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268B1 -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268B1
KR100383268B1 KR10-2000-0040671A KR20000040671A KR100383268B1 KR 100383268 B1 KR100383268 B1 KR 100383268B1 KR 20000040671 A KR20000040671 A KR 20000040671A KR 100383268 B1 KR100383268 B1 KR 10038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ormwork
retaining wall
fram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521A (ko
Inventor
윤광섭
전금석
Original Assignee
조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형 filed Critical 조재형
Priority to KR10-2000-004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2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를 흙막이벽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건물 경계선을 따라 흙막이벽(4)을 설치하는 한편 평면설계에 따른 건물 기둥위치에 센터파일(6)을 박는 제1공정과; 1차 터파기한 후 흙막이벽의 내측에 제1테두리보거푸집 지지용 및 보 거치용 철골재 까치발(24)을 고정설치하는 제2공정과; 까치발 위에 제1테두리보 성형용 거푸집(10)을 세우는 제3공정과; 일단에 테두리보에 대한 전단연결부재(28)가 고정된 보(20)를 그 전단연결부재가 상기 테두리보 구축용 거푸집(10) 내에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한편 보의 타단을 센터파일(6) 또는 거더(7)에 고정하는 제4공정과; 상기 제1테두리보용 거푸집 내에 보강철근(12)을 배근하는 제5공정과; 상기 배근 및 보의 일단에 고정된 전단연결부재(28)가 함께 매립되도록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16)를 타설하여 흑막이벽(4), 테두리보(18) 및 보(20)가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제6공정과; 그리고 상기 제2공정 내지 제6공정을 필요한 지하층수만큼 반복 수행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테두리보 거푸집이 캔틸레버 방식의 까치발(24)에 의해 지지되므로 까치발 하부가 자유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종래 동바리를 지지하기 의한 무근 콘크리트 타설, 경화, 해체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비용 및 장비를 배제할 수 있고 종래 테두리보가 양생될 때까지 동바리가 존치됨으로써 하부층 터파기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해결되며 종래 거푸집 내 연결플레이트의 사전 배치 →콘크리트 타설 →경화 →보의 연결플레이트에 대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시공순서를 거푸집 내 전단연결부재가 부착된 보의 단부 배치 →콘크리트 타설 →경화로 그 시공순서가 바뀜으로써 종래 센터파일과 테두리보 내에 매립된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공장생산된 보의 길이와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사후적 길이편차(clearance) 보정작업의 필요성이 배제된다.

Description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method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of building by using permanent structural member as strut for support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건물의 지하층 구축공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도심빌딩과 같은 건축물 구축시의 토공사와 관련한 공법이며, 더욱 특히 종래 흙막이벽에 대한 토압지지용 가설버팀대를 사용하지 않고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를 흙막이벽 지지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심에 빌딩과 같은 대형 건축물을 구축할 경우 토지의 효율적 이용, 건물의 안정적 지지, 주차장 확보 등과 같은 경제적, 역학적, 법률적 이유로 지하층을 구축하게 된다. 빌딩과 같은 대형 건물의 지하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지하 터파기공사시 흙막이벽이 설치된다. 현재 널리 시공되고 있는 대표적인 흙막이벽의 종류로는 토공사용 강재 파일과 함께 시공되는 흙막이방축널(일명 토류판), 소일시멘트월(SCW : soil cement wall),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CIP: cast in place pile), DW(diaphragm wall-일명 slurry wall) 등이 있으며 그 토압 지지공법으로는 소일네일(soil nail), 타이로드(tie rods), 어스앵커(earth anchor), 락볼트(rock bolts) 등을 사용하는 앵커(anchor)방식(인장력 지지방식)과 버팀대를 대는 스트럿(strut)방식(압축지지방식) 등이 있다. 지하 토공사시의 흙막이벽에 대한 토압지지 공법을 어느 것을 선택 또는 병행하는가는 건축규모, 지질, 지하수, 인접대지의 조건, 공사장 환경 등에 따라 결정되지만 일반적인 지하구조물 구축은 흙막이벽에 걸리는 하중(토압, 수압)을 버팀대로 지지하면서 지하 맨 아래쪽부터 구축하여 상부로 올라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에서 설치되는 일반적인 흙막이벽 지지용 버팀대는 임시구조물로서 각종 건설자재를 옮기거나 내릴 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또는 터파기할 때 장해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본 공사와는 별도의 공정으로 설치, 해체 또는 이설(移設) 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공사비가 많아지고 공기가 길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건물의 지하측 영구구조물 일부, 예컨대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girder 또는 beam)를 흙막이벽 지지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 공법을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이라 칭한다)이 연구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몇 군데 적용된 바 있다. 종래실시된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은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를 흙막이벽에 대한 버팀대로서 겸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종래 임시구조물로서의 버팀대 구축공정을 생략한 것이어서 건축업계에서 획기적인 공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하 종래 실시된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는 종래 실시된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의 구축도면으로서, 도 1은 그 주요 건축공법 및 시공순서의 개략적인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도1에 기재된 공법에 따라 다이아프램 흙막이벽(Diaphragm Wall) 및 센터파일을 시공한 개략사시도이며, 도3은 흙막이벽에 일체로 합성된 제1띠장(제1테두리보)를 설치한 개략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d는 각각 도 3의 테두리보 단면도로서 그 테두리보를 시공하는 순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일단은 센터파일에 고정되고 타단은 테두리보 내에 매립된 연결 플레이트에 고정된 1차 보가 시공된 것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6은 반복시공에 의해 2차 보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종래 실시된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은 건물 경계선(2)을 따라 흙막이벽(4)을 설치하는 한편 평면설계에 따른 기둥위치에 센터파일(6)을 박는 공정과; 1차 터파기한 후 흙막이벽의 내측에 접하여 동바리(8)에 지지되는 제1테두리보 구축용 거푸집(10)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테두리보 거푸집 내에 보강철근(12) 및 보 연결플레이트(14)를 장착한 후 콘크리트(16)를 타설하여 제1테두리보(18)를 상기 흙막이벽(4)에 일체화되게 구축하는 공정과; 제1테두리보 양생 이후 건축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20)의 일단을 센터파일(6) 또는 거더(7)에, 타단을 상기 테두리보에 매립된 연결플레이드(14)에 각각 용접고정하는 공정과; 위 공정들을 필요한 지하 층수만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공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은 종래 임시구조물로서의 흙막이벽 지지용 버팀대 공사를 하지 않고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를 흙막이 벽에 대한 버팀대로서 활용한 것으로서 공사비 절감 및 공기단축효과(3, 4개월 단축)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각종 건설자재를 옮기거나 내릴 때, 터파기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등 물리적 간섭을 배제함으로써 지하구조물 공사가 종래 전통적 공법에 비해 훨씬 편리해진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의 종래 실시된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첫째, 테두리보(18)를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8)는 그 하단이 부정형이고 평활하지 않은 굴착토지 상면에 지지되어야 하는 것과 관련하여 그 안정적 지지를 위해 매층마다 동바리 지지용 무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하는 바, 습식시공인 동바리 지지용 무근 콘크리트는 그 타설, 경화, 해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 및 장비가 필요하다.
둘째, 테두리보는 역학적 구조부재로서 필요충분하게 경화 양생되어야 하는 바, 동바리는 테두리보가 충분히 양생될 때까지 존치되어야 하므로 그 존치기간만큼 하부층 터파기 공정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동바리가 위치한 곳에서는 각종 작업이 방해된다.
셋째, 테두리보 내에 매립고정되는 보 연결용 플레이트는 연속부재가 아닌 단속부재(斷續部材)로서 거푸집 내의 일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콘트리트 타설시 유동될 염려가 있고, 유동되지 않더라도 일단 콘크리트 내에 매립 고정된 이후에는 그 위치 변경이 어렵다. 따라서 보의 길이를 정확히 연결플레이트와 센터파일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공장생산하였다고 할지라도 실제로 흙막이벽의 시공오차, 테두리보의 시공오차, 센터파일의 수직도 시공오차 및/또는 연결용 플레이트의 매립위치 시공오차 등의 이유로 인해 연결플레이트와 센터파일 사이의 간격과 공장생산된 보의 길이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대개 10mm 내지 20mm의 편차발생) 이 길이편차(clearance)를 보상하기 위해 보의 길이가 짧을 경우 길이연장용 덧댐플레이트를 용접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또한 길이가 긴 경우는 그 긴 길이만큼 절단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현장에서의 철골 구조물 길이편차 보상 작업은 그것이 절단이든 이음이든 상당한 하중의 철골부재를 별도의 지지장비(크레인 또는 백호우 등)으로 지지하면서 현장에서 작업자의 용접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공장생산에 비해 작업신뢰도가 떨어지며 따라서 그 보상부분에서의 품질의 일체성이 회손되는 결과로 된다. 또한 그 길이보상 작업시 바람직하게는 그 연결부위가 휨모멘트 및 전단력이 최소로 작용하는 곳으로 선정되어야 하는 등의 세밀한 역학계산이 병행되어야 하고, 용접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만큼 비경제적이며 보의 현수상태(懸垂狀態)에서의 작업인 만큼 위험도 뒤따른다.
본 발명은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를 흙막이벽에 대한 버팀대로서 겸용할 수 있게 한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에 있어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임시구조물로서의 흙막이벽 지지용 버팀대 구축공사를 하지 않고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를 흙막이 벽에 대한 버팀대로서 활용하는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에 있어서, 더욱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지하굴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테두리보(띠장) 설치 공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 임시구조물로서의 흙막이벽 지지용 버팀대 구축공사를 하지 않고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를 흙막이 벽에 대한 버팀대로서 활용하는 영구구조물 스트러트공법에 있어서, 센터파일 또는 거더와 테두리보 내에 매립된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공장생산된 보의 길이와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사후적 길이편차(clearance) 보정작업 특히 용접이음작업 및 용접절단작업을 배제할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를 흙막이벽에 대한 버팀대로 사용한 공지의 건축공법 및 그 시공순서의 개략적인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기재한 공법에 따라 다이아프램월 및 센터파일을 시공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흙막이벽에 일체로 합성된 제1테두리보를 설치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각각 테두리보 시공순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단은 센터파일에 고정되고 타단은 테두리보 내에 매립된 연결 플레이트에 고정된 1차 보가 시공된 것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6은 반복시공에 의해 2차 보가 설치된 상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 구조물 구축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각각 도 7에 기재된 공정순서에 따른 주요공정 종단면도이다.
도 9a내지 도 9c는 각각 보의 일단에 용접된 테두리보에 대한 전단연결부재의 구성예 사시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4: 흙막이벽 6: 센터파일
8: 동바리 10: 테두리보 구축용 거푸집
12: 보강철근 14: 보 연결용 매립플레이트
16: 콘크리트 18: 테두리보
20: 보 22: 토공사용 H 형강 파일
24 : 까치발 28: 보의 일단부에 용접된 전단연결부재
32: 스터드볼트, 34: 앵글
36: 이형철근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도 7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건물 경계선을 따라 흙막이벽을 설치하는 한편 평면설계에 따른 건물 기둥위치에 센터파일을 박는 제1공정과;
1차 터파기한 후 흙막이벽의 내측에 제1테두리보거푸집을 지지하는 한편 보를 올려놓기 위한 철골재 돌출브라켓(일명 까치발, 이하 까치발이라 칭함)을 고정설치하는 제2공정과;
까치발 위에 제1테두리보 성형용 거푸집을 세우는 제3공정과;
일단에 전단연결부재가 고정된 보의 일단을 그 전단연결부재가 상기 테두리보 구축용 거푸집 내에 위치하도록 거치하는 한편 보의 타단을 센터파일 또는 거더에 고정하는 제4공정과;
상기 제1테두리보용 거푸집 내에 보강철근을 배근하는 제5공정과; 그리고
상기 배근 및 보의 일단에 고정된 전단연결부재가 함께 매립되도록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흙막이벽, 테두리보 및 보가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제6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의 구축은 필요한 지하층수만큼 상기 제2 내지 제6공정을 순차적으로 하향방향으로 반복시행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며, 맨 마지막 지하층 시공 이후에는 통상의 지하바닥 기초작업을 행하고, 기초작업 이후 테두리보와 테두리보 사이의 각 수직공간 내에 건물 최외측 내력벽인 옹벽이 순차 타설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의 전술한 바에 따른 주요공정 종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서는 엄지말뚝으로서의 H형강 및 흙막이 방축널이 사용된 토류판 흙막이벽 구조에서의 영구구조물 스트러트 공법을 예시한 것이다. 까치발(24)을 흙막이벽(4)에 고정결합하는 구조는 흙박이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흙막이벽이 다이아프램월(DW)인 경우는 흙막이벽 내에 스터드볼트 등과 같은 앵커부재를 매립하여 까치발을 고정할 수 있고, CIP인 경우에는 H형강을 둘러싼 콘크리트의 파취(破取)하여 H형강의 플랜지 부분을 부분노출시킨 후 이 노출된 플랜지에 대해 까치발을 용접 또는 볼트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도 8a - 도 8d) 엄지말뚝으로서 H형강재(22)를 사용한 토류판 흙막이벽(4)인 경우 엄지말뚝(H형강)의 플랜지에 까치발을 용접 또는 볼트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8a는 상면에 테두리보용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및 보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철골재 까치발(24)을 흙막이벽 H형강(22)의 내측면에 고정설치하는 단계(본 발명 전술한 제2공정)의 단면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종래 테두리보를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이 동바리(8)에 의해 지지되는 것과는 달리 흙막이벽 H형강(22)에 캔틸레버방식으로 돌출고정되는 까치발(2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까치발 하부가 자유공간이 된다. 거푸집(10)을 지지하기 위한 이러한 까치발 방식의 건식시공은 종래 동바리에 의해 거푸집이 지지될 경우의 동바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의한 무근 콘크리트 타설, 경화, 해체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비용 및 장비를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종래 테두리보가 양생될 때까지 동바리가 존치됨으로써 그만큼 하부층 터파기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도 해결되는 것이고, 또한 동바리의 존재로 인한 각종 공사의 물리적 간섭도 배제할 수 있는 것이어서 특히 영구구조물 스트러트 공법을 사용한 지하구축물 공사에서의 그 기술적, 경제적 의미가 매우 큰 것이며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한 면을 이룬다. 미설명부호 25는 까치발의 경사지지부재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의 또다른 특징이 잘 나타난 도면으로서, 전술한 본 발명 제3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종래 테두리보 내에 보 연결용 플레이트를 사전 매립한 상태에서(도 4a 내지 도 4d참조)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사후적으로 보의 일단을 이 연결플레이트에 현장용접하는 방식과는 달리, 보를 공장생산함에 있어서 미리 그 보의 일단에 테두리보와 연결할 수 있는 소정의 전달연결부재(28)를 일체로 결합하여 생산하고 이 보의 전단연결부재(28)가 테두리보 구축용 거푸집(10) 내에 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테두리보 콘크리트(16)를 타설함으로써 테두리보의 구축과 보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거푸집 내 연결플레이트(14)의 사전 배치 →콘크리트 타설 →경화 →보의 연결플레이트에 대한 사후 현장용접으로 이루어진 시공순서를 거푸집 내에 전단연결부재(28)가 고정된 보의 단부 거치 →콘크리트 타설 →경화로 그 시공순서가 바뀐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시공순서의 변경에 의해 종래 센터파일(6) 또는 거더(7)와 테두리보 내에 매립된 연결플레이트(14) 사이의 간격이 공장생산된 보(20)의 길이와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보에 대한 사후적 길이편차(clearance) 보정작업, 예컨대용접이음작업 또는 용접절단작업의 필요성이 근원적으로 배제된다.
한편, 본 발명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바리 대신 까치발을 형성하는 특징 및 시공순서를 바꾸는 특징은 상호 유기적 관련성이 없는 독립적 특징들이므로 건물의 영구 수평구조부재인 보(20)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상기 두 특징은 그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컨대 종래처럼 동바리 시공을 하면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거푸집 내 전단연결부재가 용접된 보의 단부 거치 →콘크리트 타설 →경화의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또다른 일 특징에 따른 동바리 대신 까치발 시공을 하면서 종래처럼 거푸집 내 연결플레이트의 사전 배치 →콘크리트 타설 →경화 →보의 연결플레이트에 대한 현장용접의 시공순서를 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빌딩 지하구축물 공사시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두 특징을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구구조물 스트러트 공법 시공에 있어서는 전단연결부재(28)를 포함한 보(20)의 길이를 테두리보(18)와 센터파일(6) 또는 거더(7) 사이의 계산된 설계치수보다 소정길이만큼(예컨대, 종래 공법에서의 경험칙상 확인된 약 10mm 내지 20mm정도만큼) 더 길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은 테두리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미리 보의 일단을 테두리보 거푸집 내에 거치하는 것이어서 보의 길이가 더 길게 제작되더라도 그 추가된 길이는 테두리보 거푸집의 폭방향 너비공간(W) 내측으로 들여놓여지게 수용될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길이가 추가된 만큼 종래의 길이부족 문제도 당연히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본 발명에서는 테두리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보의 단부가 거푸집 바닥 위에 거치되는 것이므로 테두리보의 폭(W)도 보의 단부가 거푸집 바닥 위에 거치된 이후에 사후적으로 그 거푸집 폭을 가변하여 세울 수 있음으로써 보의 단부는 테두리보 내에 충분히 매립된 위치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c는 전단연결부재(28)가 결합된 보의 일단을 테두리보 거푸집(10) 내에 거치한 상태에서 필요한 보강철근(12))을 배근하는 단계(위 본 발명 제 5공정)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d는 거푸집(10) 내에 콘크리트(16)를 타설함으로써 흙막이벽(4), 테두리보(18) 및 보(20)가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전술한 본 발명 제6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보의 일단에 결합되는 전단연결부재(28)는 테두리보(18)와 보(20)를 효과적으로 일체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면, 그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또한 테두리보(18)의 흙막이벽(4)에 대한 결합력 증진 수단도 그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보(20)의 테두리보(18)에 대한 전단연결부재(28)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20)의 마구리를 막은 평플레이트(30)에 결합된 스터드볼트(32), 앵글(34), 스터드볼트(30) 앵글(34)의 결합, 이형철근(36)등이 될 수 있으며, 테두리보(18)의 흙막이벽(4)에 대한 결합력 증진 수단도 마찬가지로 스터드볼트, 앵글, 스터드볼트와 앵글의 결합, 이형철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 설명에 있어서 테두리보 구조를 철근콘크리트구조(RC 구조)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구조) 등도 당연히 가능하며 흙막이 벽에 대한 버팀대의 역할을 하는 보의 구조 역시 철골구조(S구조), RC구조 및 SRC 구조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테두리보 거푸집이 동바리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캔틸레버 방식의 까치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동바리를 받치기 위한 무근 콘크리트 의 타설, 경화, 해체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비용 및 장비를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테두리보가 양생될 때까지 동바리가 존치됨으로써 그만큼 하부층 터파기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해결되며 또한 동바리의 존재로 인한 각종 공사의 물리적 간섭도 배제할 수 있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의 작업성이 종래에 비해 훨씬 좋아지며 공기단축, 공사비절감의 효과가 있다.
둘째, 종래 거푸집 내 연결플레이트의 사전 배치 →콘크리트 타설 →경화 →보의 연결플레이트에 대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시공순서가 거푸집 내 전단연결부재가 부착된 보의 단부 배치 →콘크리트 타설 →경화로 그 시공순서가 바뀜으로써 종래 센터파일 또는 거더와 테두리보 내에 매립된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공장생산된 보의 길이와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사후적 길이편차(clearance) 보정작업 특히 용접이음 또는 용접절단작업의 필요가 없다.
셋째, 보를 현장에서 용접절단이나 용접덧댐이음 등과 같이 변경함이 없이 공장생산된 상태 그대로를 시공하는 것이므로 부재의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건물 경계선을 따라 흙막이벽을 설치하는 한편 평면설계에 따른 건물 기둥위치에 센터파일을 박는 제1공정과;
    1차 터파기한 후 흙막이벽의 내측에 접하여 제1테두리보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보의 일단을 올려놓기 위한 브라켓을 설치하는 제2공정과;
    상기 브라켓 위에 제1테두리보 성형용 거푸집을 세우는 제3공정과;
    일단에 전단연결부재가 고정된 보를 그 전단연결부재가 상기 테두리보 구축용 거푸집 내에 위치하도록 올려놓는 한편 보의 타단을 센터파일 또는 거더에 고정하는 제4공정과;
    상기 제1테두리보용 거푸집 내에 보강철근을 배근하는 제5공정과;
    상기 배근 및 보의 일단에 고정된 전단연결부재가 함께 매립되도록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흙막이벽, 테두리보 및 보가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제6공정과; 그리고
    상기 제2공정 내지 제6공정을 필요한 지하층수만큼 반복 수행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흙막이벽에 캔틸레버방식으로 고정된 까치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동바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벽은 토류판, 소일시멘트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다이아프램월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5. 건물 경계선을 따라 흙막이벽을 설치하는 한편 평면설계에 따른 건물 기둥위치에 센터파일을 박는 제1공정과;
    1차 터파기한 후 흙막이벽의 내측에 접하여 제1테두리보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보의 일단을 올려놓기 위한 까치발을 설치하는 제2공정과;
    상기 까치발 위에 제1테두리보 성형용 거푸집을 세우는 제3공정과;
    거푸집 내에 보 연결용 플레이트를 매립하고 보강철근을 배근하는 제4공정과;
    상기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제1테두리보를 흙막이벽에 대하여 일체화시키는 제5공정과;
    공장생산된 보에 대해 그 일단을 상기 센터파일 또는 거더에 그리고 타단을 상기 테두리보 내에 매립고정된 연결플레이트에 연결고정하여 흙막이벽, 테두리보 및 보가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제6공정과; 그리고,
    상기 제2공정 내지 제6공정을 필요한 지하층수만큼 반복 수행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2000-0040671A 2000-07-14 2000-07-14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0383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71A KR100383268B1 (ko) 2000-07-14 2000-07-14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71A KR100383268B1 (ko) 2000-07-14 2000-07-14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521A KR20020007521A (ko) 2002-01-29
KR100383268B1 true KR100383268B1 (ko) 2003-05-12

Family

ID=1967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671A KR100383268B1 (ko) 2000-07-14 2000-07-14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2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385B1 (ko) * 2004-09-17 2005-11-29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76853B1 (ko) * 2007-05-04 2008-12-31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테두리보용 데크판을 이용한 무지주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713674B1 (ko) 2015-11-05 2017-03-23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지하 외벽 누수방지를 위한 지하구조물 슬래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762B1 (ko) * 2004-09-11 2007-03-14 (주)엠씨에스공법 테두리보가 생략된 지하층의 슬래브-외벽 동시 타설구축방법
KR100766956B1 (ko) * 2005-04-11 2007-10-15 (주)에스피에스 지하 흙막이벽의 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 합벽의 구축공법
KR101101927B1 (ko) * 2009-02-13 2012-01-02 전금석 일부분을 pc화한 지하외벽 시공방법
KR101664668B1 (ko) * 2015-03-11 2016-10-13 (주)대우건설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CN112095662A (zh) * 2020-09-11 2020-12-18 何峰 一种涂料夹芯层ⅰ级防水地下叠合墙的施工方法
CN112392049A (zh) * 2020-10-20 2021-02-23 鲁亦楠 一种软弱地层深基坑开挖施工方法
CN112627232B (zh) * 2020-11-26 2022-03-25 中铁建工集团山东有限公司 一种增大地下室逆作法土方开挖空间支护结构和方法
CN113802568A (zh) * 2021-08-30 2021-12-17 北京工业大学 一种连接钢管内支撑与基坑围护结构的模袋混凝土-钢板组合节点
CN117905108B (zh) * 2024-03-19 2024-05-28 福建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人防建筑工程逆作法遇厚层含水沙层施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608A (ko) * 1998-11-26 1999-02-25 홍원기 가설 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합성 지하옹벽 설계방법 및 건축물 지하 옹벽 공사방법
KR19990078524A (ko) * 1999-01-13 1999-11-05 홍원기 가설흙막이벽용철골버팀대를영구구조물의일부로사용하는구조물구축방법
KR19990084043A (ko) * 1999-09-08 1999-12-06 김미진 버팀식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000058237A (ko) * 1999-10-30 2000-10-05 홍원기 영구 구조물의 일부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 구조물 구축방법
KR20000058238A (ko) * 1999-10-30 2000-10-05 홍원기 영구 구조체의 철근콘크리트 보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이용하는 지하 구조물 구축방법
KR20000058239A (ko) * 1999-10-30 2000-10-05 홍원기 영구 구조물의 일부를 토공사용 버팀대로 활용하는 공사방법을 이용한 구획식 공사방법
KR20010048073A (ko) * 1999-11-17 2001-06-15 우오현 콘크리트 흙막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608A (ko) * 1998-11-26 1999-02-25 홍원기 가설 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합성 지하옹벽 설계방법 및 건축물 지하 옹벽 공사방법
KR19990078524A (ko) * 1999-01-13 1999-11-05 홍원기 가설흙막이벽용철골버팀대를영구구조물의일부로사용하는구조물구축방법
KR19990084043A (ko) * 1999-09-08 1999-12-06 김미진 버팀식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000058237A (ko) * 1999-10-30 2000-10-05 홍원기 영구 구조물의 일부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 구조물 구축방법
KR20000058238A (ko) * 1999-10-30 2000-10-05 홍원기 영구 구조체의 철근콘크리트 보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이용하는 지하 구조물 구축방법
KR20000058239A (ko) * 1999-10-30 2000-10-05 홍원기 영구 구조물의 일부를 토공사용 버팀대로 활용하는 공사방법을 이용한 구획식 공사방법
KR20010048073A (ko) * 1999-11-17 2001-06-15 우오현 콘크리트 흙막이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385B1 (ko) * 2004-09-17 2005-11-29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76853B1 (ko) * 2007-05-04 2008-12-31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테두리보용 데크판을 이용한 무지주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713674B1 (ko) 2015-11-05 2017-03-23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지하 외벽 누수방지를 위한 지하구조물 슬래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521A (ko)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225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도심지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0788623B1 (ko) Pc기둥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
KR100969586B1 (ko)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1148272B1 (ko) 미끄럼 골거푸집(scf)을 활용한 지하실 하향공법
KR100531385B1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383268B1 (ko)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JP6855296B2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831332B1 (ko)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81303Y1 (ko) 흙막이벽과 슬래브간의 연결부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KR101051978B1 (ko) 피씨부재를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시공방법
KR20070052109A (ko) 슬림형 합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슬라브와 외벽의 동시 타설 및 지하 역타설 동시구축방법
KR200385376Y1 (ko)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0657655B1 (ko) 지반안정공법용 조립식 파일
KR100673475B1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70107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030065963A (ko) 관 구조 터널 건조공법
KR200383309Y1 (ko) 슬러리 벽이 적용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구조체
KR100912574B1 (ko) 조립식 버팀보를 이용한 흙막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터파기 방법
KR100903508B1 (ko)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시'형띠장 흙막이공법(='시'형띠장 흙막이공법)
JP2004027609A (ja) 地中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構造物
JP3671344B2 (ja) 基礎杭と柱脚部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640244B1 (ko)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KR102098141B1 (ko)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 지하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