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205B1 -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205B1
KR102486205B1 KR1020220070443A KR20220070443A KR102486205B1 KR 102486205 B1 KR102486205 B1 KR 102486205B1 KR 1020220070443 A KR1020220070443 A KR 1020220070443A KR 20220070443 A KR20220070443 A KR 20220070443A KR 102486205 B1 KR102486205 B1 KR 102486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y corn
activated
fermented
yeast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봉찬
이본섭
이근실
Original Assignee
이본섭
이근실
반봉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본섭, 이근실, 반봉찬 filed Critical 이본섭
Priority to KR102022007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0Mills in which a friction block is towed along the surface of a cylindrical or annular me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8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4B41/4884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4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ceramic materials
    • C04B41/5035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ceramic materials
    • C04B41/5037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8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ethods for altering the composition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G3/02 - C12G3/0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과 찰옥수수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인 기계적 충격, 분쇄, 마찰을 가함으로써, 단순 찰옥수수 또는 찰옥수수 추출물보다 배가된 효과와, 향상된 발효 효능, 향상된 풍미를 갖는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분쇄식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axy Corn Makgeolli Using Mechanochemical grinding}
본 발명은 밀과 찰옥수수를 기계화학적인 기계적 충격,분쇄,마찰을 가함으로써 찰옥수수의 물리화학적 효과를 미쳐 화학 반응에 의해 활성화를 이루는 활성화분쇄 밀,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한 후,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고, 이에 고두밥, 활성화 발효 누룩 및 엿기름을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상기 막걸리 발효물을 숙성 및 여과하여 제조되는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사포테 분말, 몬스테라 분말, 스네이크 푸르트 분말을 더 포함하면서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찰옥수수 알의 색깔은 젖빛을 띠어 반투명하며 씨눈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이 찰성 전분으로 대부분이 찰기가 있는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굳음 씨와 같은 둥근 알 모양의 흰색이나 노란색의 찰옥수수가 대부분이나 요즈음에는 숙기가 다양화 해 지면서 이삭이 작은 검정색이나 얼룩모양인 경립종의 찰옥수수도 재배되고 있다.
찰옥수수는 탄수화물과 섬유질, 항산화 물질등 풍부한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영양 성분에 포함되는 비타민B는 여름철 무기력증을 이기는데 도움을 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안토시아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비타민 B1, B2, E와 칼륨, 철분등 무기질이 풍부하다.
상기 찰옥수수를 기계적 충격, 분쇄, 마찰를 가함으로써 찰옥수수의 물리화학적 효과를 미쳐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화학 반응에 의해 활성화를 이룬다.
단순 찰옥수수 또는 찰옥수수 추출물보다 배가된 효과와, 또한 향상된 발효 효능,향상된 풍미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09-0077993(공개일자:2009년07월17일)로 옥수수를 포함하는 "막걸리 제조방법"이 출원된 바 있으나, 찰옥수수를 사용하지 아니며 특히, 옥수수를 베이스로 함유한 것이 아니면서 본 발명와 같이 기계적 충격, 분쇄, 마찰을 이용한 화학 반응의 활성화를 이루는 것이 아니며, 블랙사포테 분말, 몬스테라 분말, 스네이크 푸르트 분말을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09-0077993(공개일자:2009년07월17일)
본 발명은 통밀, 찰옥수수를 기계화학적 분쇄 즉, 기계적 충격, 분쇄, 마찰을 가하여 찰옥수수의 물리화학적 효과를 미쳐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화학 반응에 의해 활성화를 이루는 활성화분쇄 밀,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한 후,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고, 이에 고두밥, 활성화 발효 누룩 및 엿기름을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상기 막걸리 발효물을 숙성 및 여과하여 제조되는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사포테 분말, 몬스테라 분말, 스네이크 푸르트 분말을 더 포함하면서 맛과 향이 증폭된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찰옥수수 껍질을 제거한 후, 껍질이 제거된 찰옥수수를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찰옥수수의 알갱이만 분리하는 단계(S1)와,
상기 찰옥수수 알갱이를 70 ~ 100 ℃에서 건조시켜 건조 찰옥수수를 제조하고, 상기 건조 찰옥수수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된 찰옥수수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S2)와,
통밀을 세척한 후, 상기 세척된 통밀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분쇄 밀을 만드는 단계(S3)와,
또 다른 찰옥수수를 세척 및 껍질을 제거하고 알갱이만 분리한 찰옥수수 알갱이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한 후, 분쇄된 찰옥수수 알갱이를 에탄올에 넣고 60 ~ 80 ℃에서 3 ~ 4 시간 동안 3 ~ 4 회 환류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여액을 수득하여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4)와,
상기 S1단계 내지 S4단계에서 제조된 활성화분쇄 밀,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및 물을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5)와,
상기 성형된 활성화 누룩을 밀폐되게 용기에 담아 27∼35 ℃에서 10 ∼ 20일 동안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6)와,
물에 불린 찹쌀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S7)와,
상기 물 80 ~ 90 wt%, 고두밥 5 ∼ 15 wt%, 활성화 발효누룩 1.5 ∼ 5 wt% 및 엿기름 0.1 ∼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막걸리 발효물을 10 ∼15 ℃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8 ∼ 15 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8)와,
상기 숙성발효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단계(S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찰옥수수를 껍질을 제거한 후, 껍질이 제거된 찰옥수수를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찰옥수수의 알갱이만 분리하는 단계(S1)와,
상기 찰옥수수 알갱이를 70 ~ 100 ℃에서 건조시켜 건조 찰옥수수를 제조하고, 상기 건조 찰옥수수는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를 통해 활성화된 찰옥수수 분말로 가공되는 단계(S2)와,
통밀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통밀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분쇄 밀을 만드는 단계(S3)와,
또 다른 찰옥수수를 세척 및 껍질을 제거하고 알갱이만으로 분리한 찰옥수수 알갱이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한 후, 분쇄된 찰옥수수 알갱이를 에탄올에 넣고 60 ~ 80 ℃에서 3 ~ 4시간 동안 3 ~ 4회 환류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여액을 수득하여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4)와,
활성화분쇄 밀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40 ~ 60 wt%, 물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1 ~ 10 wt%, 블랙사포테 분말 1 ~ 5 wt%, 몬스테라 분말 1 ~ 5 wt% 스네이크 푸르트 분말 1 ~ 5 wt%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5)와,
상기 성형된 활성화 누룩을 밀폐되게 용기에 담아 27∼35 ℃에서 10 ∼ 20일 동안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6)와,
물에 불린 찹쌀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S7)와,
상기 물 80 ~ 90 wt%, 고두밥 5 ∼ 15 wt%, 활성화 발효누룩 1.5 ∼ 5 wt% 및 엿기름 0.1 ∼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막걸리 발효물을 10 ∼15 ℃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8 ∼ 15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8)와,
상기 숙성발효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단계(S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밀, 찰옥수수를 기계화학적 분쇄 즉, 기계적 충격, 분쇄, 마찰을 가함으로써 찰옥수수의 물리화학적 효과를 미쳐 활성화된 찰옥수수 분말, 활성화 통밀,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단순 찰옥수수 또는 찰옥수수 추출물보다 배가된 효과와, 향상된 발효 효능, 부드러움과 향상된 풍미를 갖는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분쇄장치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에 따른 분쇄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체부, 결합볼, 분쇄볼이 제3몸체의 탑재되고, 제1몸체의 다수의 돌기와 제2몸체의 홈이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분쇄장치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에 따른 분쇄장치의 사시도.
도3은 분쇄장치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에 따른 분쇄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체, 다수개의 회전날개가 슬라이드 결합홈을 따라 회전하여 결합볼과 분쇄볼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찰옥수수 껍질을 제거한 후, 껍질이 제거된 찰옥수수를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찰옥수수의 알갱이만 분리하는 단계(S1)와,
상기 찰옥수수 알갱이를 70 ~ 100 ℃에서 건조시켜 건조 찰옥수수를 제조하고, 상기 건조 찰옥수수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된 찰옥수수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S2)와,
통밀을 세척한 후, 상기 세척된 통밀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분쇄 밀을 만드는 단계(S3)와,
또 다른 찰옥수수를 세척 및 껍질을 제거하고 알갱이만 분리한 찰옥수수 알갱이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한 후, 분쇄된 찰옥수수 알갱이를 에탄올에 넣고 60 ~ 80 ℃에서 3 ~ 4 시간 동안 3 ~ 4 회 환류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여액을 수득하여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4)와,
활성화분쇄 밀,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물,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5)와,
상기 성형된 활성화 누룩을 밀폐되게 용기에 담아 27∼35 ℃에서 10 ∼ 20일 동안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6)와,
물에 불린 찹쌀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S7)와,
상기 물 80 ~ 90 wt%, 고두밥 5 ∼ 15 wt%, 활성화 발효누룩 1.5 ∼ 5 wt% 및 엿기름 0.1 ∼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막걸리 발효물을 10 ∼15 ℃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8 ∼ 15 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8)와,
상기 숙성발효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단계(S9)를 포함한다.
이하, 더욱 더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1의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제1찰옥수수의 알갱이만 분리 단계(S1)]
이하, 찰옥수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찰옥수수는 풋옥수수의 한 종류로, 차진 맛이 특징이다. 재래종과 국내 육성 품종이 재배되며, 흰색과 검정색 2종류가 있다. 이름처럼 매우 차진 것이 특징인데, 이는 일반 옥수수와는 전분 구조가 다르다.
상기 찰옥수수는 씨눈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이 전분을 구성하는 성분인 아밀로펙틴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개화한 뒤 30일 정도 지나 수확하여야 쫀득쫀득한 맛을 낸다. 너무 일찍 수확하면 씹는 질감은 부드럽지만 차진 맛이 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옥수수는 개화한 뒤 30일이 지난 찰옥수수의 껍질을 제거한 후, 껍질이 제거된 찰옥수수를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찰옥수수의 알갱이만 분리하여 사용한다.
[활성화된 찰옥수수 분말로 가공되는 단계(S2)]
상기 S1단계에서 분리된 찰옥수수 알갱이를 70 ~ 100 ℃에서 건조시키고 상기 건조된 찰옥수수를 제조한다.
상기 건조된 찰옥수수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된 50 ~ 250μm의 찰옥수수 분말을 제조한다.
[통밀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통밀을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분쇄 밀을 만드는 단계(S3)]
이하, 통밀에 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정 하지 않은 밀로, 겉 껍질만을 벗겨낸 통곡물류에 해당한다. 통밀은 알갱이가 크고 연한 갈색을 띤다. 식감은 거칠거칠하고 딱딱하나 고유의 독특한 풍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통밀에는 지방산이 들어 있어 산화하기 쉬우므로 밀봉하여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상기 통밀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통밀을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분쇄 밀을 제조한다.
이하, 상기 분쇄 장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분쇄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튜브형상을 이루면서 일측에 다수의 돌기(111)가 형성되는 제1몸체(11)와,
상기 제1몸체(11)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홈(12)과,
상기 제1몸체(11)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찰옥수수와 통밀을 투입시키는 투입구(13)를 포함하는 분쇄장치 상단층(10);
상기 분쇄장치 상단층(10)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몸체(11)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되, 일측에 다수의 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1)의 다수의 돌기(111)와 상기 홈(211)이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11)와 일체를 이루는 제2몸체(21)와,
상기 제2몸체(21)에 하단면에 세로방향으로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어 분쇄된 통밀과 찰옥수수 분말을 저장하고, 상기 저정된 통밀과 찰옥수수 분말을 배출하는 배출구(22)를 포함하는 중공의 3몸체(23)를 포함하는 분쇄장치 하단층(20);
상기 제1몸체(11) 및 제2몸체(21) 내부에 다수개가 탑재되어 찰옥수수와 통밀을 기계화학적 분쇄시키는 분쇄볼(31)과,
상기 제1몸체(11) 및 제2몸체 내부에 다수개가 탑재되어 일측으로 결합스틱과 결합되는 결합볼(32)을 포함하는 분쇄부(30);
상기 분쇄장치 상단층(10) 및 분쇄장치 하단층(20)에 탑재되는 일자 회전축(41)과,
상기 일자 회전축(41) 상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회전날개(421)가 형성되는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와,
상기 다수개의 회전날개(42)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2)을 관통하면서 제1몸체(11)에 탑재되는 결합볼(32)과 결합되는 결합스틱(43)과,
상기 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M)를 포함하는 회전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41)의 회전을 통해 상기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스틱(43)과 결합되는 결합볼(32)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2)을 따라 회전함으로 상기 결합볼(32) 좌우에 형성되는 상기 분쇄볼(31)에 힘이 가해 회전시켜 찰옥수수와 통밀을 기계화학적 분쇄식 분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분쇄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분쇄장치 상단층(10)]
[제1몸체(11)]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튜브형상을 이루되, 일측에 다수의 돌기(111)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돌기(111)는 제2몸체(21)의 홈(211)와 결합을 이룬다.
상기 제1몸체(11)의 다수의 돌기(111)와 제2몸체(21)의 다수 홈(211)이 결합함으로 제1몸체(11)와 제2몸체(21)가 일체를 이룬다.
또한, 제1몸체(11)와 제2몸체(21)가 결합되기 이전에 분쇄부(30)를 제2몸체(21)에 먼저 탑재시킨 후, 제1몸체(11) 및 제2몸체(11)를 결합시킨다.
[슬라이드 결합홈(12)]
도1,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2)은 상기 제1몸체(11)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부(40)를 구성하는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회전날개(421)가 슬라이드 결합홈(12)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슬라이드 결합홈(12)은 다수개의 회전날개(421)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스틱(43)과 상기 결합스틱(43)과 결합되는 결합볼(32)이 제1몸체(11)와 제2몸체(12)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형의 공간홀을 제공한다.
[투입구(13)]
도1,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투입구(13)는 상기 제1몸체(11)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찰옥수수와 통밀을 투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투입구(13)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폐방식은 한정하지 아니하나 그 예로는 힌지구조, 호퍼구조등을 선택할 수 있다.
[분쇄장치 하단층(20)]
[제2몸체(21)]
도1,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21)는 상기 분쇄장치 상단층(10)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몸체(11)와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일측에 다수의 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1)의 다수의 돌기(111)와 상기 제2몸체(21)에 형성되는 홈(211)이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21)가 일체를 이룬다.
또한, 제1몸체(11)와 제2몸체(21)가 결합되기 이전에 분쇄부(30)를 제2몸체(21) 먼저 탑재시킨 후, 제1몸체(11) 및 제2몸체(11)를 결합시킨다.
더불어, 상기 제2몸체(21)는, 하단면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메시구조로 이루지면서 분쇄부(30)에 의해 분쇄되는 찰옥수수와 통밀의 입도가 5 ~ 20 ㎛의 크기가 되면 분쇄장치 하단층(20)을 구성하는 제3몸체(23)로 자연낙하 될 수 있도록 한다.
[중공의 제3몸체(23)]
도1,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의 제3몸체(23)는 제2몸체(21)에 하단면에 세로방향으로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면서 제1몸체, 제2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중공의 제3몸체는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분쇄부에 의해 입도가 50 ~ 250 ㎛로 분쇄되어 자연낙하하는 통밀과 찰옥수수를 저장한다.
더불어, 하단에 상기 분쇄된 통밀과 찰옥수수를 배출하는 배출구(22)를 형성하여 분쇄된 통밀과 찰옥수수를 외부로 적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체부(40)를 내부에 탑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쇄부(30)]
[분쇄볼(31)]
도1,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제1몸체(11) 및 제2몸체(21) 내부에 다수개가 탑재되어 찰옥수수와 통밀을 기계화학적 분쇄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계화학적인 기계적 충격, 분쇄, 마찰을 가함으로써 찰옥수수의 물리화학적 효과를 미쳐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화학 반응에 의해 활성화를 이루도록 한다.
[결합볼(32)]
도1,도2,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 내부에 다수개가 탑재되어 일측으로 결합스틱과 결합되는 결합볼(32)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합볼(32)은 일측에 결합볼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볼홀(321)에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회전날개(421)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스틱(43)이 결합되면 상기 결합볼홀(321)과 결합스틱(43)이 일체를 이룬다.
상기 분쇄부(30)를 구성하는 분쇄볼(31) 및 결합볼(32)은 지르코니아 옥사이드(Zirconia oxide)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르코니아 옥사이드(Zirconia oxide)는 무독성, 무취의 백색 고체이다. 그리고, ZrO2는 광택이 나는 은회색을 띄며 융점이 2700℃로 높으며, 물에 거의 녹지 않고, 여러 화학물질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ZrO2는 가공성, 강도, 열 전달 특성이 좋은 물질의 특성을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몸체(11) 및 제2몸체(12)에 분쇄볼(31) 및 결합볼(32)을 탑재하는데 이때, 분쇄볼(31)과 결합볼(32)은 서로 반복 나열되지 않게 제1몸체(11) 및 제2몸체(21)에 탑재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볼(32)에 회전체부(40)를 구성하는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회전 날개(421) 일측에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스틱(43)이 결합된다.
그 후, 회전체부(40)를 구성하는 일자 회전축(41)이 회전하므로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가 그에 따라 회전하면서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회전 날개(421) 일측에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스틱(43)이 슬라이드 결합홈(12)을 따라 회전하여,
결합스틱(43)과 결합되는 결합볼(32)이 회전하면서 분쇄볼(3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계적 충격, 분쇄, 마찰을 가해 밀어 상기 결합볼(31)과 분쇄볼(32)이 제1몸체(11) 및 제2몸체(12) 내부에서 회전하여 찰옥수수와 통밀을 기계화학적 분쇄시켜 물리화학적 효과를 미쳐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화학 반응에 의해 활성화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쇄볼(31)과 결합볼(32)은 물 10 ~ 40 wt%와, 에탄올 10 ~ 20 wt%와,
도자기 분말, 석고 분말, 벽돌 분말 또는 타일 분말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이상의 자제 분말 5 ~ 10 wt%와,
구리분말 1 ~ 2 wt%, 물유리 5 ~ 10 wt%와, 폴리우레탄 30 ~ 60 wt%와, 불소화한 실리카 5 ~ 10 wt%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코팅액을 500 ~ 600 rpm, 속도로 8 ~ 10시간 교반 후 중력 침강법을 이용하여 60시간 방치하여 중력에 의해 침강되도록하여 코팅용액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코팅용액을 분쇄볼(31) 및 결합볼(32)에 도포한 후 120 ~ 150 ℃에서 오븐에서 건조하고 부착성 향상을 위해 아르곤 분위기에서 5℃/min 승온 온도 1720, 1800, 2200 ℃에서 10 ~ 15분 소결함으로 제조한다.
[회전체부(40)]
[일자 회전축(41)]
도1,도2,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자회전축(41)은 상기 분쇄장치 상단층(10)부터 분쇄장치 하단층(20)까지 세로방향으로 탑재되면서 회전모터(M)에 의해 회전된다.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
도1,도2,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는 상기 일자 회전축(41) 상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회전날개(421)가 십자형으로 형성된다.
[결합스틱(43)]
도1,도2,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스틱(43)은 상기 다수개의 회전날개(421)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2)을 관통하면서 제1몸체(11) 및 제2몸체(12)에 탑재되는 결합볼(32)과 결합된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M)에 의해 상기 분쇄장치 상단층(10)부터 분쇄장치 하단층(20) 까지 세로방형으로 형성되는 일자 회전축(41)이 회전한다.
그에 따라, 상기 일자회전축(41) 상단에 형성되는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가 회전하고 상기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회전날개(421) 그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스틱(43)에 결합되는 결합볼(32)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여 분쇄볼(31) 회전력에 의한 물리적 충격을 가해 찰옥수수와 통밀을 기계화학적 분쇄시켜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고 화학 반응에 의해 활성화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분쇄 에너지는 찰옥수수와 통밀의 입자를 입체적으로 안정화를 이루게 하여 입자의 응집를 방해하여 분산이 잘되게 함으로서, 입자들간의 재응집을 방지하고 표면에 전하를 갖도록하여 입체적으로 안정화를 이루게 한다.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을 제조단계(S4)]
찰옥수수를 세척 및 껍질을 제거하고 알갱이만 분리한다.상기 분리된 찰옥수수 알갱이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한다..
상기 분쇄된 찰옥수수 알갱이를 에탄올에 넣고 60 ~ 80 ℃에서 3 ~ 4시간 동안 3 ~ 4회 환류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 그 후, 여액을 수득하여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을 제조한다.
[활성화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5)]
활성화분쇄 밀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40 ~ 60 wt%, 물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1 ~ 10 wt%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한다.
상기 활성화분쇄 밀이 10 wt% 미만이면 누룩으로서 제조가 어려울 수 있고, 20 wt%을 초과하면 찰옥수수의 함량이 줄어들어 본 발명의 찰옥수수 먹걸리를 제조하는 것에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40 wt% 미만이면 찰옥수수의 맛을 내기 어려울 수 있고, 60 wt%을 초과하면 맛이 너무 진해져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맛과 향에 있어 바람직하다.
물 10 wt% 미만이면 누룩의 모양을 잡고 반죽하기 어려울 수 있고, 20 wt%을 초과하면 나쁜 미생물이 쉽게 번식할 수 있어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이 1 wt% 미만이면 감칠 맛을 도출하기 어려울 수 있고, 10 wt%을 초과하면 수분함량이 늘어남으로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누룩혼합물에 대한 구체적인 배합예를 표 1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배합예1 배합예2 배합예3
활성화분쇄 밀 20 wt% 30 wt% 15 wt%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60 wt% 50 wt% 55 wt%
15 wt% 10 wt%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5 wt% 10 wt% 10 wt%
합계 100 wt% 100 wt% 100 wt%
제일 바람직한 배합예는 배합예 1로서, 활성화분쇄 밀 20 wt% ,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60 wt%, 물 15wt%,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5 wt%를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한다.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6)]
상기 성형된 활성화 누룩을 밀폐되게 용기에 담아 27 ∼ 35 ℃에서 10 ∼ 20일 동안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한다.
[고두밥을 찌는 단계(S7)]
물에 불린 찹쌀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 즉,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숙성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8)]
상기 물 80 ~ 90 wt%, 고두밥 5 ∼ 15 wt%, 활성화 발효누룩 1.5 ∼ 5 wt% 및 엿기름 0.1 ∼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한다.
상기 고두밥이 5 wt% 미만이면 발효에 드는 시간이 늘어나 실속력이 없고, 15 wt%를 초과하면 주질의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화 발효누룩이 1.5wt% 미만이면 주질이 떨어질 수 있고, 5 wt%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특별한 효과가 없으므로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엿기름이 0.1 wt% 미만이면 당화가 진행됨에 있어 어려울수 있고, 2 wt%를 초과하면 그에 따라, 타함량의 수치가 줄어드므로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누룩혼합물에 대한 구체적인 배합예를 표 2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4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배합예1 배합예2 배합예3 배합예4
80 wt% 90 wt% 85 wt% 82 wt%
고두밥 15 wt% 5 wt% 10 wt% 15 wt%
활성화 발효누룩 4.5 wt% 3 wt% 4.9 wt% 2 wt%
엿기름 0.5 wt% 2 wt% 0.1 wt% 1 wt%
합계 100 wt% 100 wt% 100 wt% 100 wt%
이때, 막걸리 발효물의 제일 바람직한 배합예는 상기 배합예2로 상기 물 90 wt%, 고두밥 5 wt%, 활성화 발효누룩 3 wt% 및 엿기름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한다.
그 후, 막걸리 발효물을 10 ∼15 ℃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8 ∼ 15 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발효물을 제조한다.
[상기 숙성발효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단계(S9)]
S8단계에서 제조된 숙성발효물을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면서본 발명의 실시예1의 찰옥수수 막걸리를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2의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실시예 2는 실시예 1와 동일하되, 블랙사포테 분말, 몬스테라 분말, 스네이크 푸르트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찰옥수수를 껍질을 제거한 후, 껍질이 제거된 찰옥수수를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찰옥수수의 알갱이만 분리하는 단계(S1)와,
상기 찰옥수수 알갱이를 70 ~ 100 ℃에서 건조시켜 건조 찰옥수수를 제조하고, 상기 건조 찰옥수수는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를 통해 활성화된 찰옥수수 분말로 가공되는 단계(S2)와,
통밀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통밀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분쇄 밀을 만드는 단계(S3)와,
또 다른 찰옥수수를 세척 및 껍질을 제거하고 알갱이만으로 분리한 찰옥수수 알갱이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한 후, 분쇄된 찰옥수수 알갱이를 에탄올에 넣고 60 ~ 80 ℃에서 3 ~ 4시간 동안 3 ~ 4회 환류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여액을 수득하여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4)와,
활성화분쇄 밀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40 ~ 60 wt%, 물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1 ~ 10 wt%, 블랙사포테 분말 1 ~ 5 wt%, 몬스테라 분말 1 ~ 5 wt% 스네이크 푸르트 분말 1 ~ 5 wt%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5)와,
상기 성형된 활성화 누룩을 밀폐되게 용기에 담아 27∼35 ℃에서 10 ∼ 20일 동안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6)와,
물에 불린 찹쌀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S7)와,
상기 물 80 ~ 90 wt%, 고두밥 5 ∼ 15 wt%, 활성화 발효누룩 1.5 ∼ 5 wt% 및 엿기름 0.1 ∼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막걸리 발효물을 10 ∼15 ℃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8 ∼ 15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8)와,
상기 숙성발효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단계(S9)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2에서 포함되는 S5단계의 누룩혼합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
활성화분쇄 밀,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물,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블랙사포테 분말, 몬스테라 분말,스네이크 푸르트 분말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 2에 포함되는 구성 성분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블랙사포테는 녹색에서 연녹색이고, 생김새는 단감 모양이다. 단감과 같이 아래쪽에 꽃받침(꼭지)이 남아 있다. 그러나 표면이 곱거나 광택이 있지 않고, 상처처럼 보이는 검은 점들이 많다.또한, 초콜릿 푸딩 맛이 난다 또한, 비타민 C가 오렌지보다 네 배가량 많고 칼슘이 풍부하다.
상기 몬스테라는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성 식물. 관엽식물로 길이는 90~ 1 0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갈라져 있으며 달걀 모양의 구멍이 있다. 옥수수 이삭같이 생긴 꽃은 향기가 있어 식용하며 과실은 맛과 향기가 좋다.[3] 먹어본 사람들의 말로는 바나나와 파인애플을 맛이 난다. 본 발명의 몬스테라는 몬스테라의 과실만을 사용한다.
스네이크 푸르트는 원형에 높이 5 ~ 7 cm, 너비 5 cm로 그 모양과 크기가 무화과와 비슷하다. 윗부분은 뾰족하며 아랫부분은 둥글다. 겉껍질은 빨간빛이 도는 갈색으로 뱀의 피부와 같은 무늬를 가지고 있어 스네이크 프루트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열매는 달콤하면서 새콤한 맛이 파인애플과 비슷하나 식감은 사과와 같이 단단하고 아삭하여 씹는 맛이 있는데 그 질감과 맛은 종에 따라 세세한 차이를 지니고 있다. 또한, 망고에 비해 5배가 많은 베타카로틴이 함유되어 있어 심혈관 질환과 뇌졸중 예방에 도움이 되며, 비타민 A와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시력 보호, 야맹증 예방, 노화 방지, 면역력 강화, 피로 해소, 피부 개선 등에도 도움을 준다.
즉, 실시예2는 활성화분쇄 밀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40 ~ 60 wt%, 물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1 ~ 10 wt%, 블랙사포테 분말 1 ~ 5 wt%, 몬스테라 분말 1 ~ 5 wt% 스네이크 푸르트 분말 1 ~ 5 wt%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한다
상기 성형된 활성화 누룩을 밀폐되게 용기에 담아 27 ∼ 35 ℃에서 10 ∼ 20일 동안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한다.
그 후, 물에 불린 찹쌀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두밥을 찌고, 물 80 ~ 90 wt%, 고두밥 5 ∼ 15 wt%, 활성화 발효누룩 1.5 ∼ 5 wt% 및 엿기름 0.1 ∼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막걸리 발효물을 10 ∼15 ℃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8 ∼ 15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발효물을 제조한 후,
상기 숙성발효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실시예 2의 찰옥수수 막걸리를 제조한다.
이하, 구체적인 배합예인 배합예1를 통한 시험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배합예 1]
활성화분쇄 밀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40 wt%, 물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10 wt%, 블랙사포테 분말 3 wt%, 몬스테라 분말 4 wt% 스네이크 푸르트 분말 3 wt%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하고,
상기 성형된 활성화 누룩을 밀폐되게 용기에 담아 27.4 ℃에서 20일 동안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고,
물에 불린 찹쌀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물 70 wt%, 고두밥 18 wt%, 활성화 발효누룩 10 wt% 및 엿기름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막걸리 발효물을 15 ℃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발효물을 제조한 후,
상기 숙성발효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찰옥수수 막거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관능평가]
상기 배합예1로 부터 제조된 찰옥수수 막걸리를 이용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배합예 1로 부터 제조된 찰옥수수 막걸리에 맛, 목넘김, 향, 숙취, 기호도에 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하여 표3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자는 총 30명으로서 죽전 단국대학교 주변에서 실시하였으며, 각각 한명당 1리터의 막걸리를 마셨으며, 상기 숙취 평가는 제공된 막걸리를 모두 마신 후 12시간 이후의 컨디션 상태로 평가하였다.
또한, 평가를 위해 참여한 인원은 20 ~ 27세의 남학생 15명과, 20 ~ 24세의 여학생 15명을 선별하고, 총 15/15명을 상대로 5점 평점법을 적용하였다.(5 : 아주 좋다, 4 : 좋다, 3 : 보통, 2 : 나쁨, 1 : 아주 나쁨)(만점:75)
구분 남학생(15인) 여학생(15인)
75 60
목넘김 75 75
75 75
숙취 75 60
기호도 75 60
총점: 375 330
평가결과, 맛, 목넘김, 향, 숙취, 기호도가 남녀 동일하게 높은 점수의 평가를 받았다. 특히, 목넘김과 향 부분에서 남자 여자 모두 75점으로 만점을 받아 분쇄장치를 통한 분쇄효과에의해 막걸리 자체의 풍미와 부드러움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단순 찰옥수수 또는 찰옥수수 추출물보다 배가된 효과와, 향상된 발효 효능, 향상된 풍미를 갖는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어 주류 산업에 큰 돌풍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는 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11)제1몸체
(10)분쇄장치 상단층
(21)제2몸체
(22)배출구
(23)중공의 3몸체
(20)분쇄장치 하단층
(31)분쇄볼
(32)결합볼
(30)분쇄부
(41)일자 회전축
(42)십자형 회전 바람개비
(43)결합스틱
(40) 회전체부

Claims (6)

  1. 찰옥수수 껍질을 제거한 후, 껍질이 제거된 찰옥수수를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찰옥수수의 알갱이만 분리하는 단계(S1)와,
    상기 찰옥수수 알갱이를 70 ~ 100 ℃에서 건조시켜 건조 찰옥수수를 제조하고, 상기 건조 찰옥수수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된 찰옥수수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S2)와,

    통밀을 세척한 후, 상기 세척된 통밀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분쇄 밀을 만드는 단계(S3)와,

    또 다른 찰옥수수를 세척 및 껍질을 제거하고 알갱이만 분리한 찰옥수수 알갱이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한 후, 분쇄된 찰옥수수 알갱이를 에탄올에 넣고 60 ~ 80 ℃에서 3 ~ 4 시간 동안 3 ~ 4 회 환류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여액을 수득하여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4)와,

    상기 S1단계 내지 S4단계에서 제조된 활성화분쇄 밀,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및 물을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5)와,
    상기 성형된 활성화 누룩을 밀폐되게 용기에 담아 27∼35 ℃에서 10 ∼ 20일 동안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6)와,

    물에 불린 찹쌀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S7)와,

    상기 물 80 ~ 90 wt%, 고두밥 5 ∼ 15 wt%, 활성화 발효누룩 1.5 ∼ 5 wt% 및 엿기름 0.1 ∼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막걸리 발효물을 10 ∼15 ℃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8 ∼ 15 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8)와,
    상기 숙성발효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단계(S9)를 포함하는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쇄장치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튜브형상을 이루면서 일측에 다수의 돌기(111)가 형성되는 제1몸체(11)와,
    상기 제1몸체(11)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홈(12)과,
    상기 제1몸체(11)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찰옥수수와 통밀을 투입시키는 투입구(13)를 포함하는 분쇄장치 상단층(10);

    상기 분쇄장치 상단층(10)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몸체(11)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되, 일측에 다수의 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1)의 다수의 돌기(111)와 상기 홈(211)이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11)와 일체를 이루는 제2몸체(21)와,
    상기 제2몸체(21)에 하단면에 세로방향으로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어 분쇄된 통밀과 찰옥수수 분말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통밀과 찰옥수수 분말을 배출하는 배출구(22)를 포함하는 중공의 3몸체(23)를 포함하는 분쇄장치 하단층(20);

    상기 제1몸체(11) 및 제2몸체(21) 내부에 다수개가 탑재되어 찰옥수수와 통밀을 기계화학적 분쇄시키는 분쇄볼(31)과,
    상기 제1몸체(11) 및 제2몸체 내부에 다수개가 탑재되어 일측으로 결합스틱과 결합되는 결합볼(32)을 포함하는 분쇄부(30);

    상기 분쇄장치 상단층(10) 및 분쇄장치 하단층(20)에 탑재되는 일자 회전축(41)과,
    상기 일자 회전축(41) 상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회전날개(421)가 형성되는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와,
    상기 다수개의 회전날개(42)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2)을 관통하면서 제1몸체(11)에 탑재되는 결합볼(32)과 결합되는 결합스틱(43)과,
    상기 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M)를 포함하는 회전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41)의 회전을 통해 상기 십자형 회전 바람개비(42)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스틱(43)과 결합되는 결합볼(32)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2)을 따라 회전함으로 상기 결합볼(32) 좌우에 형성되는 상기 분쇄볼(31)에 힘이 가해 회전시켜 찰옥수수와 통밀을 기계화학적 분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21)는,
    하단면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메시구조로 이루지면서 분쇄부(30)에 의해 분쇄되는 찰옥수수와 통밀의 입도가 5 ~ 20 ㎛의 크기가 되면 분쇄장치 하단층(20)으로 자연낙하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볼(32)은,
    일측단에 결합볼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볼홀(321)에 결합스틱(43)이 결합되면 상기 결합볼홀(321)과 결합스틱(43)이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5. 삭제
  6. 찰옥수수를 껍질을 제거한 후, 껍질이 제거된 찰옥수수를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찰옥수수의 알갱이만 분리하는 단계(S1)와,
    상기 찰옥수수 알갱이를 70 ~ 100 ℃에서 건조시켜 건조 찰옥수수를 제조하고, 상기 건조 찰옥수수는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를 통해 활성화된 찰옥수수 분말로 가공되는 단계(S2)와,
    통밀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통밀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하여 활성화분쇄 밀을 만드는 단계(S3)와,
    또 다른 찰옥수수를 세척 및 껍질을 제거하고 알갱이만으로 분리한 찰옥수수 알갱이를 분쇄장치를 통해 기계화학적 분쇄한 후, 분쇄된 찰옥수수 알갱이를 에탄올에 넣고 60 ~ 80 ℃에서 3 ~ 4시간 동안 3 ~ 4회 환류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여액을 수득하여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S4)와,
    활성화분쇄 밀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분말 40 ~ 60 wt%, 물 10 ~ 20 wt%, 활성화 찰옥수수 추출액 1 ~ 10 wt%, 블랙사포테 분말 1 ~ 5 wt%, 몬스테라 분말 1 ~ 5 wt% 스네이크 푸르트 분말 1 ~ 5 wt%를 고르게 혼합하여 누룩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누룩혼합물을 압착 성형하여 활성화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5)와,
    상기 성형된 활성화 누룩을 밀폐되게 용기에 담아 27∼35 ℃에서 10 ∼ 20일 동안 발효시켜 활성화 발효누룩을 제조하는 단계(S6)와,
    물에 불린 찹쌀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두밥을 찌는 단계(S7)와,
    상기 물 80 ~ 90 wt%, 고두밥 5 ∼ 15 wt%, 활성화 발효누룩 1.5 ∼ 5 wt% 및 엿기름 0.1 ∼ 2 wt%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막걸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막걸리 발효물을 10 ∼15 ℃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8 ∼ 15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8)와,
    상기 숙성발효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단계(S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KR1020220070443A 2022-06-10 2022-06-10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KR102486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43A KR102486205B1 (ko) 2022-06-10 2022-06-10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43A KR102486205B1 (ko) 2022-06-10 2022-06-10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205B1 true KR102486205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443A KR102486205B1 (ko) 2022-06-10 2022-06-10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2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993A (ko) 2008-01-14 2009-07-17 김현풍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652103B1 (ko) * 2016-04-10 2016-08-29 이성우 하수오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25182B1 (ko) * 2020-05-11 2021-03-09 심상희 동결건조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382209B1 (ko) * 2021-10-28 2022-04-05 주식회사 리켐텍 고순도 수산화리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993A (ko) 2008-01-14 2009-07-17 김현풍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652103B1 (ko) * 2016-04-10 2016-08-29 이성우 하수오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25182B1 (ko) * 2020-05-11 2021-03-09 심상희 동결건조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382209B1 (ko) * 2021-10-28 2022-04-05 주식회사 리켐텍 고순도 수산화리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1974B (zh) 一种多纤维魔芋八宝粥
KR101844790B1 (ko) 솔잎 발효액을 이용한 솔잎 성분 함유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188B1 (ko) 홍시를 함유한 곶감 떡의 제조방법
KR101402079B1 (ko) 블루베리 호두 찐빵의 제조방법
CN104256306A (zh) 一种保健荷叶糯米糕及其加工方法
CN101416692A (zh) 全素多味果酱制作技术
KR20110041378A (ko)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정
KR102486205B1 (ko) 기계화학적 분쇄를 활용한 찰옥수수 막걸리 제조방법
KR101421186B1 (ko) 사과조청을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KR102073393B1 (ko) 발효 차가버섯 분말과 죽염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KR20010035146A (ko) 한과의 제조방법
KR101976835B1 (ko)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KR102175589B1 (ko) 귤과 사과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KR20190065550A (ko) 아이스 죽 제조방법
KR101918440B1 (ko) 검은깨 유과의 제조방법
KR101927849B1 (ko) 자색 고구마를 포함하는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한과
KR100879383B1 (ko) 복분자 과즙을 포함하며 색이 안정화된 복분자 쌀가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4226A (ko) 감자 옹심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4268A (ko) 땅콩 국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94950A (ko) 카카오엿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카오엿
KR102340850B1 (ko) 석류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330369B1 (ko) 카카오콩을 포함하는 칩쿠키 제조방법
KR102594349B1 (ko) 블루베리를 이용한 화과자의 제조방법
KR20050053460A (ko) 과일소 또는 과일고물 제조방법 및 상기 과일소 또는과일고물을 이용한 과일떡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