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468B1 -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468B1
KR102485468B1 KR1020210018029A KR20210018029A KR102485468B1 KR 102485468 B1 KR102485468 B1 KR 102485468B1 KR 1020210018029 A KR1020210018029 A KR 1020210018029A KR 20210018029 A KR20210018029 A KR 20210018029A KR 102485468 B1 KR102485468 B1 KR 102485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uble
base plate
unit
c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706A (ko
Inventor
박철순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원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원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원오토
Priority to KR102021001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4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01N2021/945Liquid or solid deposits of macroscopic size on surfaces, e.g. drops, films, or clustered contamin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유리를 측 방향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유리를 지지하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본체부의 상,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 봉 및 하부 봉; 상기 상부 봉 및 하부 봉에 걸쳐 텐션을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on of glass in System for manufacturing of double layer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유리를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서, 유리의 양 표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등의 외관검사를 시행할 때, 검사 대상인 유리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전면과 후면의 외관검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향상에 따른 생활환경의 고급화 및 그 제조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복층유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즉, 대형빌딩은 물론이고 소규모의 상점과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주거환경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복층유리는 두 장 이상의 유리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한 것으로, 단층유리와 비교하여 실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외부온도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측 유리의 표면온도는 상대적으로 덜 저하되어 이슬 맺힘 현상이 억제된다. 그리고, 방음성능이 우수하여 실내외 사이의 소음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종래의 복층유리는 건물의 내측을 향하는 제1 유리와,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제2 유리 및 제1 유리와 제2 유리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켜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게 하는 간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간봉은 이격된 유리 상호 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간봉은 열전도율이 높아서 단열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리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시야가 크게 방해를 받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를 이용한 간봉이 제안된바 있으며,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1851호가 개시되어 있다.
합성수지로 된 간봉은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티피에스(TPS) 물질, 폴리아이소뷰틸렌(Polyisobutylen)으로서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단열 플라스틱 스페이서(Thermo Plastic Spacer)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티피에스 간봉이 개재되는 복층유리의 경우, 어느 하나의 유리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을 도포한 후, 다른 하나의 유리와 합착하기에 앞서, 유리의 내면 및 외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등의 외관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즉, 서로 다른 유리가 티피에스 간봉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상태에서, 티피에스 간봉의 내측에 위치하는 유리들의 내면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없게 되는바, 합착 전에 미리 이물질의 유무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외관검사를 시행한 후, 검사를 통과한 유리를 합착하여 복층유리로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 제공되는 검사장치의 경우, 유리의 일 면(후면)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과 밀착되거나 또는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외관의 육안검사가 이루어지게 되는바, 유리의 후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곤란하였고, 또한 유리의 전면도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이 투영되어 역시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미처 이물질의 유무 여부를 작업자가 확인하지 못한 상태로 합착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체적으로 불량의 복층유리가 제조되어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516349호(2005.09.14.) 한국실용공개 제20-2019-0000686호(2019.03.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층유리를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서, 유리의 양 표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등의 외관검사를 시행할 때, 검사 대상인 유리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전면과 후면의 외관검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검사 대상의 유리가 직경이 작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고,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는 유리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검사 대상 유리의 전면 및 후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외관의 육안 검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국 불량 발생률을 줄임에 따라 코스트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유리를 측 방향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유리를 지지하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본체부의 상,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 봉 및 하부 봉; 상기 상부 봉 및 하부 봉에 걸쳐 텐션을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전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 브래킷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봉은 상기 상부 브래킷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봉은 상기 하부 브래킷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입력 신호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을 일정 간격만큼 전후진 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부와 연동하여 작동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영역을 일정 간격만큼 전후진 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 하부 쪽에 대해서 그 후단이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신장 또는 길이축소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선단과 그 일측 단이 결합되는 삼각 플레이트 형상의 제1 크랭크와, 상기 제1 크랭크의 일측 단과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가변 브래킷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 브래킷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변 브래킷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구동부는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크랭크들의 중간 단은 제1 축봉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쪽에 대해서 그 중간 부위가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크랭크와, 상기 제2 크랭크의 일측 단과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가변 브래킷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크랭크와, 상기 제2 크랭크는 제2 축봉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는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크랭크들의 중간 단은 제3 축봉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에 의하면, 복층유리를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서, 유리의 양 표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등의 외관검사가 시행될 때, 검사 대상인 유리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어 전면과 후면의 외관검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검사 대상의 유리가 직경이 작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고,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는 유리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검사 대상 유리의 전면 및 후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외관의 육안 검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결국 불량 발생률이 줄어듦에 따라 코스트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인-라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인-라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 제공되는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제1 와이어 지지 봉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제2 와이어 지지 봉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구동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구동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3에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후진되어 검사 대상 유리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인-라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인-라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50)가 제공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은, 외측유리 또는 내측유리를 이룰 수 있는 설정 두께의 유리(G)들이 설정된 순차에 의해 공급되도록 하는 유리 공급부(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유리 공급부(10)는 유리(G)들이 설정된 크기로 절단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은, 유리 공급부(10)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유리들을 세척 후 건조시키는 세척 및 건조부(20)와, 적어도 하나의 이송부(30)와, 이송되는 유리의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을 도포하는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와, 유리(G)의 외관을 검사하는 검사장치(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은, 서로 다른 유리들을 합착하는 합착부(60)와, 합착이 완료된 복층유리를 이송받아 설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얼라인부(70) 및 얼라인부(70)로부터 공급되는 복층유리의 테두리 부위에 실링재를 도포하는 실링부(8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 및 건조부(20)는, 유리 공급부(10)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유리들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시킨 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척 및 건조부(20)에 의해 그 표면이 세척되어 건조된 유리들은 이송부(30)에 의해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이송부(30)의 프레임의 하부에는 유리들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고, 이 컨베이어 벨트에는 이송되는 유리를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불어주는 복수의 메인 송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30)의 프레임에도 이송되는 유리를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불어주는 복수의 보조 송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되는 유리들이 프레임의 벽면에 그 일 면이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 밀착되는 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또는 이물질이 묻을 수 있으므로, 프레임의 벽면에 대하여 설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대적으로 두께가 내,외측의 유리인 경우 메인 송풍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프레임의 벽면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중간유리의 경우 보조 송풍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프레임의 벽면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는, 이송되는 유리들 중, 맨 처음 이송되는 유리는 바이패스 시켜서 검사장치(50)로 이송시키고, 나중에 이송되는 유리의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을 도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의 작동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검사장치(50)는, 이송되는 유리(G)들의 전,후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육안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된 상태로 이송되는 유리의 경우, 티피에스 간봉의 도포 과정에서 그 일 면에 티피에스의 잔여물이 묻는 등과 같이 이물질의 유무를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검사장치(50)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합착부(60)는, 서로 다른 유리들을 합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송되는 유리들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대하여 전후진 이동하되, 이송되는 유리들을 흡착하는 흡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합착부(60)는 어느 하나의 유리가 이송되어 베이스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흡착부가 어느 하나의 유리를 흡착하여 베이스부로부터 후진하여 이격시키고, 이 상태에서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된 다른 하나의 유리가 이송되어 베이스부에 안착되면, 흡착부가 전진하여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를 합착시키게 된다.
얼라인부(70)는, 합착부(60)에 의해 합착된 복층유리를 이송받아 수직을 기준으로 2~3도 내외의 각도로 경사지게 얼라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유리 공급부(10), 세척 및 건조부(20), 이송부(30),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 검사장치(50), 합착부(60)의 경우, 유리들이 인-라인 방식으로 이송될 때, 이송과정에서 전도가 발생되지 않도록 수직을 기준으로 대략 10도 내외로 경사진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합착부(60)에 합착된 복층유리의 경우에도 대략 10도 내외로 경사진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실링부(80)로 공급되면, 경사진 복층유리의 테두리에 실링재를 도포하기가 곤란하게 되는바, 합착부(60)에서 합착되어 이송되는 복층유리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얼라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얼라인부(70)에서는 복층유리를 얼라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얼라인부(70)에 의해 수직을 기준으로 2-3도 내외의 각도로 경사지게 얼라인된 복층유리는 실링부(80)로 공급되어 그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되는 과정을 통해 복층유리의 제조가 완성되게 된다.
여기서, 실링부(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간격으로 제1 실링파트(82) 및 제2 실링파트(84)로 구분되고, 복층유리가 제1 실링파트(82) 및 제2 실링파트(84)를 미리 왕복하면서 그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 제공되는 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하부 봉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50)에서, 상부 봉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구동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구동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3에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후진되어 검사 대상 유리가 와이어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 제공되는 검사장치(50)는, 전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측판(500)과, 이 측판(50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 브래킷(502) 및 측판(50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 브래킷(504)으로 구성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검사장치(50)는, 이송되는 유리(G)를 측 방향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506)와, 본체부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유리를 지지하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본체부의 상,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 봉(530) 및 하부 봉(520)과, 이 상부 봉(530) 및 하부 봉(520)에 걸쳐 소정의 텐션을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5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검사장치(50)는, 본체부의 하부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입력신호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510)를 일정 간격만큼 전후진 시키는 제1 구동부와, 본체부의 상부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제1 구동부와 연동하여 작동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510)를 일정 간격만큼 전후진 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부(506)에 의해 이송되는 유리(G)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540)와 베이스 플레이트(510)에 그 후면이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510)가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본체부에 대하여 후진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540)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부 봉(530)은 본체부의 상부 브래킷(502)에 대하여 고정되게 설치되고, 하부 봉(520)은 본체부의 하부 브래킷(504)에 대하여 고정되게 설치됨으로써, 상부 봉(530) 및 하부 봉(520)에 걸쳐 연결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540)는 항시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베이스 플레이트(510)가 전후진되면서 복수의 와이어(540)와 밀착되거나 이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전면에는 복수의 와이어(540)가 인입되기 위한 인입 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510)가 전진하게 되는 경우 복수의 와이어(540)는 인입 홈에 인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전면에 대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구동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를 이루는 양 측판(500)의 하부 쪽에 대해서 그 후단이 힌지(600)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610)와, 이 실린더(610)에 대하여 신장 또는 길이축소되는 피스톤(612)과, 이 피스톤(612)의 선단과 그 일측 단이 결합되는 삼각 플레이트 형상의 제1 크랭크(620)와, 이 제1 크랭크(620)의 일측 단과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630)와, 이 제1 링크부재(630)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가변 브래킷(509)과, 본체부의 하부 브래킷(504)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가이드 레일(507)이 형성되어 제1 가변 브래킷(509)이 가이드 레일(507)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 브래킷(50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1 구동부는, 본체부를 이루는 양 측판(500)의 하부 쪽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을 이루는 제1 구동부들의 제1 크랭크(620)들은 그 중간 단이 제1 축봉(640)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연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크랭크(620)는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모두 3개 지점의 단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그 일측 단은 제1 링크부재(630)와 결합되고, 그 중간 단은 제1 축봉(640)의 일단이 결합되며, 그 타측 단은 후술되는 제2 구동부의 제2 크랭크(710) 타측 단과 제2 축봉(6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구동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를 이루는 양 측판(500)의 상부 쪽에 대해서 그 중간 부위가 힌지(700)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크랭크(710)와, 이 제2 크랭크(710)의 일측 단과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720)와, 이 제2 링크부재(720)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가변 브래킷(51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2 구동부 또한 본체부를 이루는 양 측판(500)의 상부 쪽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을 이루는 제2 구동부들의 제2 크랭크(710)들은 그 중간 단이 제3 축봉(730)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연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크랭크(710)도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모두 3개 지점의 단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그 일측 단은 제2 링크부재(720)와 결합되고, 그 중간 단은 제3 축봉(730)의 일단이 결합되며, 그 타측 단은 제1 구동부의 제1 크랭크(620) 타측 단과 제2 축봉(6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50)에 대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층유리로 제조되기 위한 유리들이 유리 공급부(10), 세척 및 건조부(20), 이송부(30),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합착부(60)로 이송되어 합착되기에 앞서 검사장치(50)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작업자는 검사부를 통과하는 유리의 내,외면을 육안으로 외관검사하여 불량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이 때, 검사장치(50)로 유입된 유리는 작업자가 유리의 양 면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그 직경이 작은 복수의 와이어(540)들에 의해서만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후방으로 후진을 하게 된다.
즉, 컨베이어부(506)에 의해 검사장치(50)로 유리(G)가 이송되면, 외관 검사가 이루어질 때까지 잠시 멈춤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와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후방으로 후진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540)와 이격된 상태를 이루며, 이에 따라 유리는 직경이 작은 복수의 와이어(540)들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10)가 유리(G)로부터 후진하게 되는 것은 한 쌍의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1 구동부의 실린더(610)에 구동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피스톤(612)이 길이축소되면서 제1 크랭크(620)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제1 크랭크(620)의 일측 단은 상향 회전되고, 그 타측 단은 하향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크랭크(620)의 일측 단에 그 일단이 결합된 제1 링크부재(630)가 당겨지게 됨으로써, 제1 가변 브래킷(509)이 고정 브래킷(505)의 가이드 레일(507)을 따라 후진하게 되면서 이 제1 가변 브래킷(509)과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하부 측이 연동하여 후진하게 된다.
이 때, 한 쌍을 이루는 제1 구동부는 제1 크랭크(620)들의 중간 단이 제1 축봉(64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크랭크(620)들이 동일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하부 양 측이 동일한 간격만큼 이동되어 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제1 크랭크(620)들의 회전에 따라 그 타측 단이 하향 회전됨으로써, 제2 축봉(650)에 의해 연결된 제2 구동부의 제2 크랭크(710)들 타측 단 또한 연동하여 하향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제2 크랭크(710)들의 일측 단은 상향 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크랭크(710)들의 일측 단과 결합된 제2 링크부재(720)도 당겨지게 됨으로써, 제2 가변 브래킷(511)이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부 측이 연동하여 후진하게 된다.
이 때, 한 쌍을 이루는 제2 구동부도 제2 크랭크(710)들의 중간 단이 제3 축봉(73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크랭크(710)들이 동일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부 양 측이 동일한 간격만큼 이동되어 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10)가 후진하여 검사 대상 유리와 이격된 상태에서, 검사 대상 유리에 대한 외관 검사가 이루어지고 양품 판정을 받게 되면,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와이어(540)와 밀착된 상태가 되어 유리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 때, 베이스 플레이트(51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제1 구동부의 실린더(610)가 피스톤(612)을 신장시키면 되며, 이에 따른 유기적인 작동관계는 앞서 설명한 피스톤(612)의 길이축소의 반대로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50)에 의하면, 작업자는 유리의 전면과 후면에 걸쳐 보다 용이하게 이물질 유무 등을 파악하게 되어 보다 정확한 외관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검사 대상의 유리가 직경이 작은 와이어(540)들에 의해 지지되고,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유리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검사 대상 유리의 전면 및 후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외관의 육안 검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결국 불량 발생률이 줄어듦에 따라 코스트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50)에 제공되는 제1 구동부의 실린더(610)는, 공압 실린더(610) 또는 유압 실린더(610)일 수 있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으며,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볼 스크류 또는 랙과 피니언의 구성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사장치(50)에서, 컨베이어부(506)에는 이송되는 유리를 베이스 플레이트(51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불어주는 복수의 메인 송풍구(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10)에도 이송되는 유리(G)를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불어주는 복수의 보조 송풍구(5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부(506)에 형성되는 메인 송풍구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유리가 이송될 때 공기가 송풍되어 유리가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베이스 플레이트(510)에 형성되는 보조 송풍구(512)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유리(3중 복층유리의 경우 중간유리)가 이송될 때 공기가 송풍되어 얇은 유리가 베이스 플레이트(5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검사장치(50)의 컨베이어부(506)에 의해 이송되는 유리(G)들이 베이스 플레이의 전면에 그 일 면이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 밀착되는 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또는 이물질이 묻을 수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전면에 대하여 설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유리의 경우 메인 송풍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벽면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유리의 경우 보조 송풍구(51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벽면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유리 공급부 20 : 세척 및 건조부
30 : 이송부 40 :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
50 : 검사장치 60 : 합착부
70 : 얼라인부 80 : 실링부
500 : 측판 502 : 상부 브래킷
504 : 하부 브래킷 505 : 고정 브래킷
506 : 컨베이어부 507 : 가이드 레일
509 : 제1 가변 브래킷 510 : 베이스 플레이트
511 : 제2 가변 브래킷 512 : 보조 송풍구
520 : 하부 봉 530 : 상부 봉
540 : 와이어 600 : 힌지
610 : 실린더 612 : 피스톤
620 : 제1 크랭크 630 : 제1 링크부재
640 : 제1 축봉 650 : 제2 축봉
700 : 힌지 710 : 제2 크랭크
720 : 제2 링크부재 730 : 제3 축봉

Claims (8)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유리를 측 방향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유리를 지지하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본체부의 상,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 봉 및 하부 봉; 상기 상부 봉 및 하부 봉에 걸쳐 텐션을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입력 신호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을 일정 간격만큼 전후진 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부와 연동하여 작동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영역을 일정 간격만큼 전후진 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 하부 쪽에 대해서 그 후단이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신장 또는 길이축소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선단과 그 일측 단이 결합되는 삼각 플레이트 형상의 제1 크랭크와,
    상기 제1 크랭크의 일측 단과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가변 브래킷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 브래킷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상면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변 브래킷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 브래킷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봉은 상기 상부 브래킷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봉은 상기 하부 브래킷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크랭크들의 중간 단은 제1 축봉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쪽에 대해서 그 중간 부위가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크랭크와,
    상기 제2 크랭크의 일측 단과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가변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랭크와, 상기 제2 크랭크는 제2 축봉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양쪽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크랭크들의 중간 단은 제3 축봉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KR1020210018029A 2021-02-09 2021-02-09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KR102485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29A KR102485468B1 (ko) 2021-02-09 2021-02-09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29A KR102485468B1 (ko) 2021-02-09 2021-02-09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06A KR20220114706A (ko) 2022-08-17
KR102485468B1 true KR102485468B1 (ko) 2023-01-06

Family

ID=8311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29A KR102485468B1 (ko) 2021-02-09 2021-02-09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4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54B1 (ko) 2002-10-31 2006-07-03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검사시스템
KR101117392B1 (ko) 2009-10-14 2012-03-08 문형윤 복층유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5344598B2 (ja) * 2009-06-11 2013-11-20 レーザーテック株式会社 基板保持装置、欠陥検査装置及び欠陥修正装置
KR101778535B1 (ko) 2017-03-29 2017-09-14 김진모 이중 유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349B1 (ko) 2003-04-11 2005-09-30 (학)창성학원 복층유리 제조용 판유리의 표면 오염도 검사장치
KR200494614Y1 (ko) 2017-09-08 2021-11-17 주식회사 이강테크 복층 유리 제조에 적용되는 유리판 검사장치
KR102240154B1 (ko) * 2017-09-08 2021-04-14 강흥섭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54B1 (ko) 2002-10-31 2006-07-03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검사시스템
JP5344598B2 (ja) * 2009-06-11 2013-11-20 レーザーテック株式会社 基板保持装置、欠陥検査装置及び欠陥修正装置
KR101117392B1 (ko) 2009-10-14 2012-03-08 문형윤 복층유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778535B1 (ko) 2017-03-29 2017-09-14 김진모 이중 유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06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7155B (zh)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isplay device
US20130168016A1 (en)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optical display device
JP4855493B2 (ja) 光学表示装置製造システム及び光学表示装置製造方法
WO2006108137A3 (en) Glass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JP5170913B2 (ja) 偏光フィルムの貼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の製造システム
KR102485468B1 (ko)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KR102324664B1 (ko) 듀얼 프레스를 이용한 복층유리 제조장치
CN103498622A (zh) 中空玻璃内悬膜绷膜方法及绷膜框组件
CA2636943A1 (en) Decorative door frame attaching apparatus
KR100854269B1 (ko)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
JP2006518320A (ja) ガラスと協働するためのツールホルダ装置
JP2022547843A (ja) 絶縁ガラスパネル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及びこのようにして製造された絶縁ガラスパネル
KR20160106689A (ko) 스페이서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02282B1 (ko) 복층유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20114705A (ko) 복층유리의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US202201865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insulating glass panels as well as insulating glass panel produced in this way
CN205790877U (zh) 一种柔性oled自动高速端子清洗机
CN206363036U (zh) 液晶屏外观图像采集装置及通用检测设备
KR102619968B1 (ko)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US20220112116A1 (en) Glas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931338B1 (ko) 복층유리 제조장치
KR20230106010A (ko)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US20210071467A1 (en) Foam spacer applicator
CN106025749A (zh) 一种柔性oled自动高速端子清洗机
CN208984323U (zh) 一种扩散板检测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