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917B1 -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 Google Patents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917B1
KR102138917B1 KR1020180148939A KR20180148939A KR102138917B1 KR 102138917 B1 KR102138917 B1 KR 102138917B1 KR 1020180148939 A KR1020180148939 A KR 1020180148939A KR 20180148939 A KR20180148939 A KR 20180148939A KR 102138917 B1 KR102138917 B1 KR 10213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ismic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plat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829A (ko
Inventor
김영래
안상은
Original Assignee
(주)태평피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평피엔이 filed Critical (주)태평피엔이
Priority to KR102018014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9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을 위한 내진 보강 구조체를 건축구조물에 장착하는 데 있어, 지진으로 인해 상기 건축구조물에 발생되는 에너지를 1차적으로 소산 시키는 접합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내진 보강 구조체에 가해지는 에너지가 줄어들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각각 한 쌍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 보강수단을 장착하여 구조적인 보강을 할 수 있으며, 각각 한 쌍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상기 수평부재와 평행하게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보조보강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진 보강 구조체를 구조적으로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A EARTHQUAKE PROOF REINFORCEMENT STRUCTURE INSTALLED ON THE OUTSIDE OR INTERIOR FACE OF PILLARS AND BEAMS USING A STEEL FLAME}
본 발명은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내진을 위한 철골프레임을 건축구조물에 장착하는 데 있어, 지진으로 인해 상기 건축구조물에 발생되는 에너지를 1차적으로 소산시키기 위한 접합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 한 쌍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보강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 한 쌍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상기 수평부재와 평행하게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보조보강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1978년 계기관측 이후 1998년까지 연평균 19.2회, 디지털관측이 시작된 1999년부터 2015년까지는 연평균 47.6회가 발생하였으며, 경주지진이 발생한 2016년에는 총 263회가 발생하였다. 1978년 계기관측 이후 발생한 국내 초대 규모의 지진은 2016년 9월 경주지진으로 규모 5.8을 기록하였으며 구내 지진규모 순위 10건 중 2000년대 이후에 발생한 지진이 7건으로 최근 들어 대형지진 발생이 증가하고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국내 전체 건축물의 내진율은 6.8%로 매우 낮은 수준이며 학교건물의 내진율은 15.8%,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의 내진율도 33%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공공시설물 안전확보를 위해 2011년부터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기존 공공 건축물에 대한 내진보강 1단계 사업을 추진하여 왔으며, 2016년부터 2단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내진설계 의무대상이 아닌 민간소유 건축물에 대해서도 내진보강 또는 내진 설계 적용 시 지방세를 감면하는 인센티브제도가 시행되고 있어 국내 내진보강시장은 지속적인 확대가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과 관련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165320호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법"이 있고, 상기 선행기술은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창호가 설치되는 부위와 같이 지진에 취약한 개구부 피해를 줄이기 위한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이 개시되는데, 개구부의 철골프레임에 설치되는 댐퍼를 이용하지 않고 지진에 의한 수평력을 철근콘크리트 하부벽체에 매립된 철골프레임으로 저항하도록 하게 한다. 이로써 철골프레임 상단에 작용하는 수평력을 기준으로 수평력이 작용하는 팔 길이가 철근콘크리트 하부벽체에 의하여 짧아지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지진에 의한 수평력 저항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철골프레임의 구성 중 기둥에 연성력이 작용하도록 탄성단열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구성이 지진에 대한 저항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건축구조물에 발생하는 지진에 의한 에너지가 철골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철골프레임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철골과 한 쌍의 수직철골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조 보강을 위한 부재 없이 상호간 연결되어 있어 지진 에너지로 인해 구조물의 균열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진 발생시 건축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소산시켜 철골프레임이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이는 기술과 철강 부재로 구성되는 철골프레임의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는 보강 기술이 요구된다.
KR 10-116532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내진을 위한 내진 보강 구조체를 건축구조물에 장착하는 데 있어, 지진으로 인해 상기 건축구조물에 발생되는 에너지를 1차적으로 소산시키기 위한 접합부재가 구비된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각각 한 쌍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보강수단이 구비된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각각 한 쌍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상기 수평부재와 평행하게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보조보강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인접한 기둥과 상단 보 및 하단 보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건축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상단 보 및 하단 보에 앵커볼트에 의해 설치되는 접합플레이트와, 상기 접합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접합구조체;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연결판에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상단 보 및 하단 보에 설치되는 연결판에 장착되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주프레임; 상기 수평부재에 대해 상하부로 돌출된 수직부재의 끝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접합부위에 장착되는 보강플레이트; 상기 수평부재에 대해 상하부로 돌출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는 코너 가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는 H형강 또는 ㅁ형강이고, 상기 기둥, 상단 보 및 하단 보에 상기 접합플레이트를 장착한 개구부에 상기 주프레임을 수용되게 하여 상기 연결판을 접합플레이트 및 주프레임에 용접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합구조체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상단 보 및 하단 보에 장착되는 상기 접합구조체에 접합되며, 또한, 상기 접합구조체는 상기 개구부의 노출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접합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의 간격사이에 폭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내부면의 공간상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가 장착된다.
아울러, 추가적인 구성으로 상기 수평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단이 상기 수직부재에 연결되는 보조수평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의하면, 내진을 위한 내진 보강 구조체를 건축구조물에 장착하는 데 있어, 지진으로 인해 상기 건축구조물에 발생되는 에너지를 1차적으로 소산시키는 접합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철골프레임에 가해지는 에너지가 줄어들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한 쌍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 보강수단을 장착하여 구조적인 보강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한 쌍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에 상기 수평부재와 평행하게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보조보강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진 보강 구조체가 구조적으로 더욱 견고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 구조체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체와 주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수평부재가 구비되어 변형된 본 발명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체와 주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수평부재가 구비되어 변형된 본 발명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과 실시예를 첨부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진 보강 구조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체와 주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수평부재가 구비되어 변형된 본 발명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크게 접합구조체(10), 주프레임(20), 보강플레이트(30) 및 코너 가새 플레이트(40)로 구성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인접한 기둥(1)과 상단 보(2) 및 하단 보(3)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접합구조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플레이트(11)와 상기 접합플레이트(11)에 설치되는 연결판(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합플레이트(11)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면 각각에 다수의 앵커볼트(13)로 장착되기 위한 제1볼트공(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볼트공(13a)은 상기 접합플레이트(11)의 일측과 타측에 대응되는 개수로 나열되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연결판(12)은 상기 접합플레이트(11)의 일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판(12a)과 상기 제1연결판(12a)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판(12b)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제1연결판(12a)과 제2연결판(12b)은 접촉되지 않고 이격이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연결판(12a)와 제2연결판(12b)의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될 상기 주프레임(20)을 최소한의 면적으로 지지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상기 접합부재(10)가 장착된 공간 안으로 상기 주프레임(20)이 수용되어 상기 연결판(12)과 용접하여 접합되는데, 상기 주프레임(2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1)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판(12)에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21)와, 상기 상단 보(2) 및 하단 보(3)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판(12)에 장착되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수직부재(21)의 끝단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직부재(21)의 측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재(22)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부재(21) 및 수평부재(22)의 부재 종류로는 H형강, ㅁ형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 단면성능이 우수하고 횡좌굴에 대한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큰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상기 주프레임(20)을 상기 접합구조체(10)에 용접으로 접합하는데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H형강의 플랜지(4) 부분에 상기 접합구조체(10)의 연결판(12)이 접촉되고, 접촉되는 부위에 용접을 하여 접합하게 된다.
그리고 H형강을 부재로 사용하는 상기 주프레임(20)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21)의 상기 수평부재(22)가 부착되는 플랜지(4) 부분은 상기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를 부착 시 연통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개방되고, 상기 수직부재(21) 및 수평부재(22)의 부재인 H형강의 플랜지(4)와 웨브(5)가 이루는 내면의 공간에는 다수개의 스티프너(24)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21) 및 수평부재(22)가 외력에 의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프너(24)는 휨을 받는 웨브(5)의 좌굴 및 재축방향의 압축력에 의한 좌굴 내력에 효과가 있는 수평스티프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상기 보강플레이트(30)를 장착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프레임(20)의 접합부위(23)에는 상기 보강플레이트(30)와의 접합을 위한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의 제2볼트공(20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주프레임(20)의 변형된 구조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프레임(20)의 상기 수평부재(2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단이 상기 수직부재(21)에 연결되는 보조수평부재(22a)를 구성하여, 상기 수직부재(21) 및 수평부재(2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부가적인 내진보강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서 언급한 상기 보강플레이트(30)는 상기 접합부위(23)에 볼트로 장착되어 상기 주프레임(20)을 보강하는 부재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주프레임(20)의 접합부위(23)의 형상에 따라 상기 보강플레이트(30)의 형상은 'ㅓ' 형상이고, 상기 주프레임(20)의 제2볼트공(20a)과 대응하는 위치와 개수의 제3볼트공(30a)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30)를 장착하는 이유는 상기 주프레임(20)과 같이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용접으로 접합되는 구조는 용접부위가 외력에 의해 파단될 수 있는 취약점이 있어 이러한 취약점을 상기 보강플레이트(30)가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강플레이트(30)를 상기 접합부위(23)마다 장착하게 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30)와 더불어 상기 주프레임(20)을 보강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코너 가새 플레이트(40)가 있는데, 상기 코너 가새 플레이트(40)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21)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21)의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된 상기 수평부재(22)의 구조에 의해 직각으로 생기는 코너부분 각각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코너 가새 플레이트(40)는 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코너부분의 가운데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가 접합되는 부위의 외력에 의한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접합구조체(10)로부터 전달받은 에너지를 코너부분에 직접적으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안정성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합구조체(10)에 상기 주프레임(20)을 용접 접합하여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지진 및 재해로 건축구조물에 에너지가 발생시 상기 접합구조체(10)의 연결판(12)이 1차적으로 에너지를 받아 강판의 연성의 특성으로 에너지를 소산시켜 2차적으로 상기 주프레임(20)에 전달시킴으로써 건축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에너지 발생시 건축구조물과 주프레임(20)이 거동을 함께하여 강성 및 연성의 역할을 수행해 건축물의 안정을 지속시켜 내진 성능향상에 기여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프레임(20)의 모서리부에 상기 보강플레이트(30)를 부착하고, 상기 주프레임(20)의 구조에 따라 직각으로 형성된 코너 구간에 삼각형의 상기 코너 가새 플레이트(40)를 용접 접합함으로써, 지진 및 재해로 인한 에너지가 발생시 기둥(1)과 상단 보(2) 및 하단 보(3)의 접합면의 파단 및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건축구조물의 코너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상기 코너 가새 플레이트(40)에서 전달받아 건축물의 안정성을 지속시켜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티프너(24) 및 보조수평부재(22a)를 상기 주프레임(20)에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직부재(21) 및 수평부재(22)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좌굴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인 내진 보강 구조체의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체와 주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수평부재가 구비되어 변형된 본 발명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둥(1), 상단 보(2) 및 하단 보(3)로 이루어지는 상기 개구부의 노출면에 상기 접합구조체(10)가 앵커볼트(13)를 사용하여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접합구조체(10)의 연결판(12)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서 상기 제1연결판(12a)의 사이에서만 형성되어 있던 상기 제2연결판(12b)이 상기 접합플레이트의(11)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연결판(12a)의 양 끝단에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주프레임(20)의 내부로 상기 개구부의 노출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접합구조체(10)가 수용되면서 결합되므로 상기 접합구조체(10)가 상기 주프레임(20)의 구조의 무게를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상단 보(2)와 하단 보(3)에 장착되어있는 접합구조체(10)는 상기 주프레임(20)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어 상기 주프레임(20)의 자중과 중력에 대한 힘을 견뎌야 하는 구조로, 상기 제2연결판(12b)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힘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라 제1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용접을 하여 접합을 하게 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을 부재로 하는 상기 수직부재(21) 및 수평부재(22)의 웨브(5) 부위에 상기 연결판(12)이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접합구조체(10)를 수용한 상기 주프레임(20)의 외면의 모서리부에 용접을 하여 접합하게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진 보강 구조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 구조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공법은,
(a) 주프레임(20)을 제작하는 단계(S1);와,
(b) 상기 주프레임(20)을 구성하는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의 접합부위(23)에 보강플레이트(30)를 볼트로 장착하는 단계(S2);와,
(c) 상기 수평부재(22)에 대해 상하부로 돌출된 수직부재(21)와 상기 수평부재(22)에 코너 가새 플레이트(40)를 용접접합하여 설치하는 단계(S3);와,
(d) 기둥(1), 상단 보(2) 및 하단 보(3)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에 앵커볼트(13)를 사용하여 접합구조체(10)를 장착하는 단계(S4); 및
(e) 상기 기둥(1), 상단 보(2) 및 하단 보(3)에 상기 접합구조체(10)를 장착한 개구부에 상기 주프레임(20)을 수용되게 하여 용접접합하는 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d) 및 (e) 단계에 있어서는, 상기 기둥(1), 상단 보(2) 및 하단 보(3)에 의해 형성되 개구부에 상기 접합구조체(10)의 구성요소인 접합플리이트(11)를 먼저 앵커볼트(13)를 사용하여 장착하는 단계(S41);와, 상기 접합플레이트(11)가 부착되어 있는 개구부에 상기 주프레임(20)을 수용되게 한 뒤에, 상기 접합플레이트(11) 및 주프레임(20)에 상기 접합구조체(10)의 나머지 구성요소인 연결판(12)을 대어 용접 접합하는 단계;(S51)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된 단계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주프레임(20)은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정확한 크기를 갖지만, 상기 주프레임(20)이 수용되는 상기 개구부의 경우 상기 기둥(1), 상단 보(2) 및 하단 보(3)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 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주프레임(20)을 상기 접합구조체(10)에 용접을 하여 접합하면, 본래 의도했던 상기 주프레임(20)에 상기 접합구조체(10)의 연결판(12)이 접합되는 면적에 오차가 생겨 본 발명의 효과를 완전히 발현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발명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합플레이트(11)를 먼저 상기 개구부에 장착하고, 상기 주프레임(20)을 상기 접합플레이트(11)가 장착된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판(12)을 용접 접합하여 부착하면, 본래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완전히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 기둥 2 : 상단 보 3 : 하단 보
4 : 플랜지 5 : 웨브
10 : 접합구조체 11 : 접합플레이트 12 : 연결판
12a : 제1연결판 12b : 제2연결판
13 : 앵커볼트 13a : 제1볼트공
20 : 주프레임 21 : 수직부재 22 : 수평부재
22a : 보조수평부재 23 : 접합부위
24 : 스티프너 20a : 제2볼트공
30 : 보강플레이트 30a : 제3볼트공
40 : 코너 가새 플레이트

Claims (6)

  1. 건축구조물의 인접한 기둥(1)과 상단 보(2) 및 하단 보(3)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건축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둥(1)과 상단 보(2) 및 하단 보(3)에 앵커볼트(13)에 의해 설치되는 접합플레이트(11)와, 상기 접합플레이트(11)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연결판(12)을 포함하는 접합구조체(10);
    상기 기둥(1)에 설치되는 연결판(12)에 장착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21)와, 상기 상단 보(2) 및 하단 보(3)에 설치되는 연결판(12)에 장착되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수직부재(21)의 끝단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직부재(21)의 측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재(22)를 포함하는 주프레임(20);
    상기 수평부재(22)에 대해 상하부로 돌출된 수직부재(21)의 끝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의 접합부위(23)에 장착되는 보강플레이트(30); 및
    상기 수평부재(22)에 대해 상하부로 돌출된 수직부재(21)와 상기 수평부재(22)에 설치되는 코너 가새 플레이트(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12)은 상기 접합플레이트(11)의 일면에서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판(12a)과 상기 제1연결판(12a)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제2연결판(12b)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21) 및 수평부재(22)는 H형강 또는 ㅁ형강이고,
    상기 기둥(1), 상단 보(2) 및 하단 보(3)에 상기 접합플레이트(11)를 장착한 개구부에 상기 주프레임(20)을 수용되게 하여 상기 연결판(12)을 접합플레이트 (11) 및 주프레임(20)에 용접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구조체(10)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부재(21)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상단 보(2) 및 하단 보(3)에 장착되는 상기 접합구조체(10)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구조체(10)는 상기 개구부의 노출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20)을 구성하는 상기 수직부재(21) 및 수평부재(22) 내부면의 공간상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24)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단이 상기 수직부재(21)에 연결되는 보조수평부재(22a)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KR1020180148939A 2018-11-27 2018-11-27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KR10213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39A KR102138917B1 (ko) 2018-11-27 2018-11-27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39A KR102138917B1 (ko) 2018-11-27 2018-11-27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359A Division KR101992186B1 (ko) 2018-11-12 2018-11-12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 내진 보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829A KR20200054829A (ko) 2020-05-20
KR102138917B1 true KR102138917B1 (ko) 2020-07-28

Family

ID=7091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939A KR102138917B1 (ko) 2018-11-27 2018-11-27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566B1 (ko) * 2019-09-16 2020-08-11 (주)아리수엔지니어링 패널존 보강 고정구를 이용한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060B1 (ko) * 2014-10-24 2015-12-01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909198B1 (ko) * 2018-01-12 2018-10-17 주식회사 케이엔지니어링 내진 보강용 철골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320B1 (ko) 2011-12-12 2012-07-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060B1 (ko) * 2014-10-24 2015-12-01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909198B1 (ko) * 2018-01-12 2018-10-17 주식회사 케이엔지니어링 내진 보강용 철골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829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076B2 (en) Moment-resistant building column insert system and method
KR101992186B1 (ko)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 내진 보강 공법
KR101548608B1 (ko)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KR101565543B1 (ko)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
KR20130105249A (ko) 입체 다이아프램을 가진 콘크리트 충전 원형 강관기둥 및 철골보와의 접합구조
KR101920417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KR100995937B1 (ko) 철근콘크리트건축물의 내진 보강구조
JP4931490B2 (ja) 構面補強構造及び構面の補強方法
KR102543666B1 (ko) 지붕 프레임
KR102138917B1 (ko)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되는 내진 보강 구조체
KR102217685B1 (ko) 내진성능을 갖는 무용접 하지 프레임
JP4853422B2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KR101299574B1 (ko)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KR101953016B1 (ko)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JP6905927B2 (ja) 免震建物、免震構造の構築方法
KR20000040240A (ko)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JP2020143502A (ja) 耐力壁
JP304393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合部構造
KR102448357B1 (ko) 외부 부착형 pc 벽패널을 이용한 내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7361561B2 (ja) ブレース取付構造、構造物およびブレース取付方法
KR102300605B1 (ko) 내진용 조적 칸막이벽 전도 방지 구조
JP2019065532A (ja) 耐軸力部材
JP7211915B2 (ja) 耐震補強構造
KR101938720B1 (ko) 내진보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4379732B2 (ja) 建物の耐震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