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338B1 - 복층유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338B1
KR100931338B1 KR1020070100985A KR20070100985A KR100931338B1 KR 100931338 B1 KR100931338 B1 KR 100931338B1 KR 1020070100985 A KR1020070100985 A KR 1020070100985A KR 20070100985 A KR20070100985 A KR 20070100985A KR 100931338 B1 KR100931338 B1 KR 100931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liver
glass
coupled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937A (ko
Inventor
강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강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강테크
Priority to KR102007010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3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65Transporting or handling panes, spacer frames or units during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E06B3/6635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with separate sealing strips between the panes and the spac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되는 판유리를 안내하는 다수의 캐스터가 전면에 결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어 판유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판유리의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판유리의 이동을 제지하며, 판유리에 접착하기 위한 간봉재의 깊이를 세팅해 주는 간봉 세팅기;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어 간봉재를 접착하기 위해 이송되는 판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고정플레이트는 회전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일측에 축공이 형성된 실린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층유리, 간봉재, 간봉 세팅기

Description

복층유리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Duplex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유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력 향상에 따른 생활환경의 고급화 및 그 제조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복층유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즉, 대형빌딩은 물론이고 소규모의 상점과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주거환경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복층유리는 두 장 이상의 유리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한 것으로, 단층유리와 비교하여 실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외부온도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측 유리의 표면온도는 상대적으로 덜 저하되어 이슬 맺힘 현상이 억제된다. 그리고, 방음성능이 우수하여 실내외 사이의 소음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각 유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하기 위해 간봉재(스페이서)가 사용되며, 간봉재는 일반적으로 각 유리의 사이에 유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동일 출원인에 의해 2001년에 출원되어 2003년에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 411581호"에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판유리를 이송수단에 의해 진입 및 이송하는 도입공정, 이송되는 판유리에 대해 노즐을 통하여 살수시킨 후 브러쉬로 세척하고 송풍기로 건조하는 건조공정, 건조된 판유리의 내측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가를 확인하는 검사공정, 검사 후 이상이 없는 판유리의 가장 자리에 간봉재를 부틸액 등의 접착제로 부착시키는 간봉공정, 간봉재가 부착된 판유리에 간봉재가 부착되지 않은 다른 판유리를 이중의 복층유리로 접합시키는 접합공정, 접합된 복층유리의 간봉재 외측으로 밀봉재를 채우는 밀봉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판유리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간봉재는 판유리의 두께에 따라 그 부착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간봉재를 판유리의 설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밀봉재로는 치오콜이나 실리콘 등을 사용하게 되며, 각각의 사용되는 밀봉재의 특성에 따라 간봉재의 위치가 달라진다.
그런데, 상기 기술에서는 밀봉재의 종류에 따라 원래 설정된 간봉재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고정플레이트로부터 간격 조절구의 결합 위치를 일 일이 수동으로 조절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시간이 만만치 않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등록받은 기술을 보다 개선하여 판유리의 두께 및 밀봉재의 종류에 따라 간봉의 깊이 및 부착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되는 판유리를 안내하는 다수의 캐스터가 전면에 결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어 판유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판유리의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판유리의 이동을 제지하며, 판유리에 접착하기 위한 간봉재의 깊이를 세팅해 주는 간봉 세팅기;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어 간봉재를 접착하기 위해 이송되는 판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고정플레이트는 회전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일측에 축공이 형성된 실린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 제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판유리에 접착하기 위한 간봉재의 깊이를 간봉 세팅기에 의해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으므로 간봉재의 접착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간봉 세팅기에 의한 세팅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유리의 두께 및 밀봉재의 종류에 따른 간봉의 깊이 및 부착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 제조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간봉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간봉공정은 판유리의 검사 후 이상이 없는 판유리의 가장자리에 부틸액 등의 접착제로 간봉재를 부착시키는 작업이다.
이에 따르면, 수직으로 프레임(10)이 직립 설치되고, 이 프레임(10)의 전방 하측에는 판유리를 수평 방향으로(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12)가 설치된다. 프레임(10)의 전면(前面)에는 다수의 캐스터(11)가 결합되어 판유리의 이송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롤러(12)의 전방 상측에는 간봉지그(15)가 설치되며, 이 간봉지그(15)는 판유리(G)의 하측 테두리에 부착되는 간봉재의 부착 위치를 선정하는 브래킷(14)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우측 하단에는 이송롤러(12)를 통해 판유리(G)의 진입시 이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17)가 설치된다.
한편, 프레임(10)의 우측에는 회전축(20)이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회전축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봉 세팅기(40) 및 고정플레이트(30)가 결합된다.
간봉 세팅기(40) 및 고정플레이트(30)는 진입감지센서(17)의 검출신호에 의한 회전수단의 구동시 방향 전환하여 판유리(G)가 이송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는 것을 제지하는 한편, 이동이 정지된 판유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간봉 세팅기(40)는 판유리가 적정 위치에 진입할 경우 판유리의 이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판유리에 접착하기 위한 간봉재의 깊이를 세팅한다.
이러한 간봉 세팅기(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 "└┘"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41)와, 이 베이스(41)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스크류(42)와, 이 스크류(42)의 대략 중앙에 결합되어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한 쌍의 구동블록(43)과, 이 구동블록(43)의 상측에 배치되어 각 구동블록(43)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이동하여 판유리의 일측에 접촉하여 판유리의 이동을 제지하는 연동블록(44)과, 상기 베이스(41)와 연동블록(44) 간을 연결하는 복귀스프링(45)과, 상기 스크류(42)의 일단에 결합되어 간봉 깊이를 표시해 주는 다이얼 게이지(4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41)의 일측 벽에는 회전축(20)이 삽입 고정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축공이 형성되고, 스크류(42)는 양단이 베이스(41)의 양측 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그 일단은 베이스(41)의 타측 벽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관통된 스크류(42)의 단부에는 상기 다이얼 게이지(46)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다이얼 게이지(46)의 눈금을 보면서 예정된 상태로 간봉재의 깊이를 세팅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42)는 중앙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42)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구동블록(43)은 스크류(4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서로 근접하거나 이격된다.
한편, 각 구동블록(43)의 상면은 서로 대향되게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구동블록(43)의 상측에 배치되는 연동블록(44)의 저면 역시 이와 대응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 구동블록(43)의 근접 또는 이격시 구동블록(43)과 경사면을 맞대고 있는 연동블록(44)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이때, 판유리와 접하는 연동블록(44)의 표면에는 소정 두께로 완충패드(미도시)가 고정되어 판유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귀스프링(45)은 베이스(41)의 중앙과 연동블록(44)의 중앙을 수직으로 연결하며,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구동블록(43)이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이격 상태로 벌어질 경우 연동블록(44)을 베이스(41)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실린더로드에 의해 에어실린더(31)와 연결되며, 이 에어실린더(31)의 일측에는 회전축(20)이 삽입 결합되도록 축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플레이트(30)는, 간봉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판유리의 두께에 상관없이 간봉 세팅기에 의해 정지된 판유리를 자동으로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설정된 밀봉재의 종류가 변경될 경우 예컨대 치오콜에서 실리콘으로 밀봉재가 변경될 경우(치오콜을 사용할 경우 간봉 깊이는 대략 3㎜이고, 실리콘을 사용할 경우 간봉 깊이는 대략 10㎜) 별도의 세팅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20)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20)에 고정 결합된 고정플레이트(30) 및 간봉 세팅기(40)를 판유리의 진행 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하여 판유리의 이송을 제지하는 회전수단이 더 구비된다.
즉, 회전축(20)의 상단 후방에는 에어실린더(21)가 실린더브래킷(23)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 결합되고, 에어실린더(21)의 전방에는 고정플레이트(30)와 연결되도록 링크부재(22)가 구비된다. 링크부재(22)는 에어실린더(21)의 실린더로드에 결합되는 제1링크(22a)와, 이 제1링크(22a)의 선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됨과 함께 타단은 회전축(20)에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는 제2링크(22b)로 구성된다.
따라서, 진입감지센서(17)의 검출신호에 따라 공기압 공급시 신축 구동하여 링크부재를 링크 운동시켜 회전축(20)의 회전으로 고정플레이트(30)를 방향 전환하여 이송되는 판유리(G)를 제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회전수단으로서 회전축에 회전모터(도시 생략)를 결합시켜 구성할 수 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쉽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층유리 제조장치에 의해 복층유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첨부도면을 따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판유리(G)는 표면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세척 및 건조한 다음, 본 실시예의 이송롤러(12)를 따라 간봉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장치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판유리가 이송롤러(12)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 적정 위치에 진입하는 경우, 프레임(10)의 전면에 고정된 진입감지센서(17)의 검출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동작하여 회전수단에 연결된 회전축(20)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20) 상단부에 링크 운동하도록 고정된 링크부재(22)에 연결된 에어실린더(21)에 공기압이 공급되어 실린더로드를 신장시킴에 따라, 제1링크(22a)와 제2링크(22b)의 회동으로 인해 링크부재(22)를 링크 운동시켜 회전축(2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20)에 고정된 간봉 세팅기(40)가 판유리(G)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판유리(G)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이때, 판유리가 간봉 세팅기(40)에 의해 정지됨과 함께, 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고정플레이트(30) 역시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 에어실린더의 수축 작용에 의해 고정플레이트(30)가 판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판유리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간봉재의 좌ㆍ우측 부착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간봉재의 부착 위치는 다이얼 게이지(46)에 의해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이송롤러(12) 하방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브래킷(14)에 연결된 에어실린더(미도시)에 공기압이 공급되어 신장시킴에 따라 간봉지그(15)를 설정 위치로 상승시켜 간봉재(S)를 이송롤러(12)로부터 들어올린다. 이로 인해 판유리(G)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간봉재(S1)의 상ㆍ하측 부착위치가 선정되는 것이다.
즉, 고정플레이트(30)의 방향 전환과 간봉지그(15)의 상승으로 인해 간봉재(S1,S2)의 부착 위치가 선정됨에 따라 판유리(G)의 가장자리에 간봉재(S1,S2)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판유리에 간봉재를 부착하는 작업이 완료된 경우, 작업자가 구동스위치(도시 생략)를 조작함에 따라 구동모터의 역회전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전술한 회전축(20)이 회전하여 고정플레이트(30)가 판유리(G)의 진행 방향을 가로막지 않도록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판유리(G)에 간봉재(S1,S2)를 부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간봉재가 부착된 판유리(G)는 대기상태로 있게 되며, 동시에 세척기에서 세척 및 건조작업이 완료된 또 다른 판유리(G)가 진입하여 간봉재(S1,S2)가 부착된 판유리(G)와 간봉재(S1,S2)가 부착되지 않은 판유리(G)를 접착하여 복층유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간봉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부착된 판유리는, 압착에 인해 견고하게 접착하는 프레스, 판유리(G) 사이에 부착된 간봉재(S1,S2) 외측으로 치오콜이나 실리콘 등의 밀봉재를 실링 처리할 수 있도록 복층유리를 틸팅시키는 틸팅기 등을 거쳐 완벽한 복층유리를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조시스템에 판유리가 진입된 상태에서 회전축의 상부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조시스템에 판유리가 진입된 상태에서 회전축의 하부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조시스템에 판유리가 이송되는 상태의 간봉 세팅기의 작동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제조시스템에 판유리가 이송되는 상태의 고정플레이트의 작동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1에 적용되는 간봉 세팅기를 상세히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간봉 세팅기의 작동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1 ; 캐스터
12 ; 이송롤러
14 ; 브래킷 15 ; 간봉지그
20 ; 회전축 21 ; 에어실린더
22 ; 링크부재 30 ; 고정플레이트
31 ; 에어실린더 32 ; 실린더로드
33 ; 브래킷 40 ; 간봉 세팅기
41 ; 베이스 42 ; 스크류
43 ; 구동블록 44 ; 연동블록
45 ; 복귀스프링 46 ; 다이얼 게이지

Claims (5)

  1. 이송되는 판유리를 안내하는 다수의 캐스터가 전면에 결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어 판유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판유리의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판유리의 이동을 제지하며, 판유리에 접착하기 위한 간봉재의 깊이를 세팅해 주는 간봉 세팅기;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어 간봉재를 접착하기 위해 이송되는 판유리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회전축이 삽입 결합되도록 일측에 축공이 형성된 실린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봉 세팅기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축공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대향되는 나사산에 각각 결합되어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한 쌍의 구동블록;
    상기 구동블록의 상측에 배치되어 각 구동블록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이동하여 판유리에 접촉하는 연동블록;
    상기 베이스와 연동블록 간을 연결하는 복귀스프링;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어 간봉재의 깊이를 표시해 주는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블록은 상면에 대향되게 경사면을 갖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동블록의 저면에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동블록의 판유리 접촉면에는 완충패드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장치.
  5. 삭제
KR1020070100985A 2007-10-08 2007-10-08 복층유리 제조장치 KR100931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85A KR100931338B1 (ko) 2007-10-08 2007-10-08 복층유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85A KR100931338B1 (ko) 2007-10-08 2007-10-08 복층유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37A KR20090035937A (ko) 2009-04-13
KR100931338B1 true KR100931338B1 (ko) 2009-12-11

Family

ID=4076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985A KR100931338B1 (ko) 2007-10-08 2007-10-08 복층유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4923A (zh) * 2014-04-02 2014-07-02 苏州凯利昂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tft玻璃研磨上下片治具
KR20210078329A (ko) * 2019-12-18 2021-06-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복층 유리 유닛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97U (ko) * 1995-07-22 1997-02-21 영경실업주식회사 간봉장치용 세로스토퍼
KR0138682Y1 (ko) * 1995-10-20 1999-04-15 문형윤 간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97U (ko) * 1995-07-22 1997-02-21 영경실업주식회사 간봉장치용 세로스토퍼
KR0138682Y1 (ko) * 1995-10-20 1999-04-15 문형윤 간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37A (ko) 200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8148B2 (ja) 搬送装置
KR101530217B1 (ko) 덕트 청소용 로봇
KR100931338B1 (ko) 복층유리 제조장치
JP4873176B2 (ja) 化粧枠取り付け装置
JPS6331337B2 (ko)
KR101444055B1 (ko) 다수의 열선을 구비한 스티로폼 가공장치
CN108439782A (zh) 一种石英玻璃生产用切割装置
CN209955309U (zh) 一种无尘式保护膜自动化贴合装置
KR101059952B1 (ko) 유리기판 합착방법 및 유리기판 합착장치
KR101377062B1 (ko) 레일상태 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한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
JP5626764B2 (ja) 引取り機
CN216869480U (zh) 一种汽车中控显示屏平整度检测设备
KR101145507B1 (ko) 차음재 패널 제조 장치
CN115233863A (zh) 一种装配式建筑外墙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831620B1 (ko) 필름 낱장공급장치
JP2578845Y2 (ja) 自動基板裁断装置における位置決め機能を有する搬送機
KR0138682Y1 (ko) 간봉 장치
KR200310883Y1 (ko) 복층유리제조용 유리판의 피막층 제거장치
CN218950603U (zh) 一种导膜结构
KR102502282B1 (ko) 복층유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16857629U (zh) 一种粘尘装置
KR20040065136A (ko) 복층유리제조용 유리판의 피막층 제거장치
CN210945391U (zh) 一种连接超薄玻璃的粘连装置
KR101022005B1 (ko) 이종 간봉을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CN211661548U (zh) 一种铝单板加工用夹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