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685A -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6685A KR20100046685A KR1020080105640A KR20080105640A KR20100046685A KR 20100046685 A KR20100046685 A KR 20100046685A KR 1020080105640 A KR1020080105640 A KR 1020080105640A KR 20080105640 A KR20080105640 A KR 20080105640A KR 20100046685 A KR20100046685 A KR 201000466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beams
- square steel
- pipe column
- squar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0000021715 photosynthesis, light harvesting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5—Load-supporting elements with reinforcement at the connection point other than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는, 각형 강관 기둥; 상기 각형 강관 기둥의 양 측면에 접합되어 각형 강관 기둥과 함께 건물을 지지하는 H형강 보; 및 상기 각형 강관 기둥과 상기 H형강 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지진 하중에 대하여 항복되면서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파괴를 방지하는 내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시공시 별도의 다이아프램을 각형 강관 기둥 내부에 부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 작업이 단순화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건물의 시공 후에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내진부재가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하중에 따른 변형을 흡수함과 아울러, 지진 하중에 대하여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에 우선하여 내진부재가 항복(소성변형)되면서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각형 강관 기둥, H형강 보, 하중, 항복, 슬릿
Description
본 발명은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형 강관 기둥의 양측에 설치되어 각형 강관 기둥과 함께 건물을 지지하는 H형강 보와 상기 각형 강관 기둥 사이에 내진부재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지진 하중에 대하여 상기 내진부재가 먼저 항복되면서 상기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각형 강관 기둥(2)에 H형강 보(4)를 접합하는 경우, 우선 상기 각형 강관 기둥(2)의 상,하부를 절단하고, 비틀림에 대한 저항 부여를 위해 격벽인 다이아프램(6)을 상기 절단면에 용접한 후, 상기 다이아프램(6) 의 외측 둘레를 따라 H형강 보(4)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6)은 각형 강관 기둥(2)의 주변에 설치되어 각형 강관 기둥의 횡변위를 막게 되며, 각형 강관 기둥(2)의 국부적으로 응력을 받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국부좌굴(local buckling)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난 H형강 보(4)와 각형 강관 기둥(2)의 접합부 연결구조는 시공시 다이아프램(6)을 각형 강관 기둥(2) 내부에 부착하기 위하여 각형 강관 기둥(2)의 상,하부를 절단해야 하고, 다이아프램(6) 부착에 따른 고난도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용접 로보트와 같은 자동화 기계를 사용해야 하므로 시공 작업이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방식으로 건물의 시공 후에 지진(地震)이 발생하는 경우, 지진 하중에 의하여 각형 강관 기둥(2)이 먼저 파괴되는 위험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건물을 지지하는 주요 부재인 각형 강관 기둥(2)이 파괴되기 이전에 상기 서브(sub) 부재인 H형강 보(4)가 먼저 항복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시공시 별도의 다이아프램 사용이 불필요함으로써, 시공 작업이 단순화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진부재가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하중에 따른 변형을 흡수함과 아울러, 지진의 발생에 따른 지진 하중에 대하여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에 우선하여 내진부재가 항복(소성변형)되면서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형 강관 기둥; 상기 각형 강관 기둥의 양 측면에 접합되어 각형 강관 기둥과 함께 건물을 지지하는 H형강 보; 및 상기 각형 강관 기둥과 상기 H형강 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지진 하중에 대하여 항복되면서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파괴를 방지하는 내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H형강 보는, 상,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진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각형 강관 부재에 부착되는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타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H형강 보를 받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내면에는, 수평 플레이트의 변형에 따른 변형 에너지를 흡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각형 강관 기둥과 상기 H형강 보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H형강 보의 상,하부측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시공시 별도의 다이아프램을 각형 강관 기둥 내부에 부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 작업이 단순화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둘째, 건물의 시공 후에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내진부재가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하중에 따른 변형을 흡수함과 아울러, 지진 하중에 대하여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에 우선하여 내진부재가 항복(소성변형)되면서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 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에 있어서의 내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는 크게, 각형 강관 기둥과, 상기 각형 강관 기둥의 양 측면에 접합되어 각형 강관 기둥과 함께 건물을 지지하는 H형강 보와, 상기 각형 강관 기둥과 상기 H형강 보 사이에 설치되어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파괴를 방지하는 내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형 강관 기둥(10)은 건물을 지지하는 메인(main) 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양 측면 중앙부에 사각 형태를 갖는 1쌍의 연결 플레이트(12)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상기 H형강 보(20)(22)는 상기 각형 강관 기둥(10)의 양측에 설치되어 각형 강관 기둥(10)과 함께 건물을 지지하는 서브(sub) 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일측 H형강 보(20)의 상,하측 플랜지(flange)(20b)(20c) 사이의 웨브(web)(20d)가 상 기 연결 플레이트(12) 사이에 삽입된 후, 연결 플레이트(12)와 상기 웨브(20d)를 관통하는 볼트(12a) 및 너트(미도시)에 의해 각형 강관 기둥(10)에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H형강 보(20)(22)는 사각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4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즉, H형강 보(20)(22)의 상,하부에 볼트공(20a)(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42)가 상기 연결부재(40)의 볼트공(40a)을 관통하여 H형강 보(20)(22)의 볼트공(20a)(22a)에 체결됨으로써, H형강 보(20)(22)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내진부재(30)는 상기 각형 강관 기둥(10)과 일측 H형강 보(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각형 강관 기둥(10)과 H형강 보(20)의 하중에 따른 변형을 흡수함과 아울러, 지진 하중에 대하여 각형 강관 기둥(10)과 H형강 보(20) 보다 우선 항복(소성변형)되면서 각형 강관 기둥(10)과 H형강 보(20)의 파괴를 방지하게 된다.
즉, 내진부재(30)는 사각 형태를 갖는 수직 플레이트(32)가 일측면을 통해 상기 각형 강관 부재(10)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32)의 타측면에서 직각 삼각형 형태를 갖는 수평 플레이트(34)가 1개 이상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H형강 보(20)를 받치게 되며, 도 3,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 플레이트(34)는 수직 플레이트(32)상에 등간격으로 3개 돌출된 것이 나타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플레이트(34)의 내면에는, 수평 플레이트의 변형에 따른 변형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서 사각 형상을 갖는 슬릿(slit)(34a)이 다수개 형성(본 발명에서는 4개)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볼트(36)가 일측 수직 플레이트(32)와, 각형 강관 기둥(10)을 관통하여 반대측 수직 플레이트(32)를 통해 너트(38)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부재인 상기 각형 강관 기둥(10)의 내력(耐力)이 서브 부재인 H형강 보(20)(22)의 내력보다 커야 하며, 상기 내진부재(30)의 내력은 각형 강관 기둥(10) 및 H형강 보(20)(22)의 내력보다 작아야 한다. 이것은 지진 하중의 발생시, 내진부재(30), H형강 보(20)(22), 각형 강관 기둥(10)의 순으로 항복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형 강관 기둥(10)과 일측 H형강 보(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H형강 보(20)의 상,하부측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동방지부재(50)는 사각 형상으로서, 각형 강관 기둥(10)과 일측 H형강 보(2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된 후, 볼트(52)가 일측 유동방지부재(50)와, 각형 강관 기둥(10)을 관통하여 반대측 유동방지부재(50)에 너트(54)결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을 지지하는 메인 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형 강관 기둥(10)의 양측에 각형 강관 기둥과 함께 건물을 지지하는 서브 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H형강 보(20)(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형 강관 기둥(10)과 일측 H형강 보(20) 사이에는 내진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나타난 방식으로 건물의 시공 후에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1차적으로 상기 내진부재(30)가 각형 강관 기둥(10)과 H형강 보(20)의 하중에 따른 변형을 흡수함과 아울러, 지진 하중에 대하여 각형 강관 기둥(10)과 H형강 보(20) 보다 내진부재(30)가 우선 항복(소성변형)되면서 각형 강관 기둥(10)과 H형강 보(20)의 파괴를 방지한다.
이후, 2차적으로 상기 H형강 보(20)가 각형 강관 기둥(10)보다 먼저 항복되면서 각형 강관 기둥(10)의 파괴를 방지하면서 지진 하중에 의하여 각형 강관 기둥(10)이 상기 H형강 보(20)나 내진부재(30) 보다 먼저 파괴되는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 플레이트(34)의 내면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34a)은 각형 강관 기둥(10)과 H형강 보(20)의 하중에 따른 변형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면서 수평 플레이트(34)의 자체 변형을 방지하고, 예기치 못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또한, 각형 강관 기둥(10)과 H형강 보(20)의 하중에 따른 변형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각형 강관 기둥(10)과 H형강 보(20) 사이에 설치된 유동방지부재(50)에 의해 상기 H형강 보(20)의 상,하부측 유동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에 있어서의 내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각형 강관 기둥 12 : 연결 플레이트
20,22 : H형강 보 30 : 내진부재
32 : 수직 플레이트 34 : 수평 플레이트
34a : 슬릿 40 : 연결부재
50 : 유동방지부재
Claims (5)
- 각형 강관 기둥;상기 각형 강관 기둥의 양 측면에 접합되어 각형 강관 기둥과 함께 건물을 지지하는 H형강 보; 및상기 각형 강관 기둥과 상기 H형강 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지진 하중에 대하여 항복되면서 각형 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파괴를 방지하는 내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H형강 보는,상,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내진부재는,일측면이 상기 각형 강관 부재에 부착되는 수직 플레이트와;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타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H형강 보를 받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내면에는,수평 플레이트의 변형에 따른 변형 에너지를 흡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각형 강관 기둥과 상기 H형강 보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H형강 보의 상,하부측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640A KR20100046685A (ko) | 2008-10-28 | 2008-10-28 |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640A KR20100046685A (ko) | 2008-10-28 | 2008-10-28 |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6685A true KR20100046685A (ko) | 2010-05-07 |
Family
ID=4227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5640A KR20100046685A (ko) | 2008-10-28 | 2008-10-28 |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46685A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10626A (zh) * | 2013-01-23 | 2014-01-15 | 同济大学 | 顶底角钢式h型钢梁与矩形管柱单边螺栓连接节点 |
KR101439744B1 (ko) * | 2013-02-22 | 2014-09-17 | 주식회사 포스코 |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물 |
CN104594671A (zh) * | 2015-01-29 | 2015-05-06 |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 高海拔、高烈度震区500kV变电站全装配式主控楼 |
KR20160001762A (ko) | 2014-06-26 | 2016-01-0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Pc거더와 pc빔 연결구조 |
CN106499056A (zh) * | 2016-11-30 | 2017-03-15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装配式钢结构住宅的钢柱结构 |
CN106522366A (zh) * | 2016-11-30 | 2017-03-22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钢柱与钢梁的连接结构 |
CN106759930A (zh) * | 2016-11-30 | 2017-05-31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钢支撑和预制外墙板连接方法 |
CN109208823A (zh) * | 2018-11-12 | 2019-01-15 | 安徽工程大学 | 一种可快速装配的内置钢箱式钢管混凝土柱及其生产工艺 |
CN109322394A (zh) * | 2018-12-11 | 2019-02-12 | 辰信重工(江苏)有限公司 | 一种钢结构柱与钢结构梁的连接结构 |
KR102032696B1 (ko) | 2019-02-07 | 2019-10-16 | (주)다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개량형 철골연결부를 가진 합성pc보와 합성pc기둥의 연결구조 |
KR102044719B1 (ko) | 2019-02-07 | 2019-11-14 | (주)다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합성pc보와 합성pc기둥의 연결구조 |
KR102044708B1 (ko) | 2019-02-07 | 2019-11-14 | (주)다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철골연결부를 가진 합성pc보와 합성pc기둥의 연결구조 |
KR102044713B1 (ko) | 2019-02-07 | 2019-11-14 | (주)다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개량형 합성pc보와 합성pc기둥의 연결구조 |
-
2008
- 2008-10-28 KR KR1020080105640A patent/KR2010004668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10626A (zh) * | 2013-01-23 | 2014-01-15 | 同济大学 | 顶底角钢式h型钢梁与矩形管柱单边螺栓连接节点 |
KR101439744B1 (ko) * | 2013-02-22 | 2014-09-17 | 주식회사 포스코 |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물 |
KR20160001762A (ko) | 2014-06-26 | 2016-01-0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Pc거더와 pc빔 연결구조 |
CN104594671A (zh) * | 2015-01-29 | 2015-05-06 |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 高海拔、高烈度震区500kV变电站全装配式主控楼 |
CN106759930A (zh) * | 2016-11-30 | 2017-05-31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钢支撑和预制外墙板连接方法 |
CN106522366A (zh) * | 2016-11-30 | 2017-03-22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钢柱与钢梁的连接结构 |
CN106499056A (zh) * | 2016-11-30 | 2017-03-15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装配式钢结构住宅的钢柱结构 |
CN109208823A (zh) * | 2018-11-12 | 2019-01-15 | 安徽工程大学 | 一种可快速装配的内置钢箱式钢管混凝土柱及其生产工艺 |
CN109208823B (zh) * | 2018-11-12 | 2024-03-08 | 安徽工程大学 | 一种可快速装配的内置钢箱式钢管混凝土柱及其生产工艺 |
CN109322394A (zh) * | 2018-12-11 | 2019-02-12 | 辰信重工(江苏)有限公司 | 一种钢结构柱与钢结构梁的连接结构 |
KR102032696B1 (ko) | 2019-02-07 | 2019-10-16 | (주)다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개량형 철골연결부를 가진 합성pc보와 합성pc기둥의 연결구조 |
KR102044719B1 (ko) | 2019-02-07 | 2019-11-14 | (주)다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합성pc보와 합성pc기둥의 연결구조 |
KR102044708B1 (ko) | 2019-02-07 | 2019-11-14 | (주)다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철골연결부를 가진 합성pc보와 합성pc기둥의 연결구조 |
KR102044713B1 (ko) | 2019-02-07 | 2019-11-14 | (주)다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개량형 합성pc보와 합성pc기둥의 연결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46685A (ko) |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 |
US20150267394A1 (en) | Gusset plate connection of beam to column | |
KR101548608B1 (ko) |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 |
KR101639918B1 (ko) |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연결구조 | |
JP5250977B2 (ja) | 木造住宅の躯体構造と接合金物 | |
KR101357775B1 (ko) |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 |
KR20110061841A (ko) |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188784B1 (ko) | 원형 브레이스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40085666A (ko) | 강관 기둥 연결 구조 | |
KR100516332B1 (ko) |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 |
JP4710067B2 (ja) | 柱梁接合構造 | |
KR102217178B1 (ko) | 보강강판 및 관통볼트를 사용한 충전형 합성 보-기둥의 무용접 접합 구조체 | |
KR20090121634A (ko) | H형강 보-각형 강관 기둥 접합부 연결구조 | |
KR101951095B1 (ko) | 학교 건축물 창호 개구부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 | |
JP6807657B2 (ja) | 柱梁接合部と梁との連結構造 | |
KR101226778B1 (ko) | 내진성능이 향상된 철골 보와 철골 기둥의 접합부 구조 | |
KR101299574B1 (ko) |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 |
KR20110070424A (ko) | 긴장장치를 구비하는 철골지붕시스템 | |
KR102138917B1 (ko) |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 |
KR101216127B1 (ko) | 끼움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부재와 보의 연결방법 | |
JP3215633U (ja) | ブレース取付構造 | |
KR20220093523A (ko) | 철근콘크리트 모멘트 골조의 내진 보강공법 | |
JP5490551B2 (ja) | システム建築用の柱梁接合部 | |
JP4411444B2 (ja) | 構造物へのせん断パネル型ダンパー取付け構造 | |
KR0128541Y1 (ko) | 접합부 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각형강관기둥과 에이치 형강보-기둥 접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