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128B1 -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128B1
KR102495128B1 KR1020217001213A KR20217001213A KR102495128B1 KR 102495128 B1 KR102495128 B1 KR 102495128B1 KR 1020217001213 A KR1020217001213 A KR 1020217001213A KR 20217001213 A KR20217001213 A KR 20217001213A KR 102495128 B1 KR102495128 B1 KR 102495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trap
yarns
fabric layers
belt
w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040A (ko
Inventor
토미 왕
밥 첸
라파엘 타오
윌리 웰즈
프랭크 간
카이-스테판 무엘러
크리스 반 헬부르트
빅토리아 드류스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02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4Sack- or bag-lik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구성요소 및/또는 라인(13)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5)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1)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공동(5)은 2개의 직물 층(6, 7)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직물 층(6, 7)은 벨트 스트랩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직조사/직조사들(12)에 의해 외부 에지 섹션(3, 4)에서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부를 갖는,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belt strap)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 내의 벨트 스트랩은 대체적으로, 가능한 한, 더 심각한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 사고 시에 자동차 내의 탑승자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 벨트 디바이스는, 특히, 차량에 고정되고, 벨트 스트랩의 일 단부가 권취될 수 있는 벨트 릴(belt reel)을 갖는 벨트 리트랙터(belt retractor)를 포함한다. 벨트 스트랩의 다른 단부는 차량에 고정된 벨트 버클 내의 벨트 설부(belt tongue)을 통해 로킹될 수 있거나, 마찬가지로 단부 피팅(end fitting)을 통해 차량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단부가 단부 피팅을 통해 차량에 고정되는 한, 안전 벨트 디바이스는 벨트 스트랩 상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벨트 설부를 추가로 가지며, 이 벨트 설부는 - 예를 들어 벨트 스트랩의 3 점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도록 - 차량에 고정된 벨트 버클 내에 로킹될 수 있다.
탑승자를 구속하는 그의 과제 때문에, 벨트 스트랩 자체는 인장 강도, 표면 상태, 에지의 특성 등에 대한 다양한 요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더욱이, 현대의 자동차에는 센서, 액추에이터, 스크린, 음향 유닛, 난방 및 냉방 디바이스 등과 같은 복수의 전자 구성요소가 제공되며, 그들의 수는 자동차의 구동 디바이스, 제어 디바이스, 및 편의(comfort) 디바이스와 함께, 자동차의 자동화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훨씬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또한, 이들 디바이스들은 전기 라인들을 통해 서로 그리고 대응하는 전원 및 제어 디바이스들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들 전자 구성요소 및 라인이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일부인 한, 이들은 이에 따라 상기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사용 또는 기능성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안전 벨트 디바이스 상에 배열되어야 한다.
벨트 스트랩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호스 세그먼트 - 호스 세그먼트의 내부로 전자 구성요소가 도입될 수 있음 - 를 갖는 벨트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은 DE 10 2011 009 318 A1호로부터 이미 알려져 있다.
호스 세그먼트가 벨트 스트랩 내에 생성되는 방법에 대한 추가의 상세 사항은 그 공보로부터 알아낼 수 없다.
또한 공보 EP 1 141 455 B1호로부터, 사고 시에, 증가된 직경을 갖는 호스를 형성하기 위해 가스 발생기로부터 방출된 가스 유동에 의해 팽창되어 구속될 때의 탑승자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심 섹션 및 2개의 에지 섹션을 갖는 팽창성, 다층, 절첩된 안전 벨트가 알려져 있다. 안전 벨트는 2개의 층으로 직조되며, 이들은 섹션의 전이부의 영역에서 그리고 외부 에지의 영역에서 함께 직조된다. 직조 후에, 안전 벨트의 에지 섹션들은 Z-형상으로 중심 섹션 상으로 절첩된다. 후속하여, 시트 벨트는 뒤집혀서 좌측으로 절첩되며, 이에 의해 중심 섹션의 내측이 외측으로 되고, 에지 섹션들이 중심 섹션의 2개의 층들 사이의 공동 내에 놓이게 된다. 이에 의해, 안전 벨트는 대략 46 또는 47 mm의 종래의 안전 벨트의 폭으로 동시에 감소된다. 또한, 중심 섹션의 2개의 층들 사이의 연결부들은 각각 절첩된 안전 벨트의 에지 섹션들을 형성하며, 이들은 제1 단계에서, 유입하는 가스 유동으로 인해 에지 섹션들이 절첩해제(unfold)될 수 있기 전에, 인열 개방되어 안전 벨트를 절첩해제시킨다. 팽창성 안전 벨트는 전자 구성요소를 공동 내로 도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확대된 공동은 안전 벨트의 절첩해제를 통해서만 생성되고, 그리고 탑승자에 대한 부하의 가능한 가장 큰 감소라는 점에서, 자체적으로 전자 구성요소를 수용하기에는 너무 큰 그러한 체적으로 가능한 한 크게 치수설정된다. 시트 벨트가 팽창되기 전에, 공동에는 에지 섹션들이 그 내부에 배열된 상태로 완전히 충전되어, 이러한 이유로 또한, 추가의 전기 구성요소 또는 라인을 배열하는 것이 제공되지 않으며 - 그리고 실현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본 발명은 전자 구성요소 및 라인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 벨트는 가능한 한 단순하게 구성되어야 하고 또한 생산하기에 저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벨트 스트랩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개발은 종속 청구항, 도면 및 연관된 설명으로부터 학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따르면, 공동이 2개의 직물 층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2개의 직물 층은 벨트 스트랩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직조사(weave thread) 또는 직조사들에 의해 외부 에지 섹션들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공동은 벨트 스트랩의 직조 동안 이미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벨트 스트랩은 그의 기본 구조가, 직조사들에 의해 에지 섹션들에서만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상호 독립된 직물 층으로 직조된다. 이에 의해, 에지 섹션에서 2개의 직물 층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직조사는 직조 동안 동시에 직조될 수 있어서, 직조 동안 직물 층들의 연결이 직접 실현되고, 직물 층들을 연결하기 위한 추가의 별도 작업 단계가 필요없게 된다. 직조사들이 단지 2개의 직물 층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구속 시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이전과 같이, 경사(warp thread)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직조사들이 단지 2개의 직물 층의 신뢰성 있는 연결의 관점으로부터만 설계되고 배열된다면 충분하다. 이에 의해, 직조사의 얀 두께, 직조사의 재료, 및 또한 직조사의 수가 직물 층의 연결을 위한 설계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벨트 스트랩은 40 내지 50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6 또는 47 mm의 폭을 갖고, 그 안에서 직물 층들이 직조사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에지 섹션들은 각각 적어도 2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mm의 폭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벨트 스트랩의 제안된 폭은 표준 벨트 스트랩 폭에 대응한다. 에지 섹션의 제안된 치수화에 의해, 벨트 스트랩이 전단력의 작용 하에서 그의 평면 형태를 상실하는 것, 그리고 이에 의해 절첩부가 벨트 스트랩에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이에 의해, 2개의 직물 층을 갖는 벨트 스트랩이 에지 섹션의 측방향 롤링해제(unrolling) 하에서 종방향으로 비틀리거나 뒤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지 섹션의 폭, 및 에지 섹션 내의 직물 층들의 연관된 평면 연결은, 특히 직조사들의 수 및 배열의 대응하는 선택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직물 층은 복수의 경사 및 위사(weft thread)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경사는 벨트 스트랩의 종방향으로 이어지고, 위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평평한 직조물(flat weave)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완성된 직조된 직물에서, 경사는 직물 층의 표면을 형성하는 반면, 위사는 경사들 사이에서 이어지고, 이에 상응하게 치밀한 직물의 경우에 외부에서 검출가능하지 않다. 경사는 대응하는 인장 강도를 갖도록 설계되고, 벨트 스트랩의 종방향으로 인장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위사는 더 미세하고 경사를 함께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직조사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직물 층의 위사에 의해 2/2-직조물로 직조되며, 이에 의해 평활한 표면 구조에 대한 직물 층의 균일한 연결이 가능한 한 균질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2/2-직조물은, 직조 동안 2개의 직물 층의 2개의 쉐드(shed)에 대한 측면들의 스위칭으로 인해, 직조사가 주기적으로, 벨트 스트랩의 일 측면 상의 2개의 연속적 위사 상에 그리고 벨트 스트랩의 다른 측면 상의 후속하는 2개의 위사 상에 항상 배열되는 직조물로서 이해될 것이다. 이에 의해, 각각의 바로 인접한 직조사들, 또는 또한 몇몇 인접하게 배열된 직조사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그들이 직조 동안 쉐드의 반대편 측면들 상에, 그리고 그에 따라서 위사의 반대편 측면들 상에 각각 배열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앞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위사는 직물 층 내로 경사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직조사에 의해 달성되는 상이한 직물 층의 위사의 연결로 인해, 경사는 또한 직조사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달리 상호 독립적인 2개의 직물 층의 견고한 접합이 에지 섹션을 생성하게 한다.
또한, 경사는 5/1/1-직조물로 위사에 연결되는 것이 제안된다. 직조사의 직조에 대한 상기 정의에 기초하여, 5/1/1-직조물에 의해 이해되는 것은 경사를 위사로 직조하는 것이고, 이를 고려할 때, 주기적 순서로, 경사는 5개의 연속적인 위사 동안 직물 층의 쉐드의 하나의 측면에 배열되고, 이어서 하나의 후속하는 위사에 대해 쉐드의 측면들을 스위칭하고, 그리고 그들이 다음 5개의 위사에 대한 작업 흐름의 반복을 위해 쉐드의 다른 측면 상에 다시 배열되기 전에, 후속하여 추가 위사에 대해 다시 쉐드의 측면들을 스위칭한다. 촉각적으로 최적화되고 마찰 최적화된 표면이 경사 및 위사의 제안된 직조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안된 직조로 직조사에 의해 서로 특히 잘 연결되어 공동을 형성할 수 있는 각각의 직물 층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2개의 직물 층은, 추가로, 에지 섹션들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연결 섹션에서 서로 연결되어,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공동들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으로, 직물 층들의 연결은 제안된 추가적인 연결 섹션들을 통해 추가로 개선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라인들의 의도적인 별개의 안내 또는 전자 구성요소들의 별개의 배열의 목적을 위해 몇몇 별개의 공동들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스트랩을 평면도 및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벨트 스트랩의 에지 섹션을 통한 종단면을 확대 분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전단력의 작용 하의 벨트 스트랩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스트랩(1)이 평면도로, 그리고 우측에 있는 도면에서는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벨트 스트랩(1)은 2개의 직물 층(6, 7)을 가지며, 이들은 중심 섹션(2)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고 2개의 외부 에지 섹션(3, 4)에서 서로 연결된다. 벨트 스트랩(1)은 46 또는 47 mm의 폭(A)을 갖는 반면, 에지 섹션들(3, 4)은 각각 2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 mm의 폭(B)을 갖는다.
벨트 스트랩(1)은 벨트 스트랩(1)의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경사(11)를 가지며, 이들 경사는 그에 대해 수직으로 이어지는 위사(10)로 직조되어 직물 층(6, 7)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직물 층들(6, 7) 각각은 서로 분리된 경사(11) 및 위사(10)를 가져서, 그들이 독립적인 직물 층(6, 7)을 형성하게 한다. 직물 층들(6, 7)은 후술될 바와 같이 에지 섹션들(3, 4) 내에서 서로 연결되어, 직물 층들(6, 7) 사이에 공동(5)이 형성되게 하고, 이는 에지 섹션들(3, 4)에서의 연결에 의해 에지 측면들을 향해 한정된다. 3개의 전기 라인(13)이 공동(5) 내에 배열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센서들의 전기 연결부로서 또는 안전 벨트 디바이스의 액추에이터에 대해, 또는 또한 안전 벨트 디바이스 부근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해 신호 라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더 작은 제어 또는 저장 유닛, 단순한 스위치, 음향 재생 디바이스, 난방 디바이스 등과 같은 추가의 전자 구성요소가 또한 공동(5) 내에 배열될 수 있다.
2개의 직물 층(6, 7)은 에지 섹션(3, 4) 내에 제공되는 직조사(12)에 의해 서로 직조되며, 이는, 에지 섹션(3, 4) 내에, 직물 층(6, 7)의 연결 섹션(8, 9)을 형성한다. 직조사(12)는 에지 섹션(3, 4)의 전체 폭에 걸쳐 제공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가능한 한 부드러운 에지의 실현을 위해 벨트 스트랩(1)의 에지의 영역에 특정 직조가 제공되는 한, 에지 섹션(3, 4)의 최외측 에지 영역 내의 직조사(12)는 또한, 이것이 직물 층(6, 7)의 연결에 불리하지 않는 한, 생략될 수 있다.
에지 섹션(3, 4)의 폭(B)은 의도적으로 2 mm로 선택되어, 에지 섹션(3, 4)에서의 연결이 전체 벨트 스트랩(1) 상에 평면 형태를 부과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이러한 효과는, 에지 섹션(3, 4)의 폭이 훨씬 더 크도록, 예를 들어 폭(B)이 4 mm이거나 훨씬 더 큰 것이 선택된다는 점에서 더욱 더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지 섹션(3, 4)의 에지가 롤링해제됨에 따라 횡방향 힘의 작용 시에 벨트 스트랩(1)이 그의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비틀리거나 뒤틀리는 것이 방지된다. 합리적인 한, 에지 섹션(3, 4)은, 또한, 폭(B)이 훨씬 더 크게 치수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의해 공동(5)의 크기가 감소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공동(5)이 의도적으로 채널 형태로 더 좁아지는 것으로 실현되는 경우에 합리적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벨트 스트랩(1) 내의 라인들의 배열 및 경로가 미리결정되거나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서, 벨트 스트랩(1)은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의 영향 하에 있는 것이 단면도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전단력의 작용으로 인해, 직물 층(6, 7)은 그들의 종방향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변위되어, 에지 섹션(3, 4) 상에 또는 직물 층들(6, 7) 중 하나의 직물 층의 연결 섹션(8, 9) 상에 각각 압축력이 가해지는 반면, 각각의 다른 직물 층(6, 7)에 의해 인장력이 가해지게 한다. 이러한 힘 관계는, 도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에지 섹션들(3, 4)이 측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에지 섹션(3, 4)이 본 발명에 따라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이에 의해, 직물 층(6, 7)의 에지측 연결 지점들이 원주 방향으로 위로 롤링될 것이고, 벨트 스트랩(1)은 그의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비틀리거나 뒤틀릴 것이며, 그에 의해 결국 벨트 스트랩의 평평한 형태가 상실될 것이고, 착용 편안함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다. 적어도 2 mm,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mm의 폭(B)에 걸쳐 에지 섹션(3, 4) 내의 직물 층(6, 7)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로 인해, 그 연결이 원주 방향으로 롤링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실제로, 평면 형태가 에지 섹션(3, 4) 내의 벨트 스트랩(1) 상에 부과된다. 반대로, 에지 섹션(3, 4)의 롤링해제의 방지는 또한, 전단력의 중단이 주어지면, 이들이 벨트 스트랩(1) 및 직물 층(6, 7)에 복원력을 가하며, 이에 의해, 벨트 스트랩(1) 및 직물 층(6, 7)을 다시 평평한 배향(이는 도 1의 우측 도면에 도시됨)으로 자동으로 강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벨트 스트랩(1)은 에지 섹션(3)을 통한 단면으로 도 2에서 명백하다. 2개의 직물 층(6, 7)은 5/1/1-직조물로 직조된다. 직물 층(6 또는 7)의 직기(loom)에서 쉐드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경사(11)를 스위칭하는 것은, 주기적 순서로, 이들이 먼저 쉐드의 하나의 측면에 배열되는 반면, 5개의 위사(10)가 쉐드를 통과하도록 선택된다. 이어서, 경사(11)는 다음 위사(10)의 통과를 위해 쉐드의 다른 측면으로 스위칭된다. 추가 통과를 위해, 경사(11)는, 그들이 다음 주기의 후속하는 5개의 위사(10)에 대한 직조 리듬(rhythm)의 반복을 위해 쉐드의 다른 측면으로 다시 스위칭하기 전에, 후속하여 쉐드의 다른 측면으로 다시 이동된다. 이는 5개의 각각의 위사(10)가 경사들(11)을 일 측면을 향해 덮고, 후속하는 하나의 위사(10)가 경사들(11)을 다른 측면에서 덮고, 그리고 후속하여 다시 하나의 위사(10)가 경사들(11)을 다른 측면을 향해 덮는 리듬을 초래하고, 이어서 그 리듬이 반복되는데, 다음 주기는, 이전의 리듬과 비교하여, 5개의 각각의 위사(10)가 경사들(11)의 다른 측면 상의 경사들(11)을 덮는 것으로 시작한다. 직물 층(6 또는 7)의 경사들(11)은 번들(멀티필라멘트)로, 또는 개별적으로, 모노필라멘트로서 직조된다. 이에 의해, 경사들(11)의 제1 번들은 기술된 리듬으로 직조되는 반면, 경사들(11)의 인접한 제2 번들은 동일하지만 오프셋된 리듬으로 직조된다. 그러나, 2개의 상이한 직물 층(6, 7)의 경사들(11)은, 또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설명된 직조 리듬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직조된다.
기술된 5/1/1-직조물 대신에, 3/1-직조물 또는 5/1/1/1-직조물이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여기서, 원칙적으로, 100 내지 1,100 dtex의 얀 두께의 위사들(10)이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별개로 직조된 2개의 직물 층(6, 7)은 예시된 에지 섹션(3) 내의 적어도 하나의 직조사(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직조사(12)는 2개의 직물 층(6, 7)의 위사들(10)에 의해 2/2-직조물로 직조되는데, 즉, 직조사(12)는 2개의 직물 층(6, 7)의 2개의 위사(10)에 대해 직물 층(6 또는 7) 중 하나의 직물 층의 쉐드의 일 측면 상으로 안내되고, 이어서 다른 직물 층(6 또는 7)의 쉐드의 반대편 측면으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완성된 직조된 벨트 스트랩(1)에서, 직조사(12)는 도면에서의 하부 직물 층(6)의 하부 면 상의 2개의 위사(10)에 대해,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상부 직물 층(7)의 상부 면 상의 다음의 2개의 위사(10)에 대해 주기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그것은 직물 층(6, 7)의 2개의 자유 표면 상에서 주기적으로 교대로 이어지고, 그에 의해, 그것이 직물 층들(6, 7) 둘 모두의 위사들(10)을 통해 다른 자유 표면으로 지나간다는 점에서 측면들을 스위칭한다. 직조사(12)는, 마찬가지로, 멀티필라멘트로서 번들로 직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또한, 각각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직조될 수 있는 몇몇 번들들 또는 개별 직조사들(12)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폭(B)을 고려할 때, 에지 섹션(3, 4)의 상응하게 평평한 설계를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 에지 섹션(3, 4)의 폭(B)을 실현하는 데 있어 합리적이다.
원칙적으로, 직조사(12)는 재료, 얀(yarn) 두께, 색상, 연신율, 및 다양한 다른 특성들에서 경사(11)와 상이할 수 있는데, 이는 연결을 실현하기 위해, 이들이 기본적으로 경사(11)와 상이한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직조사(12)는 부하가 있는 경우에 어떠한 인장력도 흡수할 필요가 없어서, 이들이 경사(11)보다 더 작은 얀 두께를 갖는 얀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도 2의 예시에서, 직물 층(6, 7)은, 경사(11), 위사(10), 및 직조사(12)의 경로에서, 당겨져 분리되었으며, 이때 도시된 2개의 직물 층(6, 7)의 위사들(10)은 각각 하나의 평면 내에 배열되어, 직조 패턴이 더 명백해지게 한다. 그러나, 완성된 직조된 벨트 스트랩(1)에서, 경사(11), 위사(10), 및 직조사(12)는 평평한 직조물에서 상당히 더 조밀하게 함께 제공되며, 여기서 벨트 스트랩(1)의 길이의 cm 당 대략 10 내지 15개의 위사들(10)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7)

  1.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belt strap)(1)으로서,
    - 전자 구성요소들 및/또는 라인들(13)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5)을 포함하며,
    - 상기 공동(5)은 2개의 직물 층들(6, 7)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직물 층들(6, 7)은 복수의 경사(warp thread)들(11) 및 위사(weft thread)들(1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벨트 스트랩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직조사(weave thread) 또는 직조사들(12)에 의해 외부 에지 섹션들(3, 4)에서 서로 연결되며,
    - 상기 경사들(11)은 5/1/1-직조물로 상기 위사들(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벨트 스트랩(1)은 40 내지 50 mm의 폭(A)을 갖고, 그 안에서 상기 직물 층들(6, 7)이 상기 직조사들(1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에지 섹션들(3, 4)은 각각 적어도 2 mm의 폭(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직조사(12)는 상기 2개의 직물 층들(6, 7)의 위사들(10)에 의해 2/2-직조물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2개의 직물 층들(6, 7)은 상기 에지 섹션들(3, 4)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연결 섹션들에서 서로 연결되어,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공동들(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7. 제1항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전기 라인(13) 및/또는 전자 구성요소가 상기 공동(5)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랩(1).
KR1020217001213A 2018-07-03 2019-07-03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 KR102495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10890.0A DE102018210890B4 (de) 2018-07-03 2018-07-03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8210890.0 2018-07-03
PCT/EP2019/067848 WO2020007912A1 (de) 2018-07-03 2019-07-03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040A KR20210021040A (ko) 2021-02-24
KR102495128B1 true KR102495128B1 (ko) 2023-02-06

Family

ID=6725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213A KR102495128B1 (ko) 2018-07-03 2019-07-03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35189B2 (ko)
EP (1) EP3817952B1 (ko)
JP (1) JP7217080B2 (ko)
KR (1) KR102495128B1 (ko)
CN (1) CN112601681B (ko)
DE (1) DE102018210890B4 (ko)
WO (1) WO2020007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6517B3 (de) * 2020-05-26 2021-04-22 Autoliv Development Ab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4710A (ja) * 1999-12-16 2003-08-19 テクスティルマ・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折返可能の筒状のベルト帯の製造装置
US20130193727A1 (en) * 2011-01-25 2013-08-01 Klaus Rodemer Motor-vehicle seat belt with built-in electronics
JP2015067036A (ja) * 2013-09-27 2015-04-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ウェビ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8732A1 (de) * 1975-02-28 1976-09-09 Berger Ohg Elastic Gurtband fuer sicherheitsgurte
US5376440A (en) * 1993-03-31 1994-12-27 Ikeda Bussan Co., Ltd. Woven fabric for seat belt
US6705244B1 (en) 1998-12-14 2004-03-16 Johann Berger Strap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19932940C2 (de) 1999-07-14 2001-05-10 Johann Berger Gurtband
JP3945100B2 (ja) * 1999-11-05 2007-07-1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EP2377731B1 (en) 2008-12-22 2013-11-20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device
US8434527B2 (en) * 2011-02-01 2013-05-07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webb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914167B2 (ja) * 2012-05-25 2016-05-11 タカタ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9492268B2 (en) * 2012-11-13 2016-11-15 The Secant Group, Llc Tapered tubular implant formed from woven fabric
JP2014133468A (ja) 2013-01-09 2014-07-24 Toyota Boshoku Corp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
DK2832907T3 (en) 2013-07-31 2019-05-06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WOVEN EXTENSION AND METHOD OF PREPARING IT
JP6126969B2 (ja) * 2013-10-18 2017-05-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ートベルト装置
JP6619807B2 (ja) * 2014-10-12 2019-12-11 キー セーフテ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Key Safety Systems, Inc. 高圧消火器
DE102014222654B4 (de) * 2014-11-06 2022-08-25 Autoliv Development Ab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und Sicherheitsgurteinrichtung
US9962528B2 (en) * 2015-07-22 2018-05-0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Variable diameter woven medical tube texti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EP3204543B1 (de) 2015-11-09 2019-07-17 Autoliv Development AB Gurtband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und sicherheitsgurteinrichtung
US10391965B2 (en) * 2017-07-19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bular seat belt system having air delivery
DE202017105538U1 (de) 2017-09-13 2017-09-2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icherheitsgurt sowie Rückhaltesystem
US10442392B2 (en) * 2017-12-07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air distribution manifold
US10479162B2 (en) * 2017-12-07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having tubes for air delivery
US10471800B2 (en) * 2017-12-07 2019-1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electrical connector
US10569735B2 (en) * 2017-12-07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uniform air delivery
US20190344743A1 (en) * 2018-05-14 2019-1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ssembly
DE102018124241A1 (de) * 2018-10-01 2020-04-02 Trw Automotive Gmbh Sicherheitsgur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gurts
US11021346B2 (en) * 2019-04-02 2021-06-01 Lift-All Company, Inc. Woven webbing combining edge and body weave design features for improved overall durability in lifting and restraint applications
US11220765B2 (en) * 2019-10-04 2022-0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webbing including auxetic portion
WO2021115008A1 (zh) * 2019-12-09 2021-06-17 廊坊市金色时光科技发展有限公司 座椅安全带加热组件和座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4710A (ja) * 1999-12-16 2003-08-19 テクスティルマ・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折返可能の筒状のベルト帯の製造装置
US20130193727A1 (en) * 2011-01-25 2013-08-01 Klaus Rodemer Motor-vehicle seat belt with built-in electronics
JP2015067036A (ja) * 2013-09-27 2015-04-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ウェビ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040A (ko) 2021-02-24
US11535189B2 (en) 2022-12-27
EP3817952A1 (de) 2021-05-12
CN112601681B (zh) 2023-04-28
DE102018210890A1 (de) 2020-01-09
JP2021530391A (ja) 2021-11-11
JP7217080B2 (ja) 2023-02-02
DE102018210890B4 (de) 2022-10-13
US20210268988A1 (en) 2021-09-02
EP3817952B1 (de) 2022-06-29
WO2020007912A1 (de) 2020-01-09
WO2020007912A8 (de) 2020-12-30
CN112601681A (zh)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539B1 (ko) 안전벨트 장치용 벨트 스트랩 및 안전벨트 장치
JP2562285B2 (ja) 引き裂き可能な縫い目を備えた安全ベルト
WO2007100377A1 (en) Woven airbag with integrally woven tethers
US8622424B2 (en) Motor vehicle safety device
JP4197746B2 (ja) フローバリアを備えた織られたエアーバッグ
US6641165B2 (en) Air belt apparatus
US9283922B2 (en) Air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7954847B2 (en) Stretchable webbing, inflatable belt, and inflatable belt apparatus
CA2723253C (en) Seat belt webb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965670A2 (en) Warp knitted fabric for air belt cover
US7845676B2 (en) Stretchable webbing, inflatable belt, and inflatable belt apparatus
KR102495128B1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디바이스용 벨트 스트랩
WO2006114207A1 (en) A webbing belt
JP2009533565A (ja) 伸縮自在な織物
US6375218B2 (en) Airbelt and airbelt apparatus
US20230235489A1 (en) Belt strap for a safety belt device of a motor vehicle
US8434527B2 (en) Seat belt webb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377866B1 (ja) 伸縮自在織物構造体
US6370924B1 (en) Warp-knitted fabric for inflatable belt cover
JP5384539B2 (ja) 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3757656B2 (ja) エアベルトカバー用たて編み物、エアベルトカバー及びエアベルト装置
JP2014133468A (ja)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
JP2003182513A (ja) シートベルト
JP2013067294A (ja)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
JP2013212802A (ja)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