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889A - 산업용 차량 - Google Patents

산업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889A
KR20220067889A KR1020200154634A KR20200154634A KR20220067889A KR 20220067889 A KR20220067889 A KR 20220067889A KR 1020200154634 A KR1020200154634 A KR 1020200154634A KR 20200154634 A KR20200154634 A KR 20200154634A KR 20220067889 A KR20220067889 A KR 2022006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atch unit
fender
cable
industr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균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20015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889A/ko
Publication of KR2022006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B62D25/182Movable mudguards, or mudguards comprising movable or detach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산업용 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에는 풀 펜더를 용이하게 록킹 또는 언 록킹 할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차량{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은 산업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풀 펜더를 리어 펜더에서 손쉽게 록킹 하거나 언 록킹할 수 있는 산업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우 더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토사나 골재를 덤프차량에 적재하거나 운반하는 장비로서, 그 종류로는 휠 로우 더와 트랙 로우더가 있고, 상기 휠 로우 더는 대형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것으로 굴착작업도 가능하며 전륜 구동식이 주로 사용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휠 로우 더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휠 로우 더는 기동성이 우수하므로 주행속도가 빠르며 포장 도로에서도 작업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상기 휠 로우 더(101)는 주요 동력전달장치와 엔진은 리어 프레 임(102)에 장착되고, 버켓과 붐 및 유압실린더 등의 작업장치는 프런트 프레임(103)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타이어(104)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타이어(104)의 상부에 펜더(105)가 장착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타이어(104)의 상부에 장착된 펜더(105) 중 차체 후방쪽 펜더(105)는 타이어(104)를 중심으로 전방 쪽에 리어 펜더가 설치되고, 상기 리어 펜더의 후방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리어 풀 펜더가 설치되며, 상기 리어 풀 펜더의 타측 선단은 고정핀을 매개로 베터리 박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작업자가 휠 로우 더(101)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거나 주행시에는 상기와 같이 리어 펜더에 리어 풀 펜더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엔진 커버를 열어 장비를 점검할 경우에는 상기 리어 풀 펜더와 엔진 커버가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상기 리어 펜더로부터 리어 풀 펜더를 탈거한 후, 리어 풀 펜더를 외측으로 회전시킨 다음 엔진 커버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장비의 점검을 위하여 상기 리어 풀 펜더를 회전시키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리어 풀 펜 더의 자중에 의해 처짐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리어 풀 펜더와 리어 펜더의 조립시 고정수단의 연결 위치가 맞지 않기 때문에 조립상의 어려움이 유발되었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리어 풀 펜더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부가적인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어려우며 생산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16647호
본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휠 로우 더에 구비된 풀 펜더를 용이하게 록킹 또는 언 록킹 시킬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산업용 차량은 휠 로우 더의 전방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2)에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200); 상기 연결부(20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리어 펜더(420)에 구비된 물림부(400)와 맞물리는 풀 펜더(300); 및 상기 연결부(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502)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200)에서 상기 풀 펜더(300)의 결합 상태를 해제 하고자 할 때 록킹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하는 래치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부(500)는 외형을 이루는 래치 바디(501)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502)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1 래치부(510); 상기 리어 펜더(42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래치부(510)와 연동하여 상기 물림부(400)와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제2 래치부(520); 상기 제1 래치부(5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2 래치부(53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래치부(510)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케이블(5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래치부(510)는 상기 케이블(530)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502)가 언 록킹 위치로 이동될 경우 탄성 변형되는 제1 댐퍼부(512); 상기 제1 댐퍼부(512)를 경유한 상기 케이블(53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502)에서 연장된 단부와 제1 핀 부재(P1)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514); 상기 제1 핀 부재(P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손잡이(502)가 형성되며, 제2 핀 부재(P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레버부(516); 상기 제2 핀 부재(P2)에 복수 회 권취 되어 상기 레버부(516)를 작동 전 초기 위치에 해당되는 록킹 위치로 탄지하는 탄성부재(518)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래치부(520)는 상기 케이블(530)의 타단에 삽입된 제2 댐퍼부(522); 상기 제2 댐퍼부(522)를 경유한 상기 케이블(530)에 연결되고, 제3 핀 부재(P3)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524); 상기 제3 핀 부재(P3)를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고리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526)를 포함한다.
상기 풀 펜더(300)의 폭 방향에서 외측과 인접한 위치에 롤러(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래치부(520)는 상기 롤러(10)와 폭 방향에서 이격되어 외측을 바라보며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펜더(420)에는 롤러(10)가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리어 펜더(420)의 폭 방향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가이드(412)가 형성된 브라켓(410); 상기 제2 래치부(520)가 물림 결합되는 스트라이커(430)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휠 로우 더의 엔진 관련된 구성품을 점검하고자 할 때 풀 펜더를 외측으로 손쉽게 언 록킹 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일일 점검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들은 폴 펜더가 리어 펜더에서 손쉽게 록킹 또는 언 록킹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안정적인 작동이 유지된다.
도 1은 종래의 휠 로우 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산업용 차량에 구비된 풀 펜더와 리어 펜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풀 펜더가 리어 펜더에서 언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풀 펜더 및 래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래치부의 설치 상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래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래치부 및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래치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과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제2 래치부에 스트라이커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실시 예에 의한 산업용 차량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개시된 산업용 차량은 휠 로우더에 설치된 풀 펜더의 안정적인 록킹 및 언 록킹을 위해 구비된 래치부에 관한 것으로 엔진과 관련된 부품의 일일 점검 및 고장 발생시 정비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휠 로우 더의 전방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2)에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부(20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리어 펜더(420)에 구비된 물림부(400)와 맞물리는 풀 펜더(300) 및 상기 연결부(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502)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200)에서 상기 풀 펜더(300)의 결합 상태를 해제 하고자 할 때 록킹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하는 래치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풀 펜더(300)와 리어 펜더(420)는 산업용 차량에 구비된 휠(wheel)의 상측을 커버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풀 펜더(300)가 연결부(200)를 매개로 상기 휠 로우더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2)에서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된다.
상기 연결부(200)는 힌지 핀을 매개로 카운터 웨이트(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풀 펜더(300)의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풀 펜더(300)는 휠의 상부로 이격되어 상측 영역을 1/2 이상 커버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면에 도시된 폭과 길이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래치부(500)는 외형을 이루는 래치 바디(501)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502)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1 래치부(510)와, 상기 리어 펜더(42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래치부(510)와 연동하여 상기 물림부(400)와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제2 래치부(520)와, 상기 제1 래치부(5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2 래치부(53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래치부(510)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케이블(530)을 포함한다.
제2 래치부(520)는 제1 래치부(510)의 록킹 또는 언 록킹 작동과 함께 연동되어 작동되며, 사용자가 제1 래치부(510)를 언 록킹 시킬 때 제2 래치부(520) 또한 언 록킹 상태로 작동된다.
상기 제1 래치부(510)와 제2 래치부(520)는 케이블(530)을 매개로 서로 간에 작동이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530)은 상기 풀 펜더(300)의 내측을 따라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래치부(510)는 상기 케이블(530)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502)가 언 록킹 위치로 이동될 경우 탄성 변형되는 제1 댐퍼부(512)와, 상기 제1 댐퍼부(512)를 경유한 상기 케이블(53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502)에서 연장된 단부와 제1 핀 부재(P1)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514)와, 상기 제1 핀 부재(P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손잡이(502)가 형성되며, 제2 핀 부재(P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레버부(516)와, 상기 제2 핀 부재(P2)에 복수 회 권취 되어 상기 레버부(516)를 작동 전 초기 위치에 해당되는 록킹 위치로 탄지하는 탄성부재(518)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 바디(501)는 연결부(20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기 위해 볼트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래치 바디(501)는 연결부(20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있고,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삽입 홀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가 상기 삽입 홀에 결합될 경우 상기 래치 바디(501)는 안정적으로 연결부(200)에 설치된다.
제1 댐퍼부(512)는 록킹 또는 언 록킹에 따른 케이블(53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구비된다.
즉 제1 댐퍼부(5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530)의 일단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사용자가 레버부(516)를 언 록킹 위치로 회전시킬 때 축 방향에서 탄성 변형된다. 상기 레버부(516)가 록킹 위치로 원 위치될 경우 상기 케이블(530)의 이동에 의해 축 방향에서 탄성 압축되면서 상기 케이블(530)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제1 결합부재(514)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530)의 일단이 내측에 고정되며, 상측에서 제1 핀 부재(P1)가 상기 레버부(516)에 핀 결합된다.
상기 레버부(516)는 제2 핀 부재(P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래치 바디(501)에 설치되며, 손잡이(502)가 차체를 바라보는 위치로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하기에 편리해 진다.
상기 탄성부재(518)는 상기 레버부(516)가 언 록킹 위치로 작동 되기 이전에 상기 록킹 위치에 위치되도록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레버부(516)가 언 록킹 위치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518)는 제2 핀 부재(P2)의 축 방향에서 탄성 압축되면서 상기 제1 결합부재(514)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514)와 연결된 케이블(530)이 당겨지면서 제2 래치부(520)를 당기게 된다.
손잡이(502)에는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고무 형태의 커버가 삽입되며, 다른 재질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래치부(520)는 케이블(530)의 타단에 삽입된 제2 댐퍼부(522)와, 상기 제2 댐퍼부(522)를 경유한 상기 케이블(530)에 연결되고, 제3 핀 부재(P3)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524)와, 상기 제3 핀 부재(P3)를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고리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526)와, 후술할 스트라이커(430)가 삽입되는 삽입 홈(525a)이 형성된 제2 래치 커버(5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래치부(520)는 후술할 스트라이커(430)와 결합되는 걸림부(526)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526)는 케이블(530)의 당김 작동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430)와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언 록킹 될 수 있어 상기 리어 펜더(420)와 결합된 풀 펜더(300)의 결합 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래치 커버(525)에는 스트라이커(430)가 삽입되도록 삽입 홈(525a)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어 풀 펜더(300)의 회전에 따라 스트라이커(43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래치부(520)는 풀 펜더(300)가 리어 펜더(420)와 록킹 상태로 유지될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430)가 삽입 홈(525a)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걸림부(526)가 상기 스트라이커(430)와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풀 펜더(300)가 회전되지 않고 리어 펜더(420)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사용자가 손잡이(502)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케이블(530)이 당겨지면서 상기 걸림부(526)에 맞물린 스트라이커(430)와의 결합력이 해제되어 상기 풀 펜더(300)는 리어 펜더(420)에서 언 록킹 된다.
상기 풀 펜더(300)의 폭 방향에서 외측과 인접한 위치에 롤러(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래치부(520)는 상기 롤러(10)와 폭 방향에서 이격되어 외측을 바라보며 위치되므로 스트라이커(430)의 진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래치부(520)는 상기 롤러(10)와 수평 방향에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며 후술할 스트라이커(430)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제2 래치부(520)는 풀 펜더(300)의 폭 방향 후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430)는 리어 펜더(420)의 폭 방향 선단부에 위치되어 있어 서로 간에 결합될 경우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리어 펜더(420)에는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이드(412)를 따라 롤러(10)가 이동되도록 상기 리어 펜더(420)의 폭 방향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가이드(412)가 형성된 브라켓(4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래치부(520)가 물림 결합되는 스트라이커(43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412)는 수평하게 연장된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10)가 가이드(412)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스트라이커(430)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삽입 홈(525a)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어 풀 펜더(300)의 록킹 또는 언 록킹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410)에는 스트라이커(430)의 전방에 하측으로 경사진 안내편(4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롤러(10)가 상기 가이드(412)로 진입하기 이전에 안정적인 접촉과 이동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래치부(520)는 상기 스트라이커(430)와 결합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록킹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카운터 웨이트
200 : 연결부
300 : 풀 펜더
400 : 물림부
420 : 리어 펜더
500 : 래치부
502 : 손잡이
510, 520 : 제1,2 래치부
530 : 케이블
512 : 제1 댐퍼부
514 : 제1 결합부재
516 : 레버부
518 : 탄성부재
524 : 제2 결합부재
526 : 걸림부

Claims (6)

  1. 휠 로우 더의 전방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2)에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200);
    상기 연결부(20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리어 펜더(420)에 구비된 물림부(400)와 맞물리는 풀 펜더(300); 및
    상기 연결부(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502)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200)에서 상기 풀 펜더(300)의 결합 상태를 해제 하고자 할 때 록킹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하는 래치부(500)를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500)는 외형을 이루는 래치 바디(501)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502)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1 래치부(510);
    상기 리어 펜더(42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래치부(510)와 연동하여 상기 물림부(400)와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제2 래치부(520);
    상기 제1 래치부(5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2 래치부(53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래치부(510)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케이블(530)을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부(510)는 상기 케이블(530)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502)가 언 록킹 위치로 이동될 경우 탄성 변형되는 제1 댐퍼부(512);
    상기 제1 댐퍼부(512)를 경유한 상기 케이블(53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502)에서 연장된 단부와 제1 핀 부재(P1)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514);
    상기 제1 핀 부재(P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손잡이(502)가 형성되며, 제2 핀 부재(P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레버부(516);
    상기 제2 핀 부재(P2)에 복수 회 권취 되어 상기 레버부(516)를 작동 전 초기 위치에 해당되는 록킹 위치로 탄지하는 탄성부재(518)를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치부(520)는 상기 케이블(530)의 타단에 삽입된 제2 댐퍼부(522);
    상기 제2 댐퍼부(522)를 경유한 상기 케이블(530)에 연결되고, 제3 핀 부재(P3)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524);
    상기 제3 핀 부재(P3)를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고리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526)를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풀 펜더(300)의 폭 방향에서 외측과 인접한 위치에 롤러(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래치부(520)는 상기 롤러(10)와 폭 방향에서 이격되어 외측을 바라보며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펜더(420)에는 롤러(10)가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리어 펜더(420)의 폭 방향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가이드(412)가 형성된 브라켓(410);
    상기 제2 래치부(520)가 물림 결합되는 스트라이커(430)가 구비된 산업용 차량.
KR1020200154634A 2020-11-18 2020-11-18 산업용 차량 KR20220067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634A KR20220067889A (ko) 2020-11-18 2020-11-18 산업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634A KR20220067889A (ko) 2020-11-18 2020-11-18 산업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889A true KR20220067889A (ko) 2022-05-25

Family

ID=8179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634A KR20220067889A (ko) 2020-11-18 2020-11-18 산업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8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647A (ko) 2011-04-13 2012-10-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휠타입 굴삭기의 펜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647A (ko) 2011-04-13 2012-10-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휠타입 굴삭기의 펜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8923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フード
CN204898751U (zh) 铲斗门、铲斗组件及采掘机
JP5366842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フードの開閉構造
JP5043200B2 (ja) 建設機械用のキャブ
EP3719214B1 (en) Cab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KR101365005B1 (ko) 도어 핸들
KR20220067889A (ko) 산업용 차량
JP5786582B2 (ja) 建設機械の足場構造
EP3719215B1 (en) Work machine cab and work machine
KR20160042222A (ko) 중장비용 백 래치
JP2001226078A (ja) フック付きバケットリンク装置
KR101433383B1 (ko) 무한궤도용 분해공구
JP5822821B2 (ja) 建設機械
KR101563983B1 (ko) 작업용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EP2821567B1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JP2019077519A (ja) フック付き作業具リンク、建設機械およびフック付き作業具リンクのフック固定方法
KR100708960B1 (ko) 휠 로우더의 풀 펜더 개폐장치
US10316557B2 (en) Latch system for hood of a machine
KR100900435B1 (ko) 중장비용 도어 잠금장치
US9855976B2 (en) Actuation system for hood of a machine
US9121161B2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1090110A (ja) 旋回作業機
CN110905310A (zh) 活动门锁定装置
US20170130419A1 (en) Latch assembly for service pin of machine
US20150159344A1 (en) Bottom guard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