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286B1 -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286B1
KR102490286B1 KR1020187011716A KR20187011716A KR102490286B1 KR 102490286 B1 KR102490286 B1 KR 102490286B1 KR 1020187011716 A KR1020187011716 A KR 1020187011716A KR 20187011716 A KR20187011716 A KR 20187011716A KR 102490286 B1 KR102490286 B1 KR 102490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ilm
thermosetting material
roll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591A (ko
Inventor
요시아키 토미나가
키요시 미노우라
히로미츠 와다
아키라 사에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5/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 B30B5/04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wherein the pressing means is in the form of an endless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 구조를 필름의 표면에 갖는 표면 구조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 (1) 표면에 구조가 형성된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와, (2) 2개 이상의 가열 롤을 둘러싸는 상기 몰드를 상기 가열 롤을 회전함으로써 주회 반송하기 위한 몰드 반송수단과, (3) 상기 몰드 반송수단에 있어서의 1개의 가열 롤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표면이 탄성체에 덮여진 닙 롤과, 상기 가열 롤과 상기 닙 롤을 사용한 압착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가압기구와, (4) 상기 가압기구보다 상기 몰드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고 몰드의 상기 표면 구조가 형성된 면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몰드용 도포 유닛과, (5) 상기 몰드의 표면에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수단과, (6) 상기 가압기구보다 필름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필름의 상기 몰드와 접촉하는 면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필름용 도포 유닛과, (7) 상기 몰드의 표면의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필름 박리수단을 적어도 구비한다.

Description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본 발명은 필름에 표면 구조를 전사함으로써 표면 구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표면 구조 필름은 확산, 집광, 반사, 투과 등의 광학적인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이나 초발액 기능이나 세포배양 적성을 갖는 요철 구조 필름 등, 미크론 사이즈부터 나노 사이즈의 미세 구조를 그 표면에 필요로 하는 부재로서 사용된다.
표면에 미세한 구조를 갖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표면에 미세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몰드를 이용하여 열경화성 또는 방사선 경화성 재료를 몰드 또는 몰드에 공급되기 전의 필름에 도포한 후에, 가열된 몰드에 상기 필름을 둘러싸게 함으로써 도포막에 미세한 구조를 형성함과 아울러 경화시켜서, 또한 몰드로부터 상기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표면에 미세한 구조를 전사시켜서 표면 구조 필름을 얻는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1에, 열경화성 재료인 졸겔을 롤 투 롤로 인출된 필름 몰드에 도포한 후에, 몰드를 기판에 눌러 붙이면서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기판 표면이 졸겔 재료로 이루어지는 미세한 구조를 기판에 전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필름 몰드 표면에는 미리 미세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미세한 구조와 거의 같은 형상의 구조가 기판 표면에도 형성된다. 졸겔 재료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내열성이 높은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미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표면에 도포한 필름을, 미세구조를 표면에 형성한 엔드리스벨트에 꽉 누르면서 방사선 조사함으로써 필름 표면에 미세 구조를 형성한 후, 몰드와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미세 구조가 표면에 형성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엔드리스벨트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복제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이에 따라 몰드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참고 문헌 3에, 제 1 가열 롤로 열가소성 수지인 원반(原反)을 연화시켜서 요철 구조를 형성한 후에, 제 2 가열 롤 상에서 발포 재료를 가열에 의해 발포시키면서 요철 구조가 형성된 원반 상에 적층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제 1 가열 롤과 제 2 가열 롤의 온도는, 사용하는 원반과 발포 재료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원반으로의 요철 구조 형성과 발포 재료의 발포 및 적층을 일련의 동작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제569580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13728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27735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미세 구조 전사 필름의 제조방법에서는, 장척의 필름 롤을 몰드로 하기 때문에 몰드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매엽 형상의 기판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롤 투 롤 형상의 필름에 적용했을 경우, 가열시의 수축에 의해 열경화 재료가 미경화인 채로 몰드와 기판이 박리되어 소정의 표면 구조를 형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박리되지 않고 경화할 수 있었다고 해도 필름과 몰드를 적층한 상태에 있어서 몰드 표면에 형성된 패턴의 내부까지 경화 재료를 충분하게 충전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전사한 패턴 형상이 불량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미세 구조 전사 필름의 제조방법에서는, 열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재료에 적용했을 경우, 경화 도중의 수축에 의해 열경화 재료가 미경화인 채로 몰드와 기판이 박리되어 소정의 표면 구조를 형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몰드 표면에 도포된 열경화성 재료의 평탄성이 나쁘기 때문에 기판과 적층한 상태에 있어서 열경화성 재료와 기판의 밀착 불량이 발생하고, 기판 상에 균일하게 열경화성 재료가 전사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미세 구조 전사 필름의 제조방법에서는, 제 1 가열 롤 및 제 2 가열 롤은 함께 고온일 필요가 있고, 열가소성 수지인 원반의 요철구조의 유지와, 연속적으로 제품을 권취하기 위해서, 2개의 가열 롤에 추가해서 제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롤이 필요하여 설비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며,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미세한 표면 구조를, 고정밀도 또한 저렴한 몰드 비용으로 필름 표면에 연속적 또한 균일하게 전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이다.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 구조를 필름의 표면에 갖는 표면 구조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
(1) 표면 구조가 형성된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와,
(2) 2개 이상의 가열 롤을 둘러싼 상기 몰드를 상기 가열 롤을 회전함으로써 주회 반송하기 위한 몰드 반송수단과,
(3) 상기 몰드 반송수단에 있어서의 제 1 가열 롤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표면이 탄성체에 덮여진 닙 롤과, 상기 가열 롤과 상기 닙 롤 롤을 사용한 압착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가압기구와,
(4) 상기 가압기구보다 상기 몰드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고 몰드의 상기 표면 구조가 형성된 면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몰드용 도포 유닛과,
(5) 상기 몰드의 표면에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수단과,
(6) 상기 가압기구보다 필름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필름의 상기 몰드와 접촉하는 면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필름용 도포 유닛과,
(7) 상기 몰드의 표면의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필름 박리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 구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표면 구조가 형성된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를 가열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열 롤을 둘러싸게 함으로써 상기 몰드를 가열하면서 주회 반송시키는 몰드 반송부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A를 도포하는 공정,
(2) 필름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B를 도포하는 공정,
(3) 상기 몰드와 상기 필름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와 상기 열경화성 재료 B가 접촉하도록 접합하는 공정
(4) 상기 필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 및 상기 몰드를 적층한 상태에서 닙 롤에 의해 가압하는 공정
(5) 가압 후의 상기 필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 및 상기 몰드를 적층한 상태에서 가열하면서 반송하는 공정,
(6) 상기 필름과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로 구성되는 표면 구조 필름을, 상기 몰드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 구조 필름을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를 적용해서 제작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같이 롤 필름 형상의 장척 몰드를 제품마다 제작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몰드의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또한, 경화 과정에 있어서도 필름과 몰드가 박리되지 않고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경화 재료와 필름의 균일한 밀착을 얻을 수 있으므로, 고정밀도의 표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구조 필름에 적용하는 몰드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면 구조 필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표면 구조 필름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는, 표면 구조가 형성된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와, 2개 이상의 가열 롤을 둘러싼 상기 몰드를 상기 가열 롤을 회전함으로써 주회 반송하기 위한 몰드 반송수단과, 상기 몰드 반송수단에 있어서의 제 1 가열 롤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표면이 탄성체에 덮여진 닙 롤과, 상기 가열 롤과 상기 닙 롤을 사용한 압착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가압기구와, 상기 가압기구보다 상기 몰드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고 몰드의 상기 표면 구조가 형성된 면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몰드용 도포 유닛과, 상기 몰드의 표면에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수단과, 상기 가압기구보다 필름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필름의 상기 몰드와 접촉하는 면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필름용 도포 유닛과, 상기 몰드의 표면의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필름 박리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제조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10)는 필름(11)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A(13) 및 열경화성 재료 B(13')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형성한 표면 구조 필름(15)을 형성하는 장치의 예이다. 또한, 열경화성 재료 A와 열경화성 재료 B는 접합시켰을 때의 밀착성의 관점으로부터 같은 재료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같은 재료일 필요는 없고, 양 재료의 계면에서 서로 섞이는 것이나, 경화했을 때에 계면에서의 밀착성을 발현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하면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10)는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12)와, 몰드(12)를 제 1 가열 롤(21) 및 제 2 가열 롤(22)에 현가(懸架)해서 주회 반송시키는 몰드 반송수단(20)과, 제 1 가열 롤(21)과 평행하게 배치된 닙 롤(28)을 제 1 가열 롤(21)에 대하여 압박하는 가압기구(27)와, 몰드(12)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A(13)를 도포하는 몰드용 도포 유닛(30)과, 필름(11)을 몰드(12)의 표면에 공급하는 필름 공급수단(23)과, 필름(11)의 몰드(12)접촉측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B(13')를 도포하기 위한 필름용 도포 유닛(33)과, 몰드(12)로부터 표면 구조 필름(15)을 박리하는 필름 박리수단(24)을 구비하고 있다. 각 구성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몰드 반송수단(20)은 제 1 가열 롤(21), 제 2 가열 롤(22)과, 양 롤 또는 제 1 가열 롤(2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가열 롤(21)만을 회전 구동할 경우, 제 2 가열 롤(22)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해서 몰드(20)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제 1 가열 롤(21) 및 제 2 가열 롤(22)은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가열수단으로서는 롤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구조가 바람직하지만, 롤 외표면 부근에 적외선 가열 히터나 유도가열장치를 설치하여 롤 외표면으로부터 가열을 촉진시켜도 좋다.
가압기구(27)는 닙 롤(28)을 제 1 가열 롤(21)에 대하여 폭 방향 균일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기구이며, 닙 롤(28)에는 심층의 외표면에 탄성체를 피복한 구조를 적용하고, 심층은 그 양단부를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있다. 닙 롤(28)은 이 가압기구(27)의 스트로크에 의해 개폐되고, 몰드(12), 열경화성 재료 A(13),열경화성 재료 B(13') 및 필름(11)을 적층한 상태에서 압착 또는 개방한다. 또한, 닙 롤(28)은 소망의 프로세스나 필름 재질에 맞추어서 온도조절기구를 가져도 좋다.
필름 공급수단(23)으로서 롤 형상으로 감긴 필름으로부터 필름을 권출하여 가는 권출 롤(23a)과, 또한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맞도록 가이드 롤(23b)을 1개 내지는 복수 구비하여 필름(11)은 닙 롤에 달라붙게 한 후, 가압부(27a)에 반입시킨다.
필름 박리수단(24)으로서 필름(11)과 열경화성 재료 A(13), 열경화성 재료 B(13')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인 표면 구조 필름(15)을 몰드(12)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박리 롤(24a)과, 박리한 표면 구조 필름(15)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 롤(25a)과, 또한 표면 구조 필름(15)의 반송 경로에 맞도록 가이드 롤(25b)을 1개 내지는 복수 구비하고 있다.
몰드용 도포 유닛(30)은 도포 재료인 열경화성 재료 A(13)를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일정하게 토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도시한 것 같은 슬릿 다이(31)로 이루어지는 토출기와 연속적으로 정량의 도포액을 공급할 수 있는 송액기구 등을 조합시킨 구조의 것이면 된다. 또한, 슬릿 다이의 토출 선단면과 몰드의 간격을 고정밀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몰드의 도포면의 반대측에 지지 롤(32)을 배치해도 좋다. 도포기의 위치를 좌우에서 높은 분해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위치 조정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1개의 도포 유닛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의 몰드용 도포 유닛을 형성해도 된다. 몰드(12)의 표면 구조의 영향에 의해 도포면의 평탄성이 저하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복수회의 도포 공정을 거침으로써 평탄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필름용 도포 유닛(33)은 몰드용 도포 유닛과 마찬가지로, 도포 재료인 열경화성 재료 B(13')를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일정하게 토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은 슬릿 다이(34)로 이루어지는 토출기와 연속적으로 정량의 도포액을 공급할 수 있는 송액기구 등을 조합시킨 구조의 것이면 좋다. 또한, 슬릿 다이의 토출 선단면과 몰드의 간격을 고정밀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몰드의 도포의 반대측에 지지 롤(35)을 배치해도 좋다. 도포기의 위치를 좌우에서 높은 분해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위치 조정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12)는 요철의 표면 구조가 형성된 엔드리스벨트이다. 반송 과정에서 롤에 달라붙게 하므로 가요성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균일하게 가압, 가열시키기 위해서 얇고, 균일한 두께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형상으로서는 적용하는 열경화성 재료의 변형 시간이나 경화 시간을 고려해서 고저차가 1㎜ 이하의 표면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송 중은 가열되어 있으므로 가열온도에 견딜 수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10)에 의한 일련의 성형의 동작은 이하와 같다. 몰드(12)는 제 1 가열 롤(21), 제 2 가열 롤(22)에 의해 주회 반송되어,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몰드용 도포 유닛(30)에 의해 몰드(12)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A(13)를 도포한다. 또한, 필름 공급수단(23)인 권출 롤(23a)로부터 권출한 성형용 필름(11)의 표면에 필름용 도포 유닛(33)에 의해서 열경화성 재료 B(13')를 도포한다. 도포한 후, 가압부(27a)에 있어서 몰드(12)의 표면에 공급된다. 가압기구(27)에 의해 몰드(12)와, 열경화성 재료 A(13), 열경화성 재료 B(13')와, 필름(11)이 적층된 상태에서 가압부(27a)에 의해 압착된다. 열경화성 재료 A(13)는 도포된 직후로부터 가열되어 서서히 경화는 진행되고 있지만, 완전하게 경화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기구(27)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몰드(12)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 구조 속까지 열경화성 재료 A(13)가 들어감과 동시에 가열 롤(21)의 표면에서 열 에너지를 계속해서 받으므로 더욱 경화가 촉진된다. 한편, 몰드(12)의 표면에 부여된 요철 구조의 영향을 받아 열경화성 재료 A(13)의 도포면에 요철이 발생할 경우가 있지만, 몰드(12)와 필름(11)을 접합했을 때에 필름(11)측에 도포된 열경화성 재료 B(13')가 열경화성 재료 A(13)의 도포면의 오목부에 충전되도록 유동하고, 결과적으로 몰드(12), 열경화성 재료 A(13), 열경화성 재료 B(13'), 필름(11)의 적층체에 있어서 각 층간에서 간극 없이 밀착한다.
그리고, 열경화성 재료 A(13) 및 B(13')가 몰드(12)로부터의 열 에너지를 수취하여 경화가 촉진됨으로써, 필름(11)과의 밀착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용이하게 박리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몰드(12), 열경화성 재료 A(13) 및 B(13'), 필름(11)의 적층체(14)를 제 2 가열 롤(22)까지 반송하고, 가열된 롤 표면으로부터 열경화성 재료 A(13) 및 B(13')가 열 에너지를 더 수취하여 열경화성 재료의 경화 반응을 완료시킨다. 열경화성 재료의 경화가 완료되면, 몰드(12)와 필름(11)으로의 열경화성 재료 A(13) 및 B(13')의 밀착은 강고한 상태로 된다. 이어서, 필름 박리수단(24)인 박리 롤(24a)에 의해 몰드(12)의 측과, 필름(11)과 열경화성 재료 A(13) 및 B(13')가 적층된 표면 구조 필름(15)의 측으로 나뉘어진다. 표면 구조 필름(15)의 표면 구조는 몰드 표면 구조의 반전 형상으로 된다. 박리 후, 몰드(12)의 표면에는 다시 열경화성 재료 A(13)가 도포된다. 한편, 표면 구조 필름(15)은 권취 롤(25a)에 의해 권취된다. 상기 동작이 연속적으로 행하여진다.
상기 장치구성 및 동작에 의해, 필름(11)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열경화성 재료를 기재가 되는 필름(11)과 미리 가열된 몰드(12)의 양쪽에 도포함으로써, 몰드(12)의 표면 구조의 요철 형상에 대하여 가열에 의해 어느 정도 경화해서 적당한 탄성율을 가진 열경화성 재료 A(13)와, 열경화성 재료 A(13)보다 경화도가 낮고 유동성이 높은 열경화성 재료 B(13')의 조합에 의해, 가압시에 몰드(12)의 표면 구조의 오목부로의 수지가 들어감(높은 충전성)과, 몰드 표면에서의 막으로서의 형상(높은 평탄성)을 양립하고, 미세한 표면 구조를 고정밀도로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지의 충전성이 높다는 것은 열경화성 재료 A(13)의 탄성율에 대하여 충분하게 높은 압력으로 닙함으로써 몰드 표면에 형성된 구조의 간극까지 수지가 유동하는 것이다. 또한, 평탄성이 높다는 것은 가압시에 닙 폭 방향의 단부나 반송 방향으로의 수지에의 유입이 억제되어서 폭 방향과 반송 방향의 양쪽에서 균일한 두께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를 적용함으로써 가열 롤간의 거리를 충분하게 길게 잡고, 경우에 따라서는 롤간에 가열장치를 더 추가함으로써 충분한 수지 경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속화나 열경화성 재료의 적용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는 열화한 시점이나 결점이 발생한 시점에서 몰드를 교환하도록 관리하면 되고, 롤 필름 형상의 몰드와 같은 1회용은 아니므로 몰드에 드는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각 부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몰드 반송수단(20)을 구성하는 제 1 가열 롤(21)은 닙시에 하중을 받으므로, 강도 및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고, 가열수단을 더 포함한다.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강이나 섬유강화 수지, 세라믹스, 알루미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열수단으로서는 내부를 중공으로 해서 카트리지 히터나 유도가열장치를 설치하거나, 내부에 유로를 가공해서 기름이나 물, 증기 등의 열매를 흘림으로써 롤 내부로부터 가열하거나 하는 구조라도 좋다. 또한, 롤 외표면 부근에 적외선 가열 히터나 유도가열장치를 설치하여 롤 외표면으로부터 가열하는 구조라도 좋다.
제 1 가열 롤(21)의 가공 정밀도는 JIS B 0621(개정년 1984)에서 정의되는 원통도 공차에 있어서 0.03㎜ 이하, 원주 흔들림 공차에 있어서 0.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값이 지나치게 커지면, 압착시의 제 1 가열 롤(21)과 닙 롤(28)의 사이에 부분적인 간극이 생기기 때문에 적층체(14)를 균일하게 압박할 수 없게 되어, 전사하는 표면 구조의 형상에 편차를 야기할 경우가 있다. 또한, 롤의 표면 거칠기는 JIS B 0601(개정년 2001)에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로 0.2㎛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Ra가 0.2㎛를 초과하면, 몰드(12)의 이면에 제 1 가열 롤(21)의 형상이 전사되고, 또한 그것이 필름(11)의 표면 구조에 전사해 버릴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제 1 가열 롤(21)의 표면에는 경질 크롬 도금, 세라믹 용사, 다이아몬드·라이크·카본·코팅 등의 고경도 피막의 형성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열 롤(21)은 항상 몰드(12)와 접촉하고 있는 동시에, 적층체(14)를 통해서 닙 롤(28)에 의한 압박력을 받기 때문에 그 표면은 매우 마모되기 쉽고, 제 1 가열 롤(21)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상처가 나거나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표면 구조의 형상 편차나, 롤 표면의 형상의 전사와 같은 문제가 생길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 2 가열 롤(22)도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재질 및 가열수단으로서는 제 1 가열 롤과 같다. 제 2 가열 롤(22)의 가공 정밀도는 JIS B 0621(개정년 1984)에서 정의되는 원통도 공차에 있어서 0.05㎜ 이하, 원주 흔들림 공차에 있어서 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값이 지나치게 커지면, 반송 정밀도가 저하할 경우가 있고, 적층체(14) 또는 몰드(12)에 있어서 폭 방향에서의 장력 불균일 또는 과대한 사행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제 2 가열 롤(22)의 표면 거칠기는 제 1 가열 롤과 마찬가지로, JIS B 0601(개정년 2001)에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로 0.2㎛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Ra가 0.2㎛를 초과하면 몰드에의 열전도가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재질에 대해서도 제 1 가열 롤(21)과 마찬가지로, 경질 크롬 도금, 세라믹 용사, 다이아몬드·라이크·카본·코팅 등의 고경도 피막의 형성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와의 접촉에 의한 상처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각 롤의 단부는 구름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제 1 가열 롤(21)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과 연결되고, 속도를 제어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가열 롤(22)은 몰드(12)를 통해서 제 1 가열 롤(2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도로서 바람직하게는 1∼30m/분의 범위에서 반송하고, 표면 구조를 고정밀도로 전사하면서 생산성을 높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몰드 사행 수정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몰드(12)를 반송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몰드 사행 억제기구의 바람직한 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몰드(12)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 몰드(12)의 단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단부 검출 센서(36)와, 검출된 값에 의거하여 제 2 가열 롤(22)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몰드(12)의 반송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러(37)를 갖는다.
제 2 가열 롤(22)의 이동수단으로서는 각각 몰드(12)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제 2 가열 롤(22)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검출 센서(36)로부터의 값에 의거하여 이동시키고 싶은 방향으로 장력이 저하하도록 제 2 가열 롤의 몰드 반송 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정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몰드(12)의 사행 억제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열변형에 의한 몰드(12)의 사행을 억제하고, 안정된 몰드(12)의 반송과 성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열 롤(22)은 몰드(12)의 비표면 구조면을 에어 실린더 등의 압박수단에 의해 일정한 하중으로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형은 온도 변화에 따라 치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구조가 유효하다.
또한, 몰드 반송 과정에서 열경화성 재료 A(13)를 도포 후, 가압하기까지의 사이에서 별도의 가열 유닛에 의해 가열해서 열경화성 재료 A(13)의 경화를 촉진시켜도 좋다. 도 2는 가열 유닛을 추가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40)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가열 유닛(41)을 도포한 직후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도포한 직후의 열경화성 재료 A(13)의 경화를 개시시키고, 어느 정도 경화한 상태에서 가압기구(27)에 의해 필름(11)을 적층한 상태에서 가압한다. 가압시의 재료의 폭 방향 단부의 퍼짐을 억제하여 가압 후의 열경화성 재료막의 두께를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가열 유닛(41)으로서는 열경화성 재료 A(13)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적외선 히터 등의 가열 유닛(41)을 이간해서 설치하는 구성이나, 몰드(12)의 비도포측에서 가열 롤을 접촉시켜서 열전도에 의해 가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몰드 반송 과정에서 열경화성 재료 A(13)를 도포 후, 가압하기까지의 사이에서 열경화성 재료 A의 도포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 수단을 형성해도 된다. 도 3은 평탄화 수단(46)을 추가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45)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평탄화 수단(46)은 요철을 갖는 도포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구조체이며, 도포면에 접촉하는 엣지를 갖는 구조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엣지부가 몰드(12)의 폭 방향으로 균일한 압력 또는 균일한 몰드(12) 표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포면에 접촉할 수 있는 기구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몰드 반송 과정에서 열경화성 재료 A(13) 및 B(13')를 가압 후, 가열하는 동안에 필름(11)을 열경화성 재료에 밀착시키는 압박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도 4는 압박기구를 추가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50)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압박기구(51)는 가압기구(27)에 의해 가압된 적층체(14)를 제 1 가열 롤(21)의 표면에 있어서 엔드리스벨트(54)에 의해 압박하는 기구의 일례이다. 엔드리스벨트(54)는 롤(52, 53)에 현가되어 있고, 적층체(14)의 반송에 추종하여 필름(11)과의 마찰에 의해 엔드리스벨트(54)가 주회한다. 롤(52, 53)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엔드리스벨트(54)는 가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롤(52, 53)에도 온도조절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드리스벨트(54)의 재질로서는 필름(11)에 대하여 상쳐를 내지 않도록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벨트라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압 후의 적층체(14)가 가열되면서 필름(11)이 열경화성 재료 A(13), B(13')에 대하여 눌러 붙여짐으로써, 열경화성 재료 A(13), B(13')의 경화를 촉진시키면서 몰드(12)의 표면 구조에의 열경화성 재료 A(13)의 충전과, 필름(11)과 열경화성 재료 B(13')의 밀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몰드 반송 과정에서 열경화성 재료 A(13), B(13')의 가압 후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가열 롤을 몰드 반송수단에 추가해도 좋다. 도 5는 몰드 반송수단에 3개 이상의 가열 롤을 추가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60)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가열 롤(66a, 66b, 66c, 66d)이 반송수단으로서 설치되고, 또한 도 4와 마찬가지로 제 1 가열 롤(21)과 적층체(14)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기구(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 롤(66a∼66d), 압박기구(51)를 추가한 구성에 의해, 필름(11)과 열경화성 재료 B(13')의 밀착을 유지하면서 경화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도 1이나 도 2에 예시한 몰드 반송수단에서는 경화가 불충분한 재료에 대하여 유효하다.
여기에서, 가압기구(27)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압기구(27)는 닙 롤(28)과, 이것과 평행하게 대향 배치된 제 1 가열 롤(21)에 대하여 압박하는 기구로 구성된다. 닙 롤(28)은 심층의 외표면에 탄성체를 피복한 구조이다. 심층은 강도 및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고, 예를 들면 강이나 섬유강화 수지, 세라믹스, 알루미늄 합금 등이 적용된다. 또한, 탄성체는 압박력에 의해 변형하는 층이며, 고무로 대표되는 수지층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심층은 그 양단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있고, 또한 베어링은 실린더 등의 압박수단(29)과 접속되어 있다. 닙 롤(28)은 이 압박수단(29)의 스트로크에 의해 개폐하고, 적층체(14)를 압착 또는 개방한다.
또한, 닙 롤(28)은 소망의 프로세스나 필름 재질에 맞추어서 온도조절기구를 가져도 좋다. 온도조절기구로서는 롤 내부를 중공으로 해서 카트리지 히터나 유도가열장치를 매입하거나, 내부에 유로를 가공해서 기름이나 물, 증기 등의 열매를 흘림으로써 롤 내부로부터 가열하거나 하는 구조라도 좋다. 또한, 롤 외표면 부근에 적외선 가열 히터를 설치하여 롤 외표면으로부터 가열하는 구조라도 좋다.
닙 롤(28)의 가공 정밀도는 JIS B 0621(개정년 1984)에서 정의되는 원통도 공차에 있어서 0.03㎜ 이하, 원주 흔들림 공차에 있어서 0.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값이 지나치게 커지면 압착시의 제 1 가열 롤(21)과 닙 롤(28) 사이에 부분적인 간극이 생기기 때문에, 적층체(14)를 폭 방향에서 균일한 힘으로 압박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적층체(14)를 균일하게 압박할 수 없게 되어 전사하는 표면 구조의 형상에 편차를 야기할 경우가 있다. 또한, 탄성체의 표면 거칠기는 JIS B 0601(개정년 2001)에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1.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a가 1.6㎛을 초과하면, 압박시에 필름(11)의 이면에 탄성체의 표면 형상이 전사되어 버릴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닙 롤(28)의 탄성체의 내열성은 160℃ 이상의 내열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80℃ 이상의 내열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내열온도란 그 온도에서 24시간 방치했을 때의 인장강도의 변화율이 10%를 초과할 때의 온도로 판정한다.
탄성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를 사용할 경우에는 실리콘 고무나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네오프렌, CSM(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우레탄 고무, NBR(니트릴 고무), 에보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높은 탄성율과 경도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인성을 향상시킨 경질 내압 수지(예 :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체의 고무 경도는 ASTM D2240 : 2005(쇼어 D)규격으로 70∼97°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도가 70°를 밑돌면 탄성체의 변형량이 커지고, 필름(11)과의 가압 접촉 폭이 지나치게 커져서 구조의 형성에 필요한 압력을 확보할 수 없어질 경우가 있고, 또한 경도가 97°를 초과하면 반대로 상기 층의 변형량이 작아지고, 가압 접촉 폭이 지나치게 작아져서 표면 구조의 전사에 필요한 압박 시간을 확보할 수 없을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닙 롤(28)의 구동수단은 제 1 가열 롤(21)의 단부와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연결하고, 제 1 가열 롤(21)과 연동해서 회전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제 1 가열 롤(21)과 속도를 동기 가능한 모터 등을 이용하여 독립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전 가능의 구조로 하여 필름(11)과의 마찰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하여도 좋다.
필름 공급수단(23)은 권출 롤(23a)과, 또한 필름(11)의 반송 경로에 맞도록 설치된 1개 내지는 복수의 가이드 롤(23b)로 구성되지만, 가이드 롤(23b)은 장력 검지기구를 구비하여 장력이 일정해지도록 가이드 롤(23a)의 회전 토크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11)은 닙 롤(28)에 달라붙게 한 후 가압부(27a)에 반송되지만, 달라붙게 하기 직전에 주름 펴기 롤을 설치해도 좋다.
필름 박리수단(24)은 박리 롤(24a)에 의해 표면 구조 필름(15)을 몰드(12)로부터 박리한 후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 롤(25a)과, 또한 1개 내지는 복수의 가이드 롤(25b)로 구성되지만, 가이드 롤(25b)은 장력 검지기구를 구비하여 장력이 일정해지도록 권취 롤(25a)의 회전 토크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구조 필름(15)은 반드시 롤 형상으로 권취할 필요는 없고, 폭 방향 단부를 파지하면서 반송 과정에서 시트 형상으로 재단해서 매엽 형상으로 회수하는 기구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박리 롤(24a)의 내면에 냉각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가열된 표면 구조 필름(15)을 권취하기 전에 냉각해도 좋다. 또한, 박리 롤로부터 권취하기 전까지의 반송 과정에서 에어 분사 등의 냉각장치를 설치해서 표면 구조 필름(15)을 냉각해도 좋다. 권취하기 전에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권취 후의 표면 구조 필름(15)에 있어서 온도 변화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주름이나 평면성 불량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몰드용 도포 유닛(30)은 몰드(12)의 반송 과정에 있어서 가압부(27a)보다 상류측에 슬릿 다이(31)와 이것에 접속된 도포 재료 공급기구를 구비한다. 슬릿 다이(31)는 몰드(12)의 표면 구조가 형성된 면에 열경화성 재료 A(13)를 도포할 수 있게 대향시킨다.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슬릿 다이(31)와 몰드(12)의 간격이 고정밀도로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롤(32)을 표면 구조가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몰드를 지지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롤(32)은 몰드 접촉시에 몰드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제어할 수 있게 내부에 온도조절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슬릿 다이(31)와 몰드(12)의 간격에 대해서 슬릿 다이(31)의 토출면과 몰드(12)의 표면의 거리가 10㎛∼500㎛의 간격으로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의 간격의 정밀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정밀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지지 롤(32)의 진직도 및 회전 흔들림은 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슬릿 다이를 사용한 도포방식을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도포방식이라도 된다.
필름용 도포 유닛(33)은 필름(11)의 반송 과정에 있어서 가압부(27a)보다 상류측에 도포기와 이것에 접속된 도포 재료 공급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며, 도포기로서는 상기 몰드용 도포 유닛과 마찬가지 슬릿 다이 등을 이용하면 좋다. 이 경우, 슬릿 다이(34)와 필름(11)의 간격을 고정밀도로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롤(35)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슬릿 다이(34)와 필름(11)의 간격에 대해서 슬릿 다이(34)의 토출면과 필름(11)의 표면의 거리가 10㎛∼500㎛의 간격으로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의 간격의 정밀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정밀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지지 롤(35)의 진직도 및 회전 흔들림은 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슬릿 다이를 사용한 도포방식을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도포방식이라도 된다.
전사 유닛과 열경화성 재료의 몰드용 도포 유닛을 더 추가하여 필름(11)의 양면에 열경화성 재료의 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은 양면에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70)를 단면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전사 유닛을 구성하는 제 2 몰드 반송수단(71)을 몰드 반송수단(20)과 평행하게 설치한다. 제 2 몰드 반송수단(71)을 구성하는 제 2 몰드(80)는 표면에 표면 구조를 설치해도 좋고,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표면 구조가 없는 경우에는 평탄한 열경화성 재료의 면이 얻어진다. 제 2 몰드 반송수단(71)은 몰드(12)가 제 1 가열 롤(21)로부터 이간하는 근방에서 제 2 몰드(80)가 필름(11)에 접촉하도록 가열 롤(72, 73)을 배치하여, 양쪽 롤에 제 2 몰드(80)를 현가한다. 제 2 몰드용 도포 유닛을 구성하는 슬릿 다이(74)는 제 2 몰드의 반송 과정에 있어서 필름 접촉점(77)보다 몰드 반송 공정 상류측에 설치한다. 또한, 가열 유닛(75)을 슬릿 다이(74)와 필름 접촉점(77)의 사이에 설치한다. 또한, 제 1 가열 롤(21)의 통과 후는 가열 롤(78, 79)에 의해 복수회 압착해도 좋고, 열경화성 재료의 경화, 및 필름(11)과 열경화성 재료의 밀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제 2 가열 롤(22)에 반송하는 필름을 끼워서 대향한 위치에 가열 롤(73)을 설치한다. 표면 구조 필름(81)은 가열 롤(72)에 의해 몰드(12)로부터 박리되어 권취 롤에 권취된다. 표면 구조 필름(81)은 양면에 열경화성 재료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열경화성 재료의 수축에 따르는 필름의 휨 변형을 억제하여 평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12)는 표면 구조가 가공된 엔드리스벨트이다. 재질은 높은 강도와 열전도율을 고려하여 니켈이나 강, 스테인레스강, 구리 등의 금속을 채용해도 좋지만, 열경화성 재료와의 박리성을 고려하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경우, 보다 높은 박리성이 얻어지도록 표면 에너지가 25mN/m 이하의 열가소성 재료가 바람직하다. 재질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재료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몰드로서의 평면성을 높이기 위해서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과 접합시켜도 좋다.
표면 구조를 가지는 몰드(12)의 제작방법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금형을 눌러 붙여서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을 적용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금형을 눌러 붙여서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가열한 상태에서 금형에 꽉 눌러서 금형의 표면에 형성된 구조의 반전의 구조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몰드 제조장치를 개재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몰드(12)를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금형(101)을 사용해서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필름(102)이 권출 롤(110)로부터 인출되고, 가열 롤(120)에 의해, 가열된 표면 구조를 갖는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금형(101)의 표면에 공급된다. 금형(101)의 표면 구조는 최종적으로 얻고 싶은 표면 구조 필름(15)의 표면 구조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형(101)은 필름과 접촉하기 직전에 가열 롤(120)에 의해 가열된다.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102)은 닙 롤(121)에 의해 금형(101)의 표면 구조가 눌러 붙여져서, 필름(102)에 금형(101)의 표면 구조의 반전된 구조가 형성된다.
그 후, 필름(102)은 금형(101)과 밀착된 상태에서 냉각 롤(130)의 외표면 위치까지 반송된다. 필름(102)은 냉각 롤(130)에 의해 금형(101)을 통해서 열전도에 의해 냉각된 후, 박리 롤(140)에 의해 금형(101)으로부터 박리되고, 필름은 권취 롤(150)에 권취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해, 롤 필름 형상의 몰드를 얻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몰드(12)는 적용하는 장치에 맞춰서 적정한 길이로 컷트하고, 단부를 내면측에서 테이프로 고정하거나 해서 엔드리스벨트 형상으로 가공한다.
또한, 금형(101)의 표면에 실시하는 가공방법으로서는 금속 벨트의 표면에 직접 절삭이나 레이저 가공을 시공하는 방법, 금속 벨트의 표면에 형성한 도금피막에 직접 절삭이나 레이저 가공을 시공하는 방법, 미세 구조를 내면에 갖는 원통 형상의 원판에 전기주조를 실시하는 방법, 금속 벨트의 표면에 미세 구조면을 갖는 박판을 연속해서 붙이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두께,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의 단부끼리를 맞댐 용접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몰드(12)의 표면 구조로서는 함몰 형상이 이산적으로 배치된 것이 적합하다. 이것은 가압시에 몰드 평탄면에서 압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형상의 선단에서 압력을 집중적으로 받아 선단에서 변형을 야기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함몰 형상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직경 10㎚∼1㎜, 높이가 10㎚∼0.5㎜의 원기둥 형상의 함몰이 피치 100㎚∼1㎜, 보다 바람직하게는 높이 1㎛∼500㎛로 배치되어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뿔이나 각뿔 형상의 함몰이라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홈이 복수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거나, 볼록 형상이 이산적으로 배치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양면에 열경화성 재료를 형성할 경우에 사용하는 제 2 몰드(80)에 대해서도 몰드(12)와 동일한 구성, 재료, 제조방법이면 된다. 또한, 표면 구조가 없는 평탄한 것이라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은 표면 구조가 형성된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를 가열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열 롤을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몰드를 가열하면서 주회 반송시키는 몰드 반송부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A를 도포하는 공정, 필름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B를 도포하는 공정, 상기 몰드와 상기 필름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와 상기 열경화성 재료 B가 접촉하도록 접합시키는 공정, 상기 필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 및 상기 몰드를 적층한 상태에서 닙 롤에 의해 가압하는 공정, 가압 후의 상기 필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 및 상기 몰드를 적층한 상태에서 가열하면서 반송하는 공정, 상기 필름과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로 구성되는 표면 구조 필름을 상기 몰드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함으로써 표면 구조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준비 단계로서, 필름(11)을 권출 롤(23a)로부터 인출하고, 몰드(12) 상을 따르게 해서 박리 롤(24a)을 거쳐서 권취 롤(25a)에서 권취하고 있는 상태로 한다.
계속해서, 구동수단에 의해 필름(11)을 반송하면서 제 1 가열 롤(21)과 제 2 가열 롤(22)을 작동하고, 양쪽 가열 롤의 표면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될 때까지 온도조절한다. 양쪽 가열 롤의 표면온도의 조건은 도포하는 열경화성 재료 A(13), B(13')의 재질, 필름(11)의 내열성, 몰드(12)의 표면 구조의 형상, 어스펙트비 등에 의존하지만, 통상 80℃∼200℃의 사이에서 설정된다. 몰드가 수지인 경우에는, 가열 롤의 표면온도는 몰드를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보다 20℃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의 표면 구조의 형상이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몰드용 도포 유닛(30)으로부터 가압부(27a)까지의 사이에 가열 유닛(41)을 설치하여 몰드를 가열해도 좋다. 이 때, 가열 유닛(41)의 설정 온도는 열경화성 재료 A(13)가 가압부(27a)에 있어서 적정한 경화 상태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적정한 경화 상태로 함으로써 가압시의 재료의 폭 방향 단부의 퍼짐을 억제하여 가압 후의 열경화성 재료막의 두께를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 1 가열 롤(21) 및 제 2 가열 롤(22)의 표면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필름(11)을 성형속도로 반송함과 동시에 몰드용 도포 유닛(30)과 필름용 도포 유닛(33)을 작동시켜서, 몰드(12)에의 열경화성 재료 A(13)의 도포와 필름(11)에의 열경화성 재료 B(13')의 도포를 개시함과 동시에 닙 롤(28)을 닫고, 제 1 가열 롤(21)과 닙 롤(28)로 필름(11), 몰드(12)를 가압하여 몰드(12)의 표면 구조의 반전의 형상을 열경화성 재료 A(13)에 형성한다. 또한, 열경화성 재료 A(13)와 열경화성 재료 B(13')가 접촉해서 가압됨으로써, 몰드의 표면 구조의 영향을 받아서 발생한 열경화성 재료 A(13)의 도포면의 요철부에 열경화성 재료 B(13')가 충전된다. 이 때의 조건으로서는, 도포하는 열경화성 재료 A, B의 기계적 특성, 몰드(12)의 표면 구조의 형상, 어스펙트비 등에 의존하지만 필름의 성형 속도는 1∼30m/분, 닙 압력은 10㎫ 이상 100㎫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드용 도포 유닛(30)으로부터 가압부(27a)까지의 사이에 평탄화 수단(46)을 설치하고, 열경화성 재료 A의 도포된 직후의 도포면을 미리 평탄화해 두어도 된다. 완전한 평탄화는 어렵지만, 도포면의 요철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그 후의 열경화성 재료 B(13')가 요철면에 충전되기 쉬워진다.
적용하는 열경화성 재료 A, B로서는, 무기 재료, 유기 재료 어느 쪽이나 좋지만, 필름(11)의 내열성을 고려하여 경화 온도가 비교적 낮은 유기 재료가 적합하다. 예를 들면,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도포시의 점도나 경화시의 경도 등이 널리 선택할 수 있는 2액 경화형 실리콘 고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닙 압력은 10㎫ 미만에서는 미세 구조를 전사할 경우, 충분하게 수지가 완전히 변형되지 않아 성형 불량으로 될 경우가 있다. 또한, 100㎫ 초과에서는 몰드의 형상이 변형할 경우가 있는 것과, 강도설계 상, 장치가 대형으로 되어 비용이 문제가 될 경우가 있다.
열경화성 재료 A(13)는 몰드(12)로부터의 열전도에 의해 가열되고, 제 1 가열 롤(21)과 닙 롤(28)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몰드(12)의 표면 구조 내에 충전된다. 그리고, 가압부(27a)를 통과한 필름(11), 열경화성 재료, 몰드(12)가 적층된 적층체(14)는 온도를 거의 유지하면서 제 2 가열 롤(22)까지 반송된다. 여기에서도 몰드(12)는 더 가열되어, 몰드(12)로부터의 열전도에 의해 열경화성 재료 A(13), B(13') 모두 가열되어 경화가 진전된다. 그 후, 필름 박리수단인 박리 롤(24a)에 의해 박리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열 롤(21)의 표면에 있어서 엔드리스벨트(54)를 사용해서 필름(11)측으로부터 적층체(14)를 가압해도 좋다. 열경화성 재료 A(13), B(13')의 경화와, 필름(11)과의 밀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 2 가열 롤(22)의 표면에서 필름 박리수단인 박리 롤(24a)에 의해 필름(11)과 열경화성 재료 A(13), B(13')가 밀착해서 적층된 표면 구조 필름(15)을 몰드(12)로부터 박리한다. 박리된 표면 구조 필름(15)은 권취 롤(25a)에서 권취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유닛과 열경화성 재료의 몰드용 도포 유닛을 더 추가하고, 필름(11)의 양면에 열경화성 재료의 층을 전사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포하는 열경화성 재료의 재질이나 도포 두께는 반대면에 형성하는 열경화성 재료 A(13)와 동등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롤(72, 73)이나 다른 추가하는 가열 롤의 설정온도에 대해서도, 열경화성 재료 A(13)의 측의 가열 설정과 동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표면 구조 필름(81)에 있어서, 필름의 양면의 열수축량을 동등하게 해서 필름의 휨을 억제하고,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필름(11)으로서는 반송이나 열경화성 재료의 경화 수축에 있어서도 변형하지 않도록 강도와 내열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제조한 표면 구조 필름의 형태의 일례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은 표면 구조 필름(15)의 일영역을 잘라낸 사시도이다. 표면 구조 필름(15)은 필름(11)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패턴층(13a)이 피복되고, 표층에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적합하게 적용되는 바람직한 구조로서는, 이산적으로 기둥 형상 또는 추 형상, 원뿔, 각뿔 형상의 볼록 형상의 돌기나, 스트라이프 형상이거나, 함몰 형상이 이산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턴의 피치로서는 100㎚∼1㎜, 높이로서는 100㎚∼500㎛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실시예
[실시예 1]
필름(11)에는 2축 연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두께 100㎛의 필름(상품명 "루미러"(등록상표), S1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했다. 폭은 300㎜로 했다.
몰드(12)에는 메틸펜텐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두께 100㎛, 길이 3m, 폭 320㎜의 필름(오퓨란, 미츠이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적용하고, 표면 구조의 형성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금형을 눌러 붙여서 형상을 성형하는 장치를 사용했다. 표면 구조로서는 이등변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스프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에서, 이등변 삼각형의 높이가 12.5㎛, 꼭지각이 90도, 피치가 25㎛로 배치된 파상 형상이다.
열경화성 재료 A(13) 및 B(13')로서 2액 경화형 실리콘 고무(상품명 7-6830, 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고, 2액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에 탈포한 것을 사용했다.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하고, 제 1, 제 2 가열 롤(21, 22)은 탄소강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심재에 카트리지 히터를 내장시켜, 표면에 경질 크롬 도금을 한 것을 사용했다. 몰드(12)를 지지하는 중앙부의 외경은 400㎜, 폭 방향 길이는 340㎜로 했다. 제 1 가열 롤(21)의 표면온도를 120℃, 제 2 가열 롤(22)의 표면온도를 160℃까지 가열했다.
몰드(12)의 표면에 토출 폭이 290㎜, 슬릿 폭이 100㎛인 슬릿 다이(31)를 사용하여 평탄면에 도포했을 경우에 도포 두께가 10㎛로 되도록 열경화성 재료 A(13)를 도포했다.
필름(11)의 표면에 토출 폭이 290㎜, 슬릿 폭이 200㎛인 슬릿 다이(34)를 사용하여 두께가 20㎛로 되도록 열경화성 재료 B(13')를 도포했다.
필름 박리수단인 박리 롤(24a)은 외경은 400㎜, 폭 방향 길이는 340㎜이며 탄소강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심재에 내부에 냉각수를 흘릴 수 있는 구조로 했다. 냉각수의 온도는 30℃로 했다.
필름(11)의 몰드(12)에의 공급은 롤 형상으로 감긴 필름으로부터 행하고, 권출 장력을 30N으로 했다.
표면 구조 필름(15)의 필름은 권취 장력 30N으로 몰드(12)로부터 박리하고, 필름 롤로서 권취했다.
몰드(12)는 2m/분의 속도로 주회 반송했다. 몰드(12)에는 장력 30N이 걸리도록 제 1, 제 2 가열 롤을 유지했다.
닙 롤(28)은 외경이 160㎜, 탄소강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심재 표면에, 탄성체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경도 : 쇼어 D80°)를 가압 폭이 290㎜로 되도록 표면에 피막한 것을 사용했다. 압박수단에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닙 롤(28)에 대하여 압박력 100kN을 부하했다. 이 때, 닙 롤(28)과 필름(11)의 접촉 폭(B)을 압력 측정 필름(프리스케일, 후지 필름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전체 폭으로 6㎜이며, 성형용 필름에 부하되는 압력이 약 50㎫로 되고, 폭 방향에서 균일했다.
성형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한 결과, 필름(11) 상의 열경화성 재료 B(13')는 몰드(12) 상의 열경화성 재료 A(13)와 접합하고, 몰드(12) 상의 열경화성 재료 A(13)에 몰드(12)의 표면 형상을 거의 100% 전사할 수 있었다. 도 9에 표면 구조 필름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
필름(11) 및 몰드(12)에는 실시예 1에 기재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열경화성 재료 A(13) 및 B(13')로서 2액 경화형 실리콘 고무(상품명 RBL-9101-05, 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고, 2액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에 탈포한 것을 사용했다.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로서 도 3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하고, 제 1, 제 2 가열 롤(21, 22)은 탄소강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심재에 카트리지 히터를 내장시켜, 표면에 경질 크롬 도금을 한 것을 사용했다. 몰드(12)를 지지하는 중앙부의 외경은 400㎜, 폭 방향 길이는 340㎜로 했다. 제 1 가열 롤(21)의 표면온도를 70℃까지 가열하고, 제 2 가열 롤(22)의 표면온도를 150℃까지 가열했다.
슬릿 다이(31)는 토출 폭이 290㎜, 슬릿 폭이 100㎛이며, 평탄면에 도포했을 경우에 도포 두께가 25㎛로 되도록 열경화성 재료 A(13)를 도포했다. 필름(11)의 표면에 토출 폭이 290㎜, 슬릿 폭이 200㎛인 슬릿 다이(34)를 사용하여 두께가 10㎛로 되도록 열경화성 재료 B(13')를 도포했다.
평탄화 수단(46)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스크레이핑 폭 320㎜의 스크레이핑 블레이드를 사용하고, 몰드(12) 표면과 스크레이핑 블레이드의 최단 거리가 20㎛로 되도록 유지했다.
스크레이핑 블레이드에 의해 스크레이핑된 잉여액은 스크레이핑 블레이드의 상방에 배치되고, 진공펌프에 접속된 흡인 폭 320㎜, 슬릿 폭 200㎛의 흡인 노즐에서 회수했다. 흡인 노즐의 흡인 압력은 압력 조정기에 의해 -10kPa로 설정했다.
필름 박리수단인 박리 롤(24a)은 외경은 400㎜, 폭 방향 길이는 340㎜이며 탄소강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심재에 내부에 냉각수를 흘릴 수 있는 구조로 했다. 냉각수의 온도는 30℃로 했다.
필름(11)의 몰드(12)에의 공급은 롤 형상으로 감긴 필름으로부터 행하고, 권출 장력을 30N으로 했다.
표면 구조 필름(15)의 필름은 권취 장력 30N으로 몰드(12)로부터 박리하고, 필름 롤로서 권취했다.
몰드(12)는 2m/분의 속도로 주회 반송했다. 몰드(12)에는 장력 30N이 걸리도록 제 1, 제 2 가열 롤을 유지했다.
닙 롤(28)은 외경이 160㎜, 탄소강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심재 표면에, 탄성체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경도 : 쇼어 D80°)를 가압 폭이 290㎜로 표면에 피막한 것을 사용했다. 압박수단에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닙 롤(28)에 대하여 압박력 100kN을 부하했다.
성형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한 결과, 필름(11) 상의 열경화성 재료 B(13')는 몰드(12) 상의 열경화성 재료 A(13)와 접합하고, 몰드(12) 상의 열경화성 재료 A(13)에 몰드(12)의 표면 형상을 거의 100% 전사할 수 있었다.
10 :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11 : 필름
12 : 몰드
13 : 열경화성 재료 A
13':열경화성 재료 B
13a : 패턴층
14 : 적층체
15 : 표면 구조 필름
20 : 몰드 반송수단
21 : 제 1 가열 롤
22 : 제 2 가열 롤
23 : 필름 공급수단
23a : 권출 롤
23b : 가이드 롤
24 : 필름 박리수단
24a : 박리 롤
25a : 권취 롤
25b : 가이드 롤
27 : 가압기구
27a : 가압부
28 : 닙 롤
29 : 압박수단
30 : 몰드용 도포 유닛
31 : 슬릿 다이
32 : 지지 롤
33 : 필름용 도포 유닛
34 : 슬릿 다이
35 : 지지 롤
36 : 단부 검출 센서
37 : 컨트롤러
40 :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41 : 가열 유닛
45 :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46 : 평탄화 수단
50 :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51 : 압박기구
52, 53 : 롤
54 : 엔드리스벨트
60 :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66a∼66d : 가열 롤
70 :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71 : 제 2 몰드 반송수단
72, 73 : 가열 롤
74 : 슬릿 다이
75 : 가열 유닛
77 : 필름 접촉점
78, 79 : 가열 롤
80 : 몰드
81 : 표면 구조 필름
100 : 본 발명의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에 적용하는 몰드의 제조장치
101 : 금형
102 : 필름
110 : 권출 롤
120 : 가열 롤
121 : 닙 롤
130 : 냉각 롤
140 : 박리 롤
150 : 권취 롤

Claims (14)

  1.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 구조를 필름의 표면에 갖는 표면 구조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
    (1) 표면 구조가 형성된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와,
    (2) 2개 이상의 가열 롤을 둘러싼 상기 몰드를 상기 가열 롤을 회전함으로써 주회 반송하기 위한 몰드 반송수단과,
    (3) 상기 몰드 반송수단에 있어서의 제 1 가열 롤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표면이 탄성체에 덮여진 닙 롤과, 상기 가열 롤과 상기 닙 롤을 사용한 압착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가압기구와,
    (4) 상기 가압기구보다 상기 몰드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고, 몰드의 상기 표면 구조가 형성된 면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몰드용 도포 유닛과,
    (5) 상기 몰드의 표면에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수단과,
    (6) 상기 가압기구보다 필름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필름의 상기 몰드와 접촉하는 면에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필름용 도포 유닛과,
    (7) 상기 몰드의 표면의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필름 박리수단과,
    상기 몰드용 도포 유닛과 상기 제 1 가열 롤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몰드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용 도포 유닛과 상기 가압기구 사이에 몰드 표면에 도포된 재료를 평탄화하기 위한 평탄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 롤의 외주 표면에 상기 제 1 가열 롤에 대하여 압박할 수 있는 압박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가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상기 표면 구조를 갖는 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의 층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 유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장치.
  7.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표면 구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표면 구조가 형성된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를 가열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열 롤을 둘러싸게 함으로써, 상기 몰드를 가열하면서 주회 반송시키는 몰드 반송부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A를 도포하는 공정,
    (2) 필름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B를 도포하는 공정,
    (3) 상기 몰드와 상기 필름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와 상기 열경화성 재료 B가 접촉하도록 접합하는 공정,
    (4) 상기 필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 및 상기 몰드를 적층한 상태에서 닙 롤에 의해 가압하는 공정,
    (5) 가압 후의 상기 필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 및 상기 몰드를 적층한 상태에서 가열하면서 반송하는 공정,
    (6) 상기 필름과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로 구성되는 표면 구조 필름을 상기 몰드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A를 도포하는 공정의 뒤, 상기 열경화성 재료 A측에서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 전에, 상기 몰드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표면에 열경화성 재료 A를 도포하는 공정의 뒤, 상기 열경화성 재료 A측에서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 전에, 상기 열경화성 재료 A의 도포면을 평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상기 열경화성 재료 A, 상기 열경화성 재료 B, 및 상기 몰드를 적층한 상태에서 닙 롤에 의해 가압하는 공정의 뒤에, 상기 몰드가 상기 가열 롤을 둘러싸게 한 상태에서 상기 필름측에서 상기 가열 롤에 대하여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가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엔드리스벨트 형상의 몰드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금형을 눌러 붙여서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가열 중인 상기 가열 롤의 표면온도가 상기 몰드를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보다 20℃ 이상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14.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구조 필름의 표면 구조가 형성된 반대측의 표면에, 상기 몰드의 주회 반송 과정에 있어서 열경화성 재료의 층을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87011716A 2016-01-18 2016-11-11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490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6795 2016-01-18
JP2016006795 2016-01-18
PCT/JP2016/083575 WO2017126200A1 (ja) 2016-01-18 2016-11-11 表面構造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591A KR20180104591A (ko) 2018-09-21
KR102490286B1 true KR102490286B1 (ko) 2023-01-19

Family

ID=5936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716A KR102490286B1 (ko) 2016-01-18 2016-11-11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38743B2 (ko)
KR (1) KR102490286B1 (ko)
CN (1) CN108602239B (ko)
TW (1) TWI700173B (ko)
WO (1) WO2017126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363A (zh) * 2017-10-26 2018-02-16 厦门三车印刷包装机械有限公司 异形塑料包装袋的热封装置
JP7156036B2 (ja) * 2017-12-15 2022-10-19 東レ株式会社 高分子薄膜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WO2022168578A1 (ja) * 2021-02-05 2022-08-11 東レ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高分子薄膜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CN115275507A (zh) * 2022-08-09 2022-11-01 南木纳米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干法隔膜涂布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736A (ja) * 2002-04-17 2003-10-28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
JP2012210760A (ja) * 2011-03-31 2012-11-01 Toray Ind Inc 微細構造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3226667A (ja) 2012-04-24 2013-11-07 Kuraray Co Ltd 微細凹凸を有す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ト状部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5871B1 (en) * 1998-06-18 2002-04-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manufacturing microfluidic articles
JPH11156869A (ja) * 1997-12-01 1999-06-15 Kuraray Co Ltd 表面凹凸部品の製造方法
JP2001277354A (ja) 2000-04-04 2001-10-09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ンボス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エンボスシート
JP2008137282A (ja) 2006-12-01 2008-06-19 Fujifilm Corp 凹凸状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2081619A (ja) * 2010-10-08 2012-04-26 Kuraray Co Ltd 表面凹凸パターンを有する部材の製造方法
JP5355614B2 (ja) * 2011-04-19 2013-1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デバイスの製造装置、シート状デバイスの製造方法
IN2015DN03091A (ko) * 2012-10-05 2015-10-02 Jx Nippon Oil & Energy Corp
EP2923818B1 (en) * 2012-11-22 2018-07-18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Imprint mold manufacturing method
WO2014156452A1 (ja) * 2013-03-28 2014-10-0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面発光体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736A (ja) * 2002-04-17 2003-10-28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
JP2012210760A (ja) * 2011-03-31 2012-11-01 Toray Ind Inc 微細構造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3226667A (ja) 2012-04-24 2013-11-07 Kuraray Co Ltd 微細凹凸を有す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ト状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200A1 (ja) 2017-07-27
JP6738743B2 (ja) 2020-08-12
CN108602239B (zh) 2020-06-02
CN108602239A (zh) 2018-09-28
KR20180104591A (ko) 2018-09-21
TWI700173B (zh) 2020-08-01
TW201731662A (zh) 2017-09-16
JPWO2017126200A1 (ja)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079B1 (ko)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490286B1 (ko) 표면 구조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883193B1 (ko) 미세구조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20150314580A1 (en) Lamination method and laminate
JP4135768B2 (ja) 間欠式フィルム成形装置及び成型方法
KR20090073101A (ko) 간헐식 필름 성형 장치 및 간헐식 필름 성형 방법
EP2319680B1 (en) Fine structure 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68389A (ko) 엠보스 성형용 실리콘 고무 롤러, 그것을 사용한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및 표면 보호 필름
JP5712733B2 (ja) 微細構造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4135769B2 (ja) 間欠式フィルム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JP5884596B2 (ja) 微細構造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311395B2 (ja) 凹凸構造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0030192A (ja) 微細形状転写シート、微細形状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5104228B2 (ja) 微細形状転写シートの製造装置および微細形状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6085193B2 (ja) 微細構造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14109164A1 (ja) 微細構造転写装置及び微細構造転写方法
KR101727609B1 (ko) 미세 표면 구조를 갖는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9166409A (ja) 微細形状転写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