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393B1 -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393B1
KR102490393B1 KR1020220092123A KR20220092123A KR102490393B1 KR 102490393 B1 KR102490393 B1 KR 102490393B1 KR 1020220092123 A KR1020220092123 A KR 1020220092123A KR 20220092123 A KR20220092123 A KR 20220092123A KR 102490393 B1 KR102490393 B1 KR 102490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opening
cas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두
Original Assignee
부커셰링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커셰링코리아(주) filed Critical 부커셰링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2009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청소차, 살수차 등의 차량에 탑재된 적재함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적재함의 도어를 개폐동작시키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 설치된 도어브래킷; 상기 도어브래킷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적재함의 케이싱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케이싱브래킷; 전단이 상기 케이싱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제1링크; 하단이 상기 도어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링크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 및 튜브가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드가 상기 제1링크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loading box}
본 발명은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청소차, 살수차 등의 차량에 탑재된 적재함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가 개시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5695호(2020.01.07.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노면 청소차량"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적재함 개폐장치는, 적재함의 도어 상단에 도어브래킷을 설치하고, 적재함의 케이싱 내측 후부에 실린더장착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장착공간부에 실린더브래킷를 설치하고, 튜브가 상기 실린더브래킷에 연결되고 로드가 상기 도어브래킷에 연결되는 도어개폐실린더를 구비하되, 상기 도어개폐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도어브래킷의 연결부위가 도어의 회전축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넓은 각도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적재함 개폐장치의 구조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을 위해 도어개폐실린더가 작동을 시작할 때에 도어개폐실린더의 로드와 도어브래킷의 연결부위를 후방으로 끌어당기기 위하여 큰 힘이 필요함으로써 큰 용량의 도어개폐실린더가 필요하고, 도어개폐실린더의 로드와 도어브래킷의 연결부위 등에 가해지는 부하가 크므로 강성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되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5695호(2020.01.0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재함의 도어 개폐구조를 개선하여 도어가 더욱 작은 힘으로 원활하게 개폐동작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가 밀폐된 상태로 잠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함에 수용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는, 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적재함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적재함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동작시키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 설치된 도어브래킷; 상기 도어브래킷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케이싱브래킷; 전단이 상기 케이싱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제1링크; 하단이 상기 도어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링크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 및 튜브가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드가 상기 제1링크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케이싱브래킷과 상기 제1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연결부; 상기 도어브래킷과 상기 제2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연결부;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회전연결부;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개폐실린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회전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4회전연결부는 상기 제3회전연결부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회전연결부는, 양단이 상기 케이싱브래킷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링크의 전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1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브래킷의 측면에는, 일측이 케이싱브래킷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고정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회전연결부는, 양단이 상기 제1링크의 후단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3회전축; 및 상기 제2링크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3회전축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3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4회전연결부는, 양단이 상기 제1링크의 후단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4회전축; 및 상기 개폐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4회전축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4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링크의 측면에는, 일측이 제1링크에 고정되고 타측 하부가 상기 제3회전축에 고정되며 타측 상부가 상기 제4회전축에 고정되어 제3회전축과 제4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3고정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함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어 폐쇄된 상기 도어가 밀폐되도록 도어를 잠그게 되는 밀폐잠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잠금부는, 상기 도어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측방으로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된 잠금부재; 상기 케이싱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잠금부재의 삽입공과 마주하게 되는 걸쇠부재; 및 상기 걸쇠부재와 연결되어 걸쇠부재를 진퇴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걸쇠부재를 상기 삽입공에 삽입하거나 인출시키게 되는 잠금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부재에서 상기 삽입공의 내측 전단에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걸쇠부재에는 상기 삽입공으로의 진입시 상기 가이드롤러와 접하게 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을 위한 개폐실린더의 동작 시 케이싱브래킷, 제1링크, 제2링크, 도어브래킷의 각 연결부위가 회전되며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짐으로써 도어를 작은 힘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실린더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에 의하면,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밀폐잠금부에 의해 도어가 밀폐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적재함에 수용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개폐구동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개폐구동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밀폐잠금부를 발췌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개폐구동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4는 개폐구동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밀폐잠금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는 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11) 및 상기 케이싱(11)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하는 차량용 적재함(10)에 설치된 것으로서, 크게 개폐구동부(100) 및 밀폐잠금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는 주로 노면청소차나 살수차에 탑재된 적재함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적재함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12)를 개폐동작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12)의 상단에 설치된 도어브래킷(110); 상기 도어브래킷(11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11)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케이싱브래킷(120); 전단이 상기 케이싱브래킷(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제1링크(130); 하단이 상기 도어브래킷(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링크(13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140); 및 튜브(tube)가 상기 케이싱(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드(rod)가 상기 제1링크(13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실린더(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브래킷(110), 케이싱브래킷(120) 및 제1링크(130)는 각각 상호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판재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브래킷(110)을 이루는 한 쌍의 판재 사이에 상기 제2링크(140)의 하단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브래킷(120)을 이루는 한 쌍의 판재 사이에 상기 제1링크(130)의 전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1링크(130)를 이루는 한 쌍의 판재 사이에 상기 제2링크(140)의 상단과 상기 개폐실린더(150)의 로드가 배치된다.
상기 케이싱브래킷(120)과 상기 제1링크(130)는 제1회전연결부(160)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회전연결부(160)는, 양단이 상기 케이싱브래킷(120)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1회전축(161); 및 상기 제1링크(130)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16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1부싱(1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161)과 제1부싱(162)의 사이에는 제1부싱(16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윤활유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브래킷(120)의 측면에는 제1고정부재(1A0)가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A0)는 일측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케이싱브래킷(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1회전축(161)의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고정부재(1A0)는 도어(12)가 개폐될 때에 제1회전축(161)이 제1부싱(162)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이싱브래킷(120)과 제1회전축(161) 간의 마찰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브래킷(110)과 상기 제2링크(140)는 제2회전연결부(170)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회전연결부(170)는, 양단이 상기 도어브래킷(110)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2회전축(171); 및 상기 제2링크(14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축(17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2부싱(1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회전축(171)과 제2부싱(172)의 사이에는 제2부싱(17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윤활유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브래킷(110)의 측면에는 제2고정부재(1B0)가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B0)는 일측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도어브래킷(1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회전축(171)의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고정부재(1B0)는 도어(12)가 개폐될 때에 제2회전축(171)이 제2부싱(172)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브래킷(110)과 제2회전축(171) 간의 마찰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130)와 상기 제2링크(140)는 제3회전연결부(180)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130)와 상기 개폐실린더(150)의 로드는 제4회전연결부(190)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회전연결부(180)는, 양단이 상기 제1링크(130)의 후단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3회전축(181); 및 상기 제2링크(14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3회전축(18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3부싱(1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4회전연결부(190)는, 양단이 상기 제1링크(130)의 후단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4회전축(191); 및 상기 개폐실린더(150)의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4회전축(19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4부싱(19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회전축(181)과 제3부싱(182)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4회전축(191)과 제4부싱(192)의 사이에도 윤활유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130)의 측면에는 제3고정부재(1C0)가 설치된다. 상기 제3고정부재(1C0)는 일측이 제1링크(130)에 고정되고, 타측 하부가 상기 제3회전축(181)에 고정되며, 타측 상부가 상기 제4회전축(19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3회전축(181) 및 제4회전축(191)에는 제3고정부재(1C0)의 타측 하단(1C1) 및 타측 상단(1C2)가 각각 진입하여 걸리는 고정홈(181a)(191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3고정부재(1C0)는 도어(12)가 개폐될 때에 제3회전축(181) 및 제4회전축(191)이 각각 제3부싱(182) 및 제4부싱(192)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링크(130)와 제3회전축(181) 및 제4회전축(191) 간의 마찰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밀폐잠금부(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어 폐쇄된 상기 도어(12)가 밀폐되도록 도어(12)를 잠그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12)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측방으로 관통된 삽입공(211)이 형성된 잠금부재(210); 상기 케이싱(1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12)의 폐쇄시 상기 잠금부재(210)의 삽입공(211)과 마주하게 되는 걸쇠부재(220); 및 상기 걸쇠부재(220)와 연결되어 걸쇠부재(220)를 진퇴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걸쇠부재(220)를 상기 삽입공(211)에 삽입하거나 인출시키게 되는 잠금실린더(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재(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구비되어 도어(12)의 하면에 좌우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잠금부재(210)는 후부(後部)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도어(12)의 하면에 결합 설치되며, 전부(前部)가 도어(1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어(12)의 전방으로 돌출된 잠금부재(210)의 전부에 상기 삽입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걸쇠부재(220)는 두 개가 구비되어 도어(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각 잠금부재(210)의 삽입공(211)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잠금실린더(230)는 하나의 튜브 양측에 각각 로드를 갖는 양로드형 실린더로 이루어져 양측 로드가 두 걸쇠부재(220)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잠금실린더(230)는 두 개의 편로드형 실린더로 구성되어 두 걸쇠부재(220)에 각각 별도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밀폐잠금부(200)는 도어(12)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잠금부재(210)를 감지하는 도어폐쇄감지센서(240)와, 상기 걸쇠부재(220)가 상기 삽입공(211)에서 인출되었을 때에 걸쇠부재(220)를 감지하는 잠금해제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폐쇄감지센서(240)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져, 도어(12)의 폐쇄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210)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도어(12)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에 잠금실린더(230)가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잠금해제감지센서(250)는 상기 도어폐쇄감지센서(240)와 마찬가지로 근접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걸쇠부재(220)가 상기 삽입공(211)에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걸쇠부재(220)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도어(12)에 대한 잠금해제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에만 도어(12)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개폐실린더(150)가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에 의하면, 도어(12)의 개방을 위한 개폐실린더(150)의 동작 시 케이싱브래킷(120), 제1링크(130), 제2링크(140), 도어브래킷(110)의 각 연결부위가 회전되며 도어(12)의 개방이 이루어짐으로써 도어(12)를 작은 힘으로 원활하게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실린더(150)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에 의하면, 도어(12)가 폐쇄된 상태에서 밀폐잠금부(200)에 의해 도어(12)가 밀폐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적재함(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적재함 11 : 케이싱
12 : 도어 100 : 개폐구동부
110 : 도어브래킷 120 : 케이싱브래킷
130 : 제1링크 140 : 제2링크
150 : 개폐실린더 160 : 제1회전연결부
161 : 제1회전축 162 : 제1부싱
170 : 제2회전연결부 171 : 제2회전축
172 : 제2부싱 180 : 제3회전연결부
181 : 제3회전축 182 : 제3부싱
190 : 제4회전연결부 191 : 제4회전축
192 : 제4부싱 1A0 : 제1고정부재
1B0 : 제2고정부재 1C0 : 제3고정부재
200 : 밀폐잠금부 210 : 잠금부재
211 : 삽입공 212 : 가이드롤러
220 : 걸쇠부재 221 : 경사면
230 : 잠금실린더 240 : 도어폐쇄감지센서
250 : 잠금해제감지센서

Claims (6)

  1. 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11) 및 상기 케이싱(11)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하는 차량용 적재함(1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적재함(10)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12)를 개폐동작시키는 개폐구동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구동부(100)는,
    상기 도어(12)의 상단에 설치된 도어브래킷(110);
    상기 도어브래킷(11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11)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케이싱브래킷(120);
    전단이 상기 케이싱브래킷(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제1링크(130);
    하단이 상기 도어브래킷(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링크(13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140);
    튜브가 상기 케이싱(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드가 상기 제1링크(13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실린더(150);
    상기 케이싱브래킷(120)과 상기 제1링크(1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회전연결부(160);
    상기 도어브래킷(110)과 상기 제2링크(1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회전연결부(170);
    상기 제1링크(130)와 상기 제2링크(1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회전연결부(180); 및
    상기 제1링크(130)와 상기 개폐실린더(15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회전연결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4회전연결부(190)는 상기 제3회전연결부(18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회전연결부(180)는,
    양단이 상기 제1링크(130)의 후단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3회전축(181); 및
    상기 제2링크(14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3회전축(18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3부싱(1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4회전연결부(190)는,
    양단이 상기 제1링크(130)의 후단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4회전축(191); 및
    상기 개폐실린더(150)의 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4회전축(19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4부싱(19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링크(130)의 측면에는, 일측이 제1링크(130)에 고정되고 타측 하부가 상기 제3회전축(181)에 고정되며 타측 상부가 상기 제4회전축(191)에 고정되어 제3회전축(181)과 제4회전축(191)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3고정부재(1C0)가 설치되고,
    상기 제3회전축(181) 및 제4회전축(191)에는 상기 제3고정부재(1C0)의 타측 하단(1C1) 및 타측 상단(1C2)에 각각 진입하여 걸리는 고정홈(181a)(191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연결부(160)는,
    양단이 상기 케이싱브래킷(120)에 삽입되게 설치된 제1회전축(161); 및
    상기 제1링크(130)의 전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16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1부싱(1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브래킷(120)의 측면에는, 일측이 케이싱브래킷(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회전축(161)에 고정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고정부재(1A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어 폐쇄된 상기 도어(12)가 밀폐되도록 도어(12)를 잠그게 되는 밀폐잠금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잠금부(200)는,
    상기 도어(12)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측방으로 관통된 삽입공(211)이 형성된 잠금부재(210);
    상기 케이싱(1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12)의 폐쇄시 상기 잠금부재(210)의 삽입공(211)과 마주하게 되는 걸쇠부재(220); 및
    상기 걸쇠부재(220)와 연결되어 걸쇠부재(220)를 진퇴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걸쇠부재(220)를 상기 삽입공(211)에 삽입하거나 인출시키게 되는 잠금실린더(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210)에서 상기 삽입공(211)의 내측 전단에는 가이드롤러(212)가 설치되고,
    상기 걸쇠부재(220)에는 상기 삽입공(211)으로의 진입시 상기 가이드롤러(212)와 접하게 되는 경사면(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20092123A 2022-07-26 2022-07-26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KR102490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23A KR102490393B1 (ko) 2022-07-26 2022-07-26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23A KR102490393B1 (ko) 2022-07-26 2022-07-26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393B1 true KR102490393B1 (ko) 2023-01-20

Family

ID=8510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123A KR102490393B1 (ko) 2022-07-26 2022-07-26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3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478A (ko) * 2010-02-19 2011-08-25 최창식 화물차 적재함 개폐장치
KR101496724B1 (ko) * 2014-11-21 2015-03-02 주식회사 광림 노면청소차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KR102065695B1 (ko) 2019-08-05 2020-03-02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량
KR20210092444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메트로게이트 스피드 게이트 구동장치 및 링크들의 힌지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478A (ko) * 2010-02-19 2011-08-25 최창식 화물차 적재함 개폐장치
KR101496724B1 (ko) * 2014-11-21 2015-03-02 주식회사 광림 노면청소차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KR102065695B1 (ko) 2019-08-05 2020-03-02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량
KR20210092444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메트로게이트 스피드 게이트 구동장치 및 링크들의 힌지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7596B2 (ja) 補助モータを備えた錠装置
CA2214683C (en) Door drive and lock for a mass transit vehicle
US5709111A (en) Lock system
US5901989A (en) Multi-point inactive door lock
US8997382B2 (en) Dipper door assembly
KR102490393B1 (ko) 차량용 적재함 개폐장치
BR112013015364B1 (pt) dispositivo de operação de destrancamento centralizado
US6092967A (en) Lock for containers on a vehicle chassis
CN100449100C (zh) 用于一个汽车车身活动部件如翻盖或车门、尤其是用于后备箱盖的锁闭装置
US20050127684A1 (en) Deadlock arrangement for locks
EP0171211B1 (en) Container locking
CN114973503B (zh) 售货机
CA2140612A1 (en) Security closure arrangement
JP4294426B2 (ja) 吸引車のタンクの後部扉ロック装置
JP2010120526A (ja) 車両用ヒンジ構造
EP0668424B1 (en) Door lock with a dead bolt and a latch bolt
KR100489708B1 (ko) 슬라이드 도어 차량의 세이프티 록 구조
KR100708960B1 (ko) 휠 로우더의 풀 펜더 개폐장치
KR100395690B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JP3619636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開閉装置
KR100337574B1 (ko) 강제 해제 방지구조를 갖는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의걸림부재
JP4261004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ーのロック装置
KR20240080542A (ko) 트윈 스윙 게이트의 실링 어셈블리
KR20220067889A (ko) 산업용 차량
JP3069734B2 (ja) 自動販売機用補助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