작용개념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들과 기둥부재와의 설치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시공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100,200,300) ]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를 각각 도시하고, 끼움조립체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변형을 허락하는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는 도 3c와 같이 기둥부재(10)에 보(20)를 연결시키기 위해 기둥부재(10)의 플랜지(11)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먼저 기둥부재(10)에 설치되도록 하되, 기둥부재(10)에 설치된 끼움조립체에 보(2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때 상기 보(20)는 상부플랜지(21), 복부(22) 및 하부플랜지(23)를 포함하는 H형 철골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게 되므로 상부플랜지(21), 복부(22) 및 하부플랜지(23)를 각각 기둥부재(10)의 플랜지(11)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 복부 끼움조립체(200) 및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로 구분하여 준비된다.
이에 먼저 도 2a는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를 도시한 것인데 2개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서로 이격된 2개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는 자 형태의 보 연결부재(120)에 의하여 서로 구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들은 개방된 내측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시키고 각각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일측 내측면(A) 사이에 자 형태의 보 연결부재(120)를 구성하는 수직연결부재(121)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양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수직연결부재(121)의 상부에는 수평연결부재(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도 3a와 같이 보(20)의 하부플랜지(23)의 저면이 수평연결부재(122)의 상면이 서로 접하여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수직연결부재(121)는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일측 내측면(A)에만 접하도록 배치되어 수직연결부재(121)와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타 내측면(B)는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와 수직연결부재(121)는 각각을 관통하는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수평연결부재(122)에도 역시 보(20)와의 연결을 위한 관통홀(130)이 각각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는 복부 끼움조립체(200)를 도시한 것인데 한 쌍의 복부 끼움조립체(200)가 준비된다.
즉, 2개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서로 이격된 2개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는 각각의 자 형태의 보 연결부재(22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들은 개방된 내측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시키고 각각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일측 내측면(A)에 보 연결부재(220)의 수직연결부재(221)가 고정 설치 되도록 하고 수직연결부재(121)에는 보수직연결부재(222)가 일체로 형성되어 도 3b와 같이 보(20)의 복부(22)의 양 측면이 접하면서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역시 상기 수직연결부재(221)는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일 내측면(A)에만 접하도록 배치되어 수직연결부재(221)와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타 내측면(B)는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와 수직연결부재(221)는 각각을 관통하는 관통홀(23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면 상기 보수직연결부재(222)에도 역시 보와의 연결을 위한 관통홀(230)이 각각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는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를 도시한 것인데 역시 2개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서로 이격된 2개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는 각각의 자 형태의 보 연결부재(32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는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와 동일한 것으로서 상하 뒤집어 기둥부재(10)에 설치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구성 자체는 동일하다.
이에 역시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들은 개방된 내측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시키고 각각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의 일측 내측면 사이에 자 형태의 보 연결부재(320)의 수직연결부재(321)가 삽입되어 양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를 서로 고정 연결되도록 하고 수직연결부재(321)의 하부에는 수평연결부재(322)가 일체로 형성되어 도 3c와 같이 보(20)의 상부플랜지(21)의 상면이 접하면서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역시 상기 수직연결부재(231)는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의 일 내측면(A)에만 접하도록 배치되어 수직연결부재(331)와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의 타 내측면(B)는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와 수직연결부재(321)는 각각을 관통하는 관통홀(33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면 상기 수평연결재(322)에도 역시 보(20)와의 연결을 위한 관통홀(330)이 각각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d는 특히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가 하중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복부 끼움조립체(200) 1개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예컨대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이 복부 끼움조립체(200)의 상부 및 하부에 작용하게 되면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가 인장응력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쪼그라들면서 변형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항복 인장강도 또는 항복 압축강도에 인장응력, 압축응력이 도달할 때 까지는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가 변형되면서 상기 작용하중을 복부 끼움조립체(200)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앞서 살펴본 상부 및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310)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하게 결국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들(100,200,300)은 작용하중에 의한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100,200,300)와 기둥부재(10)의 설치 ]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100,200,300)들과 기둥부재(10)의 설치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a에 의하면 기둥부재(10)에 상기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기둥부재(10)는 H형 철골로서 역시 양 플랜지(11)와 복부(12)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측 플랜지(11)에 상기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가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설치는 볼트와 너트(미도시)를 이용한 체결방식이 되며 이를 위해 기둥부재(10)에는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의 관통홀(130)들에 대응하는 관통홀(13)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가 작용 하중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기능을 그대로 가지도록 설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에 기둥부재(10)의 플랜지(11)에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를 조금 벌리면서 끼워지도록 하고 관통홀들(130,13)이 서로 연통되도록 세팅하되 보 연결부재(120)의 수직연결판(121)이 플랜지 외측표면(C)에 접하도록 세팅시키게 된다.
이에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타 내측면(B)에는 플랜지 내측표면(D)이 접하지 않아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타 내측면(B)와 플랜지 내측표면(D)의 이격공간에 의하여 상기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b에 의하면 기둥부재(10)에 상기 복부 끼움조립체(20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기둥부재(10)는 H형 철골로서 역시 양 플랜지(11)와 복부(12)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측 플랜지(11)에 상기 복부 끼움조립체(200)가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설치 역시 볼트와 너트(미도시)를 이용한 체결방식이 되며 이를 위해 기둥부재(10)에는 복부 끼움조립체(200)의 관통홀(230)들에 대응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함은 동일하다.
역시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복부 끼움조립체(200)가 작용 하중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기능을 그대로 가지도록 역시 기둥부재(10)의 플랜지(11)에 한 쌍의 복부 끼움조립체(200)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 각각을 조금 벌리면서 끼워지도록 하고 관통홀들(230,13)이 서로 연통되도록 세팅하되 보 연결부재(120)의 수직연결판(221)이 플랜지 외측표면(C)에 접하도록 세팅시키게 된다.
이에 역시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타 내측면(B)에는 플랜지 내측표면(D)이 접하지 않아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타 내측면(B)와 플랜지 내측표면(D)의 이격공간에 의하여 상기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c에 의하면 기둥부재(10)에 상기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기둥부재(10)는 H형 철골로서 역시 양 플랜지(11)와 복부(12)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측 플랜지(11)에 상기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가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설치 역시 볼트와 너트(미도시)를 이용한 체결방식이 되며 이를 위해 기둥부재(10)에는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의 관통홀(330)들에 대응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함은 동일하다.
역시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가 작용 하중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기능을 그대로 가지도록 설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에 기둥부재(10)의 플랜지(11)에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를 조금 벌리면서 끼워지도록 하고 관통홀들(330,13)이 서로 연통되도록 세팅하되 보 연결부재(320)의 수직연결판(321)이 플랜지 외측표면(C)에 접하도록 세팅시키게 된다.
이에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의 타 내측면(B)에는 플랜지 내측표면(D)이 접하지 않아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의 타 내측면(B)와 플랜지 내측표면(D)의 이격공간에 의하여 상기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100,200,300)를 이용한 기둥부재(10)와 보(20)의 연결방법]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끼움조립체(100,200,300)를 이용한 기둥부재(10)와 보(20)의 연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a와 같이 관통홀(13)이 다수 형성된 기둥부재(10)에 보(20)가 연결될 부위에 보강재(스티프너)를 설치하고, 보(20)의 하부플랜지(23)가 연결될 부위에 앞서 살펴본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를 설치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의 양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를 조금 벌려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면 된다.
이에 상기 기둥부재(10)의 관통홀(13)과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의 양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관통홀(130)이 연통되도록 세팅한 다음 미 도시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를 체결시켜 연결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보(20)를 상기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에 먼저 설치하게 된다.
즉 보(20)의 하부플랜지(23)에는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의 관통홀(123)에 대응하는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통홀들(123,24)이 연통되도록 세팅한 다음 역시 미도시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를 체결시켜 연결 설치하게 된다.
이에 간단하게 보(20)를 기둥부재(10)에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앞서 살펴본 복부 끼움조립체(200)와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를 이용하여 보(20)의 복부(22) 및 상부플랜지(21)와 기둥부재(10)를 서로 연결 설치하게 된다.
즉, 도 4b 및 도 3b와 같이,
한 쌍의 복부 끼움조립체(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들을 벌려서 기둥부재(10)의 플랜지(11)에 복부 끼움조립체(200)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하고, 기둥부재(10)에 연결 설치된 복부 끼움조립체(200)의 보수직연결부재(222)과 보(20)의 복부(22)에 형성된 관통홀들이 연통되도록 한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를 체결시켜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나아가 도 4b 및 도 3c와 같이 보(20)의 상부플랜지(23)에도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를 구성하는 보 연결부재(320)의 수평연결부재(322)에 형성된 관통홀(323)에 대응하는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통홀들(323,14)이 연통되도록 세팅한 다음 역시 미도시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를 체결시켜 연결 설치하게 된다.
이에 간단하게 보(20)를 기둥부재(10)에 끼움조립체(100,200,300)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도시 하였지만, 기둥부재에 보(20)를 끼움조립체(100,200,300)를 이용하여 설치한 후에는 보(20) 상부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둥부재
11: 플랜지
12: 복부
13: 관통홀
20: 보
21.22.23: 상부플랜지, 복부, 하부플랜지
100: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
110: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
120: 보 연결부재
130: 관통홀
200: 복부 끼움조립체
210: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
220: 보 연결부재
230: 관통홀
300: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
310: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
320: 보 연결부재
330: 관통홀

Claims (5)

  1. 기둥부재(10)에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 및 보 연결부재(120)를 포함하는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를 먼저 설치하고, 상기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에 보(20)의 하부플랜지(23)를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보(20)의 복부(22)와 상부플랜지(21)를 각각 기둥부재(10)의 플랜지(11)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는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 및 수직연결부재(121)와 수평연결부재(122)를 포함하는 자 형태의 보 연결부재(1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개방된 내측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되어 각각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일측 내측면(A) 사이에 수직연결부재(121)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양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연결부재(121)의 상부에는 수평연결부재(1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연결부재(121)가 기둥부재의 플랜지(11) 외측표면(C)에 접하도록 함과 더불어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타 내측면(B)에는 플랜지(11) 내측표면(D)이 접하지 않아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의 타 내측면(B)와 플랜지 내측표면(D)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작용하중에 의하여 상기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가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20)의 복부(22)와 기둥부재(10)의 플랜지(11)의 연결을 복부 끼움조립체(200)를 이용하되 상기 복부 끼움조립체(200)는
    한 쌍의 복부 끼움조립체로 이루어지며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 및 수직연결부재(221)와 보수직연결부재(222)를 포함하는 자 형태의 보 연결부재(2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개방된 내측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시키고 각각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일측 내측면(A)에 보 연결부재(220)의 수직연결부재(221)가 고정 설치 되도록 하고 수직연결부재(121)에는 보수직연결부재(2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연결부재(221)는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일 내측면(A)에만 접하도록 배치되어 수직연결부재(221)와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타 내측면(B)는 서로 접하지 않아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210)의 타 내측면(B)와 플랜지 내측표면(D)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작용하중에 의하여 상기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110)가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20)의 상부플랜지(21)와 기둥부재(10)의 플랜지(11)의 연결은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를 이용하되,
    상기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는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 및 수직연결부재(321)와 수평연결부재(322)를 포함하는 자 형태의 보 연결부재(3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는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 및 수직연결부재(321)와 수평연결부재(322)를 포함하는 자 형태의 보 연결부재(3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의 개방된 내측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되어 각각의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의 일측 내측면(A) 사이에 수직연결부재(321)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양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연결부재(321)의 상부에는 수평연결부재(3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연결부재(321)가 기둥부재의 플랜지(11) 외측표면(C)에 접하도록 함과 더불어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의 타 내측면(B)에는 플랜지(11) 내측표면(D)이 접하지 않아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의 타 내측면(B)와 플랜지 내측표면(D)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작용하중에 의하여 상기 U형의 플랜지연결부재(310)가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0)와
    상부플랜지 끼움조립체(300), 복부 끼움조립체(200) 및 하부플랜지 끼움조립체(100)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0)와 보(10)는 플랜지들과 플랜지들 사이에 형성된 복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H형 철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KR1020120114522A 2012-10-16 2012-10-16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KR101216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22A KR101216127B1 (ko) 2012-10-16 2012-10-16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22A KR101216127B1 (ko) 2012-10-16 2012-10-16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127B1 true KR101216127B1 (ko) 2013-01-09

Family

ID=4784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522A KR101216127B1 (ko) 2012-10-16 2012-10-16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4168A (zh) * 2019-08-02 2019-11-15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钢梁固定结构
KR20200133128A (ko) * 2019-05-17 2020-11-26 (주)하경엔지니어링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768A (ja) * 1993-09-28 1995-04-25 Kajima Corp 鉄骨構造の柱とはり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金物
JPH07292785A (ja) * 1994-04-27 1995-11-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建築用連結金具
KR20030042699A (ko) * 2001-11-23 2003-06-02 이연주 건물 철골 구조물 조립 구조 및 이에 적합한 방법
KR20040096829A (ko) * 2004-09-22 2004-11-17 이현철 H형강을 이용한 철골 구조물 조립 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768A (ja) * 1993-09-28 1995-04-25 Kajima Corp 鉄骨構造の柱とはり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金物
JPH07292785A (ja) * 1994-04-27 1995-11-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建築用連結金具
KR20030042699A (ko) * 2001-11-23 2003-06-02 이연주 건물 철골 구조물 조립 구조 및 이에 적합한 방법
KR20040096829A (ko) * 2004-09-22 2004-11-17 이현철 H형강을 이용한 철골 구조물 조립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128A (ko) * 2019-05-17 2020-11-26 (주)하경엔지니어링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31331B1 (ko) * 2019-05-17 2021-03-25 (주)하경엔지니어링 터널공사용 갱문 강지보 철거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0454168A (zh) * 2019-08-02 2019-11-15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钢梁固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608B1 (ko)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KR101639918B1 (ko)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연결구조
KR101185974B1 (ko) 가새부재를 이용한 기둥부와 보의 연결부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KR101711614B1 (ko)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20100046685A (ko)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KR101920417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JP2013057207A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
KR101216127B1 (ko)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JP2014111864A (ja) 梁の補強部材および既存建物への間柱の設置構造
JP5967438B2 (ja) ブレース耐震補強構造
JP6669088B2 (ja) 鋼板耐震壁、耐震フレー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KR20110070424A (ko) 긴장장치를 구비하는 철골지붕시스템
JP6717636B2 (ja) 制振装置
JP6269242B2 (ja) 建物補強構造
JP2006299584A (ja) 耐震補強接合構造
JP5441630B2 (ja) Rcs造柱梁接合構造
JP6925114B2 (ja) 接続構造
JP6782922B2 (ja) ブレースユニット
JP5989597B2 (ja) 既設架構の免震化工事施工中の仮設耐震化構造及びその施工法
JP5938274B2 (ja) 耐震部材の取り付け方法、耐震部材
JP6713908B2 (ja) 耐震補強フレーム
JP6518446B2 (ja) 柱梁施工方法
JP2009035949A (ja) 構造物へのせん断パネル型ダンパー取付け構造
KR101693360B1 (ko) 철골구조물의 기둥과 보의 결합구조
KR101761277B1 (ko) 철골보 횡좌굴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좌굴 방지 철골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