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777B1 - 리튬의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리튬의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777B1
KR102497777B1 KR1020220095601A KR20220095601A KR102497777B1 KR 102497777 B1 KR102497777 B1 KR 102497777B1 KR 1020220095601 A KR1020220095601 A KR 1020220095601A KR 20220095601 A KR20220095601 A KR 20220095601A KR 102497777 B1 KR102497777 B1 KR 10249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solution
phosphate
deammonia
ammonium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석
이주영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헌
Priority to KR102022009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12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lkaline solutions
    • C22B3/1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lkaline solutions containing ammonia or ammonium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고순도의 리튬을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는 리튬의 회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1)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과 암모늄염 수용액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은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의 회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튬의 회수방법{METHOD OF RECOVERING LITHIUM}
본 발명은 리튬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차전지 폐기물로부터 높은 회수율로 고순도의 리튬을 회수할 수 있는 리튬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일차전지와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차전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차전지 중 전극에 사용되는 재료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구분되며, 상기 재료는 분리막의 양면에 각각 코팅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충전과 방전을 거치면서 리튬 이온이 이동하는 메커니즘이 진행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은 전이금속의 3상계와 인산철계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전기차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양극 활물질로 LTO(Li14Ti15O12), LCO(LiCoO2), NCM(Li[Ni,Co,Mn]O2), NCA(Li[Ni,Co,Al]O2), LMO(LiMn2O4), LFP(LiFePO4), LCP(LiCoPO4, lithium cobalt phosph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예: LFP)은 저렴한 가격과 사용 시의 안전성을 앞세워 카본 코팅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로 모바일 이차전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은 정격전압 및 만충 전압이 다른 전이금속에 비해 낮고 리튬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리튬의 회수 가치가 더욱 큰 편이다.
한편, 3상계 양극 활물질의 경우 유가금속 회수의 경제성이 클 뿐만 아니라, 리튬 역시 Li2O 형의 화합물이어서 회수가 용이하고 양극재 회수 방법 공정에서 회수가 가능하여 많은 실용화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은 회수의 실용화 및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양극 활물질은 비점이 높아 고열(예: 800℃ 이상)이 필요하고 인산의 분해로 설비 부식 및 환경오염의 우려가 큰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리튬의 회수 방식 중 하나인 습식 회수 방식은 철분의 함량이 높아 처리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여 공정 대비 회수비용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경제적 가치가 낮아져 실용화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로부터 고순도의 리튬을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는 리튬의 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고 간단한 공정으로 공정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경제적인 리튬의 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튬의 회수방법에서 수득된 인산철 슬러지를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로 재사용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리튬의 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리튬의 회수방법으로 제조된 리튬 함유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1)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과 암모늄염 수용액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은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의 회수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단계는, 70 내지 100℃에서 300 내지 800rpm의 교반 속도로 1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에 대한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의 고액비는, 1:3 내지 1:6(w/v)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은,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수산화암모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모늄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암모늄염의 농도는 0 초과 30 이하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2) 상기 (S1) 단계의 결과물을 여과하여 슬러지 및 여액(filtrate)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러지는 건조된 후 이차전지용 양극재의 원료로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3) 상기 여액의 pH를 8 내지 14로 조정하는 단계 및 (S4) 상기 pH가 조정된 여액을 가열하여 탈암모니아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5-a1)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를 1 내지 6으로 조정하는 단계 및 (S5-a2) 상기 pH가 조정된 탈암모니아 용액에 탄산염을 첨가하여 탄산리튬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5-b1)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에 인산염을 첨가하여 인산리튬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산염이 첨가된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는 1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상적인 산업 설비 조건 하에서 고순도의 리튬을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고 인산철이 함유된 슬러지를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재료로 재사용할 수 있는 리튬의 회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업의 과도한 설비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현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차전지용 인산철계 양극재의 재자원화가 실현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원료 암모늄염의 재사용화로 생산비 절감도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표 1에 따른 조성을 갖는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으로 수득된 인산리튬만 침출된 수용액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으로 회수된 인산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으로 회수된 탄산리튬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1)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과 암모늄염 수용액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은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의 회수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은 다른 양극 활물질과 달리, 비점이 높아 800℃ 이상의 고열이 필요하고 인산의 분해로 설비 부식 및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과 암모늄염 수용액을 교반함으로써, 인산리튬을 암모늄염 수용액에 용해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산리튬은 암모늄염과 배위결합하여 착물(complex)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인산철은 암모늄염과의 반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고체 상태로 잔존하여 슬러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상적인 산업 설비 조건 하에서 고순도의 리튬을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고 인산철이 함유된 슬러지를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재료로 재사용할 수 있는 리튬의 회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업의 과도한 설비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현재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이차전지용 인산철계 양극재의 재자원화가 실현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원료 암모늄염의 재사용화로 생산비 절감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S1) 단계: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과 암모늄염 수용액을 교반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1)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과 암모늄염 수용액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은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을 이용하여 리튬을 회수함으로써, 환경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과도한 설비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현재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이차전지용 인산철계 양극재의 재자원화의 실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에 포함된 인산리튬은 암모늄염에 쉽게 용해되어 암모늄염과 배위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물(complex)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은 리튬코발트산화물(LiCoO2)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양극 활물질과 달리 리튬의 함량이 높고 인산리튬의 융점이 약835℃에 해당하여 열에 의한 분해가 어렵고 산 용해 후 인산철의 분리 조작이 복잡하여 산업 실용화가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다. 즉,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은 다른 종류의 양극 활물질과 달리 정격전압 및 만충전압이 다른 전이금속에 비해 낮고, 리튬의 함량이 높은 특성을 갖고 있어 리튬의 회수 가치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과 암모늄염 수용액의 반응은 액상 침출 반응으로, 기상 반응과 달리 인산철 등의 용해 반응 없이 인산리튬 또는 탄산리튬을 선택적으로 침출시키는 반응 선택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러한 액상 침출 반응은 인산철계 배터리에 최적화된 방법으로 에너지, 환경 및 작업성 측면에서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은 LFP(LiFePO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는 70 내지 100℃에서 300 내지 800rpm의 교반 속도로 1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80 내지 90℃에서 400 내지 700rpm의 교반 속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80 내지 85℃에서 500 내지 600rpm의 교반 속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S1) 단계는 암모늄염 수용액과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단계로, 암모늄염 수용액을 통해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에서 오직 인산리튬만 침출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의 반응온도, 교반속도 및 반응시간이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에서 인산리튬의 침출 반응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교반기가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회전식 교반기 또는 전자석 회전 교반기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에 대한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의 고액비는 1:3 내지 1:6(w/v)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4 내지 1:6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1:5 내지 1:6일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에 대한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의 고액비가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에서 인산리튬의 침출 반응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은,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수산화암모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모늄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염화암모늄을 포함할 수 있다. 암모늄염 수용액을 이용할 경우 인산철계의 주성분인 인산철 등의 금속물질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리튬만을 선택적으로 침출시킬 수 있고, 작업 안정성 및 독성, 부식성 등과 같은 물질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암모늄염에서 염화암모늄은 분해 해리성이 우수하여 해리온도가 낮은 특성을 갖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암모늄염의 농도는 0 초과 30 이하 중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 초과 20 이하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10 내지 20 중량%, 또는 1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암모늄염의 농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에 함유된 인산리튬의 침출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S2) 단계: 상기 (S1) 단계의 결과물을 여과하여 슬러지 및 여액(filtrate)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2) 상기 (S1) 단계의 결과물을 여과하여 슬러지 및 여액(filtrate)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2) 단계는 상기 (S1) 단계의 결과물 중 고상의 슬러지와 액상의 여액을 분리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고상의 슬러지는 분리되어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의 재료로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상의 슬러지를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의 재료로 재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자원의 재사용 가능성을 넓힐 수 있는 산업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여액은 암모늄염과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과 반응하여 생성된 착물을 포함하여 후술할 단계에서 결과적으로 탄산리튬 또는 인산리튬이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러지는 100 내지 350℃에서 50 내지 200분 동안 건조된 후, 이차전지용 양극재의 원료로 재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의 원료는 리튬인산철계일 수 있다.
상기 (S2)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여과기가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압여과기 또는 진공여과기가 이용될 수 있다.
(S3) 단계: 상기 여액의 pH를 8 내지 14로 조정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3) 상기 여액의 pH를 8 내지 14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3) 단계는 상기 여액에 포함된 암모늄염의 분해를 촉진하여 암모니아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탈암모니아 공정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여액의 pH는 pH를 조정하는 다양한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NaOH, KOH 등과 같은 염기성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액의 pH는 8 내지 12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8 내지 11, 또는 10 내지 11일 수 있다. 상기 여액의 pH가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후술하는 가열 단계가 수행되었을 때 착물(complex)이 잘 분해되어, 암모니아가 가스 상태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S4) 단계: 상기 pH가 조정된 여액을 가열하여 탈암모니아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4) 상기 pH가 조정된 여액을 가열하여 탈암모니아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은 암모니아가 함유되지 않은 용액 상태로 암모니아 가스가 모두 외부로 배출된 이후의 용액일 수 있다.
상기 (S4) 단계는 pH가 조정된 여액에 함유된 착물에서 암모니아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일 수 있다. 상기 (S4) 단계는 40 내지 150℃에서 암모니아의 증발 분리가 일어날 때까지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80 내지 150℃에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S4) 단계의 가열온도가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여액에 함유된 착물에서 암모니아가 효과적으로 가스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된 암모니아 가스는 수상 치환되어 침출액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암모니아 가스를 침출액으로 재사용함으로써,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에 함유된 인산리튬을 효과적으로 침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침출액의 자원을 절약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정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다.
(S5-a1)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를 1 내지 6으로 조정하는 단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5-a1)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를 1 내지 6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5-a1) 단계는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을 산성으로 조절한 후, 산성의 탈암모니아 용액에 후술할 탄산염을 첨가하여 탄산화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는 1 내지 5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의 pH가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고순도의 탄산리튬이 높은 회수율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수단이 제한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에 염산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염산용액에 포함된 염산의 함량은 예를 들어 염산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 또는 7 내지 12 중량%일 수 있다.
(S5-a2) 상기 pH가 조정된 탈암모니아 용액에 탄산염을 첨가하여 탄산리튬을 회수하는 단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5-a2) 상기 pH가 조정된 탈암모니아 용액에 탄산염을 첨가하여 탄산리튬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5-a2) 단계는 pH가 조정된 탈암모니아 용액에 탄산염을 첨가하여 침전물인 탄산리튬을 합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탄산염은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탄산염의 함량은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에 포함된 전체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50 중량부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0 내지 1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탄산염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고순도의 탄산리튬이 높은 회수율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5a-1) 및 (S5a-2) 단계 대신에 가압 하의 밀폐된 탱크에 압축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여 탄산리튬의 생성을 유도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공정 요인의 통제와 반응의 완결성을 고려할 때,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를 조정한 후, 탄산염을 첨가하는 방식이 이산화탄소 가스 주입 방식보다 높은 회수율을 갖는 고순도의 리튬을 회수할 수 있다.
(S5-b1)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에 인산염을 첨가하여 인산리튬을 회수하는 단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S5-b1)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에 인산염을 첨가하여 인산리튬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산염이 첨가된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는 10 이상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10 내지 14일 수 있다. 상기 인산염이 첨가된 탈암모니아 용액의 pH가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인산리튬의 생성 반응이 잘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리튬의 회수방법으로 회수된 리튬 함유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튬 함유 화합물은 탄산리튬 또는 인산리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순도의 탄산리튬 또는 인산리튬을 회수함으로써, 리튬인산철계 이차전지의 재자원화가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조예 1: 리튬의 회수방법]
<실시예 1: 탄산리튬의 회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단계: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과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교반하는 단계;
표 1에 따른 조성을 갖는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 100g을 염화암모늄 수용액(20wt%, 500mL)에 투입하여 교반 및 침출을 하였다. 상기 교반 및 침출을 위해, 가열 온도 80℃를 유지하면서 600 rpm의 교반속도로 3시간 동안 침출을 실시하였다.
도 2는 표 1에 따른 조성을 갖는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이다.
성분
함량
Fe Li Cu Al P 산불용분 비고
함량(wt%) 62.7 5.03 0.48 6.61 22.8 1.50 ICP-OES
ICP-OES: 유도결합 플라즈마 광방출 분광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b) 단계: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을 실온에서 방랭한 후, 여과기로 여과하여 슬러지 및 여액(filtrate)을 수득하였다.
(c) 단계: 여액의 pH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여액(리튬 함유 암모늄염 수용액)에 NaOH 수용액(20wt%)을 첨가하여 pH를 11로 조정하였다.
(d) 단계: pH가 조정된 여액을 가열하여 탈암모니아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pH가 조정된 여액을 가열판에서 100℃에서 암모니아 가스의 증발 분리가 완전히 일어날 때까지 가열하여 암모니아 가스를 상기 여액에서 완전히 스트리핑(stripping)시켜 탈암모니아 용액을 수득하였다.
(e) 단계: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를 2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탈암모니아 용액에 염산 용액(10wt%)을 첨가하여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를 2로 조정하였다. 이 때, 염산 용액을 첨가할 때 흰색 연기의 발생이 없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잔존하는 암모니아가 없음을 재확인할 수 있다.
(f) 단계: pH가 조정된 탈암모니아 용액에 탄산염을 첨가하여 탄산리튬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pH가 2로 조정된 탈암모니아 용액에 탄산나트륨 200g을 첨가한 후, 통상의 여과 및 건조 과정을 거쳐 pH가 8인 지점에서 흰색의 침전물인 탄산리튬을 회수하였다.
[실험예 1: 슬러지의 무게 변화 및 여액 중의 Li 농도]
상기 실시예 1에서 (b) 단계에서 수득된 슬러지를 120℃에서 120분 동안 건조한 후, 건조 후 슬러지(또는 회수된 인산철)의 무게와 회수율을 하기 표 2에 나타냈고, 상기 (b) 단계에서 수득된 여액 중의 리튬의 농도와 회수율을 유도결합 플라즈마 광방출 분광법(ICP-OES)으로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하기 표 2를 참고하면, 이차전지용 인산철 양극 활물질에 함유된 인산철 및 기타 금속은 암모늄염 수용액에 침출되지 않았고 오직 인산리튬만 침출되어 수용액 속에 이온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으로 수득된 인산리튬만 침출된 수용액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에서 인산철 및 기타 금속은 암모늄염 용액에 침출되지 않았고 오직 인산리튬만 침출되어 수용액 속에 이온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으로 회수된 인산철이다.
도 4 및 하기 표 2를 참고하면, 회수된 인산철의 무게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인산철의 회수율을 계산할 수 있다.
교반·침출 결과
시험 결과 회수율
회수된 인산철의 무게 94.69g 시료 100g 중 회수 전 인산철 고상물
Figure 112022080397982-pat00001
= 회수율
여액(500mL) 중의
Li 농도
9,890ppm
Figure 112022080397982-pat00002
= 98.3% 회수율
기 타
원 소
Fe 4.2ppm
Cu 1.6ppm
Al 3.4ppm
[실험예 2: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회수된 탄산리튬의 분석결과]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회수된 탄산리튬을 통상의 방법으로 여과, 수세 및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탄산리튬의 회수율과 순도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탄산리튬 중의 리튬 함량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분석장비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의 회수방법으로 회수된 탄산리튬이다.
도 5 및 하기 표 3을 참고하면, 고순도의 탄산리튬이 높은 회수율로 회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회수된 탄산리튬의 분석결과
분석결과 회수율 또는 순도 비고
회수된
탄산리튬의 양
26.22g


99.2%의 회수율
여액 중 리튬 총량: 9890ppm × 500cc = 4945000ppm
※ 26.22g 회수 탄산리튬 중 리튬의 양 =
26.22g × 18.71% = 4.905g
Figure 112022080397982-pat00003

탄산리튬 중의
리튬 함량
18.71wt%

99.57%의 순도
※ 탄산리튬 순도 = 99.57%
Figure 112022080397982-pat00004

Figure 112022080397982-pat00005
기타
금속
Fe N.D(Non-Detected)
Cu N.D(Non-Detected)
Al 1 ppm
<실시예 2: 인산리튬의 회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d) 단계의 탈암모니아 용액을 수득한 후,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에 260g의 인산나트륨을 첨가하여 흰색 침전물인 인산리튬을 회수하였다. 이 때, 인산리튬을 합성하는 합성용액반응의 pH는 10 이상을 유지하였다.
[실험예 3: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으로 회수된 인산리튬의 분석결과]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으로 회수된 인산리튬을 여과, 수세 및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인산리튬의 회수율과 순도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인산리튬 중의 리튬 함량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분석장비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하기 표 4를 참고하면, 이론적 인산리튬의 발생량 대비 인산리튬의 회수량을 측정함으로써, 인산리튬의 회수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론값과 실측값을 대비하여 인산리튬의 순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높은 회수율을 갖는 고순도의 인산리튬이 수득됨을 확인할 수 있다.
회수된 인산리튬 분석결과
분석결과 회수율 또는 순도 비고
회수된 인산
리튬량
26.6g
96.7%의 회수율
Figure 112022080397982-pat00006
=
Figure 112022080397982-pat00007
= 96.7%
인산리튬 중의
Li 함량
17.87wt%
99.38%의 순도
Figure 112022080397982-pat00008
=99.38%
(인산리튬의 순도)
기 타
금 속
Fe 3ppm
Cu N.D(Non-Detected)
Al N.D(Non-Detected)
Na 27ppm
상기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상적인 산업 설비 조건 하에서 고순도의 리튬을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고 인산철이 함유된 슬러지를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재료로 재사용할 수 있는 리튬의 회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업의 과도한 설비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현재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이차전지용 인산철계 양극재의 재자원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료 암모늄염의 재사용화로 생산비 절감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S1)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과 암모늄염 수용액을 교반하여 액상 침출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의 결과물을 여과하여 슬러지 및 여액(filtrate)을 수득하는 단계;
    (S3) 상기 여액의 pH를 8 내지 14로 조정하는 단계; 및
    (S4) 상기 pH가 조정된 여액을 가열하여 탈암모니아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S1) 단계는, 70 내지 100℃에서 300 내지 800rpm의 교반 속도로 1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이고,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은 리튬인산철계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의 회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40 내지 150℃에서 수행되는 단계인, 리튬의 회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재 폐기물에 대한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의 고액비는,
    1:3 내지 1:6(w/v)인,
    리튬의 회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은,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수산화암모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리튬의 회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염 수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암모늄염의 농도는 0 초과 30 이하 중량%인,
    리튬의 회수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는 건조된 후 이차전지용 양극재의 원료로 재사용되는,
    리튬의 회수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S5-a1)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를 1 내지 6으로 조정하는 단계; 및
    (S5-a2) 상기 pH가 조정된 탈암모니아 용액에 탄산염을 첨가하여 탄산리튬을 회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리튬의 회수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S5-b1) 상기 탈암모니아 용액에 인산염을 첨가하여 인산리튬을 회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산염이 첨가된 탈암모니아 용액의 pH는 10 이상인,
    리튬의 회수방법.
KR1020220095601A 2022-08-01 2022-08-01 리튬의 회수방법 KR10249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601A KR102497777B1 (ko) 2022-08-01 2022-08-01 리튬의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601A KR102497777B1 (ko) 2022-08-01 2022-08-01 리튬의 회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777B1 true KR102497777B1 (ko) 2023-02-08

Family

ID=8522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601A KR102497777B1 (ko) 2022-08-01 2022-08-01 리튬의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7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092B1 (ko) * 2016-12-14 2017-07-04 성일하이텍(주) 리튬 함유 폐액으로부터 인산리튬 제조방법
CN108486376A (zh) * 2018-02-26 2018-09-04 中南大学 一种浸出废旧锂离子电池正极材料中金属的方法
CN108486378A (zh) * 2018-03-14 2018-09-04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含锂电极废料浸出液的处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092B1 (ko) * 2016-12-14 2017-07-04 성일하이텍(주) 리튬 함유 폐액으로부터 인산리튬 제조방법
CN108486376A (zh) * 2018-02-26 2018-09-04 中南大学 一种浸出废旧锂离子电池正极材料中金属的方法
CN108486378A (zh) * 2018-03-14 2018-09-04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含锂电极废料浸出液的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shra et al. A review on recycling of lithium-ion batteries to recover critical metals
US20220274841A1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lithium from waste lithium ion batteries
US20220251681A1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lithium and other metals from waste lithium ion batteries
CN111187913B (zh) 一种选择性回收废旧磷酸铁锂电池中锂和铜的方法
KR102154599B1 (ko) 양극활물질의 유가금속 분리회수방법
Xu et al. A review of processes and technologies for the recycling of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JP5128272B2 (ja) リチウム基材アノードバッテリーおよびセルの混合リサイクルのための方法
KR102008582B1 (ko) 용매추출 공정을 적용하여 리튬이차전지 폐 양극재를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황산염 용액으로 재생하는 방법
KR101823952B1 (ko) 리튬이온 2차전지의 폐 양극재로부터 리튬을 회수하여 탄산리튬을 제조하는 방법
KR102132120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폐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재활용 방법
CN113896211B (zh) 一种废旧磷酸铁锂电池资源化的处理方法
US20220352570A1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lithium and other metals from waste lithium ion batteries
CA3136878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attery precursors
JPH116020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廃材からの高純度コバルト化合物の回収法
KR20190065882A (ko) 리튬이온 전지 양극재 스크랩으로부터 유가금속 회수 방법
CN107403931B (zh) 高纯度磷酸盐的制备方法
JP2021014630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からのリチウムの回収方法
KR102497777B1 (ko) 리튬의 회수방법
KR102496184B1 (ko) 적층형 세라믹콘덴서 공정 슬러지로부터 수산화니켈 및 황산니켈 회수방법
CN115799696A (zh) 锂离子电池拆解后的废旧电解液前处理方法及其中锂、氟和磷的全回收方法
KR100325681B1 (ko) 리튬이온전지의 양극활물질에서의 전이금속 회수방법
JP2004182533A (ja) コバルト回収方法
KR102593241B1 (ko) 인산철계 이차전지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US20220194806A1 (en) Lithium oxide recovery method from lithium manganese oxide (lmo)
KR20200089368A (ko) 폐 리튬니켈코발트 알루미늄 산화물(LiNiCoAlO2, NCA)로부터 코발트 및 니켈 분말을 회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