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792B1 -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 Google Patents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792B1
KR102400792B1 KR1020210059071A KR20210059071A KR102400792B1 KR 102400792 B1 KR102400792 B1 KR 102400792B1 KR 1020210059071 A KR1020210059071 A KR 1020210059071A KR 20210059071 A KR20210059071 A KR 20210059071A KR 102400792 B1 KR102400792 B1 KR 102400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taining plate
hole
retaining
hol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근
Original Assignee
(주)지오알앤디
박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알앤디, 박이근 filed Critical (주)지오알앤디
Priority to KR102021005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57Shapes polygonal made from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판 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재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재는 심도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Description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Soil Wall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subterranean wall of structures equipped with ring supports}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축건물을 계획함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은 거의 필수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계획심도까지 터파기하기 위해서는 흙막이가시설을 시공하여야 한다. 흙막이가시설은 대지경계로부터 사업부지 내측으로 시공되어야 하고, 터파기를 완료한 후에는 흙막이가시설 내측에 지하구조물 본 벽체를 시공하여야 하므로 사업부지 지하공간이 흙막이가시설에 사용된 부지만큼 감소하게 된다. 이 공간은 부지의 최외측라인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 감소면적은 상당히 큰 편이다.
이러한 사항으로 인해 종래부터 실무자들은 흙막이가시설을 그대로 지하구조물의 본 벽체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보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터파기 방법에 대한 것과 본 벽체에 배근하여야 할 철근부재 설치의 부적정과 같은 문제점에 봉착하게 되어 이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해 온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에는 측면말뚝의 천공공간에서의 채움불량, 흙막이판을 설치하기 위해 측면말뚝과 측면말뚝 사이의 공간을 터파기 하는 과정에서 배면토의 이완, 여굴 발생, 여굴공간의 채움불량 등으로 배면지반이 침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버팀대의 압력에 의해 버팀대가 띠장을 밀게되며, 이에 따라 흙막이판재는 여굴공간으로 이동되어 배면 지반이 침하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지하 굴착과정에서 주변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고 있는 점에 역행하는 사실이어서 조속히 지하굴착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여야 하는 대책이 요구되는 사회적 현실이 있다는 점에 있어서 특히 본 특허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그리고 흙막이가시설을 본 구조물 벽체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지하공간 활용성이 낮아지는 단점도 있는데 본 특허기술에서는 이러한 부분도 보완되게 되어 장점이 큰 기술이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385028호 (2014.04.08)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774887호 (2017.08.30)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 판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과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과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은 심도 즉 토압의 크기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말뚝 시공 시 차수심도까지 설치되기 위한 홀형성말뚝부(100)와, 일측에 홀형성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1)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전면플랜지체결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흙막이판부재(300)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이 형성되며 'ㄹ'자 형태로 형성되는 판가이드(200)와, 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는 흙막이판부재(300)와,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와 수직하도록 체결되는 띠장(500)과,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를 통해 형성된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링버팀대지지부(700)와, 상기 링버팀대지지부(700)에 연결되되 다수개가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원형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H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와,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를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 사이에 위치하되 윗면과 밑면이 마름모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포함하고, 상기 홀형성말뚝부(100)는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다수개의 홀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홀형성웨브(112)를 포함하는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판 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재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재는 심도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홀형성말뚝부(100)의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홀형성말뚝부(100)의 기초지지부(120)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 사이에 흙막이판부재(300)가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판가이드(200), 흙막이판부재(300), 빈공간메움부재(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판가이드(2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링버팀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 터파기가 된 영역을 4각형으로 가정하였고, 최외곽 부분에서 안쪽으로 가해지는 토압을 견디기 위한 흙막이 벽체들이 4각둘레를 따라 형성된 구조물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 본 발명의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은 홀형성말뚝부(100), 판가이드(200), 흙막이판부재(300), 빈공간메움부재(400), 띠장(500), 띠장받침대(600), 링버팀대지지부(700), 링버팀대부(800),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형관통홀(112a)이 형성된 홀형성말뚝부(100)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며, 도 2는 타원형관통홀(112b)이 형성된 홀형성말뚝부(100)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에 관한 도면이며,도 6은 기초지지부(120)에 관한 도면이다.
홀형성말뚝부(100)는 말뚝 시공 시 차수심도까지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다수개의 홀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홀형성웨브(112)를 포함하는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와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기초지지부(120)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는 도 5(b)와 같이 원형관통홀(112a)이 형성된 홀형성웨브(112)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c)와 같이 타원형관통홀(112b)이 형성된 홀형성웨브(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는 일자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플랜지(111)와 배면플랜지(113) 사이에 위치하되 다수개의 홀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홀형성웨브(11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는 H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플랜지(111)는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플랜지이며, 배면플랜지(113)는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플랜지이다.
홀형성웨브(112)는 상기 전면플랜지(111)와 배면플랜지(113) 사이에 위치하며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홀형성웨브(112)는 원형관통홀(112a)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원형관통홀(112a)는 홀형성웨브(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타원형관통홀(112b)는 홀형성웨브(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원형관통홀(112a)과 타원형관통홀(112b)은 철근이 통과되기 위한 홀로서 홀형성말뚝부(100)로 철근이 관통되어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기초지지부(120)는 상기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두 개의 플랜지 사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두개의 웨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초지지부(120)는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 스터드(122),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3),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4), 하부지지판(125), 보강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는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두개의 웨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는 기초지지배출홀(121a)을 포함하며, 기초지지부배출홀(121a)은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양측 플랜지들 각각의 표면 일측과 양측 웨브들 각각의 표면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6(a)와 같이 각각의 플랜지들의 표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3개의 기초지지부배출홀(121a)이 형성되고 도 6(b)와 같이 각각의 웨브들의 표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3개의 기초지지부배출홀(121a)이 형성된다.
상기 기초지지배출홀(121a) 내부에 콘크리트 등 그라우팅이 기초지지부(120)의 내부에 주입되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이며 이와 반대로 기초지지부(120)의 내부로 콘크리트 등의 그라우팅이 주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스터드(122)는 플랜지들의 외부면 일측과 웨브들 외부면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3)는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상단에 위치하되 두개의 플랜지와 일측에 위치하는 웨브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것이다.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4)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과 연결되기 위한 말뚝이 체결되는 부분이며 소정 크기의 판상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면 미도시됨).
상기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3)와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4)는 상부면에 띠장(800)이 안착되기 위한 것이다.
하부지지판(125)은 상기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하단에 위치하되 소정 크기의 원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보강대(126)는 상기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를 지지하도록 일측면은 하부지지판(135)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타측면은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일측이 타측면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대(126)는 총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의 플랜지들과 양측의 웨브들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판가이드(200)는 일측에 홀형성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1)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전면플랜지체결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흙막이판부재(300)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이 형성되며 'ㄹ'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플랜지체결부(210)는 홀형성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1)의 일측이 수용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는 흙막이판부재(300)의 일측이 수용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9(b)는 도 9(a)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면, 상기 전면플랜지체결부(210)에 형성되는 공간 사이의 폭(h1)이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에 형성되는 공간 사이의 폭(h2)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h1<h2), 상기 전면플랜지체결부(210)에 형성된는 공간의 깊이(p1)는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에 형성되는 공간의 깊이(p2)보다 작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p1<p2).
이와 같이 판가이드(200)의 전면플랜지체결부(210)와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의 공간의 폭과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이유는 시공상의 편리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함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흙막이판부재(300)는 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흙막이판부재(300)는 흙막이판몸체부(310), 흙막이판지지대(320), 지지대고정부(330), 배면채움구멍마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흙막이판몸체부(310)는 소정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배면채움구멍(311)을 포함한다. 상기 배면채움구멍(311)은 상기 흙막이판몸체부(310)의 일측에 형성되되 지수제가 도포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흙막이판몸체부(310)는 배면채움구멍(3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면채움구멍(311)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여굴 발생시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지반을 보강할 수 있다.
흙막이판지지대(320)는 상기 흙막이판몸체부(310)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흙막이판(21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이 돌출된 산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측면에서 봤을 때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의 형태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1체결돌출부(321)는 판가이드(200)에 형성된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흙막이판지지대(320)의 일측 끝단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2체결돌출부(322)는 판가이드(200)에 형성된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흙막이판지지대(220)의 일측 끝단의 타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3체결돌출부(323)는 판가이드(200)에 형성된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흙막이판지지대(320)의 타측 끝단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4체결돌출부(324)는 판가이드(200)에 형성된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흙막이판지지대(320)의 타측 끝단의 타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지지대고정부(330)는 상기 흙막이판지지대(320)를 흙막이판몸체부(3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흙막이판지지대(320)의 외주면을 감싸되 양단이 흙막이판몸체부(310)에 맞닿아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고정부(330)는 지지대고정몸체부(331), 제1체결볼트(332), 제2체결볼트(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고정몸체부(331)는 일측이 흙막이판지지대(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흙막이판지지대(320)를 감싸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돌출된 고정판이 형성되는 것이다.
흙막이판지지대수용부(331a)는 흙막이판지지대(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흙막이판지지대(32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1고정판(331b)는 상기 흙막이판지지대수용부(331a)의 일측에 위치하되 흙막이판몸체부(310)와 만나도록 형성되고, 제1체결볼트(332)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홀(332b-1)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2고정판(331c)는 상기 흙막이판지지대수용부(331a)의 타측에 위치하되 흙막이판몸체부(310)와 만나도록 형성되고, 제2체결볼트(333)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홀(333b-1)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체결볼트(332)는 상기 지지대고정몸체부(331)의 제1고정판(331b)에 형성된 제1체결홀(332b-1)을 관통하여 흙막이판몸체부(31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2체결볼트(333)는 상기 지지대고정몸체부(331)의 제2고정판(331c)에 형성된 제2체결홀(332c-1)을 관통하여 흙막이판몸체부(31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배면채움구멍마개부(340)는 상기 흙막이판몸체부(310)의 배면채움구멍(311)을 막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배면채움구멍(311)을 막고 열 수 있도록 배면채움구멍(31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면채움구멍마개부(340)는 볼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면채움구멍(311)를 열고 막을때 볼트의 나사산으로 돌리어 열고 막을 수 있다.
빈공간메움부재(400)는 상기 판가이드(200)의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에 수용되되 흙막이판부재(300)가 수용되기 위한 것이다.
띠장(500)는 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와 수직하도록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띠장(500)은 띠장보강부(510)를 더 포함하며, 띠장보강부(510)는 상기 띠장(500)의 서로 이웃하는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되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띠장보강부(510)는 링버팀대지지부(700)와 만나는 위치의 부분에 형성된다.
띠장받침대(600)는 상기 띠장(500)을 지지하기 위해 띠장(500)의 하단에 부분의 홀형성말뚝부(100)에 체결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링버팀대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여 링버팀대지지부(700), 링버팀대부(800), 링버팀대연결부(900)를 설명한다.
링버팀대지지부(700)는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를 통해 형성된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링버팀대지지부(700)는 중심버팀대부(710), 제1경사버팀대부(720), 제2경사버팀대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심버팀대부(710)는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를 통해 형성된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제1경사버팀대부(720)는 상기 중심버팀대(710)의 일측과 링버팀대부(800)의 일측에 연결되되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제2경사버팀대부(730)는 상기 중심버팀대(710)의 타측과 링버팀대부(800)의 타측에 연결되되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링버팀대부(800)는 상기 링버팀대지지부(700)에 연결되되 다수개가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원형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H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링버팀대부(800)는 링버팀대보강부(810), 링버팀대연결보강부(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링버팀대보강부(810)는 상기 중심버팀대(7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링버팀대부(800)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링버팀대연결보강부(820)는 상기 링버팀대부(8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되 링버팀대부(800)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링버팀대연결부(900)는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를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 사이에 위치하되 윗면과 밑면이 마름모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링버팀대연결부(900)는 제1링버팀대연결경사부(910), 제2링버팀대연결경사부(9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링버팀대연결경사부(910)는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연결부(900)가 연결되어 원형형상을 만들도록 링버팀대부(800)와 연결되는 일측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2링버팀대연결경사부(920)는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연결부(900)가 연결되어 원형형상을 만들도록 링버팀대부(800)와 연결되는 타측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홀형성말뚝부
110 홀형성흙막이벽체부
111 전면플랜지
112 홀형성웨브
112a 원형관통홀
112b 타원형관통홀
113 배면플랜지
120 기초지지부
121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
121a 기초지지부배출홀
122 스터드
123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
124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
125 하부지지판
126 보강대
200 판가이드
210 전면플랜지체결부
220 흙막이판부재체결부
300 흙막이판부재
310 흙막이판몸체부
311 배면채움구멍
320 흙막이판지지대
321 제1체결돌출부
322 제2체결돌출부
323 제3체결돌출부
324 제4체결돌출부
330 지지대고정부
331 지지대고정몸체부
331a 흙막이판지지대수용부
331b 제1고정판
331c 제2고정판
332 제1체결볼트
333 제2체결볼트
340 배면채움구멍마개부
400 빈공간메움부재
500 띠장
510 띠장보강부
600 띠장받침대
700 링버팀대지지부
710 중심버팀대부
720 제1경사버팀대부
730 제2경사버팀대부
800 링버팀대부
810 링버팀대보강부
820 링버팀대연결보강부
900 링버팀대연결부
910 제1링버팀대연결경사부
920 제2링버팀대연결경사부

Claims (5)

  1. 말뚝 시공 시 차수심도까지 설치되기 위한 홀형성말뚝부(100)와,
    일측에 홀형성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1)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전면플랜지체결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흙막이판부재(300)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이 형성되며 'ㄹ'자 형태로 형성되는 판가이드(200)와,
    상기 판가이드(200)의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에 수용되되 흙막이판부재(300)가 수용되기 위한 빈공간메움부재(400)와,
    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는 흙막이판부재(300)와,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와 수직하도록 체결되는 띠장(500)과,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를 통해 형성된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링버팀대지지부(700)와,
    상기 링버팀대지지부(700)에 연결되되 다수개가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원형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H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와,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를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 사이에 위치하되 윗면과 밑면이 마름모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포함하고,

    상기 홀형성말뚝부(100)는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다수개의 홀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홀형성웨브(112)를 포함하는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와,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기초지지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기초지지부(120)는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두개의 웨브가 형성되는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와,
    플랜지들의 외부면 일측과 웨브들 외부면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는 스터드(122)와,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상단에 위치하되 두개의 플랜지와 일측에 위치하는 웨브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3)와,
    기초 콘크리트 바닥과 연결되는 말뚝이 체결되는 부분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4)와,
    상기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하단에 위치하되 소정 크기의 원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하부지지판(125)와,
    상기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를 지지하도록 일측면은 하부지지판(135)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타측면은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일측이 타측면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보강대(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2. 말뚝 시공 시 차수심도까지 설치되기 위한 홀형성말뚝부(100)와,
    일측에 홀형성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1)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전면플랜지체결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흙막이판부재(300)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이 형성되며 'ㄹ'자 형태로 형성되는 판가이드(200)와,
    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는 흙막이판부재(300)와,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와 수직하도록 체결되는 띠장(500)과,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를 통해 형성된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링버팀대지지부(700)와,
    상기 링버팀대지지부(700)에 연결되되 다수개가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원형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H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와,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를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 사이에 위치하되 윗면과 밑면이 마름모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포함하고,

    상기 홀형성말뚝부(100)는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다수개의 홀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홀형성웨브(112)를 포함하는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판부재(300)는
    소정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배면채움구멍(311)을 포함하는 흙막이판몸체부(310)와,
    상기 흙막이판몸체부(310)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흙막이판(21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이 돌출된 산모양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지지대(320)와,
    상기 흙막이판지지대(320)를 흙막이판몸체부(3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흙막이판지지대(320)의 외주면을 감싸되 양단이 흙막이판몸체부(310)에 맞닿아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고정부(330)와
    상기 흙막이판몸체부(310)의 배면채움구멍(311)을 막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배면채움구멍(311)을 막고 열 수 있도록 배면채움구멍(31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배면채움구멍마개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3. 말뚝 시공 시 차수심도까지 설치되기 위한 홀형성말뚝부(100)와,
    일측에 홀형성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1)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전면플랜지체결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흙막이판부재(300)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흙막이판부재체결부(220)이 형성되며 'ㄹ'자 형태로 형성되는 판가이드(200)와,
    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홀형성말뚝부(100)의 판가이드(200)에 끼움체결되는 흙막이판부재(300)와,서로 이웃하는 홀형성말뚝부(100)와 수직하도록 체결되는 띠장(500)과,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를 통해 형성된 원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링버팀대지지부(700)와,
    상기 링버팀대지지부(700)에 연결되되 다수개가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원형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H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버팀대부(800)와,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를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링버팀대부(800) 사이에 위치하되 윗면과 밑면이 마름모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버팀대연결부(900)를 포함하고,

    상기 홀형성말뚝부(100)는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다수개의 홀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홀형성웨브(112)를 포함하는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와,
    홀형성흙막이벽체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기초지지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기초지지부(120)는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두개의 웨브가 형성되는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와,
    플랜지들의 외부면 일측과 웨브들 외부면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는 스터드(122)와,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상단에 위치하되 두개의 플랜지와 일측에 위치하는 웨브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3)와,
    기초 콘크리트 바닥과 연결되는 말뚝이 체결되는 부분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24)와,
    상기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하단에 위치하되 소정 크기의 원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하부지지판(125)와,
    상기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를 지지하도록 일측면은 하부지지판(135)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타측면은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21)의 일측이 타측면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보강대(126)를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판부재(300)는
    소정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배면채움구멍(311)을 포함하는 흙막이판몸체부(310)와,
    상기 흙막이판몸체부(310)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흙막이판(21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이 돌출된 산모양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지지대(320)와,
    상기 흙막이판지지대(320)를 흙막이판몸체부(3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흙막이판지지대(320)의 외주면을 감싸되 양단이 흙막이판몸체부(310)에 맞닿아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고정부(330)와
    상기 흙막이판몸체부(310)의 배면채움구멍(311)을 막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배면채움구멍(311)을 막고 열 수 있도록 배면채움구멍(31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배면채움구멍마개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59071A 2021-05-07 2021-05-07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KR102400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71A KR102400792B1 (ko) 2021-05-07 2021-05-07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71A KR102400792B1 (ko) 2021-05-07 2021-05-07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792B1 true KR102400792B1 (ko) 2022-05-23

Family

ID=8180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071A KR102400792B1 (ko) 2021-05-07 2021-05-07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7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443A (ko) * 2011-06-21 2012-12-31 (주) 아인이앤씨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KR101274974B1 (ko) * 2012-10-11 2013-06-17 정택명 흙막이 겸용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112202A (ko) * 2012-04-03 2013-10-14 (주)지오알앤디 링 버팀대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KR101774887B1 (ko) 2016-10-06 2017-09-05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가변형 차수 강판 연속벽 흙막이 구조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40443A (ko) * 2011-06-21 2012-12-31 (주) 아인이앤씨 토류판 고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토류판 설치구조
KR20130112202A (ko) * 2012-04-03 2013-10-14 (주)지오알앤디 링 버팀대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KR101385028B1 (ko) 2012-04-03 2014-04-14 박이근 링 버팀대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KR101274974B1 (ko) * 2012-10-11 2013-06-17 정택명 흙막이 겸용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4887B1 (ko) 2016-10-06 2017-09-05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가변형 차수 강판 연속벽 흙막이 구조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269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US4718792A (en) Prefabricated retaining-wall elements for protection, consolidation and/or facing of excavations, ground anchor and assembly devices, and procedure for application of these elements and devices
KR100913569B1 (ko) 흙막이벽용 피에이치씨 파일
CN211773698U (zh) 一种桩锚支护结构
KR101011169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42667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0559978B1 (ko) 지중 물막이 또는 흙막이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또는 흙막이 시공방법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US4561804A (en) Earth retaining method
JP4663541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橋脚の耐震補強工法
KR101021915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2400792B1 (ko)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KR101078080B1 (ko) 지지말뚝과 지반보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225198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017979B1 (ko) 친환경 조경석 옹벽
KR102460370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2668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35127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68396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KR102400795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46626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00780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45385B1 (ko) 배수로가 형성된 옹벽패널 및 이 옹벽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