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269B1 -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269B1
KR100854269B1 KR1020070139684A KR20070139684A KR100854269B1 KR 100854269 B1 KR100854269 B1 KR 100854269B1 KR 1020070139684 A KR1020070139684 A KR 1020070139684A KR 20070139684 A KR20070139684 A KR 20070139684A KR 100854269 B1 KR100854269 B1 KR 100854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anel
decorative
pressing
thicknes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식
Original Assignee
한국벤자민무어페인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벤자민무어페인트(주) filed Critical 한국벤자민무어페인트(주)
Priority to KR1020070139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장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접착제층에 의하여 부착되는 장식시트로 이루어지는 장식패널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을 통과시키면서 가압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 통과 전의 상기 장식패널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센서와, 상기 두께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수단 통과 전의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장식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접착제층이, 상기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두께로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가 되도록, 상기 가압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장식, 패널, 가압, 가열, 지지판, 요철, 접착제, 두께

Description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Fabrication apparatus of decoration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of decoration panel}
본 발명은,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유리 등의 투명판 또는 지지판에 접착된 장식시트에 의하여 장식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식패널을 제조하는 장치와, 장식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패널이란, 가구, 벽, 인테리어 소품, 가전제품 등의 외장을 장식할 때 사용되는 평판 또는 곡면판 패널을 말한다. 이런 장식패널은, 종래부터 나무나 철판 등의 판재 위에 장식무늬를 형성한 것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유리, 아크릴 등 투명판에 다양한 무늬, 모양, 색상 및 질감을 가지는 장식시트를 부착하여, 보다 특이한 장식성을 추구하는 패널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특히 투명판의 이면에 장식시트의 장식면을 부착하여, 상기 투명판을 통하여 상기 장식면이 투과되어 보이도록 하는 형식의 장식패널에 있어서는, 투명판에 장식시트를 부착하는 경우에, 단순히 접착제를 사용하면 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는 접착제의 사용에 의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된다. 왜냐하면, 어디까지나 장식패널은, 인테리어 소재가 되는 것이므로, 깨끗한 가공처리가 가장 중요한 체크포인트가 되고, 특히 무늬 등을 가지는 장식시트가 투명판에 부착된 후에도, 원래의 모습에 변형이 생기지 않아야 하며, 결과적으로 자연스러운 느낌과 질감을 나타내야 한다. 그런데, 투명판에 단순히 접착제를 사용하여 장식시트를 부착하기만 한다면, 그 투명판과 장식시트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여 빠져나가지 않고 그대로 굳어버림으로써 기포를 포함하는 장식패널이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는, 접착제의 불균일한 도포와 건조, 또는 수작업에 의한 접착제 뭉침 등에 의하여 장식시트에 예기치않은 주름이 발생하여 버리는 경우도 많다.
게다가, 근래의 장식시트 중에는 요철 형상을 가지는 것이 많다. 이러한 요철은, 무늬 자체가 요철로 형성된 것 뿐만 아니라, 장식시트의 소재가 천으로 되어 있는 경우, 또는 거친 소재가 포함된 경우를 포함한다. 이런 요철이 포함된 장식시트는 입체적 형상에 의하여 우수한 질감과 미감을 일으키기 때문에, 앞으로도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이러한 요철을 가지는 장식시트를 투명판에 접착제로 부착하여 장식패널을 만드는 과정에서, 너무 강하게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요철 부분이 납작하게 되어, 질감과 미감이 현격히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너무 약하게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요철 부분에 포위된 기포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요철을 가지는 장식시트를 투명판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경우에,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동시에 요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한편, 장식시트, 예컨대 페브릭, 가죽이나 인조가죽 등을 이용하여, 그 장식 면이 장식패널의 가장 전면에 노출되도록 장식패널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즉,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장식시트의 장식면이고, 이 장식시트의 배면은 고정에 이용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장식시트의 평면적 지지를 위하여, 장식시트의 배면을 접착에 의하여 지지하는 지지판, 예컨대 합판이나 철판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장식시트와 지지판 사이의 접착은 중요하다. 즉, 세월이 흘러 접착부위에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애초에 제조시에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균일한 접착제 도포가 요구된다. 접착제는 굳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된 부분에서 휘발 등에 의한 유실이 많아지며,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정도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지지판에 대한 장식시트 배면의 접착에 있어서,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었다. 또한, 상기 장식시트 배면은, 어차피 상기 장식시트에 의하여 가려져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의 접착제 도포상태나 굳은 상태에 대하여 연구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제조시에 일단 붙어 있기만 하면 그만이고, 나중에 어느 정도로 접착제가 내구성을 가지고 장식시트를 지지판에 부착시켜주는지는 큰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었으므로, 장식시트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특히 기포 부위의 접착성 열화로 인하여, 점차 그 접착성을 잃어버리게 되어, 상기 장식시트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지지판으로 이용되는 합판은 습기와 온도에 대한 변형이 심하고, 철판 은 온도에 따라서 열팽창, 결로 등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대체 지지판의 대두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요철이 포함되어 있는 장식시트를 투명판에 부착할 때에,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요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판에 장식시트를 부착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투명판의 장식시트 부착면의 반대측에 보호필름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식시트가 감겨 있는 장식시트롤에서 장식시트를 절단하여, 여기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투명판을 탑재시키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전후단의 장치의 동작이 서로 시스템적으로 동기되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전을 위하여, 제조된 장식패널이 처리된 것이 확인되어야 비로소 다음 장식패널의 제조를 위한 구동이 개시되도록 한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투명판과 장식시트 사이에 오직 한 층의 접착제층만이 구비되고, 이 한 층의 접착제층은, 단 한번의 도포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의 처리공정과 시간을 대폭 줄인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판에 접착제층을 도포하고, 이에 장식시트의 배면을 접착시킴으로써, 장식시트의 장식면이 가장 전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장식패널에 대하여 적용할 때, 상기 지지판으로서 유리판을 이용하고, 상기 장식시트의 배면에 형성된 요철에 상기 접착제가 빠짐없이 부착되면서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장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접착제층에 의하여 부착되는 장식시트로 이루어지는 장식패널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을 통과시키면서 가압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 통과 전의 상기 장식패널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센서와, 상기 두께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수단 통과 전의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장식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접착제층이, 상기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두께로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가 되도록, 상기 가압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은, 가열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지판, 접착제층, 및 장식시트의 재질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온도를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서로 대응하여 설치된 한 쌍의 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한 쌍의 롤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압력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하는 동안에, 상기 지지판의 상기 장식시트 반대측에 보호필름을 점착시키는 라미네이팅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라미네이팅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한 후, 상기 보호필름을 절단하는 커터가, 상기 가압수단 후단에 더욱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커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장식패널을 탑재한 채 이동시키는 입측 컨베이어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입측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의 후단에는 상기 장식패널을 탑재한 채 이동시키는 측 컨베이어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출측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지지판의 오염을 제거하는 클리너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클리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지지판을 상기 입측 컨베이어에 올려놓는 지지판 탑재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지지판 탑재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입측 컨베이어의 전단에는 상기 장식시트를 탑재한 채 이동시키는 접착 컨베이어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접착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측 컨베이어의 전단에는 상기 접착 컨베이어에 탑재된 장식시트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접착제 노즐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접착제 노즐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 컨베이어의 전단에는 상기 장식시트가 감겨있는 장식시트 롤 거치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장식시트롤 거치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착 컨베이어의 전단과 상기 장식시트롤 거치수단의 사이에는 상기 장식시트를 자르는 장식시트 커터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장식시트 커터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 또는 후단이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측정하는 출측센서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출측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을 완전히 통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다음 장식패널의 가공을 위한 상기 가압수단의 구동을 개시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온도는,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하는 동안에, 열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이루는 접착제의 유동성이 증가되어,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기포가 가압에 의하여 원활히 밀려나갈 수 있는 온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는, 40 내지 80℃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장식패널이 통과하는 공간에 의하여 내부의 부품과 외부의 케이스가 두 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케이스 각각에는 상기 구획된 내부의 부품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방법은, 지지판 과, 이 지지판에 접착제층에 의하여 부착되는 장식시트로 이루어지는 장식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식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제1 두께로,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장식시트 상에 형성하는 접착제층 형성단계와, 상기 지지판을 상기 접착제층에 결합시키는 장식패널 형성단계와, 상기 장식패널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단계와, 가압 후의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두께로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가 되도록, 상기 측정된 장식패널의 두께에 근거하여 가압력을 설정하는 가압력 설정단계와, 상기 장식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압단계에 의한 가압과 병행하여, 열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이루는 접착제의 유동성이 증가되어,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기포가 가압에 의하여 원활히 밀려나갈 수 있는 온도로, 상기 장식패널을 가열하는 가열단계가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하여, 요철이 포함되어 있는 장식시트를 지지판에 부착하여 장식패널을 제조할 때에,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요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식시트에 있던 원래의 질감과 미감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깨끗하고 완성도가 높은 장식패널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판에 장식시트를 부착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지지판의 장식시트 부착면의 반대측에 보호필름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식시트가 감겨 있는 장식시트롤에서 장식시트를 절단하여, 여기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지지판을 탑재시키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전후단의 장치의 동작이 서로 시스템적으로 동기되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인력을 절감하고, 제품 제조속도를 고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전을 위하여, 제조된 장식패널이 처리된 것이 확인되어야 비로소 다음 장식패널의 제조를 위한 구동이 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안전성 향상과 더불어, 제조에러에 의한 재료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판과 장식시트 사이에 오직 한 층의 접착제층만이 구비되고, 이 한 층의 접착제층은, 단 한번의 도포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의 처리공정과 시간을 대폭 줄인다. 따라서, 중간층의 형성 등이 불필요하여, 제조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판에 접착제층을 도포하고, 이에 장식시트의 배면을 접착시킴으로써, 장식시트의 장식면이 가장 전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장식패널에 대하여 적용할 때, 상기 지지판으로서 유리판을 이용하고, 상기 장식시트의 배면에 형성된 요철에 상기 접착제가 빠짐없이 부착되면서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열이나 습기에 대한 변형이 없고 결로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접착성이 오래 유지되는 장식시트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조 및 동작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장식패널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식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장식패널(5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20)과, 이 지지판에 접착제층(360)에 의하여 부착되는 장식시트( 3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320)이라 함은, 상기 장식시트(310)를 지지하는 판이며, 투명판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판이란, 그 판의 형상이 평면이든 곡면이든 불문하고, 그 광학적 성질에 있어서 빛의 투과성이 일정한 기준 이상인 것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입사광을 굴절, 편광시키는 등 변형시키는 경우, 색깔이 포함된 경우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장식시트(310)라 함은, 종이나 벽지, 그림, 사진 등과 같이 시트(sheet)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장식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재를 모두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트레이싱지나 비닐과 같이 그 자체가 투명성을 어느 정도 가져도 좋고, 가죽이나 철판, 금속과 같이 광의 투과가 극히 어려운 것도 포함되며, 천과 같이 소재 자체가 일정 이상의 요철이 있는 경우, 종이 등과 같이 원래는 요철이 없으나 가공에 의하여 요철이 생긴 경우 등 모두 포함된다.
상기 접착제층(360)이라 함은, 상기 장식시트(310)를 지지판(320)에 붙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매질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광의 투과도가 투명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색깔이 포함된 경우에도 그 기능상 장식적 효과가 있다면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360)을 이루는 접착제는, 굳기 속도와 구성성분, 굳은 후의 안정성 등이 중요하지만, 그 외에도, 온도특성도 중요하다. 특히, 가열을 하면 휘발성분이 속히 증발하여, 굳기 속도가 가속된다든지, 아니면, 가열하면 분자운동이 활발해져서 유동성이 증가된다든지 하는 것이 온도특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온도특성도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장치가 적용된 라인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가열가압수단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은, 유지보수를 위하여, 도 2의 가열가압수단의 구획된 두 부분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장치는, 가압수단(400)과, 두께센서(350)와,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장식패널(510)을 통과시키면서 가압시키는 수단이다. 도시된 예는 대응 설치된 한 쌍의 롤을 이용하여 구성된 것이지만, 예컨대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두께센서(350)는, 상기 가압수단(400)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 단(400) 통과 전의 상기 장식패널의 두께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구현방식에 따라서, CCD카메라 등의 촬상수단에 의하여 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화상처리하여 장식패널의 두께를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선단에 롤러가 달린 로드(rod)를 장식패널의 선단에 물리적으로 충돌시켜서 바닥높이에서 상기 장식패널의 상면 높이까지 타고 넘어가면서 두께를 측정하는 기계적 측정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가압수단(400)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즉, 두께가 두꺼우면 그만큼 가압력을 약하게 하고, 두께가 얇으면 그만큼 가압력을 강하게 한다.
이때, 가압력이라 함은, 투입되는 장식패널(510)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가해지는 힘을 말한다.
만일 상기 가압수단(400)이 한 쌍의 롤이라면, 이 롤 사이를 상기 장식패널이 통과하면서, 얇아지는 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의 가압력은 상기 한 쌍의 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결정된다. 만일 상기 가압수단(400)이 프레스장치라면, 마주보는 프레스판과 바닥판 사이의 최종 간격 조정에 의하여 가압력이 조절된다.
상기 한 쌍의 롤이나 프레스장치는 상기 가압수단(400)의 예에 불과하므로, 어떠한 형태의 가압수단(400)이라 하더라도, 상기 장식패널(510)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가압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음은 주지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장치에 투입되는 장식패널은, 상기와 같이, 지지판(320)에 장식시트(310)가 접착제층(360)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 상태의 상기 접착제층(360)은 아직 굳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400) 통과 전의 상기 접착제층(360)은, 상기 장식시트(310)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제1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요철의 골과 산 사이 높이 차(h)가 0.7mm라면, 상기 접착제층(360)은, 요철의 골의 바닥에서부터 측정할 때, 예컨대 1.2mm, 즉 요철의 산으로부터 0.5mm가 더 두꺼운 접착제층(36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0.5mm를 제1 두께(g)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두께의 접착제층(360)을 가지는 상태의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400)에 투입되면,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장식패널에 대하여 균일한 가압을 하여, 처음 투입되었을 때보다 가압된 양만큼 얇은 두께의 접착제층(360)을 가지는 장식패널(510)로 성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압수단(400)의 가압력을 제어한다. 이로써, 상기 가압수단(400)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접착제층(360)이, 상기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두께로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요철의 골과 산 사이 높이 차(h)가 0.7mm라면, 상기 가압수단(400)에 의하여 가압된 후의 상기 접착제층(360)은, 요철의 골의 바닥에서부터 측정할 때, 예컨대 1.0mm, 즉 요철의 산으로부터 0.3mm가 더 두꺼운 접착제층(360)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0.3mm를 제2 두께(g)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서, 가압수단(400)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510)의 두께는 0.2mm가 감소되었다.
상기 가압수단(400)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층(360)은 일정한 방향으로 짜내어지듯이 압착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층(360)에 포함되어 있던 기포는, 연속적으로 상기 요철의 골과 산을 넘어서, 연속적으로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로써, 기포가 없는 접착제층(360)을 성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400)은, 가열수단을 더욱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온도는, 상기 지지판(320), 접착제층(360), 및 장식시트(310)의 재질에 따라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지지판(320)의 재질이 아크릴일 경우에는, 유리일 경우보다 내열온도가 극히 낮다. 따라서 가열온도를 낮게 하여야 한다. 만일 상기 접착제층(360)이 가열에 의하여 접착성능이 저하되는 성분으로 되어 있다면, 가열온도를 낮게 하여야 한다. 반대로 상기 접착제층(360)이 가열에 의하여 유동성이 커지고 접착성능도 어느 정도 유지되는 것이라면, 가열온도를 높게 하여도 무방하다. 만일 상기 장식시트(310)가 비닐 재질이라면, 변형이 염려되므로 가열온도를 높게 할 수 없다. 만일 상기 장식시트(310)가 내열성이 강한 면과 같은 천으로 되어 있다면, 가열온도를 높게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들 소재의 특성은 모두 함께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온도는,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400)을 통과하는 동안에, 열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층(360)을 이루는 접착제의 유동성이 증가되어,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기포가 가압에 의하여 원활히 밀려나갈 수 있는 온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착제의 성질이 허용하는 한, 열에 의하여 유동성이 증가되는 유형의 접착제가 본 발명에는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성의 증가는, 가압에 의한 기포 밀어내기 동작에 큰 도움을 준다. 기포는, 유동성이 증가되어 있으므로, 상기 요철의 골과 산을 연속적으로 넘어서, 상기 장식패널(510)의 외주연까지 밀려가서 제거된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는, 40 내지 80℃로 함이 바람직하다. 40℃ 이하가 되면, 상기 접착제의 유동성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80℃ 이상이 되면, 상기 접착제의 성질이 변성되어,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변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례로서, 상기 가압수단(400)은, 서로 대응하여 설치된 한 쌍의 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상부의 가압롤(430), 하부의 가열롤(440)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가압롤(430)은 아이들롤이고, 가열롤(440)은 구동모터(445)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롤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한 쌍의 롤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롤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수단의 예시로서,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롤(43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이 이동기구를 구동하는 승강모터(435)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품으로서의 장식패널(510)의 지지판(320) 측에는, 오염방지를 위한 보호필름이 부착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20)의 상기 장식시트(310) 반대측에 보호필름을 점착시키는 라미네이팅수단이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판(320)의 일측에는 상기 장식시트(310)가 접착되고, 그 반대측에는 상기 보호필름이 점착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필름의 점착은,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400)을 통과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식패널이 진입하는 상기 가압수단(400)의 입구에, 상기 보호필름의 일부가 미리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장식패널이 진입을 진행하면서 상기 보호필름과 접촉하도록 하여, 그 이후에는 상기 접촉에 의한 점착이 계속 순차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태로 진행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구성의 예시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이 감겨 있는 필름롤(410, 420)이 구비되고, 상기 필름롤(410, 420)에서 공급된 보호필름이 텐션롤(450), 펴짐롤(455)을 거쳐서 한 쌍의 라미롤(460) 사이를 지나 배치되어 있다. 상기 라미롤(460)에서 상기 장식패널 선단과 보호필름은 접촉을 개시하며, 그 후 상기 장식패널의 진행에 따라서 상기 보호필름은 계속하여 상기 장식패널(510)의 지지판(320) 쪽에 점착되며, 상기 장식패널(510) 후단이 상 기 가압수단(400)을 빠져나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라미네이팅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두께센서(350)는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을 감지하는 센서로서의 역할까지도 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는 일면에서는 원점센서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원점위치를 정해 놓고, 이 원점위치에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도달한 후에, 각종 모터의 회전량과 속도를 카운트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식패널(510)이 상기 가압수단(400)을 통과한 후, 상기 보호필름을 절단하는 커터(475)가, 상기 가압수단(400) 후단에 더욱 구비되면 더욱 편리하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커터(475)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가압수단(400)에 의한 상기 장식패널의 처리속도와 동기하여, 상기 커터(475)가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장식패널(510) 후단이 상기 가압수단(400)을 빠져나간 후, 상기 보호필름은 흡착수단(470)에 의하여 흡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터(475)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400)의 전단에는 상기 장식패널을 탑재한 채 이동시 키는 입측 컨베이어(300)가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400)에 진입할 때까지 수평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입측 컨베이어(300) 상에서 제1 두께로 접착제가 도포된 채 미리 위치되어 있는 장식시트(310) 위에 상기 지지판(320)이 위치결정되어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입측 컨베이어(3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가압수단(400)에 의한 상기 장식패널의 처리속도와 동기하여, 상기 입측 컨베이어(300)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400)의 후단에는 상기 장식패널(510)을 탑재한 채 이동시키는 출측 컨베이어(500)가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가압수단(400)을 통과하여 빠져나온 상기 장식패널(510)은, 더욱 후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출측 컨베이어(5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가압수단(400)에 의한 상기 장식패널의 처리속도와 동기하여, 상기 출측 컨베이어(500)가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400)의 전단에는 상기 지지판(320)의 오염을 제거하는 클리너(340)가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너(340)는, 지지판(320)에 발생한 손자국, 접착제오염,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건식, 습식 등 그 방식은 불문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클리너(34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가압수단(400)에 의한 상기 장식패널의 처리속도와 동기하여, 상기 클리너(340)가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400)의 전단에는 상기 지지판(320)을 상기 입측 컨베이어(300)에 올려놓는 지지판 탑재수단(330)이 더욱 구비되면 자동화가 촉진된다. 상기 지지판(320)은, 예컨대 적재소에 수평하게 적층되어 보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320)은, 예컨대 흡착판을 가지는 로봇팔과 같은 작동기구에 의하여, 흡착된 상태로 옮겨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착판을 가지는 로봇팔이 바로 지지판 탑재수단(330)이 된다.
상기 지지판 탑재수단(330)에 의하여 입측 컨베이어(300)에 탑재되는 지지판(320)은, 상기 입측 컨베이어(300)에 미리 탑재되어 있는 상기 장식시트(310)의 위에 탑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장식시트(310)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층(360)과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지지판 탑재수단(330)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입측 컨베이어(300)의 전단에는 상기 장식시트(310)를 탑재한 채 이동시키는 접착 컨베이어(200)가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컨베이어(200)는, 상기 탑재된 장식시트(310)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이와 함께, 상기 입측 컨베이어(300) 쪽으로 상기 장식시트(31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접착 컨베이어(200)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측 컨베이어(300)의 전단에는 상기 접착 컨베이어(200)에 탑재된 장식시트(310)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접착제 노즐(220)이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예컨대 상기 접착 컨베이어(200) 상의 상기 장식시트(310)에, 접착제를 균일하게 제1 두께로 도포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노즐(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시트(310)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유로에, 상기 장식시트(310)를 향하여 개폐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한 집단형 노즐로 이루어져도 좋다. 그리고, 상기 장식시트(310)의 요철의 정도와 위치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노즐(220)은 개폐의 작동은 물론, 개도의 조절도 가능한 형식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 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접착제 노즐(220)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 컨베이어(200)의 전단에는 상기 장식시트(310)가 감겨있는 장식시트롤 (100) 거치수단이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시트롤(100)은, 접착제의 도포를 고려하면, 접착제가 흘러내리지 않는 수평방향으로 풀리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식시트롤(100) 거치수단은, 육중한 장식시트롤(100)의 원활한 풀림동작을 위하여, 구동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장식시트롤(100) 거치수단은, 장식시트롤(100)의 소모량에 따라, 경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로드셀 등의 하중센서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장식시트롤(100) 거치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착 컨베이어(200)의 전단과 상기 장식시트롤(100) 거치수단의 사이에는 상기 장식시트(310)를 절단하는 장식시트 커터(110)가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시트 커터(110)는, 상기 장식시트(310)가 통과되도록 하는 슬릿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때, 기계적 센서 또는 광학적 센서 등에 의하여, 상기 장식시트(310)가 제대로 슬릿에 통과되고 있는지를 검지하여, 만일 상기 장식시트(310)가 검지되지 않으면 경보를 표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350)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장식시트 커터(110)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장식패널(510)의 선단 또는 후단이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측정하는 출측센서를 더욱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측센서가 상기 가압수단(400) 직후에 설치되면 상기 장식패널(510)의 후단을 검지할 수 있고, 상기 출측센서가 상기 가압수단(400)으로부터 상기 장식패널(510)의 길이만큼 후단쪽에 설치되면 상기 장식패널(510)의 선단을 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출측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510)이 상기 가압수단(400)을 완전히 통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다음 장식패널의 가공을 위한 상기 가압수단(400)의 구동을 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인명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장식패널이 이중으로 상기 가압수단(400)에 물려들어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가압수단(400)은, 접착제에 유동성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가압에 의하여 압착하여, 기포가 제거된 상태를 만드는 작용을 하므로, 상기 가압수단(400)의 내부에는 상기 압착에 의하여 외부로 밀려나온 접착제에 의한 오염상태가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런 관점에서,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장식패널이 통과하는 공간에 의하여 내부의 부품과 외부의 케이스가 모두 두 부분으로 구획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장식패널이 수평으로 통과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부구획부와 하부구획부로 분할되어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케이스 각각에는 상기 구획된 내부의 부품이 각각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즉, 예컨대 상하로 구획된 경우에, 상기 상부구획부는 상부 케이스에 장착된 상부 부품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구획부는 하부 케이스에 장착된 하부 부품들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48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 힌지(480)를 중심으로 하여 개방하여, 내부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고, 이 힌지(480)를 중심으로 하여 폐쇄하여, 가압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대응되는 요소들은 상기 폐쇄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방법은, 접착제층 형성단계와, 장식패널 형성단계와, 두께측정단계와, 가압력 설정단계와, 가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제층 형성단계는, 상기 장식시트(310)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제1 두께로, 상기 접착제층(360)을 상기 장식시트(310) 상에 형성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요철의 골은 모두 상기 접착제에 의하여 메워짐은 물론이고, 이 메워진 경계선을 초과하여, 상기 접착제층(360)은 형성된다.
상기 장식패널 형성단계는, 상기 지지판(320)을 상기 접착제층(360)에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320)은, 상기 제1 두께의 접착제층(36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장식시트(310)와 결합되어 있다. 다만, 상기 접착제층(360)의 상태는 아직 굳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두께측정단계는, 상기 장식패널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두께의 측정은, 광학적, 또는 기계적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되는 두께는, 상기 지지판(320), 상기 제1 두께의 접착제층(360) 및 상기 장식시트(310)의 두께가 모두 합쳐진 두께이다.
상기 가압력 설정단계는, 상기 측정된 장식패널의 두께에 근거하여 가압력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가압력은, 가압 후의 상기 접착제층(360)의 두께가,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가 되도록 하는 정도의 가압력으로 설정된다. 상기 두께는, 상기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두께이다. 상기 가압력의 설정은, 예컨대 대응되는 한 쌍의 롤에 의하여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장식패널을 가압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압력은 한번 설정되면 적어도 그 두께를 측정한 장식시트(310)가 가압되는 동안에는 변하지 않는 것이므로, 고정된 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된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510)은 균일하게 가압된다. 이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어 있던 기포가 외부로 밀려나오게 되어, 기포 없는 장식패널(510)이 성형된다.
이때, 상기 가압단계에 의한 가압과 병행하여, 열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층(360)을 이루는 접착제의 유동성이 증가되어,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기포가 가압에 의하여 원활히 밀려나갈 수 있는 온도로, 상기 장식패널을 가열하는 가열단계가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의 유동성이 증진되는 것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접착제의 접착성능이나 변색 등의 염려가 없는 범위 내에서 가열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지지판에 접착제층을 도포하고, 이에 장식시트의 배면을 접착시킴으로써, 장식시트의 장식면이 가장 전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장식패널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지금까지 위에서 설명된 장식패널은, 외부에서 볼 때 장식면이 지지판의 내측에 존재하며, 상기 지지판과 장식시트의 장식면이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는 형식의 것이다. 이에 반하여, 이제부터 설명하고자 하는 장식패널은, 장식시트의 장식면이 외부에서 볼 때 가장 외측에 위치되도록 된 장식패널이다. 그러므로, 장식시트의 장식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장식시트의 배면은 장식시트를 지지하는 지지판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도, 기포의 발생은 접착력의 손실을 가져오므로 치명적이다. 따라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식시트 배면에는 미세한 요철이 존재하므로, 이 요철의 골에 상기 접착제가 골고루 침투할 수 있도록 부착할 필요 가 있다.
상기와 같은 장식패널도, 본 발명의 상기 장식패널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장식시트의 장식면과 배면의 위치만 달라져서 접착제가 도포될 뿐인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지지판으로서 유리판을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유리판의 강도는 상기 장식시트와 결합함으로써 인장력과 충격흡수력이 강해진다. 또한, 습기와 온도 특성이 우수하다. 이로써, 열이나 습기에 대한 변형이 없고 결로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접착성이 오래 유지되는 장식시트가 제공된다.
이상, 특정 실시예를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하여 파악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이루어진 개량,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장식패널을 제조하는 산업에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장치가 적용된 라인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가열가압수단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은, 유지보수를 위하여, 도 2의 가열가압수단의 구획된 두 부분이 힌지(48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장식패널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식패널의 단면도이다.

Claims (19)

  1.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접착제층에 의하여 부착되는 장식시트로 이루어지는 장식패널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을 통과시키면서 가압시키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 통과 전의 상기 장식패널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센서와,
    상기 두께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가열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가압수단 통과 전의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장식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제1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접착제층이, 상기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두께로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가 되도록, 상기 가압력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지지판, 접착제층, 및 장식시트의 재질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온도는,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하는 동안에,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기포가 가압에 의하여 원활히 밀려나갈 수 있을 정도로, 열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이루는 접착제의 유동성이 증가되는 온도로서, 40 내지 80℃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서로 대응하여 설치된 한 쌍의 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한 쌍의 롤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압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하는 동안에, 상기 지지판의 상기 장식시트 반대측에 보호필름을 점착시키는 라미네이팅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라미네이팅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을 통과한 후, 상기 보호필름을 절단하는 커터가, 상기 가압수단 후단에 더욱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커터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장식패널을 탑재한 채 이동시키는 입측 컨베이어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입측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후단에는 상기 장식패널을 탑재한 채 이동시키는 출측 컨베이어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출측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지지판의 오염을 제거하는 클리너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클리너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지지판을 상기 입측 컨베이어에 올려놓는 지지판 탑재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지지판 탑재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입측 컨베이어의 전단에는 상기 장식시트를 탑재한 채 이동시키는 접착 컨베이어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접착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입측 컨베이어의 전단에는 상기 접착 컨베이어에 탑재된 장식시트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접착제 노즐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접착제 노즐의 구동을 제어함 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착 컨베이어의 전단에는 상기 장식시트가 감겨있는 장식시트롤 거치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장식시트롤 거치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접착 컨베이어의 전단과 상기 장식시트롤 거치수단의 사이에는 상기 장식시트를 자르는 장식시트 커터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이 감지된 시각과 상기 장식패널의 통과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장식시트 커터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장식패널의 선단 또는 후단이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측정하는 출측센서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출측센서에 의하여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가압수단을 완전히 통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다음 장식패널의 가공을 위한 상기 가압수단의 구동을 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장식패널이 통과하는 공간에 의하여 내부의 부품과 외부의 케이스가 두 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케이스 각각에는 상기 구획된 내부의 부품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구획된 두 부분의 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장치.
  18.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접착제층에 의하여 부착되는 장식시트로 이루어지는 장식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식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제1 두께로, 상기 접착제층을 상기 장식시트 상에 형성하는 접착제층 형성단계와,
    상기 지지판을 상기 접착제층에 결합시키는 장식패널 형성단계와,
    상기 장식패널의 가압 전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측정단계와,
    가압 후의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요철의 산을 초과하는 두께로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가 되도록, 상기 측정된 장식패널의 두께에 근거하여 가압력을 설정하는 가압력 설정단계와,
    상기 장식패널을 통과시키면서 가압하는 가압단계와,
    상기 가압단계에 의한 가압과 병행하여,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기포가 가압에 의하여 원활히 밀려나갈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지지판, 접착제층, 및 장식시트의 재질에 따라서, 열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층을 이루는 접착제의 유동성이 증가되는 가열온도로서, 40 내지 80℃로 상기 장식패널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패널 제조방법.
  19. 삭제
KR1020070139684A 2007-12-28 2007-12-28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 KR100854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684A KR100854269B1 (ko) 2007-12-28 2007-12-28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684A KR100854269B1 (ko) 2007-12-28 2007-12-28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269B1 true KR100854269B1 (ko) 2008-08-26

Family

ID=3987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684A KR100854269B1 (ko) 2007-12-28 2007-12-28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26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973B1 (ko) 2008-06-18 2010-06-08 주식회사 원지 평면패널 라미네이팅 장치
KR101177428B1 (ko) * 2010-11-08 2012-08-27 (주)신진엔지니어링 도광판 제조 장치
KR101304199B1 (ko) 2012-03-08 2013-09-05 주식회사 연성우드 광택도료 없이 표면광택 처리된 건축물 내장용 마감패널 제조장치 및 그를 통해 제조된 마감패널
KR101381409B1 (ko) * 2012-04-13 2014-04-02 오용석 장식패널의 제조장치
KR101413636B1 (ko) 2013-07-08 2014-07-04 주식회사 리텍 습식 시트 투 롤 라미네이터용 클리너 장치
KR101758062B1 (ko) 2015-08-07 2017-07-31 주식회사 한손코리아 전사 보드판넬 제조장치
WO2019177190A1 (ko) * 2018-03-13 2019-09-19 김민구 내외장재 보드판넬용 전후 각면 및 양측면 각면까지 전사가능한 판넬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129A (ja) * 1989-09-25 1991-05-10 Canon Inc ラミネート装置
JPH0611980A (ja) * 1992-06-26 1994-01-21 Canon Aptecs Kk シート材加圧装置及びラミネート装置
KR20060010548A (ko) * 2004-07-28 2006-02-02 이명식 유리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129A (ja) * 1989-09-25 1991-05-10 Canon Inc ラミネート装置
JPH0611980A (ja) * 1992-06-26 1994-01-21 Canon Aptecs Kk シート材加圧装置及びラミネート装置
KR20060010548A (ko) * 2004-07-28 2006-02-02 이명식 유리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973B1 (ko) 2008-06-18 2010-06-08 주식회사 원지 평면패널 라미네이팅 장치
KR101177428B1 (ko) * 2010-11-08 2012-08-27 (주)신진엔지니어링 도광판 제조 장치
KR101304199B1 (ko) 2012-03-08 2013-09-05 주식회사 연성우드 광택도료 없이 표면광택 처리된 건축물 내장용 마감패널 제조장치 및 그를 통해 제조된 마감패널
KR101381409B1 (ko) * 2012-04-13 2014-04-02 오용석 장식패널의 제조장치
KR101413636B1 (ko) 2013-07-08 2014-07-04 주식회사 리텍 습식 시트 투 롤 라미네이터용 클리너 장치
KR101758062B1 (ko) 2015-08-07 2017-07-31 주식회사 한손코리아 전사 보드판넬 제조장치
WO2019177190A1 (ko) * 2018-03-13 2019-09-19 김민구 내외장재 보드판넬용 전후 각면 및 양측면 각면까지 전사가능한 판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269B1 (ko) 장식패널 제조장치 및 장식패널 제조방법
EP1035255B1 (en) Laminate and the production thereof
CN101910035B (zh) 光学显示单元的制造系统及输送机构
CN110545981A (zh) 形成无应力多层pvc片材的方法
DK159381B (da) Spejllaminater
CN112621924B (zh) 一种红木板材表面处理工艺
US4243464A (en) Laminating method
KR102319378B1 (ko) 내마모성 강화 및 내오염성 방지를 위한 접착제층이 일체로 형성된 데코페이퍼의 제조방법
MX2009011134A (es) Aparato para decoracion en molde y metodo para fabricar un producto moldeado decorado en molde.
CN107571596A (zh) 一种复合型蜂窝板的成型工艺及其设备
CN113858748A (zh) 一种玻纤复合装饰板加工设备及其加工工艺
KR101239182B1 (ko) 인테리어자재의 표면가공방법 및 장치
WO2020112050A2 (en) Self-adhesive edgebanding for furnitures and a coextrus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CN219312191U (zh) 一种用于复合纸板生产的复合装置
KR100359424B1 (ko) 무늬목 두루마리 복합박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H05295700A (ja) エンボス紙の製造法
KR101758062B1 (ko) 전사 보드판넬 제조장치
CN112590352B (zh) 一种布艺及墙纸集成墙板的制作装置
CN115837793B (zh) 一种生产用超柔防火板包覆任意造型线条板材的制备方法
RU2450985C2 (ru) Панель остекления
CN212185216U (zh) 一种布料加工用热合装置
CN203210802U (zh) 导胶膜材结构及基材的组合
JP2010042606A (ja) ラッピング装置およびラッピング方法
JP4366573B2 (ja) 床材の製造方法
JP2005104052A (ja) ラミネート装置及び床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2