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043B1 -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043B1
KR101262043B1 KR1020110060181A KR20110060181A KR101262043B1 KR 101262043 B1 KR101262043 B1 KR 101262043B1 KR 1020110060181 A KR1020110060181 A KR 1020110060181A KR 20110060181 A KR20110060181 A KR 20110060181A KR 101262043 B1 KR101262043 B1 KR 10126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plate
horizontal portion
fixing device
flang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40443A (ko
Inventor
정한욱
Original Assignee
(주) 아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인이앤씨 filed Critical (주) 아인이앤씨
Priority to KR102011006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43B1/ko
Publication of KR2012014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Resins including glasfi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평면 또는 만곡진 형상을 가지는 제1 수평부(110), 상기 제1 수평부(110)와 대향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 수평부(130), 상기 제2 수평부(130)와 대향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3 수평부(130), 상기 제1 수평부(110)의 한 말단부와 상기 제2 수평부(130)의 한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1 수직부(120) 및 상기 제2 수평부(130)의 다른 말단부와 상기 제3 수평부(150)의 한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2 수직부(140)를 포함하는 토류판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토류판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수평부(110), 상기 제1 수직부(120), 상기 제2 수평부(130), 상기 제2 수직부(140) 및 상기 제3 수평부(150) 모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그것들을 절단하였을 때 단면 형상이 'ㄹ'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수평부(110), 상기 제1 수직부(120) 및 상기 제2 수평부(130)에 의하여 토류판(200)이 끼워져서 결합하는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수평부(130), 상기 제2 수직부(140) 및 상기 제3 수평부(150)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와 반대 방향으로 H-파일(300)의 플랜지(320)가 삽입하는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토류판(200)을 상기 H-파일(30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Soil Retaining Plate Holder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Soil Retaining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막이를 위하여 H-파일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토류판은 구조물 등 터파기 공사를 할 때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인접지반의 안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즉 토류판은 흙막이 굴착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고 또한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토류판은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통상적으로는 제거하는 가시설재인데, 토사붕괴압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토류판은 통상적으로 철도목과 같은 강도가 큰 목재 및 강재로 형성되며, 최근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으로 되어 강도가 크면서도 경량인 토류판도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FRP 토류판의 사용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특허등록 제10-0664911호(2006년12월28일 등록), 특허등록 제10-0584075호(2006년05월22일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2766호(2011년03월30일 공개), 실용신안등록 제20-0249527호(2001년09월25일 등록) 등이 있다.
한편, 토류판은 버팀목 또는 쐐기를 이용하여 H-파일에 고정되기도 하지만, 특별히 고안된 고정장치에 의하여 H-파일의 플랜지 또는 웨브에 고정되기도 한다. 그러한 고정장치의 예들은 특허등록 제10-0736393호(2007년06월29일 등록), 특허등록 제10-0695035호(2007년03월08일 등록), 특허등록 제10-0770141호(2007년10월18일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396180호(2005년09월12일 등록) 등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이 제시한 토류판 고정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토류판 설치방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토류판 고정장치는 FRP로 된 경량 토류판에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흙막이를 위하여 H-파일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 FRP 토류판을 H-파일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류판 고정장치는 평면 또는 만곡진 형상을 가지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와 대향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와 대향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3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한 말단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한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다른 말단부와 상기 제3 수평부의 한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직부, 상기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3 수평부 모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그것들을 절단하였을 때 단면 형상이 'ㄹ'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에 의하여 토류판이 끼워져서 결합하는 토류판 결합 요입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3 수평부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와 반대 방향으로 H-파일의 플랜지가 삽입하는 플랜지 삽입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토류판을 상기 H-파일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제3 수평부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수평부는 상기 제3 수평부의 열려진 제1 말단부 쪽에서 상기 제2 수직부와 결합하는 상기 제3 수평부의 제2 말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수평부에 멀리 위치하는 형태의 경사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부는 상기 제1 수평부의 열려진 제1 말단부 쪽에서 상기 제1 수직부와 결합하는 상기 제1 수평부의 제2 말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수평부에 멀리 위치하는 형태의 경사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평부 또는 상기 제2 수평부에는 토류판과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 수평부의 제1 말단부는 상기 제1 수평부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있어 상기 H-파일의 플랜지가 삽입할 때 상기 플랜지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 또는 상기 플랜지 삽입 요입부에는 그 전체 또는 일부에 마찰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에 토류판을 끼워 결합시키고 또한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플랜지 삽입 요입부에 H-파일의 플랜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토류판을 상기 H-파일에 고정시키는 토류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토류판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된 것이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에는 상기 토류판의 파이프 두께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토류판은 돌출부와 요입부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에는 상기 토류판의 요입부의 파이프 두께가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토류판의 돌출부는 상기 H-파일의 플랜지와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은 상기 H-파일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류판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서 돌출부와 요입부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는 한쪽에서 상기 토류판의 돌출부와 접촉하고 다른쪽에서 상기 토류판의 요입부와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은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H-파일의 플랜지는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플랜지 삽입 요입부에 끼워져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토류판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또는 강재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H-파일의 플랜지는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플랜지 삽입 요입부에 끼워져서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에는 상기 토류판의 전체 두께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토류판은 목재로 형성되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제1 수평부 또는 상기 제2 수평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못, 볼트 또는 핀을 상기 토류판에 박음으로써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와 상기 토류판을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토류판은 돌출부와 요입부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에는 상기 토류판의 요입부의 전체 두께가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토류판의 돌출부는 상기 H-파일의 플랜지와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은 상기 H-파일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류판 고정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그것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토류판을 H-파일에 고정 및 해체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특히 본 발명의 토류판 고정장치는 표면에 돌출부와 요입부가 형성된 FRP 경량 토류판을 H-파일에 간단하게 고정 및 해체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경량 재료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선을 따라 수평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B-B' 선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토류판 고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또는 만곡진 형상을 가지는 제1 수평부(110), 제1 수평부(110)와 대향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 수평부(130), 제2 수평부(130)와 대향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3 수평부(130), 제1 수평부(110)의 제2 말단부(114)와 제2 수평부(130)의 한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1 수직부(120) 및 제2 수평부(130)의 다른 말단부와 제3 수평부(150)의 제2 말단부(154)를 연결하는 제2 수직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토류판 고정장치(100)는 제1 수평부(110), 제1 수직부(120), 제2 수평부(130), 제2 수직부(140) 및 제3 수평부(150) 모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그것들을 절단하였을 때 단면 형상이 'ㄹ' 형상을 가진다. 여기에서, 제1 수평부(110), 제1 수직부(120) 및 제2 수평부(130)에 의하여 토류판(200)이 끼워져서 결합하는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가 형성되고 또한 제2 수평부(130), 제2 수직부(140) 및 제3 수평부(150)에 의하여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와 반대 방향으로 H-파일(300)의 플랜지(320)가 삽입하는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가 형성되어 있어 토류판(200)을 H-파일(30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 및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는 그 전체 또는 일부에 마찰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마찰재로는 고무판, 실리콘 고무판 등과 같이 마찰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평부(110) 및 제2 수평부(130)는 제3 수평부(150)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평부(150)는 제3 수평부(150)의 열려진 제1 말단부(152) 쪽에서 제2 수직부(140)와 결합하는 제3 수평부(150)의 제2 말단부(154) 쪽으로 갈수록 제2 수평부(130)에 멀리 위치하는 형태의 경사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고, 또한 제1 수평부(110)는 제1 수평부(110)의 열려진 제1 말단부(112) 쪽에서 제1 수직부(120)와 결합하는 제1 수평부(110)의 제2 말단부(114) 쪽으로 갈수록 제2 수평부(130)에 멀리 위치하는 형태의 경사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구조에 의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토류판 및 H-파일의 플랜지가 삽입될 때 그것 자체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3 수평부(150)의 제1 말단부(152)는 제1 수평부(110)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있어, 즉 제1 말단부(152) 부분에는 제1 말단부 휨 영역(156)이 있어, H-파일의 플랜지(320)를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 삽입할 때 제1 말단부 휨 영역(156)은 플랜지(320)와 접촉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토류판 고정장치(100)를 H-파일의 플랜지에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1 수평부(110)의 제1 말단부(11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수평부(110)의 제1 말단부(112) 부분에는 제1 말단부 휨 영역이 있고, 토류판(200)을 삽입할 때 그 휨 영역은 토류판(200)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 2는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A-A' 선을 따라 절단한 수평으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B-B' 선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절단선인 B-B' 선은 도 3에도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토류판 고정장치(100)를 사용하여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파일(300)은 웨브(310)와 플랜지(320)로 구성되며, 두 개의 H-파일(300) 사이에 복수개의 토류판(200)이 적층되고 고정된다. 이때,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는 토류판(200)이 끼워져 결합되고 또한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는 H-파일의 플랜지(320)가 삽입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류판(200)은 속이 빈 중공부(230)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양 측면에는 돌출부(210)와 요입부(220)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그 상면에는 결합 돌부(240)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결합 홈부(250)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의 토류판(200)은 여러개가 상하로 적층되고 결합 돌부(240) 및 결합 홈부(250)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게 된다. 토류판(200)은 돌출부(210)와 요입부(220)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므로 매우 높은 표면 강도를 가지게 되어 지반붕괴를 저지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형상의 토류판(200)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러할 경우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경량으로 형성된다. 강재에 의하여 그러한 형상의 토류판(200)을 제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토류판에 비하여 중량이 많이 나가지만, 목재보다는 중량이 적게 나가므로 목재에 비해서는 유리할 수 있다.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는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파이프 두께와 결합한다.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돌출부(210)가 위치하고 이러한 토류판(200)의 돌출부(210)는 H-파일(300)의 플랜지(320)와 접촉한다. 즉,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높이는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가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와만 결합하고 토류판(200)의 돌출부(210)와는 접촉하지 않을 정도이고, 토류판 고정장치(100)는 제3 수평부(150)에서는 플랜지(320)와 접촉하지만 제2 수평부(130)에서는 플랜지(320)와 접촉하지 않고,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토류판(200)의 돌출부(210)가 플랜지(320)와 밀착됨으로써 토류판 고정장치(100), 토류판(200) 및 H-파일(300)이 교합함에 의하여 토류판(200)은 H-파일(300)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토류판(200)은 토류판 고정장치(100)를 매개로 H-파일(300)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또한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토류판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수평부(110) 및 제3 수평부(150)는 제2 수평부(130)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있어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 토류판(200)이 끼워지면 제1 수평부(110)의 탄성력에 의하여 토류판(200)은 토류판 고정장치(100)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 토류판(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 플랜지(320)가 삽입되면, 플랜지(320)는 토류판(200)의 돌출부(210)와 접촉하고 또한 제3 수평부(15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착됨으로써 플랜지(320)는 토류판(200)과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파이프 두께가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 결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형성하는 제1 수평부(110) 및 제2 수평부(130)는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형상에 맞게 제3 수평부(150)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져야 한다.
도 5는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 도 4와 같은 형식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3, 제4 및 제5 실시예들에 관한 도면들도 이와 같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토류판 고정장치(100)를 사용하여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에서 토류판(200)의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동일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토류판 설치구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것의 높이가 제1 실시예의 것보다 크며 또한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의 너비도 크고 그것을 이루는 제1 수평부(110) 및 제2 수평부(130)는 만곡진 형상이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토류판(200)의 돌출부(210)와 요입부(220)를 모두 수용하기 위하여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는 한쪽에서 토류판의 돌출부(210)와 접촉하고 다른쪽에서 토류판의 요입부(220)와 접촉함에 의하여 토류판(200)은 토류판 고정장치(100)와 결합한다. 즉, 토류판(200)은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와 결합한다. 이때, 그 결합방식은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 토류판(200)의 파이프 두께만큼이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토류판(200)의 돌출부(210)의 외표면에서부터 요입부(220)의 내표면까지의 두께만큼이 끼워져서 토류판(200)의 돌출부(210)와 요입부(220)가 함께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H-파일의 플랜지(320)는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 끼워져서 그 자체로 결합한다.
이러한 결과로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는 토류판(200)이 H-파일(300)의 플랜지(320)와 접촉하지 않아(화살표 표시 참조) 응력이 집중되므로 부재 파손 및 단면 손실이 발생하여 부재의 활용도(재활용율)가 떨어지고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높이를 더욱 크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 보완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제 도 6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토류판 고정장치(100)를 사용하여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류판(200)은 중공부(230)를 가지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실시예 1 및 2의 것과 동일하지만, 돌출부(210) 및 요입부(220)가 없는, 즉 양측면 표면이 평평한 통상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는 토류판(200)의 파이프 두께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제1 수평부(110) 및 제2 수평부(130)는 토류판(200)의 평평한 측면을 수용하기 때문에 만곡진 형상이 아니라 평평한 형상을 가져야 한다. 한편, H-파일의 플랜지(320)는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 끼워져서 그 자체로 결합한다.
이러한 결과로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는 토류판(200)이 H-파일(300)의 플랜지(320)와 접촉하지 않아(화살표 표시 참조) 응력이 집중되므로 부재 파손 및 단면 손실이 발생하여 부재의 활용도(재활용율)가 떨어지고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높이를 더욱 크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 보완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제 도 7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토류판 고정장치(100)를 사용하여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류판(200)은 속이 차고 양측면이 평평한 통상의 토류판의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토류판은 목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는 토류판(200)의 전체 두께, 즉 양 측면 간의 거리가 끼워져서 결합한다. 따라서, 제1 수평부(110) 및 제2 수평부(130)는 토류판(200)의 평평한 측면을 수용하기 때문에 만곡진 형상이 아니라 평평한 형상을 가져야 하고,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의 너비는 상기한 실시예들에 비하여 더욱 커야 한다. 한편, H-파일의 플랜지(320)는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 끼워져서 그 자체로 결합한다.
이러한 결과로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는 토류판(200)이 H-파일(300)의 플랜지(320)와 접촉하지 않아(화살표 표시 참조) 응력이 집중되므로 부재 파손 및 단면 손실이 발생하여 부재의 활용도(재활용율)가 떨어지고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높이를 더욱 크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 보완될 수 있다.
한편, 토류판(200)이 목재로 형성될 때,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제1 수평부(110) 또는 제2 수평부(130)에 하나 이상의 결합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그러한 결합공을 통하여 못, 볼트 또는 핀을 토류판(200)에 박음으로써 토류판 고정장치(100)와 토류판(2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을 취할 경우에는 제1 수평부(110)가 탄성을 가지지 않는 상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7에서는 속이 찬 목재 토류판을 예시하였지만, 제4 실시예는 속이 빈 강재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토류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토류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토류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도 8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토류판 고정장치(100)를 사용하여 토류판을 H-파일의 플랜지에 고정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류판(200)은 속이 차고 그 양 측면에는 돌출부(210)와 요입부(220)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는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전체 두께가 끼워져서 결합한다.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돌출부(210)가 위치하고 이러한 토류판(200)의 돌출부(210)는 H-파일(300)의 플랜지(320)와 접촉한다. 즉,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높이는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가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와만 결합하고 토류판(200)의 돌출부(210)와는 접촉하지 않을 정도이고, 토류판 고정장치(100)는 제3 수평부(150)에서는 플랜지(320)와 접촉하지만 제2 수평부(130)에서는 플랜지(320)와 접촉하지 않고,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토류판(200)의 돌출부(210)가 플랜지(320)와 밀착됨으로써 토류판 고정장치(100), 토류판(200) 및 H-파일(300)이 교합함에 의하여 토류판(200)은 H-파일(300)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토류판(200)이 속이 찬 형상이라는 점 그리고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의 너비가 더욱 크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두께가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 결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형성하는 제2 수평부(130)는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형상에 맞게 제3 수평부(150)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제1 수평부(110)는 반대편 측면에 있는 요입부(220)와 접촉하고 서로 반대편의 요입부들(220)은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제2 수평부(130)의 만곡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만곡진 형상을 가져야 한다.
한편, 도 8에서는 속이 찬 토류판을 예시하였지만, 제5 실시예는 속이 빈 섬유 강화 플라스틱 토류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토류판 고정장치 110: 제1 수평부
112: 제1 말단부 114: 제2 말단부
120: 제1 수직부 130: 제2 수평부
140: 제2 수직부 150: 제3 수평부
152: 제1 말단부 154: 제2 말단부
156: 제1 말단부 휨 영역 160: 토류판 결합 요입부
170: 플랜지 삽입 요입부 200: 토류판
210: 돌출부 220: 요입부
230: 중공부 240: 결합 돌부
250: 결합 홈부 300: H-파일
310: 웨브 320: 플랜지

Claims (14)

  1. 평면 또는 만곡진 형상을 가지는 제1 수평부(110), 상기 제1 수평부(110)와 대향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2 수평부(130), 상기 제2 수평부(130)와 대향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3 수평부(130), 상기 제1 수평부(110)의 한 말단부와 상기 제2 수평부(130)의 한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1 수직부(120) 및 상기 제2 수평부(130)의 다른 말단부와 상기 제3 수평부(150)의 한 말단부를 연결하는 제2 수직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부(110), 상기 제1 수직부(120), 상기 제2 수평부(130), 상기 제2 수직부(140) 및 상기 제3 수평부(150) 모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그것들을 절단하였을 때 단면 형상이 'ㄹ'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수평부(110), 상기 제1 수직부(120) 및 상기 제2 수평부(130)에 의하여 토류판(200)이 끼워져서 결합하는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수평부(130), 상기 제2 수직부(140) 및 상기 제3 수평부(150)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와 반대 방향으로 H-파일(300)의 플랜지(320)가 삽입하는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토류판(200)을 상기 H-파일(300)에 고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110) 및 상기 제2 수평부(130)는 상기 제3 수평부(150)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평부(150)는 상기 제3 수평부(150)의 열려진 제1 말단부(152) 쪽에서 상기 제2 수직부(140)와 결합하는 상기 제3 수평부(150)의 제2 말단부(154)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수평부(130)에 멀리 위치하는 형태의 경사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110)는 상기 제1 수평부(110)의 열려진 제1 말단부(112) 쪽에서 상기 제1 수직부(120)와 결합하는 상기 제1 수평부(110)의 제2 말단부(114)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수평부(130)에 멀리 위치하는 형태의 경사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평부(150)의 제1 말단부(152)는 상기 제1 수평부(110)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져 있어 상기 H-파일의 플랜지(320)가 삽입할 때 상기 플랜지(320)와 접촉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 또는 상기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는 그 전체 또는 일부에 마찰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고정장치.
  7. 제1항에서 제6항까지의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 토류판(200)을 끼워 결합시키고 또한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 H-파일의 플랜지(320)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토류판(200)을 상기 H-파일(300)에 고정시키는 토류판 설치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200)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된 것이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는 상기 토류판(200)의 파이프 두께에 해당하는 상기 토류판(200)의 한 측면 부분이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설치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200)은 양 측면에 돌출부(210)와 요입부(220)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는 상기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파이프 두께에 해당하는 상기 토류판(200)의 한 측면의 요입부(220)가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토류판(200)의 돌출부(210)는 상기 H-파일(300)의 플랜지(320)와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200)은 상기 H-파일(300)에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설치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200)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서 양 측면에 돌출부(210)와 요입부(220)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는 한쪽에서 상기 토류판의 돌출부(210)와 접촉하고 다른쪽에서 상기 토류판의 요입부(220)와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200)은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와 결합하고, 또한 상기 H-파일의 플랜지(320)는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 끼워져서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설치구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200)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또는 강재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설치구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H-파일의 플랜지(320)는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플랜지 삽입 요입부(170)에 끼워져서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에는 상기 토류판(200)의 전체 두께에 해당하는 상기 토류판(200)의 한 부분이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설치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200)은 목재로 형성되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제1 수평부(110) 또는 상기 제2 수평부(13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못, 볼트 또는 핀을 상기 토류판(200)에 박음으로써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와 상기 토류판(200)을 결합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설치구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200)은 양 측면에 돌출부(210)와 요입부(220)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토류판 고정장치(100)의 상기 토류판 결합 요입부(160)는 상기 토류판(200)의 요입부(220)의 전체 두께에 해당하는 상기 토류판(200)의 요입부(220) 부분이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토류판(200)의 돌출부(210)는 상기 H-파일(300)의 플랜지(320)와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토류판(200)은 상기 H-파일(300)에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 설치구조.
KR1020110060181A 2011-06-21 2011-06-21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KR10126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181A KR101262043B1 (ko) 2011-06-21 2011-06-21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181A KR101262043B1 (ko) 2011-06-21 2011-06-21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443A KR20120140443A (ko) 2012-12-31
KR101262043B1 true KR101262043B1 (ko) 2013-05-08

Family

ID=4790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181A KR101262043B1 (ko) 2011-06-21 2011-06-21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024B1 (ko) * 2018-02-22 2018-11-28 김혁경 가설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32082A (ko) 2017-09-19 2019-03-27 최해곤 토류판 지지구조체
KR102501684B1 (ko) * 2021-12-27 2023-02-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298B1 (ko) * 2017-11-30 2020-01-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류판용 지지클램프 및 h파일-지지클램프 조립체
KR102320661B1 (ko) * 2021-04-05 2021-11-02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건축물 건설을 위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320663B1 (ko) * 2021-04-05 2021-11-02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건축물 건설을 위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400792B1 (ko) * 2021-05-07 2022-05-23 (주)지오알앤디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KR102351272B1 (ko) * 2021-05-07 2022-01-14 (주)지오알앤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00795B1 (ko) * 2021-05-07 2022-05-23 (주)지오알앤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75046B1 (ko) * 2021-08-23 2022-12-06 윤현승 강관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27Y1 (ko) 2000-01-28 2000-06-15 김영래 고정장치를 가지는 흙막이옹벽
KR200295971Y1 (ko) 2002-08-23 2002-11-22 이정숙 만곡형 토류판 및 그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27Y1 (ko) 2000-01-28 2000-06-15 김영래 고정장치를 가지는 흙막이옹벽
KR200295971Y1 (ko) 2002-08-23 2002-11-22 이정숙 만곡형 토류판 및 그 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82A (ko) 2017-09-19 2019-03-27 최해곤 토류판 지지구조체
KR101923024B1 (ko) * 2018-02-22 2018-11-28 김혁경 가설용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501684B1 (ko) * 2021-12-27 2023-02-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443A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043B1 (ko)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KR100959300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594974B1 (ko) 복합보
KR101382609B1 (ko) 흙막이용 토류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6718709B2 (ja) 外装材の取付具及び建物の外装構造
KR100744192B1 (ko)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KR20130131836A (ko) 흙막이용 토류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93051Y1 (ko) 간이 흙막이 패널 조립구조
KR101136914B1 (ko) 건물 내부 기둥의 보강구조물 및 리모델링 공법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KR20110059937A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KR200409831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KR101352560B1 (ko) 고강도 아치통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54787B1 (ko) 콘크리트 거푸집널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20170118313A (ko)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KR101613430B1 (ko) 앵커형 frp층이 구비된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189870A (ja) まくら木
JP5002085B2 (ja) 誘導埋込み材及びそれを用いたひび割れ誘導構造
JP2004100149A (ja) まくら木
JP3961278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連設構造
KR200396179Y1 (ko) 내부보강재가 포함된 토류판
KR101157462B1 (ko) 기계적인 결합구조를 가지는 기설기둥의 내진 보강장치, 내진 보강구조 및 내진 보강방법
CN219175751U (zh) 一种楼地面保温隔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