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841A -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841A
KR20110061841A KR1020090118356A KR20090118356A KR20110061841A KR 20110061841 A KR20110061841 A KR 20110061841A KR 1020090118356 A KR1020090118356 A KR 1020090118356A KR 20090118356 A KR20090118356 A KR 20090118356A KR 20110061841 A KR20110061841 A KR 2011006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ncrete
shaped
circular stee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모
송경철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841A/ko
Publication of KR2011006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4Connections between open and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7Beam to beam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78Profile filled with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원형강관, 원형강관의 외주면에 접합된 복수의 H형 브라켓 및 H형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면서 원형강관을 둘러싸는 복수의 원호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접합장치; 접합장치의 원형강관이 삽입되고 원호형 플레이트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접합장치와 접합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및 접합장치의 각 H형 브라켓에 접합되는 복수의 H형강 보를 포함하며, 원형강관 내부 및 원형강관과 H형 브라켓 그리고 원호형 플레이트로 둘러싸인 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가 제공된다.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 H형강 보, 접합장치, 원형강관, H형 브라켓, 원호형 플레이트

Description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Joint structure for concrete filled tube column and H-shaped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골구조 건물은 기둥, 보, 가새 등의 개별부재를 연결하고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개개의 부재가 아무리 튼튼하게 설계되었더라도 이들의 연결이 취약하게 되어 있으면 건물 전체가 안전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접합부는 연결되는 각 부재의 응력을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접합부를 어떻게 설계하고 시공하느냐에 따라 구조안전은 물론 구조체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기둥과 보의 접합은 강접합과 핀접합으로 나눌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강접합으로 한다. 핀접합인 경우 고력볼트를 사용하고 강접합인 경우에는 용접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접접합의 경우 보 플랜지의 응력에 의해서 기둥의 플레이트가 면외 변형할 수 있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가 접합되는 위치에 수평스티프너를 설치하여 보강해야 한다. 기둥 단면이 각형강관이나 원형강관일 때에는 보-기둥 접합부의 상세가 다소 복잡해지는데, 보강재(Diaphragm)의 형식에 따라 관통형 다이아프램 형식, 내부 다이아프램 형식 및 외부 다이아프램 형식이 있다.
콘크리트 충전 강관구조는 강관과 콘크리트의 상호작용에 의해 뛰어난 구조 성능으로 초고층 구조시스템에 적합한 구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H형강 보 접합에 대한 역학거동 규명과 시공의 어려움으로 여러 가지 접합형식에 대해서 연구중에 있다. 관통형 다이아프램 형식, 내부 다이아프램 형식은 고층건물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지진 및 풍하중이 작으므로 관통형 및 내부 다이아프램 접합형식을 그대로 적용시킬 경우 시공상에서 용접 및 콘크리트 충전성 등의 비효율적인 측면이 많다. 그리고 외부 다이아프램 형식의 제작·가공에 따른 비경제성 및 접합부 주변 외관의 복잡성 등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성이 좋고 접합부 주변 외관이 단순하며 접합부의 패널존에서의 전단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원형강관, 원형강관의 외주면에 접합된 복수의 H형 브라켓 및 H형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면서 원형강관을 둘러싸는 복수의 원호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접합장치; 접합장치의 원형강관이 삽입되고 원호형 플레이트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접합장치와 접합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및 접합장치의 각 H형 브라켓에 접합되는 복수의 H형강 보를 포함하며, 원형강관 내부 및 원형강관과 H형 브라켓 그리고 원호형 플레이트로 둘러싸인 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층 강관기둥의 상부에, 원형강관, 원형강관의 외주면에 접합된 복수의 H형 브라켓 및 H형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면서 원형강관을 둘러싸는 복수의 원호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접합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접합장치의 H형 브라켓에 H형강 보를 접합하고 상층 강관기둥을 접합장치에 접합하는 단계; 및 강관기둥 내부, 접합장치의 원형강관 내부 및 원형강관과 H형 브라켓 그리고 원호형 플레이트로 둘러싸인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보 접합부에 링 형태의 스티프너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구조로서 기둥-보 접합부의 패널존이 전단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둥-보 접합부에서 기둥 내부로 삽입된 콘크리트 충전 원형강관으로 기둥-보 접합부에 발생하는 지압파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며,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장치를 이용해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H형강 보를 접합하는 방법을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장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과 H형강 보(50)를 접합하는 것으로서, 원형강관(10), 원형강관(10)의 외주면에 접합된 4개의 H형 브라켓(20) 및 H형 브라켓(20)을 서로 연결하면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원형강관(10)을 둘러싸는 4개의 원호형 플레이트(Arc plate, 30)로 구성된다.
원형강관(10)은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 고 전체 길이는 브라켓에서 상하부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되는 길이(L)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의 직경(D)의 2배(2D) 이상이 된다. 그 이유는 원형강관(10)은 기둥-보 접합부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지배를 받는 부재이기 때문이다. 이 원형강관(10)은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 내부에서 삽입되어 접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H형 브라켓(20)은 H형강 보(50)를 접합하기 위해 원형강관(10)의 외주면에 용접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접합되는 H형강 보(50)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도 1에서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에 십자형으로 H형강 보(50)가 접합되는 경우, 즉 기둥(40)이 중앙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것으로 H형 브라켓(20)은 4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둥(40)에 접합되는 보(50)의 수에 따라 외곽기둥의 경우 3개 또는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원호형 플레이트(30)는 브라켓(20)을 서로 연결하면서 원형강관(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원형강관(10)을 둘러싸는 원호형 플레이트(30)의 직경은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때 접합장치의 원형강관(10), H형 브라켓(20) 및 원호형 플레이트(3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도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된다. 이를 위해 원호형 플레이트(30)의 양단부에는 H형 브라켓(20)의 상부 플랜지(21)와 하부 플랜지(22) 사이로 삽입되고 웨브(23)에 접하는 크기를 갖는 폐쇄단부(31)가 형성된다. 이 폐쇄단부(31)는 H형 브라켓(20)의 상부 플랜지(21)와 하부 플랜지(22)와 용접으로 접합되어 H형 브라켓(20)의 면외 변형을 방지하는 스티프너의 기능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장치를 이용해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H형강 보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합장치를 이용해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과 H형강 보(50)를 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면 계획에 따라 설치된 강관기둥에, 접합장치를 결합시킨다. 즉, 접합장치의 원형강관을 하층 강관기둥의 상부로 삽입하고 강관기둥과 원호형 플레이트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하층 강관기둥과 접합장치를 접합시킨다. 그 후 H형 브라켓()에 H형강 보를 접합시키고 상층 강관기둥을 접합장치와 결합시키고 하층 강관기둥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합장치와 용접으로 접합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강관기둥과 H형강 보를 접합장치를 이용해 접합시켜 골조를 완성한다. 그 후 상하층 강관기둥에 콘크리트를 충전한다. 이때, 접합장치의 원형강관(10) 내부에도 콘크리트가 충전되며, 접합장치의 원형강관(10)과 브라켓(20) 그리고 원호형 플레이트(30)로 둘러싸인 공간에도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충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과 H형강 보(50)의 접합부에서 기둥은 접합장치의 콘크리트가 충전된 원형강관(10)과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40)의 이중 충전 강관 구조가 되어 내력이 향상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장치를 이용해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H형강 보를 접합하는 방법을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장치를 이용해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H형강 보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원형강관
20: H형 브라켓
30: 원호형 플레이트
40: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50: H형강 보

Claims (2)

  1. 원형강관, 원형강관의 외주면에 접합된 복수의 H형 브라켓 및 H형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면서 원형강관을 둘러싸는 복수의 원호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접합장치;
    접합장치의 원형강관이 삽입되고 원호형 플레이트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접합장치와 접합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및
    접합장치의 각 H형 브라켓에 접합되는 복수의 H형강 보를 포함하며,
    원형강관 내부 및 원형강관과 H형 브라켓 그리고 원호형 플레이트로 둘러싸인 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2. 하층 강관기둥의 상부에, 원형강관, 원형강관의 외주면에 접합된 복수의 H형 브라켓 및 H형 브라켓을 서로 연결하면서 원형강관을 둘러싸는 복수의 원호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접합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접합장치의 H형 브라켓에 H형강 보를 접합하고 상층 강관기둥을 접합장치에 접합하는 단계; 및
    강관기둥 내부, 접합장치의 원형강관 내부 및 원형강관과 H형 브라켓 그리고 원호형 플레이트로 둘러싸인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20090118356A 2009-12-02 2009-12-02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KR20110061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356A KR20110061841A (ko) 2009-12-02 2009-12-02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356A KR20110061841A (ko) 2009-12-02 2009-12-02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841A true KR20110061841A (ko) 2011-06-10

Family

ID=4439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356A KR20110061841A (ko) 2009-12-02 2009-12-02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841A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5238A (zh) * 2011-12-28 2012-04-25 中建一局集团第二建筑有限公司 钢管混凝土叠合柱和框架梁的节点及其施工方法
CN102561528A (zh) * 2012-03-05 2012-07-11 河北联合大学 钢管混凝土连接器及其施工方法
CN102877549A (zh) * 2012-10-31 2013-01-16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钢管混凝土柱与钢梁的刚性连接节点
CN103526881A (zh) * 2012-07-04 2014-01-22 长江大学 一种内置钢骨的异形截面钢管混凝土组合柱
CN103556781A (zh) * 2013-10-31 2014-02-05 中国航空规划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装配式框架带钢牛腿长柱及其施工方法
KR101451167B1 (ko) * 2013-07-26 2014-10-1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결합체 및 그의 접합 방법
CN104895248A (zh) * 2015-05-06 2015-09-09 浙江东南网架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混凝土柱的柱顶连接节点及其灌浆方法
CN105239675A (zh) * 2015-10-29 2016-01-13 华南理工大学 一种钢管混凝土转换节点结构及其施工方法
CN107060213A (zh) * 2017-05-12 2017-08-18 长沙理工大学 一种在失效部位设置芯柱和可更换部件的钢筋混凝土柱
CN108222373A (zh) * 2017-12-05 2018-06-29 姚攀峰 一种加强型冷弯钢管混凝土柱及结构体系及施工方法
CN109322406A (zh) * 2018-10-30 2019-02-12 中国中元国际工程有限公司 一种巨型钢管混凝土斜柱与斜撑转换节点结构
CN109653438A (zh) * 2019-01-14 2019-04-19 皖西学院 一种安装有连接件的钢管混凝土柱
CN111255069A (zh) * 2020-01-22 2020-06-09 黄淮学院 一种具有减震作用的钢柱柱脚结构
CN113737966A (zh) * 2021-09-13 2021-12-03 浙江大学 一种装配式rcs莲藕梁柱连接节点及其应用
CN113832833A (zh) * 2021-08-26 2021-12-24 广州市公用事业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双壁空心墩柱与盖梁的连接节点及建造方法
CN115787852A (zh) * 2022-11-22 2023-03-14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十字形支撑柱的刚接节点连接结构及其系统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5238A (zh) * 2011-12-28 2012-04-25 中建一局集团第二建筑有限公司 钢管混凝土叠合柱和框架梁的节点及其施工方法
CN102425238B (zh) * 2011-12-28 2013-06-26 中建一局集团第二建筑有限公司 钢管混凝土叠合柱和框架梁的节点的施工方法
CN102561528A (zh) * 2012-03-05 2012-07-11 河北联合大学 钢管混凝土连接器及其施工方法
CN102561528B (zh) * 2012-03-05 2014-06-25 河北联合大学 钢管混凝土连接器及其施工方法
CN103526881A (zh) * 2012-07-04 2014-01-22 长江大学 一种内置钢骨的异形截面钢管混凝土组合柱
CN102877549A (zh) * 2012-10-31 2013-01-16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钢管混凝土柱与钢梁的刚性连接节点
KR101451167B1 (ko) * 2013-07-26 2014-10-1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결합체 및 그의 접합 방법
CN103556781A (zh) * 2013-10-31 2014-02-05 中国航空规划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装配式框架带钢牛腿长柱及其施工方法
CN103556781B (zh) * 2013-10-31 2015-09-02 中国航空规划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装配式框架带钢牛腿长柱及其施工方法
CN104895248A (zh) * 2015-05-06 2015-09-09 浙江东南网架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混凝土柱的柱顶连接节点及其灌浆方法
CN105239675B (zh) * 2015-10-29 2017-11-07 华南理工大学 一种钢管混凝土转换节点结构及其施工方法
CN105239675A (zh) * 2015-10-29 2016-01-13 华南理工大学 一种钢管混凝土转换节点结构及其施工方法
CN107060213B (zh) * 2017-05-12 2019-02-05 长沙理工大学 一种在失效部位设置芯柱和可更换部件的钢筋混凝土柱
CN107060213A (zh) * 2017-05-12 2017-08-18 长沙理工大学 一种在失效部位设置芯柱和可更换部件的钢筋混凝土柱
CN108222373B (zh) * 2017-12-05 2024-01-30 姚攀峰 一种加强型冷弯钢管混凝土柱及结构体系及施工方法
CN108222373A (zh) * 2017-12-05 2018-06-29 姚攀峰 一种加强型冷弯钢管混凝土柱及结构体系及施工方法
CN109322406A (zh) * 2018-10-30 2019-02-12 中国中元国际工程有限公司 一种巨型钢管混凝土斜柱与斜撑转换节点结构
CN109322406B (zh) * 2018-10-30 2024-04-26 中国中元国际工程有限公司 一种巨型钢管混凝土斜柱与斜撑转换节点结构
CN109653438A (zh) * 2019-01-14 2019-04-19 皖西学院 一种安装有连接件的钢管混凝土柱
CN111255069A (zh) * 2020-01-22 2020-06-09 黄淮学院 一种具有减震作用的钢柱柱脚结构
CN113832833B (zh) * 2021-08-26 2023-08-25 广州市城建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双壁空心墩柱与盖梁的连接节点及建造方法
CN113832833A (zh) * 2021-08-26 2021-12-24 广州市公用事业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双壁空心墩柱与盖梁的连接节点及建造方法
CN113737966A (zh) * 2021-09-13 2021-12-03 浙江大学 一种装配式rcs莲藕梁柱连接节点及其应用
CN115787852A (zh) * 2022-11-22 2023-03-14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十字形支撑柱的刚接节点连接结构及其系统
CN115787852B (zh) * 2022-11-22 2023-09-05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十字形支撑柱的刚接节点连接结构及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1841A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076581B1 (ko) 중공형 콘크리트 충전 이중 강관기둥과 에이치형강 보의 접합부 구조 및 시공방법
JP6781488B2 (ja) 組立式コンクリート充填円形鋼管複合節点
JP6518842B2 (ja) 組立式鋼管ケーシング鉄筋コンクリート複合ノード及び取付方法
KR102075165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JP5634627B1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混合構造骨組
KR20100046685A (ko)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KR102217178B1 (ko) 보강강판 및 관통볼트를 사용한 충전형 합성 보-기둥의 무용접 접합 구조체
JP6447777B2 (ja) 柱梁接合構造及び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柱
JP2020037774A (ja) 柱梁接合構造及びその柱梁接合構造を備えた建物
JP202000784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躯体とブレースとの接合構造
JP2014190040A (ja) ハイブリット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017800B1 (ko) 십자형 보강판을 이용한 냉간성형 각형강관 기둥의 강재보 접합부 구조
KR101299574B1 (ko)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KR101254983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JP2016151138A (ja)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6353647B2 (ja) 免震装置接合構造
JP6731225B2 (ja) 柱の接合構造
KR100578641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 기둥, 이를 이용한 복합 구조 시스템및, 이의 시공방법
JP6033574B2 (ja) 圧縮ブレースによる耐震補強構造
JP201608954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と鉄骨の柱又は鉄骨を備える柱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JP5490551B2 (ja) システム建築用の柱梁接合部
KR20210066225A (ko)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JP7211915B2 (ja) 耐震補強構造
JP6543137B2 (ja) 柱梁架構の耐震改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