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543B1 -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5543B1 KR101565543B1 KR1020150045194A KR20150045194A KR101565543B1 KR 101565543 B1 KR101565543 B1 KR 101565543B1 KR 1020150045194 A KR1020150045194 A KR 1020150045194A KR 20150045194 A KR20150045194 A KR 20150045194A KR 101565543 B1 KR101565543 B1 KR 1015655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teel frame
- fixed
- mortar
- reinforced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MzAwcHgnIGhlaWdodD0nMzAwcHgnIHZpZXdCb3g9JzAgMCAzMDAgMzAwJz4KPCEtLSBFTkQgT0YgSEVBREVSIC0tPgo8cmVjdCBzdHlsZT0nb3BhY2l0eToxLjA7ZmlsbDojRkZGRkZGO3N0cm9rZTpub25lJyB3aWR0aD0nMzAwLjAnIGhlaWdodD0nMzAw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xMzguMC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MzQjQxNDMnID5GPC90ZXh0Pgo8dGV4dCB4PScxNjUuNi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MzQjQxNDMnID5lPC90ZXh0Pgo8L3N2Zz4K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ODVweCcgaGVpZ2h0PSc4NXB4JyB2aWV3Qm94PScwIDAgODUgODUnPgo8IS0tIEVORCBPRiBIRUFERVIgLS0+CjxyZWN0IHN0eWxlPSdvcGFjaXR5OjEuMDtmaWxsOiNGRkZGRkY7c3Ryb2tlOm5vbmUnIHdpZHRoPSc4NS4wJyBoZWlnaHQ9Jzg1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zNS4wJyB5PSc1My42JyBjbGFzcz0nYXRvbS0wJyBzdHlsZT0nZm9udC1zaXplOjIz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M0I0MTQzJyA+RjwvdGV4dD4KPHRleHQgeD0nNTEuMCcgeT0nNTMuNicgY2xhc3M9J2F0b20tMCcgc3R5bGU9J2ZvbnQtc2l6ZToyM3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zNCNDE0MycgPmU8L3RleHQ+Cjwvc3ZnPgo=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title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0—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은 앙카볼트에 의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전면에 가로 설치되는 인베드 플레이트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되는 철골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철골프레임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모르타르 통과홀이 형성된 커넥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보 구조물과; 앙카볼트에 의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전면에 세로 설치되는 인베드 플레이트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되는 철골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철골프레임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모르타르 통과홀이 형성된 커넥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기둥 구조물과; 상기 보 구조물의 철골 일측 끝단과 상기 기둥 구조물의 철골프레임 상단을 양쪽에서 연결 고정시키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보 구조물의 인베드 플레이트와 철골프레임 사이 및 상기 기둥 구조물의 인베드 플레이트와 철골프레임 사이에 충진되는 모르타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진 능력을 향상시키고 시공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시공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에 관한 것이다.
제진(seismic control)은 지진에 의한 입력에너지를 각종 제진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소산함으로써, 건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발생한 일련의 큰 지진으로 인하여 지진의 피해에 대한 경각심과 내진설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건물의 제진보강 방법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철근 콘크리트구조물(RC)에 철골 프레임을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골 프레임을 일체화함으로써 건축물의 제진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제시된 기술들은 아직까지는 시공이 복잡하고 만족할 만한 제진성능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는 철 재질의 보 구조물과 기둥 구조물의 접합구조를 개선하여 제진 능력을 향상시키고 시공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은 앙카볼트에 의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전면에 가로 설치되는 인베드 플레이트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되는 H빔으로 이루어진 철골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철골프레임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모르타르 통과홀이 형성된 커넥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보 구조물과; 앙카볼트에 의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전면에 세로 설치되는 인베드 플레이트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되는 H빔으로 이루어진 철골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철골프레임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모르타르 통과홀이 형성된 커넥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기둥 구조물과; 상기 보 구조물의 철골프레임 일측 끝단과 상기 기둥 구조물의 철골프레임 상단을 양쪽에서 연결 고정시키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보 구조물의 인베드 플레이트와 철골프레임 사이 및 상기 기둥 구조물의 인베드 플레이트와 철골프레임 사이에 충진되는 모르타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 구조물과 기둥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와 상기 철골프레임에 부착되는 사각형 철근보강체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 구조물의 인베드 플레이트와 철골프레임 사이 및 상기 기둥 구조물의 인베드 플레이트와 철골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양쪽에 'ㄷ'자형 철근보강체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스터드앙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는 모르타르 통과홀이 형성된 보강패널이 양측면에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공법은 인베드 플레이트에 다수의 커넥션 플레이트를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되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의 전면 중앙에 커넥션 플레이트의 일단을 용접 고정시키고,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의 'ㄷ'자형 철근보강체와 사각형 철근보강체를 설치하되 이 철근보강체들의 일단을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에 용접 고정시키며,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의 타단을 철골프레임의 후면 중앙에 용접 고정시키는 보 구조물 준비단계와; 인베드 플레이트에 다수의 커넥션 플레이트를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되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의 전면 중앙에 커넥션 플레이트의 일단을 용접 고정시키고,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의 'ㄷ'자형 철근보강체와 사각형 철근보강체를 설치하되 이 철근보강체들의 일단을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에 용접 고정시키며,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의 타단을 철골프레임의 후면 중앙에 용접 고정시키는 기둥 구조물 준비단계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에폭시를 도포하는 에폭시 그라우팅 단계와; 에폭시 그라우팅이 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상기 보 구조물과 상기 기둥 구조물을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결합 플레이트로 보 구조물과 기둥 구조물을 결합 고정시키는 연결단계와; 상기 보 구조물과 기둥 구조물에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 구조물 준비단계와 상기 기둥 구조물 준비단계는 인베드 플레이트에 스터드앙카를 용접 고정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은 미리 제조된 보 구조물과 기둥 구조물을 시공현장에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충진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커넥션 플레이트와 그 주변의 철근보강체 등으로 인하여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넥션 플레이트와 철근보강체 등은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커넥션 플레이트에 형성된 모르타르 통과홀을 통해 모르타르가 구석구석에 밀실되게 충진되므로 제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철골프레임을 이루는 H빔의 일부분이 노출되어 조형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을 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부분절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보 구조물과 기둥 구조물의 결합과정을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에 보강패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설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부분절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보 구조물과 기둥 구조물의 결합과정을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에 보강패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설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을 전방에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부분절개도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보 구조물과 기둥 구조물의 결합과정을 보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에 보강패널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의 설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보 구조물(20)과,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의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둥 구조물(30)과, 상기 보 구조물(20)과 상기 기둥 구조물(30)을 연결하는 결합 플레이트(40)와, 상기 보 구조물(20)과 기둥 구조물(30)을 일체화시키는 모르타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 구조물(20)은 인베드 플레이트(21)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의 전방에 위치되는 철골프레임(22)과,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와 철골프레임(22)을 연결하는 커넥션 플레이트(23)와,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 사이에 설치되는 사각형 철근보강체(24)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와 철골프레임(22) 사이에 설치되는 'ㄷ'자형 철근보강체(25)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터드앙카(26)로 구성된다.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는 앙카볼트(A)에 의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의 전면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철골프레임(22)은 H빔으로서,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의 전방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는 일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의 전면 중앙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철골프레임(22)의 후면 중앙 부분에 고정된다. 이러한 커넥션 플레이트(23)는 상기 보 구조물(20)과 기둥 구조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션 플레이트(23)는 복수개의 모르타르 통과홀(2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르타르 통과홀(23a)은 모르타르(50)를 보 구조물(20) 내부에 타설하였을 때 모르타르(50)가 통과되기 위한 구멍으로서, 이 모르타르 통과홀(23a)로 인하여 모르타르가 구석구석 밀실되게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사각형 철근보강체(24)는 양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와 상기 철골프레임(22)에 부착 고정된다. 이러한 사각형 철근보강체(24)는 상기 모르타르(50)와의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ㄷ'자형 철근보강체(25)는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데, 'ㄷ'자형 철근보강체(25)의 개방된 부분은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쪽 옆 부분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와 상기 철골프레임(22)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스터드앙카(26)는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인베드 플레이트(21)의 전면에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스터드앙카(26)는 상황에 따라 인베드 플레이트(21)에 설치할 수도 있고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보 구조물(20)은 상기 'ㄷ'자형 철근보강체(25)와 사각형 철근보강체(24)를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의 양측면에 보강패널(27)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패널(27)은 커넥션 플레이트(23)에 수직되게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 보강패널(27)에는 모르타르(50)를 용이하게 통과시키기 위한 모르타르 통과홀(27a)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 구조물(30)은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의 전면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인베드 플레이트(31)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의 전방에 위치되는 철골프레임(32)과,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와 철골프레임(32)을 연결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모르타르 통과홀(33a)이 형성된 커넥션 플레이트(33)와,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33) 사이에 설치되는 사각형 철근보강체(34)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와 철골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되는 'ㄷ'자형 철근보강체(35)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터드앙카(3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 구조물(30)은 보 구조물(20)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다. 다만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에 대한 설치위치가 보 구조물(20)은 가로방향이고 기둥 구조물(30)은 세로방향이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기둥 구조물(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 구조물(20)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한 기둥 구조물(30) 역시 상기 'ㄷ'자형 철근보강체(35)와 사각형 철근보강체(34)를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33)의 양측면에 모르타르 통과홀(37a)이 형성된 보강패널(37)을 수직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0)는 상기 보 구조물(20)의 철골프레임(22) 일측 끝단과 상기 기둥 구조물(30)의 철골프레임(32) 상단을 양쪽에서 연결 고정한다. 부연하면, 결합 플레이트(40)는 'ㄱ'자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보 구조물(20)의 철골프레임(22)의 중간면과 기둥 구조물(30)의 철골프레임(32) 중간면에 볼팅되어 보 구조물(20)과 기둥 구조물(30)을 일체화시킨다.
상기 모르타르(50)는 상기 보 구조물(20)의 인베드 플레이트(21)와 철골프레임(22) 사이 및 상기 기둥 구조물(30)의 인베드 플레이트(21)와 철골프레임(32) 사이에 충진된다. 이러한 모르타르(50)는 경화되면서 보 구조물(20) 및 기둥 구조물(30)과 일체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공법은 보 구조물 준비단계와, 기둥 구조물 준비단계와, 에폭시 그라우팅 단계와, 연결단계와, 채움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보 구조물 준비단계는 인베드 플레이트(21)에 다수의 커넥션 플레이트(23)를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되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의 전면 중앙에 커넥션 플레이트(23)의 일단을 용접 고정시키고,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의 'ㄷ'자형 철근보강체(25)와 사각형 철근보강체(24)를 설치하되 이 철근보강체(24,25)들의 일단을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에 용접 고정시키며,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의 타단을 철골프레임(22)의 후면 중앙에 용접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 구조물 준비단계는 인베드 플레이트(31)에 다수의 커넥션 플레이트(33)를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되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의 전면 중앙에 커넥션 플레이트(33)의 일단을 용접 고정시키고,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의 'ㄷ'자형 철근보강체(35)와 사각형 철근보강체(34)를 설치하되 이 철근보강체(34,35)들의 일단을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에 용접 고정시키며,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33)의 타단을 철골프레임(32)의 후면 중앙에 용접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폭시 그라우팅 단계는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에 에폭시를 도포하는 과정이다.
상기 연결단계는 에폭시 그라우팅이 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에 상기 보 구조물(20)과 상기 기둥 구조물(30)을 앙카볼트(A)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결합 플레이트(40)로 보 구조물(20)과 기둥 구조물(30)을 결합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채움단계는 상기 보 구조물(20)과 기둥 구조물(30)에 모르타르(50)를 충진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보 구조물(20)과 기둥 구조물(30)에 각각 스터드앙카(26,36)를 포함시키고자 한다면 보 구조물 준비단계에서 인베드 플레이트(21)에 스터드앙카(26)를 용접 고정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과 아울러 기둥 구조물 준비단계에서 인베드 플레이트(31)에 스터드앙카(36)를 용접 고정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면 된다.
10: 철근 콘크리트 벽체 20: 보 구조물
21: 인베드 플레이트 22: 철골프레임
23: 커넥션 플레이트 23a: 모르타르 통과홀
24: 사각형 철근보강체 25: 'ㄷ'자형 철근보강체
26: 스터드앙카 27: 보강패널
27a: 모르타르 통과홀 30: 기둥 구조물
31: 인베드 플레이트 32: 철골프레임
33: 커넥션 플레이트 34: 사각형 철근보강체
35: 'ㄷ'자형 철근보강체 36: 스터드앙카
37: 보강패널 37a: 모르타르 통과홀
40: 결합 플레이트 50: 모르타르
A: 앙카볼트
21: 인베드 플레이트 22: 철골프레임
23: 커넥션 플레이트 23a: 모르타르 통과홀
24: 사각형 철근보강체 25: 'ㄷ'자형 철근보강체
26: 스터드앙카 27: 보강패널
27a: 모르타르 통과홀 30: 기둥 구조물
31: 인베드 플레이트 32: 철골프레임
33: 커넥션 플레이트 34: 사각형 철근보강체
35: 'ㄷ'자형 철근보강체 36: 스터드앙카
37: 보강패널 37a: 모르타르 통과홀
40: 결합 플레이트 50: 모르타르
A: 앙카볼트
Claims (9)
- 앙카볼트(A)에 의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의 전면에 가로 설치되는 인베드 플레이트(21)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의 전방에 위치되는 H빔으로 이루어진 철골프레임(22)과, 일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철골프레임(22)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모르타르 통과홀(23a)이 형성된 커넥션 플레이트(23)와,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를 기준으로 양쪽에 설치된 'ㄷ'자형 철근보강체(25)로 이루어진 보 구조물(20)과; 앙카볼트(A)에 의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의 전면에 세로 설치되는 인베드 플레이트(31)와,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의 전방에 위치되는 H빔으로 이루어진 철골프레임(32)과, 일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철골프레임(32)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모르타르 통과홀(33a)이 형성된 커넥션 플레이트(33)와,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33)를 기준으로 양쪽에 설치된 'ㄷ'자형 철근보강체(35)로 이루어진 기둥 구조물(30)과; 상기 보 구조물(20)의 철골프레임(22) 일측 끝단과 상기 기둥 구조물(30)의 철골프레임(32) 상단을 양쪽에서 연결 고정시키는 결합 플레이트(40)와; 상기 보 구조물(20)의 인베드 플레이트(21)와 철골프레임(22) 사이 및 상기 기둥 구조물(30)의 인베드 플레이트(31)와 철골프레임(32) 사이에 충진되는 모르타르(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 구조물(20)과 기둥 구조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33)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33)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31)와 상기 철골프레임(22,32)에 부착되는 사각형 철근보강체(24,3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31)에는 다수의 스터드앙카(26,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33)는 모르타르 통과홀(27a,37a)이 형성된 보강패널(27,37)이 양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 삭제
- 인베드 플레이트(21)에 다수의 커넥션 플레이트(23)를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되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의 전면 중앙에 커넥션 플레이트(23)의 일단을 용접 고정시키고,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의 'ㄷ'자형 철근보강체(25)와 사각형 철근보강체(24)를 설치하되 이 철근보강체(24,25)들의 일단을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에 용접 고정시키며,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21)에 스터드앙카(26)를 고정시킨 후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23)의 타단을 철골프레임(22)의 후면 중앙에 용접 고정시키는 보 구조물 준비단계와;
인베드 플레이트(31)에 다수의 커넥션 플레이트(33)를 세로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하되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의 전면 중앙에 커넥션 플레이트(33)의 일단을 용접 고정시키고,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의 'ㄷ'자형 철근보강체(35)와 사각형 철근보강체(34)를 설치하되 이 철근보강체(34,35)들의 일단을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에 용접 고정시키며, 상기 인베드 플레이트(31)에 스터드앙카(36)를 고정시킨 후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33)의 타단을 철골프레임(32)의 후면 중앙에 용접 고정시키는 기둥 구조물 준비단계와;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에 에폭시를 도포하는 에폭시 그라우팅 단계와;
에폭시 그라우팅이 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체(10)에 상기 보 구조물(20)과 상기 기둥 구조물(30)을 앙카볼트(A)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결합 플레이트(40)로 보 구조물(20)과 기둥 구조물(30)을 결합 고정시키는 연결단계와;
상기 보 구조물(20)과 기둥 구조물(30)에 모르타르(50)를 충진하는 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공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5194A KR101565543B1 (ko) | 2015-03-31 | 2015-03-31 |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5194A KR101565543B1 (ko) | 2015-03-31 | 2015-03-31 |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5543B1 true KR101565543B1 (ko) | 2015-11-04 |
Family
ID=5460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5194A KR101565543B1 (ko) | 2015-03-31 | 2015-03-31 |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5543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5260B1 (ko) | 2016-11-17 | 2017-02-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1744337B1 (ko) | 2016-12-27 | 2017-06-07 | 우아진 |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
CN108824662A (zh) * | 2018-05-28 | 2018-11-16 | 昆明理工大学 | 一种提高剪力墙耗能的抗震结构 |
KR102092952B1 (ko) * | 2019-08-05 | 2020-04-24 | (주)에스엠피건설 |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을 갖는 포켓브라켓 문형 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
CN112411745A (zh) * | 2020-11-28 | 2021-02-26 | 安徽一品小院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装配式预应力混凝土框架结构抗震节点 |
CN113719178A (zh) * | 2021-08-13 | 2021-11-30 | 北京建筑大学 | 自冲铆接的波纹钢板中心覆面冷弯型钢剪力墙及制造方法 |
KR102355916B1 (ko) * | 2021-04-28 | 2022-02-08 |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강화 커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7718B1 (ko) * | 2010-06-24 | 2012-03-22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복합제진장치 |
-
2015
- 2015-03-31 KR KR1020150045194A patent/KR1015655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7718B1 (ko) * | 2010-06-24 | 2012-03-22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복합제진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5260B1 (ko) | 2016-11-17 | 2017-02-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1744337B1 (ko) | 2016-12-27 | 2017-06-07 | 우아진 |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
CN108824662A (zh) * | 2018-05-28 | 2018-11-16 | 昆明理工大学 | 一种提高剪力墙耗能的抗震结构 |
KR102092952B1 (ko) * | 2019-08-05 | 2020-04-24 | (주)에스엠피건설 | 갭레벨 플레이트와 슬리브 앵커캡을 갖는 포켓브라켓 문형 프레임 내진 보강 방법 |
CN112411745A (zh) * | 2020-11-28 | 2021-02-26 | 安徽一品小院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装配式预应力混凝土框架结构抗震节点 |
KR102355916B1 (ko) * | 2021-04-28 | 2022-02-08 |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강화 커버 |
CN113719178A (zh) * | 2021-08-13 | 2021-11-30 | 北京建筑大学 | 自冲铆接的波纹钢板中心覆面冷弯型钢剪力墙及制造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5543B1 (ko) |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 | |
KR101791819B1 (ko) |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 |
KR101295740B1 (ko) |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 |
KR101377327B1 (ko) |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 |
KR101534431B1 (ko) | 창호 프레임 충격흡수 및 내진 보강용 분절형 보강 구조물 | |
KR101901435B1 (ko) |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 |
KR101011252B1 (ko) |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 | |
KR101920417B1 (ko) |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 |
KR101950954B1 (ko) | 건축물 내진 보강용 가변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 | |
KR101617221B1 (ko) | 내진 보강형 증축 리모델링 모듈러유닛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 |
JP3690437B2 (ja) |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 |
JP4949116B2 (ja) | 壁ユニットおよび耐震壁 | |
KR101880494B1 (ko) |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38564B1 (ko) | 구조물의 강성 및 인성 개선을 위한 내진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 |
JP3766941B2 (ja) |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方法 | |
KR101397886B1 (ko) |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보강장치 | |
JP5662677B2 (ja) | 多層建物 | |
KR20130117204A (ko) |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 보강 공법 | |
KR101217437B1 (ko) | 구조물 축조용 블록, 부재강결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빗물저류조 | |
KR101190547B1 (ko) | 라멘조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라멘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공법 | |
KR101950953B1 (ko) | 프레임 전단벽 내진 보강구조 | |
KR101952186B1 (ko) | 내진보강 슈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방법 | |
KR101521946B1 (ko) |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 |
KR101481152B1 (ko) |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 |
KR20120037222A (ko) | 내진 보강 접합구조를 갖는 pc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내진 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