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672B1 -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672B1
KR102426672B1 KR1020210079976A KR20210079976A KR102426672B1 KR 102426672 B1 KR102426672 B1 KR 102426672B1 KR 1020210079976 A KR1020210079976 A KR 1020210079976A KR 20210079976 A KR20210079976 A KR 20210079976A KR 102426672 B1 KR102426672 B1 KR 102426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retaining
retaining plate
sha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근
Original Assignee
(주)지오알앤디
박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알앤디, 박이근 filed Critical (주)지오알앤디
Priority to KR102021007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판 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재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재는 심도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Description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축건물을 계획함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은 거의 필수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계획심도까지 터파기하기 위해서는 흙막이가시설을 시공하여야 한다. 흙막이가시설은 대지경계로부터 사업부지 내측으로 시공되어야 하고, 터파기를 완료한 후에는 흙막이가시설 내측에 지하구조물 본 벽체를 시공하여야 하므로 사업부지 지하공간이 흙막이가시설에 사용된 부지만큼 감소하게 된다. 이 공간은 부지의 최외측라인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 감소면적은 상당히 큰 편이다.
이러한 사항으로 인해 종래부터 실무자들은 흙막이가시설을 그대로 지하구조물의 본 벽체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보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터파기 방법에 대한 것과 본 벽체에 배근하여야 할 철근부재 설치의 부적정과 같은 문제점에 봉착하게 되어 이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해 온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에는 측면말뚝의 천공공간에서의 채움불량, 흙막이판을 설치하기 위해 측면말뚝과 측면말뚝 사이의 공간을 터파기 하는 과정에서 배면토의 이완, 여굴 발생, 여굴공간의 채움불량 등으로 배면지반이 침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버팀대의 압력에 의해 버팀대가 띠장을 밀게되며, 이에 따라 흙막이판재는 여굴공간으로 이동되어 배면 지반이 침하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지하 굴착과정에서 주변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고 있는 점에 역행하는 사실이어서 조속히 지하굴착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여야 하는 대책이 요구되는 사회적 현실이 있다는 점에 있어서 특히 본 특허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그리고 흙막이가시설을 본 구조물 벽체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지하공간 활용성이 낮아지는 단점도 있는데 본 특허기술에서는 이러한 부분도 보완되게 되어 장점이 큰 기술이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420782호 (2014.07.11)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774887호 (2017.08.30)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 판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과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과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은 심도 즉 토압의 크기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전면플랜지(110)와 배면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는 H형상의 H말뚝부(100)와, 상부면이 H말뚝부(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H말뚝의 하단이 수용되어 결합되되 소정 크기의 관형태로 형성되는 기초말뚝부(200)와,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의 일측과 웨브(12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되 소정의 관 형태로 형성되는 그라우트주입관(300)과,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의 타측과 웨브(120)의 타측 사이에 위치하되 소정의 관 형태로 형성되는 공기배출관(400)과, 서로 이웃하는 H말뚝부(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H말뚝부(100)의 판가이드(60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H말뚝부(100)의 판가이드(600)에 끼움체결되는 흙막이판부재(500)와, 일측에 흙막이판부재(500)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흙막이판수용부(600a)가 형성되며 타측에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말뚝수용부(600b)가 형성되며 'ㄹ'자 형태로 형성되는 판가이드(600)를 포함하고, 상기 H말뚝부(100)의 웨브(120)는 소정 간격으로 소정의 공간인 제1홀(121)이 상부에서부터 하부 일측까지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흙막이판부재(500)는 소정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몸체부(510)와, 상기 흙막이판몸체부(51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이 돌출된 산모양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지지대(520)와, 상기 흙막이판지지대(520)를 흙막이판몸체부(5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흙막이판지지대(520)의 외주면을 감싸되 양단이 흙막이판몸체부(510)에 맞닿아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판지지대고정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판가이드(600)는 판가이드(600)의 흙막이판수용부(600a)의 상부 일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그라우트주입부(6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판 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재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재는 심도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H말뚝부(100), 기초말뚝부(200), 그라우트주입관(300), 공기배출관(3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H말뚝부(100)를 일부 확대한 도면이며 도 4(b)는 기초말뚝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서로 이웃하는 H말뚝부(100) 사이에 흙막이판부재(500)가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흙막이판부재(500)의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흙막이판부재(5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4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 5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7는 실시예 5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 6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6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이하,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흙막이벽체시스템은 H말뚝부(100), 기초말뚝부(200), 그라우트주입관(300), 공기배출관(400), 흙막이판부재(500), 판가이드(600), 흙막이판고정부재(700), 띠장(800), 버팀대(900), 제1보강대(1000), 제2보강대(1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H말뚝부(100), 기초말뚝부(200), 그라우트주입관(300), 공기배출관(40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는 H말뚝부(100)를 일부 확대한 도면이며 도 4(b)는 기초말뚝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H말뚝부(100)는 서로 마주보는 전면플랜지(110)와 배면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는 통상적인 H형상의 말뚝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H말뚝부(100)는 웨브(120)에 특징이 있으며, 웨브(120)는 소정 간격으로 소정의 공간인 제1홀(121)이 상부에서부터 하부 일측까지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3(c)를 참고하면 제1홀(121)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1홀(121)은 사각 형상의 공간으로서 판상과 소정의 공간이 교차되어 웨브(120)를 형성시킨다.
상기 웨브(120)에 형성된 제1홀(121) 외에 제2홀(122), 제3홀(123)과 같이 다른 모양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도 11, 도 13 참고).
도 11을 참고하면 제2홀(122)은 소정 크기의 마름모꼴 형태로 형성되되 웨브(1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10은 제2홀(122)이 형성된 H말뚝부(100)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에관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3홀(123)은 소정 크기의 원형 형태로 형성되되 웨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11은 제3홀(123)이 형성된 H말뚝부(100)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고하면 기초말뚝부(200)는 상기 상부면이 H말뚝부(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H말뚝의 하단이 수용되어 결합되되 소정 크기의 관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초말뚝부(200)는 H말뚝부(100)가 수용되기 위한 H말뚝부수용부(210)와 그라우트주입관(300)이 수용되기 위한 그라우트주입관수용부(220)와 공기배출관(400)이 수용되기 위한 공기배출관수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말뚝부수용부(210)는 H말뚝부(100)의 하단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H형상의 관통홀이 기초말뚝부(200)의 상단에 형성되며, H말뚝부(100)의 하단 일부가 H말뚝부수용부(210)를 관통하여 기초말뚝부(200) 내로 수용되도록 한다.
그라우트주입관수용부(220)는 그라우트주입관(300)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이 기초말뚝부(200)의 상단에 형성되며,그라우트주입관(300)의 하단 일부가 그라우트주입관수용부(220)를 관통하여 기초말뚝부(200) 내로 수용되도록 한다.
공기배출관수용부(230)는 공기배출관(400)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이 기초말뚝부(200)의 상단에 형성되며,공기배출관(400)의 하단 일부가 공기배출관수용부(230)를 관통하여 기초말뚝부(200) 내로 수용되도록 한다.
도 3(b), 도 3(c)는 H말뚝부(100)와 기초말뚝부(200)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d)는 기초말뚝부(200), 그라우트주입관(300), 공기배출관(400)이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라우트주입관(300)은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의 일측과 웨브(12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되 소정의 관 형태가 웨브(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공기배출관(400)은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의 타측과 웨브(120)의 타측 사이에 위치하되 소정의 관 형태가 웨브(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그라우트주입관(300)은 그라우트가 주입되기 위한 관이며, 그라우트주입관(300)으로 그라우트가 주입될 때 H말뚝부(100)와 기초말뚝부(200) 내에 잔존되어 있던 공기가 공기배출관(400)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흙막이판부재(500)를 설명한다.
흙막이판부재(500)는 서로 이웃하는 H말뚝부(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H말뚝부(100)의 판가이드(60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H말뚝부(100)의 판가이드(600)에 끼움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흙막이판부재(500)는 흙막이판몸체부(510), 흙막이판지지대(520), 판지지대고정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흙막이판몸체부(510)는 소정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흙막이판몸체부(510)는 서로 이웃하는 H말뚝부(100) 사이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H말뚝부(1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흙막이판지지대(520)는 상기 흙막이판몸체부(510)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흙막이판몸체부(51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이 돌출된 산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측면에서 봤을 때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지지대고정부(530)는 상기 흙막이판지지대(520)를 흙막이판몸체부(5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흙막이판지지대(520)의 외주면을 감싸되 양단이 흙막이판몸체부(510)에 맞닿아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판지지대고정부(530)는 흙막이판지지대수용부(531), 제1고정판(532), 제2고정판(533), 제1체결부(534), 제2체결부(5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흙막이판지지대수용부(531)는 흙막이판지지대(5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흙막이판지지대(52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1고정판(532)은 상기 흙막이판지지대수용부(531)의 일측에 위치하되 흙막이판몸체부(510)와 만나도록 형성되고, 제1체결부(534)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홀(532a)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2고정판(533)은 상기 흙막이판지지대수용부(531)의 타측에 위치하되 흙막이판몸체부(510)와 만나도록 형성되고, 제2체결부(535)가 관통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홀(532a)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체결부(534)는 상기 판지지대고정부(530)의 제1고정판(532)에 형성된 제1체결홀(532a)을 관통하여 흙막이판몸체부(51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2체결부(535)는 상기 판지지대고정부(530)의 제2고정판(533)에 형성된 제2체결홀(533a)을 관통하여 흙막이판몸체부(510)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판가이드(600)는 일측에 흙막이판부재(500)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흙막이판수용부(600a)가 형성되며 타측에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말뚝수용부(600b)가 형성되며 'ㄹ'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흙막이판수용부(600a)는 흙막이판부재(500)가 체결되기 위한 목적이며, 흙막이판부재(500)가 흙막이판수용부(600a)에 체결된 후 발생되는 빈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할 수 있으며 빈 공간(eh 이 생기지 않을 경우
상기 판가이드(600)는 제1그라우트주입부(6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그라우트주입부(610)는 판가이드(600)의 흙막이판수용부(600a)의 상부 일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그라우트주입부(610)로 그라우트가 주입됨으로서 판가이드(600)와 흙막이판부재(500)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하여 차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판가이드(600)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 형성되며, 흙막이판수용부(600a)와 말뚝수용부(600b)를 포함하여 'ㄹ'자 형태로 형성되는 형태는 동일하며 일부 형태가 변형되어 형성된다.
도 7의 실시예 2에 따른 판가이드(600)는 제2그라우트주입부(620)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제2그라우트주입부(620)는 판가이드(600)의 흙막이판수용부(600a)의 상부 일측에 산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그라우트주입부(620)로 그라우트가 주입됨으로서 판가이드(600)와 흙막이판부재(500)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하여 차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그라우트주입부(620)는 제1그라우트주입부(610)와 형태만 차이나며 이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실시예3에 따른 판가이드(600)는 제1그라우트주입부(610)와 스토퍼(630)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스토퍼(630)는 판가이드(600)의 말뚝수용부(600b)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되 말뚝수용부(600b)의 수용공간 방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630)는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가 판가이드(600)의 말뚝수용부(600b)에 수용되는 범위를 한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가 수용된 부분의 스토퍼(630)의 맞은편의 말뚝수용부(600b)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시키고 상기 제1그라우트주입부(610)로 그라우트가 주입됨으로서 판가이드(600)와 흙막이판부재(500)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 4에 따른 판가이드(600)는 제1그라우트주입부(610)와 제3그라우트주입부(640)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3그라우트주입부(640)는 판가이드(600)의 말뚝수용부(600b)의 하부 일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그라우트주입부(610)로 그라우트가 주입됨으로서 판가이드(600)와 흙막이판부재(500)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하고 제3그라우트주입부(640)로 그라우트가 주입됨으로서 전면플랜지(110)와 판가이드(600)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하여 차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흙막이판고정부재(700)는 상기 판가이드(600)의 흙막이판수용부(600a)의 내부에 수용되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흙막이판고정부재(700)는 판가이드(600)의 흙막이판수용부(600a)의 내부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갯수가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흙막이판부재(500)가 판가이드(600)에 수용된 상태에서 흙막이판부재(500)의 흙막이판지지대(520)를 기준으로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서로 이웃하는 H빔말뚝부(100)와 수직하도록 띠장(800)이 설치된다.
상기 띠장(800)은 H빔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플랜지 사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판상 형상의 띠장보강대(810)가 형성되어 띠장(800)을 보강시킬 수 있다.
버팀대(900)는 띠장(800)의 일측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되 띠장(800)과 버팀대(900)가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H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보강대(1000)과 제2보강대(1100)는 버팀대(900)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제1보강대(1000)의 일단은 버팀대(900)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띠장(800)의 일측과 연결되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보강대(1100)의 일단은 버팀대(90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띠장(800)의 타측과 연결되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버팀대(900)가 띠장(8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한다.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은 제1홀(121)을 포함하는 H말뚝부(100), 제2홀(122)을 포함하는 H말뚝부(100), 제3홀(123)을 포함하는 H말뚝부(100)에 보강부재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제1홀(121)이 형성되는 웨브(120)와 제1보강부재(150)를 포함하는 H말뚝부(100)를 포함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4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실시예 4의 H말뚝부(100)는 서로 마주보는 전면플랜지(110)와 배면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는 H형상의 말뚝으로서, 상기 웨브(120)는 소정 간격으로 소정의 공간인 제1홀(121)이 상부에서부터 하부 일측까지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H말뚝부(100)는 제1보강부재(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보강부재(150)는 제1홀(121)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웨브(120)의 제1홀(121)에 수용되되, 사각 형상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부재(150)는 H말뚝부에 형성된 제1홀(121)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도 16은 실시예 5에 따른 제2홀(122)이 형성되는 웨브(120)와 제2보강부재(160)를 포함하는 H말뚝부(100)를 포함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 5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실시예 5의 H말뚝부(100)는 서로 마주보는 전면플랜지(110)와 배면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는 H형상의 말뚝으로서, 상기 웨브(120)는 소정 크기의 마름모꼴 형태로 형성되는 제2홀(122)이 소정 간격으로 상부에서부터 하부 일측까지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H말뚝부(100)는 제2보강부재(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보강부재(160)는 상기 웨브(120)의 제2홀(122)과 대응되도록 마름모꼴 형태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보강부재(160)가 제2홀(122)에 수용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2보강부재(160)는 H말뚝부에 형성된 제2홀(122)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도 18은 실시예 6에 따른 제3홀(123)이 형성되는 웨브(120)와 제3보강부재(170)를 포함하는 H말뚝부(100)를 포함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6에 적용되는 H말뚝부(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실시예 5의 H말뚝부(100)는 서로 마주보는 전면플랜지(110)와 배면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는 H형상의 말뚝으로서, 상기 웨브(120)는 소정 크기의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3홀(123)이 소정 간격으로 상부에서부터 하부 일측까지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H말뚝부(100)는 제3보강부재(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보강부재(170)는 상기 웨브(120)의 제3홀(123)과 대응되도록 원형 형태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보강부재(170)가 제3홀(123)에 수용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3보강부재(170)는 H말뚝부에 형성된 제3홀(123)을 보강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H말뚝부
110 전면플랜지
120 웨브
121 제1홀
122 제2홀
123 제3홀
130 배면플랜지
150 제1보강부재
160 제2보강부재
170 제3보강부재
200 기초말뚝부
300 그라우트주입관
400 공기배출관
500 흙막이판부재
510 흙막이판몸체부
520 흙막이판지지대
530 판지지대고정부
531 흙막이판지지대수용부
532 제1고정판
533 제2고정판
534 제1체결부
535 제2체결부
600 판가이드
600a 흙막이판수용부
600b 말뚝수용부
610 제1그라우트주입부
620 제2그라우트주입부
630 스토퍼
640 제3그라우트주입부
700 흙막이판고정부재
800 띠장
900 버팀대
1000 제1보강대
1100 제2보강대

Claims (5)

  1. 서로 마주보는 전면플랜지(110)와 배면플랜지(130) 사이에 웨브(120)가 위치하는 H형상의 H말뚝부(100)와,
    상부면이 H말뚝부(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H말뚝의 하단이 수용되어 결합되되 소정 크기의 관형태로 형성되는 기초말뚝부(200)와,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의 일측과 웨브(12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되 소정의 관 형태로 형성되는 그라우트주입관(300)과,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의 타측과 웨브(120)의 타측 사이에 위치하되 소정의 관 형태로 형성되는 공기배출관(400)과,
    서로 이웃하는 H말뚝부(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H말뚝부(100)의 판가이드(60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H말뚝부(100)의 판가이드(600)에 끼움체결되는 흙막이판부재(500)와,
    일측에 흙막이판부재(500)의 일측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흙막이판수용부(600a)가 형성되며 타측에 H말뚝부(100)의 전면플랜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소정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는 말뚝수용부(600b)가 형성되며 'ㄹ'자 형태로 형성되는 판가이드(600)를 포함하고,

    상기 H말뚝부(100)의 웨브(120)는 소정 간격으로 소정의 공간인 제1홀(121)이 상부에서부터 하부 일측까지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흙막이판부재(500)는
    소정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몸체부(510)와,
    상기 흙막이판몸체부(510)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이 돌출된 산모양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지지대(520)와,
    상기 흙막이판지지대(520)를 흙막이판몸체부(5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흙막이판지지대(520)의 외주면을 감싸되 양단이 흙막이판몸체부(510)에 맞닿아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판지지대고정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판가이드(600)는
    판가이드(600)의 흙막이판수용부(600a)의 상부 일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그라우트주입부(6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가이드(600)는
    판가이드(600)의 말뚝수용부(600b)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되 말뚝수용부(600b)의 수용공간 방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6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가이드(600)는
    판가이드(600)의 말뚝수용부(600b)의 하부 일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그라우트주입부(6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가이드(600)의 흙막이판수용부(600a)의 내부에 수용되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고정부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말뚝부(100)는
    제1홀(121)에 수용되도록 제1홀(121)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 형태의 제1보강부재(150)를 포함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0210079976A 2021-06-21 2021-06-21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26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976A KR102426672B1 (ko) 2021-06-21 2021-06-21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976A KR102426672B1 (ko) 2021-06-21 2021-06-21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672B1 true KR102426672B1 (ko) 2022-08-04

Family

ID=8283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976A KR102426672B1 (ko) 2021-06-21 2021-06-21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6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318B1 (ko) * 2022-11-15 2024-01-11 주식회사 필드원 시공, 철거 및 재설치가 용이한 에어돔 시스템
KR102628744B1 (ko) * 2022-11-15 2024-01-24 주식회사 필드원 에어돔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82B1 (ko) 2013-12-30 2014-07-1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1774887B1 (ko) 2016-10-06 2017-09-05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가변형 차수 강판 연속벽 흙막이 구조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82B1 (ko) 2013-12-30 2014-07-1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1774887B1 (ko) 2016-10-06 2017-09-05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가변형 차수 강판 연속벽 흙막이 구조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318B1 (ko) * 2022-11-15 2024-01-11 주식회사 필드원 시공, 철거 및 재설치가 용이한 에어돔 시스템
KR102628744B1 (ko) * 2022-11-15 2024-01-24 주식회사 필드원 에어돔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67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0927186B1 (ko) 흙막이 및 차수용 연속 벽체 시공방법
KR101011169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351269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0559978B1 (ko) 지중 물막이 또는 흙막이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또는 흙막이 시공방법
KR101141526B1 (ko) 압력 그라우팅공법
KR101021915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1078080B1 (ko) 지지말뚝과 지반보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225198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627403B1 (ko) 고무튜브를 이용한 건축공사용 토류판 구조
KR102400792B1 (ko) 링버팀대를 구비한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시스템
KR102460370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46626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0476839B1 (ko)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021913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2400795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35127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2668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468396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JP2002371529A (ja) 遊水室を有する水域構造物
KR102400780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5256571A (ja) 連続壁体とその構築方法
KR102440977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7170115A (ja) 抑止機能付集排水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