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276B1 -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276B1
KR102489276B1 KR1020180148283A KR20180148283A KR102489276B1 KR 102489276 B1 KR102489276 B1 KR 102489276B1 KR 1020180148283 A KR1020180148283 A KR 1020180148283A KR 20180148283 A KR20180148283 A KR 20180148283A KR 102489276 B1 KR102489276 B1 KR 10248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ever
autonomous driving
indicator switch
turn indicator
dri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270A (ko
Inventor
루카스 피알라
우즈시첵 피섹
Original Assignee
레오폴드 코스탈 게엠베하 &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폴드 코스탈 게엠베하 & 코 카게 filed Critical 레오폴드 코스탈 게엠베하 &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7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4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having mechanical, electric or electronic automatic return to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Othe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2Turn sign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0Direction indicator va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66Overtaking, changing 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 및 비자율 주행 모드를 갖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레버 하우징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는 비자율 주행 모드에서 중간 위치로부터 2개의 작동 방향으로 각각 조그 위치 및 고정 위치로 선회될 수 있고,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자율 주행 모드일 때 고정 위치에서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의 고정 위치 결정을 저지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DIRECTION INDICATOR SWITCH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율 및 비자율 주행 모드를 갖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레버 하우징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를 포함하고, 이 경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는 비자율 주행 모드에서 중간 위치로부터 2개의 작동 방향으로 각각 조그(jog) 위치로 및 고정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는 적어도, 중립적 중간 위치로부터, 2개의 작동 방향으로 각각 차선 변경을 알리기 위한 조그 위치와 주행 방향 변경을 알리기 위한 고정 위치를 갖는다. 2개의 고정 위치로부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는 적어도 수동으로 또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재설정될 수 있다.
최근의 자동차는 다양한 수준의 자율성을 갖는 여러 주행 모드를 포함하는 추세이다. 이 경우 가능한 한 차량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지장이 없는 자율 주행 모드뿐만 아니라 차량이 종래의 방식으로 운전자에 의해 조향 및 제어되는 비자율 주행 모드가 제공된다.
비자율 주행 모드를 위해, "일반적인" 조작 부재들, 예를 들어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를 가진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필수적이고,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의 작동에 의해 운전자는 임박한 차선 변경 또는 주행 방향 변경도 신호화할 수 있다.
그러나 자율 주행 모드의 경우에 차량 사용자에 의해 주행 방향 표시기로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의 작동은 그렇게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방향 지시등이 자율 주행 차량의 주행 자동 조절 장치에 의해 이미 설정되고 또한 재설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율 주행 모드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의 수동 작동은 일반적으로 신호화를 트리거 하지 않을 것이고, 이는 즉, 이러한 조작 부재의 작동은 자율 주행 차량의 자동 제어부에 의해 무시되는 것을 의미하다.
그와 달리, 자율 주행 모드에서도,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의 조깅(jogging) 작동은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차량에 다음 기회에 차선 변경을 수행하는 요청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트리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의 작동 가능성을 자율 및 비자율 주행 모드에 맞게 간단하고 바람직하게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방향 지시등 스위치가 자율 주행 모드일 때 고정 위치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의 고정 위치 설정을 저지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의 작동 원리는 계속해서 도면에 도시되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자동차의 비자율 주행 모드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과 도 2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B)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방향 지시등 스위치(B)는 스티어링 컬럼 스위치로서 적어도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에 배치되고, 스위치 레버 하우징(G) 및 스위치 레버 하우징(G)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 레버 하우징(G)의 내부는 스위치 레버 위치들을 검출하기 위한 그리고 전기 스위칭 신호의 적절한 발생을 위한 전기 부품들 외에 복수의 스위치 레버 위치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기계적 지지 및 위치 설정을 위한 부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는 이를 위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 고정 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볼트는 스위치 레버 하우징(G)의 내부에 고정 곡선에서 불변적이거나 가변적인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도 2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B) 상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가능한 스위칭 위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는 종래의 (비자율 주행) 자동차에서 사용되거나 비자율 주행 모드에 있지 않은 자동차에서 사용된다.
도 2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는 비 작동 상태로 중간 위치(M)에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 운동에 의해 각각 제1 스위칭 위치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칭 위치는 각각 조그 위치(Tr 또는 Tl)로서 형성된다. 조그 위치(Tr, Tl)는 가변적인 스위칭 위치이므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릴리스 후에 상기 스위치 레버는 다시 저절로 중간 위치(M)로 복귀된다. 2개의 조그 위치(Tr, Tl)는, 예를 들어 이러한 방향 지시등에 의해 차선 변경을 알리기 위해, 차량의 방향 지시등의 단시간 작동을 위해서만 이용된다.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가 조그 위치들(Tr, Tl) 중 하나를 넘어서 이동되면,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는 2개의 고정 위치(Rr 또는 Rl) 중 하나에 도달한다. 이러한 고정 위치(Rr 또는 Rl)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는 각각 불변적으로, 즉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가 각각의 고정 위치(Rr 또는 Rl)로부터 수동으로 떨어질 때까지 또는 스티어링 휠 회전에 의해 기계적으로 해제될 때까지 유지된다. 따라서 2개의 고정 위치(Rr 또는 Rl)는, 예컨대 주행 방향의 의도한 변경을 표시하기 위해 방향 지시등의 더 오래 지속되는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방향 지시등 스위치(B)의 전술한 작동 방식은 일반적이고 수십 년 동안 공개되었다. 종래의 주행 모드 외에 자율 주행 모드도 포함하는 최근의 자동차에서는 그러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B)의 전술한 작동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완전 자율 주행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방향 지시등 스위치(B)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자동차의 자율 제어부는 차량 이용자의 개입 없이 주행 방향 변경을 알리기 위해 및 차선 변경을 알리기 위해 차량의 방향 지시등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비자율 주행 모드, 즉 종래의 주행 모드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에서는, 비자율 주행 모드에서 차량 이용자에게, 현재 차량의 운전자의 자격으로, 자동차의 제어에 필요한 일반적인 조작 부재를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를 가진 방향 지시등 스위치(B)가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자율 주행 모드에 있는 경우, 기존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는 결코 비자율 주행 모드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스위치 레버는 그렇지 않으면 자율 주행 제어부에 의해 야기되는 신호화 또는 심지어 수행된 주행 동작에 모순되는 신호화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대신, 자율 주행 모드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위치들을 간단하게 무시하고 따라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B)를 거의 중지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해결 방법은 그러나 지금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조작 부재와 관련해서 불충분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B)의 불필요한 작동 위치들을 액추에이터(A)에 의해 액세스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 경우, 자율 주행 모드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모든 작동 위치들(Tl, Tr, Rl, Rr) 또는 적어도 고정 위치(Rl, Rr)만을 액추에이터(A)에 의해 차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자율 주행 모드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고정 위치(Rl, Rr)만을 작동에 대해 차단하고, 다른 기능을 위해 조그 위치(Tl, Tr)를 사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특히, 자율 주행 모드에서 주행 자동 조절 장치에 의해 조그 위치(Tl, Tr)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이동을, 다음 기회에 좌측 또는 우측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개시하기 위한 요구로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추가로 비자율 주행 모드에서도,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고정 위치(Rl, Rr)를 기계적으로, 예컨대 현재 주행 속도에 따라서 차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는, 직접 수행되는 주행 방향 변경이 불가능해지기 시작하는 높은 주행 속도에서 고정 위치(Rl, Rr)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잘못된 설정을 저지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방향 지시등 스위치(B)의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식은 도 1에 의해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도 2에서처럼, 방향 지시등 스위치(B)를 도시하고, 이 경우 그러나, 자동차는 이때 자율 주행 모드에 있는 것이 전제된다.
자율 주행 모드에서 차량 제어부는 스위치 레버 하우징(G)의 영역에 배치된 액추에이터(A)를 제어한다. 액추에이터(A)는 여기에서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방법으로, 2개의 고정 위치(Rl, Rr)의 차단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는 2개의 작동 방향으로 최대로는 조그 위치들(Tl, Tr) 중 하나의 위치까지만 선회될 수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는 수동 조작의 완료 후에 또한 즉시 중간 위치(M)로 재선회된다.
고정 위치(Rl, Rr)의 차단은,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고정 위치들의 도달이 기계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DE 10 2007 014 745 B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계적 잠금 장치의 스위치 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고정 위치에서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체결도 저지될 수 있다. 독일 공개 공보 DE 10 2015 000 419 A1호에 영구 자석의 자기 보유력에 의해 조정되는 스위치 레버의 불변적인 위치 설정이 기술되며, 상기 자기 보유력은 전자기적으로 발생된 대향 자기장의 활성화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대향 자기장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불변적인 위치 설정을 처음부터 저지하고 이로써 고정 위치를 기능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특허 출원에 기초한 2개의 간행물 DE 10 2007 014 745 B4호 및 DE 10 2015 000 419 A1호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A 액추에이터 B 방향 지시등 스위치
G 스위치 레버 하우징 H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
M 중간 위치 Rl 좌측 고정 위치
Rr 우측 고정 위치 Tl 좌측 조그 위치
Tr 우측 조그 위치

Claims (4)

  1. 자율 및 비자율 주행 모드를 갖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B)로서,
    스위치 레버 하우징(G)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는 비자율 주행 모드에서 중간 위치로부터 2개의 작동 방향으로 각각 조그 위치(Tl, Tr) 및 고정 위치(Rl, Rr)로 선회될 수 있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B)는 액추에이터(A)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자율 주행 모드에서 고정 위치(Rl, Rr)에서 상기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고정 위치 설정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A)는 제어 위치에서 상기 고정 위치(Rl, Rr)의 도달을 저지하는 기계적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위치(Rl, Rr)는 영구 자석의 자기 인력에 의해 구현되고, 자율 주행 모드에서 활성화된 전자석은 대향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대향 자기장은 영구 자석의 결합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자율 주행 모드에서 차선 변경의 개시를 위해 주행 자동 조절 장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 레버(H)의 조깅 작동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스위치.
KR1020180148283A 2017-11-30 2018-11-27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KR102489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11067.0 2017-11-30
DE102017011067.0A DE102017011067B4 (de) 2017-11-30 2017-11-30 Blinker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70A KR20190070270A (ko) 2019-06-20
KR102489276B1 true KR102489276B1 (ko) 2023-01-16

Family

ID=6654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83A KR102489276B1 (ko) 2017-11-30 2018-11-27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89276B1 (ko)
CN (1) CN109849775A (ko)
DE (1) DE10201701106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4885A1 (de) * 2019-12-18 2021-06-24 Audi Ag Lenkstock mit lenkstockschalter und 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833B1 (ko) 2011-07-08 2013-08-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방향 지시등 및 그 제어 방법
CN104347301A (zh) 2013-08-02 2015-02-11 福特全球技术公司 方向指示器开关和用于重新设置方向指示器开关的方法
KR200482341Y1 (ko) 2016-09-01 2017-01-12 박광희 급차선 변경 알림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5237A1 (de) * 1998-08-04 2000-02-10 Eugen Breimann Fahrzeug, insbesondere Kraftfahrzeug, mit externem Beleuchtungssystem
JP3983414B2 (ja) * 1999-04-07 2007-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追従走行システムにおけるターンシグナル制御装置
DE10039135A1 (de) 2000-08-07 2002-02-21 Mercedes Benz Lenkungen Gmbh Rückstellvorrichtung für einen manuell zu betätigenden elektrischen Schalter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3757A1 (de) * 2002-01-24 2003-07-31 Valeo Schalter & Sensoren Gmbh Lenkstockschalter und Schaltersystem
DE10210723A1 (de) * 2002-03-12 2003-09-25 Bosch Gmbh Robert Spurwechselassistent für Kraftfahrzeuge
DE102005032847A1 (de) * 2005-07-14 2007-01-25 Robert Bosch Gmbh Blink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das einen adaptiven Geschwindigkeitsregler aufweist
DE102007014745B4 (de) 2007-03-28 2017-06-14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 Schal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7889065B2 (en) * 2008-01-04 2011-02-15 Smith Alexander E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vehicle intent
JP2010143391A (ja) * 2008-12-18 2010-07-01 Tokai Rika Co Ltd 方向指示装置
CN202448827U (zh) * 2011-11-21 2012-09-26 长安大学 汽车紧急情况下转向灯自动开启装置
DE102013225138A1 (de) * 2013-12-06 2015-06-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utomatische Blinkerassistenz
US9205805B2 (en) * 2014-02-14 2015-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mitations on the use of an autonomous vehicle
CN104553969B (zh) * 2014-12-09 2017-07-25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导航系统的智能转向灯系统及其控制方法
DE102015000419A1 (de) * 2015-01-14 2016-07-14 Leopold Kostal Gmbh & Co. Kg Lenkstock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03208A1 (de) * 2015-02-23 2016-08-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purwechselassisten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101724963B1 (ko) * 2015-12-09 201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다기능 스위치의 턴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5930479U (zh) * 2016-07-11 2017-02-08 广西科技大学鹿山学院 一种车辆转向辅助灯控制系统
CN206306932U (zh) * 2016-12-20 2017-07-07 山东科技大学 一种车辆转向灯自动控制系统
CN107128243B (zh) * 2017-05-30 2019-03-15 罗醒江 一种车辆转向灯自动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833B1 (ko) 2011-07-08 2013-08-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방향 지시등 및 그 제어 방법
CN104347301A (zh) 2013-08-02 2015-02-11 福特全球技术公司 方向指示器开关和用于重新设置方向指示器开关的方法
KR200482341Y1 (ko) 2016-09-01 2017-01-12 박광희 급차선 변경 알림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70A (ko) 2019-06-20
DE102017011067A1 (de) 2019-06-06
DE102017011067B4 (de) 2024-03-14
CN109849775A (zh)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014B1 (ko) 자율주행 차량용 페달 조작 안전장치
KR101620209B1 (ko) 턴 시그널 제어 장치
US11192529B2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1724963B1 (ko) 전자식 다기능 스위치의 턴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606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lighting device of a vehicle
JP5989530B2 (ja) 電動式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CN108068789B (zh) 车辆控制器
WO2015033484A1 (en) Automatic driving apparatus
JP2007331479A (ja) 車両用操舵装置
JP2010143391A (ja) 方向指示装置
JP2009501105A (ja) 適応的速度制御器を有する自動車用の点滅スイッチ
KR102489276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스위치
JP4793312B2 (ja) 旋回方向指示装置
JP2007071370A (ja) 車両制御装置
JP2011152826A (ja) 変速段変更操作装置
JPH05280637A (ja) 自動変速機用制御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US11661000B2 (en) Lever switch and automatic light control device
JP4496915B2 (ja) 旋回方向指示装置
WO2018180525A1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1910827B1 (ko) 자율 주행 차량용 변속 제어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TWI727685B (zh) 高爾夫球車線控驅動系統
JP2010202035A (ja) ワイパスイッチ装置
CN113942447A (zh) 一种转向灯控制方法及装置
JPH0220119Y2 (ko)
JPH1059062A (ja) 産業車輌の方向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